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020B1 -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결합체 - Google Patents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020B1
KR102227020B1 KR1020200178301A KR20200178301A KR102227020B1 KR 102227020 B1 KR102227020 B1 KR 102227020B1 KR 1020200178301 A KR1020200178301 A KR 1020200178301A KR 20200178301 A KR20200178301 A KR 20200178301A KR 102227020 B1 KR102227020 B1 KR 102227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spray gun
groove
shape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5535A (ko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유지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지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8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020B1/ko
Publication of KR20210005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8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integral means for shielding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limit area of spray; with integral means for catching drips or collecting surplu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32Shielding elements, i.e. elements preventing overspray from reaching areas other than the object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1Spray pistols,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레이 건과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도료의 점도와 노즐의 막힘 현상을 감안하여 벽면에 도포되지 않은 비산 도료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료의 손실과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결합체에 관한 것으로,
스프레이 건(10)을 본체(200)에 결합시 흔들림 없는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본체(200)에 매립된 결합 너트(210)에 대응하는 결합 홈(110)이 상, 하 대칭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 홈(110)의 사이에는 스프레이 건(10)의 분사 노즐(11)이 삽입되는 삽입 홈(120)이 형성되고, 적어도 2개소 이상에서 절곡 가공된 절곡부(130)에 의해 'ㄷ' 형으로 성형 되는 고정 브라켓(100)과, 상기 고정 브라켓(100)의 결합 홈(110)에 대응하는 결합 너트(210)가 매립고정되며, 결합 너트(210)의 사이에는 삽입 홈(120)에 대응하는 관통 홈(220)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비산 하는 도료가 액상으로 모여 회수통에 회수될 수 있도록 회수호스가 결합 되는 회수구(230)가 마련되는 한편, 상기 관통 홈(220)의 외형은 스프레이 건(10)의 팁 가드(12)형상과 동일 내지 유사한 형상의 파지부(240)가 형성되고 파지부(240)의 타측 테두리에는 결속용 플랜지(250)가 형성된 통 형상의 본체(200)와, 상기 본체의 결속용 플랜지(250)에 대응하는 결속용 플랜지(310)가 형성되며, 그 결속용 플랜지(310)의 타측 방향에는 스프레이 건(10)의 분사 노즐(11)에서 분사되는 도료의 형상에 대응하면서 분사 노즐(11)의 토출구로부터 20 내지 40cm 이격 된 위치에 직사각형 형상의 도료 분사 안내 홈(320)이 형성되되, 상기 도료 분사 안내 홈(320)의 가장자리는 노즐 막힘 또는 점도의 차이로 인해 도료가 뭉쳐져 정확한 분사가 되지 않는 도료를 차단하여 최종 회수구(2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내측 사선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차단부(330)가 형성되는 한편, 그 차단부(330)의 하측에는 차단부(330)에 의해 차단된 도료가 낙하 되지 않고 모여 회수구(2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도료 분사 안내 홈(320)과 소정 거리 이격 되어 형성된 수집부(340)를 구비하는 통 형상의 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결합체{Paint splash prevention cover housing assembly for spray gun}
본 발명은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결합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스프레이 건과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도료의 점도와 노즐의 막힘 현상을 감안하여 벽면에 도포되지 않은 비산 도료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료의 손실과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벽이나 외벽 및 노면에는 시각적인 효과를 위하여 도색 작업을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도색용 기구로는 롤러, 붓을 들 수 있으며 이밖에 자동화 도색 장치로서 공압에 의한 것과, 공압이 아닌 펌프식 도색장치가 있다.
이중 펌프식 도색장치에 사용되는 스프레이 건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6-0007543호 및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7011635호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의 주변 어디에도 도료가 비산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가 장착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자동화 도색장치들은 도장작업이 수월하고 신속할 뿐만 아니라, 표면에 롤러 또는 붓이 지나가는 흔적이 남지 않기 때문에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반면, 압력에 의해 도료가 비산 한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특히, 비산 하는 도료로 인해 작업자의 호흡기 계통 질환을 유발할 소지가 있어 실내에서는 사용을 규제하기도 하며, 작업자뿐만 아니라 주위 사람들에게도 피해를 주기도 한다.
또한, 도료가 비산 된다는 것은 도료가 표면에 도포되지 않고 사라지게 되는 것으로 결국, 도료가 손실되는 것을 의미하는바, 도료가 비산 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도료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스프레이 건 용 커버가 요구되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본원 발명의 발명자가 고안하여 특허등록한 바 있으며, 해당특허는 특허등록 제10-1388926호(발명의 명칭 : 이동이 용이한 에어 리스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및 그 커버가 장착된 에어 리스 스프레이 건)이다.
그런데 상기 특허등록 제10-1388926호는 뼈대가 될 수 있는 탄성 구조체가 도색 작업과정에서 탄성으로 인해 심하게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작업지연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대두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원 출원인의 발명자가 제안한 발명이 특허등록 제10-1656222호(발명의 명칭 : 에어 커튼 발생 부재를 구비하는 에어 리스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이다.
상기 특허등록 제10-1656222호에서 제안하는 비산 방지 커버는 경량이기 때문에 스프레이 건에 장착하여 사용함에 있어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료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효과가 있었으나, 벽면에 도포되어야 할 도료까지 배기구를 통해 배기가 되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 아니라, 노즐 입구가 막히거나 또는 도료의 점도차이로 인해 도료가 벽면에 도포되지 못하고 비산 내지 바닥에 떨어지는 경우 도료의 손실 및 주변환경이 지저분해지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1. 특허출원 제10-1996-0007543호 2. 특허출원 제10-2011-7011635호 3. 특허등록 제10-1388926호 4. 특허등록 제10-1656222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키 위해 안출한 것이며, 스프레이 건과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도료의 점도와 노즐의 토출구 막힘 현상을 감안하여 벽면에 도포되지 않고 비산 혹은 낙하하는 도료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료의 손실과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결합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스프레이 건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결합체(S)는 스프레이 건(10)을 본체(200)에 결합시 흔들림 없는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본체(200)에 매립된 결합 너트(210)에 대응하는 결합 홈(110)이 상, 하 대칭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 홈(110)의 사이에는 스프레이 건(10)의 분사 노즐(11)이 삽입되는 삽입 홈(120)이 형성되고, 적어도 2개소 이상에서 절곡 가공된 절곡부(130)에 의해 'ㄷ' 형으로 성형 되는 고정 브라켓(100)과, 상기 고정 브라켓(100)의 결합 홈(110)에 대응하는 결합 너트(210)가 매립고정되며, 결합 너트(210)의 사이에는 삽입 홈(120)에 대응하는 관통 홈(220)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비산 하는 도료가 액상으로 모여 회수통에 회수될 수 있도록 회수호스가 결합 되는 회수구(230)가 마련되는 한편, 상기 관통 홈(220)의 외형은 스프레이 건(10)의 팁 가드(12)형상과 동일 내지 유사한 형상의 파지부(240)가 형성되고 파지부(240)의 타측 테두리에는 결속용 플랜지(250)가 형성된 통 형상의 본체(200)와, 상기 본체의 결속용 플랜지(250)에 대응하는 결속용 플랜지(310)가 형성되며, 그 결속용 플랜지(310)의 타측 방향에는 스프레이 건(10)의 분사 노즐(11)에서 분사되는 도료의 형상에 대응하면서 분사 노즐(11)의 토출구로부터 20 내지 40cm 이격 된 위치에 직사각형 형상의 도료 분사 안내 홈(320)이 형성되되, 상기 도료 분사 안내 홈(320)의 가장자리는 노즐 막힘 또는 점도의 차이로 인해 도료가 뭉쳐져 정확한 분사가 되지 않는 도료를 차단하여 최종 회수구(2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내측 사선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차단부(330)가 형성되는 한편, 그 차단부(330)의 하측에는 차단부(330)에 의해 차단된 도료가 낙하 되지 않고 모여 회수구(2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도료 분사 안내 홈(320)과 소정 거리 이격 되어 형성된 수집부(340)를 구비하는 통 형상의 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 브라켓(100)의 삽입 홈(120) 하측에는 스프레이 건(100)과 본체(200)의 결합시 정 위치에 결합 되도록 안내하는 안내 돌기(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300)의 상단에는 하우징(S) 내부에 형성되는 압을 배출하여 안정적인 도료의 분사가 용이하도록 통기공(3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원 발명의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결합체는 본연의 기능인 도료의 비산을 방지하면서 스프레이 건과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내부의 압력을 제거하여 안정적인 도료의 분사가 용이함은 물론, 도료의 점도와 노즐의 막힘 현상을 감안하여 벽면에 도포되지 못 하고 비산 하거나 또는 낙하하는 도료를 회수할 수 있어 도료의 손실을 방지하고 나아가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의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의 개봉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중 커버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결합체가 스프레이 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결합체(S)에 대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도 1 내지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결합체(S)는 크게 본체(200)를 스프레이 건(10)에 견고하게 결합 고정 시켜주는 고정 브라켓(100)과, 스프레이 건(10)과 결합 되며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통의 형상을 구비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와 플랜지 결합 고정되며, 도료가 일정거리 이격 된 위치에서 도료 분사 안내 홈(320)의 형상과 동일 내지 유사한 형상으로 분사 및 도포되도록 안내하는 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 브라켓(100)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소 이상에서 절곡 가공된 절곡부(130)에 의해 'ㄷ' 형으로 성형 되며, 스프레이 건(10)을 본체(200)에 결합시 흔들림 없는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본체(200)에 매립된 결합 너트(210)에 대응하는 결합 홈(110)이 상, 하 대칭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 홈(110)의 사이에는 스프레이 건(10)의 분사 노즐(11)이 삽입되는 삽입 홈(120)이 형성된다.
뿐 아니라, 고정 브라켓(100)의 삽입 홈(120) 하측에는 스프레이 건(100)과 하우징(S) 결합시 정 위치에 결합 되도록 안내하는 안내 돌기(140)가 형성되어 있어 신속하고 수월하게 정 위치 결속 고정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본체(200)는 도 1 내지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고정 브라켓(100)의 결합 홈(110)에 대응하는 결합 너트(210)가 사출 성형과정에서 매립고정된다.
상기 결합 너트(210)의 사이에는 삽입 홈(120)에 대응하는 관통 홈(220)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비산 하는 도료가 액상으로 모여 회수통에 회수될 수 있도록 회수용 호스(미도시)가 결합 되는 회수구(230)가 마련된다.
상기 관통 홈(220) 주변의 외형은 도 1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레이 건(10)의 팁 가드(12)형상과 동일 내지 유사한 형상의 파지부(240)가 형성되고 파지부(240)의 타측 테두리에는 결속용 플랜지(250)가 형성된다.
공지의 무두 볼트(211)를 결합 너트(210)에 체결 후 고정 브라켓(100)의 결합 홈(110)에 일치시키고, 스프레이 건(10)의 분사노즐(11)을 관통 홈(220)에 삽입하면 안내 돌기(140)에 의해 정 위치가 세팅되고,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면 스프레인 건(10)과 본체(200)의 결합은 완성된다.
이때 스프레이 건(10)에 결합 고정된 팁 가드(12)의 'v' 자 형상과 동일 내지 유사한 형상을 구비하는 파지부(240)를 관통 홈(220) 주변에 성형시킴으로써 보다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장시간의 작업에도 유동거림이 없이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300)는 도 1 내지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결속용 플랜지(250)에 대응하는 결속용 플랜지(310)가 형성된다.
상기 결속용 플랜지(310)의 타측 방향에는 스프레이 건(10)의 분사 노즐(11)에서 분사되는 도료의 형상에 대응하면서 분사 노즐(11)의 토출구로부터 20 내지 40cm 이격 된 위치에 직사각형 형상의 도료 분사 안내 홈(320)이 형성된다.
뿐 아니라, 상기 도료 분사 안내 홈(320)의 가장자리는 도 3 내지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막힘 또는 점도의 차이로 인해 도료가 뭉쳐져 정확한 분사가 되지 않는 도료를 차단하여 최종 회수구(2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내측 사선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차단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차단부(330)의 하측에는 차단부(330)에 의해 차단된 도료가 낙하 되지 않고 모여 회수구(2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도료 분사 안내 홈(320)과 소정 거리 이격 되어 형성된 수집부(340)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300)의 상단에는 하우징(S) 내부에 형성되는 압을 배출하여 안정적인 도료의 분사가 용이하도록 통기공(350)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와 커버는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제작이 용이하나 도료 분사 안내 홈(3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도료 분사 안내 홈(320)의 위치는 분사 노즐(11)의 토출구(미도시)로부터 20 내지 40cm 이격 된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도료의 점도나 토출구의 막힘 발생시에는 입자상의 도료가 분사되는 것이 아니라 뭉쳐진 상태로 분사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때는 정확한 위치에 도포되지 못하거나 흩날려 낙하하였던 도료를 차단부(330)에 의해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차단부(330)의 내, 외측에 흘러내리는 도료는 수집부(340)에 안착된 후 최종 회수구(230)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도료 분사 안내 홈(320)과 수집부(340) 사이에는 흘러내리는 도료가 회수구로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본체와 커버를 연신 블로우 성형기술(stretch-blow molding)을 적용할 경우에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50, 310)의 위치 및 회수구(23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나 전체적인 핵심 기능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결합체
10: 스프레이 건 11: 분사노즐
12: 팁 가드 100: 고정 브라켓
110: 결합 홈 120: 삽입 홈
130: 절곡부 140:안내 돌기
200: 본체 210: 결합 너트
220: 관통 홈 230: 회수구
240: 파지부 250, 310: 플랜지
320: 도료 분사 안내 홈
330: 차단부 340: 수집부
350: 통기 공 360: 고정고리

Claims (3)

  1. 스프레이 건(10)의 분사 노즐(11)이 관통되어 결합 되는 관통 홈(220)이 형성되고, 테두리에는 결속용 플랜지(250)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비산 하는 도료가 액상으로 모여 회수통에 회수될 수 있도록 회수호스가 결합 되는 회수구(230)가 마련된 통 형상의 본체(200)와, 상기 본체의 결속용 플랜지(250)에 대응하는 결속용 플랜지(310)가 형성되며, 그 결속용 플랜지(310)의 타측 방향에는 스프레이 건(10)의 분사 노즐(11)에서 분사되는 도료의 형상에 대응하면서 분사 노즐(11)의 토출구로부터 20 내지 40cm 이격 된 위치에 직사각형 형상의 도료 분사 안내 홈(320)이 형성되며, 그 안내 홈(320)의 하측에는 벽면에 도포되지 못하고 낙하하는 도료를 모아 회수구(2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집부(340)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하우징(S) 내부에 형성되는 압을 배출하여 안정적인 도료의 분사가 용이하도록 통기공(350)이 형성된 통 형상의 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S)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홈(220)의 외형은 스프레이 건(10)의 팁 가드(12)형상과 동일 내지 유사한 형상의 파지부(240)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240)에는 스프레이 건(10)과 본체(200)를 일체형으로 결합 고정 시켜주는 고정 브라켓(100)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 브라켓(100)은 스프레이 건(10)을 본체(200)에 결합시 흔들림 없는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본체(200)에 매립된 결합 너트(210)에 대응하는 결합 홈(110)이 상, 하 대칭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 홈(110)의 사이에는 스프레이 건(10)의 분사 노즐(11)이 삽입되는 삽입 홈(120)이 형성되고, 적어도 2개소 이상에서 절곡 가공된 절곡부(130)에 의해 'ㄷ' 형으로 성형 되며, 상기 관통홈(220)의 일측에는 고정 브라켓(100)의 결합 홈(110)에 대응하는 결합 너트(210)가 매립고정되며, 상기 도료 분사 안내 홈(320)의 가장자리는 노즐 막힘 또는 점도의 차이로 인해 도료가 뭉쳐져 정확한 분사가 되지 않는 도료를 차단하여 최종 회수구(2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내측 사선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차단부(33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결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100)의 삽입 홈(120) 하측에는 스프레이 건(10)과 본체(200) 결합시 정 위치에 결합 되도록 안내하는 안내 돌기(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결합체.
  3. 삭제
KR1020200178301A 2020-12-18 2020-12-18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결합체 KR102227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301A KR102227020B1 (ko) 2020-12-18 2020-12-18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결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301A KR102227020B1 (ko) 2020-12-18 2020-12-18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결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535A KR20210005535A (ko) 2021-01-14
KR102227020B1 true KR102227020B1 (ko) 2021-03-12

Family

ID=74142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301A KR102227020B1 (ko) 2020-12-18 2020-12-18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결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0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333B1 (ko) * 2021-01-15 2021-07-22 김소중 페인트 스프레이건 장착용 비산 저감 장치
KR102290898B1 (ko) * 2021-04-05 2021-08-19 (주)피엠씨 도료비산 방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1341A (ja) * 2001-09-04 2003-03-11 Heiji Ezawa 塗料飛沫防止フード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1369A (en) 1994-08-31 1997-05-20 Eli Lilly And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benzoic acid derivative intermediates and benzothiophene pharmaceutical agents
KR20100115163A (ko) * 2009-04-17 2010-10-27 문성봉 스프레이건용 브러시장치
KR101388926B1 (ko) * 2014-02-13 2014-04-24 (주)칠칠공사 이동이 용이한 에어 리스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및 그 커버가 장착된 에어 리스 스프레이 건
KR101656222B1 (ko) 2016-04-12 2016-09-09 유지씨 주식회사 에어 커튼 발생 부재를 구비하는 에어 리스 스프레이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KR102145873B1 (ko) * 2020-06-10 2020-08-20 유지씨 주식회사 에어 리스 스프레이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및 그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이 결합 된 고소작업대용 도색장치 및 그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이 결합 된 달비계용 도색 장치 및 그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이 결합 된 평면용 도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1341A (ja) * 2001-09-04 2003-03-11 Heiji Ezawa 塗料飛沫防止フ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535A (ko)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7020B1 (ko)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결합체
KR102245357B1 (ko) 스프레이건 용 스마트 형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KR101388926B1 (ko) 이동이 용이한 에어 리스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및 그 커버가 장착된 에어 리스 스프레이 건
KR101656222B1 (ko) 에어 커튼 발생 부재를 구비하는 에어 리스 스프레이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CN101096022B (zh) 纹理喷涂器和消声器
KR102145873B1 (ko) 에어 리스 스프레이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및 그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이 결합 된 고소작업대용 도색장치 및 그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이 결합 된 달비계용 도색 장치 및 그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이 결합 된 평면용 도색장치
KR20130125343A (ko) 에어 리스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및 그 커버가 장착된 에어 리스 스프레이 건
CN203737474U (zh) 密封结构、压力测量装置及喷枪
US20050150521A1 (en)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aint spray guns
KR20190092420A (ko) 스프레이 건 에어 캡 유지 수단
KR102117214B1 (ko) 에어 리스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US20110232699A1 (en) Aqua comb
US3811618A (en) Liquid concentrate and water mixing and dispensing device
KR102266868B1 (ko) 도장용 스프레이건의 도료비산방지장치
US20040123904A1 (en) Fire sprinkler water catching apparatus
KR101270491B1 (ko) 폴리우레아 분사용 비산 방지구
US9381525B2 (en) Low pressure fogging device
KR101554450B1 (ko) 이액형 도료의 혼합기능이 부여되는 차선도색분사기기
KR101669999B1 (ko) 비산 페인트 흡입모듈을 갖는 도장 도색용 에어리스 장비의 스프레이건
US20190142152A1 (en) A cleaning assembly
US6613147B1 (en) Portable spray booth
KR101554451B1 (ko) 소형차선도색차량
US3750956A (en) Sprinkler unit
KR102481225B1 (ko) 에어리스 스프레이 건을 이용한 도색 작업 시 도료의 비산과 유실을 저감 시킬 수 있는 비산 및 유실 저감 기구
US20140224904A1 (en) Foaming No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