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926B1 -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926B1
KR102225926B1 KR1020190108623A KR20190108623A KR102225926B1 KR 102225926 B1 KR102225926 B1 KR 102225926B1 KR 1020190108623 A KR1020190108623 A KR 1020190108623A KR 20190108623 A KR20190108623 A KR 20190108623A KR 102225926 B1 KR102225926 B1 KR 102225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quake
information
user terminal
generating
damage radi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호
Original Assignee
유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호 filed Critical 유정호
Priority to KR1020190108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01V1/00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01Measuring or predicting earthquak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16Receiving elements for seismic signals;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receiving elements
    • G01V1/18Receiving elements, e.g. seismometer, geophone or torque detectors, for localised single point measur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o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은 지진 가속도 수신 단계, 지진 정보 생성 단계, 피해 반경 정보 생성 단계, 사용자 위치 정보 획득 단계, 대피 시나리오 생성 단계 및 대피 시나리오 제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 및 그 장치{SEISMIC ALERT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USING APPLICATION}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피 시나리오 기반 지진 대응 솔루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진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지진의 발생 여부에 대한 판단에 그치지 않고, 발생한 지진 대피 솔루션이 제공되어야 한다.
특히, 지진 상황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빠르고 정확한 대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는, 실시간으로 지진 피해 반경 및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대피 방법을 제시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진 감지장치에서 수신된 지진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지진 정보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진 감지장치에서 수신된 지진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지진의 파형 및 규모를 포함하는 지진 정보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해 반경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피해 반경 정보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대피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진 감지장치에서 감지되는 지진 가속도 신호 중 소정 크기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지진 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지진의 파형 및 규모를 포함하는 지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지진 정보를 이용하여 지진의 진앙지로부터 피해 반경을 설정한 피해 반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피해 반경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피해 반경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대피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대피 시나리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지진 가속도 신호를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와 비교하여 지진의 파형 및 규모를 포함하는 지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피해 반경 정보는, 상기 피해 반경 내에 위치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의 안정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정성 정보는, 상기 수신된 지진 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결정된 안정성 등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피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안정성 등급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구조물을 대피소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피해 반경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대피 경로를 포함하는 대피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 경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로부터 최단거리에 위치하는 대피소까지의 경로일 수 있다.
상기 대피 시나리오는, 지진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진 감지장치에서 감지되는 지진가속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지진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지진의 파형 및 규모를 포함하는 지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지진 정보를 이용하여 지진의 진앙지로부터 피해 반경을 설정한 피해 반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피해 반경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피해 반경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대피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대피 시나리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은, 지진 감지장치에서 수신되는 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정밀한 대피 시나리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은, 피해 반경 및 사용자의 위치 기반으로 대피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구조를 돕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은, 피해 반경 내의 구조물에 대한 안정성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구조를 돕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은, 지진 가속도 수신 단계(S10), 지진 정보 생성 단계(S20), 피해 반경 정보 생성 단계(S30), 피해 반경 정보 제공 단계(S40), 사용자 위치 정보 획득 단계(S50), 대피 시나리오 생성 단계(S60) 및 대피 시나리오 제공 단계(S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단계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진 가속도 수신 단계(S10)는,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진 감지장치에서 감지되는 지진 가속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진 가속도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진 감지장치에서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신호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유무선 통신망은 유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TCP/IP 프로토콜과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WAP 프로토콜 또는 OSI 7 Layer, HTTP 등을 사용한 인터넷 망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진 감지장치는 일정 거리를 주기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진 감지장치는 전봇대에 일정 주기로 설치되어 더 정밀하게 지진을 감지할 수 있다.
지진 정보 생성 단계(S20)는 상기 지진 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지진의 파형 및 규모를 포함하는 지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진 정보는 상기 지진 가속도 수신 단계(S10)에서 수신 받은 상기 지진 가속도 신호를 분석하여 생성된 지진의 파형, 진원, 진앙지 및 규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진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지진의 파형, 진원, 진앙지 및 규모에 대한 정보는, 상기 수신된 지진 가속도 신호를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와 비교 분석하여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신된 지진 가속도 신호 중 소정 크기 이상의 신호만을 선별한 후,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와 비교 분석하여 생성될 수 있다
피해 반경 정보 생성 단계(S30)는 상기 생성된 지진 정보를 이용하여 지진의 진앙지로부터 피해 반경을 설정한 피해 반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해 반경 정보는, 상기 피해 반경 내에 위치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의 안정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 안정성 정보는 상기 구조물의 지반 조건, 구조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분석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의 구조물 처짐 정도와 기울기를 관련 시설물 안전기준과 비교하여 분석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조물 안정성 정보는 구조물 역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계산된 구조물의 내역 및 변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구조물 안정성 정보는, 상기 수신된 지진 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결정된 안정성 등급을 포함할 수 있다.
피해 반경 정보 제공 단계(S40)는 상기 생성된 피해 반경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해 반경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지진 경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위치 정보 획득 단계(S50)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지진 경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GPS, GIS, WIFI, WLAN 등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피 시나리오 생성 단계(S60)는 상기 피해 반경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대피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피 시나리오는, 대피 경로, 대피소, 구조 기관 및 해당 지역에 설치된 재난 방지 장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피 시나리오는, 상기 수신된 지진 가속도 신호를 분석해 예측된 지진 진행 방향을 이용하여 생성된 대피 경로, 대피소 및 구조 기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해 반경 정보에 상기 피해 반경 내에 위치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의 상기 안정성 등급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피 시나리오 생성 단계(S60)에 대피소 결정 단계(S61)와 대피맵 생성 단계(S62)가 포함될 수 있다.
대피소 결정 단계(S61)는 상기 안정성 등급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구조물을 대피소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피맵 생성 단계(S62)는, 상기 피해 반경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최단거리에 위치하는 대피소까지의 대피 경로를 포함하는 대피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피 시나리오는, 수신되는 상기 피해 반경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의 변화에 따라 재생성될 수 있다.
대피 시나리오 제공 단계(S70)는 상기 생성된 대피 시나리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피 시나리오는 지진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장치(200)는 통신부(21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 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통신부(210)는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3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210)는 외부의 다른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A"를 송수신한다라는 표현은 "A를 나타내는 정보(information)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통신부(210)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장치(200) 내의 회로망(circuitry)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내부 버스(internal bus) 및 외부 버스(internal bus)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부(210)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장치(200)와 외부의 장치를 연결하는 요소일 수 있다.
통신부(210)는 인터페이스(interface)일 수 있다. 통신부(210)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3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장치(2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2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데이터 및 메모리(2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프로세서(2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프로세서(220)에 의해 유발된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한다.
메모리(23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데이터 및 프로세서(220)가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230)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메모리(230)는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장치(200)를 동작시키는 명령어 세트(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장치(200)를 동작시키는 명령어 세트는 프로세서(220)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220)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에 의해, 지진 가속도 수신 단계, 피해 반경 정보 생성 단계, 피해 반경 정보 제공 단계, 사용자 위치 정보 획득 단계, 대피 시나리오 생성 단계 및 대피 시나리오 제공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S10 지진 가속도 수신 단계
S20 지진 정보 생성 단계
S30 피해 반경 정보 생성 단계
S40 피해 반경 정보 제공 단계
S50 사용자 위치 정보 획득 단계
S60 대피 시나리오 생성 단계
S70 대피 시나리오 제공 단계
200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장치
210 통신부
220 프로세서
230 메모리

Claims (7)

  1.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진 감지장치에서 감지되는 지진 가속도 신호 중 소정 크기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지진 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지진의 파형 및 규모를 포함하는 지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지진 정보를 이용하여 지진의 진앙지로부터 피해 반경을 설정한 피해 반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피해 반경 정보는, 상기 피해 반경 내에 위치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의 안정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안정성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의 처짐 정도와 기울기를 관련 시설물 안전 기준과 비교한 정보, 구조물 역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계산된 구조물의 내역 및 변위, 및 상기 지진 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결정된 안정성 등급을 포함함;
    상기 생성된 피해 반경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피해 반경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대피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대피 시나리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대피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피해 반경 내에 위치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 중 상기 안정성 등급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구조물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구조물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로부터 최단 거리에 위치하는 구조물을 대피소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지진 가속도 신호를 분석하여 지진 진행 방향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한 지진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결정된 대피소까지의 대피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대피 경로가 포함된 대피맵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지진 가속도 신호를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와 비교하여 지진의 파형 및 규모를 포함하는 지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 시나리오는,
    지진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
  7.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진 감지장치에서 감지되는 지진가속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지진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지진의 파형 및 규모를 포함하는 지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지진 정보를 이용하여 지진의 진앙지로부터 피해 반경을 설정한 피해 반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피해 반경 정보는, 상기 피해 반경 내에 위치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의 안정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안정성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의 처짐 정도와 기울기를 관련 시설물 안전 기준과 비교한 정보, 구조물 역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계산된 구조물의 내역 및 변위, 및 상기 지진 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결정된 안정성 등급을 포함함;
    상기 생성된 피해 반경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피해 반경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대피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대피 시나리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실행하되,
    상기 대피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피해 반경 내에 위치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 중 상기 안정성 등급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구조물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구조물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로부터 최단 거리에 위치하는 구조물을 대피소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지진 가속도 신호를 분석하여 지진 진행 방향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한 지진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결정된 대피소까지의 대피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대피 경로가 포함된 대피맵을 생성하는 단계; 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장치.
KR1020190108623A 2019-09-03 2019-09-03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 및 그 장치 KR102225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623A KR102225926B1 (ko) 2019-09-03 2019-09-03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623A KR102225926B1 (ko) 2019-09-03 2019-09-03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926B1 true KR102225926B1 (ko) 2021-03-09

Family

ID=75179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623A KR102225926B1 (ko) 2019-09-03 2019-09-03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9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6401A1 (ko) * 2021-03-03 2022-09-09 유정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134421A (ko) * 2021-03-26 2022-10-0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인공지능 기반 건물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200B1 (ko) * 2015-02-10 2015-08-1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시스템 및 지진 경보 방법
KR101864734B1 (ko) * 2017-03-02 2018-06-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 및 이의 작동방법
KR102013151B1 (ko) * 2018-12-06 2019-08-28 대한민국 지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200B1 (ko) * 2015-02-10 2015-08-1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시스템 및 지진 경보 방법
KR101864734B1 (ko) * 2017-03-02 2018-06-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 및 이의 작동방법
KR102013151B1 (ko) * 2018-12-06 2019-08-28 대한민국 지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6401A1 (ko) * 2021-03-03 2022-09-09 유정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134421A (ko) * 2021-03-26 2022-10-0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인공지능 기반 건물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KR102545314B1 (ko) * 2021-03-26 2023-06-2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인공지능 기반 건물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1460B2 (en) Map processing for indoor navigation guidance
JP6290859B2 (ja) リスク予測および評価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229576B2 (en) User equipment, earthquake alert server and earthquake alert method thereof
US20160253407A1 (en) Clustering Method for a Point of Interest and Related Apparatus
KR102225926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 및 그 장치
JP6671607B2 (ja) 構造物の影響予測システム
KR101763337B1 (ko) 진동 가속도와 변위 계측 기반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CN104937604A (zh) 基于地点的进程监视
Cuéllar et al. A fast earthquake early warning algorithm based on the first 3 s of the P‐wave coda
JP6755026B2 (ja) 地震観測・出力システム
EP2947445B1 (en) Method for correcting representative displacement waveform, and method for evaluating residual seismic perfromance of building
KR101754937B1 (ko) M2m 무선통신을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JP2017096737A (ja) 被災度予測システム
KR102558389B1 (ko) 통신 인프라와 연동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0230407A (ja) 地震動の予測システム
KR20150040513A (ko) 자기장 맵을 구축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76135B1 (ko) 재난 대응 관제 장치 및 그 시스템
JP2020034517A (ja) 地震観測・出力システム
JP2016076113A (ja) 影響評価装置、影響評価方法、及び影響評価プログラム
JP6609403B2 (ja) 構造物検証システム、構造物検証装置、構造物検証プログラム
Wächter et al. Dynamic evacuation system for the intelligent building based on beacons and handheld devices
CN105160821A (zh) 楼宇对讲系统的地震报警方法与楼宇对讲系统
WO2022186401A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방법 및 그 장치
Dwi IOS Application for Finding Halal Food, Mosque, Qibla Direction and Prayer Time
Owuor et al. Three tier indoor localization system for digital forens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