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043B1 -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043B1
KR102226043B1 KR1020200031226A KR20200031226A KR102226043B1 KR 102226043 B1 KR102226043 B1 KR 102226043B1 KR 1020200031226 A KR1020200031226 A KR 1020200031226A KR 20200031226 A KR20200031226 A KR 20200031226A KR 102226043 B1 KR102226043 B1 KR 102226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information
providing unit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조
이홍재
정승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엔인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엔인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엔인포텍
Priority to KR1020200031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장비 관제 시스템을 통하여 관리되는 장비에 대해 지도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사용함으로써, 장비 아이콘이 지도 이미지 상에 위치된 좌표값을 통해 장비가 위치된 지역에 대한 장비 지역 정보 및 지역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지역 연결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하는 지도 데이터 제공부와 지도 데이터 제공부에서의 지역별 장비 정보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분석 데이터 제공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상황판 제공부; 및 장비 정보에 포함된 장비 구성 이미지를 제공하는 장비 이미지 제공부와 장비 구성 이미지와 매칭되는 장비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장비 정보 제공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유니트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EQUIPMENT CONTROL SYSTEM USING MAP IMAGES}
본 발명은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장비 관제 시스템을 통해 장비들을 관리함에 있어, 지도 이미지와 아이콘을 활용하여 장비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 가능하고, 지역별로 설치된 장비 간의 연결 관계 또한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이러한 모든 장비들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더 제공함으로써 설치된 장비들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이미지를 활용하여 시각적으로 나타낸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종래의 장비 관제 시스템을 통해 설치된 장비들을 관리함에 있어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관제 시스템을 이해함에 있어 기본적인 네트워크 또는 장비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는 것에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지식 없이 관제 시스템을 곧바로 이해하기란 상당히 어렵고, 더군다나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하는 장비들이 많아지거나 이기종 망 간에 관제를 개별 관리하는 등 그 체계가 더욱 복잡하게 될 시에는 이러한 문제점이 더욱 부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이기종 망 간에 개별 관리를 하게 될 시에는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망 관제 체계가 사실상 없다시피하여 개별적으로 관리하게 되는데, 이때 관리함에 있어 인력 또는 비용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인력이 변동될 시에는 인수인계에 대한 어려움과 변동된 인력이 다시 기존의 관제 시스템의 구성 또는 체계를 이해하기까지의 시간과 비용 또한 적잖이 커지게 된다.
특히, 특정한 장비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이러한 문제들이 더욱 부각될 수 있다. 관제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인력이 장애를 확인하게 될 시, 적시에 장애에 대한 대처를 하지 못하게 될 수 있고, 경험에 따라 장애임에도 불구하고 장애라고 인지 못하는 경우 또한 발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의 장비 관제 시스템은 상술한 이유들로써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과 지식에 다수 의존하게 되므로, 체계적으로 장비들을 관리하지 못하게 될 수 있고, 장애 발생 시에는 적시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어려우므로, 장비에 장애가 발생된 상태로 남겨지거나, 장비 간의 연결에 따라서는 다른 장비에도 또한 그 장애의 여파가 미칠 우려 또한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장비 관제 시스템을 통해 장비들을 관리함에 있어 지도 이미지, 아이콘 등을 적절히 활용하여 시각적으로 제공되는 UI를 통해 장비 관제 시스템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도록 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장비 현황 또는 장애 발생 시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분석 및 종합하여 정제된 데이터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장비들에 대한 정보와 장애 발생에 관련된 데이터들을 즉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장비 관제 시스템을 통하여 관리되는 장비에 대해 지도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사용함으로써, 장비 아이콘이 상기 지도 이미지 상에 위치된 좌표값을 통해 장비가 위치된 지역에 대한 장비 지역 정보 및 지역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지역 연결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하는 지도 데이터 제공부와 상기 지도 데이터 제공부에서의 지역별 장비 정보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분석 데이터 제공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상황판 제공부; 및 상기 장비 정보에 포함된 장비 구성 이미지를 제공하는 장비 이미지 제공부와 상기 장비 구성 이미지와 매칭되는 장비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장비 정보 제공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유니트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황판 제공부는, 장비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또는 장비별로 오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장애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장비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통해 장비의 구성 현황 정보, 단위 기간별 장애 현황 정보 또는 장애 감지 시, 감지된 장애의 위험도에 따라 등급별로 분류된 장애 내역 리스트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상기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 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 데이터 제공부는, 상기 분석 데이터 생성부로부터 상기 분석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도 데이터 제공부는, 상기 지도 이미지의 일 영역에 위치된 상기 장비 아이콘에 또다른 상기 장비 아이콘 또는 서브 상황판 제공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하위 구성으로 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장비 지역 정보를 계층적으로 나타내되, 최하단 계층에는 상기 장비 아이콘만을 추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황판 제공부는, 상기 장비 아이콘이 선택될 시, 상기 유니트 관리부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황판 제공부는, 상기 지도 이미지의 일 영역에 위치된 상기 장비 아이콘 간에 연결선 추가 또는 삭제를 통해 상기 지역 연결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니트 관리부는, 상기 장비 정보 간의 상하 관계를 리스트로써 제공하는 장비 리스트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비 리스트 제공부에 포함된 텍스트 또는 아이콘이 선택될 시, 선택된 텍스트 또는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기 장비 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 이미지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장비 구성 이미지 또는 장비 정보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장비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니트 관리부는, 실장도 이미지로써 장비가 설치된 위치 또는 연결 관계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실장도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장도 이미지의 일 영역 또는 상기 실장도 이미지에 포함된 아이콘이 선택될 시, 선택된 일 영역 또는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기 장비 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 이미지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장비 구성 이미지 또는 장비 정보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장비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황판 제공부 또는 유니트 관리부는, 상기 분석 데이터를 통해 장애가 발생된 이력이 있거나 단위 시간 동안 장애가 감지된 장비를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아이콘에 대해 정상 작동되는 장비들의 텍스트 또는 아이콘과 구별이 되도록 색상 또는 모양을 적어도 하나 이상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황판 제공부는, 상기 지도 데이터 제공부의 상기 지도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대신하여 토폴로지(Topology) 방식으로써 상기 장비 지역 정보 및 상기 지역 연결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황판 제공부 또는 유니트 관리부는, 사용자에 맞추어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장비 관제 시스템을 통해 장비들을 관리함에 있어 지도 이미지, 아이콘 등을 적절히 활용하여 시각적으로 제공되는 UI를 통해 장비 관제 시스템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게 됨으로써, 보다 빠른 습득 및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장비 현황 또는 장애 발생 시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분석 및 종합하여 정제된 데이터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장비들에 대한 정보와 장애 발생에 관련된 데이터들을 즉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장애 발생 시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별도로 장애 등에 대한 분석된 보고서를 작성할 필요 없으므로, 단순 보고서 작성 업무 등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상황판 제공부의 인터페이스의 일 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유니트 관리부의 인터페이스의 일 예.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토폴로지(Topology)로써 장비 간 연결 정보를 나타낸 인터페이스의 일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지도 데이터 제공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인터페이스의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실장도 제공부를 나타낸 인터페이스의 일 예.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장비 종류에 따른 리스트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장치" 또는 "서버"란,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구현된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게 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한다. 용량이 작거나 이용자 수가 작은 경우 하나의 서버에 다수의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용량이 매우 크거나 실시간 접속 인원수가 많은 경우, 그 기능에 따라서 운영을 위한 서버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에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미들웨어나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들이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은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에 대한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장비 관제 시스템을 통해 장비들을 관리함에 있어 지도 이미지, 아이콘 등을 적절히 활용하여 시각적으로 제공되는 UI를 통해 장비 관제 시스템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도록 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장비 현황 또는 장애 발생 시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분석 및 종합하여 정제된 데이터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장비들에 대한 정보와 장애 발생에 관련된 데이터들을 즉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상황판 제공부의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유니트 관리부의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토폴로지(Topology)로써 장비 간 연결 정보를 나타낸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지도 데이터 제공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실장도 제공부를 나타낸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장비 종류에 따른 리스트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지도 이미지(111)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장비 관제 시스템을 통하여 관리되는 장비에 대해 지도 이미지(111) 또는 아이콘을 사용함으로써, 장비 아이콘(112)이 지도 이미지(111) 상에 위치된 좌표값을 통해 장비가 위치된 지역에 대한 장비 지역 정보 및 지역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지역 연결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하는 지도 데이터 제공부(110)와 지도 데이터 제공부(110)에서의 지역별 장비 정보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분석 데이터 제공부(120)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상황판 제공부(100)와 장비 정보에 포함된 장비 구성 이미지(211)를 제공하는 장비 이미지 제공부(210)와 장비 구성 이미지(211)와 매칭되는 장비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장비 정보 제공부(220)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유니트 관리부(200)를 포함한다.
도 1을 통해 상황판 제공부(100)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도 1의 우측은 지도 데이터 제공부(110)의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구체적으로, 도 1에는 지도 이미지(111)로써 대한민국의 지도를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지도 이미지(111)를 통해 가장 먼저 장비 지역 정보를 확인 가능하다. 즉, 대한민국의 지도를 사용함으로써 지역 단위의 가장 최상 단위로 국가를 나타냄과 동시에 대한민국에 설치된 장비들에 대한 관제 시스템을 관리한다는 것이다. 다른 한 측면으로, 지도 이미지(111)를 서울로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서울에 한정한 지역에 대한 장비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거나, 미국의 지도 이미지(111)를 이용할 경우에는 미국에서의 장비 관제 시스템을 제공한다는 가장 최상단의 지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도 이미지(111)의 일 영역을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여 장비 아이콘(112)을 추가 또는 삭제가 가능함으로써 장비가 설치된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지도 이미지(111)의 일 영역에 장비 아이콘(112)을 추가할 시, 지도 이미지(111) 상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서버 등에 기 저장된 지역 정보에 매칭(예를 들어, 좌표값 (500,20)에 해당하는 지역은 A 지역)시키는 것이다. 즉, 상술한 장비 지역 정보에는 지도 이미지(111)를 통해 나타내는 지역의 정보 및 장비 아이콘(112)이 추가된 일 영역에 매칭되는 지역에 대한 정보 모두를 포함하게 된다.
이렇듯, 상술한 일련의 장비 아이콘(112)을 추가하는 과정을 통해 특정 지역에 장비가 설치되어 있음을 화면의 UI로써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장비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아이콘을 이용하여 어떠한 장비를 이용하는지 장비의 종류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도 있게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황판 제공부(100)의 지도 이미지(111)의 일 영역에 위치된 장비 아이콘(112) 간에 연결선(113) 추가 또는 삭제를 통해 지역 연결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도 1에서의 연결선(113)을 장비 아이콘(112) 간에 서로 연결 또는 추가함으로써 지역 간의 장비 연결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실제 장비 간의 연결 유무가 확인됨이 없이 임의로 설정하는 것은 지양하도록 하나, 일 예로서는, 설치 예정 또는 설치되어 있는 연결선(113)을 서로 다른 색상을 통해 표현하는 방식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결선(113)을 장비 아이콘(112)과 함께 더 둠으로써, 장비 또는 기지국 간의 연결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지역 간의 연결 상태를 단순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황판 제공부(100)의 다른 일 면에는, 분석 데이터 제공부(120)를 둘 수 있다. 상술하였듯, 분석 데이터 제공부(120)는 지도 데이터 제공부(110)에서의 지역별 장비 정보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 지도 데이터 제공부(110)에서의 지역별 장비 정보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함은, 장비 지역 정보는 지도 이미지(111)에 매칭되는 지역의 정보 및 장비 아이콘(112)이 추가된 일 영역에 매칭되는 지역, 즉, 도 1을 통해 설명하면 대한민국이라는 지역 정보, 장비 아이콘이 지도 이미지에 추가된 일 영역에 대응되는 지역 정보(예를 들어 A, B 지역 등)를 포함하고, 이러한 장비 지역 정보를 통해 대한민국 전체 또는 A 지역에 한정하여 이러한 지역별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함에 있어, 장비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또는 장비별로 오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장애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장비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통해 장비의 구성 현황 정보, 단위 기간별 장애 현황 정보 또는 장애 감지 시, 감지된 장애의 위험도에 따라 등급별로 분류된 장애 내역 리스트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 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분석 데이터 제공부(120)는 분석 데이터 생성부로부터 분석 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도 1의 분석 데이터 제공부(120)에서는 상술한 분석 데이터 생성부로부터 분석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황판 제공부(100)의 일 영역에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로써 분석 데이터 제공부(120)는 장비의 구성 현황 정보, 장애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 지역 정보, 단위 기간으로써 일 단위 또는 월 단위로써 장애 현황 정보가 분석된 정보와 감지된 장애의 위험도에 따라 각각 "Critical", "Major", "Minor", "Warning" 등 총 4등급으로 분류된 장애 내역 리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분석 데이터 생성부는 이외에도 장애 보고서 작성 등 장애와 관련하여 분석하거나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작업 과정을 단축시키기 위해 데이터들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를 통해 가공함으로써 정제된 데이터를 분석 데이터 제공부(120)에 전송하고, 분석 데이터 제공부(120)는 수신된 분석 데이터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 그래프 등을 이용하거나, 데이터들을 재조합 또는 정렬하여 사용자가 한눈에 장비와 관련된 현황 정보 또는 장애에 관련된 정보 등을 모두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시각적 처리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일 예로 분석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다수의 분석 데이터 제공부(120) 또는 분석 데이터 생성부를 둠으로써 다양한 데이터를 한 화면에 복합적으로 나타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장비 현황 또는 장애 발생 시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분석 및 종합하여 정제된 데이터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장비들에 대한 정보와 장애 발생에 관련된 데이터들을 즉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장애 발생 시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별도로 장애 등에 대한 분석된 보고서를 작성할 필요 없으므로, 단순 보고서 작성 업무 등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일 예로, 상황판 제공부(100)는 경우에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데이터 제공부(110)의 지도 이미지(111) 또는 장비 아이콘(112)을 대신하여 130의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폴로지(Topology) 방식으로써 장비 지역 정보 및 지역 연결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토폴로지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요소들(링크, 노드 등)을 물리적으로 연결해 놓은 것, 또는 그 연결 방식을 간략히 한 것으로, 장비 아이콘(112)을 대신하여 더욱 간단하면서도 장비 간 연결 상태를 정리해서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또는 장비에 관련된 지식이 없더라도 어떠한 연결 상태인지 파악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네트워크 또는 장비에 관련된 지식이 있다면 더욱 연결 상태를 정확히 확인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지도 데이터 제공부(110)와 서로 간에 화면 전환이 가능하도록 토글(Toggle) 기능을 더 삽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으로서 나타내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으로, 지도 데이터 제공부(110)에서는 지도 이미지(111)의 일 영역에 위치된 장비 아이콘(112)에 또다른 장비 아이콘(112) 또는 서브 상황판 제공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하위 구성으로 추가 가능하다.
도 4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는 지도 데이터 제공부(110)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만약, 지도 이미지(111) 상 또는 지도 이미지(111) 상에 배치된 장비 아이콘(112)을 선택할 경우, 114 또는 115의 메뉴가 추가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114를 통해 또다른 장비 아이콘(112)을 추가함으로서 하위의 구성으로써 설치된 장비 정보를 추가할 수 있고, 115를 통해서는 또다른 상황판 제공부(100)를 하위의 구성으로 추가할 수 있다.
즉, 상술한 과정을 통해, 장비 지역 정보를 계층적으로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B 지역을 나타내는 장비 아이콘(112)에 114를 선택함으로써 B 지역의 관제 시스템에 설치된 하위 장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고, 115를 선택할 시, B 지역의 하위 지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상황판 제공부(1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동일한 구성인 서브 상황판 제공부를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지역별로 장비 아이콘(112) 또는 서브 상황판 제공부를 하나 이상의 단게별로 추가함으로써, 계층적으로 장비를 상황에 따라 지역별 또는 장비별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단, 최하단 계층에는 장비 아이콘(112)만을 추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지역별로 장비를 계층적으로 관리하되, 지역을 세분화 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고, 결국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을 통해 전체적인, 또는 개별적인 장비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으로, 상술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상황판 제공부(100)에서 장비 아이콘(112)이 선택될 시, 유니트 관리부(200)로 전환된다.
도 2에도 도시되었듯, 유니트 관리부(200)는 장비 정보에 포함된 장비 구성 이미지(211)를 제공하는 장비 이미지 제공부(210)와 장비 구성 이미지(211)와 매칭되는 장비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장비 정보 제공부(220)를 하나 이상 포함한다.
이때, 유니트 관리부(200)는 장비 정보 간의 상하 관계를 리스트로써 제공하는 장비 리스트 제공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장비 리스트 제공부(230)에 포함된 텍스트 또는 아이콘이 선택될 시, 선택된 텍스트 또는 아이콘에 대응되는 장비 정보에 따라 장비 이미지 제공부(210)에서 제공되는 장비 구성 이미지(211) 또는 장비 정보 제공부(220)에서 제공되는 장비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2에서는 장비 이미지 제공부(210)에서 장비 구성 이미지(211)가 도시되어 있으나, 장비 리스트 제공부(230)에 포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선택할 경우, 예를 들어, "18019-1"의 텍스트를 선택하거나 텍스트 좌측의 폴더 모양의 아이콘을 선택할 시, 장비 이미지 제공부(210)를 통해서는 "18019-1"의 장비 구성 이미지(211) 또는 장비 정보 제공부(220)에는 "18019-1"에 대한 장비의 식별 정보 또는 접속자 정보 등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장비 리스트 제공부(230)를 리스트로 제공함으로써, 장비 간의 상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도 2에서는 "18019"는 하위 장비로 "18019-1", "18019-2", "18019-3"을 더 가지고 있고, 도 2에서의 관제 시스템으로 관리되는 상위 단위의 장비는 "18019"와 "18020"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장비들을 상하 관계 또는 연결 관계를 구성함에 있어, 크게 3개의 계층으로써 분류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 계층에는 전송장비 관제 시스템을, 제2 계층에는 네트워크 장비 관제 시스템을, 제3 계층에는 전산실 시스템이 표출이 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 각 전송장비 간의 연결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유니트 관리부(200)는 실장도 이미지(241)로써 장비가 설치된 위치 또는 연결 관계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실장도 제공부(240)를 더 포함하고, 상술한 장비 리스트 제공부(230)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장도 이미지(241)의 일 영역 또는 실장도 이미지(241)에 포함된 아이콘이 선택될 시, 선택된 일 영역 또는 아이콘에 대응되는 장비 정보에 따라 장비 이미지 제공부(210)에서 제공되는 장비 구성 이미지 또는 장비 정보 제공부(220)에서 제공되는 장비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실장도 이미지(241)를 통해서는 장비들의 결합 등의 정보 또는 장비들의 (실내 등 건물에서의) 위치 정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와 같은 실장도 이미지(241)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통해 다시 설명하면, 실장도 이미지(241)의 일 영역이나 실장도 이미지(241)에 포함된 아이콘인 "a" ~ "d" 중 선택된 아이콘에 따라 매칭되는 장비 정보에 대한 도 2에서의 장비 구성 이미지(211) 또는 장비 정보 제공부(220)에서 제공되는 장비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장비 구성 이미지(211)를 제공함에 있어서, 실장도 제공부(240)가 장비 이미지 제공부(210)로 전환되거나 장비 리스트 제공부(230)의 위치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고, 화면 간에 토글(Toggle)을 하거나, "뒤로 가기" 등의 기능을 더 이용하는 방식도 가능할 것이다.
실장도 이미지(241)를 이용한 상술한 실장도 제공부(240)의 일 예는, 장비 리스트 제공부(230)를 함께 더 참조하여 장비 간의 연결 관계 또는 상하 관계를 파악할 수 있고, 한편으로는 실장도 이미지(241)를 통해 장비가 위치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을 더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도 6에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장비 종류에 따른 리스트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에 따라, 실장도 이미지(241) 대신에 장비 종류 리스트부(250)를 통하여 본 발명에서 관리 가능한 모든 장비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의 장비 종류 리스트부(250)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장비의 종류에 제한 없이 관리할 수 있는 것으로, 도 6에서의 인터페이스의 일 예로는 장비 종류 리스트부(250)를 통하여 전송 장비(하위 목록으로는 PTN, MSPP, ROADM, WDM, Ch-Mux 등 포함), 네트워크 장비(하위 목록으로는 L2, L3, L4, 보안 장비, ip-mpls 등), 시설물 장비(하위 목록으로는 항온상습기, UPS, 정류기, 온습도계, 침수장비 등), 서버(하위 목록으로는 리눅스, 유닉스, Window server) 등 모든 관리 가능한 장비 또는 설비들에 대해 리스트로서 전체 확인을 할 수 있다. 특히 장비 종류 리스트부(250)에서 선택된 전송 장비 리스트 메뉴에서의 PTN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을 시, 기존의 장비 정보 제공부(220)는 선택된 PTN에 대하여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선택 장비 정보부(260)으로 전환되어 PTN에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에 관하여, 예를 들어 선택 장비 정보부(260)에 도시된 일 예로는 위치나 장비 ID 분포 또는 사용 중인 포트 번호 등에 대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하였듯, 장비 종류 리스트부(250)을 통하여 관리 중인 전체 장비를 종류별로 리스트로써 전체적으로 확인을 할 수 있고, 선택된 하나의 장비에 대해서는 선택 장비 정보부(260)를 통하여 세부 사항을 더 확인할 수도 있으며, 추가적으로는 상술한 장비 종류 리스트부(250)에서 전송 장비, 네트워크 장비, 시설물 장비, 서버 메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을 중복 선택하여 중복 선택된 조건에 해당되는 장비를 보유하는 또는 관리하는 장소 또는 장비의 정보 등에 대해 조건 검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을 통해 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전송 장비 메뉴 중에서는 ROADM, 서버 메뉴 중에서는 유닉스를 중복 선택할 시, 전송 장비로는 ROADM과 서버는 유닉스를 사용하는 장소 또는 시설 등에 대한 정보를 선별하여 추출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나 기능을 부가적으로 더 둘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으로, 이상과 같이 상술한 상황판 제공부(100) 또는 유니트 관리부(200)는 분석 데이터를 통해 장애가 발생된 이력이 있거나 단위 시간 동안 장애가 감지된 장비를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아이콘에 대해 정상 작동되는 장비들의 텍스트 또는 아이콘과 구별이 되도록 색상 또는 모양을 적어도 하나 이상 다르게 할 수 있다.
도 1을 통해 간략하게 예를 들면, 장애 알림 리스트에서 "Critical"에 대해서는 텍스트를 빨강으로 표기할 시, "Critical"에 대한 장애가 발생한 장비 아이콘(112)에 대해서도 빨강으로 표기하는 등 장애의 위험 정도에 대해 별도로 색상 또는 이펙트(Effect) 등의 시각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활용하여 장애를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상황판 제공부(100) 또는 유니트 관리부(200)는 사용자에 맞추어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이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는, 상황판 제공부(100) 또는 유니트 관리부(200)에 포함된 모든 정보 또는 구성의 위치, 크기 등을 다양하게 사용자가 확인하기 쉽도록 변경 가능하도록 하는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기능을 더 두어 사용자가 장비 관제 시스템을 이용함에 있어서 보다 더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장비 관제 시스템을 통해 장비들을 관리함에 있어 지도 이미지(111), 아이콘 등을 적절히 활용하여 시각적으로 제공되는 UI를 통해 장비 관제 시스템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게 됨으로써, 보다 빠른 습득 및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효과가 있다.
한편, 지도 데이터 제공부(110)는 컴퓨팅 장치에 장비 지역 정보 또는 지역 연결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한다. 이때 지도 데이터 제공부(110)가 장비 지역 정보 또는 지역 연결 정보를 제공함은, 지도 데이터 제공부(110)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생성 또는 가공되는 데이터가 컴퓨팅 장치에 정보 확인을 위해서 출력될 시 해당 정보들이 반영되어 유저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실행되는 인터페이스 상에 장비 지역 정보 또는 지역 연결 정보가 출력됨을 의미한다.
또한, 분석 데이터 제공부(120)는 컴퓨팅 장치에 지역별 장비 정보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때 분석 데이터 제공부(120)가 지역별 장비 정보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함은, 분석 데이터 제공부(120)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생성 또는 가공되는 데이터가 컴퓨팅 장치에 정보 확인을 위해서 출력될 시 해당 데이터가 반영되어 유저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실행되는 인터페이스 상에 지역별 장비 정보에 대한 분석 데이터가 출력됨을 의미한다.
이때, 상황판 제공부(100)는 컴퓨팅 장치에 지도 데이터 제공부(110)와 분석 데이터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때 상황판 제공부(100)가 상술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제공함은, 상황판 제공부(100)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생성 또는 가공되는 데이터가 컴퓨팅 장치에 정보 확인을 위해서 출력될 시 해당 데이터가 반영되어 유저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실행되는 인터페이스 상에 지도 데이터 제공부(110)와 분석 데이터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가 출력됨을 의미한다.
다른 한편으로, 장비 이미지 제공부(210)가 컴퓨팅 장치에 장비 구성 이미지(211)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한다. 이때 장비 이미지 제공부(210)가 장비 구성 이미지(211) 데이터를 제공함은, 장비 이미지 제공부(210)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생성 또는 가공되는 데이터가 컴퓨팅 장치에 정보 확인을 위해서 출력될 시 해당 정보들이 반영되어 유저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실행되는 인터페이스 상에 장비 구성 이미지(211) 데이터가 출력됨을 의미한다.
또한, 장비 정보 제공부(220)가 컴퓨팅 장치에 장비의 식별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한다. 이때 장비 정보 제공부(220)가 장비의 식별 정보를 제공함은, 장비 정보 제공부(220)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생성 또는 가공되는 데이터가 컴퓨팅 장치에 정보 확인을 위해서 출력될 시 해당 정보들이 반영되어 유저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실행되는 인터페이스 상에 장비의 식별 정보 데이터가 출력됨을 의미한다.
이때, 유니트 관리부(200)는 컴퓨팅 장치에 장비 이미지 제공부(210)와 장비 정보 제공부(220)가 제공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때 유니트 관리부(200)가 상술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제공함은, 유니트 관리부(200)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생성 또는 가공되는 데이터가 컴퓨팅 장치에 정보 확인을 위해서 출력될 시 해당 데이터가 반영되어 유저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실행되는 인터페이스 상에 장비 이미지 제공부(210)와 장비 정보 제공부(220)가 제공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가 출력됨을 의미한다.
또다른 한편으로, 장비 리스트 제공부(230)가 컴퓨팅 장치에 장비 정보 간의 상하 관계에 대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한다. 이때 장비 리스트 제공부(230)가 장비 정보 간의 상하 관계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함은, 장비 리스트 제공부(230)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생성 또는 가공되는 데이터가 컴퓨팅 장치에 정보 확인을 위해서 출력될 시 해당 정보들이 반영되어 유저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실행되는 인터페이스 상에 장비 정보 간의 상하 관계에 대한 데이터가 출력됨을 의미한다.
또한, 실장도 제공부(240)가 컴퓨팅 장치에 실장도 이미지(241)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한다. 이때 실장도 제공부(240)가 실장도 이미지(241) 데이터를 제공함은, 실장도 제공부(240)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생성 또는 가공되는 데이터가 컴퓨팅 장치에 정보 확인을 위해서 출력될 시 해당 정보들이 반영되어 유저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실행되는 인터페이스 상에 실장도 이미지(241) 데이터가 출력됨을 의미한다.
또한, 장비 종류 리스트부(250)가 관리 중인 또는 관리 가능한 모든 장비 종류에 대해 리스트로써 제공하는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한다. 이때 장비 종류 리스트부(250)가 관리 중인 또는 관리 가능한 모든 장비 종류에 대해 리스트로써 제공하는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함은, 장비 종류 리스트부(250)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생성 또는 가공되는 데이터가 컴퓨팅 장치에 정보 확인을 위해서 출력될 시 해당 정보들이 반영되어 유저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실행되는 인터페이스 상에 장비 종류 리스트부(250) 데이터가 출력됨을 의미한다.
또한, 선택 장비 정보부(260)가 컴퓨팅 장치에 상술한 장비 종류 리스트부(250)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한 식별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한다. 이때 선택 장비 정보부(260)가 장비 종류 리스트부(250)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한 식별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함은, 선택 장비 정보부(260)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생성 또는 가공되는 데이터가 컴퓨팅 장치에 정보 확인을 위해서 출력될 시 해당 정보들이 반영되어 유저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실행되는 인터페이스 상에 장비 종류 리스트부(250)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한 식별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출력됨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는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7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7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 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장비 관제 시스템을 통하여 관리되는 장비에 대해 지도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사용함으로써, 장비 아이콘이 상기 지도 이미지 상에 위치된 좌표값을 통해 장비가 위치된 지역에 대한 장비 지역 정보 및 지역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지역 연결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하는 지도 데이터 제공부와 상기 지도 데이터 제공부에서의 지역별 장비 정보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분석 데이터 제공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상황판 제공부; 및
    상기 장비 정보에 포함된 장비 구성 이미지를 제공하는 장비 이미지 제공부와 상기 장비 구성 이미지와 매칭되는 장비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장비 정보 제공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유니트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도 데이터 제공부는,
    상기 지도 이미지의 일 영역에 위치된 상기 장비 아이콘에 또 다른 상기 장비 아이콘 또는 서브 상황판 제공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하위 구성으로 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장비 지역 정보를 계층적으로 나타내되, 최하단 계층에는 상기 장비 아이콘만을 추가 가능하고,
    상기 상황판 제공부 또는 유니트 관리부는,
    상기 상황판 제공부 또는 상기 유니트 관리부에 포함된 모든 정보 또는 구성의 위치 및 크기를 사용자에 맞추어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이 가능하고,
    상기 상황판 제공부는,
    장비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또는 장비별로 오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장애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장비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통해 장비의 구성 현황 정보, 단위 기간별 장애 현황 정보 또는 장애 감지 시, 감지된 장애의 위험도에 따라 등급별로 분류된 장애 내역 리스트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상기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 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 데이터 제공부는,
    상기 분석 데이터 생성부로부터 상기 분석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되,
    상기 분석 데이터 생성부에서는,
    수신된 분석 데이터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 그래프를 이용하여 데이터들을 재조합 또는 정렬하는 시각적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분석 데이터 생성부 또는 상기 분석 데이터 제공부는,
    분석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다수 개로 구비되어, 데이터의 종류별로 분석 및 정제된 데이터들을 시각적 처리하여 한 화면에 복합적으로 나타내도록 하고,
    상기 상황판 제공부는,
    상기 장비 아이콘이 선택될 시, 상기 유니트 관리부로 전환되고,
    상기 상황판 제공부는,
    상기 지도 이미지의 일 영역에 위치된 상기 장비 아이콘 간에 연결선 추가 또는 삭제를 통해 상기 지역 연결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지역 연결 정보에는 설치 예정된 장비 아이콘에 대한 연결선이 포함되되,
    상기 설치 예정된 장비 아이콘에 대한 연결선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현되도록 하여 장비 또는 기지국 간의 연결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하게 하면서도 지역 간의 연결 상태를 단순화하여 표현되도록 하고,
    상기 유니트 관리부는,
    상기 장비 정보 간의 상하 관계를 리스트로써 제공하는 장비 리스트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비 리스트 제공부에 포함된 텍스트 또는 아이콘이 선택될 시, 선택된 텍스트 또는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기 장비 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 이미지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장비 구성 이미지 또는 장비 정보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장비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며,
    상기 유니트 관리부는,
    실장도 이미지로써 장비가 설치된 위치 또는 연결 관계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실장도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장도 이미지의 일 영역 또는 상기 실장도 이미지에 포함된 아이콘이 선택될 시, 선택된 일 영역 또는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기 장비 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 이미지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장비 구성 이미지 또는 장비 정보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장비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상황판 제공부 또는 유니트 관리부는,
    상기 분석 데이터를 통해 장애가 발생된 이력이 있거나 단위 시간 동안 장애가 감지된 장비를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아이콘에 대해 정상 작동되는 장비들의 텍스트 또는 아이콘과 구별이 되도록 색상 또는 모양을 적어도 하나 이상 다르게 하고,
    상기 상황판 제공부는,
    상기 지도 데이터 제공부의 상기 지도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대신하여 토폴로지(Topology) 방식으로써 상기 장비 지역 정보 및 상기 지역 연결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31226A 2020-03-13 2020-03-13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 KR102226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226A KR102226043B1 (ko) 2020-03-13 2020-03-13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226A KR102226043B1 (ko) 2020-03-13 2020-03-13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043B1 true KR102226043B1 (ko) 2021-03-11

Family

ID=75142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226A KR102226043B1 (ko) 2020-03-13 2020-03-13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0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211B1 (ko) * 2007-04-23 2009-01-28 뉴론에스 주식회사 통합관제시스템 및 방법
KR20180019832A (ko) * 2016-08-17 2018-02-27 (주)이지팜 사회 연결망 그래프 기반 농축산물 질병 정보 시각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211B1 (ko) * 2007-04-23 2009-01-28 뉴론에스 주식회사 통합관제시스템 및 방법
KR20180019832A (ko) * 2016-08-17 2018-02-27 (주)이지팜 사회 연결망 그래프 기반 농축산물 질병 정보 시각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53034B (zh) 用于数据中心基础设施监测的方法、系统和存储介质
RU2419854C2 (ru) Основанное на шаблоне управление службами
CN110472413A (zh) 基于jenkins的设备管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4360878B (zh) 一种应用软件部署的方法及装置
US10754494B2 (en) Method and control system providing one-click commissioning and push updates to distributed, large-sca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LIHS)
US20080115104A1 (en) Software development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document output based on user-defined rules
US20070097883A1 (en) Generation of a network topology hierarchy
CN110034947A (zh) 远程设备管理界面
US11880297B2 (en) Codeless logging in an integration platform
US9736031B2 (en) Information system construction assistance device, information system construction assistance method, and information system construction assistance program
KR102178621B1 (ko) 다종 장비의 통합 관제 시스템
CN102112940A (zh) 用于对电力输送控制系统的性能进行监控的方法和装置
CN106663041A (zh) 从系统故障恢复基于云的服务的易用性
CN111800454A (zh) 一种可视化数据展示系统及可视化页面投屏方法
US20040162898A1 (en) Dedicated networked device monitoring system
KR102226043B1 (ko)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는 장비 관제 시스템
CN110879701B (zh) 工作流可视化配置方法、服务器、系统及介质
CN102754074B (zh) 基于规则来分配对计算设备的外围设备的控制
CN110750423A (zh) 机器学习平台的运维方法和运维系统
CN109800060A (zh) 云平台系统、管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4077437A (zh) 一种人工智能应用的集成管理方法、装置及系统
CN109543420A (zh) 基于sudo的权限配置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075502B1 (ko)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
US10305733B1 (en) Defining software infrastructure using a physical model
US2024015236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