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802B1 - 세포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세포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802B1
KR102230802B1 KR1020190000765A KR20190000765A KR102230802B1 KR 102230802 B1 KR102230802 B1 KR 102230802B1 KR 1020190000765 A KR1020190000765 A KR 1020190000765A KR 20190000765 A KR20190000765 A KR 20190000765A KR 102230802 B1 KR102230802 B1 KR 102230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ower opening
cap
upper opening
sepa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4644A (ko
Inventor
김형섭
김준혁
김지현
김나현
Original Assignee
김형섭
김준혁
김지현
김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섭, 김준혁, 김지현, 김나현 filed Critical 김형섭
Priority to KR1020190000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802B1/ko
Publication of KR20200084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5/00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 C12M45/05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by centrifug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human or animal origin of the biological material, e.g. hair, fascia, fish scales, silk, shellac, pericardium, pleura, renal tissue, amniotic membrane, parenchymal tissue, fetal tissue, muscle tissue, fat tissue, enam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83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8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 A61L27/38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characterised by specific cells or progenitors thereof, e.g. fibroblasts, connective tissue cells, kidney cells
    • A61L27/3834Cells able to produce different cell types, e.g. h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marrow stromal cells, embryonic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72Apparatus for treatment of blood or blood constituents prior to or for conservation, e.g. freezing, drying or centrifu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심분리 후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를 분리하면, 제 1 본체에 구비된 상층액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제 1 본체에 위치한 상층액을 피펫 등을 이용하여 배출하지 않아도 되어, 제 2 본체에 위치한 줄기세포를 안전하게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포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CELL SEPARATOR AND METHOD FOR CELL SEPARATING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세포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심분리 후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를 분리하도록 하여, 제 2 본체에 위치한 세포를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세포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방조직으로부터 줄기세포(stem cell)의 분리 및 이용이 가능해지면서 지방조직이 줄기세포의 원천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지방유래 줄기세포(adipose-derived stem cells, ASCs)는 지방세포뿐 아니라 골세포, 연골세포, 신경세포, 근육세포, 내피세포, 백혈구, 간세포, 상피세포, 췌장의 베타세포와 같은 다양한 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기존에는 사람 성체 줄기세포의 대부분을 골수에서 얻었으나 그 과정이 매우 침습적이고 한 번에 많은 양을 얻기 어려웠다는 단점이 있었던 데 반해, 지방조직은 좀 더 쉽게 많은 양의 조직 채취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지방조직은 많은 양의 조직 채취가 용이하여 줄기세포를 수확하는데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ASCs는 배양 시 안정적인 성장과 증식을 보여주고 분화를 유도하였을 때 다양한 세포로의 분화가 가능하다. 현재 ASCs는 지방조직의 성숙 지방세포, 적혈구 등을 제거한 나머지 기질세포(stromal vascular fraction, SVF)를 분리 배양하여 얻는다. 그러나 이 SVF에는 지방전구세포, 지방모세포 등의 지방세포의 각 분화 단계에 따는 여러 가지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세포막 표면에 존재하는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를 이용하여 이러한 성분들을 분리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지만, 고비용으로 인하여 제한적이고 대중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인간과 동물의 장기 및 조직에서 생존율과 순도가 높은 세포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세포의 크기와 밀도에 기초한 방법들이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상세히 알아보면, 지방조직으로부터 지방 추출단계, 콜라게네이즈 등을 이용한 효소 처리단계, 원심분리를 이용한 지방줄기 세포분리 및 세척 단계, 및 뭉친(덩어리) 지방줄기세포 등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단계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원심분리를 이용한 지방줄기세포 분리 및 세척 단계는 복수 회로 실시하는 과정으로, 지방에서 지방줄기세포를 추출하거나 추출된 지방줄기세포를 세척액으로 세척하기 위해 원심분리를 이용한다.
그러나, 원심분리를 이용한 지방줄기세포 분리 및 세척 단계를 실시하는 과정에 있어서, 원심 분리 작업이 진행되면, 세포가 비중차로 분리된 상태지만, 약간의 외란에 의해서도 다시 서로 혼합될 수 있는 불안정한 상태이므로, 원하는 성분만을 분리할 때 추가적으로 추출 작업을 진행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091052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심분리 후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를 분리하도록 하여, 제 2 본체에 위치한 줄기세포를 안전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세포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혼합물질이 수용되도록 제 1 공간이 형성되되 상부는 혼합물질이 주입되도록 제 1 상부개방부가 형성되고 하부는 제 1 하부개방부가 형성되는 제 1 본체; 상기 제 1 상부개방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제 1 상부캡; 내부에 제 2 공간이 형성되되 상부는 제 1 하부개방부에 결합 가능하도록 제 2 상부개방부가 형성되고 하부는 제 2 하부개방부가 형성되는 제 2 본체; 및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제 2 하부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상부캡과 상기 제 2 하부캡이 상기 제 1 상부개방부와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를 각각 폐쇄시키고,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와 상기 제 2 상부개방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원심분리를 진행하면, 상기 제 1 본체에 상층액이 분리 적층되고, 상기 제 2 본체에 줄기세포가 분리 적층되고, 상기 원심분리가 완료되면, 상기 제 2 본체는 상기 제 1 본체에서 분리되되,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의 직경은 상기 제 1 본체에 위치한 상층액이 표면장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배출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본체의 하부는 상기 제 2 본체와 가까워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상부캡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1 상부개구부와, 상기 제 1 상부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제 1 상부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상부캡의 상부 일측에 제 1-1 상부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상부캡의 상부 타측에 제 1-2 상부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1 상부개구부는 제 1-1 상부개폐부에 의하여 개폐되고, 상기 제 1-2 상부개구부는 제 1-2 상부개폐부에 의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의 외주연을 따라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상부개방부의 내주연을 따라 상기 수나사산이 삽입된 상태로 나사 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질은 지방조직으로부터 추출된 기질세포와 효소가 혼합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본체의 하측은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하부개방부는 상기 제 1 본체의 하단에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본체의 하측은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는 상기 제 2 본체의 하단에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에 제 1 하부캡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하부개방부에 제 2 하부캡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하부캡은, 상기 제 1 하부개방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1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하부플레이트의 중앙에 상기 제 1 하부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하부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하부캡은,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2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하부플레이트의 중앙에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하부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가 상호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부개폐부가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에 결합되면 상기 제 1 하부플레이트는 상기 제 1 본체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고, 상기 제 2 하부개폐부가 상기 제 2 하부개방부에 결합되면 상기 제 2 하부플레이트는 상기 제 2 본체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하부플레이트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본체의 상측은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상부개방부는 상기 제 2 본체의 상단에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상부개방부에서 분리된 상기 제 2 상부개방부를 개폐하도록 제 2 상부캡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상부캡은, 상기 제 2 상부개방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2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상부플레이트의 중앙에 상기 제 2 상부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상부개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상부개폐부가 상기 제 2 상부개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부플레이트가 지면에 지지되면, 상기 제 2 상부플레이트는 상기 제 2 본체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원심분리가 진행되기 전에, 상기 제 2 하부캡은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를 폐쇄시키도록 결합되고, 상기 원심분리가 완료되어 상기 제 2 본체가 상기 제 1 본체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 2 하부캡은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를 개방시켜서 상기 제 2 본체에 분리 적층된 줄기세포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포 분리기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의 상기 제 2 하부개방부에 상기 제 2 하부캡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와 상기 제 2 상부개방부가 결합되는 제 1 단계; 개방된 상기 제 1 상부개방부를 통하여 혼합물질이 주입되는 제 2 단계; 개방된 상기 제 1 상부개방부가 상기 제 1 상부캡에 의하여 폐쇄되는 제 3 단계; 1차 원심분리를 진행하여 상기 제 1 본체에 상층액이 분리 적층되고, 상기 제 2 본체에 줄기세포가 분리 적층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와 상기 제 2 상부개방부가 분리되되, 상기 제 1 본체에 위치한 상층액은 표면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 1 하부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본체의 하방으로 배출되지 않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본체는 폐기 처리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2 본체의 상기 제 2 상부개방부에 새로운 제 1 본체의 제 1 하부개방부를 결합시키는 제 7 단계; 개방된 상기 제 1 본체의 제 1 상부개방부에 생리식염수를 주입하는 제 8 단계; 상기 제 1 상부개방부에 제 1 상부캡이 결합되는 제 9 단계; 2차 원심분리를 진행하여 상기 제 1 본체에 상층액이 분리 적층되고, 상기 제 2 본체에 줄기세포가 분리 적층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와 상기 제 2 상부개방부가 분리되되, 상기 제 1 본체에 위치한 상층액은 표면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 1 하부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본체의 하방으로 배출되지 않는 제 11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상부개방부를 개방시켜서 상기 제 1 본체에 위치한 상층액이 상기 제 1 하부개방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 12 단계; 상기 제 1 상부개방부를 폐쇄시키는 제 13 단계;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와 상기 제 2 상부개방부를 결합시키는 제 14 단계;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가 상호 뒤집혀지도록 회전시키는 제 15 단계;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를 개방시키는 제 16 단계; 개방된 상기 제 2 하부개방부에 생리식염수를 주입하는 제 17 단계;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를 폐쇄시키는 제 18 단계;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가 원위치로 리턴되도록 역회전시키는 제 19 단계; 3차 원심분리를 진행하여 상기 제 1 본체에 상층액이 분리 적층되고, 상기 제 2 본체에 줄기세포가 분리 적층되는 제 20 단계; 및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와 상기 제 2 상부개방부가 분리되되, 상기 제 1 본체에 위치한 상층액은 표면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 1 하부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본체의 하방으로 배출되지 않는 제 21 단계; 및 상기 제 12 단계 내지 상기 제 21 단계를 n회 진행하는 제 22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상부개방부를 개방시켜서 상기 제 1 본체에 위치한 상층액이 상기 제 1 하부개방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 12 단계;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를 개방시켜서 상기 제 2 본체에 위치한 줄기세포를 추출한 후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를 폐쇄시키는 제 13 단계;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를 결합시키는 제 14 단계; 개방된 상기 제 1 상부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 13 단계에서 추출한 줄기세포와 생리식염수를 상기 제 1 본체로 주입하는 제 15 단계; 3차 원심분리를 진행하여 상기 제 1 본체에 상층액이 분리 적층되고, 상기 제 2 본체에 줄기세포가 분리 적층되는 제 16 단계;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와 상기 제 2 상부개방부가 분리되되, 상기 제 1 본체에 위치한 상층액은 표면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 1 하부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본체의 하방으로 배출되지 않는 제 17 단계; 및 상기 제 12 단계 내지 상기 제 17 단계를 n회 진행하는 제 18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심분리 후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를 분리하면, 제 1 본체에 구비된 상층액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제 1 본체에 위치한 상층액을 피펫 등을 이용하여 배출하지 않아도 되어, 제 2 본체에 위치한 줄기세포를 안전하게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캡 또는 하부캡은 본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본체를 세워두기 위하여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상부캡의 크기는 다양하게 구성되므로,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제 1 상부캡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기의 제 1 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기의 제 1 본체에 결합되는 제 1 상부캡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기의 제 2 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기의 제 1 본체와 제 2 본체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기의 제 1 본체와 제 2 본체가 상호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기의 제 1 본체에 결합되는 제 1 상부캡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 1 본체에 제 2 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 1 하부개방부와 제 2 상부개방부가 결합된 상태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기의 제 1 본체를 직립시키기 위한 제 1 하부캡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기의 제 2 본체를 직립시키기 위한 제 2 상부캡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기의 제 2 본체를 직립시키기 위한 제 2 하부캡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기의 제 1 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본체(100)는 예를 들면 원통형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혼합물질이 수용되도록 제 1 공간(102)이 형성된다. 혼합물질은 예를 들면, 지방조직으로부터 추출된 기질세포와 콜라게나제(collagenase) 효소가 혼합된 물질일 수도 있고, SVF(stromal vascular fraction)와 생리식염수가 혼합된 물질일 수도 있다. 제 1 본체(100)의 길이는 예를 들면 약 100㎜로 구성되고, 제 1 본체(100)의 내경 폭은 약 35㎜로 구성되고, 제 1 본체(100)의 부피는 약 70㏄ 내지 80㏄일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제 1 본체(100)의 상부에 혼합물질이 제 1 공간(102)으로 주입되도록 제 1 상부개방부(104)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제 1 본체(100)의 하부에 제 1 하부개방부(106)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본체(100)의 상부는 액체를 버릴 때 모으기 용이하도록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본체(100)의 하부는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원심분리시 줄기세포가 제 1 본체(100)에 정체되지 않고 용이하게 제 2 본체(200)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 상부개방부(104)에 제 1 상부캡(11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 1 하부개방부(106)에 제 1 하부캡(14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상부캡(110)은 제 1 상부개방부(104)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뚜껑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1 하부캡(140)은 제 1 하부개방부(106)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뚜껑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본체(100) 및 제 1 상, 하부캡(110, 140)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나, 이를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경우에 따라 타원, 다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기의 제 1 본체에 결합되는 제 1 상부캡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제 1 상부개방부(104)는 혼합물질이 용이하게 주입되기에 충분하도록 큰 크기로 형성되고, 제 1 상부캡(110)은 제 1 상부개방부(104)를 개폐 가능하도록 큰 크기로 형성된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제 1 상부개방부(104a)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제 1 상부캡(110a) 또한 제 1 상부개방부(104a)를 개폐하도록 작게 형성된다.
도 2의 (c)를 참조하면, 제 1 상부개방부(104)는 중간 크기로 형성되고, 제 1 상부캡(120)은 제 1 상부개방부(104)를 개폐하도록 중간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상부캡(120)의 상부에는 제 1 상부개구부(120a)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제 1 상부개구부(120a)는 제 1 상부개폐부(122)에 의하여 개폐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다양하게 형성되는 제 1 상부캡을 구비하므로,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제 1 상부캡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기의 제 2 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본체(200)는 예를 들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제 2 공간(20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본체(200)의 상부에 제 2 상부개방부(204)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제 2 본체(200)의 하부에 제 2 하부개방부(206)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 2 본체(200)의 내경 폭은 약 35㎜로 구성되고, 제 2 본체(200)의 부피는 약 7㏄ 내지 10㏄일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제 2 본체(200)의 하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2 본체(200) 방향으로 유입된 줄기세포가 용이하게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심분리가 진행되기 전에, 제 2 하부캡(230)은 제 2 하부개방부(206)를 폐쇄시키도록 결합되고, 원심분리가 완료되어 제 2 본체(200)가 제 1 본체(100)에서 분리되면, 제 2 하부캡(230)은 제 2 하부개방부(206)를 개방시켜서 제 2 본체(200)에 분리 적층된 줄기세포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된다.
그리고 제 2 상부개방부(204)에 제 2 상부캡(21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 2 하부개방부(206)에 제 2 하부캡(23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2 상부캡(210)은 제 2 상부개방부(204)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뚜껑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2 하부캡(230)은 제 2 하부개방부(206)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뚜껑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기의 제 1 본체와 제 2 본체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기의 제 1 본체와 제 2 본체가 상호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제 1 하부개방부(106)가 제 2 상부개방부(204)에 삽입된 상태로 상호 결합되면,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200)가 결합된다. 이때, 제 1 하부개방부(106)의 외주연을 따라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제 2 상부개방부(204)의 내주연을 따라 수나사산이 삽입된 상태로 나사 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제 1 하부개방부(106)와 제 2 상부개방부(204)가 상호 견고하게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제 2 하부캡(230)이 제 2 하부개방부(206)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제 1 상부개방부(104)를 통하여 혼합물질이 제 1 본체(100) 내부로 주입된다. 그 후, 제 1 상부캡(110)이 제 1 상부개방부(104)를 폐쇄시킨 후, 이어서 원심분리를 진행하면, 제 1 본체(100)에 상층액이 분리 적층되고, 제 2 본체(200)에 줄기세포가 분리 적층된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 원심분리가 완료된 후, 제 1 하부개방부(106)와 제 2 상부개방부(204)가 분리되면, 제 2 본체(200)는 제 1 본체(100)에서 분리된다. 제 1 하부개방부(106)의 직경은 제 1 본체(100)에 위치한 상층액이 표면장력(surface tension)에 의하여 하방으로 배출될 수 없는 크기로 작게 형성된다. 제 1 하부개방부(106)의 직경은 예를 들면 약 5㎜로 구성될 수 있다. 표면장력은 액체의 표면에 작용하는 장력으로, 과학 원리에 해당한다. 즉,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200)가 분리되고, 제 1 상부개방부(104)가 제 1 상부캡(110)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에서, 제 1 하부개방부(106)에 별도로 제 1 하부캡(140)이 장착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제 1 본체(100)에 위치한 상층액은 표면장력에 의하여 임의로 하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원심분리가 수행된 이후 제 1 본체(100)를 제 2 본체(200)에서 분리하면, 제 1 본체(100)에 구비된 상층액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원심분리가 수행된 이후, 제 1 본체(100)에 위치한 상층액을 피펫 등을 이용하여 배출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 2 본체(200)에 위치한 줄기세포를 안전하게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개방된 제 1 상부개방부(104)는 액체의 표면장력과 상관없이, 제 1 본체(100)에 수용된 액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에 충분한 크기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기의 제 1 본체에 결합되는 제 1 상부캡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상부캡(130)은 제 1 상부개방부(104)를 덮도록 뚜껑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상부캡(130)의 상부 일측에 제 1-1 상부개구부(130a)가 개구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고, 제 1 상부캡(130)의 상부 타측에 제 1-2 상부개구부(130b)가 개구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다. 제 1-1 상부개구부(130a) 및 제 1-2 상부개구부(130b)의 직경은 예를 들면 약 5㎜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1 상부개구부(130a)는 제 1-1 상부개폐부(132)에 의하여 개폐되고, 제 1-2 상부개구부(130b)는 제 1-2 상부개폐부(134)에 의하여 개폐된다. 제 1-1 상부개구부(130a) 및 제 1-2 상부개구부(130b)는 별도의 의료용 시린지(미도시)와 결합하여, 지방이나 물, 기타 용액 등을 주입하는 입구로 활용하거나,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버리는 출구로 활용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제 1 본체에 제 2 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하부개방부(106)에 제 2 상부개방부(204)가 결합된다. 이때, 제 1 하부개방부(106)의 외주연에 고무 재질의 오링(o-ring)(r2)가 구비되어, 제 1 하부개방부(106)와 제 2 상부개방부(204) 사이는 수밀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 2 하부개방부(206)에 제 2 하부캡(230)이 결합된다. 이때, 제 2 하부개방부(206)의 외주연에 고무 재질의 오링(r5)이 구비되어, 제 2 하부개방부(206)와 제 2 하부캡(230) 사이는 수밀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 1 상부개방부(104)에 제 1 상부캡(130)이 결합된다. 이때, 제 1 상부개방부(104)에 오링(r1)이 구비되어, 제 1 상부개방부(104)와 제 1 상부캡(130) 사이는 수밀하게 결합된다.
도 8은 도 7의 제 1 하부개방부와 제 2 상부개방부가 결합된 상태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하부개방부(106)의 내주연과 외주연 사이의 거리, 즉, 두께는 제 1 본체(100)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2 상부개방부(204)의 내주연과 외주연 사이의 거리, 즉, 두께는 제 2 본체(200)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제 1 하부개방부(106) 및 제 2 상부개방부(204)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므로, 제 1 하부개방부(106) 및 제 2 상부개방부(204)는 견고한 강도를 갖게 되어, 제 1 하부개방부(106) 및 제 2 상부개방부(204) 간의 결합 구조가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기의 제 1 본체를 직립시키기 위한 제 1 하부캡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200)가 상호 분리된 상태에서, 제 1 하부캡(150)은, 제 1 하부개방부(106)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1 하부플레이트(152)와, 제 1 하부플레이트(152)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하부테두리부(153)와, 제 1 하부플레이트(152)의 중앙에 제 1 하부개방부(106)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하부개폐부(154)를 포함한다. 제 1 하부플레이트(152)의 내부는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제 1 하부개폐부(154)의 내주연에는 오링(r3)이 개재된다. 그리고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200)가 상호 분리된 상태에서, 제 1 하부개폐부(154)가 제 1 하부개방부(106)에 결합되면 제 1 하부플레이트(152)는 제 1 본체(100)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처럼 제 1 하부캡(140)이 제 1 본체(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제 1 본체(100)를 세워두기 위하여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하부개방부(106) 및 제 1 하부개폐부(154)에는 각각 오링(r2, r3)이 개재되어, 제 1 하부개방부(106)와 제 1 하부개폐부(154)는 상호 수밀하게 결합된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제 1 하부캡(150)은, 제 1 하부개방부(106)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1 하부플레이트(152)와, 제 1 하부플레이트(152)의 중앙에 제 1 하부개방부(106)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하부개폐부(154)를 포함한다. 제 1 하부플레이트(152)의 내부는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제 1 하부플레이트(152)는 보다 견고한 강도를 갖게 되어, 제 1 본체(100)를 안정적으로 직립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기의 제 2 본체를 직립시키기 위한 제 2 상부캡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제 2 상부캡(220)은 제 2 상부개방부(204)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2 상부플레이트(222)와, 제 2 상부플레이트(222)의 중앙에 제 2 상부개방부(204)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상부개폐부(224)를 포함한다. 제 2 상부플레이트(222)의 내부는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200)가 상호 분리된 상태에서, 제 2 상부개폐부(224)가 제 2 상부개방부(204)에 결합된 이후, 제 2 본체(200)를 뒤집게 되면, 제 2 상부플레이트(222)는 제 2 본체(200)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제 2 상부캡(220)은 제 2 상부개방부(204)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2 상부플레이트(222)와, 제 2 상부플레이트(222)의 중앙에 제 2 상부개방부(204)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상부개폐부(224)를 포함한다. 제 2 상부플레이트(222)의 내부는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제 2 상부플레이트(222)는 보다 견고한 강도를 갖게 되어 뒤집어진 제 2 본체(200)를 안정적으로 직립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기의 제 2 본체를 직립시키기 위한 제 2 하부캡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2 하부캡(240)은, 제 2 하부개방부(206)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2 하부플레이트(242)와, 제 2 하부플레이트(242)의 중앙에 제 2 하부개방부(206)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하부개폐부(244)를 포함한다. 제 2 하부개폐부(244)가 제 2 하부개방부(206)에 결합되면, 제 2 하부플레이트(242)가 제 2 본체(200)를 안정적으로 직립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하부개폐부(244)에는 오링(r4)이 개재되어, 제 2 하부개방부(206)와 제 2 하부개폐부(244)는 상호 수밀하게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포 분리기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 줄기세포 추출
제 2 본체(200)의 제 2 하부개방부(206)에 제 2 하부캡(2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오픈된 제 1 하부개방부(106)와 제 2 상부개방부(204)를 상호 결합시킨 후, 개방된 제 1 상부개방부(104)를 통하여 혼합물질을 주입시켰다. 혼합물질은 지방조직으로부터 추출된 기질세포와 콜라게나제(collagenase) 효소가 혼합되어 구성된다. 그 후, 제 1 상부캡(110)을 이용하여 개방된 제 1 상부개방부(104)를 폐쇄시켰다. 그 후, 제 1, 2 본체(100, 200)를 진탕배양기 내에 위치시킨 후, 37ㅀC에서 35분 동안 반응시킨 후, 1차 원심분리를 진행하여 제 1 본체(100)에 상층액이 분리 적층되고, 제 2 본체(200)에 줄기세포 즉, SVF(stromal vascular fraction)가 분리 적층되도록 하였다. 그 후, 제 1 하부개방부(106)와 제 2 상부개방부(204)가 분리시켰다. 이때, 제 1 본체(100)에 위치한 상층액은 표면장력에 의하여 제 1 하부개방부(106)를 통하여 제 1 본체(100)의 하방으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기존의 효소 처리 과정에서는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싱층액을 제거할 때, 작업자가 피펫을 이용하여 상층액을 정교하게 제거해야 하는데, 이는 매우 오래 걸리고, 감염의 위험도 있다. 반면, 본 발명은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200)를 분리하는 작업만으로, 상층액을 제거하므로, 간단한 과정으로 신속하게 상층액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2 - 줄기세포 세척
살시예 1에서 제 2 본체(200)와 분리된 제 1 본체(100)를 폐기 처리하고, 제 2 본체(200)의 제 2 상부개방부(204)에 새로운 제 1 본체(100)의 제 1 하부개방부(106)를 결합시킨 후, 개방된 제 1 본체(100)의 제 1 상부개방부(104)에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였다. 그 후, 제 1 상부개방부(104)에 제 1 상부캡(110)을 결합시킨 후, 2차 원심분리를 진행하여 제 1 본체(100)에 상층액이 분리 적층되고, 제 2 본체(200)에 줄기세포가 분리 적층되도록 하였다. 그 후, 제 1 하부개방부(106)와 제 2 상부개방부(204)가 분리되도록 하였다. 이때, 제 1 본체(100)에 위치한 상층액은 표면장력에 의하여 제 1 하부개방부(106)를 통하여 제 1 본체(100)의 하방으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세척 과정에서 제 1, 2 본체(100, 200)를 많이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작업이 간단해지고, 비용이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 2 본체(200)에 분리된 줄기세포를 그대로 회수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보다 고 순도의 줄기세포를 원할 경우, 아래의 재처리 (1) 또는 제처리 (2)를 더 거칠 수도 있다. 이하, 재처리(1)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 후, 이어서 재처리(2)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3 - 줄기세포 재처리 (2)
살시예 2에서 제 2 본체(200)와 분리된 제 1 본체(100)의 제 1 상부개방부(104)를 개방시켜서 제 1 본체(100)에 위치한 상층액이 제 1 하부개방부(106)로 배출되도록 한 후, 제 1 상부개방부(104)를 폐쇄시켰다. 그 후, 제 1 하부개방부(106)와 제 2 상부개방부(204)를 결합시킨 후,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200)가 상호 뒤집혀지도록 180도 회전시켰다. 이어서 제 2 하부개방부(206)를 개방시키고, 개방된 제 2 하부개방부(206)에 생리식염수를 주입한 후, 제 2 하부개방부(206)를 폐쇄시켰다. 그 후,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200)가 원위치로 리턴되도록 역회전시킨 후, 3차 원심분리를 진행하여 제 1 본체(100)에 상층액이 분리 적층되고, 제 2 본체(200)에 줄기세포가 분리 적층되도록 하였다. 그 후, 제 1 하부개방부(106)와 제 2 상부개방부(204)가 분리되도록 하였다. 이때, 제 1 본체(100)에 위치한 상층액은 표면장력에 의하여 제 1 하부개방부(106)를 통하여 제 1 본체(100)의 하방으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또 다른 재처리를 원하는 경우에는 다시,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그리고 재처리가 완료된 후, 제 2 본체(200)에 위치한 줄기세포를 외부로 추출하거나 또는 제 2 본체(200)만을 별도로 보관한다.
한편, 제 2 본체(200)에 분리된 줄기세포를 그대로 회수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보다 고 순도의 줄기세포를 원할 경우, 아래의 재처리 과정을 더 거칠 수도 있다. 이하, 재처리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4 - 줄기세포 재처리 (2)
살시예 2에서 제 2 본체(200)와 분리된 제 1 본체(100)의 제 1 상부개방부(104)를 개방시켜서 제 1 본체(100)에 위치한 상층액이 제 1 하부개방부(106)로 배출되도록 한 후, 제 2 하부개방부(206)를 개방시켜서 제 2 본체(200)에 위치한 줄기세포를 추출한 후 제 2 하부개방부(206)를 폐쇄시켰다. 그 후,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200)를 결합시킨 후, 개방된 제 1 상부개방부(104)를 통하여 위에서 추출한 줄기세포와 생리식염수를 제 1 본체(100)로 주입하였다. 그 후, 3차 원심분리를 진행하여 제 1 본체(100)에 상층액이 분리 적층되고, 제 2 본체(200)에 줄기세포가 분리 적층되도록 하였다. 그 후, 제 1 하부개방부(106)와 제 2 상부개방부(204)를 분리시켰다. 이때, 제 1 본체(100)에 위치한 상층액은 표면장력에 의하여 제 1 하부개방부(106)를 통하여 제 1 본체(100)의 하방으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또 다른 재처리를 원하는 경우, 상술한 과정을 다시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제 1 본체 102: 제 1 공간
104: 제 1 상부개방부 104a: 제 1 상부개방부
106: 제 1 하부개방부 110: 제 1 상부캡
110a: 제 1 상부캡 120: 제 1 상부캡
120a: 제 1 상부개구부 122: 제 1 상부개폐부
130: 제 1 상부캡 130a: 제 1-1 상부개구부
130b: 제 1-2 상부개구부 132: 제 1-1 상부개폐부
134: 제 1-2 상부개폐부 140: 제 1 하부캡
150: 제 1 하부캡 152: 제 1 하부플레이트
153: 제 1 하부테두리부 154: 제 1 하부개폐부
200: 제 2 본체 202: 제 2 공간
204: 제 2 상부개방부 206: 제 2 하부개방부
210: 제 2 상부캡 220: 제 2 상부캡
222: 제 2 상부플레이트 224: 제 2 상부개폐부
230: 제 2 하부캡 240: 제 2 하부캡
242: 제 2 하부플레이트 243: 제 2 하부테두리부
244: 제 2 하부개폐부 r1, r2, r3, r4, r5: 오링

Claims (15)

  1. 혼합물질이 수용되도록 제 1 공간이 형성되되 상부는 혼합물질이 주입되도록 제 1 상부개방부가 형성되고 하부는 제 1 하부개방부가 형성되는 제 1 본체;
    상기 제 1 상부개방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제 1 상부캡;
    내부에 제 2 공간이 형성되되 상부는 제 1 하부개방부에 결합 가능하도록 제 2 상부개방부가 형성되고 하부는 제 2 하부개방부가 형성되는 제 2 본체; 및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제 2 하부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상부캡과 상기 제 2 하부캡이 상기 제 1 상부개방부와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를 각각 폐쇄시키고,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와 상기 제 2 상부개방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원심분리를 진행하면, 상기 제 1 본체에 상층액이 분리 적층되고, 상기 제 2 본체에 줄기세포가 분리 적층되고,
    상기 원심분리가 완료되면, 상기 제 2 본체는 상기 제 1 본체에서 분리되되,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의 직경은 상기 제 1 본체에 위치한 상층액이 표면장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배출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본체의 하측은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하부개방부는 상기 제 1 본체의 하단에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본체의 하측은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는 상기 제 2 본체의 하단에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에 제 1 하부캡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하부개방부에 제 2 하부캡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하부캡은, 상기 제 1 하부개방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1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하부플레이트의 중앙에 상기 제 1 하부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하부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하부캡은,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2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하부플레이트의 중앙에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하부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가 상호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부개폐부가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에 결합되면 상기 제 1 하부플레이트는 상기 제 1 본체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고, 상기 제 2 하부개폐부가 상기 제 2 하부개방부에 결합되면 상기 제 2 하부플레이트는 상기 제 2 본체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의 하부는 상기 제 2 본체와 가까워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부캡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1 상부개구부와, 상기 제 1 상부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제 1 상부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부캡의 상부 일측에 제 1-1 상부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상부캡의 상부 타측에 제 1-2 상부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1 상부개구부는 제 1-1 상부개폐부에 의하여 개폐되고, 상기 제 1-2 상부개구부는 제 1-2 상부개폐부에 의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의 외주연을 따라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상부개방부의 내주연을 따라 상기 수나사산이 삽입된 상태로 나사 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질은 지방조직으로부터 추출된 기질세포와 효소가 혼합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하부플레이트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
  10. 혼합물질이 수용되도록 제 1 공간이 형성되되 상부는 혼합물질이 주입되도록 제 1 상부개방부가 형성되고 하부는 제 1 하부개방부가 형성되는 제 1 본체;
    상기 제 1 상부개방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제 1 상부캡;
    내부에 제 2 공간이 형성되되 상부는 제 1 하부개방부에 결합 가능하도록 제 2 상부개방부가 형성되고 하부는 제 2 하부개방부가 형성되는 제 2 본체; 및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제 2 하부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상부캡과 상기 제 2 하부캡이 상기 제 1 상부개방부와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를 각각 폐쇄시키고,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와 상기 제 2 상부개방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원심분리를 진행하면, 상기 제 1 본체에 상층액이 분리 적층되고, 상기 제 2 본체에 줄기세포가 분리 적층되고,
    상기 원심분리가 완료되면, 상기 제 2 본체는 상기 제 1 본체에서 분리되되,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의 직경은 상기 제 1 본체에 위치한 상층액이 표면장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배출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본체의 상측은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상부개방부는 상기 제 2 본체의 상단에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상부개방부에서 분리된 상기 제 2 상부개방부를 개폐하도록 제 2 상부캡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상부캡은, 상기 제 2 상부개방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2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상부플레이트의 중앙에 상기 제 2 상부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상부개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상부개폐부가 상기 제 2 상부개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부플레이트가 지면에 지지되면, 상기 제 2 상부플레이트는 상기 제 2 본체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가 진행되기 전에, 상기 제 2 하부캡은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를 폐쇄시키도록 결합되고,
    상기 원심분리가 완료되어 상기 제 2 본체가 상기 제 1 본체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 2 하부캡은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를 개방시켜서 상기 제 2 본체에 분리 적층된 줄기세포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
  12. 삭제
  13. 혼합물질이 수용되도록 제 1 공간이 형성되되 상부는 혼합물질이 주입되도록 제 1 상부개방부가 형성되고 하부는 제 1 하부개방부가 형성되는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상부개방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제 1 상부캡과, 내부에 제 2 공간이 형성되되 상부는 제 1 하부개방부에 결합 가능하도록 제 2 상부개방부가 형성되고 하부는 제 2 하부개방부가 형성되는 제 2 본체와,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제 2 하부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상부캡과 상기 제 2 하부캡이 상기 제 1 상부개방부와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를 각각 폐쇄시키고,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와 상기 제 2 상부개방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원심분리를 진행하면, 상기 제 1 본체에 상층액이 분리 적층되고, 상기 제 2 본체에 줄기세포가 분리 적층되고, 상기 원심분리가 완료되면, 상기 제 2 본체는 상기 제 1 본체에서 분리되되,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의 직경은 상기 제 1 본체에 위치한 상층액이 표면장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배출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되는 세포 분리기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의 상기 제 2 하부개방부에 상기 제 2 하부캡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와 상기 제 2 상부개방부가 결합되는 제 1 단계;
    개방된 상기 제 1 상부개방부를 통하여 혼합물질이 주입되는 제 2 단계;
    개방된 상기 제 1 상부개방부가 상기 제 1 상부캡에 의하여 폐쇄되는 제 3 단계;
    1차 원심분리를 진행하여 상기 제 1 본체에 상층액이 분리 적층되고, 상기 제 2 본체에 줄기세포가 분리 적층되는 제 4 단계;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와 상기 제 2 상부개방부가 분리되되, 상기 제 1 본체에 위치한 상층액은 표면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 1 하부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본체의 하방으로 배출되지 않는 제 5 단계;
    상기 제 1 본체는 폐기 처리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2 본체의 상기 제 2 상부개방부에 새로운 제 1 본체의 제 1 하부개방부를 결합시키는 제 7 단계;
    개방된 상기 제 1 본체의 제 1 상부개방부에 생리식염수를 주입하는 제 8 단계;
    상기 제 1 상부개방부에 제 1 상부캡이 결합되는 제 9 단계;
    2차 원심분리를 진행하여 상기 제 1 본체에 상층액이 분리 적층되고, 상기 제 2 본체에 줄기세포가 분리 적층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와 상기 제 2 상부개방부가 분리되되, 상기 제 1 본체에 위치한 상층액은 표면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 1 하부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본체의 하방으로 배출되지 않는 제 11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부개방부를 개방시켜서 상기 제 1 본체에 위치한 상층액이 상기 제 1 하부개방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 12 단계;
    상기 제 1 상부개방부를 폐쇄시키는 제 13 단계;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와 상기 제 2 상부개방부를 결합시키는 제 14 단계;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가 상호 뒤집혀지도록 회전시키는 제 15 단계;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를 개방시키는 제 16 단계;
    개방된 상기 제 2 하부개방부에 생리식염수를 주입하는 제 17 단계;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를 폐쇄시키는 제 18 단계;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가 원위치로 리턴되도록 역회전시키는 제 19 단계;
    3차 원심분리를 진행하여 상기 제 1 본체에 상층액이 분리 적층되고, 상기 제 2 본체에 줄기세포가 분리 적층되는 제 20 단계; 및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와 상기 제 2 상부개방부가 분리되되, 상기 제 1 본체에 위치한 상층액은 표면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 1 하부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본체의 하방으로 배출되지 않는 제 21 단계; 및
    상기 제 12 단계 내지 상기 제 21 단계를 n회 진행하는 제 22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부개방부를 개방시켜서 상기 제 1 본체에 위치한 상층액이 상기 제 1 하부개방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 12 단계;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를 개방시켜서 상기 제 2 본체에 위치한 줄기세포를 추출한 후 상기 제 2 하부개방부를 폐쇄시키는 제 13 단계;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를 결합시키는 제 14 단계;
    개방된 상기 제 1 상부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 13 단계에서 추출한 줄기세포와 생리식염수를 상기 제 1 본체로 주입하는 제 15 단계;
    3차 원심분리를 진행하여 상기 제 1 본체에 상층액이 분리 적층되고, 상기 제 2 본체에 줄기세포가 분리 적층되는 제 16 단계;
    상기 제 1 하부개방부와 상기 제 2 상부개방부가 분리되되, 상기 제 1 본체에 위치한 상층액은 표면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 1 하부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본체의 하방으로 배출되지 않는 제 17 단계; 및
    상기 제 12 단계 내지 상기 제 17 단계를 n회 진행하는 제 18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리기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
KR1020190000765A 2019-01-03 2019-01-03 세포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 KR102230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765A KR102230802B1 (ko) 2019-01-03 2019-01-03 세포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765A KR102230802B1 (ko) 2019-01-03 2019-01-03 세포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644A KR20200084644A (ko) 2020-07-13
KR102230802B1 true KR102230802B1 (ko) 2021-03-22

Family

ID=71570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765A KR102230802B1 (ko) 2019-01-03 2019-01-03 세포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8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931B1 (ko) * 2020-07-23 2023-08-16 주식회사 퍼비스코리아 줄기세포 분리용 다단 세척제 용기, 이를 포함하는 다단 줄기세포 분리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052B1 (ko) 2009-02-23 2011-12-08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심분리용 분리장치 및 원심 분리방법
JP2014525260A (ja) * 2011-08-29 2014-09-29 ステムピューティクス・リサーチ・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脂肪組織から間質血管画分(svf)細胞を単離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1306455B1 (ko) * 2011-11-07 2013-09-09 노정자 줄기세포 분리 키트
KR101594539B1 (ko) * 2014-02-17 2016-02-16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세포 응집용 농축 시험관
KR102119835B1 (ko) * 2017-11-22 2020-06-05 (주)시지바이오 혈액 성분 원심분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644A (ko) 2020-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5552B2 (ja) 脂肪吸引により抽出された小葉脂肪から移植用の組織、特に脂肪組織、を準備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8366694B1 (en) Tissue refining device
CN111607495B (zh) 一种肿瘤类器官制备方法及其装置和应用
US20200129560A1 (en) Bone Marrow Adipose Portion Isolation Device and Methods
JP7300486B2 (ja) 衝撃波または機械的衝撃を使用する、細胞の分離、解離、および/または脱凝集
KR101489264B1 (ko) 줄기세포 분리 키트 및 줄기세포 분리 방법
CN110747159A (zh) 一种小鼠或大鼠肾成纤维细胞分离及传代培养方法
KR102230802B1 (ko) 세포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
JP5668075B2 (ja) 幹細胞の分離方法
KR101306455B1 (ko) 줄기세포 분리 키트
CN108486057B (zh) 利用多功能胎盘组织处理装置提取胎盘中造血干细胞的方法
FR2614899A1 (fr) Dispositif pour preparation selection et capacitation des spermatozoides humains et animaux par filtration
CN109266533B (zh) 脂肪组织制备装置及使用该装置制备脂肪组织的方法
GB2587257A (en) Lipoaspirate processing
KR102230939B1 (ko) 세포 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리 방법
AU2012229889A1 (en) Cel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04745473B (zh) 一种羊膜细胞分离收集纯化套装
CN209033865U (zh) 一种脂肪提取系统
KR101013927B1 (ko) 줄기세포 분리방법
CN208582780U (zh) 一种去白细胞富血小板血浆的制备装置
CN216094283U (zh) 一种脂肪组织清洗装置
CN217265690U (zh) 一种脂肪组织分筛清洗格
CN109294869A (zh) 一种袋式过滤器、脂肪提取系统及其操作方法
KR101940773B1 (ko) 재생성세포 추출장치용 분리용기
CN209108705U (zh) 一种袋式过滤器以及采用该过滤器的过滤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