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602B1 - 새싹재배기 - Google Patents

새싹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602B1
KR102227602B1 KR1020200124065A KR20200124065A KR102227602B1 KR 102227602 B1 KR102227602 B1 KR 102227602B1 KR 1020200124065 A KR1020200124065 A KR 1020200124065A KR 20200124065 A KR20200124065 A KR 20200124065A KR 102227602 B1 KR102227602 B1 KR 102227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upply pipe
sprout
steam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태식
Original Assignee
한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태식 filed Critical 한태식
Priority to KR1020200124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9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새싹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새싹재배기에 있어서, 상기 새싹재배기는 내부가 격벽에 의해 4공간으로 분할된 드럼, 상기 드럼으로 물 또는 소독용스팀을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이 상기 새싹재배기가 회전함에 있어서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로터리조인트, 상기 로터리조인트와 같이 설치되어 전기배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슬립링, 상기 슬립링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드럼외주면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재배되는 새싹의 성장에 필요한 빛을 LED램프를 통해 제공하는 광원램프, 상기 공급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노즐, 외부에 설치되는 냉온풍기로부터 20℃ 내지 30℃로 조절된 공기를 전달받는 흡기구, 싱기 흡기구에 전달된 공기를 드럼 내부공간으로 전달하는 타공망, 상기 타공망을 통해 전달된 공기가 상기 드럼에서 순환된 후 배출되는 배기구, 상기 드럼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회전가이드, 상기 회전가이드에 맞물려 드럼이 회전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롤러부재, 상기 회전가이드 중 어느하나에 맞물려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상기 롤러부재, 상기흡기구 및 구동모터가 고정되는 인스톨프레임, 상기 인스톨프레임과 고정경첩으로 한쪽만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인스톨프레임 하부에 연결되어 설치된 드럼을 경사지도록 들어올리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여 새싹의 생장단계에 따른 적정수분량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밸브와 충분한 광량을 제공하여 다양한 종류의 고품질 새싹을 생산하는 새싹재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새싹재배기{.}
본 발명은 새싹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새싹재배기에 있어서, 상기 새싹재배기는 내부가 격벽에 의해 4공간으로 분할된 드럼, 상기 드럼으로 물 또는 소독용스팀을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이 상기 새싹재배기가 회전함에 있어서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로터리조인트, 상기 로터리조인트와 같이 설치되어 전기배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슬립링, 상기 슬립링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드럼외주면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재배되는 새싹의 성장에 필요한 빛을 LED램프를 통해 제공하는 광원램프, 상기 공급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노즐, 외부에 설치되는 냉온풍기로부터 20℃ 내지 30℃로 조절된 공기를 전달받는 흡기구, 싱기 흡기구에 전달된 공기를 드럼 내부공간으로 전달하는 타공망, 상기 타공망을 통해 전달된 공기가 상기 드럼에서 순환된 후 배출되는 배기구, 상기 드럼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회전가이드, 상기 회전가이드에 맞물려 드럼이 회전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롤러부재, 상기 회전가이드 중 어느하나에 맞물려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상기 롤러부재, 상기흡기구 및 구동모터가 고정되는 인스톨프레임, 상기 인스톨프레임과 고정경첩으로 한쪽만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인스톨프레임 하부에 연결되어 설치된 드럼을 경사지도록 들어올리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묘상자는 볍씨를 파종하여 어린 모로 키워 이양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일정한 규격의 판에 상토를 채운 다음 그 위에 볍씨를 파종하고, 볍씨를 복토한 후, 볍씨에 대한 출아조건(수분, 온도, 영양분)을 유지시키면 씨앗에서 새싹이 나오고 모로 생육하게 된다. 생육한 모는 이양기를 이용하여 논에 이양되고 생육 생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볍씨가 파종된 육묘상자는 못자리에 직상하거나 하우스 등에서 앵글 및 파이프 조립식, 합성수지조립식 또는 아파트형으로 제작된 거치대에 육묘상자를 적층시킨 상태로 출아시켜 모를 키우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출아방법에 있어서, 못자리에 직상하는 방법은 공간의 제약이 따르며 관리에 어려움이 있고, 하우스에 볍씨를 육묘하는 방법은 육묘상자를 거치대에 적층시키고 그 육묘상자가 적층된 거치대를 하우스 내에 보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각각의 육묘상자에 씨앗이 출아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균일하게 조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고정식으로 형성되어 하우스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고, 육묘시설을 설치하고 관리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립 및 분해 가능하도록 제작된 거치수단에 적층된 육묘상자의 사이에 수증기를 균일하게 공급하는 수증기 공급수단을 장착하여 씨앗을 출아하는 출아장치가 국내 등록특허 제10-0653193호(이하 종래기술1)로 제시된 바있다.
상기 종래기술1은 수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저장탱크의 내부에 상수를 채워 가열하여야 하며, 발생된 수증기는 거치수단에 적층된 육묘상자의 사이에 설치된 다수개의 수평안내관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출아장치의 구조가 복잡하며, 또한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고온의 스팀이 육묘상자에 파종된 씨앗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염려가 있고, 이에 씨앗의 일부가 제대로 출아되지 못하고 가열되어 익거나 손상되어 출아장치의 씨앗의 출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또다른 종래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10-1729375호(이하 종래기술2)가 제시된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2는 드럼회전식 새싹채소 재배기의 일종으로 드럼내에서 종자가 정기적으로 움직이므로 환기량, 살수냉각 등의 방법으로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종자의 크기, 새싹의 생장단계에 따른 적정 수분량 공급장치 및 습도 유지를 위한 자동화 생산시스템이 결여되어 있는 상황이며, 착색을 요하는 품목의 경우 최종 생육단계에서 투과되는 광량의 미흡, 광량 및 광질 조절의 곤란 등으로 인하여 고품질의 새싹을 생산하는데 제한요인이 되고 재배기 내부에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도입된 재배기는 파종 및 인출작업이 불편하고, 인출 후 위생관리에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므로 이를 해결하는 새싹재배기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653193호(2006. 11. 27.) 국내 등록특허 제10-1729375호(2017. 04. 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새싹의 생장단계에 따른 적정수분량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와 충분한 광량을 제공하여 고품질의 새싹을 생산하는 새싹재배기를 제공한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파종 및 인출시 새싹재배기를 유압으로 기울여 사용자가 파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새싹재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인출 후 스팀을 이용한 살균, 소독시스템을 제공하여 인출 후 위생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를 절감하는 새싹재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새싹재배기에 있어서, 상기 새싹재배기는 내부가 격벽에 의해 4공간으로 분할된 드럼, 상기 드럼으로 물 또는 소독용스팀을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이 상기 새싹재배기가 회전함에 있어서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로터리조인트, 상기 로터리조인트와 같이 설치되어 전기배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슬립링, 상기 슬립링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드럼외주면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재배되는 새싹의 성장에 필요한 빛을 LED램프를 통해 제공하는 광원램프, 상기 공급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노즐, 외부에 설치되는 냉온풍기로부터 20℃ 내지 30℃로 조절된 공기를 전달받는 흡기구, 싱기 흡기구에 전달된 공기를 드럼 내부공간으로 전달하는 타공망, 상기 타공망을 통해 전달된 공기가 상기 드럼에서 순환된 후 배출되는 배기구, 상기 드럼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회전가이드, 상기 회전가이드에 맞물려 드럼이 회전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롤러부재, 상기 회전가이드 중 어느하나에 맞물려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상기 롤러부재, 상기흡기구 및 구동모터가 고정되는 인스톨프레임, 상기 인스톨프레임과 고정경첩으로 한쪽만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인스톨프레임 하부에 연결되어 설치된 드럼을 경사지도록 들어올리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재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드럼의 분할된 4공간을 각각 열어 파종하고 인출할 수 있는 상하좌우의 드럼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재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드럼을 분리하여 이동할 때 이동을 돕는 바퀴가 달린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재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드럼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상기 드럼 내부의 광량을 측정하는 광원센서, 상기 드럼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재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드럼 내부에 설치된 상기 습도센서, 상기 광원센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습도, 광량, 온도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직접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량과 분사시간, 상기 광원램프의 광량, 상기 냉온풍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하는 조절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재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싹의 생장단계에 따른 적정수분량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밸브와 충분한 광량을 제공하고 상기 드럼 내부에 설치된 상기 습도센서, 상기 광원센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습도, 광량, 온도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직접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량과 분사시간, 상기 광원램프의 광량, 상기 냉온풍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하는 조절패널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고품질 새싹을 생산하는 새싹재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종 및 인출시 새싹재배기를 유압으로 기울이고 상기 드럼의 분할된 4공간을 각각 열어 파종하고 인출할 수 있는 상하좌우의 드럼도어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파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새싹재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출 후 스팀을 이용한 살균, 소독시스템을 제공하여 인출 후 위생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를 절감하는 새싹재배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새싹재배기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새싹재배기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새싹재배기 유압실린더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새싹재배기 로터리조인트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새싹재배기 슬립링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새싹재배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새싹재배기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새싹재배기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새싹재배기(100)는 내부가 격벽(26)에 의해 4공간으로 분할된 드럼(84), 상기 드럼(84)으로 물 또는 소독용스팀을 공급하는 공급관(31), 상기 드럼(84)이 회전할 때 공급관(31)의 꼬임 방지하는 로터리조인트(72), 상기 로터리조인트(72)와 같이 설치되어 전기배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슬립링(71), 상기 슬립링(71)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드럼(84) 외주면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재배되는 새싹의 성장에 필요한 빛을 제공하는 광원램프(20), 상기 공급관(31)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공급관(3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노즐(32), 외부에 설치되는 냉온풍기(90)로부터 20℃ 내지 30℃로 조절된 공기를 전달받는 흡기구(70), 싱기 흡기구(70)에 전달된 공기를 상기 드럼(84) 내부공간으로 전달하는 타공망(11), 상기 타공망(11)을 통해 새싹으로 전달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10), 상기 드럼(84)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84)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회전가이드(24), 상기 회전가이드(24)에 맞물려 드럼이 회전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롤러부재(25), 상기 롤러부재(25) 중 어느하나에 맞물려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구동모터(40), 상기 롤러부재(25)와 상기흡기구(70) 및 구동모터(40)가 고정되는 인스톨프레임(61), 상기 인스톨프레임(61)과 고정경첩(33)으로 한쪽만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55), 상기 인스톨프레임(61) 하부에 연결되어 설치된 드럼을 경사지도록 들어올리는 유압실린더(60) 및 상기 유압실린더(60)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50)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새싹재배기 로터리조인트 참고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로터리조인트(72)는 기본적으로 유체 또는 기체를 고정부에서 회전부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유입포트(101)가 1포트 내지 2포트 개설되고, 유출포트(102)가 1포트 내지 2포트 개설되며, 회전을 보조하는 베어링(104)과 완충작용을 하는 스프링(103)이 포함되며, 물 또는 스팀을 회전하는 상기 드럼(84)에 공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새싹재배기 슬립링 참고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립링(71)은 기본적으로 전기를 고정부에서 회전부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접촉식슬립링, 비접촉식슬립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드럼(84)의 적정회전속도를 고려하였을때 비교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접촉식슬립링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슬립링(71)은 샤프트(115)-브러시블럭(111)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브러시블럭(111)의 브러시(112)가 상기 샤프트(115)의 메탈링(116)에 걸쳐진채로 상기 드럼(84)에 장착되는 샤프트(115)가 회전해도 상기 드럼(84)에 전원을 전달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드럼(84)의 분할된 4공간을 각각 열어 파종하고 인출할 수 있는 상하좌우의 드럼도어(21)를 포함하고 이를 고정하는 도어경첩(23)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드럼도어(21)를 조성할 때 강화유리로 조성하여 내부의 작업과정이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84)을 분리하여 이동할 때 이동을 돕는 바퀴가 달린 이동부재(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원램프(20)을 설치할 때는 격벽으로 분리된 공간마다 광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하좌우로하여 상기 드럼(84) 외주면에 설치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드럼(84)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상기 드럼(84) 내부의 광량을 측정하는 광원센서, 상기 드럼(84)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84) 내부에 설치된 상기 습도센서, 상기 광원센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습도, 광량, 온도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직접 상기 분사노즐(32)의 분사량과 분사시간, 상기 광원램프(20)의 광량, 상기 냉온풍기(9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조절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급관(31)은 외부의 스팀탱그(81)와 물탱크(82)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물탱크(82)와 상기 공급관(31) 사이에는 자동밸브(83)가 위치하여 상기 조절패널에 의해 설정된 분사시간에 맞추어 자동으로 개폐된다.
또한, 상기 새싹재배기(100)에서 새싹을 인출하고 난 후 드럼 내부를 소독하고자 할 때는 상기 스팀탱크(81)에 저장된 스팀이 상기 공급관(31)으로 공급되어 분사노즐(32)을 통해 분사되어 살균·소독이 실시되고, 소독이 완료된 후 상기 냉온풍기(9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가열된 드럼을 식혀준다.
상기 광원램프(20)는 기본적으로 LED를 사용하며, 상기 새싹재배기(100)가 작동할 때 종자가 발아하기 쉬운 750[lux] 내지 1200[lux]를 8시간 내지 10시간 유지하며, 이는 상기 조절패널에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습도센서는 적정습도인 50% 내지 65%를 유지하기위해 상기 드럼(84)의 실시간 습도를 측정하고, 해당 측정값을 센서와 연결된 제어부 및 상기 조절패널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센서로부터 습득한 습도를 적정습도인 50% 내지 65%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자동밸브(83)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상기 드럼(84)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새싹재배기 유압실린더 작동도이다.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압펌프(50)를 작동하게되면, 상기 유압펌프(50)에서 생성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60)이 상승하게되고 상기 유압실린더(60)의 실린더 로드와 연결된 인스톨프레임(61)도 같이 상승하게된다.
여기서, 상기 인스톨프레임(6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55)를 한측에서 연결하는 상기 고정경첩(33)에 의해 한쪽은 고정된 상태로 상승하게되어 경사를 형성하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파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하고, 인출 후 내부의 잔여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스톨프레임(6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55)의 적정한 경사는 상기 유압실린더(60)의 최장거리에 따라 달라지나 기본적으로는 0°내지 30°의 범위를 가지나 안정성과 파종 및 인출의 용이성을 고려하였을때 15°이하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들과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자면,
먼저, 상기 드럼(84)의 4개의 드럼도어(21)를 각각 개방한 뒤 파종에 사용할 흙과 종자를 투입하고 상기 드럼도어(21)를 닫고 상기 새싹재배기(100)를 작동한다.
상기 새싹재배기(100)가 작동하게되면, 상기 드럼(84)이 상기 구동모터(40)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회전하게되고 이를 상기 롤러부재(25)가 보조한다.
상기 드럼(84)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습도센서, 상기 광원센서,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상기 드럼(84)내부의 실시간 습도, 광량, 온도가 측정되고, 측정값이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조절패널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조절패널에 설정된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자동밸브(83)의 개폐가 조절되고, 상기 물탱크(82)에 저장된 물이 상기 공급관(31)을 따라서 공급되고, 상기 드럼(84) 내부 격벽으로 분할된 4개의 공간에 수분이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급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4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분사노즐(32)를 통해 분사된다.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조절패널에 설정된 광량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드럼(84)의 외주면에 설치된 광원램프(20)가 종자가 발아하기 쉬운 750[lux] 내지 1200[lux]를 하루 8시간 내지 10시간 유지하며 적정 광량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조절패널에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외부에 설치되는 냉온풍기(90)를 20℃ 내지 30℃로 조절하고, 상기 냉온풍기(90)으로부터 발생되는 공기를 상기 흡기구(70)에서 흡기하고, 흡기된 공기를 상기 타공망(11)을 통해 상기 드럼(84)내부로 전달하고, 상기 타공망(11)을 통해 전달된 공기가 상기 드럼(84)에서 순환된 후 상기 배기구(10)로 배출되어 상기 드럼(84) 내부의 온도가 조절된다.
상기 과정에서 다 자란 새싹을 인출할 때 상기 유압펌프(50)를 작동하고, 상기 유압펌프(50)에서 생성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60)이 상승하고, 상기 유압실린더(60)의 실린더 로드와 연결된 인스톨프레임(61)도 같이 상승한다.
여기서, 상기 인스톨프레임(6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55)를 한측에서 연결하는 상기 고정경첩(33)에 의해 한쪽은 고정된 상태로 상승하게되어 경사를 형성하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하고, 인출 후 내부의 잔여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드럼(84)의 내부가 인출작업을 끝내고 비워지면, 상기 스팀탱크(81)에 저장된 스팀이 상기 공급관(31)으로 공급되고, 스팀이 분사노즐(32)을 통해 분사되어 살균·소독이 실시되고, 소독이 완료된 후 상기 냉온풍기(9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스팀으로 가열된 상기 드럼(84)을 식혀준다.
상기 내용에서 본 발명의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 부분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 부분을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다.
100 : 새싹재배기
10 : 배기구 11 : 타공망
12 : 이동부재 20 : 광원램프
21 : 드럼도어 23 : 도어경첩
24 : 회전가이드 25 : 롤러부재
26 : 격벽 31 : 공급관
32 : 분사노즐 33 : 고정경첩
40 : 구동모터 50 : 유압펌프
55 : 베이스프레임 60 : 유압실린더
61 : 인스톨프레임 70 : 흡기구
71 : 슬립링 72 : 로터리조인트
81 : 스팀탱크 82 : 물탱크
83 : 자동밸브 84 : 드럼
90 : 냉온풍기 101 : 유입포트
102 : 유출포트 103 : 스프링
104 : 베어링 111 : 브러시블럭
112 : 브러시 115 : 샤프트
116 : 메탈링

Claims (5)

  1. 새싹재배기에 있어서,
    상기 새싹재배기는 내부가 격벽에 의해 4공간으로 분할된 드럼;
    상기 드럼의 분할된 4공간을 각각 열어 새싹을 파종하고 인출할 수 있는 상하좌우의 드럼도어;
    상기 드럼으로 물 또는 소독용스팀을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어 소독용스팀을 공급하는 스팀탱크;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어 새싹 생육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상기 공급관의 꼬임을 방지하는 로터리조인트;
    상기 로터리조인트와 같이 설치되어 전기배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슬립링;
    상기 슬립링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드럼외주면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재배되는 새싹의 성장에 필요한 빛을 제공하는 광원램프;
    상기 공급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4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노즐;
    외부에 설치되는 냉온풍기로부터 20℃ 내지 30℃로 조절된 공기를 전달받는 흡기구;
    상기 흡기구에 전달된 공기를 드럼 내부공간으로 전달하는 타공망;
    상기 타공망을 통해 전달된 공기가 상기 드럼에서 순환된 후 배출되는 배기구;
    상기 드럼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회전가이드;
    상기 회전가이드에 맞물려 드럼이 회전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롤러부재;
    상기 회전가이드 중 어느하나에 맞물려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상기 롤러부재, 상기흡기구 및 구동모터가 고정되는 인스톨프레임;
    상기 인스톨프레임과 고정경첩으로 한쪽만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인스톨프레임 하부에 연결되어 설치된 드럼을 경사지도록 들어올리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 내부가 인출작업이 끝나고 비워지면, 상기 스팀탱크에 저장된 스팀이 상기 공급관으로 공급되어 스팀이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것으로 살균·소독이 실시되고, 스팀소독에 의해 가열된 드럼은 냉온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식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재배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상기 드럼 내부의 광량을 측정하는 광원센서, 상기 드럼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재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부에 설치된 상기 습도센서, 상기 광원센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습도, 광량, 온도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직접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량과 분사시간, 상기 광원램프의 광량, 상기 냉온풍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하는 조절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재배기.
KR1020200124065A 2020-09-24 2020-09-24 새싹재배기 KR102227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065A KR102227602B1 (ko) 2020-09-24 2020-09-24 새싹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065A KR102227602B1 (ko) 2020-09-24 2020-09-24 새싹재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602B1 true KR102227602B1 (ko) 2021-03-12

Family

ID=7517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065A KR102227602B1 (ko) 2020-09-24 2020-09-24 새싹재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60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383Y1 (ko) * 2003-05-07 2003-08-09 이규석 회전식 새싹 채소 재배 장치
US7134240B1 (en) * 2003-10-16 2006-11-14 Lincoln Neal Rock-a-bye rotary sprouter and sanitizer
KR100653193B1 (ko) 2004-08-09 2006-12-04 경상북도(승계청:경상북도농업기술원,관리청:경상북도 도지사) 출아장치
KR20090115483A (ko) * 2008-05-02 2009-11-05 전남도립대학산학협력단 드럼회전식 새싹재배장치
KR20150032185A (ko) * 2013-09-17 2015-03-25 주식회사 상진그린테크 새싹 재배기
JP2016077209A (ja) * 2014-10-16 2016-05-16 有限会社ナチュラルステップ 植物栽培槽及び植物栽培装置並びに植物栽培方法
KR101639626B1 (ko) * 2015-12-07 2016-07-15 남일엔지니어링 (주) 새싹채소를 재배하기 위해 사용되는 새싹채소 발아기.
KR102001464B1 (ko) * 2018-11-16 2019-07-18 변상훈 양문 개방형 드럼 새싹 재배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383Y1 (ko) * 2003-05-07 2003-08-09 이규석 회전식 새싹 채소 재배 장치
US7134240B1 (en) * 2003-10-16 2006-11-14 Lincoln Neal Rock-a-bye rotary sprouter and sanitizer
KR100653193B1 (ko) 2004-08-09 2006-12-04 경상북도(승계청:경상북도농업기술원,관리청:경상북도 도지사) 출아장치
KR20090115483A (ko) * 2008-05-02 2009-11-05 전남도립대학산학협력단 드럼회전식 새싹재배장치
KR20150032185A (ko) * 2013-09-17 2015-03-25 주식회사 상진그린테크 새싹 재배기
KR101729375B1 (ko) 2013-09-17 2017-06-14 주식회사 상진그린테크 새싹 재배기
JP2016077209A (ja) * 2014-10-16 2016-05-16 有限会社ナチュラルステップ 植物栽培槽及び植物栽培装置並びに植物栽培方法
KR101639626B1 (ko) * 2015-12-07 2016-07-15 남일엔지니어링 (주) 새싹채소를 재배하기 위해 사용되는 새싹채소 발아기.
KR102001464B1 (ko) * 2018-11-16 2019-07-18 변상훈 양문 개방형 드럼 새싹 재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543B1 (ko) 드럼회전식 새싹재배장치
CN102177838B (zh) 种子发芽器及其稻谷发芽工艺
CN202121935U (zh) 种子发芽器
KR100996410B1 (ko) 착탈형 새싹재배장치
KR20150032185A (ko) 새싹 재배기
CN102812868A (zh) 多功能育种箱
KR102026448B1 (ko) 수경재배기
KR102227602B1 (ko) 새싹재배기
CN107529396A (zh) 一种农业用植物培育装置
KR20220157104A (ko) 농작물 재배용 화분
KR20170088122A (ko) 자동 물 공급 장치를 갖는 새싹 재배기
CN111201923A (zh) 一种立体智能育苗机
CN116114508A (zh) 一种马铃薯脱毒种苗恒温培育装置
KR200322383Y1 (ko) 회전식 새싹 채소 재배 장치
CN214508364U (zh) 一种农作物栽培种植培养箱
CN115399174A (zh) 一种可控制种植深度的种子培育设备
CN209824607U (zh) 一种农作物栽培种植培养箱
CN216254347U (zh) 一种食用菌种植用培育装置
CN220587063U (zh) 一种食用菌菌种培养箱
CN214125930U (zh) 一种农艺用种子发芽观察箱
CN215188490U (zh) 一种小白菜新品种培育观察装置
CN217656998U (zh) 一种白鲜皮育种发芽装置
CN220402535U (zh) 一种恒温育苗箱
CN220653970U (zh) 一种玉米种子发芽装置
CN219577906U (zh) 一种均匀喷洒的天麻种植用培育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