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289B1 - 다용도 웨어러블 핸드 인터랙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용도 웨어러블 핸드 인터랙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289B1
KR102227289B1 KR1020180169783A KR20180169783A KR102227289B1 KR 102227289 B1 KR102227289 B1 KR 102227289B1 KR 1020180169783 A KR1020180169783 A KR 1020180169783A KR 20180169783 A KR20180169783 A KR 20180169783A KR 102227289 B1 KR102227289 B1 KR 102227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ring
user
hand
adjustme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9996A (ko
Inventor
박준
최민수
Original Assignee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9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289B1/ko
Publication of KR20200079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웨어러블 핸드 인터랙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에 장착되는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생성되는 다양한 인터랙션 정보를 영상에 반영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해주는 다용도 웨어러블 핸드 인터랙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웨어러블 핸드 인터랙션 시스템{Multipurpose wearable hand interaction system}
본 발명은 다용도 웨어러블 핸드 인터랙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에 장착되는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생성되는 다양한 인터랙션 정보를 영상에 반영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해주는 다용도 웨어러블 핸드 인터랙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사용자의 손 움직임을 감지하여 인터랙션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영상으로 반영하는 인터랙션 시스템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손 및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필요시 마다 인터랙션 장치를 새롭게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10-2015-0046769, 공개일자 2015년 04월 30일, '사용자 인터랙션 장치, 그 동작방법 및 사용자 인터랙션 시스템' 등록특허 10-1647541, 등록일자 2016년 08월 04일, '게임 플레이에 대한 인터랙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손에 장착되는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생성되는 다양한 인터랙션 정보를 영상에 반영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해주는 다용도 웨어러블 핸드 인터랙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웨어러블 핸드 인터랙션 시스템은 인터랙션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인터랙션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장치(100);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가 생성한 인터랙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반영하여 영상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는, 회전가능 하도록 원형의 형상을 띄며 일측에 사용자의 검지가 삽입되는 제1고리(111)를 포함하는 제1입력부(110); 회전가능 하도록 원형의 형상을 띄며 일측에 사용자의 중지가 삽입되는 제2고리(121)를 포함하는 제2입력부(120); 회전가능 하도록 원형의 형상을 띄며 일측에 사용자의 약지가 삽입되는 제3고리(131)를 포함하는 제3입력부(130); 회전가능 하도록 원형의 형상을 띄며 일측에 사용자의 소지가 삽입되는 제4고리(141)를 포함하는 제4입력부(140); 및 상기 제1입력부(110), 제2입력부(120), 제3입력부(130) 및 제4입력부(14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입력부(110), 제2입력부(120), 제3입력부(130) 및 제4입력부(140)는, 사용자의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와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센서 및 광학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고리(111), 제2고리(121), 제3고리(131) 및 제4고리(141)는, 제1길이조절부재(112), 제2길이조절부재(122), 제3길이조절부재(132) 및 제4길이조절부재(142)를 통해 제1입력부(110), 제2입력부(120), 제3입력부(130) 및 제4입력부(140)와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길이조절부재(112), 제2길이조절부재(122), 제3길이조절부재(132) 및 제4길이조절부재(142)는, 제1입력부(110), 제2입력부(120), 제3입력부(130) 및 제4입력부(140)와 각각 나사 결합되어,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제1입력부(110), 제2입력부(120), 제3입력부(130) 및 제4입력부(140) 내측으로 각각 삽입되고,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제1입력부(110), 제2입력부(120), 제3입력부(130) 및 제4입력부(140) 외측으로 각각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웨어러블 핸드 인터랙션 시스템은 사용자의 손에 장착되는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생성되는 다양한 인터랙션 정보를 영상에 반영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해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웨어러블 핸드 인터랙션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재의 실시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웨어러블 핸드 인터랙션 시스템의 실시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웨어러블 핸드 인터랙션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만이 아니라, 다른 부분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여 어떤 부분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웨어러블 핸드 인터랙션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웨어러블 핸드 인터랙션 시스템은 사용자의 손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인터랙션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장치(200)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장치(100)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가 생성한 인터랙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반영하여 영상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20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 및 제어장치(200) 간의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LAN(Wireless LAN)(Wi-Fi) 등의 근거리 통신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는 회전가능 하도록 원형의 형상을 띄며 일측에 사용자의 검지가 삽입되는 제1고리(111)를 포함하는 제1입력부(110)와 회전가능 하도록 원형의 형상을 띄며 일측에 사용자의 중지가 삽입되는 제2고리(121)를 포함하는 제2입력부(120)와 회전가능 하도록 원형의 형상을 띄며 일측에 사용자의 약지가 삽입되는 제3고리(131)를 포함하는 제3입력부(130)와 회전가능 하도록 원형의 형상을 띄며 일측에 사용자의 소지가 삽입되는 제4고리(141)를 포함하는 제4입력부(140) 및 상기 제1입력부(110), 제2입력부(120), 제3입력부(130) 및 제4입력부(14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150)을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제1고리(111), 제2고리(121), 제3고리(131) 및 제4고리(141)에 각각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를 삽입하여 웨어러블 장치(100)를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입력부(110), 제2입력부(120), 제3입력부(130) 및 제4입력부(140)는 사용자의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와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센서 및 광학센서를 더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재의 실시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리(111), 제2고리(121), 제3고리(131) 및 제4고리(141)는 상기 제1입력부(110), 제2입력부(120), 제3입력부(130) 및 제4입력부(140)와 제1길이조절부재(112), 제2길이조절부재(122), 제3길이조절부재(132) 및 제4길이조절부재(142)를 통해서 결합되는데, 상기 제1길이조절부재(112), 제2길이조절부재(122), 제3길이조절부재(132) 및 제4길이조절부재(142)는 상기 제1입력부(110), 제2입력부(120), 제3입력부(130) 및 제4입력부(140)와 각각 나사 결합되어,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제1입력부(110), 제2입력부(120), 제3입력부(130) 및 제4입력부(140) 내측으로 각각 삽입되고,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제1입력부(110), 제2입력부(120), 제3입력부(130) 및 제4입력부(140) 외측으로 각각 인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웨어러블 핸드 인터랙션 시스템의 실시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제어장치(200)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를 통해 생성되는 사용자의 인터랙션 정보를 반영하는 가상의 야구게임을 실행할 경우, 먼저 사용자는 상기 제1길이조절부재(112), 제2길이조절부재(122), 제3길이조절부재(132) 및 제4길이조절부재(142)를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길이조절부재(112), 제2길이조절부재(122), 제3길이조절부재(132) 및 제4길이조절부재(142)를 사용자의 손 크기 및 사용목적에 맞게 조절한 후, 상기 제1고리(111), 제2고리(121), 제3고리(131) 및 제4고리(141)에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를 삽입하여 웨어러블 장치(100)를 오른손 또는 왼손 중 한 부위에 착용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150) 부분에 사용자가 무게를 느낄 수 있는 무게부재(미부호)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실제 야구 배트를 들고 있는 듯한 느낌을 주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상기 제1입력부(110), 제2입력부(120), 제3입력부(130) 및 제4입력부(140)를 파지한 상태에서 야구 배트를 휘두르는 듯한 모션을 취하면, 상기 제1입력부(110), 제2입력부(120), 제3입력부(130) 및 제4입력부(140)의 광학센서 및 자이로센서가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인터랙션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인터랙션 정보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캐릭터가 배트를 휘두르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마치 실제로 야구를 하고 있는 듯한 환경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웨어러블 핸드 인터랙션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제어장치(200)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를 통해 생성되는 사용자의 인터랙션 정보를 반영하는 가상의 FPS게임을 실행할 경우, 먼저 사용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를 사용자는 상기 제1길이조절부재(112), 제2길이조절부재(122), 제3길이조절부재(132) 및 제4길이조절부재(142)를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길이조절부재(112), 제2길이조절부재(122), 제3길이조절부재(132) 및 제4길이조절부재(142)를 사용자의 손 크기 및 사용목적에 맞게 조절한 후, 상기 제1고리(111), 제2고리(121), 제3고리(131) 및 제4고리(141)에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를 삽입하여 웨어러블 장치(100)를 양손에 착용한다.
다음으로 오른손 및 왼손에 착용된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의 양 회전축(150)을 연결부재(미부호)를 통해 고정시켜 마치 소총을 파지한 듯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소총의 방아쇠가 위치하는 손의 검지를 전후로 움직여 방아쇠를 당기는 듯한 모션을 취하면, 상기 제1입력부(110), 제2입력부(120), 제3입력부(130) 및 제4입력부(140)의 광학센서 및 자이로센서가 사용자의 검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인터랙션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인터랙션 정보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캐릭터가 총을 발사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마치 실제로 전쟁을 하고 있는 듯한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웨어러블 핸드 인터랙션 시스템을 통해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 크기 및 용도에 맡게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100)를 통해서, 제어장치(2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인터랙션 정보를 반영하는 게임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 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웨어러블 장치
110 : 제1입력부
111 : 제1고리
112 : 제1길이조절부재
120 : 제2입력부
121 : 제2고리
122 : 제2길이조절부재
130 : 제3입력부
131 : 제3고리
132 : 제3길이조절부재
140 : 제4입력부
141 : 제4고리
142 : 제4길이조절부재
150 : 회전축
200 : 제어장치
300 :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5)

  1. 인터랙션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인터랙션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장치(100);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가 생성한 인터랙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반영하여 영상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200);
    를 포함하되,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는,
    회전가능 하도록 원형의 형상을 띄며 일측에 사용자의 검지가 삽입되는 제1고리(111)를 포함하는 제1입력부(110);
    회전가능 하도록 원형의 형상을 띄며 일측에 사용자의 중지가 삽입되는 제2고리(121)를 포함하는 제2입력부(120);
    회전가능 하도록 원형의 형상을 띄며 일측에 사용자의 약지가 삽입되는 제3고리(131)를 포함하는 제3입력부(130);
    회전가능 하도록 원형의 형상을 띄며 일측에 사용자의 소지가 삽입되는 제4고리(141)를 포함하는 제4입력부(140); 및
    상기 제1입력부(110), 제2입력부(120), 제3입력부(130) 및 제4입력부(14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150);
    을 포함하되,
    상기 제1입력부(110), 제2입력부(120), 제3입력부(130) 및 제4입력부(140)는,
    사용자의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와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센서 및 광학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1고리(111), 제2고리(121), 제3고리(131) 및 제4고리(141)는,
    제1길이조절부재(112), 제2길이조절부재(122), 제3길이조절부재(132) 및 제4길이조절부재(142)를 통해 제1입력부(110), 제2입력부(120), 제3입력부(130) 및 제4입력부(140)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길이조절부재(112), 제2길이조절부재(122), 제3길이조절부재(132) 및 제4길이조절부재(142)는,
    제1입력부(110), 제2입력부(120), 제3입력부(130) 및 제4입력부(140)와 각각 나사 결합되어,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제1입력부(110), 제2입력부(120), 제3입력부(130) 및 제4입력부(140) 내측으로 각각 삽입되고,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제1입력부(110), 제2입력부(120), 제3입력부(130) 및 제4입력부(140) 외측으로 각각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장치(200)는,
    가상의 야구게임이 실행중이고, 사용자가 상기 제1고리(111), 제2고리(121), 제3고리(131) 및 제4고리(141)에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를 삽입하여 웨어러블 장치(100)를 오른손 또는 왼손 중 한 부위에 착용한 후, 상기 제1입력부(110), 제2입력부(120), 제3입력부(130) 및 제4입력부(140)를 파지한 상태에서 야구 배트를 휘두르는 듯한 모션을 취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캐릭터가 배트를 휘두르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장치(200)는,
    가상의 FPS게임이 실행중이고, 사용자가 상기 제1고리(111), 제2고리(121), 제3고리(131) 및 제4고리(141)에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를 삽입하여 웨어러블 장치(100)를 양손에 착용한 후, 오른손 및 왼손에 착용된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의 양 회전축(150)을 연결부재를 통해 고정시켜 소총을 파지한 듯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소총의 방아쇠가 위치하는 손의 검지를 전후로 움직여 방아쇠를 당기는 듯한 모션을 취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캐릭터가 총을 발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웨어러블 핸드 인터랙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69783A 2018-12-26 2018-12-26 다용도 웨어러블 핸드 인터랙션 시스템 KR102227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783A KR102227289B1 (ko) 2018-12-26 2018-12-26 다용도 웨어러블 핸드 인터랙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783A KR102227289B1 (ko) 2018-12-26 2018-12-26 다용도 웨어러블 핸드 인터랙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996A KR20200079996A (ko) 2020-07-06
KR102227289B1 true KR102227289B1 (ko) 2021-03-12

Family

ID=7157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783A KR102227289B1 (ko) 2018-12-26 2018-12-26 다용도 웨어러블 핸드 인터랙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2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181B1 (ko) * 2013-12-30 2015-02-13 이학재 손가락 마우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494B1 (ko) * 2002-08-19 2006-10-16 삼성전기주식회사 착용가능한 정보 입력 장치,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입력방법
KR101647541B1 (ko) 2013-02-26 2016-08-10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게임 플레이에 대한 인터랙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50046769A (ko) 2015-02-23 2015-04-30 최용순 사용자 인터랙션 장치, 그 동작방법 및 사용자 인터랙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181B1 (ko) * 2013-12-30 2015-02-13 이학재 손가락 마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996A (ko) 202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27702B (zh) 虚拟现实的交互方法及装置
US1093614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279256B2 (en) Game medium, method of using the game medium, and game system for using the game medium
JP6371481B2 (ja) 手のリハビリ運動システム及び方法
US108666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device tracking
CN103827780B (zh) 用于虚拟输入设备的方法和系统
WO2015154627A1 (zh) 一种虚拟现实组件系统
JP6470796B2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
US20140002753A1 (en) Dual-mode eyeglasses
US20140062854A1 (en) Head mounted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device using the same
US9799141B2 (en) Display devi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program
CN106233229A (zh) 利用以摄像机为中心的虚拟触控的远程操作装置及方法
US11590404B2 (en) Flag football marker
JP2021144718A (ja) 表示装置
KR102227289B1 (ko) 다용도 웨어러블 핸드 인터랙션 시스템
JP6646565B2 (ja) 情報処理方法、装置、および当該情報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20090085821A (ko) 인터페이스 장치와 이를 이용한 게임기 및 컨텐츠 제어방법
US20220355200A1 (en) Game program, game method,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JP2017170106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JP6722316B1 (ja) 配信プログラム、配信方法、コンピュータ、および視聴端末
CN203054843U (zh) 一种搭载有智能锁定功能的掌上游戏终端
JP6651479B2 (ja) 情報処理方法、装置、および当該情報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2006197998A (ja) ピッチングマシン制御システム
JP2018014084A (ja) 仮想空間を提供する方法、仮想体験を提供する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2461024B1 (ko)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및 이를 이용하여 가상 공간에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