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994B1 -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994B1
KR102226994B1 KR1020140195748A KR20140195748A KR102226994B1 KR 102226994 B1 KR102226994 B1 KR 102226994B1 KR 1020140195748 A KR1020140195748 A KR 1020140195748A KR 20140195748 A KR20140195748 A KR 20140195748A KR 102226994 B1 KR102226994 B1 KR 102226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metadata
provid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9625A (ko
Inventor
강창환
남성우
김진관
형다혜
박재환
이정익
원주현
김은아
이광일
박성흠
김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ublication of KR20160029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8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의 파일명과 메타 데이터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부, 상기 식별된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메타 데이터 가공부, 상기 갱신된 메타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식별된 콘텐츠를 분류하는 콘텐츠 분류부 및 상기 분류된 결과 내에서, 상기 특정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가 보유하지 않은 미보유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CONTENTS SERVICE}
본 발명은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TV 서비스들은 사용자가 촬영/녹음했거나 다운로드 받은 사용자 콘텐츠들을 사업자 콘텐츠의 소비를 방해하는 요소로 인식하고, 서비스 이용 히스토리 및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 등에서도 배제하는 등 중요하지 않은 요소로 취급해왔다.
그러나, 실제로 사용자 콘텐츠를 중심으로 사진(이미지)이나 음악, 동영상 등의 소비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자 콘텐츠 관리 및 소비를 위해 특화된 서비스들의 이용률도 높아지는 등 사용자 콘텐츠가 사용자들의 콘텐츠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고 중요하다.
이에, 사용자 콘텐츠를 사업자 콘텐츠와 동등한 레벨로 리포지셔닝(repositioning)하고 통합된 콘텐츠 이용 서비스로 제공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콘텐츠를 사업자 콘텐츠와 동등한 레벨로 리포지셔닝(repositioning)하고 통합된 콘텐츠 이용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의 파일명과 메타 데이터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부, 상기 식별된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메타 데이터 가공부, 상기 갱신된 메타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식별된 콘텐츠를 분류하는 콘텐츠 분류부 및 상기 분류된 결과 내에서, 상기 특정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가 보유하지 않은 미보유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의 파일명과 메타 데이터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는 단계, (b) 상기 식별된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 (c) 상기 갱신된 메타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식별된 콘텐츠를 분류하는 단계 및 (d) 상기 분류된 결과 내에서, 상기 특정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가 보유하지 않은 미보유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가 서버에 접속하여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와 관련된 레퍼런스 메타데이터(reference metadata)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레퍼런스 메타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의 메타데이터에 오기(誤記)된 데이터나 미기재된 데이터가 존재 시 이를 갱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갱신된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보유하지 않은 미보유 콘텐츠 및 고해상도 콘텐츠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미보유 콘텐츠는 상기 갱신된 메타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를 분류한 결과, 상기 특정 데이터의 기준 내에서 존재하지 않는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고해상도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의 해상도보다 더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콘텐츠와 사업자 콘텐츠를 통합한 콘텐츠 이용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업자 콘텐츠의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콘텐츠 관리를 통해 사용자들의 이용 내역과 패턴, 선호도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에게 만족도 높은 콘텐츠 추천 및 편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명과 메타 데이터의 갱신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10) 및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의 파일명이나 메타 데이터를 입력 또는 수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10)의 저장소, 사용자 단말기(110)와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 포트 등)를 통해 연결된 외부 저장 장치(예를 들어 USB 메모리, 외장 하드 등), 사용자 단말기(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저장소(예를 들어, 댁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모바일, 클라우드 등) 등에 저장된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를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이하, ‘서비스 서버’라 칭함)(120)의 저장소, 서비스 서버(12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저장소(예를 들어 클라우드) 등에 업로드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는 인터넷, 방송 사업자, 콘텐츠 제공 업체 등으로부터 다운받거나 사용자가 직접 제작, 편집한 동영상 파일, 음악 파일 및 텍스트 파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소나 외부 저장 장치 등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업로드’는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 파일, 콘텐츠의 파일명, 메타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서비스 서버(120)나 서비스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저장소로 전송하는 의미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기(110)의 저장소, 사용자 단말기(110)와 연결된 외부 저장소 등에 저장된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파일명, 메타데이터 등)를 서비스 서버(120)가 획득하는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는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이고, 사용자가 보유하지 못한 미보유 콘텐츠나 고 해상도의 콘텐츠를 제공(추천)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서버(120)는 콘텐츠의 레퍼런스 메타 데이터(reference meta data)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 중 오기(誤記)된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미기재된 데이터를 삽입해줌으로써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의 ‘레퍼런스 메타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120)는 상기 방법으로 정확도가 높아진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들을 메타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예를 들어, 시리즈 명칭)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콘텐츠들 중 사용자가 보유하지 않은 콘텐츠(예를 들어, 시리즈 중 특정 회차의 콘텐츠)나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보다 더 높은 해상도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 단말기(110)가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의 정보(예를 들어 파일명이나 메타 데이터 등)를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레퍼런스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10)가 스스로 갱신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20)가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20)는 콘텐츠 식별부(121), 레퍼런스 메타 데이터 저장부(122), 메타 데이터 가공부(123), 콘텐츠 분류부(124) 및 콘텐츠 제공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콘텐츠 식별부(121)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저장소, 사용자 단말기(110)와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 포트 등)를 통해 연결된 외부 저장 장치(예를 들어 USB 메모리, 외장 하드 등), 사용자 단말기(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저장소(예를 들어, 댁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모바일, 클라우드 등) 등에 저장된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 서비스 서버(120)의 저장소, 서비스 서버(12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저장소(예를 들어, 클라우드 등) 등에 업로드된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의 파일명 및 메타 데이터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해당 콘텐츠를 식별하고, 식별된 정보를 메타 데이터 가공부(123)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를 ‘사용자 콘텐츠’라 칭하도록 한다.
참고로, 사용자 콘텐츠의 파일명이나 메타 데이터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과정에서 오타가 발생하거나 미입력되는 등 정확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콘텐츠 식별부(121)는 파일명이나 메타 데이터를 상호 참조하여 해당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명에 ‘트랜트포머’라는 영화 타이틀이 포함되어 있고, 메타 데이터에 저장된 영화 타이틀이 ‘Transformers 3: Dark of the Moon’인 경우, 사용자 콘텐츠 식별부(110)는 해당 사용자 콘텐츠를 ‘트랜스포머 3’로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일명과 메타 데이터가 서로 다른 경우, 사용자 콘텐츠 식별부(110)는 메타 데이터에 우선 순위를 두어 메타 데이터를 기준으로 사용자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물론, 파일명에 우선 순위를 두어 파일명을 기준으로 사용자 콘텐츠를 식별할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 식별부(121)는 사용자 콘텐츠를 ‘식별’시 해당 콘텐츠가 음원인 경우, 메타 데이터로부터 곡 명, 해당 음원의 제작진(가수, 작곡가, 작사가, feat 등), 해당 음원이 속한 앨범, 해당 앨범에서 해당 음원의 트랙 번호, 음질(비트율), 최종 감상 시간 등의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콘텐츠가 영화나 드라마 같은 동영상인 경우, 콘텐츠 식별부(121)는 파일명을 분석하여 타이틀, 제작년도(방송일자), 원본 파일 형식 및 압축 형식, 파일 압축 형식, 음향 형식, 볼륨 No, 파일 확장자 등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메타 데이터로부터 타이틀, 장르, 해상도, 최종 감상 시간, 제작진, 출연진, 연재물(시리즈)인 경우 연재 회차 등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콘텐츠 식별부(121)는 미리 정해진 파일명 포맷(format)을 기준으로 파일명을 분석할 수 있다.
파일명 포맷의 일 실시예로서, ‘타이틀, 제작년도(방송일자), 원본 파일 형식 및 압축 형식, 파일 압축 형식, 음향 형식, 볼륨 No 및 파일 확장자’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ransformers3.2011.DVDRip.Xvid.AC3.CD1.avi’와 같은 파일명에서, 타이틀은 Transformers3, 제작 년도는 2011, 원본 파일 형식 및 압축 형식은 DVDRip, 파일 압축 형식은 Xvid, 음향 형식은 AC3, 볼륨 No는 CD1, 파일 확장자는 avi이다.
콘텐츠 식별부(121)는 사용자 콘텐츠의 파일명으로부터 상기 포맷을 기준으로 타이틀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들을 추출하여 해당 사용자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참고로, 파일명 분석 결과, 파일명의 포맷이 상기 기준 포맷과 다른 경우, 콘텐츠 식별부(121)는 해당 파일명을 상기 기준 포맷에 맞춰 파일명을 일관되게 변경할 수도 있으며, 이 과정에서 동일한 타이틀이지만 다른 형식으로 표기되는 타이틀(예를 들어 예능 프로그램인 ‘무한도전’이 ‘무도’로 표기되는 등)을 하나의 기준 타이틀(상기 예의 경우 ‘무한도전’)로 통일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콘텐츠의 실시예로서 영화나 드라마 같은 동영상인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레퍼런스 메타 데이터 저장부(122)는 각 사용자 콘텐츠별로 레퍼런스 메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레퍼런스 메타 데이터(reference meta data)’는 사용자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갱신 시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메타 데이터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관리자 또는 사용자들의 모니터링을 통해 높은 정확도가 유지될 수 있다.
이하, 사업자에 의해 레퍼런스 메타 데이터가 구축된 콘텐츠를 ‘레퍼런스 콘텐츠’라 칭하도록 한다.
참고로, 레퍼런스 메타 데이터의 저장 위치는 서비스 서버(120) 내에 포함될 수도 있고, 서비스 서버(12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별도의 저장소(예를 들어, 클라우드 등)일 수도 있다.
한편, 메타 데이터 가공부(123)는 콘텐츠 식별부(121)로부터 사용자 콘텐츠가 식별되면, 해당 사용자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메타 데이터의 갱신’은 레퍼런스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와 사용자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 중 아직 채워지지 않은 다양한 데이터들을 새롭게 삽입하거나, 잘못 표기된 데이터(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했으나 오타가 발생한 경우 등)를 검색하여 수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타 데이터 가공부(123)는 콘텐츠 식별부(121)에 의해 식별된 각 사용자 콘텐츠와, 이미 레퍼런스 메타 데이터가 구축된 레퍼런스 콘텐츠 중 타이틀이 서로 일치하는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타이틀이 서로 일치하는 하나의 레퍼런스 콘텐츠가 검색될 수도 있고, 복수의 후보 레퍼런스 콘텐츠가 검색될 수도 있다.
만일 복수의 후보 레퍼런스 콘텐츠가 검색되는 경우, 메타 데이터 가공부(123)는 후보 레퍼런스 콘텐츠 중 사용자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와 일치하는 수가 많은 콘텐츠를 최종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메타 데이터 가공부(123)는 메타 데이터의 갱신이 발생된 사용자 콘텐츠에 대하여 갱신 전 데이터와 갱신 후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는 갱신 데이터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분류부(124)는 갱신된 메타 데이터(수정되거나 추가된 데이터뿐만 아니라 수정되지 않은 기존의 데이터도 포함된다)에 기반하여 사용자 콘텐츠를 특정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 데이터 중 카테고리(TV, Move, Show 등), 장르(액션, 코믹, 드라마, 다큐 등), 제작진(감독 등), 출연진(배우, 주연, 조연 등), 시리즈(다수의 회차/에피소드로 구성)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사용자 콘텐츠를 분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콘텐츠 분류부(124)는 서비스 서버(120)로 사용자 콘텐츠를 업로드 시 사용자 콘텐츠를 분류하기 위한 특정 기준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 콘텐츠를 분류 시 시청 이력(메타 데이터 중 최종 감상 시간)을 반영하는 경우, 콘텐츠 분류부(124)는 전술한 분류 내에서 특정 기간(예를 들어 일주일) 이내에 시청한 콘텐츠로 더 세분화하여 분류할 수도 있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 즉, 특정 기간(예를 들어 일주일) 이내에 시청한 콘텐츠로 우선 분류한 후, 더 세부적으로 카테고리, 장르, 제작진, 출연진, 시리즈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콘텐츠 제공부(125)는 콘텐츠 분류부(124)에 의해 사용자 콘텐츠들이 특정 기준으로 분류된 결과 내에서, 각 사용자 콘텐츠의 갱신된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시리즈의 일부 회차만 보유하고 있는 경우, 콘텐츠 제공부(125)는 누락된 회차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한 후,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해당 회차의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회차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가 저해상도이고, 제공 가능한 콘텐츠 중 고해상도의 동일한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콘텐츠 제공부(125)는 고해상도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해당 고해상도의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콘텐츠 제공부(125)는 해당 고해상도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제공부(125)가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하는 누락된 회차의 콘텐츠나 고해상도의 콘텐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타 사용자가 서비스 서버(120)에 업로드한 콘텐츠일 수도 있고,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서비스하는 콘텐츠일 수도 있다.
만일,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가 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경우, 서비스 서버(120)는 해당 콘텐츠를 보유한 사용자에게 소정의 보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서비스 서버(120)는 보상 지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서비스 서버(120)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셋탑 박스, 이동 통신 단말기 등 다양한 사용자 단말기(110)에 저장된 콘텐츠들을 통합하고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콘텐츠를 이용하는 이용 내역도 함께 통합 관리하여 사용자의 이용 내역과 패턴, 선호도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만족도 높은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서버(120)는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통합 이력 관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하 서비스 서버(120)를 주체로 도 2의 흐름도를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에 의해 레퍼런스 콘텐츠(레퍼런스 메타 데이터)는 이미 구축된 상태이다.
먼저,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업로드된 사용자 콘텐츠들의 파일명과 메타 데이터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각 사용자 콘텐츠를 식별한다(S301).
S301 후, 서비스 서버(120)는 S301에서 식별된 각 사용자 콘텐츠와, 이미 레퍼런스 메타 데이터가 구축된 레퍼런스 콘텐츠 중 타이틀이 서로 일치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레퍼런스 메타 데이터를 기준으로, S301에서 식별된 각 사용자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 중 오기된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미입력된 데이터를 입력하는 등 메타 데이터를 갱신한다(S302).
S302 후, 서비스 서버(120)는 갱신된 메타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를 기준으로 사용자 콘텐츠들을 분류한다(S303).
참고로, ‘갱신된 메타 데이터’는 수정되거나 새롭게 입력된 데이터 뿐만 아니라, 수정되지 않은 기존의 메타 데이터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120)는 메타 데이터 중 카테고리(TV, Move, Show 등), 장르(액션, 코믹, 드라마, 다큐 등), 제작진(감독 등), 출연진(배우, 주연, 조연 등), 시리즈(다수의 회차/에피소드로 구성)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사용자 콘텐츠를 분류할 수 있다.
S303 후, 서비스 서버(120)는 S303에서 분류된 결과 내에서, 특정 데이터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보유하지 않은 미보유 콘텐츠가 존재하거나,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보다 더 고해상도의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한다(S304).
S304 후,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미보유 콘텐츠 또는 고해상도의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서비스 서버(120)는 해당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한다(S305).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서비스 서버(110)로 사용자 콘텐츠들을 업로드한 결과로서, 사용자 콘텐츠들이 TV, Movie, Show 등 카테고리 별로 분류되어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콘텐츠들을 업로드 시 또는 기 업로드된 사용자 콘텐츠들을 어떻게 분류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 콘텐츠들의 분류는 도 4와 같이 TV, Movie, Show 등 카테고리 별로 분류될 수도 있고, 여기에서 더 세분화되어 Movie / 액션, 코믹, 공포, 멜로 등과 같이 장르별로 분류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각 장르별로 분류된 결과에서 시리즈 별로 분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서비스 서버(120)에 업로드된 사용자 콘텐츠들의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TV(카테고리) / 드라마(장르) / 왕좌의 게임(타이틀) / 시즌 4(시리즈)’로 분류한 결과, 사용자가 보유한 시리즈의 콘텐츠 중 누락된 회차의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이다.
도 5에서는, 사용자가 보유한 시리즈 물의 콘텐츠가 EP 1, 2, 4, 5, 6 및 7이며 EP 3이 누락된 경우이다.
도 5와 같이 누락된 회자의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서비스 서버(120)는 해당 회차의 콘텐츠를 이용(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서비스 서버(120)에 업로드된 사용자 콘텐츠가 저해상도이고, 서비스 서버(120)가 제공 가능한 콘텐트 중 고해상도의 동일한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120)는 고해상도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도 5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명과 메타 데이터의 갱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사용자 콘텐츠의 파일명과 메타 데이터이며, 도 6 의 (b)는 레퍼런스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이다.
콘텐츠 식별 과정에서 사용자 콘텐츠의 파일명은 기준 포맷에 맞게 도 6의 (c)와 같이 변경되었으며, 사용자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 또한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퍼런스 메타 데이터를 기준으로 오기가 발생하거나 아직 채워지지 않은 데이터들이 새롭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도 6의 (a)에서 올바른 타이틀은 ‘HungerGame’이나 사용자 콘텐츠의 파일명에서는 ‘HangerGame’으로, 메타 데이터에서는 ‘HangerGmae’로 잘못 기재되어 있다.
또한, 파일명의 기준 포맷은 도 6의 (b)와 같이 타이틀.제작년도(방송일자)…순서이나, 도 6의 (a)에서는 제작년도.타이틀…순서로 기재되어 있다.
참고로, 레퍼런스 콘텐츠의 경우, 다양한 원본 파일 및 파일 압축 형식, 파일 압축 형식, 음향 형식, 볼륨 No, 파일 확장자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설명의 편의 상 도 6의 (b)와 같이 표기하였다.
그리고, 도 6의 (b)에서 해상도의 경우, 레퍼런스 콘텐츠로 존재하는 파일의 해상도가 1920X1080과 720X480 두 종류로 존재함을 나타낸다.
도 6의 (c)에서는, 레퍼런스 메타 데이터를 기준으로 오기된 타이틀 및 새롭게 추가된 데이터가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정확도가 높아진 메타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1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가 보유하지 못한 미보유 콘텐츠 또는 해상도가 더 좋은 고화질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콘텐츠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사용자 단말기(110)를 주체로 도 7의 흐름도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 즉 사용자 콘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파일명이나 메타데이터 등)를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한다(S701).
S701 후, 사용자 단말기(110)는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사용자 콘텐츠와 관련된 레퍼런스 메타 데이터를 수신한다(S702).
여기서, 사용자 콘텐츠와 관련된 레퍼런스 메타 데이터에는 특정 데이터를 기준으로 사용자 콘텐츠를 분류한 결과, 특정 데이터의 기준 내에서 존재하지 않는 미보유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 콘텐츠보다 더 고해상도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S702 후, 사용자 단말기(110)는 S702에서 수신된 레퍼런스 메타 데이터를 기준으로 사용자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존재하는 오기된 데이터나 미기재된 데이터를 갱신한다(S703).
S703 후, 사용자 단말기(110)는 S703에서 갱신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 즉, 갱신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미보유 콘텐츠 및 고해상도 콘텐츠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해당 콘텐츠의 회차나 해당 콘텐츠를 요청할 수 있는 링크 정보 등)를 수신한다(S704).
S704 후, 사용자 단말기(110)는 서비스 서버(120)로 미보유 콘텐츠 및 고해상도 콘텐츠 중 하나 이상을 요청하여 해당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S705).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사용자 단말기
120 : 서비스 서버
121 : 콘텐츠 식별부
122 : 레퍼런스 메타 데이터 저장부
123 : 메타 데이터 가공부
124 : 콘텐츠 분류부
125 : 콘텐츠 제공부

Claims (22)

  1.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각 콘텐츠별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레퍼런스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퍼런스 메타 데이터 저장부;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의 파일명과 메타 데이터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부;
    상기 식별된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메타 데이터 가공부;
    상기 갱신된 메타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식별된 콘텐츠를 분류하는 콘텐츠 분류부; 및
    상기 분류된 결과 내에서, 상기 특정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가 보유하지 않은 미보유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
    를 포함하되,
    상기 메타 데이터 가공부는,
    상기 레퍼런스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메타 데이터 중 오기(誤記)된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미기재된 데이터를 삽입하여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며,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갱신된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보다 고해상도의 콘텐츠 또는 상기 사용자의 미보유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식별부는,
    상기 콘텐츠의 파일명과 메타 데이터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메타 데이터를 우선으로 고려하여 상기 각 콘텐츠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 가공부는,
    메타 데이터의 갱신이 발생된 콘텐츠에 대하여 갱신 전 데이터와 갱신 후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는 갱신 데이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분류부는,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들을 분류하는 기준이 되는 상기 특정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되,
    상기 특정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데이터는 카테고리, 장르, 제작진, 출연진, 시리즈, 최종 감상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미보유 콘텐츠 또는 고해상도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미보유 콘텐츠 또는 고해상도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되,
    상기 미보유 콘텐츠 또는 고해상도 콘텐츠는 타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이거나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보유한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타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가 상기 미보유 콘텐츠 또는 고해상도 콘텐츠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타 사용자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보상 지급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의 사용 이력을 관리하는 통합 이력 관리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 이력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사용된 이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이력 관리부는,
    상기 사용 이력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내역, 콘텐츠 이용 패턴 및 콘텐츠 선호도 중 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4. 서버가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의 파일명과 메타 데이터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는 단계;
    (b) 상기 식별된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
    (c) 상기 갱신된 메타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식별된 콘텐츠를 분류하는 단계; 및
    (d) 상기 분류된 결과 내에서, 상기 특정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가 보유하지 않은 미보유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 이전에,
    콘텐츠별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레퍼런스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레퍼런스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 중 오기(誤記)된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미기재된 데이터를 삽입하여 상기 메타 데이터를 갱신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갱신된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보다 고해상도의 콘텐츠 또는 상기 사용자의 미보유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미보유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미보유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되,
    상기 미보유 콘텐츠는 타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이거나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보유한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해상도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고해상도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되,
    상기 고해상도 콘텐츠는 타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이거나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보유한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 14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1. 사용자 단말기가 서버에 접속하여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와 관련되며,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레퍼런스 메타데이터(reference metadata)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레퍼런스 메타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의 메타데이터에 존재하는 오기(誤記)된 데이터나 미기재된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갱신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보유하지 않은 미보유 콘텐츠 및 고해상도 콘텐츠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미보유 콘텐츠는 상기 갱신된 메타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를 분류한 결과, 상기 특정 데이터의 기준 내에서 존재하지 않는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고해상도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콘텐츠의 해상도보다 더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22. 제 21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40195748A 2014-09-05 2014-12-31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2269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8753 2014-09-05
KR1020140118753 2014-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625A KR20160029625A (ko) 2016-03-15
KR102226994B1 true KR102226994B1 (ko) 2021-03-12

Family

ID=55542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748A KR102226994B1 (ko) 2014-09-05 2014-12-31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9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714B1 (ko) * 2016-05-10 202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7202A1 (en) * 2006-05-26 2007-11-29 Frank Li-De Li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delivery
JP2011014984A (ja) * 2009-06-30 2011-01-2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7202A1 (en) * 2006-05-26 2007-11-29 Frank Li-De Li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delivery
JP2011014984A (ja) * 2009-06-30 2011-01-2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625A (ko)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65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electronic content using video graphs
US10714145B2 (en) Systems and methods to associate multimedia tags with user comments and generate user modifiable snippets around a tag time for efficient storage and sharing of tagged items
US10264314B2 (en) Multimedia content management system
US964187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electronic content
JP2021103543A (ja) ライブストリームコンテンツを推奨するための機械学習の使用
WO2017096877A1 (zh) 一种推荐方法和装置
US11734289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oviding a media search engine
US201701957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segmented content based on related data ranking
US20220107978A1 (en) Method for recommending video content
US9460093B2 (en) Dynamic media content
US20160098602A1 (en) Method for computing a similarity measure for video segments
US201500668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ying passive interest classified media content
US95423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lternative names
US20230139539A1 (en) Identifying viewing characteristics of an audience of a content channel
CN106909634B (zh) 基于条件的多媒体影像评论数据挖掘与处理方法及系统
KR102226994B1 (ko)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US89901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media assets
TW202011231A (zh) 資料分析方法及資料分析系統
CN104427361A (zh) 电视服务系统与提供影音服务的方法
KR102432310B1 (ko) 그래픽 인터페이스 분석을 사용하여 미디어 라이브러리들을 가져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