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938B1 -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를 이용하는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를 이용하는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938B1
KR102229938B1 KR1020197020348A KR20197020348A KR102229938B1 KR 102229938 B1 KR102229938 B1 KR 102229938B1 KR 1020197020348 A KR1020197020348 A KR 1020197020348A KR 20197020348 A KR20197020348 A KR 20197020348A KR 102229938 B1 KR102229938 B1 KR 102229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indication information
sig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5379A (ko
Inventor
레이밍 장
밍 레이
이판 리우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95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 H04B7/0473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taking constraints in layer or codeword to antenna mapping into accou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pace frequency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82Adaptive codeb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를 이용하는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송 방법은, 기지국이 제1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제1 지시 정보는 제1 빔 세트를 나타냄 -; 기지국이 제2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제2 지시 정보는 제1 빔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나타냄 -; 및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단으로 인한 신호 페이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를 이용하는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삭제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를 이용하는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5세대(5G) 이동 통신 시스템은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을 증가시키고, 대규모 사물 인터넷을 제공하며, 미래에 다양한 서비스와 적용 시나리오를 가능하게 한다. 통합된 연결 프레임의 역할을 하는 것 외에도, 신세대 셀룰러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5G NR(New Radio)이 추가적으로 데이터 속도, 용량, 지연, 신뢰성, 효율, 및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능력을 아주 새로운 레벨로 높이고, 각각의 비트의 이용 가능한 스펙트럼 자원을 완전히 활용하기를 바란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OFDM) NR에 기초하여 설계된 5G는 글로벌 표준이 되고, 5G 장치의 다양한 배치를 지원하며, (저주파 대역과 고주파 대역의 커버리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스펙트럼을 커버하며, 다양한 서비스와 단말기를 추가로 지원할 것이다.
고주파 전송이 더 많은 대역폭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고주파 전송은 예를 들어, 신호 페이딩이 심하고 침투 능력이 떨어진다는 독특한 문제가 있다. 현재, 대규모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빔형성(beamforming)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해결책이 고주파 전송의 커버리지를 개선하고 또한 심한 페이딩의 문제를 극복한다고 간주된다. 주파수 블록 코딩(space frequency block code, SFBC), (반)-개방 루프((semi)-open-loop), 및 빔-사이클링(beam-cycling)과 같은 해결책이 차단으로 인한 침투력 감소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된다. 전술한 해결책에서, 빔은 서로 다른 방향의 빔이거나 또는 서로 다른 방향의 빔에 의해 형성되는 빔일 수 있다.
차단은 흔히 예상치 못한 것으로, 기존의 해결책에서는 빔의 반정적 조정(semi-static adjustment) 수단이 사용된다. 반정적 조정은 빔 세트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무선 자원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지시되고, 빔 세트 조정에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반정적 조정으로는 차단으로 인한 신호 페이딩 문제를 완전히 없앨 수 없다. 빔 세트 내의 빔이 일정 시간 내에 고정되며, 빔 세트 내의 하나 이상의 빔이 차단되더라도, 빔 세트가 여전히 신호 전송에 사용된다. 데이터를 검출하는 경우, 채널 디코딩을 통해 정확한 정보를 얻기 전에, 단말기가 각각의 빔에 대해 대부분의 신호 또는 모든 신호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 하나 이상의 빔이 차단되면, 하나 이상의 빔에 실려 있는 신호가 검출될 수 없고, 단말기가 대부분의 정보를 유지하지 못하며, 심지어 채널 디코딩을 통해서도 정확한 정보가 복원될 수 없다. 특히, 중간 및 고변조 코드 레이트 방식(Modulation code rate scheme, MCS)으로 레벨에 의한 전송의 시나리오에서, 기존의 해결책은 차단으로 인한 신호 페이딩 문제를 극복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 기지국, 및 단말기를 이용하는 전송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차단으로 인한 신호 페이딩 문제를 해결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를 이용하는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기지국이 제1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 여기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1 빔 세트를 나타냄 -; 상기 기지국이 제2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 여기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빔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나타냄 -;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2개의 계층의 시그널링의 송신 주기가 서로 다를 수 있고, 빔이 편리하고 빠르게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빔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시그널링 비트가 줄어들 수 있도록, 상기 기지국은 상기 2개의 계층의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상기 빔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이렇게 하면 차단으로 인한 신호 페이딩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1 계층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이고, 상기 제2 계층 시그널링은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 시그널링이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빔이 편리하고 빠르게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의 주기가 비교적 길고, 상기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상기 MAC 계층 시그널링의 주기가 비교적 짧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빔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빔 상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각각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낸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실시간 채널 상태가 편리하게 학습되고, 그에 따라 상기 빔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상기 빔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빔 세트 내의 각각의 빔의 빔 인덱스 또는 상기 제1 빔 세트 내의 각각의 빔의 코드북 인덱스이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빔 세트에 기반한 비트맵의 지시 방식을 사용한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2가지 유형의 지시 정보가 조합되어 사용되면, 상기 빔을 동적으로 조절하는 데 사용되는 시그널링 자원이 줄어들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은 2개의 빔이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2개의 빔에 기초하여 2개의 안테나 포트를 결정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2개의 안테나 포트에 기초하여, 공간 주파수 블록 코딩(space frequency block code, SFBC)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상기 데이터에 송신하고, 공통 포트를 이용하여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송신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상기 데이터와 기준 신호를 송신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를 이용하는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단말기가 제1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 여기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1 빔 세트를 나타냄 -; 상기 단말기가 제2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며 - 여기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빔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나타냄 -;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1 계층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이고, 상기 제2 계층 시그널링은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MAC 계층 시그널링이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에 빔 상태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빔 상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각각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낸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빔 세트 내의 각각의 빔의 빔 인덱스 또는 상기 제1 빔 세트 내의 각각의 빔의 코드북 인덱스이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빔 세트에 기반한 비트맵의 지시 방식을 사용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은 2개의 빔이고, 상기 단말기는 SFBC 전송 다이버시티 기술이 상기 기지국의 전송 방법에 사용된다고 결정하며; 상기 단말기는 2개의 안테나 포트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의 전송 방법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고 공통 포트를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라고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공통 포트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동일한 빔의 최소 자원 단위가 자원 엘리먼트, 심볼, 및 자원 블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상기 데이터와 기준 신호를 수신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동일한 빔의 최소 자원 단위와 상기 기준 신호는 자원 블록이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전술한 방법 설계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상기 기능은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또는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기지국의 구조가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전술한 전송 방법의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기 기지국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기지국과 단말기 간의 통신 또는 다른 엔티티와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은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기지국에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는 전술한 방법 설계에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기능은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또는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단말기의 구조가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전술한 전송 방법의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통신 또는 다른 엔티티와 상기 단말기 간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단말기의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전술한 양태에서 설명된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은 전술한 양태를 수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단말기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은 전술한 양태를 수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명령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전술한 방법 설계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명령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전술한 방법 설계에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종래 기술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제1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 여기서, 제1 지시 정보는 제1 빔 세트를 나타냄 -; 기지국이 제2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 여기서, 제2 지시 정보는 제1 빔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나타냄 -;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2개의 계층의 시그널링의 송신 주기가 서로 다를 수 있고, 빔이 편리하고 빠르게 조절될 수 있으며, 빔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시그널링 비트가 줄어들 수 있도록, 빔에 관한 정보가 2개의 계층의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송신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차단으로 인한 신호 페이딩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를 이용하는 전송 방법이 기반하는 적용 시나리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를 이용하는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통신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를 이용하는 다른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통신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를 이용하는 또 다른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통신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를 이용하는 또 다른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통신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을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기지국을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단말기를 나타낸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적 해결책, 및 장점이 더 명확해지도록,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를 이용하는 전송 방법의 적용 시나리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101)과 단말기(102) 사이에는 MIMO 통신 기술이 사용된다. 기지국(101)은 N개의 빔을 포함하는 세트를 구성하고,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단말기(102)에 상기 세트를 통지한다. 빔 세트 내의 빔은 빔 인덱스 또는 코드북 인덱스(codebook index)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코드북 인덱스와 상기 빔 간에는 대응 관계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코드북 인덱스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의 프리코딩 행렬 지시자(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일 수 있다. 기지국(101)은 현재의 전송에 사용되는 M개의 빔을 동적으로 단말기(102)에 통지한다. M개의 빔은 N개의 빔의 서브 세트이다. 기지국(101)은 N-비트 비트맵(bitmap)의 방식으로, 현재의 전송에 사용되는 M개의 빔을 동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기지국(101)은 M개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자원 엘리먼트(Resource Element, RE) 레벨, 또는 심볼 레벨, 또는 자원 블록 레벨에서 데이터 형성이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지국(101)은 M개의 빔에 기반한 송신 다이버시티(transmit diversity)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단말기(102)는 기지국(101)으로부터 빔 구성 정보을 수신하고, 빔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검출한다. 단말기(102)은 기지국(101)에 의해 동적으로 지시된 M개의 빔에 기초하여 측정 피드백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를 이용하는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통신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전송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적용 시나리오에 기반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송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 기지국이 제1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제1 지시 정보는 제1 빔 세트를 나타낸다.
일 예에서, 제1 계층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과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이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대개 상대적으로 긴 시간 간격으로 송신된다.
일 예에서, 제1 지시 정보는 제1 빔 세트 내의 각각의 빔의 빔 인덱스 또는 제1 빔 세트 내의 각각의 빔의 코드북 인덱스이다.
단계 202: 단말기가 제1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빔 세트를 결정한다.
단계 203: 기지국이 제2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제2 지시 정보는 제1 빔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나타낸다.
일 예에서, 제2 계층 시그널링은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 시그널링, 예컨대 스케줄링 시그널링이다. 사용되는 빔이 편리하게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MAC 계층 시그널링이 대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간격으로 송신된다.
일 예에서, 제2 지시 정보는 제1 빔 세트에 기반한 비트맵의 지시 방식을 사용한다. 이 방식에서, 시그널링 전송 자원이 효과적으로 절감될 수 있도록, 1은 빔이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고, 0은 빔이 사용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0은 빔이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고, 1은 빔이 사용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단계 204: 단말기가 제2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빔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결정한다.
단계 205: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일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은 2개의 빔이고, 기지국은 2개의 빔에 기초하여 2개의 안테나 포트를 결정하고, 기지국은 2개의 안테나 포트에 기초하여, 공간 주파수 블록 코딩(space frequency block code, SFBC) 기술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다른 예에서,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단말기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공통 포트를 이용하여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송신한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동일한 빔의 최소 자원 단위가 자원 엘리먼트, 심볼, 및 자원 블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많은 빔이 단말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공통 포트를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송신하면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포트의 수가 줄어듬으로써, 전송 자원이 효과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단말기에 데이터와 기준 신호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와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동일한 빔의 최소 자원 단위가 자원 블록이다. 동일한 자원 블록이 복수의 빔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빔이 대응하는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될 필요가 있으면, 기준 신호의 오버헤드가 매우 크다. 따라서, 자원 블록을 최소 자원 단위로서 선택하면 가능한 한 기준 신호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단계 206: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하나의 시그널링을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고, 단말기는 상기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전송 방법을 결정한다.
일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은 2개의 빔이고, 단말기는 SFBC 전송 다이버시티 기술이 기지국의 전송 방법에 사용된다고 결정하고; 단말기는 2개의 안테나 포트에 기초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기지국은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하나의 시그널링을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고, 단말기는 상기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SFBC 전송 다이버시티 기술이 기지국의 전송 방법에 사용된다고 결정한다. 또한, 하나의 안테나 포트가 하나의 빔에 대응하고 있다. 각각의 안테나 포트 상의 기준 신호가 특정 자원을 점유한다. 단말기는 특정 자원에 대해, 각각의 안테나 포트 상에서 기준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 또는 빔에 대해 채널 정보를 획득한다. 데이터의 경우, 각각의 안테나 포트의 데이터가 사전 정의된 규칙에 따라 대응하는 시간-주파수 영역 자원에 매핑된다.
다른 예에서,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공통 포트를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동일한 빔의 최소 자원 단위가 자원 엘리먼트, 심볼, 및 자원 블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포트를 이용하여 송신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정보를 결정하며; 채널 정보와 빔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빔의 등가 채널(equivalent channel)을 결정하고;
또 다른 예에서,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단말기에 송신하는 데이터와 기준 신호를 수신한다.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동일한 빔의 최소 자원 단위와 기준 신호는 자원 블록이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기준 신호을 수신하고; 공동 채널 추정의 최소 자원 단위의 기준 신호에 대해 공동 채널 추정을 수행하며; 추정된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206 이후에, 상기 전송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207: 단말기가 빔 상태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여기서, 빔 상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빔 각각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낸다.
일 예에서, 빔 상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빔 각각에 대응하는 채널 품질 지시(Channel quality indication, CQI) 정보이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2개의 계층의 시그널링의 송신 주기가 서로 다를 수 있고, 빔이 편리하고 빠르게 조절될 수 있으며, 빔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시그널링 비트가 줄어들 수 있도록, 기지국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빔에 관한 정보를 2개의 계층의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송신한다. 이렇게 하면 차단으로 인한 신호 페이딩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를 이용하는 다른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통신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전송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적용 시나리오에 기반할 수 있고, SFBC 전송 다이버시티 기술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구체적으로 사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송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1: 기지국이 N개의 빔을 포함하는 빔 세트를 구성하고,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빔 세트를 단말기에 통지한다.
일 예에서, 빔 세트 내의 빔은 빔 인덱스 또는 코드북 인덱스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로서, 기지국은 바람직하게는 단말기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N개의 빔({빔 1, 빔 2, …, 및 빔 N})을 선택하여 빔 세트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N개의 빔은 소정의 간격으로 분리되어 있다.
예로서, 기지국은 바람직하게는, 단말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각각의 빔의 채널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N개의 빔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채널 품질 정보는 CQI 및/또는 빔이 계속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품질 정보가 CQI만을 포함하는 경우, CQI의 최소 레벨이 빔이 계속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지시로서 단말기에 의해 파싱될 수 있다.
단계 302: 단말기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N개의 빔을 포함하는 빔 세트를 결정한다.
단계 303: 기지국이 현재의 전송에 사용되는 2개의 빔을 단말기에 동적으로 통지한다. 여기서, 2개의 빔은 N개의 빔의 서브 세트이다.
일 예에서, 기지국은 N-비트 비트맵(bitmap)의 방식으로, 현재의 전송에 사용되는 2개의 빔을 동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101…0]의 경우, 시그널링이 N의 길이를 갖는다. 여기서, 1은 빔이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0은 빔이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304: 단말기가 기지국의 동적인 지시를 수신하고, 동적인 지시에 기초하여, 현재의 전송에 사용되는 2개의 빔을 결정한다. 여기서, 2개의 빔은 N개의 빔의 서브 세트이다.
단계 305: 기지국이 단계 303에서 단말기에 통지된 빔에 기초하여 2개의 안테나 포트를 가상화하고, 2개의 안테나 포트에 기초하여 SFBC 전송 다이버시티 송신을 수행한다.
단계 306: 단말기가 현재의 전송에 사용되는 2개의 빔으로서 단계 302와 단계 304에 따라 결정된 2개의 빔에 기초하여,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검출한다.
단계 307: 데이터를 검출한 후에, 단말기가 기지국에 빔 상태 정보를 보고한다. 빔 상태 정보는 2개의 빔 각각이 계속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예로서, 단말기가 빔 p의 신호 품질이 빔 q의 신호 품질보다 명백하게 열등하다는 것을 검출하거나, 또는 빔의 신호 품질이 수신하는 임계값보다 낮다는 것을 검출하면, 단말기는 빔이 사용될 수 없다고 결정한다.
일 예에서, 단말기는 N-비트 비트맵(bitmap)의 방식으로 빔 상태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단말기는 동적으로 지시되는 2개의 빔에 기초하여 측정 피드백을 수행한다. 측정 피드백은 2개의 빔에 기반한 CQI 측정 피드백이다.
선택적으로, 단계 307 이후에, 상기 전송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308: 기지국이 단말기에 의해 보고된 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되는 빔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단말기에 통지하는 빔 세트는 빔 1 내지 빔 10으로 각각 식별되는 10개의 빔을 포함한다. 현재의 전송에 사용되는 빔으로서 기지국이 단말기에 통지하는 빔은 빔 1과 빔 2이다. 단말기에 의해 피드백된 빔 상태 정보가 빔 1이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기지국은 빔 3 내지 빔 10 중에서 하나의 빔을 선택하여 빔 1을 대체할 수 있고, 스케줄링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상기 빔을 단말기에 통지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SFBC에 사용되는 빔을 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심하게 페이딩된 빔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하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높아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를 이용하는 또 다른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통신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전송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적용 시나리오에 기초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기준 신호가 공통 포트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송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01: 기지국이 N개의 빔을 포함하는 세트를 구성하고,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상기 세트를 단말기에 통지한다.
일 예에서, 빔 세트 내의 빔은 빔 인덱스 또는 코드북 인덱스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일 예에서, 기지국은 바람직하게는 단말기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N개의 빔({빔 1, 빔 2, …, 및 빔 N})을 선택하여 빔 세트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N개의 빔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예로서, 기지국은 바람직하게는, 단말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각각의 빔의 채널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N개의 빔을 선택할 수 있다. 채널 품질 정보는 CQI 및/또는 빔이 계속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품질 정보가 CQI만을 포함하는 경우, CQI의 최소 레벨이 빔이 계속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지시로서 단말기에 의해 파싱될 수 있다.
단계 402: 단말기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N개의 빔을 포함하는 빔 세트를 결정한다.
단계 403: 기지국이 현재의 전송에 사용되는 M개의 빔을 단말기에 동적으로 통지한다. 여기서, M개의 빔은 N개의 빔의 서브 세트이다.
일 예에서, 기지국은 N-비트 비트맵(bitmap)의 방식으로, 현재의 전송에 사용되는 M개의 빔을 동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101…0]의 경우, 시그널링이 N의 길이를 갖는다. 여기서, 1은 빔이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0은 빔이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404: 단말기가 기지국의 동적인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동적인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의 전송에 사용되는 M개의 빔을 결정한다. 여기서, M개의 빔은 N개의 빔의 서브 세트이다.
단계 405: 기지국이 단계 403에서 단말기에 통지된 M개의 빔을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공통 포트를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송신한다.
데이터 형성이 RE 레벨, 또는 심볼 레벨, 또는 자원 블록 레벨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빔은 다음의 방식으로 주기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총 3개의 빔, 즉 빔 1, 빔 2, 및 빔 3이 있고; 빔 1이 먼저 사용되고, 그다음에 빔 2가 사용되며, 그다음에 빔 3이 사용되고, 그다음에 빔 1이 사용된며; 이와 같이, 상기 빔이 주기적으로 사용된다.
단계 406: 단말기가 현재의 전송에 사용되는 M개의 빔으로서 단계 402와 단계 404에 따라 결정된 M개의 빔에 기초하여,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검출한다.
일 예에서, 단말기가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된 채널 정보 및 기지국에 의해 지시된 빔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등가의 채널을 획득한다. 등가의 채널은 데이터 검출에 사용된다.
단계 407: 데이터를 검출한 후에, 단말기가 빔 상태 정보를 보고한다. 빔 상태 정보는 M개의 빔 각각이 계속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예로서, 단말기가 빔 p의 신호 품질이 빔 q의 신호 품질보다 명백하게 열등하다는 것을 검출하거나, 또는 빔의 신호 품질이 수신하는 임계값보다 낮다는 것을 검출하면, 단말기는 빔이 사용될 수 없다고 결정한다. 예를 들어, 총 M개의 빔이 있으며, 어느 2개의 빔 사이의 신호 품질 차이가 임계값보다 크면, 더 열악한 신호 품질을 가진 빔이 사용될 수 없다고 결정된다.
일 예에서, 단말기는 N-비트 비트맵(bitmap)의 방식으로 빔 상태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단말기는 동적으로 지시된 M개의 빔에 기초하여 측정 피드백을 수행한다. 측정 피드백은 M개의 빔에 기반한 CQI 측정 피드백이다.
선택적으로, 단계 407 이후에, 상기 전송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408: 기지국이 단말기에 의해 보고된 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되는 빔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단말기에 통지하는 빔 세트는 빔 1 내지 빔 10으로 각각 식별되는 10개의 빔을 포함한다. 현재의 전송에 사용되는 빔으로서 기지국이 단말기에 통지하는 빔이 빔 1, 빔 2, 및 빔 3이다. 단말기에 의해 피드백된 빔 상태 정보가 빔 1과 빔 2가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기지국은 빔 4 내지 빔 10 중에서 2개의 빔을 선택하여 빔 1과 빔 2을 대체하고, 스케줄링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상기 빔들을 단말기에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빔을 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심하게 페이딩된 빔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하면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를 이용하는 또 다른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통신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전송 방법은 도1에 도시된 적용 시나리오에 기초할 수 있고,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는 기술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구체적으로 사용되며, 선택된 빔을 이용하여 기준 신호와 데이터가 함께 송신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송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501: 기지국이 N개의 빔을 포함하는 세트를 구성하고,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상기 세트를 단말기에 통지한다.
일 예에서, 빔 세트 내의 빔은 빔 인덱스 또는 코드북 인덱스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일 예에서, 기지국은 바람직하게는 단말기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N개의 빔({빔 1, 빔 2, …, 및 빔 N})을 선택하여 빔 세트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N개의 빔은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예로서, 기지국은 바람직하게는, 단말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각각의 빔의 채널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N개의 빔을 선택할 수 있다. 채널 품질 정보는 CQI 및/또는 빔이 계속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품질 정보가 CQI만을 포함하는 경우, CQI의 최소 레벨이 빔이 계속 사용될 수 없다는 지시로서 단말기에 의해 파싱될 수 있다.
단계 502: 단말기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N개의 빔을 포함하는 빔 세트를 결정한다.
단계 503: 기지국이 현재의 전송에 사용되는 M개의 빔을 단말기에 동적으로 통지한다. 여기서, M개의 빔은 N개의 빔의 서브 세트이다.
일 예에서, 기지국은 N-비트 비트맵(bitmap)의 방식으로, 현재의 전송에 사용되는 M개의 빔을 동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101…0]의 경우, 시그널링이 N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1은 빔이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0은 빔이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504: 단말기가 기지국의 동적인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동적인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의 전송에 사용되는 M개의 빔을 결정한다. 여기서, M개의 빔은 N개의 빔의 서브 세트이다.
단계 505: 기지국이 단계 503에서 단말기에 통지된 M개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데이터와 기준 신호를 전송한다.
일 예에서, 자원 블록 레벨에서 데이터 형성이 수행될 수 있고, 이렇게 하면 자원 소비가 줄어들 수 있다.
단계 506: 단말기가 현재의 전송에 사용되는 M개의 빔으로서 단계 502와 단계 504에 따라 결정된 M개의 빔에 기초하여,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검출한다.
일 예에서, 단말기가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된 채널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검출한다. 공동 채널 추정의 단위(granularity)가 데이터 형성의 단위와 일치한다.
단계 507: 데이터를 검출한 후에, 단말기가 빔 상태 정보를 보고한다. 빔 상태 정보는 M개의 빔 각각이 계속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예로서, 단말기가 빔 p의 신호 품질이 빔 q의 신호 품질보다 명백하게 열등하다는 것을 검출하거나, 또는 빔의 신호 품질이 수신하는 임계값보다 낮다는 것을 검출하면, 단말기는 빔이 사용될 수 없다고 결정한다. 예를 들어, 총 M개의 빔이 있으며, 어느 2개의 빔 간의 신호 품질 차이가 임계값보다 크면, 더 열악한 신호 품질을 가진 빔이 사용될 수 없다고 결정된다.
일 예에서, 단말기는 N-비트 비트맵(bitmap)의 방식으로 빔 상태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단말기는 동적으로 지시된 M개의 빔에 기초하여 측정 피드백을 수행한다. 측정 피드백은 M개의 빔에 기반한 CQI 측정 피드백이다.
선택적으로, 단계 507 이후에, 상기 전송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508: 기지국이 단말기에 의해 보고된 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되는 빔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단말기에 통지하는 빔 세트는 빔 1 내지 빔 10으로 각각 식별되는 10개의 빔을 포함한다. 현재의 전송에 사용되는 빔으로서 기지국이 단말기에 통지하는 빔이 빔 1, 빔 2, 및 빔 3이다. 단말기에 의해 피드백된 빔 상태 정보가 빔 1과 빔 2가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기지국은 빔 4 내지 빔 10 중에서 2개의 빔을 선택하여 빔 1과 빔 2을 대체하고, 스케줄링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상기 빔들을 단말기에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빔을 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심하게 페이딩된 빔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하면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파일럿 모드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파일럿 모드와 다른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통 파일럿이 사용되고; 송신단에서, 공통 파일럿이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수신단에서, 공통 파일럿이 검출된 후에, 추가적으로 공통 파일럿과 형성 행렬(forming matrix)을 곱한 후에만 데이터의 등가의 채널이 획득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형성 파일럿(forming pilot)이 사용되고; 송신단에서, 형성 파일럿이 형성될 필요가 있으며, 수신단에서, 형성 파일럿이 검출된 후에, 데이터의 등가의 채널이 직접 획득된다. 형성 파일럿은 기준 신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도이다. 기지국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를 이용하는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기지국은 처리 모듈(601)과 통신 모듈(602)을 포함한다.
처리 모듈(601)은 제1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통신 모듈(602)을 제어하고 - 여기서, 제1 지시 정보는 제1 빔 세트를 나타냄 -; 제2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통신 모듈(602)을 제어하다며 - 여기서, 제2 지시 정보는 제1 빔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나타냄 -;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데이터를 송신하게끔 통신 모듈(602)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에서, 제1 계층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이고, 제2 계층 시그널링은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MAC 계층 시그널링이다.
일 예에서, 처리 모듈(601)은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통신 모듈(602)을 제어한 후에,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빔 상태 정보를 수신하게끔 통신 모듈(602)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빔 상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빔 각각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낸다.
일 예에서, 제1 지시 정보는 제1 빔 세트 내의 각각의 빔의 빔 인덱스 또는 제1 빔 세트 내의 각각의 빔의 코드북 인덱스이다.
일 예에서, 제2 지시 정보는 제1 빔 세트에 기반한 비트맵의 지시 방식을 사용한다.
일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은 2개의 빔이고, 처리 모듈(601)은 구체적으로, 2개의 빔에 기초하여 2개의 안테나 포트를 결정하고; 2개의 안테나 포트에 기초하여, SFBC 전송 다이버시티 기술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데이터를 송신하게끔 통신 모듈(602)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에서, 처리 모듈(601)은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단말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통신 모듈(602)을 제어하고, 공통 포트를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
일 예에서, 처리 모듈(601)은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단말기에 데이터와 기준 신호를 송신하게끔 통신 모듈(602)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기지국은 기지국의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모듈(6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처리 모듈(601)은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 예컨대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장치이거나, 트랜지스터 논리 장치,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컨트롤러/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개시된 내용을 참조하여 설명된 예시적인 다양한 논리 블록, 모듈, 및 회로의 다양한 예를 구현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연산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세서의 조합,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또는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모듈(602)은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송수신기, 또는 송수신기 회로 등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인 용어이며,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모듈(603)은 메모리일 수 있다.
처리 모듈(601)이 프로세서인 경우, 통신 모듈(602)이 통신 인터페이스이고, 저장 모듈(603)이 메모리이며,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기지국은 도 7에 도시된 기지국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700)은 프로세서(702), 통신 인터페이스(703), 및 메모리(701)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700)은 버스(7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703), 프로세서(702), 및 메모리(701)은 버스(704)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버스(704)는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버스, 또는 EISA(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버스 등일 수 있다. 버스(704)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및 제어 버스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현이 용이하도록, 단 하나의 굵은 선이 도 7의 버스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지만, 이는 단 하나의 버스 또는 단 하나의 유형의 버스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단말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를 이용하는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단말기는 처리 모듈(801)과 통신 모듈(802)을 포함한다.
처리 모듈(801)은 제1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 모듈(802)을 제어하고 - 여기서, 제1 지시 정보는 제1 빔 세트를 나타냄 -; 제2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 모듈(802)을 제어하며 - 여기서, 제2 지시 정보는 제1 빔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나타냄 -;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게끔 통신 모듈(802)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에서, 제1 계층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이고, 제2 계층 시그널링은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MAC 계층 시그널링이다.
일 예에서, 처리 모듈(801)은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통신 모듈(802)을 제어한 후에, 기지국에 빔 상태 정보를 송신하게끔 통신 모듈(802)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빔 상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빔 각각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낸다.
일 예에서, 제1 지시 정보는 제1 빔 세트 내의 각각의 빔의 빔 인덱스 또는 제1 빔 세트 내의 각각의 빔의 코드북 인덱스이다.
일 예에서, 제2 지시 정보는 제1 빔 세트에 기반한 비트맵의 지시 방식을 사용한다.
일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은 2개의 빔이고, 처리 모듈(801)은 구체적으로, SFBC 전송 다이버시티 기술이 기지국의 전송 방법에 사용된다고 결정하고; 2개의 안테나 포트에 기초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게끔 통신 모듈(802)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에서, 처리 모듈(801)은 구체적으로, 기지국의 전송 방법이 적어도 하나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과 공통 포트를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라고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공통 포트을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수신하게끔 통신 모듈(802)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에서, 처리 모듈(801)은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기지국에 의해 단말기에 송신된 데이터와 기준 신호를 수신하게끔 통신 모듈(802)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의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모듈(8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처리 모듈(801)은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기, 예컨대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장치이거나, 트랜지스터 논리 장치,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컨트롤러/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개시된 내용을 참조하여 설명된 예시적인 다양한 논리 블록, 모듈, 및 회로의 다양한 예를 구현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연산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세서의 조합,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또는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모듈(802)은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송수신기, 또는 송수신기 회로 등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인 용어이며,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모듈(803)은 메모리일 수 있다.
처리 모듈(801)이 프로세서인 경우, 통신 모듈(802)이 통신 인터페이스이고, 저장 모듈(803)이 메모리이며,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단말기는 도 9에 도시된 단말기일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단말기(900)는 프로세서(902), 통신 인터페이스(903), 및 메모리(901)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기(900)는 버스(9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903), 프로세서(902), 및 메모리(901)는 버스(904)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버스(904)는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버스, 또는 EISA(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버스 등일 수 있다. 버스(904)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및 제어 버스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현이 용이하도록, 단 하나의 굵은 선이 도 9의 버스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지만, 이는 단 하나의 버스 또는 단 하나의 유형의 버스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예와 함께, 유닛과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알 수 있을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호환성을 분명하게 설명하기 위해, 전술한 내용은 기능에 따라 각각의 예의 구성 및 단계를 일반적으로 설명하였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전술한 내용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예의 구성과 단계를 기능에 따라 설명하였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여부는 구체적인 적용 및 기술적 해결방안의 설계 제한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당업자는 각각의 구체적인 적용을 위해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
당업자라면 실시예의 전술한 방법 각각에서의 단계 중 전부 또는 일부가 프로세서에 지시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매체, 예컨대 랜덤 액세스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또는 광 디스크(optical disc),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더 나은 특정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Claims (32)

  1.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를 이용하는 전송 방법으로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1 빔 세트를 나타냄 -;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빔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나타냄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데이터 또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전송 방법이,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빔 상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각각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냄 -
    를 더 포함하는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빔 세트 내의 각각의 빔의 빔 인덱스 또는 상기 제1 빔 세트 내의 각각의 빔의 코드북 인덱스인,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빔 세트에 기반한 비트맵의 지시 방식을 사용하는,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고, 공통 포트를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데이터와 기준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상기 데이터와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방법.
  8.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를 이용하는 전송 방법으로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1 빔 세트를 나타냄 -;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빔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나타냄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데이터 또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전송 방법이,
    상기 기지국에 빔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빔 상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각각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냄 -
    를 더 포함하는 전송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빔 세트 내의 각각의 빔의 빔 인덱스 또는 상기 제1 빔 세트 내의 각각의 빔의 코드북 인덱스인, 전송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빔 세트에 기반한 비트맵의 지시 방식을 사용하는, 전송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의 전송 방법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고 공통 포트를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라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공통 포트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데이터와 기준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상기 데이터와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방법.
  15. 기지국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처리 모듈과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 여기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1 빔 세트를 나타냄 -;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며 - 여기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빔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나타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신호를 송신하게끔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기지국.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데이터 또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추가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상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한 후에,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빔 상태 정보를 수신하게끔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빔 상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각각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기지국.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빔 세트 내의 각각의 빔의 빔 인덱스 또는 상기 제1 빔 세트 내의 각각의 빔의 코드북 인덱스인, 기지국.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빔 세트에 기반한 비트맵의 지시 방식을 사용하는, 기지국.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고, 공통 포트를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송신하게끔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기지국.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데이터와 기준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상기 데이터와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하게끔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기지국.
  22. 단말기로서,
    상기 단말기는 처리 모듈과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 여기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1 빔 세트를 나타냄 -;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며 - 여기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빔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빔을 나타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게끔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단말기.
  23. 삭제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데이터 또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추가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한 후에, 상기 기지국에 빔 상태 정보를 송신하게끔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빔 상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각각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단말기.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빔 세트 내의 각각의 빔의 빔 인덱스 또는 상기 제1 빔 세트 내의 각각의 빔의 코드북 인덱스인, 단말기.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빔 세트에 기반한 비트맵의 지시 방식을 사용하는, 단말기.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기지국의 전송 방법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고 공통 포트를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라고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공통 포트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게끔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단말기.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데이터와 기준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을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상기 데이터와 상기 기준 신호를 수신하게끔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단말기.
  29. 비일시적인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명령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송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30. 비일시적인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명령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8항 또는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송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31. 삭제
  32. 삭제
KR1020197020348A 2016-12-19 2017-12-12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를 이용하는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KR102229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1180093.6 2016-12-19
CN201611180093.6A CN108207030B (zh) 2016-12-19 2016-12-19 动态调整波束集合的传输方法、基站及终端
PCT/CN2017/115609 WO2018113552A1 (zh) 2016-12-19 2017-12-12 动态调整波束集合的传输方法、基站及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379A KR20190095379A (ko) 2019-08-14
KR102229938B1 true KR102229938B1 (ko) 2021-03-18

Family

ID=6260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348A KR102229938B1 (ko) 2016-12-19 2017-12-12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를 이용하는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63944B2 (ko)
EP (1) EP3550906B1 (ko)
JP (1) JP7201594B2 (ko)
KR (1) KR102229938B1 (ko)
CN (2) CN112788767B (ko)
WO (1) WO20181135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08799B (zh) * 2017-11-22 2022-02-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控制信令方法及系统
CN110662252B (zh) 2018-06-29 2022-04-05 成都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1435855B (zh) * 2019-03-25 2022-08-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csi报告的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11769924B (zh) * 2019-04-02 2023-08-2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号传输方法、装置及设备
CN110266350A (zh) * 2019-04-30 2019-09-20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波束分配方法及装置
CN112533291B (zh) * 2019-09-18 2023-01-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调度方法以及相关设备
US11923934B2 (en) 2020-08-03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ite-specific and dynamic base station beam codebook design
WO2022193149A1 (zh) * 2021-03-16 2022-09-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波束确定方法、波束确定装置及存储介质
CN118019015A (zh) * 2022-11-10 2024-05-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波束配置信息传输方法、第一设备及第二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37822A1 (en) * 2012-06-13 2013-12-19 All Purpose Networks LLC Locating and tracking user equipment in the rf beam areas of an lte wireless system employing agile beam forming technique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54510A (en) * 2004-08-12 2015-06-30 Interdigital Tech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space frequency block coding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833186A4 (en) * 2004-12-28 2010-07-07 Fujitsu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697626B2 (en) * 2006-01-13 2010-04-1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beam combination in a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80445B2 (en) * 2008-02-13 2012-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ntenna training of beamforming vectors by selective use of beam level training
CN101729457B (zh) * 2008-10-17 2013-01-09 上海交通大学 动态子载波关联有限比特反馈和调度方法
JP2012514911A (ja) * 2009-01-06 2012-06-28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中継を実施する基地局、中継局、移動端末およびその対応する方法
CN103004160B (zh) * 2010-06-01 2016-08-03 诺基亚技术有限公司 在通信系统中选择波束组和波束子集的装置、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US20120328031A1 (en) * 2011-06-24 2012-12-27 Nokia Siemens Networks Oy Codebooks for Mobile Communications
US9160434B2 (en) 2011-10-28 2015-10-13 Broadcom Corporation RF transceiver with beamforming antenna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CN103139784B (zh) * 2011-12-02 2015-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设备收发转化时间的处理方法及装置
US9456358B2 (en) * 2012-08-13 2016-09-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active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configurations
KR102115901B1 (ko) * 2013-04-16 2020-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리코딩 관련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172442B1 (ko) 2014-02-19 2020-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우선 순위를 갖는 송신 빔 인덱스 선택 및 할당 방법 및 장치
CN106471752A (zh) * 2014-08-08 2017-03-01 富士通株式会社 基于波束的信息传输方法、装置以及通信系统
CN105530685B (zh) * 2014-10-24 2020-01-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消息发送接收方法、发送接收装置、基站及终端
WO2016070428A1 (zh) * 2014-11-07 2016-05-12 富士通株式会社 Dm-rs信息的指示方法、装置以及通信系统
WO2016117982A2 (ko) * 2015-01-23 201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통신 단말의 신호 생성 방법 및 장치
CN106411455A (zh) * 2015-07-30 2017-02-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测量方法及装置
WO2017146755A1 (en) * 2016-02-24 2017-08-31 Intel IP Corporation Power control for systems based on uplink link identifier
WO2017221202A1 (en) * 2016-06-23 2017-12-28 Nokia Technologies Oy Beam change
CN107888256B (zh) * 2016-09-30 2022-12-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接收方法、装置、基站及终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37822A1 (en) * 2012-06-13 2013-12-19 All Purpose Networks LLC Locating and tracking user equipment in the rf beam areas of an lte wireless system employing agile beam forming techn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788767B (zh) 2023-06-02
WO2018113552A1 (zh) 2018-06-28
KR20190095379A (ko) 2019-08-14
EP3550906B1 (en) 2023-10-11
JP2020515094A (ja) 2020-05-21
CN112788767A (zh) 2021-05-11
US20190305839A1 (en) 2019-10-03
US10763944B2 (en) 2020-09-01
EP3550906A1 (en) 2019-10-09
EP3550906A4 (en) 2020-02-26
CN108207030B (zh) 2021-01-29
CN108207030A (zh) 2018-06-26
JP7201594B2 (ja)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938B1 (ko) 동적으로 조정되는 빔 세트를 이용하는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RU2636101C2 (ru) Конфигурация гипотез согласованной многоточечной передачи для сообщ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 состоянии канала
KR102056078B1 (ko) 참조 신호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US11546927B2 (en) Reporting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user side device and network side device
JP2019528623A (ja) 独立リンク用のビーム情報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2206381A2 (en) Rank adaptation for an open loop multi-antenna mode of wireless communication
KR20170125952A (ko) 개선된 채널 품질 정보 피드백 기술
WO2021026907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storage media for csi feedback
CA3066674A1 (en) Method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0521129B (zh) 用于无线通信网络中的预编码控制的方法和装置
KR20220044329A (ko) 저 지연 (Low-Latency) 빔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7084093A1 (zh) 一种发送或者接收信道状态信息csi的方法、终端及基站
KR20220002569A (ko) 단말 디바이스로부터의 기준 신호들의 송신
US8504031B2 (en) 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s
US20200128547A1 (en) Frequency Band Indication Method, Frequency Band Determining Method, Transmit End Device, And Receive End Device
CN109756255B (zh) 一种信道测量方法和用户设备
WO2023279880A1 (zh) 数据传输方法、设备和存储介质
WO2024031707A1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on multiple channel measurement resources or coherent joint transmissions
KR102445529B1 (ko) 간섭 측정 파라미터의 구성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37557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송신 기법
WO2020167194A1 (en) Methods for establishing beam reciprocity, related wireless devices and related network n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