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037B1 - 레이저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037B1
KR102224037B1 KR1020190135457A KR20190135457A KR102224037B1 KR 102224037 B1 KR102224037 B1 KR 102224037B1 KR 1020190135457 A KR1020190135457 A KR 1020190135457A KR 20190135457 A KR20190135457 A KR 20190135457A KR 102224037 B1 KR102224037 B1 KR 102224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der
molding
supply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석현
소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스텍
Priority to KR1020190135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10Formation of a green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은 소재 가루가 레이저에 의해서 성형 되도록 하는 레이저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게 레이저 성형 장치에 있어서, 성형 대상물(1)에 성형 가루(10)를 배출하는 가루 배출부(100)와 상기 배출된 성형 가루(10)에 에너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200), 상기 가루 배출부(100)에 성형 가루(10)를 공급하는 가루 공급부(300) 및 상기 레이저 조사부(200)에 의한 성형 상태를 검사하는 성형 검사부(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이저 성형 장치{LASER FORMING DEVICE}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은 3D 프린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성형 가루가 레이저에 의해서 성형되도록 하는 레이저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은 레이저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표적으로 레이저 직접 금속 조형기술(laser-aided direct metal manufacturing)을 들 수 있다. 레이저 직접 금속 조형 기술은 기능성 소재(금속, 합금 또는 세라믹 등)를 사용하여 컴퓨터에 저장된 3차원 디지털 형상정보(digital data of 3D subjects)에 따라 정밀하게 레이저로 직접 용착시키는 레이저 클래딩(laser cladding) 기술을 이용하여 3차원 형태의 제품 또는 제품 생산에 필요한 툴(tools)을 매우 빠른 시간 내에 제작할 수 있다. 3차원 형상정보는 3차원 CAD 데이터, 의료용 CT(Computer Tomography; 컴퓨터 단층 촬영) 및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 공명 영상법) 데이터, 3차원 스캐너(3D Object Digitizing System)로 측정된 디지털데이터 등을 말한다. 툴은 다이(Die)나 몰드(Molds) 등의 제품 생산에 필요한 양산 금형을 말한다. 이러한 기술은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컴퓨터 수치제어) 및 기타 가공 기계를 이용한 절삭과 주조 등의 기존 가공 방식과는 비교할 수 없는 빠른 시간 내에 금속 시작품, 양산 금형, 복잡한 형상의 최종 제품 및 각종 툴을 제작할 수 있고, 역공학(Reverse Engineering)을 이용한 금형의 회복(Restoration), 리모델링(Remodeling) 및 수정(Repairing)에도 적용 가능하다. CAD 데이터로부터 그 물리적 형상을 구현하는 기본 개념은 일반 프린터와 유사하다. 프린터가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문서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2차원 종이 평면 위의 정확한 위치에 잉크를 입혀 문서를 제작하듯이, 직접 금속 조형기술은 3차원 CAD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의 정확한 위치에 기능성 소재를 요구하는 양만큼 형성시킴으로써 3차원의 물리적 형상을 구현한다. 이러한 기술은 3D 프린터로 개발되고 있고, 최근 플라스틱, 세라믹, 종이, 금속 등 소재의 특징에 따라 각기 다른 방향으로 상용화되고 있다. 레이저 직접 금속 조형기술에서 2차원의 평면은 레이저 클래딩(laser cladding)기술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구현한다.
종래의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2017-0097420호(2017.08.28. 공개, "3차원 금속 프린터를 이용한 비정질 금속 제조 장치 및 이에 제조되는 비정질 금속")에는 시편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용융 풀을 생성하는 레이저 조사부; 상기 생성된 용융 풀에 금속 분말을 공급하는 분말 공급부와 상기 금속 분말이 용융된 금속 용융액의 두께 및 3차원 CAD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레이저 조사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금속 용융액을 비정질 금속으로 급냉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한다. 상기 3차원 금속 프린터를 이용한 비정질 금속 제조 장치는, 상기 금속 용융액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금속 용융액의 두께를 측정하는 이미지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CAD 데이터로부터 공구 경로(Tool Path)를 산출하고, 상기 금속 용융액의 두께가 기 설정된 두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산출된 공구 경로를 따라 상기 레이저 조사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불활성 기체를 이용하여 상기 기 설정된 두께로 상기 공구 경로를 따라 용융된 금속 융융액을 상기 비정질 금속으로 급냉시킬 수 있다. 상기 금속 분말은 Ni, Ce, La, Gd, Mg, Y, Sm, Zr, Fe, Ti, Co, Al, Cu, Mo, Sn, Nb 및 S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차원 금속 프린터를 이용한 비정질 금속 제조 장치는, 상기 레이저 빔을 발진시키는 레이저 발진부 및 상기 발진된 레이저 빔을 집광시키는 레이저 집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조사부는 상기 집광된 레이저 빔을 상기 시편에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가 상기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상기 레이저 빔의 초점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레이저 조사부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의 이동 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분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금속 분말의 분사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정질 금속은, 상기 3차원 금속 프린터를 이용한 비정질 금속 제조 장치로 제조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1058382호(2011.08.22. 공고, "레이저 금속 코팅장치용 노즐")에는 중심에 레이저빔이 출사되는 레이저빔 출사홀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연결되어 캐리어 가스와 금속 파우더를 혼합 공급하는 파우더 공급라인 및 이 파우더 공급라인과 위치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연결되어 퍼징가스를 공급하는 퍼징가스 공급라인과 상기 바디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파우더 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캐리어 가스와 금속 파우더를 공급받아 상기 레이저빔 출사홀의 일측으로 분출하도록 관로가 형성된 파우더 유동통로 및 상기 퍼징가스 공급라인과 연결되어 퍼징가스를 공급받아 레이저빔 출사홀을 통해 분출되며, 상기 바디의 일측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냉각수가 순환 공급되는 제1,2냉각채널과, 상기 제1노즐부가 내부에 간격을 두고 삽입 수용되는 원뿔 형상의 부재로 외부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상기 제1노즐부와의 사이로 에어를 유동시켜 분출된 파우더의 주변으로 에어커튼홀을 형성하는 제3노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0531호(2018.04.20. 공개, "3D 프린팅 레이저빔 조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3D프린팅 레이저빔 조사 시스템")에는 발산 진행하는 레이저빔의 경로를 평행경로로 만들어주되 상기 평행경로의 폭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레이저빔 정렬부와 상기 레이저빔 정렬부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레이저빔을 집광하여 상기 3D 적층부위에 조사하는 레이저빔 집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빔 정렬부에 의한 레이저빔의 폭 조절에 따라 상기 레이저빔 집광부를 통해 상기 3D 적층부위에 조사되는 레이저빔의 크기가 변경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레이저빔 정렬부는 입사되는 레이저빔의 경로를 평행하게 만들어주는 제1콜리메이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빔 정렬부는, 상기 제1콜리메이션 렌즈를 통과한 레이저빔을 수렴하도록 만들어주는 수렴 렌즈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렴 렌즈는 이동가능 하도록 장착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정확한 레이저 성형이 가능한 레이저 성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레이저 성형 장치가 개시(disclosure)된다
레이저 성형 장치에 있어서, 성형 대상물(1)에 성형 가루(10)를 배출하는 가루 배출부(100)와 상기 배출된 성형 가루(10)에 에너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200), 상기 가루 배출부(100)에 성형 가루(10)를 공급하는 가루 공급부(300) 및 상기 레이저 조사부(200)에 의한 성형 상태를 검사하는 성형 검사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성형 검사부(400)는 하나의 영상 촬영부(410)와 상기 레이저 조사부(200)가 향하는 성형 지점의 모습을 적어도 두 방향에서 각각 획득하여 한 곳을 향해서 반사시키는 제1 반사부(420), 상기 제1 반사부(420)가 향하는 상기 한 곳에 상기 반사된 성형 지점의 모습이 각각 맺히도록 하되, 상기 각각의 성형 지점의 모습이 상기 영상 촬영부(410)로 반사되도록 하는 제2 반사부(430) 및 상기 영상 촬영부(410)에서 획득된 각각의 영상을 분석하여 성형 상태를 검사하는 영상 분석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루 배출부(100)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200)의 측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상기 성형 가루(10)가 유입되어 적어도 두 개의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 분할부(110) 및 상기 레이저 조사부(200)를 축으로 상기 제1 분할부(110)를 회전시키는 분할 선택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할부(110)는 상기 성형 가루(10)가 보관될 수 있는 제1 공간(a)을 포함하는 링 형태의 제1 분할 몸체(111)와 상기 제1 분할 몸체(111)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성형 가루(10)가 유입되는 제1 분할 유입부(112), 상기 제1 분할 몸체(111) 하부에 상기 유입된 성형 가루(10)가 낙하 되도록 마련되되, 적어도 두 개의 위치에 각각 마련된 제1 분할 배출부(113) 및 상기 각각의 제1 분할 배출부(113) 사이에 상기 제1 공간(a)을 분할하는 제1 분할 벽체(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루 배출부(100)는 제2 분할부(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할 선택부(120)는 상기 제1 분할부(110) 또는 상기 제2 분할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며, 상기 제2 분할부(130)는 상기 성형 가루(10)가 보관되는 제2 공간(b)을 포함하는 링 형태의 제2 분할 몸체(131)와 상기 제2 분할 몸체(131) 상부에 마련되어 제1 분할부(130)에서 낙하한 상기 성형 가루(10)가 유입되는 제2 분할 유입부(132), 상기 제2 분할 몸체(131) 하부에 상기 제2 공간(b)에 유입된 상기 성형 가루(10)가 낙하 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1 분할 배출부(113)보다 많은 위치에 각각 마련된 제2 분할 배출부(133) 및 상기 각각의 제2 분할 배출부(133) 사이에 상기 제2 공간(b)을 분할하는 제2 분할 벽체(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루 공급부(300)는 상기 성형 가루(10)가 보관된 보관부(310)와 상기 보관된 성형 가루(10)가 유입되어 머물 수 있도록 마련되되, 외부의 힘에 의해서 성형 가루(10)가 배출되도록 하는 공급 단속부(320) 및 상기 공급 단속부(320)를 이동시키되, 상부와 하부를 향하여 반복적으로 이동시키는 공급 구동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단속부(320)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마련되되, 상기 성형 가루(10)가 유입되는 유입 통로(321)와 상기 유입 통로(321)의 하부와 연결되되, 횡 방향 상부로 기울어진 단속 통로(322) 및 상기 단속 통로(322)와 연결되어 하부를 향하는 공급 통로(3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속 통로(322)는 중앙 부분이 상기 유입 통로(321)와 연결되되, 횡 방향의 양끝이 상부로 기울어지고, 상기 공급 통로(323)는 상기 단속 통로(322)의 양끝에 연결되어 하부를 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구동부(330)는 상기 공급 단속부(320)가 왕복 이동되는 과정에서의 이동 속도가 증가시키고 다시 감소시키는 제어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주기는 상기 공급 단속부(320)가 왕복 이동되는 과정의 전체 거리 중에서 소정의 거리만큼을 제외한 거리만큼 공급 단속부(320)가 이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공급 구동부(330)는 모터(331)와 상기 모터(331)의 회전력으로 상기 왕복 이동시키는 크랭크(332) 및 상기 공급 단속부(320)가 왕복 이동되는 과정에서의 상기 모터(331)의 동작 속도를 증가시키고 다시 감소시키는 제어주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333)를 포함하되, 상기 공급 단속부(320)가 왕복 이동되는 과정의 전체 거리 중에서 소정의 거리를 제외 또는 추가한 만큼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레이저 성형 장치는 성형 검사부(400)를 통해서 성형 지점의 다양한 방향의 영상을 하나의 카메라로 획득할 수 있는바,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서 다양한 시점의 성형 지점을 분석할 수 있음으로써 더욱 빠르고 정확한 레이저 성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레이저 성형 장치는 배출부(100)를 통해서 가루 공급부(300)에서 공급된 정량의 성형 가루(10)를 레이저 조사부(200)가 향하는 성형 위치를 중심으로 분할하여 배출한다. 분할 배출된 성형 가루(10)는 레이저 조사부(200)가 향하는 성형 위치에 상부 면이 고른 성형 가루(10)를 형성시켜 레이저 성형의 정확도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레이저 성형 장치는 가루 공급부(300)에서 공급된 정량의 성형 가루(10)를 제1 분할부(110)와 제2 분할부(130)에 의해 레이저 조사부(200)가 향하는 성형 위치를 중심으로 성형 가루를 더욱 분할하여 배출한다. 분할 배출된 성형 가루(10)는 레이저 조사부(200)가 향하는 성형 위치에 상부 면이 더 고른 상태의 성형 가루(10)를 형성시켜 레이저 성형의 정확도를 더욱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레이저 성형 장치는 제어주기에 의해서 배출된 성형 가루(10)의 양을 통해서 가루 배출부(100)로 공급하는 성형 가루(10)의 정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가루 공급부(300)는 공급 단속부(320)에 의해서 횡 방향의 외부 충격 또는 흔들림으로부터 성형 가루(10)가 잘못 배출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레이저 성형 장치는 모터 제어부(333)에 의해서 공급 단속부(320)가 하부에서 상부로, 다시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과정의 속도가 변화를 가함으로써 불규칙한 관성을 제공한다. 불규칙한 관성에 의해서 뭉친 성형 가루(10)의 흩어지는 현상이 증대되어 규칙적인 관성에 의한 성형 가루(10)의 적응을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에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레이저 성형 장치의 전체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가루 배출부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개시된 가루 배출부의 제1 분할부 및 분할 선택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개시된 가루 배출부의 제2 분할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례에 따른 가루 배출부에서 배출된 성형 가루가 쌓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일례에 따른 가루 배출부에서 배출된 성형 가루가 쌓인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급 단속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급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모터 제어부의 다른 일례에 따른 시간 대비 공급 단속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성형 검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배치"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결합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레이저 성형 장치를 대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레이저 성형 장치는 크게 가루 공급부(100)와 레이저 조사부(200), 가루 배출부(300) 및 성형 검사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루 배출부(100)는 성형 대상물(1)에 성형 가루(10)를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성형 대상물(1)은 레이저 성형이 추가되는 물품 또는 레이저 성형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부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한 일례로, 가루 배출부(100)는 레이저 조사부(200)의 측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성형 가루(10)가 유입되어 적어도 두 개의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 분할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루 배출부(100)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200)를 축으로 제1 분할부(110)를 회전시키는 분할 선택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 분할부(110)는 크게 제1 분할 몸체(111)와 제1 분할 유입부(112), 제1 분할 배출부(113) 및 제1 분할 벽체(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할 몸체(111)는 성형 가루(10)가 보관될 수 있는 제1 공간(a)을 포함하는 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분할 몸체(111)는 링 모양의 컵으로 볼 수 있다. 제1 분할 유입부(112)는 제1 분할 몸체(111) 상부에 마련되어 성형 가루(10)가 유입되는 개방된 공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분할 배출부(113)는 제1 분할 몸체(111) 하부에 가루 공급부(300)에 의해서 유입되는 성형 가루(10)가 낙하 되도록 구멍을 형성하여 마련되되, 제1 분할 배출부(113)는 적어도 서로 다른 두 개의 위치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제1 분할 배출부(113)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할 수 있다. 제1 분할 벽체(114)는 각각의 제1 분할 배출부(113) 사이에 제1 공간(a)을 이등분하는 제1 분할 벽체(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할 벽체(114)는 제1 분할 몸체(111)의 바닥 면을 돌출시킨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분할 벽체(114)는 제1 분할 배출부(113)가 마련된 두 곳의 사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분할 벽체(114)는 제1 분할 몸체(111)의 제1 공간(a)을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한편, 제1 분할 벽체(114)는 제1 분할 몸체(111)의 바닥 면이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제1 분할부(110)는 가루 공급부(300)에서 공급된 성형 가루(10)가 유입되면, 도 5에서처럼 레이저 조사부(200)가 향하는 제1 분할부(110)의 하부로 성형 가루(10)가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 분할부(110)는 제1 분할 배출부(113)에 의해서 레이저 조사부(200)를 중심으로 하는 두 곳의 위치에 성형 가루(10)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한 일례로, 분할 선택부(120)는 제1 분할부(110)의 제1 분할 몸체(111)의 측면에 통상의 크랭크축으로 연결된 통상의 모터(미도시)로 마련될 수 있다. 분할 선택부(120)는 모터의 구동에 따라서 제1 분할부(110)를 레이저 조사부(200)를 축으로 하여 회전시켰다가 다시 복귀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분할 선택부(120)는 제1 분할 벽체(114)에 의해서 나누어진 두 개의 공간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분할 선택부(120)는 제1 분할 배출부(113)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일례에서 개시된 가루 배출부(100)는 가루 공급부(300)에서 공급된 정량의 성형 가루(10)를 레이저 조사부(200)가 향하는 성형 위치를 중심으로 분할하여 배출한다. 분할 배출된 성형 가루(10)는 도 5에서처럼 레이저 조사부(200)가 향하는 성형 위치에 상부 면이 고른 성형 가루(10)를 형성시켜 레이저 성형의 정확도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한 다른 일례로, 가루 배출부(100)는 상기에서 설명된 제1 분할부(110)와 상기에서 설명된 분할 선택부(120) 및 제2 분할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분할 선택부(120)는 제2 분할부(130)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분할 선택부(120)는 제1 분할부(110) 또는 상기 제2 분할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어도 무방한 것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2 분할부(130)는 크게 제2 분할 몸체(131)와 제2 분할 유입부(132), 제2 분할 배출부(133) 및 제2 분할 벽체(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할 몸체(131)는 성형 가루(10)가 보관되는 제2 공간(b)을 포함하는 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분할 몸체(131)는 상기에서 설명된 제1 분할 몸체(111)와 동일하게 마련되는 것이다. 제2 분할 유입부(132)는 제2 분할 몸체(131) 상부에 마련되어 제1 분할부(130)에서 낙하한 성형 가루(10)가 유입되는 개방된 부분이다. 제2 분할 배출부(133)는 제2 분할 몸체(131) 하부에 제2 공간(b)에 유입된 성형 가루(10)가 낙하 되도록 마련되되, 제1 분할 배출부(113)보다 많은 위치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제2 분할 배출부(133)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각각 마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 분할 배출부(133)는 제2 분할 몸체(131) 하부에 4방위로 각각의 구멍을 형성하여 마련할 수 있다. 제2 분할 벽체(134)는 각각의 제2 분할 배출부(133) 사이에 제2 공간(b)을 사등분으로 분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분할 벽체(134)는 제2 분할 몸체(131)의 바닥 면을 돌출시킨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분할 벽체(134)는 제2 분할 배출부(133)가 마련된 네 곳의 사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분할 벽체(134)는 제2 분할 몸체(131)의 제2 공간(b)을 네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한편, 제2 분할 벽체(134)는 제2 분할 몸체(131)의 바닥 면이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제2 분할부(130)는 도 6에서처럼 제1 분할부(110)에서 유입된 성형 가루(10)가 레이저 조사부(200)가 향하는 제2 분할부(130)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 분할부(130)는 제2 분할 배출부(133)에 의해서 레이저 조사부(200)를 중심으로 하는 네 곳의 위치로 성형 가루(10)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다른 일례에서의 분할 선택부(120)는 제1 분할부(110)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된 제2 분할부(130)의 분할된 제2 공간(b)에 성형 가루(10)를 골고루 유입시킬 수 있다.
한편, 분할 선택부(120)가 제2 분할부(130)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경우에는 분할 배출되는 성형 가루(10)의 배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제1 분할부(110)에서 유입되는 성형 가루(10)를 제2 공간(b)에 골고루 또는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은 성형 가루(10)가 제1 분할부(110)를 통해서 두 개의 방향으로 배출될 때, 분할 선택부(120)의 작동이 멈추면 제2 분할부(130)의 사등분 된 제2 공간(b)의 두 개 공간에 성형 가루(10)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분할 선택부(120)의 제어를 통해서 성형 가루(10)가 배출되는 방향 또는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성형 가루(10)가 배출되는 방향 또는 위치가 많을수록 성형 대상물(1)에 쌓이는 성형 가루(10)의 높이가 낮고, 성형 가루(10)가 배출되는 방향 또는 위치가 적을수록 성형 대상물(1)에 쌓이는 성형 가루(10)의 높이가 높아진다. 즉, 성형에 사용되는 성형 가루(10)의 양을 조절하지 않고도 성형 대상물(1)에 쌓이는 성형 가루(1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다른 일례에서 개시된 가루 배출부(100)는 가루 공급부(300)에서 공급된 정량의 성형 가루(10)를 제1 분할부(110)와 제2 분할부(130)를 통해서 레이저 조사부(200)가 향하는 성형 위치를 중심으로 더욱 분할하여 배출한다. 분할 배출된 성형 가루(10)는 도 6에서처럼 레이저 조사부(200)가 향하는 성형 위치에 상부 면이 더 고른 상태의 성형 가루(10)를 형성시켜 레이저 성형의 정확도를 더욱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가루 배출부(100)는 제3 분할부(미도시) 제4분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분할부(130) 이후에 추가되는 제3 분할부(미도시) 등은 분할 배출부(미도시)의 개수가 늘어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분할부가 늘어날수록 파우더가 배출되는 위치가 더욱 많아지면서 성형 위치에 싸이는 성형 가루(10)의 상부 면이 더더욱 고른 상태가 될 수 있다.
레이저 조사부(200)는 금속을 성형할 수 있는 통상의 레이저로 마련된다. 레이저 조사부(200)는 가루 배출부(100)의 중심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레이저 조사부(200)는 성형 대상물(1)의 표면으로 배출된 성형 가루(10)를 용융시켜 특정 형상을 성형한다.
가루 공급부(300)는 가루 배출부(100)에 성형 가루(10)를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가루 공급부(300)는 크게 성형 가루(10)가 보관된 보관부(310)와 공급 단속부(320) 및 공급 구동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한 일례로, 보관부(310)는 성형 가루(10)가 보관된 통상의 함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관부(310)는 공급 단속부(320)와 연결되어 성형 가루(10)가 공급 단속부(320)로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마련된다. 보관부(310)와 공급 단속부(320)의 연결은 통상의 호스로 마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한 일례로, 공급 단속부(320)는 보관된 성형 가루(10)가 유입되어 머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급 단속부(320)는 외부의 힘에 의해서 성형 가루(10)가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공급 단속부(320)는 크게 유입 통로(321)와 단속 통로(322) 및 공급 통로(323)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 통로(321)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마련될 수 있다. 유입 통로(321)는 보관부(310)에서 자연스럽게 유입된 성형 가루(10)가 유입 통로(321)로 채워지게 된다.
단속 통로(322)는 유입 통로(321)의 하부와 연결되되, 횡 방향 상부로 기울어진 통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단속 통로(322)는 유입 통로(321)와 함께 'ㄴ'자 형태로 형성되되 횡 방향의 끝 단이 상부로 올라간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다. 단속 통로(322)는 유입 통로(321)로 유입된 성형 가루(10)가 체류할 수 있도록 끝 단이 상부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된 것이다.
한편, 단속 통로(322)는 중앙 부분이 유입 통로(321)와 연결되되, 횡 방향의 양끝이 상부로 기울어지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단속 통로(322)의 다면이 'V'자 모양이 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공급 통로(323)는 단속 통로(322)와 연결되어 하부를 향하는 통로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급 통로(323)는 단속 통로(322)를 지난 성형 가루(10)의 이동을 유도한다.
한편, 공급 통로(323)는 'V'자 모양의 단속 통로(322)의 양끝에 각각 연결되어 하부에서 합쳐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공급 통로(323)는 'V'자 모양이 되도록 마련된 것이다.
상기 일례에 개시된 공급 단속부(320)는 공급부(310)에서 유입된 성형 가루(10)가 단속부(320)에 체류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성형 가루(10)는 유입 통로(321)와 단속 통로(322)에 체류한다. 체류하는 성형 가루(10)는 외부의 힘이 작용되어야만 공급 통로(323)로 유입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도 8을 참조한 일례로, 공급 구동부(330)는 공급 단속부(320)를 이동시키되, 상부와 하부를 향하여 반복적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공급 구동부(330)는 크게 통상의 모터(331)와 통상의 크랭크(332) 및 모터 제어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331)는 펄스 제어가 가능한 통상의 사보모터로 마련될 수 있다.
크랭크(332)는 모터(331)의 회전력으로 공급 단속부(320)를 상부와 하부로 반복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한 모터 제어부(333)는 모터(331)의 샤프트가 회전하는 각(360°)을 특정 각으로 구분하여 별도의 속도록 회전되도록 마련된다. 모터 제어부(333)는 공급 단속부(320)가 왕복 이동되는 과정에서의 상기 모터(331)의 동작 속도를 1회 증가시키고 다시 1회 감소시키는 제어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왕복 이동은 공급 단속부(320)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된 후, 다시 하부로 또는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된 후, 다시 상부로 이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모터 제어부(333)는 공급 단속부(320)가 하단에서 상단으로, 다시 하단으로 이동하는 한 번의 이동 중에 속도를 증가시키는 구간과 다시 원래의 속도로 감소시키는 구간을 구현하는 것이다.
한편, 모터 제어부(333)는 크랭크(332)와 샤프트 사이에 기어로 연동하도록 함으로써 샤프트의 회전 수 제어로 대체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속도 제어의 횟수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일례에 따른 공급 구동부(330)는 성형 가루(10)가 체류 된 공급 단속부(320)를 상부와 하부로 이동시켜 관성을 형성시킨다. 공급 구동부(330)에 의해서 공급 단속부(320)가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의 이동 방향이 역전될 때에 체류중인 성형 가루(10)가 급격한 이동이 발생하여 공급 단속부(320)의 단속 통로(322)에 체류하면서 뭉친 성형 가루(10)가 흩어지면서 단속 통로(322)를 넘어 공급 통로(323)로 이동된다. 더욱이 모터 제어부(333)에 의해서 공급 단속부(320)가 하부에서 상부로, 다시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과정의 속도가 변화를 가함으로써 불규칙한 관성을 제공한다. 불규칙한 관성에 의해서 뭉친 성형 가루(10)의 흩어지는 현상이 증대되어 규칙적인 관성에 의한 성형 가루(10)의 적응을 억제할 수 있다. 성형 가루(10)의 적응은 규칙적인 힘에 영향을 받는 성형 가루(10)가 그 규칙에 적응되어 성형 가루(10)가 흩어지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
한편, 모터 제어부(333)의 제어주기는 도 9에서처럼 공급 단속부(320)가 왕복 이동되는 과정의 전체 거리 중에서 소정의 거리만큼을 제외한 거리만큼 공급 단속부(320)가 이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주기는 공급 단속부(320)가 왕복 이동되는 전체거리의 70%~99%의 거리만큼만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례로, 공급 단속부(320)가 상부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5mm이고 다시 하부로 이동되는 거리가 5mm 총 1cm의 거리라면, 모터 제어부(333)는 7mm~9.9mm만큼 공급 단속부(320)를 제어주기에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공급 단속부(320)는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한 후, 다시 하부로 이동하되 2mm~4.9mm 이동되고, 다시 새로운 제어주기에 따라서 2mm~4.9mm 지점에서 다시 이동이 시작되는 것이다. 이러한 모터 제어부(333)는 공급 단속부(320)의 이동을 더욱 불규칙하게 함으로써, 성형 가루(10)의 흩어짐을 지속시킬 수 있다.
한편, 한 번의 제어주기가 끝난 후, 다시 시작하는 새로운 제어주기의 이동 방향은 역방향이 될 수도 있다. 제어주기의 시작 방향을 불규칙하게 설정할 수 도 있다.
한편, 제어주기는 공급 단속부(320)가 왕복 이동되는 전체거리의 1%~30%의 거리만큼만 더 이동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제어주기 이후에 소정의 시간 동안 등속주행하고 그 이후에 제어주기가 시작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된 가루 공급부(300)는 제어주기를 통해서 배출된 성형 가루(10)의 양을 통해서 가루 배출부(100)로 공급하는 성형 가루(10)의 정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가루 공급부(300)는 공급 단속부(320)에 의해서 횡 방향의 외부 충격 또는 흔들림으로부터 성형 가루(10)가 잘못 배출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성형 검사부(400)는 레이저 조사부(200)를 통해서 용융되어 성형되는 성형 가루(10)의 성형 높이를 측정하도록 마련된다.
도 10을 참조한 일례로, 성형 검사부(400)는 크게 영상 촬영부(410)와 제1 반사부(420), 제2 반사부(430) 및 영상 분석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영상 촬영부(410)는 통상의 카메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일례에 따른 영상 촬영부(410)는 하나의 카메라로 마련된다.
일례로, 제1 반사부(420)는 통상의 거울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반사부(420)는 레이저 조사부(200)가 향하는 성형 지점의 모습을 적어도 두 방향에서 각각 획득하여 한 곳을 향해서 반사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 반사부(420)는 레이저 조사부(200)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에 거울을 각각 배치할 수 있다. 거울은 성형 지점의 영상이 맺히되 한 지점에서 각각의 거울에 맺힌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반사부(420)는 서로 다른 방향의 성형 지점의 모습을 한곳으로 반사시키는 것이다.
일례로, 제2 반사부(420)는 제1 반사부(420)가 향하는 한 곳에 제1 반사부(420)에 맺힌 성형 지점의 모습을 각각 맺히도록 두 개의 또 다른 통상의 거울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반사부(420)는 각각의 성형 지점의 모습이 영상 촬영부(410)로 반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반사부(420)는 각각의 거울은 하나의 영상 촬영부(410)에 의해서 두 방향의 성형 지점이 촬영될 수 있도록 단면의 형상이 '^'자가 되도록 한다. 제2 반사부(420)의 상부 면의 좌측과 우측의 기울어진 각각의 면으로 제1 반사부(420)를 통해서 반사되는 각각의 영상이 각각 맺히는 것이다.
일례로, 영상 분석부(440)는 통상의 영상분석 시스템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영상 분석부(440)는 영상 촬영부(410)에서 획득된 각각의 영상을 분석하여 성형 높이를 산출하여, 성형 상태를 검사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성형 검사부(400)를 통해서 성형 지점의 다양한 방향의 영상을 하나의 카메라로 획득할 수 있는바,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서 다양한 시점의 성형 지점을 분석할 수 있음으로써 더욱 빠르고 정확한 레이저 성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a : 제1 공간
b : 제2 공간
1 : 성형 대상물
10 : 성형 가루
100 : 가루 배출부
110 : 제1 분할부
111 : 제1 분할 몸체
112 : 제1 분할 유입부
113 : 제1 분할 배출부
114 : 제1 분할 벽체
120 : 분할 선택부
130 : 제2 분할부
131 : 제2 분할 몸체
132 : 제2 분할 유입부
133 : 제2 분할 배출부
134 : 제2 분할 벽체
200 : 레이저 조사부
300 : 가루 공급부
310 : 보관부
320 : 공급 단속부
321 : 유입 통로
322 : 단속 통로
323 : 공급 통로
330 : 공급 구동부
331 : 모터
332 : 크랭크
333 : 모터 제어부
400 : 성형 검사부
410 : 영상 촬영부
420 : 제1 반사부
430 : 제2 반사부
440 : 영상 분석부

Claims (11)

  1. 레이저 성형 장치에 있어서,
    성형 대상물(1)에 성형 가루(10)를 배출하는 가루 배출부(100);
    상기 배출된 성형 가루(10)에 에너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200);
    상기 가루 배출부(100)에 성형 가루(10)를 공급하는 가루 공급부(300); 및
    상기 레이저 조사부(200)에 의한 성형 상태를 검사하는 성형 검사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가루 배출부(100)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200)의 측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상기 성형 가루(10)가 유입되어 적어도 두 개의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 분할부(110); 및
    상기 레이저 조사부(200)를 축으로 상기 제1 분할부(110)를 회전시키는 분할 선택부(120);를 포함하여 상기 성형 가루(10)가 상기 에너지가 조사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배출되고,
    상기 제1 분할부(110)는
    상기 성형 가루(10)가 보관될 수 있는 제1 공간(a)을 포함하는 링 형태의 제1 분할 몸체(111);
    상기 제1 분할 몸체(111)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성형 가루(10)가 유입되는 제1 분할 유입부(112);
    상기 제1 분할 몸체(111) 하부에 상기 유입된 성형 가루(10)가 낙하 되도록 마련되되, 적어도 두 개의 위치에 각각 마련된 제1 분할 배출부(113); 및
    상기 각각의 제1 분할 배출부(113) 사이에 상기 제1 공간(a)을 분할하는 제1 분할 벽체(114);
    를 포함하는 레이저 성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검사부(400)는
    하나의 영상 촬영부(410);
    상기 레이저 조사부(200)가 향하는 성형 지점의 모습을 적어도 두 방향에서 각각 획득하여 한 곳을 향해서 반사시키는 제1 반사부(420);
    상기 제1 반사부(420)가 향하는 상기 한 곳에 상기 반사된 성형 지점의 모습이 각각 맺히도록 하되, 상기 각각의 성형 지점의 모습이 상기 영상 촬영부(410)로 반사되도록 하는 제2 반사부(430); 및
    상기 영상 촬영부(410)에서 획득된 각각의 영상을 분석하여 성형 상태를 검사하는 영상 분석부(440);
    를 포함하는 레이저 성형 장치.
  3. 삭제
  4. 삭제
  5. 레이저 성형 장치에 있어서,
    성형 대상물(1)에 성형 가루(10)를 배출하는 가루 배출부(100);
    상기 배출된 성형 가루(10)에 에너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200);
    상기 가루 배출부(100)에 성형 가루(10)를 공급하는 가루 공급부(300); 및
    상기 레이저 조사부(200)에 의한 성형 상태를 검사하는 성형 검사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가루 배출부(100)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200)의 측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상기 성형 가루(10)가 유입되어 적어도 두 개의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 분할부(110); 및
    상기 레이저 조사부(200)를 축으로 상기 제1 분할부(110)를 회전시키는 분할 선택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가루 배출부(100)는 제2 분할부(1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분할 선택부(120)는 상기 제1 분할부(110) 또는 상기 제2 분할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며,
    상기 제2 분할부(130)는
    상기 성형 가루(10)가 보관되는 제2 공간(b)을 포함하는 링 형태의 제2 분할 몸체(131);
    상기 제2 분할 몸체(131) 상부에 마련되어 제1 분할부(130)에서 낙하한 상기 성형 가루(10)가 유입되는 제2 분할 유입부(132);
    상기 제2 분할 몸체(131) 하부에 상기 제2 공간(b)에 유입된 상기 성형 가루(10)가 낙하 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1 분할 배출부(113)보다 많은 위치에 각각 마련된 제2 분할 배출부(133); 및
    상기 각각의 제2 분할 배출부(133) 사이에 상기 제2 공간(b)을 분할하는 제2 분할 벽체(134);
    를 포함하는 레이저 성형 장치.
  6. 레이저 성형 장치에 있어서,
    성형 대상물(1)에 성형 가루(10)를 배출하는 가루 배출부(100);
    상기 배출된 성형 가루(10)에 에너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200);
    상기 가루 배출부(100)에 성형 가루(10)를 공급하는 가루 공급부(300); 및
    상기 레이저 조사부(200)에 의한 성형 상태를 검사하는 성형 검사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가루 공급부(300)는
    상기 성형 가루(10)가 보관된 보관부(310);
    상기 보관된 성형 가루(10)가 유입되어 머물 수 있도록 마련되되, 외부의 힘에 의해서 성형 가루(10)가 배출되도록 하는 공급 단속부(320); 및
    상기 공급 단속부(320)를 이동시키되, 상부와 하부를 향하여 반복적으로 이동시키는 공급 구동부(330);
    를 포함하는 레이저 성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단속부(320)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마련되되, 상기 성형 가루(10)가 유입되는 유입 통로(321);
    상기 유입 통로(321)의 하부와 연결되되, 횡 방향 상부로 기울어진 단속 통로(322); 및
    상기 단속 통로(322)와 연결되어 하부를 향하는 공급 통로(323);
    를 포함하는 레이저 성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 통로(322)는 중앙 부분이 상기 유입 통로(321)와 연결되되, 횡 방향의 양 끝이 상부로 기울어지고,
    상기 공급 통로(323)는 상기 단속 통로(322)의 양끝에 연결되어 하부를 향하는 것을 포함하는 레이저 성형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구동부(330)는 상기 공급 단속부(320)가 왕복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급 단속부(320)의 이동 속도가 증가시키고 다시 감소시키는 제어주기(20)를 포함하는 레이저 성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주기(20)는 상기 공급 단속부(320)가 왕복 이동되는 과정의 전체 거리 중에서 소정의 거리를 제외 또는 추가한 만큼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레이저 성형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구동부(330)는
    모터(331);
    상기 모터(331)의 회전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크랭크(332); 및
    상기 공급 단속부(320)가 왕복 이동되는 과정에서의 상기 모터(331)의 동작 속도를 증가시키고 다시 감소시키는 제어주기(20)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333); 를 포함하되,
    상기 공급 단속부(320)가 왕복 이동되는 과정의 전체 거리 중에서 소정의 거리를 제외 또는 추가한 만큼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레이저 성형 장치.
KR1020190135457A 2019-10-29 2019-10-29 레이저 성형 장치 KR102224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457A KR102224037B1 (ko) 2019-10-29 2019-10-29 레이저 성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457A KR102224037B1 (ko) 2019-10-29 2019-10-29 레이저 성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037B1 true KR102224037B1 (ko) 2021-03-08

Family

ID=75185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457A KR102224037B1 (ko) 2019-10-29 2019-10-29 레이저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0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6164A (ja) * 2014-03-31 2015-11-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三次元積層装置及び三次元積層方法
KR20160024197A (ko) * 2014-08-25 2016-03-04 한국원자력연구원 3d 레이저 프린팅용 파우더 공급노즐
KR20180029789A (ko) * 2016-09-13 2018-03-21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3차원 프린터, 3차원 프린터용 검사 장치, 및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대상체의 검사 및 불량 정정 방법
KR20190120131A (ko) * 2019-10-16 2019-10-23 주식회사 엘지화학 3차원 금속 프린터를 이용한 비정질 금속 제조 장치 및 이에 제조되는 비정질 금속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6164A (ja) * 2014-03-31 2015-11-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三次元積層装置及び三次元積層方法
KR20160024197A (ko) * 2014-08-25 2016-03-04 한국원자력연구원 3d 레이저 프린팅용 파우더 공급노즐
KR20180029789A (ko) * 2016-09-13 2018-03-21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3차원 프린터, 3차원 프린터용 검사 장치, 및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대상체의 검사 및 불량 정정 방법
KR20190120131A (ko) * 2019-10-16 2019-10-23 주식회사 엘지화학 3차원 금속 프린터를 이용한 비정질 금속 제조 장치 및 이에 제조되는 비정질 금속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6593B1 (ja) 積層造形装置
US11806810B2 (en) Shaping apparatus and shaping method
US11161202B2 (en) Shaping apparatus and shaping method
KR102051265B1 (ko) 3차원 금속 프린터를 이용한 비정질 금속 제조 장치 및 이에 제조되는 비정질 금속
JP2013532592A (ja) 三次元部品の製造方法
JP7061093B2 (ja) 造形装置及び造形方法
JP6935355B2 (ja) 造形装置及び造形方法
JP6765569B1 (ja) 積層造形装置、積層造形方法、および積層造形プログラム
KR20170097420A (ko) 3차원 금속 프린터를 이용한 비정질 금속 제조 장치 및 이에 제조되는 비정질 금속
KR102224037B1 (ko) 레이저 성형 장치
US10557704B2 (en) Non-destructive detection method
JP6964801B2 (ja) 積層造形装置
KR102224016B1 (ko) 레이저 성형 장치
EP3508332A1 (en) 3d printer with cooling function
CN114630721B (zh) 层叠造形装置
KR102377408B1 (ko) 레이저 성형 장치
JP2022106693A (ja) 造形装置及び造形方法
US20240116112A1 (en) Laser shaping device
KR102411399B1 (ko) 레이저 성형 장치용 파우더 공급 관리 장치
JP6886423B2 (ja) 造形装置及び造形方法
KR102518407B1 (ko) 레이저 성형 장치용 파우더 공급 호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