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629B1 - 변압기용 권선조립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변압기용 권선조립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629B1
KR102229629B1 KR1020200119644A KR20200119644A KR102229629B1 KR 102229629 B1 KR102229629 B1 KR 102229629B1 KR 1020200119644 A KR1020200119644 A KR 1020200119644A KR 20200119644 A KR20200119644 A KR 20200119644A KR 102229629 B1 KR102229629 B1 KR 102229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unit
winding body
frame
wind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지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이엔티
Priority to KR1020200119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용 권선조립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압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권선조립체를 용이하게 조립 제조할 수 있는 변압기용 권선조립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변압기용 권선조립체의 제조방법은, 1개의 코어 양측에 절연지가 포함된 2개의 코일을 결합시켜 권선본체유닛을 형성하는 권선본체형성단계와; 상기 권선본체유닛에 하부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제1조립단계와; 상기 하부프레임이 결합된 상기 권선본체유닛을 회전시켜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기 권선본체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회전단계와; 회전된 상기 권선본체유닛의 상부에 상부프레임을 결합시키고, 상기 권선본체유닛의 측면에 측면연결프레임을 결합시켜 권선조립체를 완성하는 제2조립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압기용 권선조립체의 제조방법 { MANUFACTURING METHOD OF WINDING ASSEMBLY FOR TRANSFORMER }
본 발명은 변압기용 권선조립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압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권선조립체를 용이하게 조립 제조할 수 있는 변압기용 권선조립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변압기는 변전소로부터의 고전압을 산업용이나 가정용의 저전압으로 낮추어 수요자에게 맞는 전압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1차코일 및 2차코일로 이루어진 코일과, 코일의 상호유도작용의 원활함을 위한 코어와, 코일과 코어의 결합상태를 유지되게 결속함과 더불어 외함 내에 상호 결합된 코일과 코어를 수납 고정되게 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외함 내에는 변압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하기 위한 절연유가 충진된다.
이하에서는, 코일과 코어가 결합된 것을 권선본체유닛이라 하고, 이러한 권선본체유닛에 고정프레임이 조립된 상태를 권선조립체라 한다.
이러한 변압기는 통상적으로 권선 코일을 가공하되 코일 건조를 행하고 바니시에 권선된 코일을 함침시킨 후, 권선된 코일에 가공된 코어를 삽입하고 상호 결합된 코일과 코어에 이들의 결속력을 위한 고정프레임을 조립한 다음 건조를 행하며, 고정프레임에 조립된 코일과 코어를 외함에 조립하고 절연유를 충진한 후 진공 탈기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되어진다.
이때, 종래에는 변압기 제조공정시 권선 코일을 가공한 후 한글디귿(ㄷ)자 형태의 지그를 사용하여 코일의 두께를 맞춰준 다음에 코일을 건조하여 원형을 유지할 수 있게끔 하였으며, 코일에 장착된 지그를 탈거한 후 권선된 코일에 코어를 삽입하는 작업을 행하였다.
또한, 코일과 코어의 상호간 결속력은 물론 외함 내 안정된 고정을 위한 고정장치의 조립시 단순 수작업형태로 조립을 행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 변압기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매 작업시마다 수작업으로 코일에 지그를 탈/부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및 제조공정이 길어지거나 인건비가 과다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지그의 탈거 후 코일에 코어를 삽입하므로 코일과 코어간 결속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에는 고정프레임에 상호 결합된 코일과 코어를 고정할 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고정에 대한 작업상의 어려움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상기의 문제점들은 코일의 권선상태에 대한 변형 우려가 높아 전력손실 및 안정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요인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 및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변압기의 생산성은 물론 제품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10-0699542 등에는 변압기 제조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변압기 제조장치를 사용하더라도, 코일과 코어가 조립된 권선본체유닛이 매우 무겁기 때문에, 상기 권선본체유닛의 상부, 하부 및 측면에 고정프레임을 결합시키는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저압코일부와 고압코일부 사이에는 코어와의 절연 등을 목적으로 절연지가 개재된다.
따라서 코일은 절연지의 둘레를 따라 감겨지게 있는데, 완성된 권선조립체를 건조로에 넣고 건조시킬 경우 절연지 함유된 수분이 증발되면서 권선조립체가 수축하게 된다.
따라서, 권선본체유닛의 둘레에 결합된 고정프레임과 수축된 권선본체유닛 이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지 않아, 상술한 문제점이 다시 발생하고 있다.
등록특허 10-069954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량의 권선본체유닛의 둘레에 고정프레임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조립 완성된 권선조립체의 건조시 권선본체유닛이 건조되면서 수축되더라도 고정프레임이 권선본체유닛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는 변압기용 권선조립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변압기용 권선조립체의 제조방법은, 1개의 코어 양측에 절연지가 포함된 2개의 코일을 결합시켜 권선본체유닛을 형성하는 권선본체형성단계와; 상기 권선본체유닛에 하부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제1조립단계와; 상기 하부프레임이 결합된 상기 권선본체유닛을 회전시켜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기 권선본체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회전단계와; 회전된 상기 권선본체유닛의 상부에 상부프레임을 결합시키고, 상기 권선본체유닛의 측면에 측면연결프레임을 결합시켜 권선조립체를 완성하는 제2조립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조립단계에서는, 조립이 완성된 상기 권선조립체의 배치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코어의 상부와 하부가 양 측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의 일측면에 상기 하부프레임을 결합시킨다.
상기 회전단계에서는, 상기 하부프레임이 결합된 상기 권선본체유닛을 상하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상기 코어의 일측면에 결합된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기 권선본체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단계는, 제1이송롤러부의 상부에 놓인 상기 권선본체유닛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단계와; 상기 제1이송롤러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가 수직으로 결합되어 '└'형상을 갖는 방향전환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권선본체유닛을 90도 회전시키는 방향전환단계와; 상기 방향전환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제1이송롤러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2이송롤러부를 이용하여 상기 방향전환부재에 의해 90도 회전된 상기 권선본체유닛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향전환단계에서는, 상기 제1이송롤러부의 후방에 상기 제1지지대를 인접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대의 상부로 상기 권선본체유닛을 밀어 배치하고, 상기 방향전환부재를 상기 제2이송롤러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상기 제2지지대가 상기 제2이송롤러부의 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권선본체유닛을 90도 회전시키고, 상기 방향전환부재의 90도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지지대의 상부에 놓인 상기 권선본체유닛을 상기 제2이송롤러부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킨다.
상기 제2조립단계에서는, 상기 코어의 상부에 상기 상부프레임을 결합시키고, 상기 측면연결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고정 결합시킨다.
상기 제2조립단계에 의해 조립된 상기 권선조립체를 건조로에 투입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에 의해 건조되면서 수축된 상기 권선본체유닛에 상기 상부프레임을 하강시켜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면이 상기 권선본체유닛에 밀착되도록 하는 프레임조정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변압기용 권선조립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중량의 권선본체유닛의 둘레에 상기 고정프레임을 쉽게 조립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조립 후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프레임을 하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립 완성된 권선조립체의 건조시 권선본체유닛이 건조되면서 수축되더라도 고정프레임이 권선본체유닛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권선조립체의 조립라인을 도시한 측면구조도,
도 2는 도 1에서 제1이송롤러부의 상부에 권선본체유닛을 배치한 상태의 측면구조도,
도 3은 도 2에서 권선본체유닛에 하부프레임을 결합한 상태의 측면구조도,
도 4는 도 3에서 권선본체유닛을 방향전환부재에 의해 회전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구조도,
도 5는 도 4에서 권선본체유닛의 회전 후 권선본체유닛에 상부프레임과 측면연결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측면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을 권선본체유닛에 결합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고정볼트의 체결에 의해 상부프레임과 측면연결프레임의 수평 거리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선본체유닛이 건조에 의해 수축된 상태에서 체결너트의 회전에 의해 상부프레임이 하강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구조도.
본 발명의 변압기용 권선조립체의 제조방법은, 권선본체형성단계와, 제1조립단계와, 회전단계와, 제2조립단계와, 건조단계와, 프레임조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권선본체형성단계는 1개의 코어(11) 양측에 절연지가 포함된 2개의 코일(12)을 결합시켜 권선본체유닛(1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조라인에 올려지게 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은 제1이송롤러부(20)의 상부에 올려지게 된다.
이때, 상기 코어(11)는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의 상하가 아닌 양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1조립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선본체유닛(10)에 하부프레임(51)을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하부프레임(51)은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을 감싸는 고정프레임(50)의 일 부품이다.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을 감싸는 상기 고정프레임(5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51)과 상부프레임(52)과 측면연결프레임(53)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고정프레임(50)에 대한 자세한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1조립단계에서는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의 하부에 상기 하부프레임(51)을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의 하부라 함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선본체유닛(10)에 상기 고정프레임(50)의 조립이 완성된 권선조립체(60)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조립이 완성된 상기 권선조립체(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11)의 상부와 하부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코일(12)은 상기 코어(11)의 양측 방향에 배치되게 된다.
상기 제1조립단계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상기 권선조립체(60)의 배치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프레임(500)이 전체 조립되기 전의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11)의 상부와 하부가 양 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 후 상기 코어(11)의 일측면에 상기 하부프레임(51)을 수평방향으로 끼워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하부프레임(51)이 결합된 상기 코어(11)의 일측면은 조립이 완성된 상기 권선조립체(60)에서는 상기 코어(11)의 하부가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1조립단계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코어(11)의 일측면에 상기 하부프레임(51)을 끼워 가결합시킨다.
상기 회전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51)이 결합된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을 회전시켜 상기 하부프레임(51)이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회전단계에서는, 상기 하부프레임(51)이 결합된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을 상하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상기 코어(11)의 일측면에 결합된 상기 하부프레임(51)이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단계는, 제1이송단계와, 방향전환단계와, 제2이송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이송단계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송롤러부(20)의 상부에 놓인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을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방향전환부재(3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1이송롤러부(20)의 후방에는 상기 방향전환부재(30)가 배치되고, 상기 방향전환부재(30)의 후방에는 제2이송롤러부(40)가 배치되며, 상기 제2이송롤러부(40)는 상기 방향전환부재(30)의 후방에서 상기 제1이송롤러부(20)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방향전환단계에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롤러부(20)를 통해 이송된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을 상기 방향전환부재(30)를 이용하여 90도 회전시킨다.
상기 방향전환부재(30)는 상기 제1이송롤러부(20)의 후방에 배치되고 제1지지대(31)와 제2지지대(32)가 수직으로 결합되어 '└'형상을 갖으며, 상하방향으로 90도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방향전환단계에서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방향전환부재(30)를 회전시켜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을 90도 회전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전환단계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롤러부(20)의 후방에 상기 제1지지대(31)를 인접하게 배치하고,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의 일측면에 결합된 상기 하부프레임(51)이 수직으로 배치된 상기 제2지지대(32)에 대면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을 상기 제1지지대(31)의 상부로 밀어 넣어 상기 하부프레임(51)이 수직으로 배치된 상기 제2지지대(32)에 접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전환부재(30)를 상기 제2이송롤러부(40)가 배치된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상기 제2지지대(32)가 상기 제2이송롤러부(40)의 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을 90도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방향전환부재(30)의 90도 회전에 의해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은 상기 제2지지대(32)의 상부에 놓이게 된다.
그 후 상기 제2지지대(32)의 상부에 놓인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을 상기 제2이송롤러부(40)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킨다.
상기 제2이송단계에서는, 상기 방향전환부재(30)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제2이송롤러부(40)를 이용하여 상기 방향전환부재(30)에 의해 90도 회전된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2조립단계는 상기 회전단계에 의해 상기 하부프레임(51)이 하부에 배치되도록 회전된 상기 권선본체유닛(10)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52)과 측면연결프레임(53)을 결합시켜 권선조립체(60)를 완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제2조립단계에서는 도 6에 도시된 고정프레임(50)을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의 상부에 상기 상부프레임(52)을 결합시키고,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의 측면에 측면연결프레임(53)을 결합시켜 상기 권선조립체(60)를 완성하게 된다.
상기 제2조립단계에서는, 상기 코어(11)의 상부에 상기 상부프레임(52)을 결합시키고, 상기 측면연결프레임(53)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프레임(51)과 상기 상부프레임(52)을 고정 결합시킨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중량의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의 하부, 상부 및 측면에 상기 고정프레임(50)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제2조립단계에 의해 조립된 상기 권선조립체(60)를 건조로에 투입하여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단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절연지가 수축되면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은 일부 수축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조정단계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단계에 의해 건조되면서 수축된 상기 권선본체유닛(10)에,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52)을 하강시켜 상기 상부프레임(52)의 하면이 상기 권선본체유닛(10)에 밀착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상기 프레임조정단계에 의해, 상기 건조단계에서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이 일부 수축되더라도, 상기 고정프레임(50)이 상기 권선본체유닛(10)에 밀착 결합되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상기 고정프레임(50)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51)과, 상부프레임(52)과, 측면연결프레임(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프레임(51)은 상기 제1조립단계에서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프레임(52)은 상기 제2조립단계에서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측면연결프레임(53)은 상기 제2조립단계에서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의 측면에 배치되면서 상기 하부프레임(51)과 상부프레임(52)을 연결하여 결합시킨다.
상기 하부프레임(51)은 상기 측면연결프레임(53)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상부프레임(52)은 상기 측면연결프레임(53)에 대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프레임(52)이 상기 측면연결프레임(5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서, 상술한 프레임조정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측면연결프레임(53)에는 전산볼트(53a)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52)에는 상기 전산볼트(53a)의 상단이 관통하는 브라켓(52a)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52a)에는 상기 전산볼트(53a)의 상단이 관통하는 제2장공(52b)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장공(52b)을 관통한 상기 전산볼트(53a)는 상기 제2장공(52b)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측면연결프레임(53)과 상기 상부프레임(52)과의 거리가 조절되게 된다.
상기 브라켓(52a)을 관통한 상기 전산볼트(53a)의 상단에는 체결너트(54)가 체결된다.
상기 전산볼트(53a)의 상단에 결합된 상기 체결너트(54)의 회전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연결프레임(53)에 대하여 상기 상부프레임(52)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된다.
즉, 상기 측면연결프레임(53)의 하부를 상기 하부프레임(51)에 고정시키고, 상기 전산볼트(53a)의 상단이 상기 제2장공(52b)을 관통하고 상기 체결너트(54)가 상기 전산볼트(53a)의 상단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너트(54)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체결너트(54)는 상기 브라켓(52a)이 결합된 상기 상부프레임(52)을 하방향으로 밀어 하강하게 한다.
위와 같은 상기 체결너트(54)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프레임조정단계에서는 상기 상부프레임(52)의 하면이 수축된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프레임(52)의 하부는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의 상면과 접하고, 상기 브라켓(52a)의 하면과 상기 측면연결프레임(53)의 상단은 상호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전산볼트(53a)에 결합된 상기 체결너트(5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프레임(52)은 하강하면서 하면이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밀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측면연결프레임(53)에는 상하방향으로 긴 제1장공(53b)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장공(53b)에는 고정볼트(55)가 삽입되어 끝단이 상기 상부프레임(52)에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볼트(55)에 의해 상기 상부프레임(52)이 상기 측면연결프레임(53)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볼트(55)의 회전시 상기 전산볼트(53a)의 상단은 상기 제2장공(52b)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너트(5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프레임(52)의 승강시, 상기 고정볼트(55)는 상기 제1장공(53b)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중량의 권선본체유닛(10)의 둘레에 상기 고정프레임(50)을 쉽게 조립하여 결합시킬 수 있고, 상기 고정프레임(50)의 조립 후 상기 고정프레임(50)의 상부프레임(52)을 하강시킬 수 있어 상기 상부프레임(52)이 상기 권선본체유닛(10)의 상면에 항상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변압기용 권선조립체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권선본체유닛, 11 : 코어, 12 : 코일,
20 : 제1이송롤러부,
30 : 방향전환부재, 31 : 제1지지대, 32 : 제2지지대,
40 : 제2이송롤러부,
50 : 고정프레임,
51 : 하부프레임,
52 : 상부프레임, 52a : 브라켓, 52b : 제2장공,
53 : 측면연결프레임, 53a : 전산볼트, 53b : 제1장공,
54 : 체결너트, 55 : 고정볼트,
60 : 권선조립체.

Claims (7)

1개의 코어 양측에 절연지가 포함된 2개의 코일을 결합시켜 권선본체유닛을 형성하는 권선본체형성단계와;
상기 권선본체유닛에 하부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제1조립단계와;
상기 하부프레임이 결합된 상기 권선본체유닛을 회전시켜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기 권선본체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회전단계와;
회전된 상기 권선본체유닛의 상부에 상부프레임을 결합시키고, 상기 권선본체유닛의 측면에 측면연결프레임을 결합시켜 권선조립체를 완성하는 제2조립단계와;
상기 제2조립단계에 의해 조립된 상기 권선조립체를 건조로에 투입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에 의해 건조되면서 수축된 상기 권선본체유닛에 상기 상부프레임을 하강시켜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면이 상기 권선본체유닛에 밀착되도록 하는 프레임조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조립단계에서는,
조립이 완성된 상기 권선조립체의 배치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코어의 상부와 하부가 양 측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의 일측면에 상기 하부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끼워 결합시키고,
상기 회전단계에서는,
상기 하부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일측면에 결합된 상기 권선본체유닛을 상하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상기 코어의 일측면에 결합된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기 권선본체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제2조립단계에서는,
상기 코어의 상부에 상기 상부프레임을 결합시키고, 상기 측면연결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고정 결합시키고,
상기 회전단계는,
제1이송롤러부의 상부에 놓인 상기 권선본체유닛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단계와;
상기 제1이송롤러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가 수직으로 결합되어 '└'형상을 갖는 방향전환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권선본체유닛을 90도 회전시키는 방향전환단계와;
상기 방향전환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제1이송롤러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2이송롤러부를 이용하여 상기 방향전환부재에 의해 90도 회전된 상기 권선본체유닛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향전환단계에서는,
상기 제1이송롤러부의 후방에 상기 제1지지대를 인접하게 배치하고 상기 권선본체유닛의 일측면에 결합된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기 제2지지대에 대면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권선본체유닛을 상기 제1지지대의 상부로 밀어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기 제2지지대에 접하도록 한 후, 상기 방향전환부재를 상기 제2이송롤러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상기 제2지지대가 상기 제2이송롤러부의 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권선본체유닛을 90도 회전시키고, 상기 방향전환부재의 90도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지지대의 상부에 놓인 상기 권선본체유닛을 상기 제2이송롤러부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권선조립체의 제조방법.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KR1020200119644A 2020-09-17 2020-09-17 변압기용 권선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2229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644A KR102229629B1 (ko) 2020-09-17 2020-09-17 변압기용 권선조립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644A KR102229629B1 (ko) 2020-09-17 2020-09-17 변압기용 권선조립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629B1 true KR102229629B1 (ko) 2021-03-18

Family

ID=75232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644A KR102229629B1 (ko) 2020-09-17 2020-09-17 변압기용 권선조립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6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542B1 (ko) 2006-07-31 2007-03-23 신성공업주식회사 변압기 제조장치
JP2008297066A (ja) * 2007-05-31 2008-12-11 Miyagawa Koki Co Ltd 角材横移送装置及び角材取り出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542B1 (ko) 2006-07-31 2007-03-23 신성공업주식회사 변압기 제조장치
JP2008297066A (ja) * 2007-05-31 2008-12-11 Miyagawa Koki Co Ltd 角材横移送装置及び角材取り出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957430U (zh) 一种变压器铁芯片叠片机构
US9129739B2 (en) Resin-molded stereo wound-core dry-type amorphous alloy transformer
US20130162381A1 (en) Oil immersed stereo wound-core amorphous alloy transformer
CN103563035A (zh) 接地开关
KR101115433B1 (ko) 고압 전력용 콘덴서 직렬 건식 몰드 리액터
KR100805921B1 (ko) 변압기용 코일지지 프레임 구조
KR102229629B1 (ko) 변압기용 권선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2229632B1 (ko) 승강형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변압기용 권선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1481057B1 (ko) 유전위 컴팩트 주상변압기 제조방법
KR20130029761A (ko) 변압기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201075337Y (zh) 变压器器身整体套装及压紧用装置
WO2014066075A1 (en) Transformer having an interlocking core frame
CN208938784U (zh) 一种新型立体三角形铁芯变压器抗短路结构
CN205335042U (zh) 穿绕硅钢带磁芯的电力变压器
CN214624711U (zh) 一种改进型防涡流骨架
CN106416427B (zh) 双面平板型电感组件
CN201927457U (zh) 一种百万千瓦级核电站主变压器
CN206379263U (zh) 一种贴片变压器
CN208077767U (zh) 一种电工层压木加工的变压器铁轭绝缘结构
CN105655108A (zh) 穿绕硅钢带磁芯的电力变压器及其制作方法
JPS5826646B2 (ja) 静止誘導電器の組立方法
CN204067012U (zh) 一种at供电卷铁芯自耦变压器器身结构
CN216287913U (zh) 一种隔爆防爆型高安全变压器铁芯
CN214152665U (zh) 一种具有铁芯绝缘结构的干式变压器
CN217306248U (zh) 一种可快速拼装的干式变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