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358B1 - 태닝 레벨 판단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태닝 레벨 판단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358B1
KR102225358B1 KR1020180118566A KR20180118566A KR102225358B1 KR 102225358 B1 KR102225358 B1 KR 102225358B1 KR 1020180118566 A KR1020180118566 A KR 1020180118566A KR 20180118566 A KR20180118566 A KR 20180118566A KR 102225358 B1 KR102225358 B1 KR 102225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ning
level
subject
determining
tanning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8828A (ko
Inventor
최순철
Original Assignee
최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순철 filed Critical 최순철
Priority to KR1020180118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358B1/ko
Publication of KR20200038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3Evaluating skin constituents, e.g. elastin, melan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사체의 태닝 정도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여 태닝 레벨 판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태닝 레벨 판단 데이터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태닝 레벨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피사체의 태닝 레벨값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닝 레벨 판단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DETERMINING TANNING LEVEL}
본 발명은 태닝 레벨 판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가 구비된 단말 또는 기구를 통하여 피사체의 노출된 피부로부터 태닝 레벨을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태닝은 여름철에 해안가 등에서 피부를 자외선에 노출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여름철에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여 태닝을 하고 있다.
다만, 자연 자외선을 이용하는 경우, 자외선 차단제를 바른다고 하더라도 태닝을 얼마나 하여야 하는지 판단 즉, 임의로 적절한 태닝 정도를 판단하기가 어려워 만족스러운 태닝을 할 수 없으며 과한 자외선 노출로 인하여 피부 관련 각종 트러블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문제가 되었다.
한편, 뷰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태닝이 건강미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태닝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증가하였다. 다만, 이러한 자연 태닝은 계절, 지역, 시간 등의 제약이 많아 쉽게 즐기기 어려웠으나, 태닝 기계의 개발 및 보급으로 인공적으로 사시사철 태닝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기계 태닝 역시 태닝 기계에 설정된 태닝 정도에만 의존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태닝 정도를 직관적으로 판단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그에 기초하여 태닝이 적절한지 적절하지 않다면 어느 정도 태닝을 추가하여야 하는 지 등에 대해 판단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카메라가 장착된 단말이나 기구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피부 태닝 정도를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와 같이 판단된 피부 태닝 정도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추가적인 피부 태닝 정도 등의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사체의 태닝 정도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여 태닝 레벨 판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태닝 레벨 판단 데이터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태닝 레벨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피사체의 태닝 레벨값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사체의 태닝 정도 판단 방법은, 사용자의 태닝 레벨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사체의 태닝 정도 판단 방법은, 상기 판단된 피사체의 태닝 레벨값으로부터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태닝 레벨 요청 데이터에 따른 비교값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비교값은, 추가 요청되는 태닝 정도, 태닝 횟수 및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태닝 레벨 판단값은, 수치화된 레벨값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태닝 레벨 판단값은, RGB 색상 코드 또는 팬톤 컬러에 대응되는 값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생성된 피사체의 태닝 레벨 판단 데이터는, 상기 획득한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노출된 피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로서, 상기 노출된 피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RGB 색상 코드 또는 팬톤 컬러에 해당하는 값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태닝 레벨 판단값은, 상기 생성된 피사체의 태닝 레벨 판단 데이터와 함께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피사체의 태닝 레벨 판단은, 상기 피사체의 태닝 레벨 판단 데이터의 노출된 피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태닝 특징점을 추출하여, 추출된 태닝 특징점들에 대한 RGB 색상 코드 또는 팬톤 컬러 해당 값들 또는 그 평균값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피사체의 태닝 레벨 판단 데이터는, 상기 획득한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노출된 각 부위에 대해 각각 생성되고, 상기 태닝 레벨 판단 시, 상기 각 부위별로 태닝 레벨을 판단하여 태닝 레벨값을 출력하거나, 상기 각 부위별로 판단된 태닝 레벨값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한 하나의 태닝 레벨값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에 기재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가 장착된 단말이나 기구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피부 태닝 정도를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판단된 피부 태닝의 정도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추가적인 피부 태닝 정도 등의 판단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닝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닝 레벨 판단 단말 또는 기구의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닝 레벨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닝 레벨 판단 관련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히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몇몇의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일(a 또는 an)", "하나(on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촬영장치가 장착된(또는 구비된) 단말이나 기구 등과 같은 장치를 통하여 촬영된 피사체의 이미지 전부 또는 일부로부터 피부 태닝 레벨을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부 태닝 레벨 판단을 통하여 피사체의 피부 태닝 레벨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고, 원하는 피부 태닝 정도와 비교하여 추가적인 피부 태닝 정도 등의 판단을 포함하여 다양한 피부 태닝에 관한 정보를 제공을 통하여 사용자의 태닝 서비스 이용 편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피사체"라 함은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촬영장치를 통해 촬상되는 객체를 말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상기 피사체라 함은 사람의 태닝 레벨 판단을 위한 대상 즉, 신체 전부 또는 일부를 나타낸다.
또한, "이미지 촬영장치"는, 상기와 같이 피사체의 피부 태닝 정도 판단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카메라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상기 카메라와 함께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태닝 관련 센서가 함께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 촬영시 동작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포함한다"라고 함은, 내장한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외부의 독립된 개체와 연동한다는 의미까지 모두 지칭할 수 있다. 상기 내장이나 연동의 의미 역시 탈부착을 통한 결합의 의미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닝 서비스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태닝 서비스 시스템(100)은, 피사체(110), 단말/기구(120) 및 프로세서(processor)(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기구(편의상 이하에서는 '단말'이라 함)(120)은 태닝 서비스 관련 카메라 센서를 포함한 각종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피사체(110)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단말(120)에서 카메라 센서와 각종 센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카메라 센서가 피부 태닝 레벨 판단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각 카메라 센서는 피사체(110)의 특정 부분(특정 신체 부위)를 담당할 수 있다.
상기 단말(120)은 상기 카메라 센서를 통한 피사체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때, 상기 각종 센서를 통한 센싱 정보를 함께 획득할 수도 있다.
관련하여, 상기 단말(120)로, 스마트폰, PC, 태블릿 PC, TV, 모니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같이, 이미지 데이터 획득 또는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상기한 예시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말(120)로, 단말 장치, 터미널(Terminal),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 장치(Device-to-Device)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단말은 어디까지나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에서의 단말은 상술한 예시들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또는 향후 개발될 데이터 또는 신호 전송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서버(server)라고도 불리울 수 있으며, 상기 단말(120)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수신하여 그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120)로 태닝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태닝 서비스 제공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서버일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그 명칭에 의해 한정 해석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30)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버, 텔레포니 어플리케이션(Telephony Application) 서버, IM(Instant Messaging) 서버,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서버, MSG(Messaging Gateway) 서버,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서버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30)가 상기 단말(120)로 제공하는 태닝 서비스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태닝 레벨 판단에 관한 정보 제공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120)은 단지 피사체(110)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서(130)로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130)로부터 태닝 레벨 판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반면, 실시예에 따르면, 태닝 레벨 판단을 포함한 태닝 서비스는 단말(120)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프로세서(130)는 그러한 태닝 서비스 결과를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와 같은 저장 매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진 않았지만, 프로세서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각 프로세서는 전술한 저장 매체로서 기능하는 프로세서, 웹이나 SNS 서비스 등 태닝 관련 정보의 검색 및 제공을 위한 검색 프로세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단말(120)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프로세서(130)에 전달하고 상기 프로세서(130)에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의 태닝 레벨을 판단하여 태닝 서비스를 다시 상기 단말(120)로 제공하는 서비스 시나리오를 일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서비스 시나리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단말(120)은 태닝 서비스 애플리케이션(tanning service application)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닝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단말(120)은 상기 태닝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후에 이용할 수 있으며, 태닝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카메라 센서가 자동으로 턴-온되어 촬영 대기 상태가 될 수 있으며, 태닝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 선택을 위한 서비스 아이콘(service icon)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아이콘 또는 태닝 서비스 결과는 도 4와 같이 태닝 서비스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의 단말(120)과 프로세서(13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하는 다양한 데이터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태닝 서비스 시스템(100)의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텍스트(Text), 디지털 이미지, 디지털 영상, 디지털 음성 정보 등 본 발명에 따른 태닝 서비스 데이터가 상호 간에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하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망 또는 서로 다른 IP 망을 통합한 올 아이피(All IP) 망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Long Term Evolution) 망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LTE advanced(LTE-A)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위성 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태닝 서비스 예컨대, 태닝 레벨 판단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에 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닝 레벨 판단 단말 또는 기구의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닝 레벨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닝 레벨 판단 관련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닝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구성으로, 이하에서는 전술한 태닝 서비스 시나리오에 대응하여 프로세서(130)의 구성블록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의 구성은 단말(120)의 구성일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데이터 통신모듈(201), 이미지 데이터 수신모듈(202), 이미지 데이터 처리모듈(203), 태닝 레벨 판단모듈(204), 데이터 처리모듈(205) 및 제어모듈(20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130)는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07)와 연동되거나 도시되진 않았으나 내부에 내장 메모리를 구비하여 각종 태닝 서비스 데이터를 일시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30)는, 하드웨어로서 메모리를 구비하지 않고 다시 말해 데이터를 직접 저장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가 저장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와 같은 주소 데이터만을 일시 저장하고 그를 단말(120)로 서비스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3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생략하거나 추가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30)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구성요소로 기능하거나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제어모듈(206)은 태닝 서비스와 관련하여 프로세서(1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데이터 통신모듈(201)은 태닝 서비스와 관련하여, 단말(120)과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한다.
이미지 데이터 수신모듈(202)은, 상기 데이터 통신모듈(201)을 통하여 단말(120)에서 촬영된 태닝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미지 데이터 처리모듈(203)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 수신모듈(202)을 통하여 수신된 피사체의 태닝 이미지 데이터를 태닝 레벨 판단을 위한 데이터로 처리한다.
태닝 레벨 판단모듈(204)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 처리모듈(203)에서 처리된 태닝 레벨 판단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의 피부 태닝 정도를 판단한다.
데이터 처리모듈(205)은, 상기 태닝 레벨 판단모듈(204)에서 판단된 피사체의 피부 태닝 정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태닝 관련 모든 서비스 데이터를 처리한다.
데이터베이스(207)은, 상기 각 모듈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사체의 태닝 정도를 판단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피사체의 태닝 레벨 판단은 프로세서(130)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12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피사체(110)의 이미지 데이터를 단말(120)로부터 획득한다(S301).
프로세서(130)는, 상기 S301 단계에서 획득된 피사체(110)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여 태닝 레벨 판단 데이터를 생성한다(S302).
프로세서(130)는, 상기 S302 단계에서 생성된 태닝 레벨 판단 데이터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태닝 레벨을 판단한다(S303).
프로세서(130)는, 상기 S303 단계에서 판단된 피사체(110)의 태닝 레벨값을 단말(120)로 리턴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304).
도 4는 예컨대, 단말(120)의 태닝 서비스 관련 입력 또는 출력 화면일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120)에서 태닝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유저 인터페이스의 형태, 구성, 위치, 정보 등은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상 구현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400)는 제1 영역(410)에 피사체의 촬영 이미지 데이터가 제공되고, 제2 영역(420)에 상기 태닝 레벨 판단과 관련된 레퍼런스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400)는 제3 영역(430)에 태닝 정도(레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력되는 태닝 레벨은 숫자 형태로 예를 들어, 도 4에서 1 내지 7레벨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상기 태닝 레벨은 숫자, 텍스트, 이미지, 아이콘 등 상기 레벨을 사용자가 식별 가능한 형태로 구현하면 족하고, 그 형태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단말(120)은 상기 태닝 레벨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한 실시예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음성, 진동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진동의 경우, 태닝 레벨 정보에 따라 진동의 세기나 진동의 주기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태닝 레벨 정보는 단지 레펀런스 이미지를 참고하여 피사체의 이미지의 태닝 레벨만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레펀런스 이미지를 기준으로 태닝 상세 레벨 데이터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닝 레벨이 5인 레펀런스 이미지를 기준으로 피사체의 이미지는 태닝 레벨이 4이나 태닝 레벨 5와 10퍼센트의 차이가 있음을 알려줄 수 있다.
이와 같이, 태닝 상세 정보는 제4 영역(440)에 제공되는 바와 같이, 태닝 정보, 태닝 횟수, 태닝 세기 정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이에 참조될 수도 있다.
제5 영역(450)에서는 기타 태닝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 건강 정보, 자외선 차단제 정보, 태닝 가게 정보(근접지, 오픈 시간 등), 태닝 일반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410)에는 피사체 이미지를 교체할 수 있는 교체 아이콘(412), 피사체 이미지를 확대/감소하는 줌 아이콘(414) 등 중 적어도 하나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아이콘은 비록 도 4에서 피사체 이미지와 관련하여 제공되는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영역(420)의 레펀런스 이미지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펀런스 이미지는 본 발명에 따라 태닝 레벨별로 단말(120)이나 프로세서(130)에 의해 미리 설정된 태닝 이미지이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레펀런스 이미지는 해당 태닝 레벨을 가진 연예인, 셀럽 등 스타의 이미지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레퍼런스 이미지는 단지 태닝 레벨 판단시뿐만 아니라 태닝 레벨 판단이나 서비스 요청 시에도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원하는 태닝 레벨을 선택하기 위해 단지 숫자 형태나 텍스트 형태만으로는 태닝 레벨을 직관적으로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는바, 해당 태닝 레벨의 연예인 이미지를 이용하면 보다 직관적이고 쉽게 태닝 레벨을 파악하여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4에 비록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태닝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설정에 따라 사용자의 각종 SNS 계정과 연동되어 자동으로 태닝 이미지를 업로드 되도록 서비스 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단말(120)은, 사용자의 태닝 레벨 요청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단말(120)은 태닝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도 4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제공하여 상기 태닝 레벨 요청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닝 레벨 요청 데이터라 함은, 태닝 레벨 판단 요청, 태닝 레벨 참조 레벨, 태닝 서비스 시작/종료, 태닝 관련 기타 요청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판단된 피사체의 태닝 레벨값으로부터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태닝 레벨 요청 데이터에 따른 비교값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비교값은, 도 4의 제3 영역(430)과 같이, 추가 요청되는 태닝 정도, 태닝 횟수 및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값일 수 있다.
상기 태닝 레벨 판단값은, 수치화된 레벨값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태닝 레벨 판단값은, RGB 색상 코드 또는 팬톤 컬러에 대응되는 값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치화된 레벨값과 RGB 색상 코드 또는 팬톤 컬러에 대응되는 값이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생성된 피사체의 태닝 레벨 판단 데이터는, 상기 획득한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노출된 피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로서, 상기 노출된 피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RGB 색상 코드 또는 팬톤 컬러에 해당하는 값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닝 레벨 판단값은, 상기 생성된 피사체의 태닝 레벨 판단 데이터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피사체의 태닝 레벨 판단은, 상기 피사체의 태닝 레벨 판단 데이터의 노출된 피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태닝 특징점을 추출하여, 추출된 태닝 특징점들에 대한 RGB 색상 코드 또는 팬톤 컬러 해당 값들 또는 그 평균값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피사체의 태닝 레벨 판단 데이터는, 상기 획득한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노출된 각 부위에 대해 각각 생성되고, 상기 태닝 레벨 판단 시, 상기 각 부위별로 태닝 레벨을 판단하여 태닝 레벨값을 출력하거나, 상기 각 부위별로 판단된 태닝 레벨값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한 하나의 태닝 레벨값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하여, 태닝 레벨 판단시, 레퍼런스 이미지 또는 태닝 레퍼런스 데이터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경우, 피사체에 대해 판단된 태닝 레벨 값이 상기 태닝 레펀런스의 레벨값을 초과하면 해당 태닝 레벨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한단계 낮은 태닝 레벨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우에, 상기 태닝 레퍼런스의 레벨값 대비 상기 피사체에 대해 판단된 태닝 레벨 값이 일정 수준 이내의 범위이면, 해당 태닝 레벨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경우에, 상기 태닝 레퍼런스의 레벨값 대비 상기 피사체에 대해 판단된 태닝 레벨 값이 일정 수준 이내의 범위이면, 해당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새로운 태닝 특징점을 새로 부여하여 재판단하여 태닝 레벨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우에, 상기 태닝 레퍼런스의 레벨값 대비 상기 피사체에 대해 판단된 태닝 레벨 값이 일정 수준 이내의 범위이면, 해당 피사체의 다른 신체 부위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태닝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전 신체 부위와 다른 신체 부위에 대해 판단된 각 태닝 레벨값이 동일하면, 해당 태닝 레벨을 그대로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이전 신체 부위와 다른 신체 부위에 대해 판단된 각 태닝 레벨값이 동일하지 않으나 태닝 레벨은 동일한 경우에는, 둘 중 하나의 태닝 레벨 값에 기초하여 태닝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이 경우, 서로 다른 신체 부위의 태닝 레벨값이 동일하지 않고 태닝 레벨도 서로 다르면, 상기 태닝 레벨값들의 평균값을 기초로 태닝 레벨을 판단하거나 둘 중 어느 하나의 태닝 레벨값에 따라 태닝 레벨을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이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신체 부위에 대한 태닝 레벨을 판단하여 참조하거나 새로운 태닝 특징점을 부여하여 태닝 레벨값을 측정하고 태닝 레벨을 판단할 수도 있다.
단말은 태닝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태닝 레벨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이용하되, 다양한 태닝 레벨을 가진 피사체 이미지를 제공하고, 해당 피사체의 태닝 레벨을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태닝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태닝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이전 태닝 이력 정보, 태닝 요청 정보, 현재 건강 정보, 환경 정보 등을 종합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태닝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태닝 이력 정보는, 태닝 가게 정보, 태닝 이용 히스토리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현재 건강 정보는 예를 들어, 현재 피부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태닝의 레벨 추천, 태닝 이용 여부에 대한 추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라 함은, 예를 들어, 태닝 전후 소정 기간의 자외선 정보 등을 참고하여 태닝 레벨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 밖에, 태닝 레벨 판단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체 부위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참고하여 피사체의 태닝 레벨을 판단하되, 각 신체 부위의 태닝 레벨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이를 각각 개별적으로 신체 부위별로 태닝 레벨 판단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경우에, 신체 부위별 태닝 레벨이 상이하다고 하더라도, 각 신체 부위의 태닝 면적이나 태닝 레벨값의 평균으로부터 차이 등을 기초로 종합 판단하여 피사체에 대한 하나의 태닝 레벨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단말(120)은 태닝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태닝 서비스 정보를 히스토그램이나 그래프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여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태닝 레벨을 포함한 태닝 서비스 데이터를 인지하고 그에 따른 동작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태닝 레벨 판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태닝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0)

  1. 각 단계는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피사체의 태닝 정도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상기 획득된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노출된 각 부위에 각각 생성되고, 태닝 레벨 별로 미리 설정된 레퍼런스 이미지와 비교하여 상기 각 부위 별로 태닝 레벨을 판단하여 태닝 레벨 값을 출력하거나, 각 부위별로 판단된 태닝 레벨값을 종합하여 하나의 태닝 레벨값을 포함하는 태닝 레벨 판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태닝 레벨 판단 데이터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태닝 레벨값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피사체의 태닝 레벨값을 수치화하여 출력하고 상기 태닝 레벨 판단 데이터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
    레퍼런스 이미지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태닝 레벨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피사체의 태닝 레벨값으로부터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태닝 레벨 요청 데이터와 비교하여, 추가 요청되는 태닝 정도, 태닝 횟수 및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값을 출력하는 단계;
    건강 정보, 자외선 차단제 정보, 태닝 가게 정보를 포함하는 태닝 서비스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의 SNS 계정과 연동되어 자동으로 태닝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의 태닝 정도 판단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태닝 레벨 판단은,
    상기 피사체 이미지의 태닝 레벨 값이 상기 레퍼런스 이미지의 레벨값을 초과하면 피사체 이미지의 태닝 레벨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한 단계 낮은 태닝 레벨로 판단하는 제1방법;
    상기 레퍼런스 이미지의 레벨 값 대비 상기 피사체 이미지의 태닝 레벨이 일정 수준 이내의 범위면, 피사체 이미지의 태닝 레벨로 판단하는 제2방법;
    상기 레퍼런스 이미지의 레벨 값 대비 상기 피사체 이미지의 태닝 레벨이 일정 수준 이내의 범위면, 피사체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새로운 태닝 특징점을 부여하여 태닝 레벨 값을 재판단하는 제3방법;
    상기 레퍼런스 이미지의 레벨 값 대비 상기 피사체 이미지의 태닝 레벨이 일정 수준 이내의 범위면, 해당 피사체의 다른 신체 부위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 태닝 레벨을 판단하되, 이전 신체 부위와 다른 신체 부위에 대해 판단된 각 태닝 레벨 값이 동일한 경우 피사체 이미지의 태닝 레벨을 그대로 제공하는 제4방법
    제4방법에 있어서, 이전 부위와 다른 신체 부위에 대해 판단된 태닝 레벨 값이 동일하지 않으나, 태닝 레벨은 동일한 경우, 둘 중 하나의 태닝 레벨 값에 기초하여 태닝 레벨을 판단하는 제5방법; 또는
    제4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신체 부위의 태닝 레벨 값이 동일하지 않고 태닝 레벨도 서로 다를 경우 상기 태닝 레벨 값들의 평균값을 기초로 태닝 레벨을 판단하거나, 둘 중 어느 하나의 태닝 레벨 값에 따라 판단하거나, 또 다른 신체부위에 대한 태닝 레벨을 판단하여 참조하거나, 새로운 태닝 특징점을 부여하여 태닝 레벨 값을 측정하고 태닝 레벨을 판단하는 제6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의 태닝 정도 판단 방법.
  10. 삭제
KR1020180118566A 2018-10-04 2018-10-04 태닝 레벨 판단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225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566A KR102225358B1 (ko) 2018-10-04 2018-10-04 태닝 레벨 판단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566A KR102225358B1 (ko) 2018-10-04 2018-10-04 태닝 레벨 판단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828A KR20200038828A (ko) 2020-04-14
KR102225358B1 true KR102225358B1 (ko) 2021-03-08

Family

ID=70291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566A KR102225358B1 (ko) 2018-10-04 2018-10-04 태닝 레벨 판단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35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5804B1 (fr) * 2011-05-27 2022-06-17 Lvmh Rech Procede de caracterisation du teint de la peau ou des phaneres
FR2985064B1 (fr) * 2011-12-23 2016-02-26 Oreal Procede pour delivrer un conseil cosmet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828A (ko)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1628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ccessing a wireless network
US20190191367A1 (en) Network slice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JP4799609B2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基盤のデジタルフレームサービス提供方法
EP3185619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to network
US1019418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video data over a network
US11836114B2 (en) Device searching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US20100083125A1 (en) Connected address book systems and methods
WO2013070461A1 (en) Wireless camera with image sharing route prioritization
US2013020135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WO2017101186A1 (zh) 用于为用户设备的应用建立无线连接的方法
WO2014154108A1 (zh) 媒体流的转移方法和用户设备
US9843987B2 (en) Consumer service cloud for implementing location-based services to control smart devices
WO2016179966A1 (zh) 一种实现网络接入的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EP3570573B1 (en) Method and device for facilitating restricted proximity discovery of an application user
US11089641B2 (en) Session continuity between software-defined network-controlled and non-software-defined network-controlled wireless networks
US20180270278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internet call service
EP39493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discovery
KR102225358B1 (ko) 태닝 레벨 판단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170098B1 (ko) 정보 처리 디바이스, 촬상 디바이스, 및 시스템
CN107872785B (zh) 终端附着方法和系统、及移动性管理实体
KR101662027B1 (ko) 사설망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성관리장치
WO2017107705A1 (zh) 解码方式的配置方法和系统、以及解码控制方法和系统
CN113132812B (zh) 一种基于volte网络的视频通话方法和系统
CN113014729A (zh) 视频彩铃处理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1049710A (zh) 一种接入服务器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