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870B1 -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870B1
KR102225870B1 KR1020200073964A KR20200073964A KR102225870B1 KR 102225870 B1 KR102225870 B1 KR 102225870B1 KR 1020200073964 A KR1020200073964 A KR 1020200073964A KR 20200073964 A KR20200073964 A KR 20200073964A KR 102225870 B1 KR102225870 B1 KR 102225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waterproof structure
contact
coupl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준
Original Assignee
(주)이음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음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이음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73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means biting into the conductor-insulation, e.g. teeth-like elements or gripping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통신 케이블이 수용된 전선보호관의 외면으로 상기 통신 케이블에 수분과 외부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케이블 방수 구조체가 장착되되,
상기 케이블 방수 구조체는 상기 전선보호관을 감싸며,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고착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일 측에는 상기 전선보호관에 용이하게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보호부재 절개부가 형성되는 보호관 보호부재; 상기 보호관 보호부재의 외부를 감쌓을 수 있도록 두 개의 케이스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 부재의 일 단에는 회전 작동을 위한 힌지구가 장착되고, 타 단에는 체결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케이스 결합공이 형성된 케이스 연결부가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연결부와 케이스 연결부의 사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밀착부재가 장착되는 내부 고정 케이스; 상기 내부 고정 케이스의 외면을 감싸며, 일 측에는 양측 끝단이 상기 케이스 연결부에 밀착되는 완충부재 절개부가 형성되는 고정 케이스 완충부재; 상하부 고정부재로 분리구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고정 케이스 완충부재가 장착될 수 있도록 고정체 장착공이 형성되며, 양측에는 외부를 향해 측면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고정체 결합홈이 형성되는 중간 고정체; 상기 중간 고정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내면에는 상기 측면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측면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마감구; 상기 중간 고정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저면과 상면에는 상기 고정체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마감판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가장자리 양측에는 상기 측면 마감구의 결합홈과 대응하는 부분으로 체결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마감판 결합공이 형성되는 마감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Building communication cable waterproof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되는 통신 케이블에 수분과 외부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 등의 전기 배선공사는 콘크리트 벽체 등에 전선용 배관의 일부를 매몰시키고, 그 매몰된 전선용 배관(이하, 전선관이라 칭함)의 일측과 타측 단부를 벽체 외부로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시켜, 그 인출된 전선관 내부에 전선을 유입 배설되게 함으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건축용 배선공사에 이용되는 전선관은 주로 자유롭게 절곡이 가능한 플렉시블 전선관을 이용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전선관은 전선의 외부 간섭 및 충격으로 부터 전선을 보호하고, 전선으로 부터 발생되는 전자파 및 외부 전기적 장애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이에, 건축용 배선공사에 이용되고 있는 종래 플렉시블 전선관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주름관의 신장, 수축 및 휨 변형이 용이하도록 다수개로 분리된 다수개의 주름마디 부재를 필요한 길이만큼 다수 개로 엮음 결합 되게 하여 구성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건축용 플렉시블 전선관은 단순히 주름마디 부재의 연결관계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는 외부로 부터 수분이 닿을 경우 주름마디 연결 틈새를 통해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현상에 의해 누전 및 감전사고의 원인을 제공되게 하는 상당한 구조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또 다르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건축용 플렉시블 전선관은 단지 전선을 수용 보호되게 하여, 안정적인 배선 관계를 이루도록 한 것에 불과한 것일 뿐, 그 전선관 자체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은 전혀 구비하지 못한 것으로, 이에 외부로부터 필요에 따른 신장, 수축 및 휨 변형 등이 가해질 경우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구조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429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429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복수개의 통신 케이블이 수용된 전선보호관에 다수개의 케이블 방수 구조체를 장착하여 배선된 전기 및 통신 케이블의 외표면에 수분과 외부 충격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케이블 방수 구조체를 조립 구조로 구성하여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할 수 있는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 구조는 복수개의 통신 케이블이 수용된 전선보호관의 외면으로 상기 통신 케이블에 수분과 외부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케이블 방수 구조체가 장착되되,
상기 케이블 방수 구조체는 상기 전선보호관을 감싸며,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고착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일 측에는 상기 전선보호관에 용이하게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보호부재 절개부가 형성되는 보호관 보호부재; 상기 보호관 보호부재의 외부를 감쌓을 수 있도록 두 개의 케이스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 부재의 일 단에는 회전 작동을 위한 힌지구가 장착되고, 타 단에는 체결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케이스 결합공이 형성된 케이스 연결부가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연결부와 케이스 연결부의 사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밀착부재가 장착되는 내부 고정 케이스; 상기 내부 고정 케이스의 외면을 감싸며, 일 측에는 양측 끝단이 상기 케이스 연결부에 밀착되는 완충부재 절개부가 형성되는 고정 케이스 완충부재; 상하부 고정부재로 분리구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고정 케이스 완충부재가 장착될 수 있도록 고정체 장착공이 형성되며, 양측에는 외부를 향해 측면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고정체 결합홈이 형성되는 중간 고정체; 상기 중간 고정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내면에는 상기 측면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측면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마감구; 상기 중간 고정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저면과 상면에는 상기 고정체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마감판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가장자리 양측에는 상기 측면 마감구의 결합홈과 대응하는 부분으로 체결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마감판 결합공이 형성되는 마감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마감판의 상면 또는 저면에는 " M " 또는 " W "자 형상의 위치 고정돌기가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블 방수 구조체와 케이블 방수 구조체의 사이에는 밀착 및 방수를 위하여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밀착 수단이 장착되되, 상기 케이블 방수 구조체를 구성하는 중간 고정체의 케이스 부재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위치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 수단은 상하부 밀착부재로 분리구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전선보호관이 수용되는 보호관 장착공이 형성되며, 외면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밀착부재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내부 밀착구 및 상기 내부 밀착구의 외부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외부 밀착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밀착부재 결합돌기와 대응하는 상기 외부 밀착부재의 내면에는 밀착부재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 안내홈과 대응하는 전후면에는 끼움 결합되는 위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외부 밀착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는 복수개의 통신 케이블이 수용된 전선보호관에 다수개의 케이블 방수 구조체를 장착하여 배선된 전기 및 통신 케이블의 외표면에 수분과 외부 충격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및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는 케이블 방수 구조체를 조립 구조로 구성하여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 보호부재, 내부 고정 케이스, 고정 케이스 완충부재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 고정체, 측면 마감구, 마감판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 보호부재, 내부 고정 케이스, 고정 케이스 완충부재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 고정체, 측면 마감구, 마감판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인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는 복수개의 통신 케이블이 수용된 전선보호관(10)의 외면으로 복수개의 케이블 방수 구조체(100)를 연속장착하여, 상기 전선보호관(10)의 내부에 수용된 통신 케이블에 수분과 외부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케이블 방수 구조체(100)는 보호관 보호부재(200), 내부 고정 케이스(300), 고정 케이스 완충부재(400), 중간 고정체(500), 측면 마감구(600), 마감판(7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방수 구조체(100)는 전선보호관(10)의 안정적인 지지와 원활한 작업을 위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었으나, 상기 케이블 방수 구조체(100)는 환경이나 목적 등에 따라 원형이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보호관 보호부재(200)는 전선보호관(10)의 외면을 감싸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관 보호부재(200)는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며,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고착방지돌기(210)가 형성되고, 일 측에는 상기 전선보호관(10)에 용이하게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보호부재 절개부(2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보호관 보호부재(200)는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보호관(10)에 수분 침투 및 외부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내면에 형성된 고착방지돌기(210)를 통해 상기 전선보호관(10)과 용이하게 분리하며, 상기 보호부재 절개부(220)를 통해 전선보호관(10)에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내부 고정 케이스(300)는 보호관 보호부재(200)의 외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고정 케이스(300)는 두 개의 케이스 부재(310)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 부재(310)의 일 단에는 회전 작동을 위한 힌지구(320)가 장착되고, 타 단에는 체결구(B)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케이스 결합공(340)이 형성된 케이스 연결부(330)가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연결부(330)와 케이스 연결부(330)의 사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밀착부재(350)가 장착된다.
즉, 상기 내부 고정 케이스(300)는 일 단에 힌지구(320)가 결합되고 타 단에는 케이스 결합공(340)이 형성된 케이스 연결부(330)가 형성된 케이스 부재(310)가 대칭으로 형성되어 결합된다.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내부 고정 케이스(300)는 힌지구(320)를 중심으로 케이스 부재(310)가 회전작동하고, 상기 케이스 연결부(330)의 케이스 결합공(340)에 결합되는 볼트(B)를 통해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 연결부(330)와 케이스 연결부(330)의 사이에 장착되는 밀착부재(350)는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 케이스 완충부재(400)는 내부 고정 케이스(300)의 외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케이스 완충부재(400)는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일 측에는 양측 끝단(420)이 상기 케이스 연결부(330)에 밀착되는 완충부재 절개부(4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 케이스 완충부재(400)는 외부에서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충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 케이스 완충부재(400)의 두께는 상기 케이스 연결부(330)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원활한 결합 및 결합을 위하여 외면이 케이스 연결부(330)의 끝단과 대응되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중간 고정체(500)는 고정 케이스 완충부재(400)의 외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 고정체(500)는 상하부 고정부재(510)로 분리구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고정 케이스 완충부재(4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고정체 장착공(520)이 형성되며, 양측에는 외부를 향해 측면 결합돌기(530)가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고정체 결합홈(54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중간 고정체(500)는 고정 케이스 완충부재(400)의 상하부에 상하부 고정부재(510)를 각각 장착하고,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 결합돌기(530)를 통해 측면 마감구(600)와 결합하며, 상하부에 형성되는 고정체 장착공(520)을 통해 마감판(700)과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510)가 맞닿는 측면 결합돌기(530)의 접촉부에는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공지된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측면 마감구(600)는 중간 고정체(5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 마감구(600)는 내면에 상기 측면 결합돌기(530)와 결합되는 측면 결합홈(610)이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홈(6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측면 마감구(600)는 수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내면으로 측면 결합돌기(530)와 대응하는 측면 결합홈(610)을 형성하고, 상하면에는 마감판(700)과 체결구(B)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측면 결합홈(61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측면 결합홈(610)의 상하에는 측면 결합돌기(530)와 고정을 위하여 공지된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마감판(700)은 중간 고정체(5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판(700)은 저면과 상면에 상기 고정체 결합홈(540)에 끼움 결합되는 마감판 고정돌기(710)가 형성되며, 가장자리 양측에는 상기 측면 마감구(600)의 결합홈(620)과 대응하는 부분으로 체결구(B)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마감판 결합공(7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마감판(700)은 상하부에 배치되어 마감판 고정돌기(710)가 고정체 결합홈(540)에 끼움 결합되면서 중간 고정체(500)와 결합하게 되고, 상기 마감판 결합공(720)에 결합되는 체결구(B)를 통해 측면 마감구(600)와 고정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감판(700)의 상면 또는 저면에 " M " 또는 " W "자 형상의 위치 고정돌기(730)가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마감판(700)은 접촉면적의 확대에 따른 고정력과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M " 또는 " W "자 형상의 위치 고정돌기(7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블 방수 구조체(100)는 도시된 도 8 및 9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블 방수 구조체(100)와 케이블 방수 구조체(100)의 사이에 밀착 및 방수를 위하여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밀착 수단(800)이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블 방수 구조체(100)를 구성하는 중간 고정체(500)의 케이스 부재(310)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위치 안내홈(5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 수단(800)은 상하부 밀착부재(821)로 분리구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전선보호관(10)이 수용되는 보호관 장착공(822)이 형성되며, 외면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밀착부재 결합돌기(823)가 형성되는 내부 밀착구(820) 및 상기 내부 밀착구(820)의 외부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외부 밀착부재(841)로 구성되며, 상기 밀착부재 결합돌기(823)와 대응하는 상기 외부 밀착부재(841)의 내면에는 밀착부재 결합홈(842)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 안내홈(550)과 대응하는 전후면에는 끼움 결합되는 위치 고정돌기(843)가 형성되는 외부 밀착구(8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밀착 수단(800)은 전선보호관(10)의 외면에 밀착부재 결합돌기(823)가 형성된 상하부 밀착부재(821)를 장착한 후 상기 상하부 밀착부재(821)의 외면에 복수개수로 구성되며 밀착부재 결합돌기(823)와 대응하는 부분에 밀착부재 결합홈(842)이 형성되는 외부 밀착구(840)를 장착하여 케이블 방수 구조체(100)와 케이블 방수 구조체(100)의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신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밀착 수단(800)은 위치 안내홈(550)에 끼움 결합되는 외부 밀착구(840)의 위치 고정돌기(843)를 통해 결합력을 높이면서도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수개의 통신 케이블이 수용된 전선보호관(10)의 외면으로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며,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고착방지돌기(210)가 형성되고, 일 측에는 상기 전선보호관(10)에 용이하게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보호부재 절개부(220)가 형성되는 보호관 보호부재(20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관 보호부재(200)의 외면으로 두 개의 케이스 부재(310)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 부재(310)의 일 단에는 회전 작동을 위한 힌지구(320)가 장착되고, 타 단에는 체결구(B)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케이스 결합공(340)이 형성된 케이스 연결부(330)가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연결부(330)와 케이스 연결부(330)의 사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밀착부재(350)가 장착되는 내부 고정 케이스(30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 고정 케이스(300)의 외부에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일 측에는 양측 끝단(420)이 상기 케이스 연결부(330)에 밀착되는 완충부재 절개부(410)가 형성되는 고정 케이스 완충부재(40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케이스 완충부재(400)의 외부에 상하부 고정부재(510)로 분리구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고정 케이스 완충부재(4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고정체 장착공(520)이 형성되며, 양측에는 외부를 향해 측면 결합돌기(530)가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고정체 결합홈(540)이 형성되는 중간 고정체(50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중간 고정체(500)의 양측으로 내면에 상기 측면 결합돌기(530)와 결합되는 측면 결합홈(610)이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홈(620)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마감구(60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중간 고정체(500)의 상부와 하부에 저면과 상면에 상기 고정체 결합홈(540)에 끼움 결합되는 마감판 고정돌기(710)가 형성되며, 가장자리 양측에는 상기 측면 마감구(600)의 결합홈(620)과 대응하는 부분으로 체결구(B)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마감판 결합공(720)이 형성되는 마감판(700)을 장착하면 케이블 방수 구조체(100)의 조립은 완료된다.
다음으로, 상기 전선보호관(10)의 외면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케이블 방수 구조체(100)를 장착한다.
이후, 상기 케이블 방수 구조체(100)가 장착된 전선보호관(10)을 지중에 형성된 삽입공간으로 삽입하면,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의 조립 및 설치는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의 조립 및 설치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짐은 당연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복수개의 통신 케이블이 수용된 전선보호관은 케이블 방수 구조체를 통해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도 상호 지지하는 케이블 방수 구조체를 통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전선보호관 100 : 케이블 방수 구조체
200 : 보호관 보호부재 210 : 고착방지돌기
220 : 보호부재 절개부
300 : 내부 고정 케이스 310 : 케이스 부재
320 : 힌지구 330 : 케이스 연결부
340 : 케이스 연결공 350 : 밀착부재
400 : 고정 케이스 완충부재 410 : 완충부재 절개부
420 : 끝단
500 : 중간 고정체 510 : 상하부 고정부재
520 : 고정체 장착공 530 : 측면 결합돌기
540 : 고정체 결합홈 550 : 위치 안내홈
600 : 측면 마감구 610 : 측면 결합홈
620 : 결합홈
700 : 마감판 710 : 마감판 고정돌기
720 : 마감판 결합공 730 : 위치 고정돌기
800 : 밀착 수단 820 : 내부 밀착구
821 : 상하부 밀착부재 822 : 보호관 장착공
823 : 밀착부재 결합돌기 840 : 외부 밀착구
841 : 외부 밀착부재 842 : 밀착부재 결합홈
843 : 위치 고정돌기

Claims (3)

  1. 복수개의 통신 케이블이 수용된 전선보호관(10)의 외면으로 상기 통신 케이블에 수분과 외부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케이블 방수 구조체(100)가 장착되되,
    상기 케이블 방수 구조체(100)는,
    상기 전선보호관(10)을 감싸며,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고착방지돌기(210)가 형성되고, 일 측에는 상기 전선보호관(10)에 용이하게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보호부재 절개부(220)가 형성되는 보호관 보호부재(200);
    상기 보호관 보호부재(200)의 외부를 감쌓을 수 있도록 두 개의 케이스 부재(310)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 부재(310)의 일 단에는 회전 작동을 위한 힌지구(320)가 장착되고, 타 단에는 체결구(B)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케이스 결합공(340)이 형성된 케이스 연결부(330)가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연결부(330)와 케이스 연결부(330)의 사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밀착부재(350)가 장착되는 내부 고정 케이스(300);
    상기 내부 고정 케이스(300)의 외면을 감싸며, 일 측에는 양측 끝단(420)이 상기 케이스 연결부(330)에 밀착되는 완충부재 절개부(410)가 형성되는 고정 케이스 완충부재(400);
    상하부 고정부재(510)로 분리구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고정 케이스 완충부재(4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고정체 장착공(520)이 형성되며, 양측에는 외부를 향해 측면 결합돌기(530)가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고정체 결합홈(540)이 형성되는 중간 고정체(500);
    상기 중간 고정체(5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내면에는 상기 측면 결합돌기(530)와 결합되는 측면 결합홈(610)이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홈(620)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마감구(600);
    상기 중간 고정체(5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저면과 상면에는 상기 고정체 결합홈(540)에 끼움 결합되는 마감판 고정돌기(710)가 형성되며, 가장자리 양측에는 상기 측면 마감구(600)의 결합홈(620)과 대응하는 부분으로 체결구(B)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마감판 결합공(720)이 형성되는 마감판(70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방수 구조체(100)와 케이블 방수 구조체(100)의 사이에는 밀착 및 방수를 위하여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밀착 수단(800)이 장착되되,
    상기 케이블 방수 구조체(100)를 구성하는 중간 고정체(500)의 케이스 부재(310)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위치 안내홈(550)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 수단(800)은,
    상하부 밀착부재(821)로 분리구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전선보호관(10)이 수용되는 보호관 장착공(822)이 형성되며, 외면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밀착부재 결합돌기(823)가 형성되는 내부 밀착구(820) 및
    상기 내부 밀착구(820)의 외부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외부 밀착부재(841)로 구성되며, 상기 밀착부재 결합돌기(823)와 대응하는 상기 외부 밀착부재(841)의 내면에는 밀착부재 결합홈(842)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 안내홈(550)과 대응하는 전후면에는 끼움 결합되는 위치 고정돌기(843)가 형성되는 외부 밀착구(8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700)의 상면 또는 저면에는 " M " 또는 " W "자 형상의 위치 고정돌기(730)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
  3. 삭제
KR1020200073964A 2020-06-18 2020-06-18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 KR102225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964A KR102225870B1 (ko) 2020-06-18 2020-06-18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964A KR102225870B1 (ko) 2020-06-18 2020-06-18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870B1 true KR102225870B1 (ko) 2021-03-11

Family

ID=75142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964A KR102225870B1 (ko) 2020-06-18 2020-06-18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87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295B1 (ko) 2005-08-30 2006-03-29 주식회사 이지건축 전기 전선보호관용 연결구 구조
KR101016053B1 (ko) * 2010-11-30 2011-02-23 (유)전일기술단 지중 송전케이블 보호시설
KR20120102946A (ko) * 2011-03-09 2012-09-19 한국전력공사 관로구 방수 장치
KR20190072117A (ko) * 2017-12-15 2019-06-25 동원건설산업 주식회사 방진부를 구비하는 무선충전 급전선로용 전선덕트
KR102104387B1 (ko) * 2019-01-23 2020-04-29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선이탈 방지장치, 분전반용 안전시스템, 분전반 및 분전반 전원 연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295B1 (ko) 2005-08-30 2006-03-29 주식회사 이지건축 전기 전선보호관용 연결구 구조
KR101016053B1 (ko) * 2010-11-30 2011-02-23 (유)전일기술단 지중 송전케이블 보호시설
KR20120102946A (ko) * 2011-03-09 2012-09-19 한국전력공사 관로구 방수 장치
KR20190072117A (ko) * 2017-12-15 2019-06-25 동원건설산업 주식회사 방진부를 구비하는 무선충전 급전선로용 전선덕트
KR102104387B1 (ko) * 2019-01-23 2020-04-29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선이탈 방지장치, 분전반용 안전시스템, 분전반 및 분전반 전원 연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32360T3 (es) Dispositivo sujetacables
KR102157724B1 (ko)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방진구조
KR102229240B1 (ko)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KR101767563B1 (ko) 화재확산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및 이의 조립방법
KR20190114094A (ko) 공동주택용 케이블 단자함 구조체
KR101865158B1 (ko) 공동주택 건축물용 외벽 전기 케이블 안전장치
KR101007070B1 (ko)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KR102225870B1 (ko)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
KR102356112B1 (ko)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KR101779814B1 (ko)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KR102169713B1 (ko) 배선덕트일체형 스피커조립체
KR102308260B1 (ko) 전선관내 결로발생의 방지 및 기밀유지용 차단캡
KR101033644B1 (ko)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
KR200421610Y1 (ko) 케이블 보호관
KR102101717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선 연결장치
EP0731996B1 (en) A cable conduit for protected conveyance of cables and/or pipes
KR102155296B1 (ko) 공동주택 전기케이블 보호장치
KR102081386B1 (ko) C형강 케이블 커버장치
KR20190072117A (ko) 방진부를 구비하는 무선충전 급전선로용 전선덕트
KR101978189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보호케이스
KR101229964B1 (ko) 결로방지부재가 결합된 배선박스
KR102011794B1 (ko) 공동주택용 단열재 고정장치
EP1835589B1 (en) A raceway wiring and a cover to be coupled with said raceway
KR102295752B1 (ko) 공동주택 건축물 전기의 배선 연결과 이음장치
KR200454350Y1 (ko) 옥외형 버스관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