KR102231295B1 - 독서 클럽 시스템 - Google Patents

독서 클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295B1
KR102231295B1 KR1020200125405A KR20200125405A KR102231295B1 KR 102231295 B1 KR102231295 B1 KR 102231295B1 KR 1020200125405 A KR1020200125405 A KR 1020200125405A KR 20200125405 A KR20200125405 A KR 20200125405A KR 102231295 B1 KR102231295 B1 KR 102231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hip
information
visitor
unit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아랑
Original Assignee
토지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지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토지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5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방문자의 멤버십 정보를 분석하여 지역별, 직종별, 나이별, 성별, 취향 등 다양한 멤버십 정보에 따른 독서 모임을 추천함으로써, 개개인의 독서율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노하우의 공유가 가능하며, 자기 개발과 토론 등 다양한 모임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독서 클럽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 클럽 시스템은 통로 및 통로와 연결되는 복수의 멤버십 부스를 포함하는 모임공간과, 모임공간의 출입구에 배치되어 방문자의 멤버십 정보를 확인하고, 방문자에게 멤버십 부스를 배정하도록 구성되는 멤버십 인증부를 포함하고, 멤버십 인증부는, 복수의 멤버십 부스에 각각 독서 콘텐츠 및 독서 모임 주제를 선정하고, 방문자의 지역, 나이, 성별, 직종, 경력, 가족관계 및 취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멤버십 정보를 기초로 방문자를 복수의 멤버십 부스 중 어느 하나로 배정한다.

Description

독서 클럽 시스템{Reading club system}
본 발명은 독서 클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의 발전으로 인해 나이, 성별, 직업 등과 관계없이 학연, 지연, 취미, 관심사 등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온라인 커뮤니티에 기반한 오프라인 모임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오프라인 모임으로는 독서 모임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독서 모임은 본인의 취향이나 의사와 상관없이 커뮤니티에서 선정된 도서를 읽고, 오프라인에서 그에 관한 토론을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모임의 참석률이 높지 않음은 물론, 참여자들의 취향에 맞는 도서를 선정하고, 모임을 기획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개개인의 취향을 분석하고 관리해주는 맞춤형 독서 모임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독서 모임을 진행하기 위한 공간을 임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참석자에 관한 정확한 정보 파악이 불가능하여 도서 이외에 다양한 분야의 노하우를 공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문자의 멤버십 정보를 분석하여 지역별, 직종별, 나이별, 성별, 취향 등 다양한 멤버십 정보에 따른 독서 모임을 추천함으로써, 개개인의 독서율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노하우의 공유가 가능하며, 자기 개발과 토론 등 다양한 모임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독서 클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 클럽 시스템은 통로 및 상기 통로와 연결되는 복수의 멤버십 부스를 포함하는 모임공간; 및 상기 모임공간의 출입구에 배치되어 방문자의 멤버십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방문자에게 멤버십 부스를 배정하도록 구성되는 멤버십 인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멤버십 인증부는, 상기 복수의 멤버십 부스에 각각 독서 콘텐츠 및 독서 모임 주제를 선정하고, 방문자의 지역, 나이, 성별, 직종, 경력, 가족관계 및 취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멤버십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방문자를 상기 복수의 멤버십 부스 중 어느 하나로 배정한다.
상기 멤버십 인증부는, 내부에 출입로가 형성되는 가벽체; 상기 모임공간과 연결되는 상기 가벽체의 출구 측에 배치되는 출입문; 상기 가벽체를 통과 중인 방문자를 감지하여 적어도 하나의 방문자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방문자 식별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문자 정보를 미리 저장된 멤버십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제어부; 상기 방문자 정보와 상기 멤버십 정보가 불일치 할 경우, 관리자에게 방문자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관리자의 방문자 인증 승인 여부에 따라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2 제어부; 상기 출입문에 배치되고, 상기 관리자로부터 방문자 인증이 불승인되어 상기 출입문이 폐쇄된 경우 방문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증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멤버십 확인부; 상기 멤버십 확인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멤버십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3 제어부; 및 상기 출입문, 상기 멤버십 확인부, 상기 방문자 식별부, 상기 제1 제어부, 상기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3 제어부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멤버십 확인부는, 방문자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방문자 감지부; 상기 방문자 감지부로부터 방문자가 감지된 경우 상기 방문자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멤버십 검증부; 및 상기 멤버십 검증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정보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인증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멤버십 검증부는, 방문자로부터 숫자, 문자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명령을 입력받고, 숫자, 문자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제1 인증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인증부; 방문자의 지문 또는 장정맥을 인식하고, 상기 지문 또는 장정맥에 관한 제2 인증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인증부; 방문자의 홍채 또는 얼굴형상을 인식하고, 상기 홍채 또는 얼굴형상에 관한 제3 인증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3 인증부; 및 방문자의 목소리를 인식하고, 상기 목소리에 관한 제4 인증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4 인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자 식별부는, 상기 방문자의 하중을 감지하여 제1 방문자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감지부; 상기 방문자의 신체로부터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감지하여 제2 방문자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방문자의 신체를 촬영하여 상기 방문자의 신체정보에 관한 제3 방문자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3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방문자 식별부에서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문자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위한 제어명령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 통신부; 상기 멤버십 정보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문자 정보가 저장되는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1 방문자 정보를 상기 멤버십 정보에 포함된 멤버십 하중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1 방문자 정보에 대응되는 멤버십 정보를 선별한 후, 상기 제2 방문자 정보를 선별된 멤버십 정보에 포함된 멤버십 코드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제3 방문자 정보를 상기 선별된 멤버십 정보에 포함된 멤버십 신체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2 방문자 정보 및 상기 제3 방문자 정보가 모두 상기 선별된 멤버십 정보와 일치할 경우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출입문에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출입문을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연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멤버십 확인부에서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위한 제어명령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2 통신부; 상기 멤버십 정보 및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정보가 저장되는 제2 저장부; 및 상기 제1 인증정보를 상기 멤버십 정보에 포함된 멤버십 입력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1 인증정보와 상기 멤버십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거나, 상기 제2 인증정보를 상기 멤버십 정보에 포함된 제1 멤버십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2 인증정보와 상기 멤버십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거나, 상기 제3 인증정보를 상기 멤버십 정보에 포함된 제2 멤버십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3 인증정보와 상기 멤버십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거나, 상기 제4 인증정보를 상기 멤버십 정보에 포함된 제3 멤버십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4 인증정보와 상기 멤버십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인증정보, 상기 제2 인증정보, 상기 제3 인증정보 및 상기 제4 인증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멤버십 정보와 일치할 경우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출입문에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출입문을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연산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독서 클럽 시스템은, 상기 통로를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외부로 빛, 영상 및 소리를 전달하여 상기 멤버십 인증장치를 통과한 방문자를 설정 장소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안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안내 수단은, 투명체 재질로 형성되는 가이드 바; 상기 가이드 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되면서 상기 가이드 바의 외부로 빛을 발산하여 상기 방문자를 상기 설정 장소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발광 유닛; 상기 가이드 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바의 외부로 문자, 숫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1 표시 유닛; 상기 가이드 바의 외부에 배치되고, 지면을 향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상기 지면에 상기 방문자가 이동해야할 방향을 나타내는 이미지와, 상기 방문자가 배정된 멤버십 부스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2 표시 유닛; 및 상기 가이드 바의 외부에 배치되고, 외부로 소리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음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독서 클럽 시스템은, 상기 모임공간을 구획하여 상기 복수의 멤버십 부스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부스 형성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스 형성 장치는, 건물의 내벽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모임공간이 형성되는 내장부; 상기 내장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임공간을 구획하여 상기 복수의 멤버십 부스를 형성하는 격벽플레이트; 상기 내장부에 배치되고, 상기 격벽플레이트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격벽플레이트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플레이트 이송 유닛; 상기 내장부에 배치되고, 상기 격벽플레이트의 타 측에 결합되어 상기 격벽플레이트의 이동시 상기 격벽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플레이트 가이드 유닛; 상기 격벽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격벽플레이트에 대향 배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격벽플레이트의 일면에 설치되는 체결부; 및 일 측은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타 측은 자력을 통해 상기 체결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격벽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된 상기 모임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상기 복수의 멤버십 부스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부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이송 유닛은, 상기 격벽플레이트의 일 측에 결합되는 제1 이송블록; 상기 제1 이송블록과 나사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 이송블록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스크류 샤프트; 상기 스크류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터; 및 상기 스크류 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가이드 유닛은, 상기 격벽플레이트의 타 측에 결합되는 제2 이송블록; 및 상기 제2 이송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이송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이송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문자의 멤버십 정보들에 기초하여 다양한 독서 콘텐츠 및 독서 모임 주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방문자의 지역, 나이, 성별, 직종, 경력, 가족관계 및 취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방문자에게 적합한 독서 콘텐츠 및 독서 모임 주제가 있는 멤버십 부스로 방문자를 배정함으로써, 개개인의 독서율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노하우의 공유가 가능하며, 자기 개발과 토론 등 다양한 모임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멤버십 소지자에 한하여 자기개발공간, 오피스 공간, 독서 모임 공간, 커뮤니티활동 공간, 전문가 강연 공간 등 목적에 맞는 다양한 모임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 클럽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 클럽 시스템의 멤버십 인증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 클럽 시스템의 멤버십 확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 클럽 시스템의 제1 제어부 및 제3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 클럽 시스템의 위치 안내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 클럽 시스템의 부스 형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 클럽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 클럽 시스템(1)(이하 '독서 클럽 시스템(1)'이라 함)은 통로(11) 및 통로(11)와 연결되는 복수의 멤버십 부스(12)를 포함하는 모임공간(10)과, 모임공간(10)의 출입구에 배치되어 방문자의 멤버십 정보를 확인하고, 방문자에게 멤버십 부스(12)를 배정하도록 구성되는 멤버십 인증부(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멤버십 인증부(20)는 복수의 멤버십 부스(12)에 각각 독서 콘텐츠 및 독서 모임 주제를 선정하고, 방문자의 지역, 나이, 성별, 직종, 경력, 가족관계 및 취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멤버십 정보를 기초로 방문자를 복수의 멤버십 부스(12) 중 어느 하나로 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 클럽 시스템의 멤버십 인증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 클럽 시스템의 멤버십 확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 클럽 시스템의 제1 제어부 및 제3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멤버십 인증부(20)는 내부에 출입로가 형성되는 가벽체(21)와, 모임공간(10)과 연결되는 가벽체(21)의 출구 측에 배치되는 출입문(22)과, 가벽체(21)를 통과 중인 방문자를 감지하여 적어도 하나의 방문자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방문자 식별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방문자 식별부(24)는 방문자의 하중을 감지하여 제1 방문자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감지부(241)와, 방문자의 신체로부터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감지하여 제2 방문자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감지부(242)와, 방문자의 신체를 촬영하여 방문자의 신체정보에 관한 제3 방문자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3 감지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멤버십 인증부(20)는 적어도 하나의 방문자 정보를 미리 저장된 멤버십 정보와 비교하여, 출입문(22)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제어부(25)와, 방문자 정보와 멤버십 정보가 불일치 할 경우, 관리자에게 방문자 인증을 요청하고, 관리자의 방문자 인증 승인 여부에 따라 출입문(22)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2 제어부(26)와, 출입문(22)에 배치되고, 관리자로부터 방문자 인증이 불승인되어 출입문(22)이 폐쇄된 경우 방문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증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멤버십 확인부(23)와, 멤버십 확인부(23)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인증정보를 전송받아 멤버십 정보와 비교하여, 출입문(22)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3 제어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멤버십 확인부(23)는 방문자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방문자 감지부(232)와, 방문자 감지부(232)로부터 방문자가 감지된 경우 방문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인증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멤버십 검증부(231)와, 멤버십 검증부(231)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28)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인증정보 전송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멤버십 검증부(231)는 방문자로부터 숫자, 문자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명령을 입력받고, 숫자, 문자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제1 인증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인증부(231A)와, 방문자의 지문 또는 장정맥을 인식하고, 지문 또는 장정맥에 관한 제2 인증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인증부(231B)와, 방문자의 홍채 또는 얼굴형상을 인식하고, 홍채 또는 얼굴형상에 관한 제3 인증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3 인증부(231C)와, 방문자의 목소리를 인식하고, 목소리에 관한 제4 인증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4 인증부(231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제1 제어부(25)는 데이터 송수신부(28)로부터 방문자 식별부(24)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방문자 정보를 수신하거나, 데이터 송수신부(28)에 출입문(22)의 개폐를 위한 제어명령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 통신부(251)와, 멤버십 정보 및 제1 통신부(251)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방문자 정보가 저장되는 제1 저장부(252)와, 출입문(22)을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연산 제어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산 제어부(253)는 제1 방문자 정보를 멤버십 정보에 포함된 멤버십 하중정보와 비교하여 제1 방문자 정보에 대응되는 멤버십 정보를 선별한 후, 제2 방문자 정보를 선별된 멤버십 정보에 포함된 멤버십 코드정보와 비교하고, 제3 방문자 정보를 선별된 멤버십 정보에 포함된 멤버십 신체정보와 비교하여, 제2 방문자 정보 및 제3 방문자 정보가 모두 선별된 멤버십 정보와 일치할 경우 제1 통신부(251)를 통해 출입문(22)에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출입문(22)을 개방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3 제어부(27)는 데이터 송수신부(28)로부터 멤버십 확인부(23)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정보를 수신하거나, 데이터 송수신부(28)에 출입문(22)의 개폐를 위한 제어명령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2 통신부(271)와, 멤버십 정보 및 제2 통신부(271)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정보가 저장되는 제2 저장부(272)와, 출입문(22)을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연산 제어부(27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연산 제어부(273)는 제1 인증정보를 멤버십 정보에 포함된 멤버십 입력정보와 비교하여 제1 인증정보와 멤버십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거나, 제2 인증정보를 멤버십 정보에 포함된 제1 멤버십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제2 인증정보와 멤버십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거나, 제3 인증정보를 멤버십 정보에 포함된 제2 멤버십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제3 인증정보와 멤버십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거나, 제4 인증정보를 멤버십 정보에 포함된 제3 멤버십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제4 인증정보와 멤버십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제1 인증정보, 제2 인증정보, 제3 인증정보 및 제4 인증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멤버십 정보와 일치할 경우 제2 통신부(271)를 통해 출입문(22)에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출입문(22)을 개방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멤버십 인증부(20)는 출입문(22), 멤버십 확인부(23), 방문자 식별부(24), 제1 제어부(25), 제2 제어부(26) 및 제3 제어부(27)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송수신부(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 클럽 시스템의 위치 안내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독서 클럽 시스템(1)은 통로(11)를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외부로 빛, 영상 및 소리를 전달하여 멤버십 인증장치를 통과한 방문자를 설정 장소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안내 수단(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안내 수단(30)은 투명체 재질로 형성되는 가이드 바(31)와, 가이드 바(31)의 내부에 배치되고, 가이드 바(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되면서 가이드 바(31)의 외부로 빛을 발산하여 방문자를 설정 장소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발광 유닛(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안내 수단(30)은 가이드 바(31)의 내부에 배치되고, 가이드 바(31)의 외부로 문자, 숫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1 표시 유닛(33)과, 가이드 바(31)의 외부에 배치되고, 지면을 향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지면에 방문자가 이동해야할 방향을 나타내는 이미지와, 방문자가 배정된 멤버십 부스(12)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2 표시 유닛(34)과, 가이드 바(31)의 외부에 배치되고, 외부로 소리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음향 유닛(3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 클럽 시스템의 부스 형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독서 클럽 시스템(1)은 모임공간(10)을 구획하여 복수의 멤버십 부스(12)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부스 형성 장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스 형성 장치(40)는 건물(S)의 내벽에 배치되고, 내부에 모임공간(10)이 형성되는 내장부(41)와, 내장부(41)의 내부에 배치되고, 모임공간(10)을 구획하여 복수의 멤버십 부스(12)를 형성하는 격벽플레이트(42)와, 내장부(41)에 배치되고, 격벽플레이트(42)의 일 측에 결합되어 격벽플레이트(42)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플레이트 이송 유닛(4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 이송 유닛(43)은 격벽플레이트(42)의 일 측에 결합되는 제1 이송블록(431)과, 제1 이송블록(431)과 나사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제1 이송블록(431)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스크류 샤프트(432)와, 스크류 샤프트(4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터(433)와, 스크류 샤프트(432)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모터(4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스 형성 장치(40)는 내장부(41)에 배치되고, 격벽플레이트(42)의 타 측에 결합되어 격벽플레이트(42)의 이동시 격벽플레이트(42)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플레이트 가이드 유닛(44)과, 격벽플레이트(42)의 이동방향을 따라 격벽플레이트(42)에 대향 배치되는 가이드레일(45)과, 격벽플레이트(42)의 일면에 설치되는 체결부(46)와, 일 측은 가이드레일(45)에 결합되고, 타 측은 자력을 통해 체결부(46)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격벽플레이트(42)에 의해 구획된 모임공간(10)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복수의 멤버십 부스(12)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부스 플레이트(4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 가이드 유닛(44)은 격벽플레이트(42)의 타 측에 결합되는 제2 이송블록(441)과, 제2 이송블록(441)에 결합되어 제2 이송블록(441)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이송레일(4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문자의 멤버십 정보들에 기초하여 다양한 독서 콘텐츠 및 독서 모임 주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방문자의 지역, 나이, 성별, 직종, 경력, 가족관계 및 취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방문자에게 적합한 독서 콘텐츠 및 독서 모임 주제가 있는 멤버십 부스(12)로 방문자를 배정함으로써, 개개인의 독서율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노하우의 공유가 가능하며, 자기 개발과 토론 등 다양한 모임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멤버십 소지자에 한하여 자기개발공간, 오피스 공간, 독서 모임 공간, 커뮤니티활동 공간, 전문가 강연 공간 등 목적에 맞는 다양한 모임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 독서 클럽 시스템
10. 모임공간
11. 통로
12. 멤버십 부스
20. 멤버십 인증부
21. 가벽체
22. 출입문
23. 멤버십 확인부
231. 멤버십 검증부
231A. 제1 인증부
231B. 제2 인증부
231C. 제3 인증부
231D. 제4 인증부
232. 방문자 감지부
233. 인증정보 전송부
24. 방문자 식별부
241. 제1 감지부
242. 제2 감지부
243. 제3 감지부
25. 제1 제어부
251. 제1 통신부
252. 제1 저장부
253. 제1 연산 제어부
26. 제2 제어부
27. 제3 제어부
271. 제2 통신부
272. 제2 저장부
273. 제2 연산 제어부
28. 데이터 송수신부
30. 위치 안내 수단
31. 가이드 바
32. 발광 유닛
33. 제1 표시 유닛
34. 제2 표시 유닛
35. 음향 유닛
40. 부스 형성 장치
41. 내장부
42. 격벽플레이트
43. 플레이트 이송 유닛
431. 제1 이송블록
432. 스크류 샤프트
433. 서포터
434. 모터
44. 플레이트 가이드 유닛
441. 제2 이송블록
442. 이송레일
45. 가이드레일
46. 체결부
47. 부스 플레이트
S. 건물

Claims (3)

  1. 통로 및 상기 통로와 연결되는 복수의 멤버십 부스를 포함하는 모임공간; 및
    내부에 출입로가 형성되는 가벽체를 포함하는 멤버십 인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멤버십 인증부는,
    상기 모임공간의 출입구에 배치되어 방문자의 멤버십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방문자에게 멤버십 부스를 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멤버십 부스에 각각 독서 콘텐츠 및 독서 모임 주제를 선정하고, 방문자의 지역, 나이, 성별, 직종, 경력, 가족관계 및 취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멤버십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방문자를 상기 복수의 멤버십 부스 중 어느 하나로 배정하며,
    상기 멤버십 인증부는,
    상기 모임공간과 연결되는 상기 가벽체의 출구 측에 배치되는 출입문;
    상기 가벽체를 통과 중인 방문자를 감지하여 적어도 하나의 방문자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방문자 식별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문자 정보를 미리 저장된 멤버십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제어부;
    상기 방문자 정보와 상기 멤버십 정보가 불일치 할 경우, 관리자에게 방문자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관리자의 방문자 인증 승인 여부에 따라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2 제어부;
    상기 출입문에 배치되고, 상기 관리자로부터 방문자 인증이 불승인되어 상기 출입문이 폐쇄된 경우 방문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증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멤버십 확인부;
    상기 멤버십 확인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멤버십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3 제어부; 및
    상기 출입문, 상기 멤버십 확인부, 상기 방문자 식별부, 상기 제1 제어부, 상기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3 제어부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멤버십 확인부는,
    방문자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방문자 감지부;
    상기 방문자 감지부로부터 방문자가 감지된 경우 상기 방문자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멤버십 검증부; 및
    상기 멤버십 검증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정보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인증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멤버십 검증부는,
    방문자로부터 숫자, 문자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명령을 입력받고, 숫자, 문자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제1 인증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인증부;
    방문자의 지문 또는 장정맥을 인식하고, 상기 지문 또는 장정맥에 관한 제2 인증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인증부;
    방문자의 홍채 또는 얼굴형상을 인식하고, 상기 홍채 또는 얼굴형상에 관한 제3 인증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3 인증부; 및
    방문자의 목소리를 인식하고, 상기 목소리에 관한 제4 인증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4 인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자 식별부는,
    상기 방문자의 하중을 감지하여 제1 방문자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감지부;
    상기 방문자의 신체로부터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감지하여 제2 방문자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방문자의 신체를 촬영하여 상기 방문자의 신체정보에 관한 제3 방문자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3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방문자 식별부에서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문자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위한 제어명령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 통신부;
    상기 멤버십 정보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문자 정보가 저장되는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1 방문자 정보를 상기 멤버십 정보에 포함된 멤버십 하중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1 방문자 정보에 대응되는 멤버십 정보를 선별한 후, 상기 제2 방문자 정보를 선별된 멤버십 정보에 포함된 멤버십 코드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제3 방문자 정보를 상기 선별된 멤버십 정보에 포함된 멤버십 신체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2 방문자 정보 및 상기 제3 방문자 정보가 모두 상기 선별된 멤버십 정보와 일치할 경우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출입문에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출입문을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연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멤버십 확인부에서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위한 제어명령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2 통신부;
    상기 멤버십 정보 및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정보가 저장되는 제2 저장부; 및
    상기 제1 인증정보를 상기 멤버십 정보에 포함된 멤버십 입력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1 인증정보와 상기 멤버십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거나, 상기 제2 인증정보를 상기 멤버십 정보에 포함된 제1 멤버십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2 인증정보와 상기 멤버십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거나, 상기 제3 인증정보를 상기 멤버십 정보에 포함된 제2 멤버십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3 인증정보와 상기 멤버십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거나, 상기 제4 인증정보를 상기 멤버십 정보에 포함된 제3 멤버십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4 인증정보와 상기 멤버십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인증정보, 상기 제2 인증정보, 상기 제3 인증정보 및 상기 제4 인증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멤버십 정보와 일치할 경우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출입문에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출입문을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연산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로를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외부로 빛, 영상 및 소리를 전달하여 상기 멤버십 인증부를 통과한 방문자를 설정 장소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안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안내 수단은,
    투명체 재질로 형성되는 가이드 바;
    상기 가이드 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되면서 상기 가이드 바의 외부로 빛을 발산하여 상기 방문자를 상기 설정 장소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발광 유닛;
    상기 가이드 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바의 외부로 문자, 숫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1 표시 유닛;
    상기 가이드 바의 외부에 배치되고, 지면을 향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상기 지면에 상기 방문자가 이동해야할 방향을 나타내는 이미지와, 상기 방문자가 배정된 멤버십 부스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2 표시 유닛; 및
    상기 가이드 바의 외부에 배치되고, 외부로 소리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음향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모임공간을 구획하여 상기 복수의 멤버십 부스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부스 형성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스 형성 장치는,
    건물의 내벽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모임공간이 형성되는 내장부;
    상기 내장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임공간을 구획하여 상기 복수의 멤버십 부스를 형성하는 격벽플레이트;
    상기 내장부에 배치되고, 상기 격벽플레이트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격벽플레이트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플레이트 이송 유닛;
    상기 내장부에 배치되고, 상기 격벽플레이트의 타 측에 결합되어 상기 격벽플레이트의 이동시 상기 격벽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플레이트 가이드 유닛;
    상기 격벽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격벽플레이트에 대향 배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격벽플레이트의 일면에 설치되는 체결부; 및
    일 측은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타 측은 자력을 통해 상기 체결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격벽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된 상기 모임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상기 복수의 멤버십 부스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부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이송 유닛은,
    상기 격벽플레이트의 일 측에 결합되는 제1 이송블록;
    상기 제1 이송블록과 나사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 이송블록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스크류 샤프트;
    상기 스크류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터; 및
    상기 스크류 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가이드 유닛은,
    상기 격벽플레이트의 타 측에 결합되는 제2 이송블록; 및
    상기 제2 이송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이송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이송레일을 포함하는, 독서 클럽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00125405A 2020-09-28 2020-09-28 독서 클럽 시스템 KR102231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405A KR102231295B1 (ko) 2020-09-28 2020-09-28 독서 클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405A KR102231295B1 (ko) 2020-09-28 2020-09-28 독서 클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295B1 true KR102231295B1 (ko) 2021-03-23

Family

ID=75223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405A KR102231295B1 (ko) 2020-09-28 2020-09-28 독서 클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29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096A (ko) * 2004-06-28 2006-01-06 (주)스타라이브러리 오프라인과 연계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KR20110059161A (ko) * 2009-11-27 2011-06-02 주식회사 하나아이엔씨 지능형 피난 레이저 유도 시스템
KR102077523B1 (ko) * 2019-08-13 2020-02-14 (주)지여이앤씨 출입관리를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KR20200030255A (ko) * 2018-09-12 2020-03-20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사무공간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091243B1 (ko) * 2019-10-29 2020-03-20 박철파 IoT 기반의 공유 오피스 중앙 콘트롤 시스템
KR102114913B1 (ko) * 2018-12-14 2020-05-25 정상훈 독서 모임 추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096A (ko) * 2004-06-28 2006-01-06 (주)스타라이브러리 오프라인과 연계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KR20110059161A (ko) * 2009-11-27 2011-06-02 주식회사 하나아이엔씨 지능형 피난 레이저 유도 시스템
KR20200030255A (ko) * 2018-09-12 2020-03-20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사무공간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114913B1 (ko) * 2018-12-14 2020-05-25 정상훈 독서 모임 추천 방법 및 장치
KR102077523B1 (ko) * 2019-08-13 2020-02-14 (주)지여이앤씨 출입관리를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KR102091243B1 (ko) * 2019-10-29 2020-03-20 박철파 IoT 기반의 공유 오피스 중앙 콘트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01497C (zh) 远距离监督可靠考试的管理系统和方法
Hetey et al. Racial disparities in incarceration increase acceptance of punitive policies
Ibarra Provisional selves: Experimenting with image and identity in professional adaptation
Mills et al. Measures of Criminal Attitudes and Associates (MCAA)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reliability, and validity
Maher et al. Barrier or booster? Digital media, social networks, and youth micromobilization
KR102177235B1 (ko) 딥러닝 기반 얼굴 인식 출석체크 시스템
US20070122011A1 (en) Face authentication system and gate management system
EP27090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hotel reservation and for automated check-in
CN109711200B (zh) 基于区块链的精准扶贫方法、装置、设备及介质
Fisher et al. Is all campaigning equally positive? The impact of district level campaigning on voter turnout at the 2010 British general election
Cerulo Reassessing the problem: Response to Jerolmack and Khan
KR102031328B1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무인 독서실 관리 시스템
JP6562181B2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退場管理方法
Evans et al. Community (in) colleges: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network involvement and academic outcomes at a community college
Norman Rethinking causal explanation in interpretive international studies
CN109727411A (zh) 基于人脸识别、扫码认证、人体感应的借书系统
KR20110016691A (ko) 고객 관리시스템
Barnhardt et al. A transformative mixed methods assessment of educational access and opportunity for undocumented college students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KR102231295B1 (ko) 독서 클럽 시스템
Stewart et al. Visual presentation style 2: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Donald Trump and Hillary Clinton based on visual presentation style during the third 2016 presidential debate
Chou Paperless and soulless: E-signatures diminish the signer’s presence and decrease acceptance
Mansell et al. Insecurity and self-esteem: Elucidating the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negative attitudes toward women
JP4283793B2 (ja) 出席判定装置および出席管理システム
CN113593056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智慧景区电子门票销售系统和核验方法
JP2011090395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