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502B1 -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502B1
KR102075502B1 KR1020180060147A KR20180060147A KR102075502B1 KR 102075502 B1 KR102075502 B1 KR 102075502B1 KR 1020180060147 A KR1020180060147 A KR 1020180060147A KR 20180060147 A KR20180060147 A KR 20180060147A KR 102075502 B1 KR102075502 B1 KR 102075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content
branch
input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5116A (ko
Inventor
이호민
Original Assignee
이호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민 filed Critical 이호민
Priority to KR1020180060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502B1/ko
Publication of KR20190135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8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e.g. browsing and visualisation, 2d or 3d GU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3File access structures, e.g. distributed ind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폴더, 즉 디렉토리 기반의 파일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이원화된 폴더 구조를 제안하여,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분류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컨텐츠만이 저장되는 최하위 레이어의 저장 공간인 리프와, 리프의 상위 레이어의 저장공간으로서, 리프를 탐색할 수 있는 각 리프가 속한 경로만이 저장되며, 리프로의 경로에 따라서 멀티 레이어 중 어느 하나에 속할 수 있는 브랜치를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편집 입력에 의하여 리프 및 브랜치를 편집하는 폴더 관리부;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컨텐츠의 특정 리프에 대한 저장을 관리하는 컨텐츠 저장부; 및 폴더 관리부에 의하여 관리되는 리프 및 리프가 속한 브랜치를 사용자 단말에 시각화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시각화된 브랜치 및 리프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한 컨텐츠 탐색, 컨텐츠 저장 경로의 편집 및 컨텐츠의 편집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CONTENTS MANAGING SYSTEM OF TREE STRUCTURE}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등에서 사용자가 컨텐츠를 분리 저장하여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편의성이 극대화되고,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서 편리하게 사용자 단말에 저장 가능한 컨텐츠들을 분류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등 사용자의 단말의 기능이 향상되고, 저장 공간의 용량이 늘어나면서, 사용자들은 자신의 스마트폰 등의 개인 단말에 컨텐츠를 저장 및 관리하고 있다. 특히 컴퓨터, USB 등의 별도 저장 공간에 대한 컨텐츠 저장은, 해당 컨텐츠를 직접 이용하는 데 접근성이 떨어지는 점에서, 사용자들은 자신의 단말에 직접 컨텐츠를 관리하기 원하게 된 상태이기 때문에, 개인 단말에 컨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비율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개인 단말 등의 사용자 단말에서는 기본적인 어플리케이션(App)으로 컨텐츠를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컴퓨터의 저장 공간 관리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은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저장 공간에 폴더를 생성하고, 해당 폴더에 파일을 저장하거나 하위 폴더를 생성하여 해당 하위 폴더에 파일을 저장하는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들이 폴더를 관리할 때, 폴더에는 하위 폴더와 파일이 혼재되어 관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경우 사용자들은 폴더에 어떤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지 또는 또 다른 폴더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컨텐츠를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폴더의 관리에 세심하여 질 수 밖에 없다. 이는, 폴더라는 일원화된 개념과 폴더에 또 다른 폴더와 컨텐츠가 혼합되어 저장될 수 밖에 없는 상술한 기본적인 컨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특징에 기인하게 된다.
이러한 특징은 특히 한국등록특허 10-0448900호 등을 포함한 기존의 대부분의 선행기술에서 명시되고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들은, 일반적으로 관리되는 디렉토리 기반의 파일 관리 구조에 있어서 하위 파일에 대한 일괄삭제 기능을 제공하는 등의 편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기본적으로 상술한 일원화된 폴더 관리에 기반한 기술적 특징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상술한 컨텐츠 관리 자체의 편의성의 향상 효과는 기대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폴더, 즉 디렉토리 기반의 파일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이원화된 폴더 구조를 제안하여, 사용자가 파일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 파일과 폴더가 하나의 상위 폴더에 저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하고, 이를 통해서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분류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컨텐츠만이 저장되는 최하위 레이어의 저장 공간인 리프와, 리프의 상위 레이어의 저장공간으로서, 리프를 탐색할 수 있는 각 리프가 속한 경로만이 저장되며, 상기 리프로의 경로에 따라서 멀티 레이어 중 어느 하나에 속할 수 있는 브랜치를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편집 입력에 의하여 리프 및 브랜치를 편집하는 폴더 관리부;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컨텐츠의 특정 리프에 대한 저장을 관리하는 컨텐츠 저장부; 및 상기 폴더 관리부에 의하여 관리되는 리프 및 리프가 속한 브랜치를 사용자 단말에 시각화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시각화된 브랜치 및 리프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한 컨텐츠 탐색, 컨텐츠 저장 경로의 편집 및 컨텐츠의 편집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더 관리부는, 각 리프의 식별 정보, 각 리프에 속한 컨텐츠의 식별 정보, 각 리프가 속한 적어도 한 계층의 브랜치들의 식별 정보, 각 브랜치의 식별 정보 및 각 브랜치에 연결된 리프 또는 다른 브랜치의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텐츠 저장부는, 컨텐츠의 특정 리프에 대한 저장을 관리 시, 일반적 입출력 시스템을 사용하는 저장 공간에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저장 공간에 할당된 리프 마다의 저장 공간에 상기 컨텐츠가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제1 저장 모드 및 데이터베이스 형태의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컨텐츠의 저장을 관리하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리프 정보에 상기 컨텐츠가 연결되도록 하는 링크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함으로써 상기 리프에 상기 컨텐츠가 속하도록 함으로써 컨텐츠의 저장을 관리하는 제2 저장 모드로 구분하여 컨텐츠의 특정 리프에 대한 저장을 관리하고, 상기 제1 저장 모드 및 상기 제2 저장 모드는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서 선택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텐츠 저장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상기 리프 및 상기 브랜치에 대한 편집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제1 저장 모드에서의 편집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편집 입력에 따른 결과를 상기 제2 저장 모드와 동기화되도록 하여, 상기 제1 저장 모드에서의 편집 입력에 따라서 상기 제2 저장 모드에서의 상기 편집 입력에 따른 상기 컨텐츠, 상기 리프 및 상기 브랜치의 상태가 변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텐츠 저장부는, 현재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어느 리프에도 속하지 않은 컨텐츠들을 별도의 컨텐츠로 구분하여 관리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어느 리프에도 속하지 않은 컨텐츠들에 대해서 리프 설정이 되지 않은 컨텐츠로서 별도의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표시 개수 편집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일 행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수를 변경하되, 상기 컨텐츠가 생성된 일자 별로 컨텐츠를 그룹화하여 출력하는 경우에도, 컨텐츠 그룹마다 일 행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수를 변경하여 출력함으로써, 일 행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일자 별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검색 입력에 따라서. 선택된 객체가 브랜치 객체인 경우, 상기 브랜치 객체에 속한 하위 브랜치 및 리프에 대한 식별 정보만을 출력하고, 선택된 객체가 리프 객체인 경우, 상기 리프 객체에 속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일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단말의 선택 입력을 감지 시, 사용자 단말에 브랜치 및 리프를 계층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리프 검색 인터페이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상기 리프 검색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어느 한 리프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리프에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저장할지 여부를 묻는 메뉴를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도록 한 뒤, 사용자 단말로부터 승낙 입력을 감지 시, 상기 선택된 리프에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상기 컨텐츠 저장부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터치 입력 중 좌우 슬라이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현재 출력되는 리프 또는 브랜치와 인접한 동일 계층의 리프 또는 브랜치의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멀티 터치 입력 중, 동시 터치된 포인트 간의 거리가 좁아지는 핀치 줌 아웃(Pinch-Zoom-Out)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현재 출력되는 리프 또는 브랜치의 상위 브랜치 및 그 브랜치에 속한 하위 브랜치 또는 리프들의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멀티 터치 입력 중, 동시 터치된 포인트 간의 거리가 넓어지는 줌 인(Zoom-In)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현재 출력되는 리프 또는 브랜치의 하위 브랜치 또는 컨텐츠 및 그 브랜치에 속한 하위 브랜치, 리프들 또는 컨텐츠들의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컨텐츠 저장부로부터의 정보에 따라서, 컨텐츠들 중, 둘 이상의 리프에 동시에 속한 컨텐츠들의 리스트를 별도로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컨텐츠 저장부로부터의 정보에 따라서, 컨텐츠들 중, 둘 이상의 리프에 동시에 속한 컨텐츠를 제외한 컨텐츠들의 리스트를 별도로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각 리프가 속한 저장 경로, 각 브랜치의 연결 정보, 각 리프의 이름, 각 브랜치의 이름 및 각 리프 및 브랜치의 생성 및 삭제에 대한 편집 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및 각 컨텐츠의 저장 경로 및 컨텐츠의 이름에 대한 편집 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편집 입력을 감지 시, 편집 입력에 대응하는 편집 명령을 상기 폴더 관리부 및 상기 컨텐츠 저장부 중 어느 하나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가 저장되는 리프와, 리프에 대한 경로만이 저장되는 브랜치라는 개념의 두 가지 폴더로 구성되도록 컨텐츠 관리 시스템을 설정하여 컨텐츠의 저장을 관리하게 된다.
이러한 개념에 의하면, 사용자들은 리프를 확인 시 리프에는 컨텐츠만이 저장됨을 확인할 수 있고, 브랜치를 확인 시 해당 브랜치에는 상위 또는 하위 브랜치 또는 리프의 식별 정보만을 확인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컨텐츠가 저장되는 공간과 그렇지 않은 공간이 별도로 관리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컨텐츠를 관리함에 있어서 특정 리프에 어떤 컨텐츠가 속해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하는 동시에, 브랜치에는 컨텐츠가 전혀 포함되지 않는다는 개념을 인지하고 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게 되어, 컨텐츠의 관리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직관적이고 편의성이 극대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사용자들은 리프에만 컨텐츠가 저장되는 것을 인지하기 때문에 특정 폴더에 컨텐츠와 하위 폴더가 동시에 저장됨에 따라서 컨텐츠 관리의 복잡성이 증가되고, 컨텐츠 관리의 혼란이 증가되는 문제를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어, 컨텐츠 관리에 있어서 그 직관성과 편의성이 상술한 바와 같이 극대화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부가 기능을 통해서, 컨텐츠, 리프 및 브랜치의 관리가 매우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컨텐츠를 자신이 원하는 구조로 분류하여 용이하게 관리하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컨텐츠가 관리되는 저장 구조의 예를 도식화한 도면.
도 4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능 수행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맞춤형 마케팅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장치” 또는 "서버"란,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구현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맞춤형 마케팅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게 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한다. 용량이 작거나 이용자 수가 작은 경우 하나의 서버에 다수의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용량이 매우 크거나 실시간 접속 인원수가 많은 경우, 그 기능에 따라서 운영을 위한 서버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에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미들웨어나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들이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10, 이하 시스템이라 함)은, 폴더 관리부(11), 컨텐츠 저장부(12) 및 인터페이스 제공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20)의 저장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20)의 프로세서(또는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기능적 측면에서의 시스템을 의미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 1에는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20)에 의하여 구동되는 기능적 기술적 구성요소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20)의 입력 수단 및 출력 수단과 기능하여 사용자 단말(20)을 통해서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20)은 기본적으로 스마트폰 등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단말이거나, PC, 태블릿 PC, 휴대용 PC 등 본 발명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입력 수단, 프로세서 및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모든 단말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 및 태블릿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의 범위는 다양해질 수 있다.
시스템(10)은 상술한 실시예 이외에, 사용자 단말(2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별도의 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20)에 저장된 컨텐츠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리하기 위한 실시예에서 언급하고 있는 기능을 수행 시,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20)의 프로세서에 전달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먼저 폴더 관리부(11)는, 컨텐츠만이 저장되는 최하위 레이어의 저장 공간인 리프와, 리프의 상위 레이어의 저장공간으로서, 리프를 탐색할 수 있는 각 리프가 속한 경로만이 저장되며, 리프로의 경로에 따라서 멀티 레이어 중 어느 하나에 속할 수 있는 브랜치를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20)의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편집 입력에 의하여 리프 및 브랜치를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폴더 관리부(11)는 후술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13)를 통한 사용자 단말(20)의 입력 수단을 통한 입력을 통해, 인터페이스 제공부(13)에서 전달되는 제어 명령을 통해서 리프 및 브랜치를 편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리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만이 저장되도록 할당되는 저장 공간을 의미한다. 즉, 리프는 본 발명의 저장 공간 레이어(Layer) 중 최하위 레이어를 의미하며, 리프에는 또 다른 브랜치 및 리프가 저장될 수 없다.
따라서, 폴더 관리부(11)에서 관리되는 리프의 정보에는, 각 리프의 식별 정보로서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제공부(13)에서 제공하는 메뉴 등에 대한 입력을 통해서 결정한 리프의 이름 및 리프에 대한 데이터 구조 상에서의 식별 정보(할당된 저장 공간의 헤드부 등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각 리프에 속한 컨텐츠의 식별 정보로서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제공부(13)에서 제공하는 메뉴 등에 대한 입력을 통해서 결정한 컨텐츠의 이름 및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 구조 상에서의 식별 정보(할당된 저장 공간의 헤드부 등의 식별 정보) 또는 각 컨텐츠에 접근하여 사용자가 컨텐츠의 내용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링크 정보 등이 관리되는 리프의 정보로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리프의 정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브랜치의 정보에 상응하여 각 리프가 속한 적어도 한 계층의 브랜치들의 식별 정보 및 링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브랜치들의 식별 정보는, 상술한 리프의 식별 정보와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브랜치들의 식별 정보는 브랜치의 정보에도 포함되어 관리될 수 있다.
브랜치의 정보로서, 상술한 각 브랜치의 식별 정보 이외에, 상술한 바와 유사한 개념으로, 각 브랜치에 연결된 리프 또는 다른 브랜치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브랜치는, 리프의 상위 저장 공간의 개념으로서, 본 발명에서 브랜치에는 컨텐츠가 전혀 포함되지 않고 또 다른 브랜치 또는 리프에 대한 경로 정보 또는 다른 브랜치 또는 리프에 접근할 수 있는 모든 정보(예를 들어 브랜치에 포함된 다른 브랜치 또는 리프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링크 정보 등)만이 포함된 상위 레이어의 저장 공간을 의미한다.
브랜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개념으로 이해할 때, 최하위 레이어인 리프를 제외하고 다 계층의 레이어 중 어느 하나에 속할 수 있다. 즉 브랜치는 또 다른 브랜치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브랜치는 하나의 레이어로 이해되는 것이 아니라, 멀티 레이어 중 어느 한 레이어에 해당하는 저장 공간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브랜치 및 리프에 대한 구조의 예가 도 2 및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컨텐츠가 관리되는 저장 구조의 예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최상위 레이어의 브랜치(B1)이 존재하고, 해당 브랜치(B1)에는 하위 브랜치(B2, B3)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즉 도 2 및 3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2 계층의 레이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다 계층의 레이어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존재할 수 있다.
한편 하위 브랜치(B2, B3)에는 다수의 리프(L1 내지 L4)가 각각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리프(L1 내지 L4)에는 다른 브랜치 또는 리프가 절대 저장될 수 없고, 컨텐츠(C1 내지 C3n)만이 포함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폴더 및 디렉토리 구조로 지칭되는 기존의 컨텐츠 또는 파일의 관리 방식에서는, 어느 한 폴더에는 하위 디렉토리의 폴더 또는 컨텐츠가 혼재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사용자들은 폴더에 어떤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지 또는 또 다른 폴더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컨텐츠를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폴더의 관리에 세심하여 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고, 직관적으로 효율적인 컨텐츠 관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저장 공간을 완전히 브랜치 및 리프의 두 타입으로 독립적으로 구분하고, 리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만이, 브랜치에는 다른 하위 브랜치 및 리프만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여, 컨텐츠가 저장되는 공간과 그렇지 않은 공간이 별도로 관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은 컨텐츠를 관리함에 있어서 특정 리프에 어떤 컨텐츠가 속해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하는 동시에, 브랜치에는 컨텐츠가 전혀 포함되지 않는다는 개념을 인지하고 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게 되어, 컨텐츠의 관리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직관적이고 편의성이 극대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폴더 관리부(11)는 상술한 브랜치 및 리프 각각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도록 데이터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제공부(13)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20)의 입출력 수단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단말(20)의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편집 입력에 의하여 리프 및 브랜치를 실질적으로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컨텐츠 저장부(12)는 사용자 단말(20)의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컨텐츠의 특정 리프에 대한 저장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컨텐츠 저장부(12)는 후술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13)의 기능 수행을 통한 사용자 단말(20)의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의하여, 특정 컨텐츠가 특정 리프에 속하여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관리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폴더 관리부(11) 및 컨텐츠 저장부(1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프 및 브랜치 또는 컨텐츠 자체에 대한 편집 입력에 따라서 컨텐츠, 리프 및 브랜치의 정보를 관리하게 된다. 이는 후술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13)에 의하여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단말(20)의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리프 및 브랜치의 편집 기능은 예를 들어, 각 리프 및 브랜치의 생성, 수정 및 삭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리프 및 브랜치의 생성은 사용자 단말(20)로부터 리프 또는 브랜치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선택된 리프 또는 브랜치에 대한 생성 입력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는 리프 또는 브랜치를 생성할 브랜치로 이동한 뒤, 해당 브랜치의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입력을 통해서 해당 브랜치의 하위 브랜치 또는 해당 브랜치에 속할 리프에 대한 생성을 할 수 있다. 생성 입력에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브랜치 및 리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생성 자체에 대한 입력뿐 아니라 브랜치 및 리프에 대한 이름을 입력하는 개념이 포함된다.
한편 리프, 브랜치 및 컨텐츠에 대한 저장 관리를 위한 편집 입력의 기초가 되는 컨텐츠의 저장 구조는 서로 다른 두 가지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컨텐츠 저장부(12)에 의하여 저장되는 컨텐츠의 저장 형식은 사용자 단말(20)에서의 두 가지 타입의 저장매체의 형태에 따라서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컨텐츠 저장부(12)는, 컨텐츠의 특정 리프에 대한 저장을 관리 시, 일반적 입출력(I/O) 시스템을 사용하는 저장매체에 있어서의 저장 공간에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도록 하는 경우 저장 공간에 할당된 리프 마다의 저장 공간에 컨텐츠가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제1 저장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데이터베이스 형태(예를 들어 컬럼(Column) 방식의 데이터베이스)의 저장매체를 통해 컨텐츠의 저장을 관리하는 경우 해당 저장매체에 저장된 리프 정보에 컨텐츠가 연결되도록 하는 링크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함으로써 리프에 컨텐츠가 속하도록 하고, 이와 유사하게 브랜치 및 리프 간의 연결 관계를 관리함으로써 컨텐츠의 저장을 관리하는 제2 저장 모드로 구분하여 컨텐츠의 특정 리프에 대한 저장을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저장 모드 및 제2 저장 모드는, 각 사용자 단말(20)의 상술한 바와 같은 저장매체의 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위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두 가지 저장매체를 동시에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20)의 경우,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매체에 따라서 자동으로 저장 모드가 설정되거나, 상술한 인터페이스 제공부(13)를 통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서 선택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저장 모드 및 제2 저장 모드에서의 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방법은 큰 차이가 없을 것이다. 즉 상술한 리프 및 브랜치의 생성에 대한 기능 수행은 두 가지 저장 모드에서 동일한 조작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컨텐츠, 리프, 브랜치의 수정 및 삭제에 있어서는 각 저장 모드에서의 기능 수행의 차이점은 존재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1 저장 모드 및 제2 저장 모드에서의 각 기능 수행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리프 및 브랜치의 수정은 리프 및 브랜치의 이름에 대한 수정 입력뿐 아니라, 리프 및 브랜치의 이동에 대한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 수행을 포함한다. 즉 사용자가 특정 리프를 다른 브랜치에 속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정 브랜치 및 그 특정 브랜치에 속한 하위 브랜치 및 리프를 일괄적으로 다른 상위 브랜치의 하위 브랜치로 설정하도록 브랜치 자체를 이동할 수 있다(제1 저장 모드). 즉 제1 저장 모드에서는 어떤 리프를 다른 브랜치로 이동하게 되면, 리프에 속한 컨텐츠 역시 리프와 함께 이동될 것이고, 어떤 브랜치를 다른 브랜치의 하위 브랜치로 이동하게 되면, 해당 브랜치에 속한 다른 브랜치, 리프 및 이에 속한 컨텐츠가 일괄적으로 함께 이동된다. 한편, 어떤 브랜치를 최상위 브랜치로 이동시키면, 해당 브랜치가 최상위 브랜치가 되도록 하위 브랜치, 리프 및 이에 속한 컨텐츠가 일괄적으로 이동될 것이다.
한편 제2 저장 모드에서는 리프 및 브랜치의 수정에는 각 리프가 속한 저장경로, 즉 최상위 브랜치로부터 해당 리프에 대한 경로를 편집하는 기능, 각 브랜치 간의 연결 정보를 편집하는 기능이 제1 저장 모드에서의 상술한 리프 및 브랜치의 이동 기능을 대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리프 및 브랜치의 삭제는 리프 또는 브랜치를 삭제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제2 저장 모드에 있어서는, 만약 리프가 삭제되는 경우, 리프에 속한 컨텐츠는 어떤 리프에도 속하지 않은 컨텐츠로 분류되도록 설정될 것이다. 한편 브랜치가 삭제되는 경우, 해당 브랜치에 속한 하위 브랜치 및 리프는 삭제된 브랜치가 속했던 상위 브랜치의 하위 브랜치 및 리프로 자동으로 이동될 것이다. 만약 최상위 브랜치에 리프만이 있는 경우에는, 그 브랜치가 삭제되면 최상위 브랜치가 존재하지 않고 리프만이 존재하는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저장 모드에서는, 특정 브랜치 또는 리프가 삭제되는 경우, 특정 브랜치의 연결 결과 해당 브랜치에 속하는 모든 최하위 리프에 속한 컨텐츠 역시 모두 삭제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리프 및 브랜치의 삭제 및 이동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저장 모드에서는 컨텐츠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특징이나, 제1 저장 모드에서는 컨텐츠의 원본이 이동되거나 삭제되는 기능이 수행된다.
이때 제1 저장 모드와 제2 저장 모드가 모두 사용되는 경우, 제1 저장 모드에서의 리프 및 브랜치의 삭제 및 이동을 포함한 편집 입력은 제2 저장 모드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컨텐츠 저장부(12)는, 인터페이스 제공부(13)를 통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컨텐츠, 리프 및 브랜치에 대한 편집 입력을 수신 시, 제1 저장 모드에서의 편집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편집 입력에 따른 결과를 제2 저장 모드와 동기화되도록 하여, 제1 저장 모드에서의 편집 입력에 따라서 제2 저장 모드에서의 편집 입력에 따른 컨텐츠, 리프 및 브랜치의 상태가 변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저장 모드의 편집 결과는 제2 저장 모드에서 동일하게 결과가 나타나도록 동기화됨으로써, 제1 저장 모드에서 예를 들어 브랜치의 삭제가 일어나는 경우, 해당 브랜치의 하위 브랜치, 리프 및 컨텐츠가 모두 삭제되는데, 이러한 결과는 제2 저장 모드에서 동일하게 업데이트되어, 제2 저장 모드에서도 동일한 구조로, 즉 특정 브랜치를 삭제하는 입력, 해당 브랜치의 하위 브랜치, 리프 및 컨텐츠를 삭제하는 입력이 동시에 구현된다. 제2 저장 모드에서 특정 브랜치가 삭제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브랜치만이 삭제되고, 그 하위 브랜치, 리프 및 컨텐츠는 그대로 보존되는 것과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의 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리프는 다른 브랜치에 속하지 않고 독립된 최상위 레이어로서도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 브랜치의 상위 브랜치를 생성하는 개념은,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하고 일 브랜치를 해당 브랜치의 하위 브랜치로 이동하는 기능 수행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 저장 모드 및 제2 저장 모드로 구분되어 다양한 본 발명의 기능이 구현될 수 있고, 이는 특히 상술한 브랜치, 리프 등의 삭제 기능의 수행에 있어서 구분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외의 본 발명의 기능 수행 역시, 제1 저장 모드 및 제2 저장 모드로 구분되어 구현되는데, 제1 저장 모드 및 제2 저장 모드로 명시적으로 구분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의 기능 이외의 기능 수행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는 제1 저장 모드 및 제2 저장 모드에 있어서 동일하게 기능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해당 설명에 있어서도 제1 저장 모드 및 제2 저장 모드가 존재하는 것임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인터페이스 제공부(13) 및 폴더 관리부(11)의 기능 수행 역시, 해당 제1 저장 모드 및 제2 저장 모드의 구분된 기능 수행을 위해서 각 구성이 저장 모드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기능이 구현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컨텐츠 저장부(12)는 상술한 예에서, 만약 어떤 리프에도 속하지 않는 상태인 컨텐츠의 경우, 해당 컨텐츠들을 별도로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어떤 리프에 속하도록 할지 여부를 편리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제공부(13)는 후술하는 기능에 더하여, 어느 리프에도 속하지 않은 컨텐츠들에 대해서 리프 설정이 되지 않은 컨텐츠로서 별도의 출력 영역에 해당 컨텐츠의 내용 일부 또는 리스트들을 표시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술한 컨텐츠 저장부(12)의 기능은 상술한 제1 저장 모드 및 제2 저장 모드에 모두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부(13)는 상술한 폴더 관리부(11) 및 컨텐츠 저장부(12)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20)의 입출력 수단을 통해서 입력을 수신하거나 기능 수행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폴더 관리부(11)에 의하여 관리되는 리프 및 리프가 속한 브랜치를 사용자 단말(20)에 시각화하고,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시각화된 브랜치 및 리프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한 컨텐츠 탐색, 컨텐츠 저장 경로의 편집 및 컨텐츠의 편집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도 3과 같이 시각화되도록 구현되거나, 후술하는 도 4 및 11의 예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4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능 수행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인터페이스 제공부(13)의 기능에 대해서 도 1과 함께 상술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사진 이미지 컨텐츠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기능 수행에 대하여 설명하겠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설명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4 내지 도 11의 각 화면의 예는 인터페이스 제공부(13)에 의하여 출력되는 각 인터페이스마다의 출력 예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4의 화면(100)은 기본적인 본 발명의 기능 수행에 따라 컨텐츠가 관리되는 화면의 예이다. 화면(10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 브랜치(101)와 리프(102)는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문자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브랜치(101)와 리프(102)에는, 대표적으로 해당 브랜치(101)에 포함된 리프들에 저장된 컨텐츠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거나, 해당 리프(102)에 포함된 컨텐츠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사진 이미지 컨텐츠의 경우 이미지의 썸네일(Thumb-nail) 이미지 등의 컨텐츠(C)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5의 화면(11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어떤 리프에도 속하지 않은 컨텐츠(111)들을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해당 화면(110)을 통해 사용자들은, 현재 리프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 즉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표시되는 컨텐츠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현재 리프가 설정되지 않은 컨텐츠를 특정 리프에 저장하도록 컨텐츠 이동 기능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어떤 리프에 저장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해당 화면(110)에 표시되는 컨텐츠(111)들은, 예를 들어 방금 생성되거나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6의 화면(120)은 하나의 행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수가 설정되어 있는 예이다.
본 발명의 컨텐츠 출력 인터페이스들 중에는, 특정 리프에 속한 컨텐츠 또는 전체 컨텐츠들에 대해서 일자 별 또는 기타 컨텐츠 분류 기준이 되는 다양한 카테고리 별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자 별 출력의 경우, 특정 날짜 별로 촬영하거나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를 일자 별로 구분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사진(121) 리프의 경우에, 예를 들어 각 일자(125)가 출력되고, 일자에 따라서 해당 날짜에 촬영한 사진들을 표시한다.
이때, 하나의 행에 배열될 수 있는 컨텐츠의 수에 대한 아이콘(123)이 출력될 수 있고, 일자 별 카테고리의 경우 특정 월별로 해당 일자를 구분할 수 있도록 분류 기준 기간에 대한 아이콘(122, M의 경우 월을 의미)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일자 별로 출력함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124)가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 인터페이스 제공부(13)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이콘(123)을 선택한 입력으로서, 사용자 단말(20)의 컨텐츠 표시 개수 편집 입력이 감지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일 행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수를 변경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아이콘(123)이 토글(Toggle) 형태인 경우, 도 6에는 현재 4가 출력되어 한 행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수가 4개가 될 것이나, 해당 아이콘(123)을 선택하여 컨텐츠 표시 개수 편집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수가 감소 또는 증가하는 방식으로 아이콘에 표시되는 숫자가 변경되면서(예를 들어 2 또는 8로 변경), 한 행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수 역시 해당 숫자에 대응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의 크기가 확대 또는 축소될 것이다.
인터페이스 제공부(13)는 이러한 경우, 각 컨텐츠가 일자 별로 그룹화되어 출력되더라도, 도 6에 표시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그룹화된 컨텐츠 그룹마다 일 행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수를 변경하여 출력함으로써, 일 행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수가 변경되더라도 일자 별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기존에는 해당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일자 별로 컨텐츠가 출력되는 것이 해제되어 사용자가 출력되는 컨텐츠의 수를 변경함에 따라서 어떤 날짜에 컨텐츠가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상술한 기능 수행에 의하여, 일 행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수가 변경되더라도, 어떤 날짜에 해당 컨텐츠가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직관적이고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제공부(13)는, 사용자 단말(20)의 컨텐츠 검색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에, 이에 따라서 선택된 객체가 브랜치(101) 객체인 경우, 해당 브랜치 객체에 속한 하위 브랜치 및 리프에 대한 식별 정보만을 도 4의 화면(100)과 같이 출력하고, 선택된 객체가 리프(102) 객체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9, 10 등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프 객체에 속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특정한 컨텐츠, 리프 및 브랜치에 대한 이동 입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13)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출력될 수 있는 화면(130)의 예이다.
인터페이스 제공부(13)는 상술한 리프 및 브랜치의 이동(수정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기재된 바 있음)을 원하거나 컨텐츠를 특정 리프에 저장하도록 하기 위해서 도 7의 화면(130)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컨텐츠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예를 들어 일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단말(20)의 선택 입력을 감지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에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브랜치 및 리프를 계층적으로 선택하거나 특정 리프를 키워드를 통해서 직접 검색할 수 있는 리프 검색 인터페이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리프 검색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단말(20)의 입력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어느 한 리프가 선택된 경우, 화면(130)에 표시된 메뉴(131)를 출력한다. 즉, 선택된 리프에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저장할지 여부를 묻는 메뉴를 사용자 단말(20)에 출력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20)로부터 '확인' 메뉴, 즉 승낙 입력을 감지하게 되면, 선택된 리프에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저장부(12)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컨텐츠 이동이 아닌 리프 또는 브랜치의 이동의 경우 상술한 동일한 기능 수행 후, 이동 명령을 폴더 관리부(11)에 전송하게 될 것이다.
한편 도 7의 화면(1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131)는 리프 또는 브랜치의 검색 및 삭제에 관한 기능 이용 역시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면 이외의 기능으로서, 상술한 폴더 관리부(11) 또는 컨텐츠 저장부(12)의 기능 수행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 제공부(13)는 해당 기능에 대한 인터페이스로서, 각 리프가 속한 저장 경로, 각 브랜치의 연결 정보, 각 리프의 이름, 각 브랜치의 이름 및 각 리프 및 브랜치의 생성 및 삭제에 대한 편집 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및 각 컨텐츠의 저장 경로 및 컨텐츠의 이름에 대한 편집 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편집 입력을 감지 시, 편집 입력에 대응하는 편집 명령을 폴더 관리부(11) 및 컨텐츠 저장부(12) 중 어느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제공부(13)는, 현재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화면이 리프(L1)에 속한 컨텐츠가 출력되는 화면(150)이며, 사용자 단말(20)로부터 터치 입력 타입들 중 좌우 슬라이드 터치 입력(T1)이 감지되는 경우, 현재 출력되는 컨텐츠가 속한 리프(L1)와 인접한 리프(L2) 및 그 리프(L2)에 속한 컨텐츠가 출력되는 화면(151)으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도 9와 유사하게, 특정 브랜치 및 이에 속한 브랜치 또는 리프의 리스트가 출력되는 화면에 있어서 동일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에, 해당 브랜치와 동일한 계층의 인접한 브랜치 및 이에 속한 브랜치 또는 리프의 리스트가 출력되도록 화면 전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의 화면(1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제공부(13)는, 특정 화면(160)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0)로부터 멀티 처리 입력 중 핀치 줌 아웃(Pinch-Zoom-Out) 터치 입력(161)이 감지되는 경우, 현재 출력되는 리프 또는 브랜치의 상위 브랜치 및 그 브랜치에 속한 하위 브랜치 또는 리프들의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162)으로 전환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현재 출력되는 화면에서 리프의 식별 정보가 헤더에, 리프에 속한 컨텐츠 정보가 바디에 출력되고, 핀치 줌 아웃 터치 입력(161)이 감지되면, 도 10과 같이 리프들의 식별 정보, 즉 헤더만을 남기고(예를 들어 리프들의 리스트가 출력되도록), 바디는 사라지게 된다. 물론 현재 출력되는 리프 또는 브랜치의 상위 브랜치 및 그 브랜치에 속한 하위 브랜치 또는 리프들의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162)에서 리프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리프에 속한 컨텐츠들 중 어느 한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만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출력되고 있는 리프들 중 어느 한 리프를 선택하여 해당 리프에 속한 컨텐츠들을 펼쳐 볼 수 있어 빠른 탐색이 가능하다.
한편, 이와 반대로, 인터페이스 제공부(13)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멀티 터치 입력 중, 동시 터치된 포인트 간의 거리가 넓어지는 줌 인(Zoom-In)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현재 출력되는 리프 또는 브랜치의 하위 브랜치 또는 컨텐츠 및 그 브랜치에 속한 하위 브랜치, 리프들 또는 컨텐츠들의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의 수가 많아지는 경우 둘 이상의 리프에 중복되도록 저장된 컨텐츠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 제공부(13)는 도 11의 화면(1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저장부(12)로부터의 정보에 따라서 컨텐츠들 중, 둘 이상의 리프에 동시에 속한 컨텐츠들의 리스트를 별도로 사용자 단말(20)에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인터페이스 제공부(13)는, 컨텐츠 저장부(12)로부터의 정보에 따라서, 컨텐츠들 중, 둘 이상의 리프에 동시에 속한 컨텐츠를 제외한 컨텐츠들의 리스트를 별도로 사용자 단말(20)에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가적인 효과의 제공을 통해서, 사용자들은 리프에만 컨텐츠가 저장되는 것을 인지하기 때문에 특정 폴더에 컨텐츠와 하위 폴더가 동시에 저장됨에 따라서 컨텐츠 관리의 복잡성이 증가되고, 컨텐츠 관리의 혼란이 증가되는 문제를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어, 컨텐츠 관리에 있어서 그 직관성과 편의성이 상술한 바와 같이 극대화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부가 기능을 통해서, 컨텐츠, 리프 및 브랜치의 관리가 매우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컨텐츠를 자신이 원하는 구조로 분류하여 용이하게 관리하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1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2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2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2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2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컨텐츠만이 저장되는 최하위 레이어의 저장 공간인 리프와, 리프의 상위 레이어의 저장공간으로서, 리프를 탐색할 수 있는 각 리프가 속한 경로만이 저장되며, 상기 리프로의 경로에 따라서 멀티 레이어 중 어느 하나에 속할 수 있는 브랜치를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편집 입력에 의하여 리프 및 브랜치를 편집하는 폴더 관리부;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컨텐츠의 특정 리프에 대한 저장을 관리하는 컨텐츠 저장부; 및
    상기 폴더 관리부에 의하여 관리되는 리프 및 리프가 속한 브랜치를 사용자 단말에 시각화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시각화된 브랜치 및 리프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한 컨텐츠 탐색, 컨텐츠 저장 경로의 편집 및 컨텐츠의 편집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검색 입력에 따라서. 선택된 객체가 브랜치 객체인 경우, 상기 브랜치 객체에 속한 하위 브랜치 및 리프에 대한 식별 정보만을 출력하고, 선택된 객체가 리프 객체인 경우, 상기 리프 객체에 속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 관리부는,
    각 리프의 식별 정보, 각 리프에 속한 컨텐츠의 식별 정보, 각 리프가 속한 적어도 한 계층의 브랜치들의 식별 정보, 각 브랜치의 식별 정보 및 각 브랜치에 연결된 리프 또는 다른 브랜치의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저장부는,
    컨텐츠의 특정 리프에 대한 저장을 관리 시,
    일반적 입출력 시스템을 사용하는 저장 공간에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저장 공간에 할당된 리프 마다의 저장 공간에 상기 컨텐츠가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제1 저장 모드 및 데이터베이스 형태의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컨텐츠의 저장을 관리하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리프 정보에 상기 컨텐츠가 연결되도록 하는 링크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함으로써 상기 리프에 상기 컨텐츠가 속하도록 함으로써 컨텐츠의 저장을 관리하는 제2 저장 모드로 구분하여 컨텐츠의 특정 리프에 대한 저장을 관리하고,
    상기 제1 저장 모드 및 상기 제2 저장 모드는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서 선택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저장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상기 리프 및 상기 브랜치에 대한 편집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제1 저장 모드에서의 편집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편집 입력에 따른 결과를 상기 제2 저장 모드와 동기화되도록 하여, 상기 제1 저장 모드에서의 편집 입력에 따라서 상기 제2 저장 모드에서의 상기 편집 입력에 따른 상기 컨텐츠, 상기 리프 및 상기 브랜치의 상태가 변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저장부는,
    현재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어느 리프에도 속하지 않은 컨텐츠들을 별도의 컨텐츠로 구분하여 관리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어느 리프에도 속하지 않은 컨텐츠들에 대해서 리프 설정이 되지 않은 컨텐츠로서 별도의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표시 개수 편집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일 행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수를 변경하되, 상기 컨텐츠가 생성된 일자 별로 컨텐츠를 그룹화하여 출력하는 경우에도, 컨텐츠 그룹마다 일 행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수를 변경하여 출력함으로써, 일 행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일자 별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일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단말의 선택 입력을 감지 시, 사용자 단말에 브랜치 및 리프를 계층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리프 검색 인터페이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상기 리프 검색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어느 한 리프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리프에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저장할지 여부를 묻는 메뉴를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도록 한 뒤, 사용자 단말로부터 승낙 입력을 감지 시, 상기 선택된 리프에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상기 컨텐츠 저장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터치 입력 중 좌우 슬라이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현재 출력되는 리프 또는 브랜치와 인접한 동일 계층의 리프 또는 브랜치의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멀티 터치 입력 중, 동시 터치된 포인트 간의 거리가 좁아지는 핀치 줌 아웃(Pinch-Zoom-Out)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현재 출력되는 리프 또는 브랜치의 상위 브랜치 및 그 브랜치에 속한 하위 브랜치 또는 리프들의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멀티 터치 입력 중, 동시 터치된 포인트 간의 거리가 넓어지는 줌 인(Zoom-In)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현재 출력되는 리프 또는 브랜치의 하위 브랜치 또는 컨텐츠 및 그 브랜치에 속한 하위 브랜치, 리프들 또는 컨텐츠들의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컨텐츠 저장부로부터의 정보에 따라서, 컨텐츠들 중, 둘 이상의 리프에 동시에 속한 컨텐츠들의 리스트를 별도로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컨텐츠 저장부로부터의 정보에 따라서, 컨텐츠들 중, 둘 이상의 리프에 동시에 속한 컨텐츠를 제외한 컨텐츠들의 리스트를 별도로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각 리프가 속한 저장 경로, 각 브랜치의 연결 정보, 각 리프의 이름, 각 브랜치의 이름 및 각 리프 및 브랜치의 생성 및 삭제에 대한 편집 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및 각 컨텐츠의 저장 경로 및 컨텐츠의 이름에 대한 편집 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편집 입력을 감지 시, 편집 입력에 대응하는 편집 명령을 상기 폴더 관리부 및 상기 컨텐츠 저장부 중 어느 하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
KR1020180060147A 2018-05-28 2018-05-28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 KR102075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147A KR102075502B1 (ko) 2018-05-28 2018-05-28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147A KR102075502B1 (ko) 2018-05-28 2018-05-28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116A KR20190135116A (ko) 2019-12-06
KR102075502B1 true KR102075502B1 (ko) 2020-02-10

Family

ID=68836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147A KR102075502B1 (ko) 2018-05-28 2018-05-28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5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107B1 (ko) * 2005-11-30 2006-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657520B1 (ko) * 2006-01-26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단말 장치에서 파일 계층 구조의 탐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0743A (ko) * 2005-01-06 2006-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를 이용한 데이터관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동작방법
KR20120067078A (ko) * 2010-12-15 2012-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107B1 (ko) * 2005-11-30 2006-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657520B1 (ko) * 2006-01-26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단말 장치에서 파일 계층 구조의 탐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116A (ko) 201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wivedi et al. Comprehensive study of data analytics tools (RapidMiner, Weka, R tool, Knime)
US9058093B2 (en) Active element
CN107004008B (zh) 使用对不同的数据存储位置的自动化查询的相关文件识别
JP6596594B2 (ja) モバイ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KR102295934B1 (ko) 상이한 스크린 상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원격 제어 기법
EP3000033B1 (en) Bundling file permissions for sharing files
US20160041953A1 (en) Inheritance of rules across hierarchical levels
US91411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cess to media content
US20170205970A1 (en) Method of displaying axes in an axis-based interface
US11023121B2 (en) Method of transversally aligning information elements along axes
US20160085388A1 (en) Desktop Environment Differentiation in Virtual Desktops
EP4343569A2 (en) System for data aggregation and analysis of data from a plurality of data sources
US202202223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arch service in association with chatroom of messenger application
US201302546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cess to media content
US20130238624A1 (en) Search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75502B1 (ko) 트리 구조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
US11023099B2 (en) Identification of a set of objects based on a focal object
KR20230102700A (ko) 웹 서비스 연동 파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50961B1 (ko) 작업 그룹을 이용하는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장치
WO2018000395A1 (zh) 管理数据的方法和装置
KR101553848B1 (ko)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EP3791250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electing files in a file system
US12003591B2 (en) Automatic discovery and registration of service applications for files introduced to a user interface
US20210297495A1 (en) Automatic discovery and registration of service applications for files introduced to a user interface
US1119484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visual management of relational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