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596B1 - a gangway auto join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 gangway auto join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596B1
KR102230596B1 KR1020190144329A KR20190144329A KR102230596B1 KR 102230596 B1 KR102230596 B1 KR 102230596B1 KR 1020190144329 A KR1020190144329 A KR 1020190144329A KR 20190144329 A KR20190144329 A KR 20190144329A KR 102230596 B1 KR102230596 B1 KR 102230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ngway
vehicle
connection device
auxiliary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3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우동
정락교
김길동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44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59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5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20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oaches; Adaptation of coach e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5/00Gangways for coupled vehicles, e.g. of concertina type
    • B60D5/003Bellows for interconnecting vehic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5/00Gangways for coupled vehicles, e.g. of concertina type
    • B60D5/006Passages between articulated vehicles, e.g. bridges or rotating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gangway connection apparatus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utomatic gangway connection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connecting a gangway provided between vehicles of a mini-tram, a tram or a railroad vehicle without making a manager connect the same by him or herself. To achieve the purpose, the automatic gangway connection apparatus, automatically connecting a gangway provided between vehicles of a tram or a railroad vehicle, includes: a vehicle having one end part where a gangway is installed; a main connection apparatus installed in a lower part of one end part of the vehicle to move an end part of the gangway; and a sub connection apparatus installed in a lower part of the other end part of the vehicle to be connected with the main connection apparatus.

Description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a gangway auto jointing apparatus}Gangway auto jointing apparatus {a gangway auto jo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니 트램이나 트램 또는 철도차량의 각 차량 사이에 구비되는 갱웨이를 관리자가 직접 연결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ngway automatic conn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ngway automatic connection device that automatically connects a gangway provided between each vehicle of a mini-tram, a tram, or a railroad vehicle, even if an administrator does not directly connect it. About.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이나 트램 등과 같이 다수의 차량(2)으로 연결될 경우, 각 차량(2)간의 통로를 연결시키기 위해 사이에 갱웨이(5)를 설치하고 있다.In general, as shown in FIG. 1, in the related art, when connected to a plurality of vehicles 2 such as a railroad vehicle or a tram, a gangway 5 is installed between each vehicle 2 in order to connect the passages between the vehicles 2. .

상기와 같이 차량간(2)을 연결하는 갱웨이(5)는 중량은 대략 150킬로정도되는 것으로 중량이 많이 나가 차량의 주변에 크레인 등을 이용해 차간높이 만큼 들어올려서 작업자가 볼트 등을 조여서 갱웨이(5)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작업을 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gangway 5 that connects the vehicles 2 has a weight of about 150 kg, and it is heavy and is lifted up to the height of the vehicle by using a crane or the like around the vehicle, and the operator tightens the bolts to the gangway. (5) It should be fixed so that it does not separate.

이와 같은 철도차량이나 트램 등에 필요한 갱웨이(5) 장착 작업을 위해서는 사용료가 높은 고가의 크레인 등을 사용해야 할 뿐만 아니라, 차량(2)간의 사이에 갱웨이(5)가 완전하게 고정되도록 장착될 때까지 장시간 들어올린 상태로 있어야 한다.In order to install the gangway 5 required for such a railroad vehicle or tram, it is necessary not only to use an expensive crane, etc., but also when the gangway 5 is completely fixed between the vehicles 2 Must remain in the lifted state for a long time.

또한, 대형 크레인 등으로 갱웨이(5)를 들어올리기 때문에 갱웨이(5)의 위치를 맞추기 위한 조정이 쉽지않아 차량(2)에 고정될 갱웨이(5)의 단부를 미세하게 맞춰서 작업하기가 매우 곤란한 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gangway 5 is lifted with a large crane, etc., it is not eas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gangway 5, so it is difficult to work by finely fitting the end of the gangway 5 to be fixed to the vehicle 2. There is a very difficult point.

따라서, 차량(2)간에 갱웨이(5)를 장착할 시에 사용되는 크레인은 다른데 사용하지 못하고 갱웨이(5)만 들고 있는 상태로 두어야 한다.Therefore, the crane used when mounting the gangway 5 between the vehicles 2 cannot be used for other purposes, but must be left holding only the gangway 5.

상기와 같은 작업 공정으로 인해 많은 작업 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조립 고정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또한 오래 걸리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Due to the above-described work process, not only a large number of manpower is required, but also a long time required for assembly and fixing work is required, so there is a problem of deteriorating work efficiency.

또한, 차량간에 갱웨이 설치시에는 다른 작업공정에서도 사용량이 많은 기중기의 사용시간을 미리 정해 놓아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의 변경 또는 작업시간이 길어질 경우에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when installing a gangway between vehicles, there are many difficulties, such as changing the working time or not being able to continuously use it when the working time is prolonged because the use time of the crane, which is used in other work processes, must be set in advance. .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0525281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가이드 홈부(37)를 갖는 수평 지지대(40)와, 상기 수평 지지대(40)의 길이방향 내측에 이동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 블럭(26)과, 상기 슬라이딩 블럭(26)에 수직방향으로 꽂혀 승하강 운동되는 회전 수직봉(22)을 갖는 수직 이동 회전 손잡이부(20)와, 상기 회전 수직봉(22)의 끝단부에 형성된 걸림용 훅부(60)와, 상기 슬라이딩 블럭(26)을 이동시키도록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이동 체인부(28)가 형성되며, 이동 체인부(28)를 수평 지지대(4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 회전 손잡이부(30)와, 상기 수평 지지대(40)의 좌우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좌우 고정부(50a),(50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So,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echnique describ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25281 as shown in FIGS. 2 and 3 has been proposed, and the technical features are horizontal support 40 having a guide groove 37 and , A vertical movement rotating handle having a sliding block 26 formed to move insid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40, and a rotating vertical bar 22 that is inserted in the sliding block 26 in a vertical direction to move up and down. (20), a hook portion 60 formed at the end of the rotating vertical bar (22), and a moving chain portion (28) that is integrally coupled to move the sliding block (26) and rotates. , A horizontal moving rotation handle part 30 for moving the moving chain part 28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40, and vertical left and right fixing parts 50a formed vertical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rizontal support 40, ( 50b).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0525281호에 기재된 기술은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갱웨이를 들어올려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은 있으나, 여전히 갱웨이를 들어올려야 하고 이를 작업자가 직접 조립하여야 하므로 상당한 시간이 소용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echnology describ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25281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assemble the gangway by lifting the gangway without using a crane. There is a problem that time is used.

한국등록특허 제10-052528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2528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니트램 또는 철도차량의 각 차량 사이에 구비되는 갱웨이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 차량의 일측 단부의 하부에 랙과 피니언으로 작동하는 연결바가 구비되는 메인 연결장치를 설치하고, 타측 단부에는 연결바가 삽입 고정되는 보조 연결장치를 구비하며, 갱웨이의 단부가 상기 연결바와 연결됨으로써, 관리자가 직접 연결하지 않더라도 연결바의 이동에 따라 인접한 차량과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connecting a gangway provided between each vehicle of a mini-tram or a railroad vehicle, with a rack and a pinion under one end of the vehicle. A main connection device equipped with an operating connection bar is installed, and an auxiliary connection device in which the connection bar is inserted and fixed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and the end of the gangway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r. It is to provide a gangway automatic connection device that automatically connects with adjacent vehicles accordingl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is;

트램 또는 철도차량의 각 차량 사이에 구비되는 갱웨이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에 있어서, 일측 단부에 갱웨이가 설치된 차량과, 상기 차량의 일측 단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갱웨이의 단부를 이동시키는 메인 연결장치와, 상기 차량의 타측 단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연결장치와 연결되는 보조 연결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angway automatic connec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a gangway provided between each vehicle of a tram or railroad vehicle, wherein a vehicle having a gangway installed at one end thereof, and an end portion of the gangway installed under one end of the vehic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in connection device for moving the vehicle, and an auxiliary connection device installed below the other end of the vehicle and connected to the main connection device.

여기서, 상기 메인 연결장치는 차량의 일측 단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메인 몸체와, 상기 메인 몸체를 전후로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하부에 형성되는 랙과, 상기 랙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피니언과, 상기 메인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main connection device includes a main body installed under one end of the vehicle, a connection bar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main body back and forth, a rack formed under the connection bar, and a rack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rack.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inion, and a drive motor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rotate the pinion.

그리고, 상기 갱웨이는 주름형태로 절첩되는 벨로우즈와, 상기 벨로우즈의 내측에 구비되어 하부를 지지하는 발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벨로우즈의 단부에는 연결홀더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바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angway is composed of a bellows folded in a corrugated form, and a footrest portion provided inside the bellows to support a lower portion, and a connection holder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bellows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r.

이때, 상기 연결바의 단부에는 보조 연결장치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an insertion portion to be inserted and fixed to an auxiliary connecting device is formed at an end of the connecting bar, and engaging grooves are formed i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sertion portion.

한편, 상기 보조 연결장치는 차량의 타측 단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보조 몸체와, 상기 보조 몸체의 일측에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걸림돌부와, 상기 걸림돌부를 걸림홈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connection device corresponds to an auxiliary body installed below the other end of the vehicle, an insertion groove formed to insert the insertion part into one side of the auxiliary body, and the locking groove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sertion groov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projection provided to be provided, and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cking proj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locking groove.

여기서, 상기 보조 몸체는 삽입홈의 입구부에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삽입 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auxiliary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n insertion guide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outside at the entrance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이때, 상기 삽입홈의 내측에는 탄성재질의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a buffer mem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insertion groove.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미니트램 또는 철도차량의 각 차량 사이에 구비되는 갱웨이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 차량의 일측 단부의 하부에 랙과 피니언으로 작동하는 연결바가 구비되는 메인 연결장치를 설치하고, 타측 단부에는 연결바가 삽입 고정되는 보조 연결장치를 구비하며, 갱웨이의 단부가 상기 연결바와 연결됨으로써, 관리자가 직접 연결하지 않더라도 연결바의 이동에 따라 인접한 차량과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main connection device provided with a connecting bar operating as a rack and a pinion is a device for connecting a gangway provided between each vehicle of a mini-tram or a railroad vehicle. It is installed and provided with an auxiliary connection device in which a connection bar is inserted and fixed at the other end, and the end of the gangway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r, so that even if the manager does not directly connect it, it is automatically connected with the adjacent vehic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bar There is.

도 1은 종래의 차량에 갱웨이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갱웨이 조립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갱웨이 조립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연결부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가 설치된 갱웨이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의 메인 연결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의 보조 연결부의 단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angway is mounted on a conventional vehicl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gangway assembly devic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gangway assembly device.
4 is a side view of a connection part of a vehicle equipped with an automatic gangway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a gangway equipped with an automatic gangway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connection part of an automatic gangway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uxiliary connection part of the gangway automatic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elements ar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number of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연결부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가 설치된 갱웨이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의 메인 연결부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의 보조 연결부의 단면도이다.FIG. 4 is a side view of a connecting part of a vehicle equipped with an automatic gangway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of a gangway equipped with an automatic gangway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gangway automatic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connection part of the connection device,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of the gangway automatic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미니트램이나 트램 또는 철도차량의 각 차량 사이에 승객의 이동을 위하여 구비되는 갱웨이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트램 또는 철도차량을 구성하는 각 차량(10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갱웨이(200)와 상기 차량(100)의 일측 단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갱웨이(200)의 단부를 이동시키는 메인 연결장치(300)와 상기 차량(100)의 타측 단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연결장치(300)와 연결되는 보조 연결장치(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ngway automatic connec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a gangway provided for the movement of passengers between each vehicle of a mini-tram, tram, or railroad car, and the configuration thereof as shown in Figs. Gangway 200 provided at one end of each vehicle 100 constituting a tram or railroad vehicle, and a main connecting device installed below one end of the vehicle 100 to move the end of the gangway 200 It comprises 300 and an auxiliary connection device 400 installed below the other end of the vehicle 100 and connected to the main connection device 300.

여기서, 상기 메인 연결장치(300)는 상기 갱웨이(200)의 단부를 이동시켜 인접한 차량(100)과 접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 연결장치(300)의 단부가 인접한 차량(100) 단부의 하부에 설치된 보조 연결장치(400)와 연결되게 됨으로써, 갱웨이(200)를 차량(100)의 사이에 고정하게 된다.Here, the main connecting device 300 moves the end of the gangway 200 to contact the adjacent vehicle 100, and the end of the main connecting device 300 is located below the end of the adjacent vehicle 100. By being connected to the installed auxiliary connection device 400, the gangway 200 is fixed between the vehicles 100.

그리고, 상기 메인 연결장치(300)는 차량(100)의 일측 단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메인 몸체(320)와 상기 메인 몸체(320)를 전후로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바(330)와 상기 연결바(330)의 하부에 형성되는 랙(332)과 상기 랙(332)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피니언(340)과 상기 메인 몸체(320)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34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main connecting device 300 includes a main body 320 installed below one end of the vehicle 100 and a connecting bar 330 provided to penetrate the main body 320 back and forth, and the connecting bar ( A rack 332 formed under the 330, a pinion 340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rack 332, and a drive motor 342 installed on the main body 320 to rotate the pinion 340. Including.

여기서, 상기 메인 몸체(320)에는 전후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연결바(330)가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메인 몸체(320)에 설치된 구동모터(342)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340)과 연결바(330)에 형성된 랙(332)에 의해 연결바(330)가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Here, a through hole penetrating forward and backward is formed in the main body 320, and a connection bar 33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nd rotated by a driving motor 342 installed in the main body 320 The connecting bar 330 is moved back and forth by the pinion 340 and the rack 332 formed on the connecting bar 330.

이때, 상기 차량(100)의 하부에는 상기 메인 몸체(320)를 설치하기 위한 메인 브라켓(31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메인 브라켓(310)의 하단에 상기 메인 몸체(320)의 상단이 힌지 결합으로 결합되는데, 힌지결합된 부분에는 토션스프링이 구비되어 메인 몸체(320)가 연결바(330)의 이동에 의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며, 외력에 의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외력이 사라지게 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At this time, a main bracket 310 for installing the main body 320 is fixedly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100, and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320 is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racket 310 The torsion spring is provided at the hinged portion to prevent the main body 320 from tilting to one side by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bar 330, and when the external force disappears from the inclined state by the external force, the original position Let's return to.

따라서, 인접한 차량(100)이 상기 연결바(33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선로 상태에 따라 인접한 차량(100)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되더라도 힌지부에 의해 회전되게 됨으로써 연결바(3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adjacent vehicles 100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bar 330, even if the heights of the adjacent vehicles 100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ine condition, the connection bar 330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being rotated by the hinge. Will be prevented.

한편, 상기 갱웨이(200)는 주름관 형태로 절첩되도록 형성되어 인접한 차량(100)을 연결하는 벨로우즈(210)와 상기 벨로우즈(21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어 승객이 이동시에 하부를 지지하는 발판부(220)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gangway 200 is formed to be folded in a corrugated pipe shape, the bellows 210 connecting the adjacent vehicle 100 and the footrest part provided at the inner lower part of the bellows 210 to support the lower part when the passenger moves. It consists of 220.

여기서, 상기 벨로우즈(210)의 단부에는 타측 차량(100)의 도어 외측과 결합되는 커플링 프레임(212)이 구비되고, 상기 커플링 프레임(212)의 하부에는 연결홀더(214)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인 연결장치(300)를 구성하는 연결바(330)와 연결되게 된다.Here, the end of the bellows 21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frame 212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of the other vehicle 100, and a connection holder 214 protrudes downward under the coupling frame 212 It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r 330 constituting the main connection device 300.

그래서, 상기 메인 연결장치(300)의 구동모터(342)가 피니언(340)을 회전시켜 연결바(330)가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갱웨이(200)를 구성하는 커플링 프레임(212)이 이동하게 되어 커플링 프레임(212)이 타측 차량(100)의 도어 외측에 연결되게 되며, 연결바(330)가 타측 차량(100)에 설치된 보조 연결장치(400)와 결합됨으로써, 갱웨이(200)가 차량(100) 사이에서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연결되게 된다.So, when the drive motor 342 of the main connection device 300 rotates the pinion 340 to move the connection bar 330, the coupling frame 212 constituting the gangway 200 moves. As a result, the coupling frame 212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of the other vehicle 100, and the connection bar 330 is coupled with the auxiliary connection device 400 installed in the other vehicle 100, so that the gangway 200 Is connected in a fully unfolded state between the vehicles 100.

이때, 상기 발판부(220)는 일측 차량(100)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발판(222)과 타측 차량(100)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2발판(224)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발판(220)은 단부가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발판(224)는 수평으로 형성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scaffolding part 220 is composed of a first scaffolding 222 installed at an end of one vehicle 100 and a second scaffolding 224 installed at the end of the other vehicle 100, the first scaffolding 220 is formed such that the end is inclined downward, and the second scaffold 224 is formed horizontally.

따라서, 인접한 차량(100)이 서로 근접하여 연결될 때, 상기 제2발판(224)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1발판(222)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1,2발판(222,224)이 상하로 겹치게 되어 승객을 하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Therefore, when adjacent vehicles 100 are connected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the second footrest 224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footrest 222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ootrests 222 and 224 overlap up and down. Is stably supported from the bottom.

그리고, 상기 보조 연결장치(400)는 차량(100)의 타측 단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보조 몸체(420)와 상기 보조 몸체(420)의 일측에 상기 연결바(330)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422)과 상기 삽입홈(422)의 상부와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걸림돌부(427)와 상기 걸림돌부(427)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4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auxiliary connection device 400 includes an auxiliary body 420 installed below the other end of the vehicle 100 and an insertion groove formed to insert the connection bar 330 into one side of the auxiliary body 420 (422) and a locking protrusion 427 provided to protrude inwardly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sertion groove 422, and a spring 428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cking protrusion 427.

여기서, 상기 연결바(330)의 단부에는 상기 보조 몸체(420)의 삽입홈(422)에 삽입되는 삽입부(334)가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부(334)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걸림돌부(427)가 삽입되는 걸림홈(336)이 형성되어 삽입부(334)가 삽입홈(422)에 삽입될 경우 상기 걸림돌부(427)가 걸림홈(336)에 삽입됨으로써, 삽입부(334)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Here, an insertion portion 334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22 of the auxiliary body 42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bar 330, and the locking protrusions ( When the locking groove 336 into which the 427 is inserted is formed and the insertion part 33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22, the locking protrusion 427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36, so that the insertion part 334 is It prevents random separation.

이때, 상기 삽입부(334)의 단부에는 상부와 하부에 경사면(338)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422)에 삽입될 때, 걸림돌부(427)를 가압하여 삽입홈(422)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상기 걸림돌부(427)가 스프링(428)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홈(422)의 내측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홈(336)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삽입 결합되게 된다.At this time, an inclined surface 338 i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sertion part 334, respectively, and whe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22, the locking protrusion 427 is pressed to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groove 422. And, after being completely inserted, the locking protrusion 427 moves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422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28 and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36, making it easier to insert. Will be combined.

한편, 상기 보조 몸체(420)의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홈(422)의 입구부에는 삽입 가이드(426)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삽입 가이드(426)는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바(330)의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부(334)가 상기 삽입 가이드(426)에 의해 삽입홈(422)에 안정적으로 삽입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insertion guide 426 is further provided at the entrance of the insertion groove 422 form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body 420, the insertion guide 426 is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outside, the connection bar ( The insertion portion 334 formed at the end of the 330 is st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22 by the insertion guide 426.

즉, 상기 메인 연결장치(300)를 구성하는 연결바(330)는 구동모터(342)의 제어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하중이 전방으로 쏠리게 됨으로써, 토션 스프링이 하중을 어느 정도 감당하게 되지만 완전히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연결바(330)의 단부가 하부로 쳐지게 된다.That is, the connection bar 330 constituting the main connection device 300 is moved forward by the control of the driving motor 342, and the load is thus shifted forward, so that the torsion spring can bear the load to some extent. However, it is not completely horizontal and the end of the connection bar 330 is struck downward.

이때, 상기 삽입홈(422)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삽입 가이드(426)에 의해 연결바(330)의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부(334)의 입구부에 형성되는 경사면(338)이 경사지게 형성된 삽입 가이드(426)와 접하여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삽입홈(422)에 안정적으로 삽입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inclined surface 338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insertion portion 334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bar 330 by the insertion guide 426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insertion groove 422 is formed to be inclined. It is in contact with the insertion guide 426 and moves along the inclined portion to be st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22.

또한, 상기 삽입홈(422)의 내측에는 완충부재(424)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완충부재(424)는 고무 또는 합성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삽입부(334)가 삽입홈(422)에 삽입되는 과정에 발생하는 충격을 해소하게 된다.In addition, a buffer member 424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insertion groove 422, and the buffer member 424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ynthetic rubber,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33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22 ) To eliminate the impact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이때, 상기 차량(100)의 타측 단부의 하부에는 보조 브라켓(410)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 브라켓(410)의 하단에 상기 보조 몸체(420)의 상단부가 힌지 결합되는데, 상기 힌지결합부에는 토션스프링이 구비되어 보조 브라켓(410)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탄성지지하게 된다.At this time, an auxiliary bracket 410 is installed below the other end of the vehicle 100, and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body 420 is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bracket 410, and the hinge coupling portion has a torsion. A spring is provid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auxiliary bracket 410 to maintain the horizontal.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바(330)에 의해 연결된 전후 차량(100)이 주행중에 선로의 상황에 따라 상하 높이가 상이하더라도 각 힌지부에 의해 연결바(330)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메인 몸체(320) 및 보조 몸체(420)가 회전하게 되어 연결파(33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front and rear vehicles 100 connected by the connection bar 330 are different in height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track while driving, the main body locat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bar 330 by each hinge part ( 320) and the auxiliary body 420 are rotated to prevent damage to the connected wave 330.

한편, 상기 차량(100)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메인 연결장치(300)와 보조 연결장치(40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갱웨이(200)의 하부뿐만 아니라 상부도 동일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차량(100)의 상부에도 구비될 수 있으며, 차량(100)의 상부나 하부의 중심부에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지만 갱웨이(200)의 양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차량(1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connecting device 300 and the auxiliary connecting device 400 provided at the ends of the vehicle 100, respectively, are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the vehicle is capable of moving not only the lower part of the gangway 200 but also the upper part. It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100, and only one may be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vehicle 100, but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100 to stably support both sides of the gangway 200. have.

이때, 상기 차량(100)의 측부에는 상기 메인 연결장치(300)와 보조 연결장치(40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주행 중에 가해지는 돌맹이 등의 충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 protective cover (not shown) for protecting the main connection device 300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device 400 is furth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100 to prevent impacts such as boulders applied during driving. There will b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ose that ar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modification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본 발명은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니 트램이나 트램 또는 철도차량의 각 차량 사이에 구비되는 갱웨이를 관리자가 직접 연결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ngway automatic conn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ngway automatic connection device that automatically connects a gangway provided between each vehicle of a mini-tram, a tram, or a railroad vehicle, even if an administrator does not directly connect it. About.

100 : 차량 200 : 갱웨이
210 : 벨로우즈 220 : 발판부
300 : 메인 연결장치 310 : 메인 브라켓
320 : 메인 몸체 330 : 연결바
340 : 피니언 400 : 보조 연결장치
410 : 보조 브라켓 420 : 보조 몸체
100: vehicle 200: gangway
210: bellows 220: footrest
300: main connecting device 310: main bracket
320: main body 330: connecting bar
340: pinion 400: auxiliary connecting device
410: auxiliary bracket 420: auxiliary body

Claims (7)

트램 또는 철도차량의 각 차량 사이에 구비되는 갱웨이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에 있어서,
일측 단부에 갱웨이가 설치된 차량과,
상기 차량의 일측 단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갱웨이의 단부를 이동시키는 메인 연결장치와,
상기 차량의 타측 단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연결장치와 연결되는 보조 연결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연결장치는 차량의 일측 단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메인 몸체와,
상기 메인 몸체를 전후로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하부에 형성되는 랙과,
상기 랙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피니언과,
상기 메인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
In the gangway automatic connec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gangways provided between each vehicle of a tram or railway vehicle,
A vehicle with a gangway installed at one end,
A main connection device installed below one end of the vehicle to move the end of the gangway;
It comprises an auxiliary connection device installed under the other end of the vehicle and connected to the main connection device,
The main connecting device includes a main body installed below one end of the vehicle,
A connection bar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main body back and forth,
A rack formed under the connection bar,
A pinion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rack,
A gangway automatic connection device comprising a driving motor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rotate the pin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웨이는 주름형태로 절첩되는 벨로우즈와,
상기 벨로우즈의 내측에 구비되어 하부를 지지하는 발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벨로우즈의 단부에는 연결홀더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바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angway has bellows folded in a pleat shape,
It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bellows and consists of a footrest portion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A connection holder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bellows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의 단부에는 보조 연결장치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bar, an insertion portion is formed that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auxiliary connecting device,
Gangway automatic conn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sertion pa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연결장치는 차량의 타측 단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보조 몸체와,
상기 보조 몸체의 일측에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걸림돌부와,
상기 걸림돌부를 걸림홈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auxiliary connection device includes an auxiliary body installed below the other end of the vehicle,
An insertion groov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at one side of the auxiliary body,
A locking protrusion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sertion groove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groove,
Gangway automatic conn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cking proj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locking groov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몸체는 삽입홈의 입구부에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삽입 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auxiliary body is a gangway automatic conn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n insertion guide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 at the entrance of the insertion groov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내측에는 탄성재질의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웨이 자동 연결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Gangway automatic conn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 buffer mem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nside the insertion groove.
KR1020190144329A 2019-11-12 2019-11-12 a gangway auto jointing apparatus KR1022305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329A KR102230596B1 (en) 2019-11-12 2019-11-12 a gangway auto join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329A KR102230596B1 (en) 2019-11-12 2019-11-12 a gangway auto join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596B1 true KR102230596B1 (en) 2021-03-24

Family

ID=75257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329A KR102230596B1 (en) 2019-11-12 2019-11-12 a gangway auto join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59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0121A (en) * 1992-05-12 1993-11-22 Central Japan Railway Co Outer hood structure body for high speed propulsion body
KR100525281B1 (en) 2004-02-03 2005-11-02 주식회사 로템 Rail cars between gangway disassembly/assembly apparatus
KR20180005307A (en) * 2016-07-05 2018-01-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Turnout system for monorail railw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0121A (en) * 1992-05-12 1993-11-22 Central Japan Railway Co Outer hood structure body for high speed propulsion body
KR100525281B1 (en) 2004-02-03 2005-11-02 주식회사 로템 Rail cars between gangway disassembly/assembly apparatus
KR20180005307A (en) * 2016-07-05 2018-01-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Turnout system for monorail railw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77151B (en) Operator cab tilting apparatus
US11319713B2 (en) Elevating cage with pivotably attached panels having respective pivotable latches
US6543076B1 (en) Cabin for a telescopic gangway
EA015431B1 (en) Track building vehicle having a roofed loading space
KR102230596B1 (en) a gangway auto jointing apparatus
FR2710664A1 (en) Railway construction machine to perform work on the track.
JPH11287067A (en) Movable fence for platform
JPH07172307A (en) Connection bellows device for rolling stock
JP4279547B2 (en) Vehicle maintenance lift
EP0885770B1 (en) Vertically movable loading platform provided with railings, for mounting to a vehicle
CN210971053U (en) Track working vehicle
JP4456047B2 (en) Horizontal pulling device for railroad work machine
JP7036631B2 (en) Boarding / alighting device for aerial work platforms
KR102448308B1 (en) Loading system of spreader with function of selectively balancing lifter
KR200273285Y1 (en) Covering Apparatus for Loading Duck of Freight Car
KR100782722B1 (en) An apparatus for prventing moving part of unloader from slipping on rails
JP2006177117A (en) Cabin guard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JPH07228483A (en) Vertical fitting/removing device for mobile crane
RU2009992C1 (en) Car lifter
JPH0647928Y2 (en) Road roller with foldable cabin
JPH0222433Y2 (en)
KR20090123082A (en) Step apparatus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and tree harvester using leveling system
JP2555515Y2 (en) Driver's cab for working vehicles
EP1215074A2 (en) Vehicle for use i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work on overhead systems of railway, tramway, subway lines or the like
JPH0714078Y2 (en) lif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