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913B1 - 음료 제조기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913B1
KR102223913B1 KR1020170067036A KR20170067036A KR102223913B1 KR 102223913 B1 KR102223913 B1 KR 102223913B1 KR 1020170067036 A KR1020170067036 A KR 1020170067036A KR 20170067036 A KR20170067036 A KR 20170067036A KR 102223913 B1 KR102223913 B1 KR 102223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low path
fermentation
beverag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0878A (ko
Inventor
홍진표
김용범
이대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7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913B1/ko
Priority to US16/614,849 priority patent/US11629316B2/en
Priority to PCT/KR2018/005679 priority patent/WO2018216957A2/ko
Priority to EP18805080.1A priority patent/EP3633019A4/en
Publication of KR20180130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C12C13/10Home brew equip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베이스; 개구부가 형성된 발효조 모듈과, 개구부를 개폐하는 발효 리드를 포함하는 발효 모듈; 발효조 모듈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 발효 모듈에 연결되는 유로모듈; 및 베이스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유로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장착된 메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제조기{BAVERAGE MAKER}
본 발명은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효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는 술이나 차 등의 음용 가능한 액체를 총칭한다. 예컨대, 음료는 갈증을 해결하기 위한 물(음료수), 독특한 향과 맛을 갖는 과즙음료, 청량감을 주는 청량음료, 각성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호음료, 또는 알코올 효과가 있는 알코올 음료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음료의 대표적인 예로서 맥주가 있다. 맥주는 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麥芽. 엿기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소비자는 맥주제조회사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기성품을 구입하거나 가정 또는 술집에서 맥주의 재료를 직접 발효시킨 하우스맥주(또는 수제맥주)를 음용할 수 있다.
하우스맥주는 기성품보다 다양한 종류로 제조될 수 있고, 소비자 취향에 맞게 제조될 수 있다.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 홉(hop), 이스트, 향 첨가제 등 일 수 있다.
이스트는 효모라 불릴 수 있고, 맥아에 첨가되어 맥아를 발효시킬 수 있고 알코올과 탄산을 생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향 첨가제는 과일이나 시럽, vanilla beans와 같이 맥주의 맛을 높이는 첨가물이다.
통상적으로 하우스 맥주는 맥즙생성단계, 발효단계, 숙성단계의 총 3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맥즙생성단계에서 숙성단계까지 2주에서 3주 정도 소요될 수 있다.
하우스 맥주는 발효 단계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간편하게 제조될수록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가정이나 술집에서 손쉽게 하우스 맥주를 제조할 수 있는 음료 제조기가 점차 사용되는 추세이고, 이러한 음료 제조기는 안전하고 간편하게 맥주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R 20-0319526 U(2003년07월12일 공고) KR 10-2016-0018206 A(2016년02월17일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발효 음료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컴팩트한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베이스; 개구부가 형성된 발효조 모듈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발효 리드를 포함하는 발효 모듈; 상기 발효조 모듈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 상기 발효 모듈에 연결되는 유로모듈; 및 상기 베이스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유로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장착된 메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모듈은, 상기 발효 모듈에 물을 공급가능한 급수 유로모듈; 상기 급수 유로모듈과 상기 발효 모듈을 연결하는 메인 유로; 및 상기 메인유로에 설치된 메인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상기 메인 밸브가 장착되는 메인유로 밸브 장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상기 메인유로에 연결되고 재료 수용부가 형성된 디스펜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유로는, 물의 유동 방향으로 상기 디스펜서 이전에 위치하는 제1메인유로; 물의 유동 방향으로 상기 디스펜서 이후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 밸브가 설치된 제2메인유로; 및 상기 제1메인유로와 상기 제2메인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재료수용부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 모듈은,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유로 밸브 장착부에 장착되는 바이패스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디스펜서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로모듈은, 상기 디스펜서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펜서 입구유로; 및 상기 디스펜서 입구유로에 각각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상기 개폐밸브가 각각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밸브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상기 발효 모듈에 공기를 주입가능한 에어 주입펌프;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발효조 모듈로 삽입되어 수용된 음료 제조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모듈은, 상기 에어 주입펌프에서 펌핑된 공기를 상기 음료 제조팩과 상기 발효조 모듈 사이로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 공급유로; 및 상기 에어 공급유로에 설치된 에어공급 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상기 에어공급 개폐밸브가 장착되는 제1에어조절 밸브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모듈은, 상기 에어 공급유로에 연결된 배기유로; 및 상기 배기 유로에 설치된 배기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상기 배기 밸브가 장착되는 제2에어조절 밸브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모듈은, 상기 발효 모듈에 연결되고 가스가 취출되는 가스 취출유로; 및 상기 가스 취출유로에 연결된 가스 취출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상기 가스 취출밸브가 배치되고 배면이 개방된 가스 배출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상기 온도조절기 및 유로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상기 제어 모듈이 수용되고 배면이 개방된 제어모듈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유로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프레임 바디; 및 상기 프레임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발효 모듈에 접하는 발효모듈 접촉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모듈 접촉바디는, 상기 발효모듈과 접하고, 상기 발효모듈의 외둘레의 곡률과 동일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물이 저장된 수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수조를 상기 베이스와 이격되게 지지하는 수조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바디는 상기 발효모듈 및 수조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발효모듈 접촉바디와 상기 수조 서포터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발효모듈 접촉바디는 상기 프레임 바디의 양 측면 중 일 측면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수조 서포터는 상기 프레임 바디의 양 측면 중 타 측면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조 서포터는, 상기 수조가 올려지고, 상기 베이스와 상측으로 이격된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서 하방 연장되어 형성된 보강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상기 발효 모듈에 공기를 주입가능한 에어 주입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에어 주입펌프가 장착되는 에어 주입펌프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바디의 전면은, 상기 발효 모듈의 외둘레를 마주보는 제1곡면; 및 상기 제1곡면과 이격되고 상기 수조를 전후방향으로 마주보는 제2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베이스; 개구부가 형성된 발효조 모듈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발효 리드를 포함하는 발효 모듈;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발효 모듈 및 상기 수조에 연결되는 유로모듈; 및 상기 베이스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유로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장착된 메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발효 모듈의 외둘레를 전후방향으로 마주보는 제1곡면; 상기 제1곡면과 이격되고 상기 수조를 전후방향으로 마주보는 제2곡면; 및 상기 제1곡면과 상기 제2곡면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유로 모듈이 장착되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베이스; 개구부가 형성된 발효조 모듈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발효 리드를 포함하는 발효 모듈; 상기 발효조 모듈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 상기 발효 모듈에 연결되는 유로모듈; 및 상기 베이스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유로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장착된 메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 모듈은, 상기 발효 모듈에 물을 공급가능한 급수 유로모듈; 상기 급수 유로모듈과 상기 발효 모듈을 연결하는 메인 유로; 상기 메인유로에 설치된 메인 밸브; 상기 메인 유로에 연결되는 음료 취출유로; 및 상기 음료 취출유로에 설치된 서브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밸브 및 상기 서브 밸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조절기에 의해 발효조 어셈블리의 온도가 제어되어, 적절한 발효온도로 음료가 제조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로 모듈이 장착된 메인 프레임이 베이스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음료 제조기의 조립와 보수 유지를 위한 분해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로 모듈이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어, 유로 모듈의 장착 및 연결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은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이로써 제어 모듈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은 발효모듈 접촉바디를 포함하여 발효모듈의 장착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이로써 발효 모듈이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은 프레임 바디를 포함하고, 프레임 바디의 전면 중 발효 모듈과 수조를 마주보는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음료 제조기가 전후 방향으로 컴팩트해질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은 발효 모듈과 수조 사이에 배치된 디스펜서의 하측에 배치되어 음료 제조기가 상하 방향으로 컴팩트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료 제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메인 프레임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메인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메인 프레임에 복수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경우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메인 프레임에 복수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경우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음료 취출 밸브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제어 순서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음료로서 맥주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 가능한 음료의 종류가 맥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종류의 음료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모듈(1)을 포함할 수 있다. 발효 모듈(1)은 개구부(170)가 형성된 발효조 모듈(111)과, 개구부(170)를 개폐하는 발효 리드(10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 모듈(111)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 모듈(111)은 발효 케이스(160)와, 발효 케이스(160)에 수용되고 개구부(170)와 연통된 내부공간(S1)이 형성된 발효조(112)와, 발효 케이스(160)와 발효조(112) 사이에 위치하고 발효조(112)를 둘러싸는 단열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 모듈(111)은 발효 리드(107)가 안착되는 리드 안착바디(17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112)의 내부 공간(S1)은 음료가 제조되기 위한 공간일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된 유로모듈(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모듈(2)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와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모듈(2)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된 메인유로(4)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유로(4)는 발효조(112)의 공간(S1)으로 음료 제조에 필요한 물이나 각종 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유로모듈(2)은 메인유로(4)에 설치된 메인 밸브(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밸브(9)는 메인 유로(4)를 개폐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메인유로(4)에 연결되고 재료 수용부가 형성된 디스펜서(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 모듈(2)은 디스펜서(3)와 메인유로(4)를 연결하는 디스펜서 입구 유로모듈(3A) 및 디스펜서 출구 유로모듈(3B)를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51)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유로모듈(2)은 수조(51)에서 메인유로(4)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 유로모듈(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 모듈(2)은 음료를 외부로 취출하는 음료취출 유로모듈(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취출 유로모듈(6)은 메인유로(4)에 연결된 음료 취출유로(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112) 내부의 음료는 메인유로(4)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4)의 일부를 통과해 음료 취출유로(61)로 유동될 수 있다.
유로 모듈(2)은 발효 모듈(1)에 연결되는 가스배출 유로모듈(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배출 유로모듈(7)은 음료 제조팩(12)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발효조(112)의 내부 공간(S1)은 음료가 제조되는 음료 제조팩(12)이 수용되는 공간일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에어를 펌핑하는 에어주입 펌프(8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유로 모듈은 에어 주입펌프(82)와 연결되어 메인유로(4)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주입 유로모듈(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 모듈(2)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되는 에어조절 유로모듈(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조절 유로모듈(15)는 발효모듈(1)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발효모듈(1)의 공기를 배기할 수 있다.
발효 모듈(1)에는 메인유로 연결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유로 연결부(115)에는 메인유로(4)가 연결될 수 있다.
발효조(112)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발효조 모듈(111)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서, 발효조모듈(111)의 상측에 배치되어 개구부(170)를 덮을 수 있다. 발효 리드(107)에는 메인유로(4)와 연결되는 메인유로 연결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음료 재료 및 완성된 음료가 발효조(112)의 내벽에 뭍지 않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용기일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발효조(112)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발효조 모듈(111)의 내부에 안착되어 발효조 모듈(111) 내부에서 음료를 발효시킬 수 있고, 사용이 완료된 후, 발효조 모듈(11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내부에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가 수용된 팩일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의 내부에는 음료 재료가 수용되고 음료가 제조되는 음료 제조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는 발효조(112)의 내부 공간(S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는 내부에 재료가 수용된 상태에서 발효조 모듈(112)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발효조 모듈(111)의 개구부(170)가 개방된 상태에서, 발효조 모듈(111) 내부로 삽입되어 발효조 모듈(111)에 수용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음료 제조팩(12)이 발효조 모듈(111) 내부로 삽입된 후 발효조 모듈(111)의 개구부(170)를 덮을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발효조(112)와 발효 리드(107)에 의해 밀폐된 내부 공간(S1)에 수용된 상태에서 재료의 발효를 도울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는 음료의 제조가 진행되는 동안 그 내부의 압력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는 내부에 담겨있던 음료가 취출되고 발효조(112)와 음료 제조팩(12) 사이로 에어가 공급되면, 발효조(112) 내부의 에어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는 발효조 모듈(111)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발효조(112)는 발효 케이스(16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발효조(112)의 외둘레 및 저면은 발효 케이스(160)의 내면과 이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발효조(112)의 외둘레는 발효 케이스(160)의 내둘레와 이격될 수 있고, 발효조(112)의 외측 저면은 발효 케이스(160)의 내측 저면과 이격될 수 있다.
단열부(171)는 발효 케이스(160)와 발효조(1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단열부(171)는 발효 케이스(160) 내부에 위치하고 발효조(112)를 둘러쌀 수 있다. 이로써 발효조(112)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단열부(171)는 단열성능이 높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발포 폴리스티렌이나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 모듈(111)의 내부 온도를 변화시키는 온도 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온도 조절기는 발효조(112)의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온도조절기(11)는 발효조(112)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음료 발효를 위한 최적 온도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11)는 압축기(131)와, 응축기(132)와, 팽창기구(133)와, 증발기(134)를 갖는 냉동사이클 장치(13)를 포함할 수 있고, 응축기(132)와 증발기(134) 중 어느 하나는 발효조(112)에 배치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응축기(132)를 냉각시키는 송풍팬(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응축기(132)가 발효조(112)에 배치될 경우, 냉동사이클 장치(13)는 발효조(112)를 가열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응축기(132)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32)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긴 응축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134)가 발효조(112)에 배치될 경우, 냉동사이클 장치(13)는 발효조(112)를 냉각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기는 증발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와 단열부(171)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고, 단열부(171)에 의해 단열된 발효조(112)를 냉각할 수 있다.
증발기(134)가 발효조(112)에 배치될 경우, 온도조절기(11)는 발효조(112)를 가열시키는 히터(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1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되는 발열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히터(14)는 라인 히터(Line Heater)로 구성될 수 있고,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길 수 있다.
히터(14)는 증발기(134)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 중 상측 일부에 감길 수 있고, 히터(14)는 발효조(112)의 외면 중 하측 일부에 감길 수 있다. 이로써 발효조(112)의 내부에서 유체의 자연 대류가 발생할 수 있고 발효조(112) 및 음료 제조팩(12) 내부의 온도분포가 균일해질 수 있다.
냉동사이클 장치(13)는 히트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 장치(13)는 냉매유로 절환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유로 절환밸브는 사방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냉매유로 절환밸브는 압축기(131)의 흡입유로 및 압축기(131)의 토출유로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응축기(132)와 응축기 연결유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증발기(134)와 증발기 연결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냉매유로 절환밸브는 발효조(112)의 냉각시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132)로 안내함과 증발기(134)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131)로 안내할 수 있다.
냉매유로 절환밸브는 발효조(112)의 가열시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증발기(134)로 안내함과 아울러 응축기(132)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131)로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맥주를 제조하는 경우,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와,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디스펜서(3)와 음료 제조팩(12)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는 디스펜서(3)와 음료 제조팩(12)에 분산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에는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 중 일부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는 나머지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어 있던 나머지 재료는 급수 유로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함께 음료 제조팩(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 내에 수용되어 있던 일부 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에는 음료 제조에 필수적인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는 주재료에 첨가되는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펜서(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는 급수 유로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혼합되어 음료 제조팩(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되어 있던 주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된 주 재료는 타 재료 보다 용량이 많은 재료일 수 있다. 예컨대 맥주 제조의 경우, 상기 주 재료는 맥아, 이스트, 홉, 향 첨가제 중 맥아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펜서(3)에 수용된 첨가제는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 중 맥아를 제외한 타 재료일 수 있고,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디스펜서(3)를 포함하지 않고, 음료 제조팩(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음료 제조팩(12)에는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음료 제조팩(12)에 첨가제를 직접 투입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디스펜서(3)와 음료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할 경우, 보다간편하게 음료를 제조할 수 있고, 이하, 편의를 위해 디스펜서(3)와 음료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하는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디스펜서(3)와 음료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음료 제조팩(12) 내의 재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효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 내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는 메인유로 연결부(115)를 통해 메인유로(4)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4)에서 음료취출 유로모듈(6)로 유동되어 취출될 수 있다.
메인유로(4)는 일단이 급수 유로모듈(5)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발효모듈(1)에 형성된 메인유로 연결부(115)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유로(4)에는 에어 주입펌프(82)에서 펌핑된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주입 유로(81)가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메인유로(4)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유로(4)의 물이나 공기는 디스펜서(3)로 유입되어 디스펜서(3)를 흐를 수 있다.
디스펜서(3)에는 음료 제조에 필요한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급수 유로모듈(5)에서 공급된 물 또는 에어주입 유로모듈(8)에서 공급된 공기가 통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음료 제조기에서 제조되는 음료가 맥주인 경우,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재료는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재료는 디스펜서(3)에 형성된 재료 수용부에 직접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수용부는 디스펜서(3)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는 서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재료는 캡슐(C1)(C2)(C3) 내에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는 이러한 캡슐(C1)(C2)(C3)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 수용부(31)(32)(33)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가 캡슐(C1)(C2)(C3)에 수용될 경우, 디스펜서(3)는 캡슐(C1)(C2)(C3)의 안착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디스펜서(3)는 캡슐(C1)(C2)(C3)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킷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C1)(C2)(C3)에 담긴 재료는, 급수 유로모듈(5)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 또는 에어주입 유로모듈(8)에서 주입된 공기의 공압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재료가 수압에 의해 추출되는 경우, 급수 유로모듈(5)에서 메인유로(4)로 급수된 물은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C1)(C2)(C3)을 통과하면서 재료와 혼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C1)(C2)(C3)에 수용되어 있던 재료는 물과 함께 메인유로(4)로 유동될 수 있다.
반면 재료가 공압에 의해 추출되는 경우, 에어주입 유로모듈(8)에서 디스펜서(3)로 주입된 공기는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C1)(C2)(C3)을 통과하면서 재료를 밀어낼 수 있고,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C1)(C2)(C3)에 수용되어 있던 재료는 공기와 함께 메인유로(4)로 유동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종류가 상이한 다수의 첨가제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예컨대, 맥주의 제조 시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다수의 첨가제는 이스트와 홉과 향 첨가제일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 각각은 메인유로(4)와 디스펜서 입구 유로모듈(3A)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유로(4)와 디스펜서 출구 유로모듈(3B)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 각각은 메인유로(4)와 디스펜서 입구 유로모듈(3A)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유로(4)와 디스펜서 출구 유로모듈(3B)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3)의 재료 수용부와 디스펜서(3)의 캡슐 수용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재료가 캡슐에 수용된 상태에서 캡슐이 디스펜서(3)에 삽입되는 경우, 캡슐 수용부로 칭할 수 있으며, 재료가 캡슐에 담겨지지 않는 상태에서 디스펜서(3)에 직접 수용될 경우 재료 수용부로 칭할 수 있다. 재료 수용부와 캡슐 수용부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펜서(3)에 캡슐 수용부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디스펜서(3)는 첨가제가 수용된 캡슐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수용부(31)(32)(33)가 형성되고, 메인유로(4)와 디스펜서 입구 유로모듈(3A)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유로(4)와 디스펜서 출구 유로모듈(3B)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 입구 유로모듈(3A)은, 메인 유로(4)와 각 캡슐 수용부(31)(32)(33)를 연결하는 디스펜서 입구유로(301)(311)(321)(33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 입구 유로모듈(3A)은 디스펜서 입구유로(301)(311)(321)(331)에 설치된 개폐밸브(313)(323)(3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밸브(313)(323)(333)는 디스펜서 입구유로(301)(311)(321)(331)를 개폐할 수 있다.
디스펜서 출구 유로모듈(3B)은, 각 캡슐 수용부(31)(32)(33)와 메인 유로(4)를 연결하는 디스펜서 출구유로(301)(311)(321)(33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 출구 유로모듈(3B)은 디스펜서 출구유로(301)(311)(321)(331)에 설치된 체크밸브(314)(324)(3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314)(324)(334)는 물이나 에어가 디스펜서 출구유로(302)(312)(322)(332)를 통해 캡슐 수용부(31)(32)(33)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는 서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는 그 각각의 디스펜서 입구유로 및 그 각각의 디스펜서 출구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디스펜서(3)에는 제1첨가제와, 제2첨가제와, 제3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제1첨가제는 이스트일 수 있으며, 제2첨가제는 홉일 수 있으며, 제3첨가제는 향 첨가제일 수 있다.
디스펜서(3)는 제1첨가제가 수용된 제1캡슐(C1)이 수용되는 제1캡슐 수용부(31)와, 제2첨가제가 수용된 제2캡슐(C2)이 수용되는 제2캡슐 수용부(32)와, 제3첨가제가 수용된 제3캡슐(C3)이 수용되는 제3캡슐 수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캡슐 수용부(31)에는 제1캡슐 수용부(31)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가 연결될 수 있고, 제1캡슐 수용부(31)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1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에는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를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31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에는 제1캡슐 수용부(31)의 유체가 메인유로(4)로 유동되게 하면서 유체가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를 통해 제1캡슐 수용부(31)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1체크밸브(31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1캡슐 수용부(31)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1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
제2캡슐 수용부(32)에는 제2캡슐 수용부(32)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2디스펜서 입구유로(321)가 연결될 수 있고, 제2캡슐 수용부(32)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2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에는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를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323)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에는 제2캡슐 수용부(32)의 유체가 메인유로(4)로 유동되게 하면서 유체가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를 통해 제2캡슐 수용부(32)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2체크밸브(32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2캡슐 수용부(32)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2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
제3캡슐 수용부(33)에는 제3캡슐 수용부(33)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3디스펜서 입구유로(331)가 연결될 수 있고, 제3캡슐 수용부(33)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3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가 연결될 수 있다.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에는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를 개폐하는 제3개폐밸브(333)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에는 제3캡슐 수용부(33)의 유체가 메인유로(4)로 유동되게 하면서 유체가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를 통해 제3캡슐 수용부(33)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3체크밸브(33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3캡슐 수용부(33)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3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
음료 제조기가 디스펜서(3)를 포함할 경우, 메인유로(4)는 물이나 공기 유동 방향으로 디스펜서(3) 이전에 위치하는 제1메인유로(4A)와, 물이나 공기 유동 방향으로 디스펜서(3) 이후에 위치하는 제2메인유로(4B)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유로(4)는 제1메인유로(4A)와 제2메인유로(4B)를 연결하고 물이나 공기가 디스펜서(3)의 재료수용부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유로(4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4C)는 디스팬서의 캡슐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메인유로(4A)는 급수 유로모듈(5)에 연결될 수 있고, 제2메인유로(4B)는 발효모듈(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바이패스 유로(4C)는 이러한 제1메인유로(4A)와 제2메인유로(4B)를 연결하면서 물이나 공기가 디스펜서(3)를 바이패스하게 구성될 수 있다.
메인유로(4)는, 음료 제조기가 디스펜서(3)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하나의 유로로 구성될 수 있고, 음료 제조기가 디스펜서(3)를 포함할 경우 제1메인유로(4A)와, 제2메인유로(4B)와, 바이패스유로(4C)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유로(4C)는 제1캡슐 수용부(31)의 유로와, 제2캡슐 수용부(32)의 유로와, 제3캡슐 수용부(33)의 유로 각각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유로 모듈(2)은 바이패스유로(4C)에 설치되고 바이패스유로(4C)를 개폐하는 바이패스 밸브(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메인유로(4A)는 공통 디스펜서 입구유로(301) 및 바이패스 유로(4C)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공통 디스펜서 입구유로(301)는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와,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와,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공통 디스펜서 입구유로(301)는 제1메인유로(4A)에 연결된 공통관과, 공통관에서 분지되어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 및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분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메인유로(4B)는 공통 디스펜서 출구유로(302) 및 바이패스 유로(4C)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공통 디스펜서 출구유로(302)는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와,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와,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공통 디스펜서 출구유로(302)는 제2메인유로(4B)에 연결된 공통관과,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 및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를 공통관과 연결하는 다수의 합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메인유로(4A)로 급수된 물이나 공기는 바이패스 밸브(35)의 클로즈시 캡슐 수용부(31)(32)(33)을 통과하여 바이패스유로(4C)를 바이패스할 수 있고, 제2메인유로(4B)로 유동될 수 있다.
반대로, 제1메인유로(4A)로 공급된 물이나 공기는 개폐밸브(311)(321)(331)의 클로즈시, 바이패스유로(4C)를 통과하여 캡슐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할 수 있고, 제2메인유로(4B)로 유동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수조(51)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펌프(52) 및 급수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히터(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유로모듈(5)은 수조(51)와 급수펌프(52)를 연결하는 수조 출수유로(54)와, 급수펌프(52)와 메인유로(4)를 연결하는 급수펌프 출수유로(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히터(53)는 급수펌프 출수유로(55)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급수 유로모듈(5)은 급수펌프 출수유로(55)에 설치되어 급수펌프(52)로 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급수 체크밸브(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펌프 출수유로(55)에는 급수펌프 출수유로(55)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56)가 설치될 수 있다. 플로우 미터(56)는 물의 유동방향을 따라 급수 체크밸브(59)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급수히터(53)는 몰드 히터일 수 있고, 그 내부에는 급수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이 통과하는 히터 케이스와, 히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히터 케이스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는 발열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는 온도가 높을 경우 회로가 차단되어 급수히터(53)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써멀 퓨즈(58, Thermal fuse)가 설치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급수히터(53)를 통과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써미스터(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써미스터(57)는 급수 히터(53)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써미스터(57)는 급수펌프 출수유로(55) 중 물의 유동방향을 따라 급수 히터(53)의 이후에 위치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써미스터(57)가 제1메인유로(4A)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급수펌프(52)의 구동시, 수조(51)의 물은 수조 출수유로(54), 급수펌프(52), 급수펌프 출수유로(55)를 통해 급수히터(53)로 안내될 수 있고, 급수히터(53)로 안내된 물은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된 후 메인유로(4)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수조(51)와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급수 유로모듈(5)은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되거나 수도꼭지에 별도의 연결호스로 연결되어 물을 메인유로(4)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료 제조기는 수조(51)와 급수펌프(52)를 포함하지 않고, 급수히터(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급수 유로모듈(5)은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되거나 수도꼭지에 별도의 연결호스로 연결되어 물을 메인유로(4)로 안내하고 급수히터(53)는 급수 유로모듈(5)을 통과하는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음료취출 유로모듈(6)는 메인유로(4)에 연결될 수 있다. 음료취출 유로모듈(6)은 메인유로(4)에 연결되어 메인유로(4)의 음료가 안내되는 음료 취출유로(61)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취출 유로모듈(6)는 음료 취출유로(61)에 연결된 음료 취출밸브(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유로(61)는 메인유로(4) 중 급수 유로모듈(5)과 발효 모듈(1)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취출유로(61)는 메인유로(4) 중 디스펜서(3)와 발효 모듈(1)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취출유로(61)는 제2메인유로(4B)에 연결될 수 잇다.
음료 취출유로(61)에는 거품차단부(63, Anti-Foaming path)가 구비될 수 있고, 메인유로(4)에서 음료 취출유로(61)로 유동된 음료의 거품은 거품차단 패스를 통과하면서 최소화될 수 있다. 거품차단부(63)에는 거품이 걸러지는 메쉬(Mesh)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2)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레버(620)와,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630; Micro Switch, 도 9 참조)를 갖는 탭 밸브(Tap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배출 유로모듈(7)은 발효 모듈(1)에 연결된 가스 취출유로(71)와, 가스 취출유로(71)에 설치된 압력 센서(72)와, 가스 취출유로(71)에 가스 취출방향으로 압력 센서(72) 이후에 연결된 가스 취출밸브(7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취출유로(71)는 발효 모듈(1) 특히, 발효 리드(107)에 연결될 수 있다. 발효 모듈(1)에는 가스 취출유로(71)가 연결되는 가스 취출유로 연결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 가스 취출유로 연결부(121)는 발효 리드(107)에 구비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 내의 가스는 가스 취출유로 연결부(121)를 통해 가스 취출유로(71) 및 압력센서(72)로 유동될 수 있다. 압력 센서(72)는 음료 제조팩(12) 내에서 가스 취출유로 연결부(121)를 통해 가스 취출유로(71)로 유출된 가스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가스 취출밸브(73)는 에어주입 유로모듈(8)에 의해 음료 제조팩(12)의 내부로 에어가 주입될 때 온되어 오픈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팩(12)으로 에어를 주입하여 맥아와 물을 고르게 혼합하게 할 수 있고, 이때, 액상 맥아에서 발생된 기포는 음료 제조팩(12)의 상부에서 가스 취출유로(71) 및 가스 취출밸브(7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스 취출밸브(73)는 발효공정 도중의 발효도 감지를 위해 온되어 오픈된 후 다시 오프되어 클로즈될 수 있다.
가스배출 유로모듈(7)은 가스 취출유로(71)에 연결된 가스배출 릴리프밸브(75, Relief val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배출 릴리프밸브(75)는 가스 취출유로(71) 중 가스 배출 방향으로 압력 센서(72) 이후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주입 유로모듈(8)은 메인유로(4)에 연결되어 메인유로(4)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에어주입 유로모듈(8)은 물 유동방향으로 디스펜서(3) 이전에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메인유로(4)를 통해 디스펜서(3)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에어 주입 유로모듈(8)은 제1메인유로(4A)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주입 유로모듈(8)에서 메인유로(4)로 주입된 에어는 디스펜서(3)를 통과한 후 음료 제조팩(12)로 주입될 수 있다. 에어주입 유로모듈(8)에서 메인유로(4)로 주입된 에어는 디스펜서(3)를 바이패스하여 음료 제조팩(12)에 주입될 수 있다.
에어주입 유로모듈(8)은 메인유로(4)를 통해 캡슐 수용부(31)(32)(33)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고, 캡슐(C1)(C2)(C3) 또는 캡슐 수용부(31)(32)(33) 내의 잔수나 찌꺼기는 에어주입 유로모듈(8)에 의해 주입된 에어에 의해 메인유로(4)로 유동될 수 있다. 캡슐(C1)(C2)(C3) 및 캡슐 수용부(31)(32)(33)는 에어주입 유로모듈(8)에 의해 주입된 에어에 의해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에어주입 유로모듈(8)은 에어 주입펌프(82)와 메인유로(4)를 연결하는 에어 주입유로(81)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는 에어 주입유로(81)로 공기를 펌핑할 수 있다.
에어 주입유로(81)는 물 유동방향으로 급수 유로모듈(5)과 디스펜서(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주입유로(81)는 메인유로(4) 중 제1메인유로(4A)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주입 유로모듈(8)은 급수 유로모듈(5)에서 메인유로(4)로 안내된 물이 에어 주입유로(81)를 통해 에어 주입펌프(82)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에어주입 체크밸브(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주입 체크밸브(83)는 에어 주입방향으로 에어 주입펌프(82)의 이후에 설치될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의 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에어 주입펌프(82)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에어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 주입유로(81)는 메인유로(4)에 연결된 공통관과, 상기 복수의 에어 펌프를 각각 상기 공통관에 연결하는 복수의 합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유로 모듈(2)은 메인유로(4)를 개폐하는 메인밸브(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로 모듈(2)은 메인유로(4)에 설치된 메인 체크밸브(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유로(4)는 음료 취출유로(61)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91)과 발효모듈(1)에 형성된 메인유로 연결부(115)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9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유로(4)는 디스펜서 출구유로(302)(312)(322)(332)와 연결되는 제3연결부(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제1연결부(91)과 제2연결부(92)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메인 체크밸브(94)는 제1연결부(91)와 제3연결부(9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메인 체크밸브(94)는 물, 에어 또는 혼합물이 제3연결부(93)에서 제1연결부(91)로 유동 가능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음료 제조팩(12)으로 물을 급수할 때 오픈되어 메인유로(4)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발효조(112)를 냉각하는 동안 클로즈되어 메인유로(4)를 클로즈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음료 제조팩(12)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할 때 오픈되어 메인유로(4)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첨가제를 음료 제조팩(12) 내부로 공급할 때 오픈되어 메인유로(4)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재료의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클로즈되어 음료 제조팩(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음료 숙성 및 보관시 클로즈되어 음료 제조팩(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음료 취출이기(6)에 의한 음료 취출시 오픈되어 메인유로(4)를 개방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 내의 음료는 메인밸브(9)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유로(61)로 유동될 수 있다.
메인 체크밸브(94)는 음료취출 유로모듈(6)에 의한 음료 취출 시 메인 밸브(9)를 통과한 음료가 디스펜서(3)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112)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발효조(112) 내부의 에어를 배기하는 에어조절 유로모듈(15)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조절 유로모듈(15)은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내벽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반대로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내벽 사이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에어조절 유로모듈(15)은 발효 모듈(1)에 연결된 에어 공급유로(154)와, 에어 공급유로(154)에 연결되어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밸브(156)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유로(154)의 일단은 발효 모듈(1)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에어 주입유로(81)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공급유로(154)는 발효 모듈(1) 특히, 발효 리드(107)에 연결될 수 있다. 발효 모듈(1)에는 에어 공급유로(154)가 연결되는 에어 공급유로 연결부(117)가 마련될 수 있다. 에어 공급유로 연결부(117)는 발효 케이스(160)에 구비될 수 있다.
에어 공급유로(154)는 에어주입 유로모듈(8)의 에어 주입유로(81)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공급유로(154)와 에어 주입유로(81)의 연결부(81a)는, 에어 주입유로(81)를 통과하는 에어의 유동 방향을 따라 에어주입 체크밸브(83)의 이후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 주입펌프(82)에서 펌핑된 에어는 에어 주입유로(81), 에어 공급유로(154)를 차례로 통과하여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로 안내될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와 에어 공급유로(154)는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의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기로 기능할 수 있다.
반면, 에어조절 유로모듈(15)에 별도의 에어 공급펌프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에어 공급유로(154)는 에어 주입유로(81)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에어 공급펌프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 주입펌프(82)가 음료 제조팩(12)에 에어를 주입하는 것과,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에 에어를 공급하는 것을 병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비용절감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에어 공급유로(154)와 배기밸브(156)는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의 사이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는 에어 배기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에어 공급유로(154)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되어 발효조(112)와 음료 제조팩(12) 사이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에어 공급유로(154)는 일단이 에어 주입유로(81)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발효 모듈(1)에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이 발효조 모듈(111)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에어 주입펌프(82)와 에어 공급유로(154)는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의 사이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효조(112) 내부로 공급된 에어는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서 음료 제조팩(12)을 가압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 내의 음료는 에어에 의해 눌린 음료 제조팩(12)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메인밸브(9)와 음료 취출밸브(62)가 개방되면, 메인유로 연결부(115)를 통과해 메인유로(4)로 유동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에서 메인유로(4)로 유동된 음료는 음료취출 유로모듈(6)를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가 완성되면, 음료 제조팩(12)를 발효 모듈(1)의 외부로 꺼내지 않고, 발효 모듈(1)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음료 제조팩(12) 내의 음료를 음료취출 유로모듈(6)로 취출할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는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 소정 압력이 형성되게 에어를 공급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는 음료 제조팩(12) 내의 음료 취출이 용이한 압력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는 음료 취출이 진행되는 동안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음료 취출이 끝나면, 다음 번 음료 취출을 위해 구동되었다가 정지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발효 모듈(1)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배기 밸브(156)는 에어 공급유로(154) 중 발효조(112)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조절 유로모듈(15)는 배기밸브(156)와 에어 공급유로(154)를 연결하는 배기유로(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유로(154)는 에어 주입유로(81)와 연결되는 연결부(81a)부터 배기유로(157)가 연결되는 연결부(154F)까지의 제1유로와, 배기유로(157)가 연결되는 연결부(154F)부터 에어 공급유로 연결부(117)까지의 제2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는 에어 주입펌프(82)에서 펌핑된 에어를 제2유로로 안내하는 급기유로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유로는 급기유로를 통과한 에어를 발효조(112)와 음료 제조팩(12) 사이로 급기하거나, 발효조(112)와 음료 제조팩(12) 사이에서 유출된 에어를 연결유로(157)로 안내하는 급기 및 배기 겸용 유로일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음료 제조의 도중에 음료 제조팩(12)이 팽창될 때,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에어가 외부로 배기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급수 유로모듈(5)에 의한 급수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에어주입 유로모듈(8)에 의한 에어 주입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음료 제조팩(12) 내의 음료 취출이 완료되면,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에어를 빼내기 위해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음료 취출이 완료된 후, 음료 제조팩(12)을 발효조(112)의 외부로 꺼낼 수 있는데, 발효조(112) 내부가 고압을 유지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배기밸브(156)는 음료 제조팩(12)의 음료 취출 완료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
에어조절 유로모듈(15)은 에어 공급유로(154)와 배기유로(157)의 연결부(154F)와 발효모듈(1) 사이에 연결된 에어 릴리프 밸브(1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조절 유로모듈(15)은 에어 주입펌프(82)에서 펌핑되어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의 사이로 공급되는 에어를 단속하는 에어 공급 개폐밸브(1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 개폐밸브(159)는 에어 공급유로(154)에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에어 공급 개폐밸브(159)는 에어 공급유로(154) 중 에어 주입유로(81)와의 연결부(81a)와 배기 유로(157)와의 연결부(154F)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에어조절 유로모듈(15)은 에어 공급유로(154)에 설치되는 에어 공급 체크밸브(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 체크밸브(155)는 에어 공급유로(154) 중 에어 주입유로(81)와의 연결부(81a)와 배기 유로(157)와의 연결부(154F)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에어 공급 체크밸브(155)는 에어 주입유로(81)에서 에어 공급유로(154)로 안내된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에어공급 개폐밸브(159)의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 공급 체크밸브(155)는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에어가 배기될 때 상기 에어가 에어 주입유로(81)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유로 모듈(2)은 메인 유로(4)에 설치되는 유로 절환밸브(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 절환밸브(20)는 사방밸브(4-way valve)일 수 있다. 유로 절환밸브(20)는 급수 유로모듈(5)에서 유동된 물이나 에어주입 유로모듈(8)에서 주입된 에어의 유동 방향에 대해 디스펜서(3)의 이전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 절환밸브(20)는 메인유로(4) 중 제1메인유로(4A)와 바이패스 유로(4C)의 연결부에 설치될 수 있다. 유로 절환밸브(20)에는 에어 주입유로(81)와 디스펜서 입구유로(301)(311)(321)(331)가 연결될 수 있다.
유로 절환밸브(20)는 제1메인유로(4A)를 바이패스 유로(4C) 또는 디스펜서 입구유로(301)(311)(321)(331)와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유로 절환밸브(20)는 에어 주입유로(81)를 디스펜서 입구유로(301)(311)(321)(331) 또는 바이패스 유로(4C)와 연통시킬 수 있다.
유로 절환밸브(20)가 제1메인유로(4A)와 디스펜서 입구유로(301)(311)(321)(331)를 연통시키면 급수 유로모듈(5)에서 급수된 물은 디스펜서 (3)로 안내될 수 있고, 캡슐 수용부(31)(32)(33)를 통과하여 제2메인유로(4B)로 유동될 수 있다.
유로 절환밸브(20)가 제1메인유로(4A)와 바이패스 유로(4C)를 연통시키면 급수 유로모듈(5)에서 급수된 물은 바이패스 유로(4C)로 안내될 수 있고, 디스펜서(3)를 바이패스하여 제2메인유로(4B)로 유동될 수 있다.
유로 절환밸브(20)가 에어 주입유로(81)와 디스펜서 입구유로(301)(311)(321)(331)를 연통시키면 에어주입 유로모듈(8)에서 주입된 에어는 디스펜서(3)로 안내될 수 있고, 캡슐 수용부(31)(32)(33)를 통과하여 제2메인유로(4B)로 유동될 수 있다.
유로 절환밸브(20)가 에어 주입유로(81)와 바이패스 유로(4C)를 연통시키면 에어주입 유로모듈(8)에서 주입된 에어는 바이패스 유로(4C)로 안내될 수 있고, 디스펜서(3)를 바이패스하여 제2메인유로(4B)로 유동될 수 있다.
발효조(112)에는 발효조(112)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6)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센서(16)는 발효조(112)의 온도를 측정하여, 후술하는 제어 모듈(280, 도 3 참조)로 온도값을 전송할 수 있다.
온도 센서(16)는 발효조(112)의 저면에서 하방 돌출된 돌출부에 체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료 제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음료 제조기는 베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음료 제조기의 저면 외관을 구성할 수 있고, 그 상측에 위치하는 발효 모듈(1), 냉동 사이클 장치(13), 급수히터(53), 급수펌프(52), 메인 프레임(230) 등을 지지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음료 취출밸브(62)에서 낙하된 음료를 받아 보관할 수 있는 음료 컨테이너(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컨테이너(101)는 베이스(1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베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음료 컨테이너(101)는 내부에 음료 취출밸브(62)에서 낙하된 음료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컨테이너 바디(101A)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컨테이너(101)는 컨테이너 바디(101A)의 상면에 배치되어 컨테이너 바디(101A) 내의 공간을 덮는 컨테이너 상판(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01A)는 베이스(100)의 앞부분에서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01A)는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컨테이너 상판(101B)에는 음료가 컨테이너 바디(101A) 내부로 낙하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2)에서 낙하된 음료 중 음료 용기(미도시) 주변으로 낙하된 음료는 컨테이너 상판(101B)으로 낙하될 수 있고, 컨테이너 상판(101B)의 홀을 통해 음료 컨테이너(101) 내부에 일시적으로 보관될 수 있고, 음료 제조기 주변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발효 모듈(1)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효 모듈(1)은 베이스(100)에 의해 하방에서 지지될 수 있다.
발효 모듈(1)은 베이스(1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발효모듈(1)은 베이스(1)에 직접 안착되어 배치될 수도 있고, 베이스(100)에 안착된 별개의 발효모듈 서포터(미도시)에 의해 지지되어 베이스(100)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발효 모듈(1)은 개구부(170)가 형성된 발효조 모듈(111)과, 개구부를 덮는 발효 리드(107)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효조 모듈(111)의 내부에는 음료 제조팩(12)이 배치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의 내부에는 발효조(112)가 수용될 수 있다. 단열부(171)는 발효조(112)와 발효 케이스(16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발효조(112)를 단열시킬 수 있다. 이 때 발효조(112)에 감겨진 증발기(134, 도 1 참조) 및/또는 히터(14, 도 1 참조)는 단열부(171)와 발효조(1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단열부(171)는 증발기(134) 및/또는 히터(14)를 발효조(112)와 함께 둘러쌀 수 있고, 이로써 발효조(112)의 온도 조절이 용이해질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발효조 모듈(1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발효조 모듈(111)의 개구부(170)를 상측에서 개폐할 수 있다.
발효조 모듈(111)은 발효 리드(107)가 안착되는 리드 안착바디(17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드 안착바디(179)는 발효 케이스(16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발효 리드(107)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는 발효 모듈(1)의 하측 일부 외관을 구성할 수 있고, 발효 리드(107)는 발효 모듈(1)의 상측 일부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는 베이스(100)에 올려질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발효조 모듈(11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효 리드(107)는 리드 안착바디(179)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에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1힌지 연결부(109A)가 구비될 수 있고, 제1힌지 연결부(109A)는 리드 안착바디(179)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수조(51)는 베이스(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100)와 이격될 수 있다. 수조(51)는 후술할 수조 서포터(233)에 의해 베이스(100)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수조(51)는 발효 모듈(1)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수조(51)와 발효 모듈(1)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수조(51)의 상면은 개방될 수 있다. 수조(51)의 전면과 배면은 수평방향으로 라운드진 곡면일 수 있고 수조(51)의 양측면은 평면일 수 있다. 이 때, 수조(51)의 전면과 배면의 곡률은 발효 모듈(1)의 외둘레면의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조(51)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조(51)는 상면이 개방된 중공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조(51)에는 수조 손잡이(59)가 구비될 수 있다. 수조 손잡이(59)는 수조(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수조 손잡이(59)의 양단은 수조(51)의 양 측면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조 손잡이(59)를 상방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수조 손잡이(59)를 잡고 수조(51)를 들어올릴 수 있다.
수조(51)의 상단에는 단차부(51a)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51a)는 수조(51)의 상단 중 일부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나머지 상단보다 높이가 낮은 부분일 수 있다. 단차부(51a)는 수조(51)의 상단 중 전방측 일부가 단차져 형성될 수 있다.
수조 손잡이(59)는 단차부(51a)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수조 손잡이(59)의 폭은 단차부의 단차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수조 손잡이(59)는 휘어지게 형성된 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휨부의 곡률은 수조(51)의 전면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수조(51)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수조 리드(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 리드(110)는 수조(51)의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수조 리드(110)은 수조(5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수조 리드(110)에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힌지 연결부(110A)가 구비될 수 있고, 제2힌지 연결부(110A)는 수조(51)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수조 리드(110)는 발효 리드(107)의 리드 본체(109)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제조기가 디자인적으로 통일감을 가질 수 있고, 동일한 부품을 수조 리드(110)와 발효 리드(107)의 리드 본체(109)로 각각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베이스(100)와 발효 리드(107)의 리드 본체(109)의 사이의 높이는, 베이스(100)와 수조 리드(110) 사이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베이스(100)와 발효 리드(107)의 상면 사이의 높이는, 베이스(100)와 수조 리드(110) 상면 사이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아우터 케이스(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200)는 베이스(100)에 올려질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200)는 음료 제조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200)는 발효 모듈(1)을 커버하는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51)를 커버하는 수조 커버(202)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의 둘레면 중 일부는 개방될 수 있다.
각각 발효모듈(1)과 수조(51)의 외둘레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즉, 발효모듈(1)은 발효모듈 커버(20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수조(51)는 수조 커버(20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51)는 각각 발효모듈(1)과 수조(51)를 고정시키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의 곡률은 발효 모듈(1)의 외둘레 곡률과 동일할 수 있고, 수조 커버(202)의 곡률은 수조(51)의 전면 및 배면의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의 높이는 발효 케이스(160)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의 높이는 발효 모듈(1)의 높이와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의 높이 및/또는 직경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제조기의 외관이 대칭 구조 및 통일성에 의해 디자인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의 상세한 구성은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아우터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메인 프레임(230), 급수 펌프(52), 급수 히터(53), 에어주입 펌프(82), 온도 조절기(11)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유로 모듈(2)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200)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200)는 프론트 커버(210)와 리어 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는 발효모듈(1), 수조(51) 및 메인 프레임(2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리어 커버(220)는 발효모듈(1), 수조(51) 및 메인 프레임(23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는 음료 제조기의 전방측 일부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에는 음료 취출밸브(62)가 장착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2)는 프론트 커버(210)의 하단보다 상단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2)는 음료 컨테이너(10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료 취출밸브(62)를 오픈하여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는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와, 프론트 수조 커버(212)와, 센터 커버(21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는 발효 모듈(1)의 외둘레 중 전방 일부를 커버할수 있다.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는 발효모듈 커버(201)의 전방측 일부일 수 있다.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는 어퍼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5)와 로어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6)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5)와 로어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6)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5)는 발효 리드(107)의 외둘레 전방 일부를 커버할 수 있고, 로어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6)는 발효 케이스(160)의 외둘레 전방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어퍼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5)의 원주방향 길이는, 로어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6)의 원주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로어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6)의 외측 단과 어퍼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5)의 외측 단은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의 원주 방향에 대해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로어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6)의 외측 단과 어퍼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5)의 외측 단은 함께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의 외측단(211A)을 형성할 수 있다.
로어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6)의 내측 단과 센터 커버(213) 사이의 전후방향 거리는, 어퍼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5)의 내측 단(215B)과 센터 커버(213)사이의 전후방향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는 리어 커버(220)의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와 함께 발효모듈 커버(201)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발효모듈 커버(201)는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와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와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는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는 발효 모듈(1)의 후방측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는 발효모듈 커버(201)의 후방측 일부일 수 있다.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는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는 어퍼 리어 발효모듈 커버(266)와 로어 리어 발효모듈 커버(267)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리어 발효모듈 커버(266)와 로어 리어 발효모듈 커버(267)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리어 발효모듈 커버(266)는 발효 리드(107)의 외둘레 후방 일부를 커버할 수 있고, 로어 리어 발효모듈 커버(267)는 발효 케이스(160)의 후방 외둘레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어퍼 리어 발효모듈 커버(266)의 원주방향 길이는, 로어 리어 발효모듈 커버(267)의 원주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로어 리어 발효모듈 커버(267)의 외측 단과 어퍼 리어 발효모듈 커버(266)의 외측 단은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의 원주 방향에 대해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로어 리어 발효모듈 커버(267)의 외측 단과 어퍼 리어 발효모듈 커버(266)의 외측 단은 함께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의 외측단(262A)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의 외측단(262A)은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의 외측단(211A)과 접할 수 있다.
어퍼 리어 발효모듈 커버(266)의 내측단(266B)은 어퍼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5)의 내측단(215B)과 접할 수 있다. 반면, 로어 리어 발효모듈 커버(267)의 내측단(267B)은 로어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6)의 내측단과 이격될 수 있다.
한편, 프론트 수조 커버(212)는 수조(51)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다. 프론트 수조 커버(212)는 수조 커버(202)의 전방측 일부일 수 있다.
프론트 수조 커버(212)는 어퍼 프론트 수조 커버(217)와 로어 프론트 수조 커버(218)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프론트 수조 커버(217)와 로어 프론트 수조 커버(218)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 프론트 수조 커버(217)는 수조(51)의 전면 중 상측 일부와 수조 손잡이(59)를 커버할 수 있다. 로어 프론트 수조 커버(218)는 수조(51)의 전면 중 하측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어퍼 프론트 수조 커버(217)의 원주방향 길이는, 로어 프론트 수조 커버(218)의 원주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로어 프론트 수조 커버(218)의 외측 단과 어퍼 프론트 수조 커버(217)의 외측 단은 프론트 수조 커버(212)의 원주 방향에 대해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로어 프론트 수조 커버(218)의 외측 단과 어퍼 프론트 수조 커버(217)의 외측 단은 함께 프론트 수조 커버(212)의 외측단(212A)을 형성할 수 있다.
로어 프론트 수조 커버(218)의 내측 단과 센터 커버(213) 사이의 전후방향 거리는, 어퍼 프론트 수조 커버(217)의 내측 단(217B)과 센터 커버(213)사이의 전후방향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프론트 수조 커버(212)는 리어 커버(220)의 리어 수조 커버(263)와 함께 수조 커버(202)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수조 커버(202)는 프론트 수조 커버(212)와 리어 수조 커버(26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수조 커버(212)와 리어 수조 커버(263)는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리어 수조 커버(263)는 수조(51) 외둘레의 후방측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리어 수조 커버(263)는 프론트 수조 커버(21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 수조 커버(263)는 어퍼 리어 수조 커버(268)와 로어 리어 수조 커버(269)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리어 수조 커버(268)와 로어 리어 수조 커버(269)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리어 수조 커버(268)는 수조(51)의 배면 중 상측 일부를 커버할 수 있고, 로어 리어 수조 커버(269)는 수조(51)의 배면 중 하측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어퍼 리어 수조 커버(268)의 원주방향 길이는, 로어 리어 수조 커버(269)의 원주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로어 리어 수조 커버(267)의 외측 단과 어퍼 리어 수조 커버(268)의 외측 단은 리어 수조 커버(263)의 원주 방향에 대해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로어 리어 수조 커버(267)의 외측 단과 어퍼 리어 수조 커버(268)의 외측 단은 함께 리어 수조 커버(263)의 외측단(263A)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수조 커버(263)의 외측단(263A)은 프론트 수조 커버(212)의 외측단(212A)과 접할 수 있다.
어퍼 리어 수조 커버(268)의 내측단(268B)은 어퍼 프론트 수조 커버(217)의 내측단(217B)과 접할 수 있다. 반면, 로어 리어 수조 커버(269)의 내측단은 로어 프론트 수조 커버(218)의 내측단과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센터 커버(213)는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와 프론트 수조 커버(2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센터 커버(213)의 양 측단은 각각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와 프론트 수조 커버(212)에 접할 수 있다.
센터 커버(213)는 수직하게 배치된 평판 형상일 수 있다.
센터 커버(213)의 높이는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 및 프론트 수조 커버(212)의 높이와 각각 동일할 수 있다.
센터 커버(213)에는 음료 취출밸브(62)가 장착되는 취출밸브 장착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취출밸브 장착부(214)에는 음료 취출밸브(62)의 밸브 바디(600)가 장착될 수 있다. 취출밸브 장착부(214)는 센터 커버(213)의 전면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취출밸브 장착부(214)는 센터 커버(213)의 하단보다 상단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취출밸브 장착부(214)에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관통공(214A)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214A)에는 음료 취출유로(61)가 통과하여 음료 취출밸브(62)에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기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8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82)는 센터 커버(213)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82)는 센터 커버(213) 중 음료 취출밸브(62)에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디스플레이(282)는 음료 취출밸브(62)와 수평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282)는 엘시디(LCD), 엘이디(LED), 오엘이디(OLED)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82)는 디스플레이 소자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피시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피시비는 후술할 제어모듈(2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기의 제조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로터리 놉(283)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리 놉(283)은 센터 커버(213)에 배치될 수 있다. 로터리 놉(283)은 디스플레이(282)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는 사용자의 명령을 터치 방식으로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디스플레이(282)에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는 후술할 제어모듈(2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리모컨이나 무선통신기기를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제어 모듈(280)은 무선통신소자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리어 커버(220)는 발효모듈(1), 수조(51) 및 메인 프레임(23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 커버(220)는 프론트 커버(210)와 결합될 수 있고, 리어 커버(220)와 프론트 커버(210) 사이에 아우터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커버(220)는 베이스(100)에 올려질 수 있으며, 프론트 커버(210)와 높이가 동일할 수 있다.
리어 커버(220)는 제1리어 커버(260)와 제2리어 커버(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리어 커버(260)는 베이스(100)에 올려질 수 있고, 제2리어 커버(270)는 제1리어 커버(260)에 장착될 수 있다.
제1리어 커버(260)에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커버 관통공(264)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커버 바디(261)에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커버 관통공(264)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관통공(264)은 메인 프레임(230)을 전후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제1리어 커버(260)를 분리하지 않고도 음료 제조기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다.
제1리어 커버(260)는 커버 바디(261),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 및 리어 수조 커버(263)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는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와 함께 발효모듈 커버(201)를 구성할 수 있고, 리어 수조 커버(263)는 프론트 수조 커버(212)와 함께 수조 커버(202)를 구성할 수 있다.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 및 리어 수조 커버(263)는 커버 바디(261)에 접하여 장착 될 수 있다. 커버 바디(261)의 적어도 일부는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 및 리어 수조 커버(263)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와 리어 수조 커버(263)는 커버 바디(261)의 전방에서 장착될 수 있다.
커버 바디(261)에는 커버 바디(261)의 상면 중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발효모듈 커버 안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어퍼 리어 발효모듈 커버(266)는 상기 발효모듈 커버 안착부의 내둘레면에 접하여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바디(261)에는 커버 바디(261)의 상면 중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수조 커버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리어 수조 커버(268)는 상기 수조 커버 안착부의 내둘레면에 접하여 안착될 수 있다.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 및 리어 수조 커버(263)의 상단에는 각각 힌지 연결부 끼움홈(262C)(263C)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에 형성된 제1힌지 연결부 끼움홈(262C)에는 발효 리드(107)의 리드 본체(109)에 형성된 제1힌지 연결부(109A)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리어 수조 커버(263)에 형성된 제2힌지 연결부 끼움홈(263C)에는 수조 리드(110)에 형성된 제2힌지 연결부(110A)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어퍼 리어 발효모듈 커버(266) 및 어퍼 리어 수조 커버(268)의 높이는 디스펜서(3)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에는 파이프 수용홀(265)가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 수용홀(265)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냉각 파이프(136)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될 수 있고, 냉동 사이클 장치(13, 도 1 참조)를 구성하는 냉매 유로가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냉각 파이프에는 팽창기구(133)과 증발기(134, 도 1 참조)를 연결하는 냉매 유로가 배치될 수 있다.
냉각 파이프(136)는 발효 모듈(1)의 후방측에 연결될 수 있다. 냉각 파이프(136)는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에 형성된 파이프 수용홀(265)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바디(261)는 디스펜서(3)를 지지할 수 있다. 디스펜서(3)의 적어도 일부는 커버 바디(261)의 상면에 올려질 수 있고, 커버 바디(261)는 디스펜서(3)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커버 바디(261)에는 디스펜서 출구유로 수용홈(261A)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바디(261)의 상측 전단 중 일부는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디스펜서 출구유로 수용홈(261A)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 출구 유로모듈(3B)는 디스펜서(3)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고, 디스펜서 출구유로 수용홈(261A)을 통해 아우터 케이스(200) 내부 공간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리어 커버(270)는 제1리어 커버(260)의 후방에서 장착될 수 있다. 제2리어 커버(270)는 제1리어 커버(260)에 형성된 커버 관통공(264)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2리어 커버(270)는 제1리어 커버(260)의 커버 바디(261)에 장착될 수 있다. 제2리어 커버(270)의 크기는 커버 바디(260)보다 클 수 있다. 제2리어 커버(270)의 측면(274)은 커버 바디(261)의 측면을 외측에서 감쌀 수 있고, 제2리어 커버(270)의 상면(277)은 커버 바디(261)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리어 커버(220)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271)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리어 커버(270)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271)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271)은 제1리어 커버(260)에 형성된 커버 관통공(264)을 전후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송풍팬(135)은 커버 관통공(264) 및 통공(271)을 전후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응축기(132)는 송풍팬(135)과 통공(27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송풍팬(135)에 의해 응축기(132)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커버 관통공(264) 및 통공(271)을 차례로 통과하여 아우터 케이스(20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가스 취출밸브(73, 도 1 참조)로 취출된 가스는 통공(271)을 통해 음료 제조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2리어 커버(270)에는 디스펜서 커버부(272) 및 디스펜서 지지부(273)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 커버부(272)는 제2리어 커버(270)의 전면 중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 커버부(272)는 디스펜서(3)의 배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펜서 커버부(272)가 함몰 형성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할 때 디스펜서(3)의 배면을 커버하는 음료 제조기가 전후 방향에 대해 컴팩트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디스펜서 지지부(273)는 제2리어 커버(270)의 상면 중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 지지부(273)의 높이는 커버 바디(261)의 상면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디스펜서 지지부(273)에는 디스펜서(3)의 후방측 일부가 올려질 수 있고, 디스펜서 지지부(273)는 디스펜서(3)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디스펜서 커버부(272)와 디스펜서 지지부(273)는 함께 디스펜서 수용부을 형성할 수 있고, 디스펜서(3)의 후방측 일부는 상기 디스펜서 수용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 커버부(272) 및 디스펜서 지지부(273)의 좌우방향 폭은 디스펜서(3)의 좌우방향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제2리어 커버(270)에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연결부 수용홈(275)(276)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리어 커버(270)에는 제1힌지 연결부(109A)가 수용되는 제1힌지 연결부 수용홈(275)과, 제2힌지 연결부(110A)가 수용되는 제2힌지 연결부 수용홈(27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힌지 연결부 수용홈(275)은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에 형성된 제1힌지 연결부 고정홈(262C)과 대응될 수 있고, 제2힌지 연결부 수용홈(276)는 리어 수조 커버(263)에 형성된 제2힌지 연결부 고정홈(263C)과 대응될 수 있다.
이로써, 힌지 연결부 수용홈(275)(276)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할 때 음료 제조기가 전후 방향으로 컴팩트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디스펜서(3)는 발효 모듈(1)와 수조(5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제조기는 디스펜서(3)가 발효 모듈(1)와 수조(51)의 사이 이외에 위치하는 경우 보다 컴팩트하게 제조될 수 있고, 디스펜서(3)가 발효 모듈(1) 및 수조(51)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일측이 발효 모듈(1)에 접할 수 있고, 타측이 수조(51)에 접할 수 있다. 디스펜서(3)의 각 양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곡면은 각각 발효 모듈 커버(201)의 외둘레와 수조 커버(202)의 외둘레에 각각 접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베이스(100)의 상측에 베이스(100)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서(3)는 메인 프레임(23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메인 프레임(230)은 상하 방향으로 베이스(100)와 디스펜서(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전후 방향으로 프론트 커버(210)와 리어 커버(2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펜서(3)의 전면은 프론트 커버(210)의 센터 커버(213)에 의해 커버될 수 있고, 배면은 제2리어 커버(270)의 디스펜서 커버부(272)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리어 커버(220)에 안착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제1리어 커버(261)의 커버 바디(261)와, 제2리어 커버(270)의 디스펜서 지지부(27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펜서(3)에 연결된 디스펜서 출구 유로모듈(3B)은 커버 바디(261)의 디스펜서 출구유로 수용홈(261A)을 통과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캡슐(C1)(C2)(C3)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수용부(31)(32)(33)가 형성된 캡슐 수용바디(36)와, 캡슐 수용부를 덮는 리드 모듈(37)을 포함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는 제1리어 커버(261)의 커버 바디(261)와 제2리어 커버(270)의 디스펜서 지지부(27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캡슐 수용바디(36)를 덮는 리드(38)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38)은 캡슐 수용바디(3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리드(38)은 캡슐 수용바디(36)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음료 제조기의 대략 중앙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펜서(3)의 리드 모듈(37)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캡슐(C1)(C2)(C3)을 용이하게 장착,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유로 모듈(2)의 적어도 일부가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전후 방향으로 프론트 커버(210)와 리어 커버(2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의 적어도 일부는 발효 모듈(1)과 수조(5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베이스(100)에 올려질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수조 서포터(23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조 서포터(233)는 수조(51)를 베이스(100)와 상하방향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디스펜서(3)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에는 급수 펌프(52)와 급수 히터(53)와 송풍기(135)와 에어 주입펌프(82) 중 적어도 하나가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송풍기(135)와 에어 주입펌프(82)는 메인 프레임(230)에 장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메인 프레임(230)에는 제어 모듈(280)이 장착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적어도 일부가 응축기(132)와 발효모듈(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응축기(132)의 열에 의해 발효 모듈(1)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131)는 상하방향으로 베이스(100)와 수조(5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31)와 급수히터(53)와 급수펌프(52) 중 적어도 하나는 수평 방향으로 수조 서포터(233)와 발효 모듈(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급수히터(53)와 급수펌프(52) 중 적어도 하나는 메인 프레임(23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32)는 메인 프레임(230)에 장착된 송풍팬(135)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32)는 메인 프레임(230)에 장착된 송풍팬(135)을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32)는 송풍팬(135)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기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2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음료 제조기의 전장부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280)은 메인 프레임(23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는 메인 피시비와, 상기 메인 피시비가 내장된 피시비 케이스(28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는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의 무선통신기기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소자는 와이파이모듈과 블루투스모듈 등과 같이, 리모컨이나 무선통신기기와 무선통신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입력부에서 입력된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280)은 로터리 놉(283)에 의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80)은 음료 제조기의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282)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280)은 디스플레이(282)를 통해 음료의 취출량, 음료의 잔량이나 음료 취출 완료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유로모듈(2), 급수 펌프(52), 급수히터(53), 에어 주입펌프(82) 및 온도 조절기(11)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메인 프레임(230)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메인 프레임(230)의 후방에 체결될 수 있다.
피시비 케이스(281)는 메인 프레임(230)에 체결될 수 있고, 내부의 메인 피시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의 적어도 일부는 제1리어 커버(260)에 형성된 커버 관통공(264)을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압력 센서(72)에 의해 음료 제조팩(12) 내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고, 온도센서(16)에 의해 발효조(112)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이렇게 감지된 압력이나 온도를 이용하여 음료의 발효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온도 센서(57)에 의해 급수 유로모듈(5)에서 메인유로(4)로 급수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이렇게 감지된 물의 온도에 따라 급수 히터(53)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온도 조절기(11)를 제어하여 발효조(112)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후술하는 리미트 스위치(630)가 온인 시간과, 에어 주입펌프(82)가 구동인 시간과, 음료 제조가 완료된 후 메인밸브(9)가 온인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산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이렇게 적산된 시간에 따라, 음료 제조팩(12)에서 취출된 음료의 취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이렇게 산출된 음료의 취출량으로부터, 음료의 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산출된 음료의 잔량 정보로부터, 음료 제조팩(12) 내의 음료가 모두 취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음료 제조팩(12) 내의 음료가 모두 취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음료 취출 완료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 모듈(280)은 음료 제조기의 작동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메인 프레임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메인 프레임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메인 프레임에 복수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경우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메인 프레임에 복수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경우의 배면도이다.
메인 프레임(230)에는 유로 모듈(2)의 적어도 일부가 장착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유로 모듈 마운터일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230)에는 에어주입 펌프(82), 송풍기(135), 급수펌프(52), 급수히터(53) 중 적어도 하나가 장착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에는 유로 모듈(2)에 포함된 각 유로 또는 라인을 고정 가능한 유로 홀더(미도시)가 장착되는 홀더 장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에는 제어 모듈(280)이 장착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프레임 바디(23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바디(231)는 저면 및 배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바디(231)는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 바디(231)에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부(244)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244)는 프레임 바디(231)의 하측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244)는 후술할 송풍팬 장착부(236)의 옆에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244)는 송풍팬 장착부(236)와 수조 서포터(233)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244)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면 아우터 케이스(200) 내부에 배치되는 각종 부품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증가하여 음료 제조기의 컴팩트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압축기(131)와 응축기(132)를 연결하는 냉매 유로는 개방부(244)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유로 모듈(2)이 장착되는 평면(237A)과, 발효 모듈(1) 및/또는 수조(51)를 마주보는 곡면(237B)(237C)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프레임 바디(231)의 전면(237)은 평면(237A)과 곡면(237B)(237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면(237B)(237C)은 발효 모듈(1)과 수조(51)를 각각 마주볼 수 있다.
프레임 바디(231)의 전면(237) 중 평면(237A)은 한 쌍의 곡면(237B)(237C)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평면(237A)에는 유로모듈(2)이 장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평면(237A)에는 개폐밸브(313)(323)(333)가 장착되는 밸브 장착부(240)(241)(2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237A)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곡면(237B)은 전후 방향으로 발효 모듈(1)을 커버할 수 있고, 발효 모듈(1)의 외둘레, 좀 더 상세히는 발효 케이스(104)의 외둘레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237A)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곡면(237C)은 전후 방향으로 수조(51)를 커버할 수 있고, 수조(51)의 배면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면(237B)(237C)에 의해 음료 제조기가 전후 방향으로 더욱 컴팩트해질 수 있다.
개방부(244)는 프레임 바디(231)의 전면(237) 중 평면(237A) 및/또는 제2곡면(237C)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바디(231)에는 제어 모듈(280)이 배치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프레임 바디(23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 바디(231)은 내부에 제어모듈(280)이 수용되는 제어모듈 수용공간(S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모듈 수용공간(S11)의 배면은 개방될 수 있고, 제어 모듈(280)은 프레임 바디(231)의 후방에서부터 제어모듈 수용공간(S11)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모듈 수용공간(S11)은 제1리어 커버(260)에 형성된 커버 관통공(264)를 마주볼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의 피시비 케이스(281)는 프레임 바디(231)에 체결될 수 있다. 피시비 케이스(281)는 내부의 메인 피시비를 보호할 수 있다.
프레임 바디(231)에는 구획판(243)이 마련될 수 있다. 구획판(243)은 프레임 바디(231)의 내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획판(243)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획판(243)은 프레임 바디(231)의 내부를 제어 모듈내부를 상측 공간과, 상기 상측 공간의 하측에 위치한 하측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측 공간은 제어 모듈(280)이 수용되는 제어모듈 수용공간(S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 공간은 후술할 응축기 수용공간(S12)과 가스 배출공간(S1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바디(231)에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장착부(240)(241)(242)가 형성될 수 있다. 각 밸브 장착부(240)(241)(242)는 프레임 바디(231)의 전면(237) 또는 상면(238)에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 입구 유로모듈(3A) 중 적어도 일부는 메인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개폐밸브(313)(323)(333)는 메인 프레임(230)에 장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 바디(231)의 전면(237) 중 평면(237A)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밸브 장착부(240)가 형성될 수 있고, 각 개폐밸브(313)(323)(333)는 개폐밸브 장착부(240)에 장착될 수 있다.
개폐밸브 장착부(240)의 개수는 개폐밸브(313)(323)(333)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제1개폐밸브(313)는 제1개폐밸브 장착부(240A)에 장착될 수 있고, 제2개폐밸브(323)는 제2개폐밸브 장착부(240B)에 장착될 수 있고, 제3개폐밸브(333)는 제3개폐밸브 장착부(240C)에 장착될 수 있다.
개폐밸브 장착부(240)는 수평방향으로 발효모듈 접촉바디(232)와 수조 서포터(23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개폐밸브 장착부(240)는 송풍팬 장착부(236)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에어조절 유로모듈(15)의 적어도 일부는 메인 프레임(230)에 장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에어공급 개폐밸브(159) 및 배기 밸브(156) 중 적어도 하나는 메인 프레임(230)에 장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 바디(231)의 상면(238)에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조절 밸브 장착부(241)(242)가 형성될 수 있고, 에어공급 개폐밸브(159) 및/또는 배기 밸브(156)는 각 에어조절 밸브 장착부(241)(242)에 장착될 수 있다. 에어공급 개폐밸브(159)는 제1에어조절 밸브 장착부(241)에 장착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는 제2에어조절 밸브 장착부(242)에 장착될 수 있다.
제1에어조절 밸브 장착부(241)는 발효모듈 접촉바디(232)와 수조 서포터(233) 중 수조 서포터(233)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제2에어조절 밸브 장착부(242)는 발효모듈 접촉바디(232)와 수조 서포터(233) 중 발효모듈 접촉바디(232)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에어공급 개폐밸브(159) 및 제1에어조절 밸브 장착부(241)는 발효 모듈(1)과 수조(51) 중 수조(51)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 및 제2에어조절 밸브 장착부(242)는 발효 모듈(1)과 수조(52) 중 발효 모듈(1)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배기 밸브(156)가 온 되어 오픈되면 발효 모듈(1)의 발효조 어셈블리(111)에서 배기가 신속히 이뤄질 수 있다.
한편, 메인 프레임(230)은 발효모듈(1)에 접하는 발효모듈 접촉바디(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효모듈 접촉바디(232)는 프레임 바디(231)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발효모듈 접촉바디(232)는 프레임 바디(231)의 전면(237) 중 평면(237A)과 제1곡면(237B)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발효모듈 접촉바디(232)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발효모듈 접촉바디(232)의 상측 일부는 프레임 바디(231)의 상면(238)보다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발효모듈 접촉바디(232)는, 발효모듈(1)의 외둘레 원주 방향을 따라, 로어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6, 도 3 참조)의 내측단과 로어 리어 발효모듈 커버(267, 도 3 참조)의 내측단(267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발효모듈 접촉바디(232)는 접촉부(232A)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232A)는 발효모듈(1)의 외둘레에 접할 수 있다. 접촉부(232A)는 수평 방향에 대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고, 접촉부(232A)의 곡률은 발효 모듈(1)의 외둘레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232A)의 곡률은 제1곡면(237B)의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발효 모듈(1)의 장착시 발효 모듈(1)은 발효모듈 케이스(201, 도 2 참조)와, 프레임 바디(231)의 제1곡면(237A)과, 발효모듈 접촉바디(232)의 접촉부(232A) 의해 장착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수조(51)를 지지하는 수조 서포터(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 서포터(233)는 프레임 바디(231)의 전면(237)에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수조 서포터(233)는 프레임 바디(231)의 전면(237) 중 제2곡면(237C)에 구비될 수 있다.
수조 서포터(233)는 전후 방향으로 프레임 바디(231)의 전면(237) 중 평면(237A)과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수조 서포터(233)은 발효모듈 접촉바디(232)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발효모듈 접촉바디(232)는 프레임 바디(231)의 양 측면(239) 중 일 측면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수조 서포터(233)는 프레임 바디(231)의 양 측면(239) 중 타 측면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수조 서포터(233)는 지지판(234)과 보강벽(235)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234)은 베이스(100)의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수조(51)는 지지판(234)에 올려질 수 있고, 지지판(234)는 수조(51)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지지판(234)에는 급수홀(234A)이 형성될 수 있다. 급수홀(234A)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고, 수조(51)에 연결된 수조 급수유로(54, 도 1 참조)가 통과할 수 있다.
지지판(234)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234)의 둘레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된 외측면(234B)과, 평면인 내측면(234C)과, 평면인 전면(234D)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234)의 외측면(234B)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고, 프레임 바디(231)의 제2곡면(237C)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234)의 내측면(234C)이 평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수조 서포터(233)와 발효모듈(1) 사이의 공간이 넓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메인 프레임(230)에는 에어 주입펌프(82)가 장착되는 에어 주입펌프 장착부(234E)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지지판(234)의 전면(234C)에는 에어 주입펌프 장착부(234E)가 마련될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 장착부(234E)에는 에어 주입펌프(82)가 직접 장착되거나, 에어 주입펌프(82)가 결합된 브라켓(82A)이 장착될 수 있다.
압축기(131)는 베이스(100)와 수조(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131)은 상하 방향으로 지지판(234)과 베이스(1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판(234)은 베이스(10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압축기(131)가 배치되는 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지지판(234)이 베이스(100)와 이격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음료 제조기가 컴팩트해질 수 있다.
보강벽(235)는 지지판(234)에서 하방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보강벽(235)는 지지판(234)의 둘레면 중 일부가 하방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보강벽(235)은 지지판(234)의 둘레면 중 외측면(234B)의 일부가 하방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압축기(131)는 수평 방향으로 보강벽(235)과 발효모듈(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벽(235)은 지지판(234)과 베이스(100)에 각각 접할 수 있다. 보강벽(235)의 하단은 베이스(100)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보강벽(235)은 수조(51)의 하중에 의해 지지판(234)이 파손되거나 프레임 바디(23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벽(235)은 베이스(100)와 지지판(234) 사이의 이격 공간을 둘러싸 상기 이격공간에 배치된 압축기(131)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보강벽(235)은 전후 방향으로 프레임 바디(231)와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보강벽(235)은 프레임 바디(231)의 개방부(244)를 가리지 않을 수 있다. 보강벽(235)의 외면은 수조 커버(202)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송풍팬(135)가 장착되는 송풍팬 장착부(2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 장착부(236)는 프레임 바디(231)에 구비될 수 있다. 송풍팬 장착부(236)는 프레임 바디(231)에 형성된 개방부(244)의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 장착부(236)는 수평 방향으로 개방부(244)와 발효모듈 접촉바디(23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송풍팬 장착부(236)는 프레임 바디(23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 장착부(236)는 수평 방향에 대해 수조 서포터(233)와 발효모듈 접촉바디(23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송풍팬 장착부(236)는 수조 서포터(233)보다 발효모듈 접촉바디(232)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 장착부(236)의 일측은 발효모듈 접촉바디(232)에 접할 수 있다.
송풍팬 장착부(236)에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장착공(236A)이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135)은 송풍팬 장착부(236)의 전면에 체결될 수 있고 장착공(236A)에 장착될 수 있다.
송풍팬(135)은 응축기(132)의 전방에서 응축기(132)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35) 및 송풍팬 장착부(236)는 수평 방향으로 발효 모듈(1)과 압축기(13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송풍팬(135) 및 송풍팬 장착부(236)는 수평 방향으로 발효 모듈(1)과 수조 서포터(23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에는 응축기(132, 도 3 참조)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응축기 수용공간(S12)이 형성될 수 있다. 응축기 수용공간(S12)은 송풍팬 장착부(236)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응축기 수용공간(S12)은 제어모듈 수용공간(S1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구획판(243)은 응축기 수용공간(S12)과 제어모듈 수용공간(S1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획판(243)과 후술할 베리어(245)는 응축기(132)의 열에 의해 제어 모듈(280)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응축기 수용공간(S12)의 배면은 개방될 수 있다. 이로써 응축기(132)에서열교환된 공기는 제1리어 커버(260)의 커버 관통공(264)을 통과하여 제2리어 커버(270)의 통공(271)으로 토출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에는 베리어(245)가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송풍팬 장착부(236)에는 베리어(245)가 구비될 수 있고, 베리어(245)는 응축기 수용공간(S1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베리어(245)는 응축기(132)에서 발산되는 열이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 베리어일 수 있다.
베리어(245)는 송풍팬 장착부(236)에서 후방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베리어(245)는 구획판(243)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베리어(245)는 송풍팬(135)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주변으로 퍼지지 않고 온전히 응축기(132)를 통과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일 수 있다.
송풍팬 장착부(236)에는 발효 모듈(1)에 접하는 보조 접촉부(236C)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접촉부(236C)는 송풍팬 장착부(236)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접촉부(236C)는 발효모듈 접촉바디(232)에 접할 수 있다.
보조 접촉부(236C)는 수평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고 발효모듈 접촉바디(232)의 접촉부(232A)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메인 프레임(230)에는 가스배출 유로모듈(7)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가스배출 공간(S13)이 형성될 수 있다. 가스배출 공간(S13)은 프레임 바디(231)에 형성될 수 있다. 가스배출 공간(S13)은 구획판(243)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고, 베리어(245)에 의해 응축기 수용공간(S12)과 구획될 수 있다.
가스배출 유로모듈(7)의 적어도 일부는 가스배출 공간(S13)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72) 및 가스 취출밸브(73)는 가스배출 공간(S13)에 배치될 수 있다.
가스배출 공간(S13)의 배면은 개방될 수 있다. 이로써 가스배출 유로모듈(7)에서 배출된 가스는 제1리어 커버(260)의 커버 관통공(264)을 통과하여 제2리어 커버(270)의 통공(271)으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메인 유로(4)에 설치된 밸브 중 적어도 하나는 메인 프레임(230)에 고정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메인 밸브(9), 바이패스 밸브(35) 및 유로 절환밸브(20) 중 적어도 하나는 메인 프레임(230)에 고정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에는 메인 밸브(9), 바이패스 밸브(35) 및 유로 절환밸브(20) 중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는 메인유로 밸브 장착부(249)가 구비될 수 있다.
메인유로 밸브 장착부(249)는 밸브 브라켓(249A)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에는 메인 밸브(9), 바이패스 밸브(35) 및 유로 절환밸브(20) 중 적어도 하나는 밸브 브라켓(249A)에 체결될 수 있다.
밸브 브라켓(249A)은 송풍팬 장착부(236)에 형성된 브라켓 장착홈(236B)에 장착될 수 있다. 브라켓 장착홈(236B)은 송풍팬 장착부(236)의 전면 상측 중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음료 취출 밸브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음료 취출밸브(62)는 밸브 바디(600), 승강 밸브체(610), 회전 레버(620) 및 리미트 스위치(63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바디(600)에는 음료 취출유로(61, 도 1 참조)와 연결된 밸브유로(611)가 형성될 수 있다.
승강 밸브체(610)는 밸브 바디(600)에 승강되게 배출되고 밸브유로(611)를 개폐할 수 있다.
회전 레버(620)는 승강 밸브체(6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 동작시 승강 밸브체(61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리미트 스위치(630)는 승강 밸브체(610)에 의해 스위칭 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2)는 밸브 바디(600)에 내장되어 승강 밸브체(610)를 하측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밸브 스프링(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바디(600)는 센터 커버(213)에 형성된 취출밸브 장착부(214)에 장착될 수 있다.
밸브유로(611)는 밸브 바디(60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 유로(612)와, 수평유로(612)의 선단에서 하측 바향으로 꺽이게 형성된 수직유로(613)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유로(61)로 안내된 음료는 수평유로(612)의 개방시 수평유로(612)와 수직유로(613)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수직유로(613)의 하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 밸브 바디(600)는 내부에 수평유로(612)가 형성된 수평부와, 수평부에 직교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수직유로(613)가 형성된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밸브체(610)는 밸브유로(611) 특히 수직유로(613)에 승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승강 밸브체(610)는 수평유로(612)를 막는 높이로 하강될 수 잇고, 수평유로(612)를 개방하는 높이로 상승될 수 있다. 승강 밸브체(610)는 상부가 밸브 바디(60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승강 밸브체(610)에는 그 상승시 리미트 스위치(630)를 접점시키는 조작돌기(614)가 돌출될 수 있다.
회전 레버(620)는 승강 밸브체(610)의 상부에 힌지(621) 연결될 수 있고, 승강 밸브체(6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거나 수평하게 눕혀질 수 있다.
회전 레버(620)가 수평하게 눕혀질 경우, 승강 밸브체(610)는 상승되어 수평유로(612)를 개방할 수 있고, 회전 레버(620)가 수직하게 세워질 경우, 승강 밸브체(610)는 하강되어 수평유로(612)를 폐쇄할 수 있다.
리미트 스위치(630)는 제어 모듈(2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어 모듈(280)은 리미트 스위치(630)의 온, 오프에 따라 음료 제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밸브 스프링(640)는 밸브 바디(600)의 수직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승강 밸브체(610)를 하측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제어 순서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도 10을 도 1과 함께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음료 제조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음료 제조기는 그 내부의 유로를 세척 및 살균하는 세척 및 살균 단계(S100)(S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 및 살균 단계(S100)(S1300)는 음료 제조 코스와 별도로 진행될 수 있다.
세척 및 살균 단계(S100)(S1300)는 음료 제조 코스의 실시 이전 및 음료 제조 코스의 실시 이후에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척 및 살균 단계(S100)(S1300)는 음료 제조 코스의 도중에,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후술하는 1차 발효단계나 2차 발효단계와 같이, 메인밸브(9)가 클로즈이고, 디스펜서(3)에 첨가제가 담겨있지 않은 동안 실시될 수 있다.
세척 및 살균 단계(S100)(S1300)는 디스펜서(3) 내부에 캡슐(C1)(C2)(C3)이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다.
반면, 음료 제조 코스는 디스펜서(3) 내부에 캡슐(C1)(C2)(C3)이 수용되고 발효조(112) 내부에 음료 제조팩(12)가 수용된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모듈(280)에 구비된 입력부나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세척 및 살균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세척 및 살균 명령의 입력에 따라 음료 제조기를 세척 및 살균 코스(S100)(S1300)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어모듈(280)에 구비된 입력부나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음료 제조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음료 제조 명령의 입력에 따른 음료 제조 코스의 실시 전후에, 자동으로 음료 제조기를 세척 및 살균 코스(S100)(S1300)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음료 제조코스 이전에 실시되는 세척 및 살균 단계(S100)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음료 취출밸브가 클로즈 상태일 경우, 제어 모듈(280)은 음료 취출밸브(62)를 개방하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282)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음료 취출밸브(62)를 개방시켜 리미트 스위치(630)를 온 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음료 취출밸브(62)의 리미트 스위치(630)가 온이고 입력부나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세척 및 살균 명령을 입력되었으면, 급수펌프(52), 급수히터(53)를 온 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80)은 메인밸브(9)을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유로 절환밸브(20)를 제어하여 디스펜서(3) 및 바이패스 유로(4C)의 세척 및 살균을 각각 수행하거나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280)은 디스펜서(3)의 세척 및 살균 이후에 바이패스 유로(4C)의 세척 및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펜서(3)의 세척 및 살균 시, 제어모듈(280)은 제1메인유로(4A)와 공통 디스펜서 입구유로(301)가 연통되도록 유로 절환 밸브(20)를 제어하고, 각 개폐밸브(313)(323)(333)를 온 시킬 수 있다. 각 개폐밸브(313)(323)(333)의 온 시, 각 개폐밸브(313)(323)(333)는 오픈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4C)의 세척 및 살균 시, 제어모듈(280)은 제1메인유로(4A)와 바이패스 유로(4C)가 연통되도록 유로 절환 밸브(20)를 제어하고, 바이패스 밸브(35)를 온 시킬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의 온 시, 바이패스 밸브(35)는 오픈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온시, 수조(51)의 물은 급수히터(53)로 유동되어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될 수 있다.
제어모듈(280)이 제1메인유로(4A)와 공통 디스펜서 입구유로(301)가 연통되도록 유로 절환 밸브(20)를 제어한 경우,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즉, 온수)는 각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를 통해 제1캡슐 수용부(31)와, 제2캡슐 수용부(32)와, 제3캡슐 수용부(33)로 유동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은 제1캡슐 수용부(31)와, 제2캡슐 수용부(32)와, 제3캡슐 수용부(33)를 통과한 후 제2메인유로(4B)로 유동될 수 있고, 음료 취출유로(61)를 통해 음료 취출밸브(62)로 취출될 수 있다.
제어모듈(280)이 제1메인유로(4A)와 바이패스 유로(4C)가 연통되도록 유로 절환 밸브(20)를 제어한 경우,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즉, 온수)는 각 바이패스 유로(4C)를 통해 바이패스 밸브(35)로 유동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은 바이패스 밸브(35)를 통과한 후 제2메인유로(4B)로 유동될 수 있고, 음료 취출유로(61)를 통해 음료 취출밸브(62)로 취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시, 음료 제조기는 제1메인유로(4A), 바이패스 유로(4C), 바이패스 밸브(35), 캡슐 수용부(31)(32)(33), 음료 취출유로(61) 및 음료 취출밸브(62)가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에 의해 세척 및 살균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상기와 같은 세척 및 살균을 세척 설정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고, 세척 설정시간 이후, 세척 및 살균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세척 설정시간 경과 후, 급수펌프(52), 급수히터(53)를 오프시킬 수 있으며, 바이패스 밸브(35)와, 각 개폐밸브(313)(323)(333) 모두를 오프시킬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와, 각 개폐밸브(313)(323)(333)의 오프시, 바이패스 밸브(35)와, 각 개폐밸브(313)(323)(333) 모두는 클로즈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음료 제조기는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제조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음료 제조코스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음료 제조 코스를 위해, 발효 리드(107)를 열고 음료 제조팩(12)을 개구부(170)로 삽입하여 발효조 모듈(111)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발효 리드(107)를 닫을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은 발효조 모듈(111)과 발효 리드(107)에 수용되어 보관될 수 있다. 이때, 발효조(112)의 내부는 발효 리드(107)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음료 제조팩(12)의 안착 전, 후에 디스펜서(3)에 복수개의 캡슐(C1)(C2)(C3)를 삽입한 후 리드 모듈(37)로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을 덮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 모듈(280)에 연결된 입력부나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음료 제조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음료 제조 명령의 입력에 따라 음료 제조기를 음료 제조 코스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음료 제조 코스시, 음료 제조팩(12)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단계(S200)를 개시할 수 있다. 급수단계(S200)은 음료 제조팩(12) 내의 맥아를 온수와 고르게 혼합(Mixing)하여 액상 맥아를 형성하는 액상 맥아 형성단계일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급수단계(S200)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온 시킬 수 있고, 제1메인유로(4A)와 바이패스 유로(4C)가 연통되도록 유로 절환밸브(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급수단계(S200)시 바이패스 밸브(35)를 온 시킬 수 있으며, 메인밸브(9)를 온 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오프 상태인 메인밸브(9)를 온시켜 메인밸브(9)를 오픈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급수단계(S200)시 제1개폐밸브(313), 제2개폐밸브(323), 제3개폐밸브(333)을 오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모듈(280)은 음료 제조팩(12)으로 급수시 가스 취출밸브(73)을 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280)은 배기 밸브(156)를 온시켜 배기 밸브(156)를 오픈 제어할 수 있다.
수조(51)의 물은 수조(51)에서 출수되어 급수펌프(52)를 통과할 수 있고, 급수히터(53)로 유동되어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은 제1메인 유로(4A), 유로 절환밸브(20), 바이패스 밸브(35)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고, 메인밸브(9)를 통과하여 음료 제조팩(1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메인유로(4)를 통해 음료 제조팩(12)으로 유입된 온수는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되어 있던 맥아와 혼합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 내의 맥아는 물과 혼합되어 점차 희석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팩(12)으로 온수가 공급되므로,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되어 있던 맥아는 온수와 신속하고 고르게 혼합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상기와 같은 물의 유입시 점차 팽창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는 음료 제조팩(12)이 팽창됨에 따라 일부가 에어 공급유로(154)로 유동될 수 있고, 에어 공급유로(154)로 유동된 공기는 배기밸브(156)로 배기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으로 물이 유입되는 동안,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에 채워져있던 공기 중 일부는 배기밸브(156)를 통해 배기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은 발효조(112) 내부에서 터지거나 찢어지는 것 없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급수단계(S200)시 급수히터(53)는 물을 50℃ 내지 7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어 모듈(280)은 써미스터(57)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급수히터(53)를 제어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상기와 같은 급수단계(S200)를 유량계(56)에서 감지된 수량이 설정유량에 도달될 때까지 실시할 수 있고, 유량계(56)에서 감지된 수량이 설정유량에 도달되면, 급수단계(S200)을 완료할 수 있다.
급수단계(S200)의 완료 시, 제어 모듈(280)은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오프 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35)를 오프 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급수단계(S200)의 완료 시 가스 취출밸브(73)을 오프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급수단계(S200)의 완료 시, 배기밸브(156)를 클로즈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상기와 같은 급수단계(S200)의 도중에, 음료 제조팩(12)의 내부로 에어가 유입되게 제어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음료 제조팩(12)의 내부로 물을 1차 유입한 다음 중단하고, 이후 음료 제조팩(12)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한 다음 중단하며, 최종적으로 음료 제조팩(12)의 내부로 온수를 2차 유입한 다음 중단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1차 물 유입과, 에어 주입과, 2차 물 유입을 순차적으로 모두 완료한 후 급수단계(S200)를 완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급수단계(S200)의 일 예는 온수를 급수하는 온수급수과정만을 실시할 수 있다.
급수단계(S300)의 다른 예는 1차로 온수를 급수하는 1차 온수급수과정과,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주입과정과, 2차로 온수를 주입하는 2차 온수급수과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급수단계(S200)의 일예로 급수단계(S200)가 온수급수과정만을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 모듈(280)은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온시킬 수 있고, 제1메인유로(4A)와 바이패스 유로(4C)가 연통되도록 유로 절환밸브(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80)은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바이패스 밸브(35)를 온시킬 수 있으며, 메인밸브(9)를 온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가스 취출밸브(73)을 온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배기밸브(156)을 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280)은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오프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35)를 오프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가스 취출밸브(73)을 오프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배기밸브(156)을 오프시킬 수 있다.
이하, 급수단계(S200)의 다른 예로, 급수단계(S200)가 1차 온수급수과정과, 에어주입과정과, 2차 온수급수과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 모듈(280)은 1차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온시킬 수 있고 제1메인유로(4A)와 바이패스 유로(4C)가 연통되도록 유로 절환밸브(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80)은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바이패스 밸브(35)를 온시킬 수 있으며, 메인밸브(9)를 온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1차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가스 취출밸브(73)을 온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1차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배기밸브(156)을 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280)은 1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오프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1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바이패스 밸브(35)와 메인밸브(9)의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1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가스 취출밸브(73)의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1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배기밸브(156)의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1차 온수급수과정시, 음료 제조팩(12)의 내부에는 물이 유입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은 유입되는 물에 의해 팽창될 수 있으며,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음료 제조팩(12)에 밀려 에어 공급유로(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에어주입과정의 개시시 에어 주입펌프(82)를 온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80)은 에어주입과정의 개시시 에어 주입유로(81)와 바이패스 유로(4C)가 연통되도록 유로 절환밸브(20)를 제어할 수 있고, 에어공급 개폐밸브(159)를 클로즈 제어할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가 온인 동안, 에어 주입펌프(82)에 의해 펌핑된 에어는 에어 주입유로(81)를 통해 바이패스 유로(4C)로 유입될 수 있고, 메인밸브(9)를 통해 음료 제조팩(1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료 제조팩(12)으로 유입된 에어는 액상 맥아를 부딪혀 맥아와 온수가 보다 고르게 혼합(Mixing)되게 도울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으로 에어가 유입됨에 따라, 음료 제조팩(12)은 팽창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음료 제조팩(12)에 밀려 에어 공급유로(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압력 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이면, 에어주입과정을 완료할 수 있고, 에어주입과정의 완료를 위해 에어 주입펌프(82)를 오프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에어주입과정의 완료시, 메인밸브(9)와 바이패스 밸브(35)와, 가스 취출밸브(73) 및 배기밸브(156)을 온 유지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2차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온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80)은 2차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제1메인유로(4A)와 바이패스 유로(4C)가 연통되도록 유로 절환밸브(20)를 제어할 수 있다.
수조(51)의 물은 1차 온수급수과정과 같이, 음료 제조팩(12)로 급수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에는 새로운 온수가 추가 급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2차 온수급수시, 음료 제조팩(12)은 추가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더욱 팽창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에 잔존한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음료 제조팩(12)에 밀려 에어 공급유로(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2차 온수급수과정의 도중에 유량계(56)에서 감지된 유량에 따라 2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2차 온수급수과정의 도중에 유량계(56)에서 감지된 유량이 설정유량에 도달되면, 2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로 판단하고,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오프하고, 메인밸브(9)와 바이패스 밸브(35)와 가스 취출밸브(73)을 오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280)은 발효조(112) 내의 에어가 배기밸브(156)을 통해 배기되지 않도록 배기밸브(156)를 오프하여 클로즈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급수단계(S200)가 완료되면, 발효조(112)를 냉각시키는 발효조 냉각단계(S300)을 실시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발효조(112)의 냉각을 위해 온도 조절기(11)를 제어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어 모듈(280)은 발효조(112)의 냉각을 위해 냉동사이클 장치(13)의 압축기(131)과 팽창기구(133)을 제어할 수 있다.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132)에서 응축된 후 팽창기구(133)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팽창기구(133)에 의해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134)를 통과하면서 발효조(112)의 열을 빼앗고, 증발될 수 있다. 증발기(134)를 통과한 냉매는 압축기(131)로 흡입될 수 있다. 압축기(131)의 구동시 발효조(112)는 점차 냉각될 수 있고, 발효조(112) 내부에 수용된 음료 제조팩(12)와,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된 액상 맥아는 냉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효조(112)의 냉각시,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팩(12)을 중온 예를 들면, 23℃ 내지 27℃로 냉각할 수 있고, 제어 모듈(280)은 발효조(112)에 설치된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압축기(131)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압축기 온 온도 초과이면 압축기(131)를 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압축기 오프 온도 이하이면 압축기(131)를 오프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발효조 냉각단계(S300)의 도중에 배기밸브(156)를 ??쇄 유지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와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는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으며, 발효조(112) 내부의 공기는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예외적으로, 외부의 온도가 매우 낮아 음료 제조팩(12)의 온도가 중온보다 낮아진 경우, 제어모듈(280)은 발효조(112)에 감긴 히터(14)를 온 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히터 온 온도 미만이면 히터(14)를 온 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히터 오프 온도 이상이면 히터를 오프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상기와 같은 발효조 냉각단계(S300)가 개시되고 압축기(131)가 온된 후,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적어도 1회 압축기 오프 온도 이하이면, 음료 제조팩(12) 내에 에어를 공급하여 액상 맥아를 믹싱하는 믹싱단계(S400)를 실시할 수 있다. 또는, 음료 제조기는 상기와 같은 발효조 냉각단계(S300)가 개시되고 히터(14)가 온 된 경우,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적어도 1회 히터 오프 온도 이상이면, 음료 제조팩(12) 내에 에어를 공급하여 액상 맥아를 믹싱하는 믹싱단계(S400)를 실시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믹싱단계(S400)의 도중에도,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압축기(131) 및 히터(14)를 온, 오프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압축기(131) 및 히터(14)의 온, 오프 제어는 후술하는 첨가제 투입단계(S500)(S600)(S700)가 완료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믹싱단계(S400) 시, 제어 모듈(280)은 에어 주입펌프(82)를 온시키고, 에어공급 개폐밸브(159)를 오프시키고, 에어 주입유로(81)와 바이패스 유로(4C)가 연통되도록 유로 절환밸브(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80)은 바이패스 밸브(35)와 메인밸브(9)와 가스 취출밸브(73)을 온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배기밸브(156)을 오픈 제어할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가 온인 동안, 에어 주입펌프(82)에 의해 펌핑된 에어는 에어 주입유로(81)를 통해 바이패스 유로(4C)로 유입될 수 있고, 이후 제2메인유로(4B)와 메인밸브(9)를 통해 음료 제조팩(1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료 제조팩(12)으로 유입된 에어는 액상 맥아를 부딪혀 맥아와 물이 보다 고르게 혼합되게 도울 수 있고, 액상 맥아에 부딪힌 에어는 액상 맥아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으로 에어가 주입되는 동안, 음료 제조팩(12)는 음료 제조팩(12) 내부로 주입된 에어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음료 제조팩(12)에 밀려 에어 공급유로(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가 에어 공급유로(154) 및 배기밸브(156)를 통해 배기됨에 따라, 음료 제조팩(12)은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고, 메인유로(4)의 에어는 신속하게 음료 제조팩(12)으로 유입되어 액상 맥아와 혼합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에어 주입펌프(82)가 온되고 믹싱설정시간(예를 들면, 1시간) 동안 에어를 액상 맥아에 혼합할 수 있고, 에어 주입펌프(82)가 온되고 믹싱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에어 주입펌프(82)를 오프하고, 바이패스 밸브(35)와, 가스 취출밸브(73)을 오프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에어 주입펌프(82)의 오프시, 배기밸브(156)를 클로즈 제어할 수 있다. 즉, 음료 제조기는 믹싱설정시간이 경과되면, 믹싱단계(S400)을 완료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믹싱단계(S400) 이후에, 첨가제 투입단계(S500)(S600)(S700)를 실시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첨가제 투입단계(S500)(S600)(S700)시, 제1캡슐(C1)의 첨가제와, 제2캡슐(C2)의 첨가제와, 제3캡슐(C3)의 첨가제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제1캡슐(C1)의 첨가제 투입과정(S500)과, 제2캡슐(C2)의 첨가제 투입과정(S600)과, 제3캡슐(C3)의 첨가제 투입과정(S700)을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첨가제 투입단계(S500)(S600)(S700)는 급수 펌프(52)에 의한 수압에 의해 이뤄지거나, 또는 에어 주입펌프(82)에 의한 공압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먼저, 첨가제 투입단계(S500)(S600)(S700)가 수압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어 모듈(280)은 첨가제 투입단계(S500)(S600)(S700) 시 제1메인 유로(4A)와 공통 디스펜서 입구유로(301)가 연통되도록 유로 절환밸브(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제1캡슐(C1)의 첨가제 투입과정(S500)시, 급수펌프(52)와, 메인밸브(9)와 제1개폐밸브(313)과, 가스 취출밸브(73)을 제1첨가제 설정시간동안 온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온시, 수조(51)의 물은 급수펌프(52)를 통과한 후 급수히터(53)를 통과하고, 제1캡슐(C1)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캡슐(C1)으로 유입된 물은 제1캡슐(C1)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혼합되고, 제1캡슐(C1)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함께 제2메인유로(4B)로 유동될 수 있고, 제2메인유로(4B)를 통해 음료 제조팩(12)로 투입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제1첨가제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급수펌프(52)와, 제1개폐밸브(313)를 오프할 수 있고, 제1캡슐(C1)의 첨가제 투입과정(S500)을 완료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제2캡슐(C2)의 첨가제 투입과정(S600)시, 급수펌프(52)와 제2개폐밸브(323)을 제2첨가제 설정시간동안 온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온시, 수조(51)의 물은 급수펌프(52)를 통과한 후 급수히터(53)를 통과하고, 제2캡슐(C2)로 유입될 수 있다. 제2캡슐(C2)으로 유입된 물은 제2캡슐(C2)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혼합되고, 제2캡슐(C2)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함께 제2메인유로(4B)로 유동될 수 있고, 제2메인유로(4B)를 통해 음료 제조팩(12)로 투입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제2첨가제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급수펌프(52)와, 제2개폐밸브(323)를 오프할 수 있고, 제2캡슐(C2)의 첨가제 투입과정(S600)을 완료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제3캡슐(C3)의 첨가제 투입과정(S700)시, 급수펌프(52)와 제3개폐밸브(333)을 제3첨가제 설정시간동안 온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온시, 수조(51)의 물은 급수펌프(52)를 통과한 후 급수히터(53)를 통과하고, 제3캡슐(C3)로 유입될 수 있다. 제3캡슐(C3)으로 유입된 물은 제3캡슐(C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혼합되고, 제3캡슐(C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함께 제2메인유로(4B)로 유동될 수 있고, 제2메인유로(4B)를 통해 음료 제조팩(12)로 투입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제3첨가제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급수펌프(52)와, 제3개폐밸브(333)를 오프할 수 있고, 제3캡슐(C3)의 첨가제 투입과정(S700)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첨가제 투입단계(S500)(S600)(S700)는 공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첨가제 투입과정(S500)(S600)(S700) 시 에어 주입유로(81)와 공통 디스펜서 입구유로(301)가 연통되도록 유로 절환밸브(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280)은 첨가제 투입과정(S500)(S600)(S700) 시 에어 주입유로(81)와 재료 수용부가 연통되도록 유로 절환밸브(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첨가제 투입과정(S500)(S600)(S700) 시 에어공급 개폐밸브(159)를 클로즈 시킬 수 있고, 배기 밸브(156)을 오픈 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제1캡슐(C1)의 첨가제 투입과정(S500)시, 에어 주입펌프(82)와, 메인밸브(9)와 제1개폐밸브(313)과, 가스 취출밸브(73)을 제1첨가제 설정시간동안 온할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의 온 시, 펌핑된 공기는 제1개폐밸브(313)를 통과한 후 제1캡슐(C1)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캡슐(C1)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1캡슐(C1)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함께 제2메인유로(4B)로 유동될 수 있고, 제2메인유로(4B)를 통해 음료 제조팩(12)로 투입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제1첨가제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에어 주입펌프(82)와, 제1개폐밸브(313)를 오프할 수 있고, 제1캡슐(C1)의 첨가제 투입과정(S500)을 완료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제2캡슐(C2)의 첨가제 투입과정(S600)시, 에어 주입펌프(82)와 제2개폐밸브(323)을 제2첨가제 설정시간동안 온할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의 온 시, 펌핑된 공기는 제2개폐밸브(323)를 통과한 후 제2캡슐(C2)로 유입될 수 있다. 제2캡슐(C2)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2캡슐(C2)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함께 제2메인유로(4B)로 유동될 수 있고, 제2메인유로(4B)를 통해 음료 제조팩(12)로 투입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제2첨가제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에어 주입펌프(82)와, 제2개폐밸브(323)를 오프할 수 있고, 제2캡슐(C2)의 첨가제 투입과정(S600)을 완료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제3캡슐(C3)의 첨가제 투입과정(S700)시, 에어 주입펌프(82)와 제3개폐밸브(333)을 제3첨가제 설정시간동안 온할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의 온시, 펌핑된 공기는 제3개폐밸브(333)를 통과한 후 제3캡슐(C3)로 유입될 수 있다. 제3캡슐(C3)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3캡슐(C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와 함께 제2메인유로(4B)로 유동될 수 있고, 제2메인유로(4B)를 통해 음료 제조팩(12)로 투입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제3첨가제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에어 주입펌프(52)와, 제3개폐밸브(333)를 오프할 수 있고, 제3캡슐(C3)의 첨가제 투입과정(S700)을 완료할 수 있다.
메인유로(4)에서 음료 제조팩(12)으로 첨가제 및 에어가 주입됨에 따라, 음료 제조팩(12)은 더욱 팽창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음료 제조팩(12)에 밀려 에어 공급유로(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가 에어 공급유로(154) 및 배기밸브(156)를 통해 배기됨에 따라, 음료 제조팩(12)은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고, 메인유로(4)의 첨가물 및 에어는 신속하게 음료 제조팩(12)으로 투입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급수펌프(52)에 의한 수압으로 수행되는 첨가제 투입단계(S500)(S600)(S700)가 모두 완료되면, 디스펜서(3) 내의 잔수를 제거하는 디스펜서 잔수 제거단계(S800)을 실시할 수 있다. 다만, 첨가제 투입단계(S500)(S600)(S700)가 에어 주입펌프(52)에 의한 공압에 의해 수행된 경우에는 디스펜서 잔수 제거단계(S800)는 생략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디스펜서 잔수 제거단계(S800)시, 에어 주입펌프(82)를 온시키고, 에어공급 개폐밸브(159)를 오프시키고, 에어 주입유로(81)와 공통 디스펜서 입구유로(301)가 연통되도록 유로 절환밸브(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80)은 디스펜서 잔수 제거단계(S800)시, 제1개폐밸브(313), 제2개폐밸브(323), 제3개폐밸브(333)을 온시키고, 메인밸브(9)와, 가스 취출밸브(73)을 온시킬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의 온시, 공기는 에어 주입유로(81)와 공통 디스펜서 입구유로(301)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1캡슐수용부(31), 제2캡슐수용부(32) 및 제3캡슐 수용부(33)으로 공급되어, 제1캡슐수용부(31), 제2캡슐수용부(32) 및 제3캡슐 수용부(33)에 남아있는 잔수를 제2메인유로(4B)로 불어낼 수 있고, 공기는 제1캡슐수용부(31), 제2캡슐수용부(32) 및 제3캡슐 수용부(33)에 이동된 잔수와 함께 음료 제조팩(12)로 이동될 수 있다. 컨틀롤러(109)는 디스펜서 잔수 제거단계(S800)시, 배기밸브(156)을 개방할 수 있다.
메인유로(4)에서 음료 제조팩(12)으로 잔수 및 에어가 주입됨에 따라, 음료 제조팩(12)은 더욱 팽창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음료 제조팩(12)에 밀려 에어 공급유로(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가 에어 공급유로(154) 및 배기밸브(156)를 통해 배기됨에 따라, 음료 제조팩(12)은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고, 메인유로(4)의 에어 및 잔수는 신속하게 음료 제조팩(1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잔수제거 설정시간동안 에어 주입펌프(82)를 온시키고, 잔수제거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에어 주입펌프(82)를 오프시킬 수 있고, 제1개폐밸브(313)와, 제2개폐밸브(323)와, 제3개폐밸브(333)와, 메인밸브(9)와, 가스 취출밸브(73)를 오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280)은 배기밸브(156)를 클로즈 제어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잔수제거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디스펜서 잔수 제거단계(S800)을 완료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디스펜서 잔수 제거단계(S800)가 완료되면 디스플레이(282)에 캡슐(C1)(C2)(C3)을 제거하여도 된다는 캡슐분리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펜서(3)에서 빈 캡슐을 제거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디스펜서 잔수 제거단계(S800)의 완료 이후에, 1차발효단계(S900)와 2차발효단계(S1000)를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1차발효단계시(S900), 압축기(131) 및 히터(14)를 1차발효 타겟온도로 제어할 수 있고,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1차발효설정온도범위를 유지하게 압축기(131) 및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1차발효단계(S900) 개시 후, 가스 취출밸브(73)를 주기적으로 온시켰다가 오프시키고, 가스 취출밸브(73)가 온인 동안에 압력 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을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압력 센서(72)에서 주기적으로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제1발효설정압력를 초과하면, 1차발효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1차 발효단계(S900)를 완료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1차 발효단계(S900)의 완료 후, 2차 발효단계(S1000)를 개시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2차발효단계시(S1000), 압축기(131) 및 히터(14)를 2차발효 타겟온도로 제어할 수 있고,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2차발효설정온도범위를 유지하게 압축기(131) 및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2차발효단계(S1000) 개시 후, 가스 취출밸브(73)를 주기적으로 온시켰다가 오프시키고, 가스 취출밸브(73)가 온인 동안에 압력 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을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압력 센서(72)에서 주기적으로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제2발효설정압력를 초과하면, 2차발효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2차 발효단계(S1000)를 완료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1차 발효단계(S900)과 2차 발효단계(S1000)이 모두 완료되면, 숙성단계(S1100)를 실시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숙성단계시, 숙성시간 동안 대기할 수 있고, 이러한 숙성시간의 동안 음료의 온도가 설정숙성온도의 상한값과 설정숙성온도의 하한값 사이를 유지하게 압축기(131) 및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주로 실내에서 사용되므로, 음료 제조기 외부의 온도는 설정 숙성온도의 상한값과 설정 숙성온도의 하한값 사이이거나, 설정 숙성온도의 상한값보다 높음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제어 모듈(280)은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숙성온도의 하한값 이하이면, 압축기(131)를 오프시킬 수 있고,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숙성온도의 상한값 이상이면, 압축기(131)를 온시킬 수 있다.
예외적으로, 음료 제조기 외부의 온도가 설정숙성온도의 하한값보다 낮은 경우, 제어 모듈(280)은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하한값 미만이면 히터(14)를 온 시킬 수 있고,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숙성온도의 상한값 이상이면, 히터(14)를 오프 시킬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숙성시간이 경과되면, 음료의 제조가 모두 완료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디스플레이(282) 등을 통해 음료의 제조 완료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80)은 압축기(134)를 제어하여, 발효조(112)의 온도를 기설정된 음용 온도의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로 유지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온도 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음용 온도의 상한값 이상이면 압축기(131)를 온 시킬 수 있고, 온도 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음용 온도의 하한값보다 낮아지면 압축기(131)를 오프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제조기는 사용자에게 항상 시원한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음료 취출(S1200)이 완료되기 전까지 발효조(112)의 온도를 기설정된 음용 온도의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음료 취출 단계(S1200) 시, 사용자는 음료 취출밸브(62)를 조작하여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음료 취출밸브(6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리미트 스위치(630)는 접점될 수 있고, 제어 모듈(280)은 음료 제조가 완료된 상태이므로, 메인밸브(9)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의 개방시, 음료 제조팩(12) 내의 음료는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압력에 의해 음료 제조팩(12)에서 메인유로(4)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4)에서 음료 취출유로(61)로 유동되어 음료 취출밸브(62)로 취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음료 취출밸브(62)를 통해 음료를 일부 취출한 후 음료 취출밸브(62)를 클로즈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리미트 스위치(630)는 접점 해제될 수 있고, 제어 모듈(280)은 메인밸브(9)를 클로즈할 수 있다.
이후, 제어 모듈(280)은 에어 주입펌프(82)를 온시킬 수 있고, 에어공급 개폐밸브(159)를 온 시켜 오픈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배기밸브(156)는 클로즈 유지될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의 온 시, 에어는 에어 주입유로(81) 및 에어 공급유로(154)를 차례로 통과하여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로 공급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는 음료 제조팩(12)의 음료가 제2메인유로(4B)로 상승될 수 있는 압력으로 음료 제조팩(12)을 가압한다. 이후의 음료 취출시 음료 제조팩(12)의 음료가 원활하게 신속하게 취출될 수 있도록,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를 충분한 고압으로 형성해두기 위함이다.
사용자는 음료 취출밸브(62)를 통해 음료를 적어도 1회 취출할 수 있고, 제어 모듈(280)은 리미트 스위치(630)가 온인 시간과, 에어펌프(152)가 구동인 시간과, 음료 제조가 완료된 후 메인밸브(9)가 온인 시간 등의 정보를 이용해 음료 취출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음료 취출이 완료이면, 에어공급 개폐밸브(159)를 클로즈 제어하고, 배기밸브(156)를 오픈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음료 취출이 완료이고, 음료 취출밸브(62)가 클로즈이면, 배기밸브(156)를 완료 설정시간 동안 온시켜 오픈한다.
배기밸브(156)의 오픈 제어시,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는 에어 공급유로(154)를 통해 배기밸브(156)로 배기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는 대기압과 같아 질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배기밸브(156)를 온시킨 후, 완료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배기밸브(156)를 오프시켜 클로즈한다.
음료 취출 이후에 세척 및 살균단계(S1300)를 실시하지 않거나, 상기 세척 및 살균단계(S1300)가 메인유로 세척과정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 제어 모듈(280)은 디스플레이(282)에 음료 제조팩(12)을 제거하라는 팩 제거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료 제조팩(12)을 발효조 모듈(111)에서 꺼내기 위해 발효 리드(107)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효 리드(107)의 개방시, 발효조(112)의 내부가 대기압 보다 설정압 이상의 고압이면, 음료 제조팩(12)은 이러한 압력 차에 의해 발효조(112)의 상부로 튀어 오를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발효 리드(107)를 개방하기 이전에,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가 배기밸브(156)를 통해 배기되면, 발효 리드(107)를 열었을 때, 음료 제조팩(12)은 상측으로 튀어 오르지 않고, 발효조(112)의 내부에 유지된다.
즉, 사용자는 안전하고 청결하게 기사용한 음료 제조팩(12)을 발효조(112)에서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팩(12)의 음료가 전부 취출되어 제어 모듈(280)이 음료 취출 완료임을 판단한 경우, 제어 모듈(280)은 음료 제조코스 및 음료 취출 이후의 세척 및 살균 단계(S1300)를 더 실시할 수 있다.
음료 제조코스 및 음료 취출 이후의 세척 및 살균 단계(S1300)는 취출밸브 세척과정과 메인유로 세척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 및 살균 코스(S1300)가 취출밸브 세척과정 및 메인유로 세척과정을 포함할 경우, 각 세척과정의 실시 순서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취출밸브 세척과정은 앞서 설명한 음료 제조 코스 이전의 세척 및 살균단계(S10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메인밸브 세척과정을 설명한다.
제어 모듈(280)은 음료 취출밸브(62)의 리미트 스위치(630)가 오프이면 급수펌프(52), 급수히터(53)를 온 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80)은 메인밸브(9)을 오픈 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메인유로 세척과정의 개시시 가스 취출밸브(73)을 온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메인유로 세척과정의 개시시 배기밸브(156)을 온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유로 절환밸브(20)를 제어하여 디스펜서(3) 및 바이패스 유로(4C)의 세척 및 살균을 각각 수행하거나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280)은 디스펜서(3)의 세척 및 살균 이후에 바이패스 유로(4C)의 세척 및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펜서(3)의 세척 및 살균 시, 제어모듈(280)은 제1메인유로(4A)와 공통 디스펜서 입구유로(301)가 연통되도록 유로 절환 밸브(20)를 제어하고, 각 개폐밸브(313)(323)(333)를 온 시킬 수 있다. 각 개폐밸브(313)(323)(333)의 온 시, 각 개폐밸브(313)(323)(333)는 오픈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4C)의 세척 및 살균 시, 제어모듈(280)은 제1메인유로(4A)와 바이패스 유로(4C)가 연통되도록 유로 절환 밸브(20)를 제어하고, 바이패스 밸브(35)를 온 시킬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의 온 시, 바이패스 밸브(35)는 오픈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온시, 수조(51)의 물은 급수히터(53)로 유동되어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될 수 있다.
제어모듈(280)이 제1메인유로(4A)와 공통 디스펜서 입구유로(301)가 연통되도록 유로 절환 밸브(20)를 제어한 경우,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즉, 온수)는 각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를 통해 제1캡슐 수용부(31)와, 제2캡슐 수용부(32)와, 제3캡슐 수용부(33)로 유동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은 제1캡슐 수용부(31)와, 제2캡슐 수용부(32)와, 제3캡슐 수용부(33)를 통과한 후 제2메인유로(4B)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 연결부(115)를 통해 발효조(112) 내의 빈 음료 제조팩(1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어모듈(280)이 제1메인유로(4A)와 바이패스 유로(4C)가 연통되도록 유로 절환 밸브(20)를 제어한 경우,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즉, 온수)는 각 바이패스 유로(4C)를 통해 바이패스 밸브(35)로 유동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은 바이패스 밸브(35)를 통과한 후 제2메인유로(4B)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 연결부(115)를 통해 발효조(112) 내의 빈 음료 제조팩(12)으로 유입될 수 있다.
메인유로 세척과정 시, 음료 취출이 완료되고 비어있는 음료 제조팩(12)에는 살균 및 세척을 수행한 물이 유입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은 유입되는 물에 의해 팽창될 수 있으며, 음료 제조팩(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음료 제조팩(12)에 밀려 에어 공급유로(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시, 음료 제조기는 제1메인유로(4A), 바이패스 유로(4C), 바이패스 밸브(35), 캡슐 수용부(31)(32)(33), 제2메인유로(4B) 및 메인유로 연결부(115)가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에 의해 세척 및 살균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상기와 같은 세척 및 살균을 메인유로 세척 설정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고, 메인유로 세척 설정시간 이후, 메인유로 세척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메인유로 세척 설정시간 경과 후, 급수펌프(52), 급수히터(53)를 오프시킬 수 있으며, 메인 밸브(9)와, 바이패스 밸브(35)와, 각 개폐밸브(313)(323)(333)와, 가스 취출밸브(73)와, 배기 밸브(156) 모두를 클로즈시킬 수 있다.
세척 및 살균단계(S1300)가 완료된 이후, 사용자는 발효 리드(107)를 개방하고 발효조 모듈(111)에서 세척을 수행한 물이 든 음료 제조팩(12)을 꺼내어 처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서브 밸브(64)를 제외하면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음료취출 유로모듈(6)은 음료 취출유로(61)를 개폐하는 서브 밸브(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밸브(64)는 음료 취출유로(61)에 설치될 수 있다.
음료의 취출 시 서브 밸브(64)는 오픈될 수 있고, 음료가 취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서브 밸브(64)는 클로즈 유지될 수 있다.
음료의 취출 시, 서브 밸브(64)는 맥주 취출밸브(62)와 오픈/클로즈 동작이 동기화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사용자가 맥주 취출밸브(62)를 오픈하면 리미트 스위치(630)가 온 되고, 제어 모듈(280)은 리미트 스위치(630)가 온 되면 서브 밸브(64)를 오픈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맥주 취출밸브(62)를 클로즈하면 리미트 스위치(630)가 오프 되고, 제어 모듈(280)은 리미트 스위치(630)가 오프 되면 서브 밸브(64)를 클로즈시킬 수 있다.
메인 밸브(9) 및 서브 밸브(64) 중 적어도 하나는 메인 프레임(230)에 장착될 수 있다.
물, 공기 또는 혼합물이 메인 유로(4)를 따라 발효 모듈(1)로 유입될 경우, 제어 모듈(280)은 메인 밸브(9)를 오픈하고 서브 밸브(64)를 클로즈 시킬 수 있다.
발효 모듈(1)에서 메인 유로(4)를 따라 음료가 취출될 경우, 제어 모듈(280)은 메인 밸브(9)를 클로즈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2)가 개방되어 리미트 스위치(630)가 온 되면, 제어 모듈(280)은 서브 밸브(64)를 오픈 시킬 수 있고, 음료 취출밸브(62)가 폐쇄되어 리미트 스위치(630)가 오프 되면, 제어 모듈(280)은 서브 밸브(64)를 클로즈 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음료 취출단계(S1200) 시 메인 밸브(9)는 클로즈되고 서브 밸브(64)는 오픈되어, 발효 모듈(1)에서 메인유로(4)로 취출된 음료는 음료 취출유로(61)로 안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음료 취출밸브(62)를 개방하여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음료취출 유로모듈(6)과 메인유로(4)의 연결관계를 제외하면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음료취출 유로모듈(6)은 메인유로(4) 중 메인 밸브(9)와 발효모듈(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음료 취출유로(61)는 제2메인유로(4B) 중 메인 밸브(9)와 발효 모듈(1)에 형성된 메인유로 연결부(115)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메인유로(4)의 제1연결부(91`)는 메인 밸브(9)와 제2연결부(9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발효 모듈(1)로 유입되는 물, 공기 또는 혼합물은 메인 밸브(9)를 통과하고, 발효 모듈(1)에서 취출되는 음료는 서브 밸브(64)를 통과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밸브(9)가 양방향 밸브로 작동하지 않고 일 방향 밸브로 작동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발효 모듈 100: 베이스
107: 발효 리드 111: 발효조 어셈블리
112: 발효조 11: 온도 조절기
12: 음료 제조팩 131: 압축기
132: 응축기 135: 송풍팬
15: 에어조절 유로모듈 156: 배기 밸브
159: 에어공급 개폐밸브 170: 개구부
2: 유로 모듈 20: 유로절환밸브
230: 메인 프레임 231: 프레임 바디
232: 발효모듈 접촉바디 233: 수조 서포터
236: 송풍팬 장착부 280: 제어모듈
3: 디스펜서 5: 급수 유로모듈
51: 수조 7: 가스배출 유로모듈
73: 가스개폐밸브 8: 에어주입 유로모듈
82: 에어 주입펌프 9: 메인 밸브

Claims (22)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과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된 발효조 모듈;
    상기 발효조 모듈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서 상기 발효조 모듈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수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공간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음료 제조팩;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발효 리드;
    상기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
    상기 음료 제조팩에 연결되고 급수 펌프가 구비된 유로 모듈;
    수평 방향에 대해 상기 수조와 상기 발효조 모듈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 모듈에 연결되고 물의 유동 방향에 대해 상기 급수 펌프의 이후에 위치하며, 첨가제가 내장된 캡슐이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디스펜서; 및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발효조 모듈 및 수조의 후방에서 접하며 상기 유로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 펌프에 의해 유동된 물은 상기 캡슐 내부를 통과하며 상기 첨가제와 함께 상기 음료 제조팩으로 투입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발효조 모듈의 후방에서 상기 발효조 모듈의 외둘레를 향하는 제1곡면; 및
    상기 제1곡면과 이격되고 상기 수조의 후방에서 상기 수조의 외둘레를 향하는 제2곡면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모듈은,
    상기 급수 펌프와 상기 음료 제조팩을 연통시키는 메인 유로; 및
    상기 메인 유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된 메인 밸브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3.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과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된 발효조 모듈;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공간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음료 제조팩;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발효 리드;
    상기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
    상기 음료 제조팩과 연결되고 에어 주입펌프가 구비된 유로 모듈; 및
    상기 유로 모듈에 연결되고 에어의 유동 방향에 대해 상기 에어 주입펌프의 이후에 위치하며, 첨가제가 내장된 캡슐이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주입펌프에 의해 펌핑된 에어는 상기 캡슐 내부를 통과하며 상기 첨가제와 함께 상기 음료 제조팩으로 투입되는 음료 제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 모듈을 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메인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 모듈은,
    상기 에어 주입펌프에 연결된 에어주입 유로모듈;
    상기 에어주입 유로모듈과 상기 음료 제조팩을 연통시키는 메인 유로; 및
    상기 메인 유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된 메인 밸브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 모듈을 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메인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 모듈은,
    상기 에어 주입펌프에서 펌핑된 공기를 상기 음료 제조팩의 외면과 상기 발효조 모듈의 내벽 사이로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 공급유로; 및
    상기 에어 공급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된 에어공급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모듈은,
    상기 에어 공급유로에 연결된 배기 유로; 및
    상기 배기 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된 배기 밸브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7.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로는,
    유체의 유동 방향에 대해 상기 디스펜서의 이전에 위치한 제1메인유로;
    유체의 유동 방향에 대해 상기 디스펜서의 이후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 밸브가 설치된 제2메인유로;
    상기 캡슐을 바이패스하여 상기 제1메인유로와 상기 제2메인유로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모듈은,
    상기 바이패스 유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바이패스 밸브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9.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모듈은,
    상기 디스펜서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펜서 입구유로; 및
    상기 디스펜서 입구유로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10.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모듈은,
    상기 메인 유로에 연결되는 음료 취출유로; 및
    상기 음료 취출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된 서브 밸브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1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과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된 발효조 모듈;
    상기 발효조 모듈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공간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음료 제조팩;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발효 리드;
    상기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
    상기 음료 제조팩과 연결되는 가스 취출유로:
    상기 가스 취출유로 상에 설치되는 압력 센서;
    상기 가스 취출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가스의 취출 방향에 대해 상기 압력 센서의 이후에 위치한 가스 취출밸브;
    상기 압력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온도 조절기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상기 가스 취출밸브가 배치되고 배면이 개방된 가스 배출공간; 및
    상기 제어 모듈이 수용되고 배면이 개방되며 상기 가스 배출공간과 구획된 제어모듈 수용공간이 형성된 음료 제조기.
  12. 삭제
  13. 삭제
  14.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과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된 발효조 모듈;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발효 리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공간 내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음료 제조팩;
    상기 베이스의 상부 타측에 배치되고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조;
    수평 방향에 대해상기 발효조 모듈과 상기 수조의 사이에 배치되며, 첨가제가 담긴 캡슐이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캡슐 수용부와, 상기 캡슐 수용부를 개폐하는 리드 모듈을 갖는 디스펜서:
    상기 수조에 연결되고 상기 디스펜서를 경유하여 상기 음료 제조팩과 연결된 유로 모듈;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발효조 모듈 및 수조의 후방에서 접하며 상기 유로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유로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고 상기 발효조 모듈 및 수조의 후방에 위치한 프레임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바디의 전면은,
    상기 발효조 모듈의 외둘레를 마주보는 제1곡면; 및
    상기 제1곡면과 이격되고 상기 수조를 전후방향으로 마주보는 제2곡면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메인 프레임보다 상측에 위치한 음료 제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발효조 모듈에 접하는 발효모듈 접촉바디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모듈 접촉바디는
    상기 발효모듈과 접하고, 상기 발효모듈의 외둘레의 곡률과 동일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수조를 상기 베이스와 이격되게 지지하는 수조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모듈 접촉바디와 상기 수조 서포터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발효모듈 접촉바디는 상기 프레임 바디의 양 측면 중 일 측면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수조 서포터는 상기 프레임 바디의 양 측면 중 타 측면에 더 가깝게 배치된 음료 제조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서포터는,
    상기 수조가 올려지고, 상기 베이스와 상측으로 이격된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서 상기 베이스까지 하방으로 연장된 보강벽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제조팩에 공기를 주입하며 상기 지지판에 장착된 에어 주입펌프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바디의 전면은,
    상기 제1곡면과 상기 제2곡면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유로 모듈이 고정되는 평면을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0170067036A 2017-05-22 2017-05-30 음료 제조기 KR102223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036A KR102223913B1 (ko) 2017-05-30 2017-05-30 음료 제조기
US16/614,849 US11629316B2 (en) 2017-05-22 2018-05-17 Beverage maker
PCT/KR2018/005679 WO2018216957A2 (ko) 2017-05-22 2018-05-17 음료 제조기
EP18805080.1A EP3633019A4 (en) 2017-05-22 2018-05-17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036A KR102223913B1 (ko) 2017-05-30 2017-05-30 음료 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878A KR20180130878A (ko) 2018-12-10
KR102223913B1 true KR102223913B1 (ko) 2021-03-08

Family

ID=64670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036A KR102223913B1 (ko) 2017-05-22 2017-05-30 음료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9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4971A2 (en) * 2007-02-28 2008-09-04 Concept & Design Ltd. 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and system
US20140013958A1 (en) * 2012-07-12 2014-01-16 Select Brands, Inc. Hybrid coffee maker with multiple brewing modes
US20160326471A1 (en) * 2015-05-06 2016-11-10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for brewing be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526Y1 (ko) 2003-04-02 2003-07-12 김은미 가정용 맥주 제조기구
KR101668155B1 (ko) 2014-08-08 2016-10-20 김선철 발효액 제조장치 및 발효액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4971A2 (en) * 2007-02-28 2008-09-04 Concept & Design Ltd. 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and system
US20140013958A1 (en) * 2012-07-12 2014-01-16 Select Brands, Inc. Hybrid coffee maker with multiple brewing modes
US20160326471A1 (en) * 2015-05-06 2016-11-10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for brewing be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878A (ko)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9225B1 (ko) 음료 제조기
EP3486305B1 (en) Beverage maker
KR102587228B1 (ko) 음료 제조기
KR102282446B1 (ko) 음료 제조기
EP3633019A2 (en) Beverage maker
KR102434270B1 (ko) 음료 제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세척 시스템
KR102396683B1 (ko) 음료 제조기
KR102481824B1 (ko) 음료 제조기
KR102434234B1 (ko) 음료 제조기
KR102223913B1 (ko) 음료 제조기
KR102468775B1 (ko) 음료 제조기
KR102223911B1 (ko) 음료 제조기
KR20180062667A (ko) 맥주 제조기
KR102481829B1 (ko) 음료 제조기
KR102481834B1 (ko) 음료 제조기
KR102180140B1 (ko) 음료 제조기
KR102522000B1 (ko) 음료 제조기
KR102216741B1 (ko) 음료 제조기
KR102570610B1 (ko) 음료 제조기
KR102533780B1 (ko) 음료 제조기
KR102247827B1 (ko) 음료 제조기
KR102239371B1 (ko) 발효장치
KR20190013218A (ko) 음료 제조기
KR102457782B1 (ko) 음료 제조기
KR102223915B1 (ko) 음료 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