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802B1 -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802B1
KR102223802B1 KR1020190059941A KR20190059941A KR102223802B1 KR 102223802 B1 KR102223802 B1 KR 102223802B1 KR 1020190059941 A KR1020190059941 A KR 1020190059941A KR 20190059941 A KR20190059941 A KR 20190059941A KR 102223802 B1 KR102223802 B1 KR 102223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oor
enclosure body
uni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4457A (ko
Inventor
박기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Priority to KR1020190059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802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 E05D7/084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with a movable pivot axis
    • E05D7/08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with a movable pivot axis with two or more pivot axes, e.g. used at the same ti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02B1/565Cooling; Ventilation for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QR 코드 및 NFC 카드로 이루어진 관제 서비스부를 부착하여 관리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내부상태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외함 본체; 상기 외함 본체의 전면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된 한 쌍의 고정힌지를 안내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부; 상기 외함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하여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 정화부; 상기 외함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외함 본체의 내부에 탑재되는 전기설비에 대한 설치정보를 포함하여 위치 데이터가 저장된 QR 코드 및 NFC 카드로 이루어진 관제 서비스부; 및 상기 관제 서비스부가 부착된 상기 외함 본체의 근처에 인접하면 상기 NFC 카드와 접속되어 상기 전기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와 함께 이력 정보를 외부의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받아 확인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Distribution board for monitoring service}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관제가 가능하고 도어의 개폐 작동이 용이하며, 또한 내부로 청정한 공기를 공급함과 더불어 냉각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한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은 전력 제공자로부터 전력을 받는 역할과 전력 소비가 필요한 설비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내부 수용공간에 수전설비와 배전설비를 구비한 통상의 변전실의 관련 설비를 구축하고 있다.
예컨대, 상기와 같은 수배전반의 내부에는 전력 제공자인 한국전력에서 전기를 받는 수전설비와, 상기 수전설비를 통해 수전된 전기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전압 또는 용량으로 변경하여 공급하는 변압기 및 정전사고 등과 같은 사고로부터 전체 설비를 보호하는 차단기 등을 구비한 배전설비를 갖추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수배전반은 사용하는 과정에서 인체의 감전 및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하여 외부와의 직접적인 접촉 제한 및 내부 점검이나 유지보수를 위한 개폐형 배전함 도어가 장착된 절연 본체, 즉 수배전반 몸체와 연속적이며 균일한 공급전압에 대한 신뢰성을 감안하여 본체 내부에 차단기나 피뢰기와 같은 각종 보호 장비가 필수요건으로 설치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수배전반은 전력을 공급하는 VCB, VCS, VC, ACB, MCCB, PCB와 리액터(reactor), 인버터, 콘덴서, 계측제어모듈, SMPS, EMI필터 및 변압기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한 수배전반은 외부로부터 발전된 직류전류를 직렬연결 방식으로 출력하는 입력부와, 입력부에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류를 상기 인버터로 출력하는 출력부와, 출력된 전류값과 전압값을 검출하여 모니터링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배전반 본체는 수요 전력에 따라 규모가 커지는 경우, 옥내 또는 옥외에서 설치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필수적으로 증가하는 면적을 제외하고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고, 또한 외함 본체에 사용자가 출입하기 전에 외함 본체 내부나 또는 도어에 전류가 흐르고 있는지 확인이 불가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리고 종래 수배전반은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 속에 철 성분을 포함한 미세 먼지가 전하와 선로의 높은 전압에 의한 패런티 효과의 상승으로 전력설비에 부착되면서 절연파괴가 발생하여 아크 사고와 더불어 감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수배전반 내부에 위치한 전력설비는 전기에너지로부터 열이 발생하고, 먼지가 쌓이게 되면 통전에 의한 합선 또는 오작동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에 내부 확인하기 위한 투시창을 구성하지 않고 QR 코드 및 NFC 카드로 이루어진 관제 서비스부를 부착하여 관리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내부상태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함 본체로부터 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도어의 개방공간을 축소할 수 있고, 또한 외함 본체 내부나 도어에 전류가 흐르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을 위해 수배전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하면서 미세 먼지 속에 포함된 철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감전 위험을 미연에 방지함과 더불어 본체 케이스 내부로 청정한 공기를 공급하여 냉각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한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은 외함 본체; 상기 외함 본체의 전면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된 한 쌍의 고정힌지를 안내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부; 상기 외함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하여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 정화부; 상기 외함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외함 본체의 내부에 탑재되는 전기설비에 대한 설치정보를 포함하여 위치 데이터가 저장된 QR 코드 및 NFC 카드로 이루어진 관제 서비스부; 및 상기 관제 서비스부가 부착된 상기 외함 본체의 근처에 인접하면 상기 NFC 카드와 접속되어 상기 전기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와 함께 이력 정보를 외부의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받아 확인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도어에 내부 확인하기 위한 투시창을 구성하지 않고 QR 코드 및 NFC 카드로 이루어진 관제 서비스부를 부착하여 관리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내부상태를 확인할 수가 있다.
둘째, 스마트폰을 통해 전력설비의 설치 정보를 확인함과 함께 스마트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전력설비에 대한 점검 목록을 체크 및 저장을 통해 외부의 관리서버에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킬 수 있다.
셋째, 외함 본체 상에서 도어가 슬라이딩 이송과 함께 회전하여 개폐되기 때문에 도어의 개방에 필요한 면적을 감소시켜 전체적인 외함 본체의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넷째, 도어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도어가 가이드부 상에서 슬라이딩 이송되는 것을 안내 및 고정시킬 수 있어, 설정 각도에서 도어의 개방 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여섯째, 도어가 한 쌍의 고정힌지를 구비하여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곱째, 도어 전면을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풍압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과 같은 외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여덟째, 외함 본체 측면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3중 필터로 정화하여 공급함으로써 청정한 공기를 공급하면서도 냉각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아홉째, 외함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 미세먼지에 포함된 철 성분을 필터링 할 수 있기 때문에 철 성분의 미세 먼지가 유입됨으로 인해 분진 및 아크와 감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외함 본체 외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스마트폰을 통해 수배전반의 변압기를 관제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외함 본체 상에서 도어가 개폐되는 상태를 상부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평단면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도어를 도시하는 참고도
도 6은 도 4의 도어가 외함 본체 상에서 슬라이딩 이송되면서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도 4에 나타낸 외함 본체의 도어 개폐에 따른 설치면적을 도시하는 참고도
도 8은 도 1에 나타낸 수배전반의 내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도 7에 나타낸 공기 정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공기 정화부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에 대해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의 외함 본체 외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스마트폰을 통해 수배전반의 변압기를 관제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외함 본체 상에서 도어가 개폐되는 상태를 상부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도어를 도시하는 참고도이고, 도 6은 도 4의 도어가 외함 본체 상에서 슬라이딩 이송되면서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100)은 외함 본체(110)와, 상기 외함 본체(110) 전면의 개구부(111)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120)와, 상기 외함 본체(110)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20)의 개폐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30)와, 상기 외함 본체(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하여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 정화부(400)와, 상기 외함 본체(110)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외함 본체(110)의 내부에 탑재되는 전기설비(예를 들면, 변압기)에 대한 설치정보를 포함하여 위치 데이터가 저장된 QR 코드 및 NFC 카드로 이루어진 관제 서비스부(700) 및 상기 관제 서비스부(700)가 부착된 상기 외함 본체(110)의 근처에 인접하면 상기 NFC 카드와 접속되어 상기 전기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와 함께 이력 정보를 외부의 관리 서버(900)로부터 전달받아 확인하는 스마트폰(8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120)에 내부 확인하기 위한 투시창을 구성하지 않고 QR 코드 및 NFC 카드로 이루어진 관제 서비스부(700)를 부착하여 관리자의 스마트폰(800)을 통해 내부상태를 확인할 수가 있다.
즉, 안전 관리자가 사전에 상기 관리 서버(900)에 등록된 스마트폰(800)을 휴대하여 수배전반(100)이 설치된 곳에 일정 거리만큼 도달하면 상기 관제 서비스부(700)에 등록된 위치 데이터에 의해 NFC 카드와 스마트폰(800)이 통신을 수행하여 현장에 설치된 수배전반의 현재 상태를 스마트폰(80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스마트폰(800)은 상기 NFC 카드를 통해 외부의 관리 서버(900)와 연동하여 관리 서버(900)에 저장된 해당 수배전반에 대한 각종 정보를 읽어와서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800)을 통해 전력설비의 설치 정보를 확인함과 함께 스마트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전력설비에 대한 점검 목록(도 3에서 변압기)을 체크 및 저장을 통해 외부의 관리서버(900)에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폰(800)이 사전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QR 코드를 촬영하면, 상기 스마트폰(800)의 화면에 설치된 수배전반에 대한 기본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즉, 상기 스마트폰(800)을 이용하여 상기 QR 코드를 스캔하면 상기 QR 코드는 고유의 코드 번호가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QR 코드를 스캔할 경우 관리 서버(900)쪽으로 스캔한 QR 코드에 대한 코드 번호가 자동으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고유의 코드번호는 제조사에 제공되는 고유의 시리얼번호로서 예를 들면, X(1)-X(2)-X(3)-X(4)와 같은 코드번호가 부여되는데, 상기 X(1)는 M2M QR 코드를 검증하기 번호이고, X(2)은 QR 코드가 상위, 중위, 하위 관제 QR코드인지를 파악하기 위한 번호이며, X(3)는 해당 설비가 어떤 설비인지를 파악하기 위한 번호이고, X(4)는 각 QR 코드의 일련번호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관제 서비스부(700)의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 태양광 발전 페인트가 코팅되어 자체적으로 전력을 사용하여 동작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800)은 상기 NFC 카드에 의해 관리 서버(900)와 연동되면서 변압기에 대한 통합 안전지수를 산출하고 다양한 통합 기능을 제공하며, 대표적으로 상기 관리 서버(900)를 통해 DB화된 데이터를 제공받아 DB 분석기능, DB도식화 기능, 위치기반 서비스 기능, 타기관 사이트 연동 기능(정보연결 및 접수), 데이터 편집이 가능한 사용자 설정 기능이 스마트폰(8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면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배전반(100)의 일면에 부착되는 관제 서비스부(700)와, 상기 관제 서비스부(700)의 NFC 카드와 통신을 통해 접속하는 스마트폰(8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제 서비스부(700)는 수배전반의 도어(120) 일면에 부착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배전반의 내부에 탑재되는 변압기를 하나의 예로 들어 설명하여 이력 관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관제 서비스부(700)의 QR 코드는 스마트폰(700)을 이용하여 스캔시 URL을 안내하여 본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유도해주거나 인증절차를 통해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개념들이 대부분이었지만, 본 발명에 의한 관제 서비스부(700)는 일정 거리내에 접근된 스마트폰(800)을 NFC 카드와 통신을 통해 접속하면 서비스 접속된 후 스마트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일상점검, 정기점검 등을 선택하면, 해당 제품군들이 나열된다.
이때 상기 수배전반(100)에 부착되어 있는 관제 서비스부(700)를 통해 관리 서버(900)와 접속하면 점검을 위한 질문항목이 디스플레이되며, 안전관리자는 해당 질문 항목들을 선택하여 체크하거나 입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관제 서비스부(800)의 NFC 카드를 통해 관리 서버(900)에 접속하며, 상기 스마트폰(800)의 화면에는 "변압기 일상점검 항목들입니다"를 타이틀과 함께 "1. 파손, 먼지, 기타 이물질의 부착은 없나요 YES/NO", "2. 이상한 소리, 냄새는 없나요? YES/NO", "3. 패킹 및 용접부 등으로부터의 기름 누설은 없나요? YES/NO", "4. 기계적 진동이 크지는 않나요? YES/NO"와 같이 점검 항목들이 나열되고 안전관리자를 각 항목에 맞게 점검하면서 해당 항목을 체크한다.
이어서, 안전관리자가 체크 및 입력이 마치고 저장 버튼을 누르게 되면 점검이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관리 서버(900)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900)는 해당 정보를 근거로 변압기를 진단하여 대형관리자(소유자), 제조사 측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서비스 방식은 안전관리자들이 임의로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할 수 없도록 항목 규칙을 만들어 보다 신뢰성이 있는 DB를 구축한다. 즉, 안전관리자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제품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점검을 하되, 사전에 관리 서버(900)에 등록된 스마트폰(800)을 이용하여 관제 서비스부(700)를 통해 반드시 접속해야지만 점검 질문사항들이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당사자들은 보다 더 적극적인 안전관리 임무를 수행할 수가 있다.
상기 스마트폰(800)에 디스플레이는 점검항목을 선택하여 해당 부분을 체크하고 입력하여 점검항목을 등록한다. 이때 상기 점검항목이 등록되면 작성된 내용들은 관리 서버(900)로 전송되고, 상기 관리 서버(900)로 전송된 정보가 정상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결과 회신을 통해 스마트폰(800)으로 확인한다.
아울러 상기 스마트폰(800)의 화면에는 상기 관리 서버(900)로부터 처리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처리내용이 표시되고, 안전관리자는 추가적인 작업이 있을 경우 작업을 통해 등록하고 점검을 종료한다.
이때 본 발명의 도어(120)는 외함 본체(110) 상에서 슬라이딩 이송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즉, 일반 도어와 같이 회전에 의해서만 개폐되는 여닫이 도어나, 슬라이딩에 의해서만 개폐되는 미닫이 도어와 달리, 슬라이딩 동작과 회전 동작이 동시에 수반되면서 개폐된다.
상기 외함 본체(110)는 내부에 장착되는 설비들의 구조나 종류에 따라서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접속함, 모터 제어반 및 ESS 중 어느 하나의 본체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외함 본체(110)는 내부에 VCB, VCS, VC, ACB, MCCB, PCB와 리액터(reactor), 인버터, 콘덴서, 계측제어모듈, SMPS, EMI필터 및 변압기 등의 전력설비가 구비된 수배전반의 본체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외함 본체(110)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좌우 측면과, 후면 및 상하면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다. 물론 외함 본체(1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육면체를 포함한 다면체 또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외함 본체(110)의 전면 개구부(111)에는 개구된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120)가 구비된다. 또한 외함 본체(110)의 저면에는 설치면(예컨대 지면)과 사이에서 지진과 같은 외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방진장치(미도시) 또는 면진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20)는 상기 외함 본체(110)의 전면을 양 쪽에서 각각 차폐하도록 서로 대향하여 한 쌍으로 구비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며, 단일 도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120) 상에는 도어락(1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20)는 상기 가이드부(130)를 통하여 슬라이딩 이동과 함께 회전하여 개폐과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120)는 닫힌 상태에서 열리면서 일부 외함 본체(110) 내부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외함 본체(110)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도어(120)는 설정된 두께 범위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내부에 단열 또는 흡음 기능을 제공하는 패드부재(123)가 구비된다. 예컨대 상기 도어(120)의 두께는 약 100mm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드부재(123)가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120)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외함 본체(110)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는 강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강도, 탄성뿐만 아니라,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열성, 내한성, 내약품성, 전기절연성 등이 뛰어나기 때문에 규모가 큰 외함 본체(110)의 도어 재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등과 혼합시켜, 더욱 강력한 특성을 발휘하는 복합재료인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s)이 도어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도어(120)는 기본적으로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및 강판 소재의 스틸 재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120) 상에 사용자가 접촉하거나 파지할 수 있는 구성 중 절연재질이 아닌 메탈소재로 이루어진 구성이 있는 경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류 또는 전압을 감지하는 감응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접근 또는 접촉 금지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시각적 알림 수단(예컨대, LED, 램프, 디스플레이 패널 등)이나 청각적 알림 수단(예컨대, 부저, 스피커, 벨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120)는 외함 본체(110) 전방에서 후방으로 휘어진 곡면(124) 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즉, 상기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외함 본체(110)의 전면에 대응하는 도어(120) 전면이 외함 본체(110) 내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휘어짐으로써 도어(120)를 향해 강풍이 부는 경우에도 풍압을 효율적으로 지지하면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20) 전면이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곡면이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120)의 좌우방향으로 동일한 곡률을 이루기 때문에 도어(120)의 상하방향으로 강성이 증대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도어(120)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외함 본체(110) 내부의 전력설비와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아 외부에서 사용자(예컨대 작업자)가 도어(120)와 접촉하더라도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어(120)의 휘어진 곡면(124) 또는 경사면은 상기 외함 본체(110)의 전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볼록한 곡면이나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외함 본체(110)의 도어(120) 하측 영역 또는 상측 영역에서 도어(120)의 곡면 또는 경사면에 대응하는 곡면이나 경사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120)의 상면 및 하면에는 가이드부(130)를 통해 이송 범위가 제한되는 한 쌍의 고정힌지(125, 126)가 구비된다. 물론, 도어의 사이즈나 중량에 따라서 도어(12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일 측에만 고정힌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힌지(125, 126)는 도어(120)의 외측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고정힌지(125)와, 도어(120)의 중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고정힌지(126)를 포함한다. 제1고정힌지(125)와 제2고정힌지(126)는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의 베어링(127)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베어링(127)은 가이드부(130)와의 마찰력을 줄여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도어(120)가 외함 본체(110) 상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슬라이딩 이송에 마찰력을 줄일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어(120)는 적어도 외함 본체(110)의 개구부(111) 주변에서 슬라이딩 이송 또는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힌지들(125, 126)은 도어(120)와 별개의 메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절연을 위해서 도어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어(120) 전면에 구비되는 도어락(121) 역시 절연을 위해서 도어(120)와 동일한 재질이거나 적어도 절연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도어(120) 상에서, 제1고정힌지(125)와 제2고정힌지(126) 사이의 거리가 도어(120) 폭에 대하여 20~50% 범위(비율로 1:2~1: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고정힌지(125, 126) 사이의 거리 대비 도어(120)의 전체 폭(고정힌지 사이의 거리 포함)이 1:3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다. 1:3의 비율은 도어(120) 전방에서 가해지는 풍압을 견디면서 동시에 외함 본체(110) 내부에 발생하는 데드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고정힌지(125, 126) 사이의 거리 대비 도어(120) 폭의 비율은 지역이나 설치 위치에 따른 특성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렇게 한 쌍의 고정힌지(125, 126)를 이용한 도어(120)는 전방에서 풍압에 대하여 안전하게 견딜 수 있고, 급작스러운 도어 개폐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외함 본체(110) 상에서 도어(120)는 가이드부(130)에 의해 개폐동작이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부(130)는 외함 본체(110)의 전면과 측면이 인접한 모서리 부분의 상부에 구비된다. 물론 상기 도어(120)가 상부와 하부에서 모두 고정되는 구조에서는 외함 본체(110)의 하부에도 별도로 다른 가이드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30)는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되며, 외함 본체(110)의 전면에 인접한 제 1 안내부재(131)와, 상기 외함 본체(110)의 측면에 인접한 제 2 안내부재(132)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130)의 형상은 제 1 안내부재(131)와 제 2 안내부재(132)가 적어도 90°° 또는 그 이상의 각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안내부재(131)와 제 2 안내부재(132)는 내부에 고정힌지들(125, 126)이 수납되어 이송되도록 이송공간(13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안내부재(131)와 제 2 안내부재(132) 내부의 이송공간(133)은 서로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안내부재(131)와 제 2 안내부재(132) 사이 연결부분에는 고정힌지와 접촉하는 경사판(134)이 마련된다. 상기 경사판(134)은 도어(120)가 열리는 과정에서 제1고정힌지(125)가 제2안내부재(132) 방향으로 향하도록 간섭되고, 또한 도어(120)가 닫히는 과정에서 제2고정힌지(126)가 제1안내부재(131) 방향으로 향하도록 간섭된다. 즉, 도어(120)가 개폐되는 과정이 가이드부(130) 상에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경사판(134)은 고정힌지(125, 126)와 접촉하게 된다. 경사판(134)은 가이드부(130)의 이송공간(133) 상에 위치할 수도 있고, 이송공간(133)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부(130)는 이송공간(133) 내부에서 제1고정힌지(125) 또는 제2고정힌지(126)와 간섭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스토퍼(135)를 포함한다. 제1스토퍼(135a)는 도어(120)를 여는 과정에서 설정된 개방범위(예컨대, 약 1/3 또는 2/3 개방지점)를 유지하도록 도어(120)가 닫히는 방향으로 간섭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어를 약 2/3 정도 열린 상태에서 도어(120)가 제1스토퍼(135a)를 지나면(고정힌지가 스토퍼와 접촉한 후 지나가면) 도어(120)가 닫히는 방향으로 제1스토퍼(135a)와 간섭되기 때문에 약 2/3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토퍼(135b)는 상기 도어(120)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이드부(130) 상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120)가 완전 열리면 제1고정힌지(125)가 제2안내부재(132)의 단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데, 가이드부(130) 상에서 이 위치에 제2스토퍼(135b)가 구비되면 도어(120)의 완전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스토퍼(135)는 가이드부(130) 상에서 이송공간(133) 내부로 돌출된 구조를 취하며, 이송공간(133) 내부로 탄력적으로 돌출되거나 고정힌지(125, 126)와 접촉하면서 이송공간(133) 외부로 밀려나는 구조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토퍼(135)의 위치는 도어(120)를 주로 개방하는 범위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으며, 도어(120)의 개방 정도에 따라서 더 많은 수의 스토퍼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120)는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는 도어 클로저(Door Closer,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도어(120)는 닫히는 방향으로 항상 일정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스토퍼(135)가 도어(120)의 닫히는 방향으로만 간섭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도어 클로저는 도어(120) 일부(측면 또는 모서리 영역)를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또는 한 쌍의 고정힌지(125, 126)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도어(120)가 가이드부(130) 상에서 개폐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120) 손잡이(미도시) 또는 도어락(121)을 사용자가 파지하여 도어(120) 열림 방향으로 밀면 도어(120)의 슬라이딩 이송이 먼저 이루어진다. 이때 제1고정힌지(125)는 경사판(134)과 접촉하면서 제1안내부재(131)로부터 제2안내부재(132)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된다.
제1고정힌지(125)가 제2안내부재(132)의 이송공간(133)으로 진입하면서 도어(120)는 슬라이딩 이송과 함께 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때 외함 본체(110) 내부에서 도어(120)가 슬라이딩 이송 및 회전하면서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 112)가 발생하는데 외함 본체(110) 내부의 전체 부피와 비교하면 무시할만한 수치이다. 또한 외함 본체(110) 내부의 전력설비 배치를 데드 스페이스(112) 상에서 간섭되지 않도록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120)가 열리면서 제2고정힌지(126)가 제1스토퍼(135a)를 지나가면, 도어(120)가 설정된 개방범위를 유지하면서 열림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도어(120)를 더 밀어서 완전 개방되면, 제1고정힌지(125)가 제2스토퍼(135b)와 간섭되기 때문에 도어의 완전 개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도어(120)가 닫힐 때는 제2고정힌지(126)가 경사판(134)과 접촉하면서 제2안내부재(132)의 이송공간(133)으로부터 제1안내부재(131)의 이송공간(133)으로 방향이 전환된다. 이 후 도어(120)가 닫히는 과정은 도어 개방과정의 반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도어를 통하여 기존의 수배전반 도어가 설치되었을 때와 설치 면적을 예를 들어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4에 나타낸 외함 본체의 도어 개폐에 따른 설치면적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120)가 설치된 외함 본체(110)를 나타내고, 도 7(b)는 일반적인 도어(12)가 설치된 종래의 외함 본체(11)를 나타낸다.
먼저 도 7(a)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는 외함 본체(110) 상에서 도어(120)가 열린 상태에서 가로 1800mm, 세로 2800mm로 전체 넓이는 50400㎠를 차지한다.
그리고 도 7(b)와 같이, 종래의 외함 본체(11)에서 도어(12)가 열린 상태는 가로 1800mm, 세로 3600mm로 전체 넓이가 64800㎠를 차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외함 본체(110) 설치면적은 종래기술의 외함 본체(11) 설치면적 대비 약 77.7%를 차지하기 때문에 약 23% 정도의 설치면적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외함 본체(110)와 종래기술의 외함 본체(11) 내부 면적(1800mm*1800mm)은 같기 때문에 도어 개방에 따른 설치면적(양 측 중 일 측 도어만 비교)의 차이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도어(120) 개방에 따른 설치면적은 도어(120)의 개방 폭이 1800mm이고, 개방된 도어(120)가 외함 본체(110) 외부로 돌출된 길이는 500mm로 9000㎠를 차지한다.
또한 종래기술의 도어(12) 개방에 따른 설치면적은 도어(12)의 개방 폭이 1800mm로 동일하고, 개방된 도어(12)가 외함 본체(11) 외부로 돌출된 길이는 900mm로 16200㎠를 차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어 개폐에 필요한 설치면적은 종래기술의 도어 개폐에 필요한 설치면적 대비 약 55.5%로써 거의 절반 수준의 설치면적을 필요로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외함 본체(110) 내부에서 미미하게 데드 스페이스(112)가 발생하는 것을 충분히 감안하더라도 종래 일반적인 도어(12)가 설치된 외함 본체(11)에 비하여 적어도 40% 정도의 설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낸 수배전반의 내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수배전반(100)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외함 본체(110)와, 상기 외함 본체(110)의 측면에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120)와, 상기 외함 본체(110)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전기기기(300)와, 외함 본체(110)의 하단 적어도 일측에 구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정화함과 더불어 미세 먼지 속에 포함된 철 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외함 본체(11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정화부(400)와, 상기 외함 본체(110)의 상부에 구성되어 내부의 공기를 상부로 흡입하는 흡입부(500)와, 상기 외함 본체(110)의 상부 측면에 구성되어 상기 흡입부(500)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함 본체(110)는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수배전반(100)의 측면 구조를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한다.
다만, 이러한 상기 외함 본체(110)는 단면형상이 사각형을 갖는것 뿐만 아니라, 다각형 형상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어(120)는 필요에 따라 상기 단열재에 알루미늄 타공판을 부착하여 외부의 접지수단과 연결하여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외함 본체(110)의 적어도 일 측면에는 내부를 투시하기 위한 투시창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함 본체(110) 내부에서 전기기기(300) 상부에는 전기기기(300)에서 발행하는 열을 외함 본체(110) 내부에 가상의 통로를 형성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부(500)와 공기 가이드부(510)가 마련된다.
상기 흡입부(500)는 공기를 흡입하는 팬(Fan) 구조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흡입부(500)의 공기 흡입구조는 복수개의 팬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가이드부(510)는 전기기기(300)에서 발열이 가장 심한 영역에 인접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510)는 전기기기(300)에서 열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부(500)의 동력을 통해 공기 배출구(600)로 전달한다.
상기 공기 가이드부(510)는 외함 본체(11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어 하나의 덕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공기 배출구(600)는 외함 본체(1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로 마련된다.
도 8에서 ““600””은 외함 본체(110)의 저면에 설치되는 방진장치를 나타낸다. 방진장치(600)는 외함 본체(110)가 설치된 설치면(G)으로부터 지진과 같은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 또는 감소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진장치는 내진 또는 면진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공기 정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공기 정화부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공기 정화부(4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공기에 포함된 도전성 성분, 미세먼지, 냄새 및 화합물 세균을 제거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 1 내지 제 3 공기 필터부(430, 440, 450)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공기 필터부(430, 440, 450)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3 공기 필터부(430, 440, 450)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관통하는 배기 덕트부(470)와, 상기 배기 덕트부(470)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3 공기 필터부(430, 440, 450)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를 흡입함과 더불어 상기 제 1 내지 제 3 공기 필터부(430, 440, 450)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상기 전기기기(300) 하부에 분사하는 공기 분사부(4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 분사부(480)의 가동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 정화부(400)를 관통하면서 정화된 공기를 상기 외함 본체(110)의 내부, 즉 전기기기(300)의 하부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분사부(480)는 상기 외함 본체(110) 내부의 온도, 습도, 부하율에 따라 가동된다. 예를 들면, 상기 외함 본체(110)의 내부 온도가 40℃℃ 이상, 습도가 80%이상, 부하율이 20% 이상일 때 동작된다. 따라서 상기 외함 본체(110)의 내부에는 온도 및 습도를 검출과 함께 부하율을 측정하는 측정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센서와 측정기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근거로 상기 공기 분사부(480) 및 흡입부(500)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도시되지 않음)가 탑재되어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공기 필터부(430, 440, 450)는 외함 본체(110)의 외측 표면에 부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외부 외장 커버(410)와, 상기 외부 외장 커버(410)가 상기 외함 본체(110)에 부착 및 고정되도록 외부 외장 커버(410) 사이에 구성되는 외부외장 커버 조립용 홀더(420)와, 상기 외부 외장 커버(410)를 관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관통하면서 공기에 포함된 도전성 성분을 취부하는 자석조립용 취부재로 이루어진 제 1 공기 필터부(430)와, 상기 제 1 공기 필터부(430)를 관통한 공기를 유입 받아 관통하면서 상기 공기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헤라필터로 이루어진 제 2 공기 필터부(440)와, 상기 제 2 공기 필터부(440)를 통해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유입 받아 관통하면서 공기에 포함된 냄새 및 화합물 세균을 제거하는 백금필터로 이루어진 제 3 공기 필터부(450)와, 상기 제 3 공기 필터부(450)를 통해 냄새 및 화합물 세균이 제거된 공기를 상기 외함 본체(110) 내부의 상부쪽으로 송풍하기 위한 배기 덕트부(470) 및 공기 분사부(480)가 체결되는 브로워 조인용 레듀사(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함 본체(110)의 일 측면에는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점검구는 수배전반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도시되지 않음)를 외부에서 편리하게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부(500)는 상기 외함 본체(110)의 중앙 상측에 부착되면서 다수의 공기 가이드부(510)가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외함 본체(110) 내부의 공기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흡입부(500)는 상기 공기 분사부(480)와 함께 상기 공기 정화부(40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늘리기 위해 상기 외함 본체(11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들을 상기 공기 배출구(600)쪽으로 보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흡입부(500)의 가동에 의해 외부의 공기들이 내부로 유입되는 속도와 더불어 공기의 양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실내는 정화된 공기로 인하여 청정한 영역을 통해 전기기기(300)들의 고장을 줄임과 함께 신선한 외부 공기 유입으로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 정화부(400)에서 공기 중 미세먼지에 포함한 철 성분을 제거한 상태에서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철 성분에 의한 선로의 절연 파괴를 미연에 방지함과 더불어 분진, 아크 및 감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흡입부(500)은 수배전반(100) 내부에서의 공기 순환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외함 본체(110)의 내부공간에는 전기기기(300)가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300)는 변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변압기는 전력 공급원에서 공급된 특고압의 전기를 그 용도에 맞게 적정 전압으로 변압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기기기(300)는 변압기를 한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외함 본체(110) 내부에 탑재되는 어느 전기기기(300)에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은 외함 본체 측면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3중 필터로 정화하여 공급함으로써 청정한 공기를 공급하면서도 냉각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외함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 미세먼지에 포함된 철 성분을 필터링 할 수 있기 때문에 철 성분의 미세 먼지가 유입됨으로 인해 분진 및 아크와 감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수배전반
110 : 외함 본체 111 : 개구부
120 : 도어 121 : 도어락
123 : 패드부재 124 : 곡면
125 : 제1고정힌지 126 : 제2고정힌지
127 : 베어링 130 : 가이드부
131 : 제1안내부재 132 : 제2안내부재
133 : 이송공간 134 : 경사판
135 : 스토퍼 300 : 전기기기
400 : 공기 정화부 410 : 외장 커버
420 : 조립용 홀더 430 : 제1공기 필터부
440 : 제2공기 필터부 450 : 제3공기 필터부
460 : 브로워 조인용 레듀사 470 : 배기 덕트부
480 : 공기 분사부 500 : 흡입부
600 : 공기 배출구 700 : 관제 서비스부
800 : 스마트폰 900 : 관리 서버

Claims (16)

  1. 외함 본체;
    상기 외함 본체의 전면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며 닫힌 상태에서의 전면(상기 외함 본체의 전면에 대응)이 상기 외함 본체 내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곡면으로 형성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된 한 쌍의 고정힌지를 안내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부;
    상기 외함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하여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 정화부;
    상기 외함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외함 본체의 내부에 탑재되는 전기설비에 대한 설치정보를 포함하여 위치 데이터가 저장된 QR 코드 및 NFC 카드로 이루어진 관제 서비스부; 및
    상기 관제 서비스부가 부착된 상기 외함 본체의 근처에 인접하면 상기 NFC 카드와 접속되어 상기 전기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와 함께 이력 정보를 외부의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받아 확인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도어의 제1고정힌지를 안내하는 제1안내부재와, 상기 제1안내부재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제2고정힌지를 안내하는 제2안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안내부재와 제2안내부재 사이 연결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고정힌지 또는 제2고정힌지와 접촉하는 경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외함 본체 내부에 일부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가이드부 상에서 슬라이딩 이송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도어가 열림 또는 닫힘 상태로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고정힌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간섭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도어 클로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하부에 구비된 한 쌍의 고정힌지를 안내하는 다른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설정된 두께 범위로 형성되어, 단열 또는 흡음을 위해 내측에 패드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 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전기기기;
    상기 외함 본체의 상부에 구성되어 내부의 공기를 상부로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외함 본체의 상부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부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공기에 포함된 도전성 성분, 미세먼지, 냄새 및 화합물 세균을 제거하는 공기 필터부와, 상기 공기 필터부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필터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관통하는 배기 덕트부와, 상기 배기 덕트부의 타 측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필터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를 흡입하며, 상기 공기 필터부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상기 전기기기에 분사하는 공기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사부는 상기 외함 본체의 내부 온도, 습도 및 부하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의 부하율에 따라서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필터부는 상기 외함 본체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외부 외장 커버와, 상기 외부 외장 커버가 상기 외함 본체에 부착 및 고정되도록 상기 외함 본체와 외부 외장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외부외장 커버 조립용 홀더와, 상기 외부 외장 커버를 관통하여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도전성 성분을 취부하는 자석조립용 취부재와, 상기 자석조립용 취부재를 관통한 공기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헤라필터와, 상기 헤라필터를 관통한 필터링 된 공기에 포함된 냄새 및 화합물 세균을 제거하는 백금필터와, 상기 백금필터를 통해 냄새 및 화합물 세균이 제거된 공기를 상기 외함 본체 내부의 상부쪽으로 송풍하기 위한 상기 배기 덕트부 및 공기 분사부가 체결되는 브로워 조인용 레듀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외함 본체의 중앙 상측에 부착되면서 다수의 공기 가이드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함 본체 내부의 공기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
KR1020190059941A 2019-05-22 2019-05-22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 KR102223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941A KR102223802B1 (ko) 2019-05-22 2019-05-22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941A KR102223802B1 (ko) 2019-05-22 2019-05-22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457A KR20200134457A (ko) 2020-12-02
KR102223802B1 true KR102223802B1 (ko) 2021-03-05

Family

ID=73791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941A KR102223802B1 (ko) 2019-05-22 2019-05-22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8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876B1 (ko) * 2021-06-08 2023-08-21 오석환 에어서스펜션이 장착된 면진배전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3934A (ja) * 2007-08-27 2009-03-12 Toshiba Corp 配電盤、icタグリーダおよびメンテナンスサーバ
KR101232761B1 (ko) * 2011-09-02 2013-02-14 주식회사 에너솔라 통기성 방수부재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1662600B1 (ko) * 2016-02-17 2016-10-06 유한회사 테폴 안전펜스와 폴딩도어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이동 가능한 옥외 감전방지 수/배전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7304A (ja) * 1994-12-26 1996-07-09 Fuji Electric Co Ltd 扉の開閉構造
KR100936010B1 (ko) * 2007-10-19 2010-01-11 주식회사 일신전기 수배전반
KR200452671Y1 (ko) * 2009-08-14 2011-03-16 웰컨트롤 (주) 가로등 단자함
KR101198125B1 (ko) * 2010-06-30 2012-11-12 가아전기(주)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3934A (ja) * 2007-08-27 2009-03-12 Toshiba Corp 配電盤、icタグリーダおよびメンテナンスサーバ
KR101232761B1 (ko) * 2011-09-02 2013-02-14 주식회사 에너솔라 통기성 방수부재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1662600B1 (ko) * 2016-02-17 2016-10-06 유한회사 테폴 안전펜스와 폴딩도어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이동 가능한 옥외 감전방지 수/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457A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1632A (en) Climate controlled outdoor enclosure
CN202503827U (zh) 一种集装箱式数据中心的硬件设施及其集装箱式数据中心
JP2010501965A (ja) コンピュータデータセンターと通信機器を冷却するための省エネルギー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052023B1 (ko) 수배전반
KR20150006206A (ko) 복합센서를 구비한 수배전반
KR102223802B1 (ko) 관제 서비스가 가능한 수배전반
CN105899036B (zh) 落地机箱
KR101905844B1 (ko) 폭발 방지형 수배전반
KR20150076788A (ko) 이중필터방식의 배전반
KR102330580B1 (ko) 히트싱크를 구비한 수배전반
KR102261657B1 (ko) 외부 이중 안전표시가 가능한 수배전반
CN212648874U (zh) 一种综合配电箱
KR102261656B1 (ko) 수배전반
CN109963418A (zh) 一种计算机网络控制箱
CN204650171U (zh) 机房能源管理及控制一体化设备
CN209298595U (zh) 一种组合式固体绝缘开关设备柜架
CN106786068A (zh) 一种电力调度配电柜
KR102118985B1 (ko)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인버터, 모터 제어반 및 ess용 도어개폐 시스템
CN205040144U (zh) RackDC一体化机柜式数据中心装置
CN204481335U (zh) 10kV两工位环网柜柜门联锁装置及其进线柜
CN217062843U (zh) 一种用于开关柜上的电度表安装装置
CN205657952U (zh) 一种组合机柜
KR20150006204A (ko) 수배전반
KR20200121107A (ko) 수배전반
CN215072778U (zh) 一种通信基站宣传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