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604B1 -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분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분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604B1
KR102227604B1 KR1020190059163A KR20190059163A KR102227604B1 KR 102227604 B1 KR102227604 B1 KR 102227604B1 KR 1020190059163 A KR1020190059163 A KR 1020190059163A KR 20190059163 A KR20190059163 A KR 20190059163A KR 102227604 B1 KR102227604 B1 KR 102227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sample
medical diagnosis
abnormal cells
cel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3898A (ko
Inventor
권영일
Original Assignee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59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604B1/ko
Publication of KR20200133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24Cell structures in vitro; Tissue sections in vitr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04Mark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41Med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분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분석장치는, 슬라이드상의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를 촬영한 촬영 영상을 의료진단용 세포검체의 검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수신한 촬영 영상에 포함되는 복수의 구획 영역을 근거로 의료진단용 세포검체 내의 이상 세포를 검사하며, 이상 세포가 발견되는 구획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마킹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분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Analyzing Clinical Specimen for Medical Diagnosis}
본 발명은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분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슬라이드상의 세포검체에 대한 촬영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획하여 분획된 영역을 통해 이상 세포의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분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강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신체에서 탈락된 세포를 검사를 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방법이다.
보다 정밀한 검사를 위해 현미경을 이용해 신체에서 탈락된 세포를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기도 하는데, 현미경 방법을 이용하여 정상세포와 비정상세포를 감별하는 이 검사방법은 진단에서 매우 중요하다.
세포를 검사하기 위하여 샘플을 적체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가 사용되며, 종래 슬라이드는 투명하고 얇은 판재로 구성된 슬라이드와 슬라이드커버로 구성되며 슬라이드와 슬라이드커버 사이에 세포 검체를 도말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를 이용해 세포를 검사를 하는 경우 시험자가 현미경을 통해 육안으로 샘플에 포함된 세포들을 감별하게 되는데 이상 세포 감별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관찰자가 동일한 세포를 관찰하게 된다.
이때 시험자는 일정 시간 후에 혹은 재판독하거나 다른 시험자가 확인하고자 할 때 이전 이상세포를 검경한 구획을 정확히 찾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거나 혹은 다른 세포를 검경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4579(2008.04.2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50225호(2015.08.31)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1-160310(2000.12.12)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슬라이드상의 세포검체에 대한 촬영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획하여 분획된 영역을 통해 이상 세포를 검출하도록 하는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분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분석장치는, 슬라이드상의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를 촬영한 촬영 영상을 상기 의료진단용 세포검체의 검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촬영 영상에 포함되는 복수의 구획 영역을 근거로 상기 의료진단용 세포검체 내의 이상 세포를 검사하며, 상기 이상 세포가 발견되는 구획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마킹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마킹 동작을 위하여 상기 이상 세포가 발견되는 촬영 영상의 구획 영역에 매칭시켜 식별 마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료진단용 세포검체에 대한 검사 결과를 모니터의 화면에 표시할 때, 상기 저장한 식별 마킹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마킹 동작을 위해 상기 이상 세포의 발견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검사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검사장치에서 상기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슬라이드상에 표식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복수의 구획 영역에 상응하는 구획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획 라인이 포함되는 상기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구획 영역에 대한 상기 이상 세포를 검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촬영 영상에 지정 방식에 따라 상기 구획 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한 구획 영역에 대한 이상 세포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분석장치의 구동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분석장치로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슬라이드상의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를 촬영한 촬영 영상을 상기 의료진단용 세포검체의 검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촬영 영상에 포함되는 복수의 구획 영역을 근거로 상기 의료진단용 세포검체 내의 이상 세포를 검사하며, 상기 이상 세포가 발견되는 구획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마킹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식별 마킹 동작을 위하여 상기 이상 세포가 발견되는 촬영 영상의 구획 영역에 매칭시켜 식별 마킹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의료진단용 세포검체에 대한 검사 결과를 모니터의 화면에 표시할 때, 상기 저장한 식별 마킹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식별 마킹 동작을 위해 상기 이상 세포의 발견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검사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검사장치에서 상기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슬라이드상에 표식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복수의 구획 영역에 상응하는 구획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식별 마킹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구획 라인이 포함되는 상기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구획 영역에 대한 상기 이상 세포를 검사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수신한 촬영 영상에 지정 방식에 따라 상기 구획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식별 마킹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한 구획 영역에 대한 이상 세포를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상에 놓인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를 촬영한 촬영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이상 세포의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상 세포가 발견되는 영역에 전자적으로 식별정보를 매칭시키거나 슬라이드상에 에칭과 같은 표식을 통해 이상세포 발견 위치를 마킹함으로써 세포검체 판독 시 앞선 판독자가 판독한 세포를 재판독하거나 다른 시험자가 추가로 확인하는 것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검체분석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세포검체분석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검체분석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슬라이드상의 세포검체를 촬영한 촬영 영상의 구획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의 세포검체분석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검체분석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진단용 세포검체(예: 자궁경부검사 등) 검사용 슬라이드는 의료진단용 세포검체 샘플 성분의 관찰과 의료진단용 세포검체 샘플에 포함된 특정 세포검체를 판독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검체분석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검체분석시스템(90)은 세포검체 검사용 슬라이드(100), 검사장치(110) 및 세포검체분석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사내망 또는 근거리 통신망 등의 통신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세포검체분석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가 검사장치(110)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검체 검사용 슬라이드(100)는 의료진단용 세포검체 샘플이 로딩되는 슬라이드와, 세포검체 샘플이 로딩된 슬라이드를 상면에서 덮는 커버글라스를 포함한다. 또한, 슬라이드와 커버글라스 중 적어도 하나의 판면에는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되는 카운팅그리드가 형성되고, 카운팅그리드에 의해 구획된 구역에는 식별마킹이 부여될 수 있다. 여기서, 카운팅그리드는 가령 슬라이드의 일면을 매트릭스 즉 행렬 형태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한 것을 의미하며, 그 카운팅그리드상에는 숫자와 같은 식별정보가 표기될 수 있다. 물론 식별정보 즉 식별마킹은 문자, 숫자, 기호, 그림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순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운팅그리드는 표식에 의해 판면을 긁어 판면을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물론 표식은 에칭을 통한 식각이 아닌 잉크를 사용해 구획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슬라이드나 커버글라스는 유리기판이나 석영기판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검사장치(110)는 도 1에서와 같은 현미경 등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현미경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현미경의 기능을 갖는 별도의 전용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현미경은 세포검체를 단순히 확대하여 볼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면, 전용장치는 그 이외에 세포검체 검사용 슬라이드(100)상에 이상 세포의 발견에 대한 위치를 마킹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검사장치(110)는 세포검체 검사용 슬라이드(100)상의 세포검체가 확대되었을 때, 확대된 세포검체의 모습을 촬영하는 카메라(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장치(110)상에 세포검체 검사용 슬라이드(100)가 재물대에 비치되고, 시험자 가령 임상 병리사는 접안 렌즈에 눈을 대고 확대된 화면을 통해 세포검체의 모습을 확인해 본 후, 확대된 상태의 세포검체를 촬영할 수 있다. 즉 카메라(111)를 동작시킨다. 이와 같이 촬영된 세포검체의 촬영 영상은 세포검체분석장치(120)로 전송된다. 도 1에서는 세포검체 검사용 슬라이드(100)의 슬라이드나 커버글라스의 일측 판면에 카운팅그리드를 형성한 채 검사장치(110)의 재물대에 로딩되므로, 촬영된 촬영 영상에는 카운팅그리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포검체분석장치(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세포검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여기서, 분석이라 함은 이상 세포를 판독하고 그 위치가 식별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세포검체분석장치(120)는 임상 병리사, 의사 등의 시험자가 분획된 카운팅그리드의 식별마킹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때, 이를 촬영된 촬영 영상의 각 영역에 표식할 수 있다. 물론 이는 검사장치(110)를 통해 시험자가 접안 렌즈를 통해 이상 세포를 검사하는 것을 가정한 것이다. 여기서, 표식은 가령 세포검체의 대상자인 환자의 담당 의사가 검사 결과를 요청할 때, 해당 검사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식을 통해 모니터에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이므로, 다양한 형태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시험자는 세포검체분석장치(120)로 이상 세포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음성명령어 즉 식별마킹된 숫자를 발화하는 등의 동작을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세포검체분석장치(120)는 위에서와 같이 오프라인 상에서 시험자자 요청하여 이상 세포에 대한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을 이용한 딥러닝 등의 동작을 통해 이상 세포를 검색하고 이를 위하여 위치를 파악해 마킹할 수 있다. 가령, 세포검체분석장치(120)는 정상 세포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저장한 정상 세포 데이터와 촬영된 촬영 영상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간단하게 이상 세포의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비교는 촬영 영상 내의 카운팅그리드 및 식별마킹을 근거로 순서대로 수행하거나 일괄적으로 수행하여 이상 세포가 발견된 위치에 마킹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의 마킹은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수행하는 것이지만, 해당 정보는 위에서와 같이 환자의 담당 의사가 요청할 때, 모니터상에서 화면에 시각적으로 나타나야 하는 것은 자명하다. 물론 이상 세포의 위치를 화면에 표시해 주는 방법은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겠지만, 영역 내에 √와 같은 기호를 삽입해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이상 세포의 위치에 대한 숫자가 기록된 목록을 화면상에 제공해주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검체분석장치(120)는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 웨어러블장치(예: 국내S사의 갤럭시*어 등) 등을 포함하며, 세포검체분석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전용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의 장치들은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세포검체분석을 위하여 별도의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모바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포함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세포검체분석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검체분석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제어부(210), 세포검체분석부(220) 및 저장부(2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2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세포검체분석부(2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2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도 1의 검사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한다. 가령, 검사장치(110)로부터 재물대에 놓인 세포검체 검사용 슬라이드(100)를 촬영 또는 확대 촬영한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제어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세포검체분석장치(120)를 통해 검사된 이상 세포의 발견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세포검체 대상자인 환자의 담당 의사가 요청할 때 제공하게 된다. 이와 관련해서는 화면상에 다양한 시각적인 표식을 통해 제공될 수 있음을 이미 기술한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병원 등의 내부 통신망, 가령 인트라넷을 통해 검사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병원 등의 운영서버가 외부에서 운용되는 경우에는 통신사의 외부 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도 2의 세포검체분석장치(12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세포검체분석부(220) 및 저장부(230)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담당한다. 제어부(2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를 통해 검사장치(110)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이 제공되는 경우 해당 촬영 영상을 세포검체분석부(220)에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세포검체분석부(220)에서 데이터의 저장을 요청하는 경우, 저장부(230)에 데이터를 분류하여 저장하거나,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를 제어하여 별도의 DB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이 필요한 이유는 통상 비정상세포를 감별해 내는 데에는 한 사람의 관찰자만이 판독하는 것이 아니고 복수의 관찰자가 검경한 후 세포의 비정상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때 수많은 검체세포 중 비정상 세포가 위치하는 구획을 마킹하면 재판독하거나 다른 관찰자가 그 위치를 정확히 찾아 해당세포의 비정상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 정확성과 효율성을 위해 필요하기 때문이다.
세포검체분석부(220)는 수신된 촬영 영상, 정확하게는 검사장치(110)에서 전송한 세포검체의 촬영 영상 또는 세포검체를 확대한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촬영 영상을 분석한다. 물론 세포검체분석부(220)는 다양한 형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장치(110)를 통해 임상 병리사 등의 시험자가 카운팅그리드로 구획된 영역 내의 식별마킹을 따라 순서대로 검사를 수행하던 중, 특정 영역에서 이상 세포를 발견하면, 해당 영역의 식별마킹을 가령 음성 명령어로 발화하게 되면, 세포검체분석부(220)는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예: 음성수신부 등)를 통해 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음성 인식을 통해 인식된 숫자에 해당하는 촬영 영상의 상응하는 구역에 마킹을 하는 것이다. 상기한 내용에 근거해 볼 때, 세포검체분석부(220)는 음성인식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세포검체분석부(220)는 시험자가 접안 렌즈에 눈을 대고 검사를 직접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세포검체의 정상 세포 등과 관련한 기설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촬영 영상 내의 세포를 비교하여 이상 세포를 발견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과정은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등의 딥러닝 동작을 통해 분석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분석을 수행하고, 이상 세포가 촬영 영상의 특정 구역에서 발견되면 해당 구역에 매칭시켜 식별 기호나 워터마킹 등의 다양한 식별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세포검체에 대한 검사 결과를 환자의 담당 의사가 요청할 때 이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촬영 영상의 복수의 영역에 상응하여 저장되는 식별 기호는 다양한 형태로 저장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저장부(230)는 제어부(210)의 제어하에 다양한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라 함은 간단한 요청이나 응답과 같은 제어신호를 의미하지만, 데이터는 촬영 영상에서 화면을 구성하는 실질적인 적(R), 녹(G), 청(B)의 화소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가령 제어부(210)의 제어하에 통신 인터페이스부(200)에서 제공하는 검사장치(110)의 촬영 영상을 제공받아 저장부(230)에 저장한 후 불러내어 세포검체분석부(22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CPU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CPU와 메모리는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한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담당하며, 연산부는 2진 비트정보의 연산 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컴파일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메모리는 램(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CPU는 가령 도 2의 세포검체분석장치(120)의 초기 동작시에 세포검체분석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 및 로딩하여 메모리에 저장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검체분석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슬라이드상의 세포검체를 촬영한 촬영 영상의 구획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검체분석시스템(190)은 세포검체 검사용 슬라이드(300), 검사장치(310) 및 세포검체분석장치(3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크게 다르지 않다.
도 1의 세포검체분석시스템(90)과 비교해 볼 때, 도 3의 세포검체분석시스템(190)은 세포검체 검사용 슬라이드(300)가 도 1의 세포검체 검사용 슬라이드(100)와 같이 카운팅그리드와 식별마킹이 없고, 또한 도 3의 검사장치(310)의 경우에는 세포검체 검사용 슬라이드(100)상에 표식 등을 통해 이상 세포의 발견 위치를 표식하기 위한 표식장치(혹은 마킹장치)(313)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표식은 에칭 또는 레이저로 가공되어 형성되거나 색상을 가진 잉크로 프린팅하여 형성되거나, 워터마크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검사장치(310)는 세포검체 검사용 슬라이드(300)가 재물대에 놓이면 시험자는 세포검체 검사용 슬라이드(300)상의 세포검체를 촬영하거나 확대 촬영하여 세포검체분석장치(3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세포검체분석장치(320)는 도 4에서와 같이 촬영 영상을 복수의 영역(400)으로 구분하여 가령 매트릭스를 구획하고, 해당 영역을 중심으로 이상 세포를 검사하여 이상 세포가 발견되면 해당 영역에 식별마킹(410)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다.
이러한 식별마킹(410)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촬영 영상을 통해서는 도 4에서와 같이 해당 영역에 가령 숫자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환자의 담당 의사가 세포검체의 검사 결과를 불러내어 화면에 표시할 때 보여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과정은 검사장치(310)에서 식별마킹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가령, 세포검체분석장치(320)는 이상 세포가 특정 영역에서 발견되면 해당 영역에서 이상 세포가 발견되었음을 검사장치(310)로 통지할 수 있다. 물론 통지는 특정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사장치(310)는 세포검체분석장치(320)에서 제공된 이상 세포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세포검체 검사용 슬라이드(300)의 일면, 더 정확하게는 커버글라스의 상면에 레이저 등을 조사하거나 표식 동작을 수행해 식별마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레이저 조사나 표식은 표식장치(313)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검사장치(310)는 기설정된 구획 정보, 가령 좌표값을 근거로 이상 세포의 발견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카운팅그리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검사장치(310)는 세포검체 검사용 슬라이드(300)의 세포검체 검사 영역에 대한 복수의 영역을 가상으로 구획할 수 있고, 또 그 구획된 영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좌표값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물론 각 영역은 4개의 좌표값을 통해 영역이 구획될 수 있다. 따라서, 세포검체분석장치(320)에서 이상 세포에 대한 위치 정보를 좌표값의 형태로 전송하며, 검사장치(310)는 해당 좌표값이 어느 영역에 해당되는 좌표값인지 확인한 후, 확인 결과를 근거로 4개의 좌표값으로 구획된 해당 영역을 표식하여 마킹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자의 담당 의사는 세포검체의 이상 세포를 다시 검사하기 위하여 세포검체 검사용 슬라이드(300)상에 가령 표식에 의해 마킹된 식별마킹을 다시 확인하여 이상 세포 여부 및 상태를 최종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물론 앞서 언급한 대로, 세포검체분석장치(320)는 이상 세포의 검사를 위하여 딥러닝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발견된 이상 세포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검사장치(310)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5는 도 3의 세포검체분석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세포검체분석장치(3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제어부(510), 세포검체분석 및 마킹처리부(520), 그리고 저장부(5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도 2의 세포검체분석장치(120)와 비교해 볼 때, 도 5의 세포검체분석장치(320)는 도 1에서와 같이, 분획된 카운팅그리드를 갖는 세포검체 검사용 슬라이드(100)를 사용하지 않는 관계로, 촬영 영상이 수신되면 해당 촬영 영상에 지정된 방식에 따라 영역을 직접 구획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세포검체분석장치(320)는 수신된 촬영 영상에서 영역이 구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먼저 판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영역이 구획되지 않았을 때 영상 분석에 앞서 먼저 구획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그리고, 세포검체분석장치(320)는 구획이 완료되면 영역별로 순서대로, 물론 순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지만, 기저장된 정상 세포와의 데이터 비교를 통해 특정 영역에서 이상 세포가 발견되는지를 분석한다. 이의 과정에서 물론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딥러닝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딥러닝은 단순히 빅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이상 세포의 검사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 이외에, 예측이 가능할 수 있다는 데에 그 중요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가령 이상 세포의 개수나 분포도 등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예측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무엇보다 도 5의 세포검체분석 및 마킹처리부(520)는 이상 세포의 해당 검사 결과를 가령 식별정보로서 촬영 영상에 직접 매칭시켜 저장한 후, 담당 의사의 요청에 따라 촬영 영상을 제공할 수 있지만, 그러한 방식으로 제공하기보다는 검사장치(310)에서 표식 등을 통해 세포검체 검사용 슬라이드(300)상에 직접 이상 세포의 위치를 표기 즉 마킹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령 세포검체 검사용 슬라이드(300)상에는 특정 영역에만 카운팅그리드가 형성되어 있고, 담당 의사는 해당 영역만 재차 확인함으로써 검사 오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임상 병리사 등의 시험자의 주관적인 오류를 최대한 배제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상기한 내용들을 제외하면, 도 5의 세포검체분석장치(32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제어부(510), 세포검체분석 및 마킹처리부(520) 및 저장부(530)는 도 2의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제어부(210), 세포검체분석부(220) 및 저장부(230)의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검체분석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검체분석장치(120)는 슬라이드상의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를 촬영한 촬영 영상을 의료진단용 세포검체의 검사장치(110)로부터 수신한다(S600). 물론 이때의 촬영 영상은 도 1에서와 같이, 카운팅그리드를 함께 포함할 수 있지만, 도 3에서와 같이 카운팅그리드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세포검체분석장치(120)는 수신한 촬영 영상에 포함되는 복수의 구획 영역을 근거로 의료진단용 세포검체 내의 이상 세포를 검사하며, 이상 세포가 발견되는 구획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마킹 동작을 수행한다(S610).
여기서, 마킹하는 방식은 앞서 도 1에서와 같이, 촬영 영상의 구획 영역에 매칭시켜 마킹 정보를 저장한 후, 환자의 담당 의사가 요청할 때, 해당 촬영 영상과 함께 마킹 정보를 화면에 표시해 주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담당 의사가 촬영 영상과 가령 그 촬영 영상에 함께 표시되는 마킹 정보를 근거로 이상 세포를 재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가령 도 3의 세포검체 검사용 슬라이드(300)를 통해 직접 확인하도록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촬영 영상의 구획 영역을 근거로 이상 세포를 검사한 후, 이상 세포가 발견되면 발견된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도 3의 검사장치(310)로 제공하여 세포검체 검사용 슬라이드(300)상에 표식 등을 통해 식별마킹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를 통해 재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세포검체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되, 세포검체의 검사나 판독의 정확도 등을 위해 촬영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구획한 복수의 영역을 통해 이상 세포에 대한 식별마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 기타 자세한 내용은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300: 세포검체 감사용 슬라이드 110, 310: 검사장치
111, 311: 카메라 120, 320: 세포검체분석장치
200, 500: 통신 인터페이스부 210, 510: 제어부
220: 세포검체분석부 230, 530: 저장부
313: 표식장치 520: 세포검체분석 및 마킹처리부

Claims (7)

  1. 슬라이드상의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를 촬영한 촬영 영상을 상기 의료진단용 세포검체의 검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촬영 영상에 포함되며 순서를 갖는 식별마킹이 표기되는 복수의 구획 영역을 근거로 상기 의료진단용 세포검체 내의 이상 세포를 검사하며, 상기 이상 세포가 발견되는 구획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마킹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마킹 동작을 위하여 상기 이상 세포가 발견되는 촬영 영상의 구획 영역에 매칭시켜 식별 마킹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포검체를 확인하는 시험자가 상기 복수의 구획 영역 내의 식별마킹을 따라 순서대로 검사를 진행하던 중 시험자가 이상 세포가 발견되는 영역의 식별마킹을 음성 명령어로 발화할 때 음성 인식을 통해 인식된 식별마킹에 해당하는 촬영 영상의 상응하는 구획 영역에 마킹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포검체의 대상자인 환자의 담당 의사가 요청하여 상기 의료진단용 세포검체에 대한 검사 결과를 모니터의 화면에 표시할 때, 상기 저장한 식별 마킹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마킹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상기 이상 세포의 위치에 대한 숫자가 기록된 목록을 화면상에 제공하는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분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분석장치로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슬라이드상의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를 촬영한 촬영 영상을 상기 의료진단용 세포검체의 검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촬영 영상에 포함되며 순서를 갖는 식별마킹이 표기되는 복수의 구획 영역을 근거로 상기 의료진단용 세포검체 내의 이상 세포를 검사하며, 상기 이상 세포가 발견되는 구획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마킹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식별 마킹 동작을 위하여 상기 이상 세포가 발견되는 촬영 영상의 구획 영역에 매칭시켜 식별 마킹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세포검체를 확인하는 시험자가 상기 복수의 구획 영역 내의 식별마킹을 따라 순서대로 검사를 진행하던 중 시험자가 이상 세포가 발견되는 영역의 식별마킹을 음성 명령어로 발화할 때 음성 인식을 통해 인식된 식별마킹에 해당하는 촬영 영상의 상응하는 구획 영역에 마킹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세포검체의 대상자인 환자의 담당 의사가 요청하여 상기 의료진단용 세포검체에 대한 검사 결과를 모니터의 화면에 표시할 때, 상기 저장한 식별 마킹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식별 마킹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상기 이상 세포의 위치에 대한 숫자가 기록된 목록을 화면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분석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90059163A 2019-05-21 2019-05-21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분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227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163A KR102227604B1 (ko) 2019-05-21 2019-05-21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분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163A KR102227604B1 (ko) 2019-05-21 2019-05-21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분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898A KR20200133898A (ko) 2020-12-01
KR102227604B1 true KR102227604B1 (ko) 2021-03-12

Family

ID=7379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163A KR102227604B1 (ko) 2019-05-21 2019-05-21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분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6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2190A (ja) * 2000-11-03 2008-05-15 Cytyc Corp 細胞をイメージング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1064602A (ja) 2009-09-17 2011-03-31 Sysmex Corp 細胞画像表示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4504763A (ja) 2011-01-18 2014-02-24 コンスティテューション・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顕微鏡スライドの座標系の位置合わせ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0310A (ja) 1997-11-27 1999-06-18 Kurabo Ind Ltd 血球計算板
KR20060085714A (ko) * 2005-01-25 2006-07-28 김희찬 바이오-셀 칩의 제작 방법 및 그의 형상
KR20080034579A (ko) 2006-10-17 2008-04-22 (주)아이앤에스인더스트리 네트워크 방식의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실시간 원격 진단및 검사 시스템
KR101550225B1 (ko) 2014-04-04 2015-09-07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인공지능 병리 번호 인식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2190A (ja) * 2000-11-03 2008-05-15 Cytyc Corp 細胞をイメージング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1064602A (ja) 2009-09-17 2011-03-31 Sysmex Corp 細胞画像表示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4504763A (ja) 2011-01-18 2014-02-24 コンスティテューション・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顕微鏡スライドの座標系の位置合わ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898A (ko)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804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sessing histological stains
US105850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ematologic analysis using an array-imaging system for imaging and analysis of a centrifuged analysis tube
JP4772153B2 (ja) 画像生成システム内のサンプル中の対象領域の位置を検証する装置および方法
CN103885168B (zh) 用于显微镜装置的自校准的方法
US11333658B2 (en) Urine test strip comprising timer,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analyzing urine test strip
US9760760B2 (en) Histology recognition to automatically score and quantify cancer grades and individual user digital whole histological imaging device
US20210123839A1 (en) Assessment and Control of Reagents in Automated Slide Preparation
JP2003513251A5 (ko)
US20210082570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ai) powered analysis of objects observable through a microscope
JP2022510375A (ja) 液位決定方法
JP5217793B2 (ja) データの精度を向上する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システム
US11865537B2 (en) Portable digital diagnostic device
JP7127288B2 (ja) 呈色反応観察補助システム、呈色反応観察補助方法及びプログラム
Gonzalez et al. Clinical update on home testing for male fertility
CN115170629A (zh) 一种伤口信息获取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2028309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erforming an analytical measurement
CN102084399B (zh) 通过虚拟分析板进行的试样细胞分析方法
WO2013090567A2 (en) Immunohistochemical validation devices and methods
KR102227604B1 (ko) 의료진단용 세포검체분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2021107810A (ja) 検査室自動化システムでの使用に対する、試料管の適合性を評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1753633A (zh) 目标检测方法及装置
RU2330265C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микроскопического исследования образца
KR102151469B1 (ko) 의료진단용 세포검체 검사장치
US11327024B2 (en) Learning model preparation method, image processing method, learning model preparation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22201417A1 (ja) 検査支援装置、検査支援方法、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