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450B1 -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450B1
KR102223450B1 KR1020200059240A KR20200059240A KR102223450B1 KR 102223450 B1 KR102223450 B1 KR 102223450B1 KR 1020200059240 A KR1020200059240 A KR 1020200059240A KR 20200059240 A KR20200059240 A KR 20200059240A KR 102223450 B1 KR102223450 B1 KR 102223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oltage
change
power generation
chang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권진
최정규
Original Assignee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9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02J2300/26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involving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ontrol for photovoltaic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미스매치가 발생하여 전압-전력 곡선에 다수의 변곡점이 존재할 경우 현재 전압 부근이 아닌 넓은 전압 범위에서 최대전력점을 탐색함으로써 보다 높은 최대전력점을 기준으로 제어되어 발전량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태양광 패널이 직렬 및 병렬 연결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면서 일정 주기로 전압값(V)과 전류값(I)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전압변화량(dV)와 전력변화량(dP) 및 변경팩터(B)를 각각 구하는 통상발전단계와; 통상발전 도중 전력변화율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미스매치 발생으로 인해 전력변화율이 설정 범위를 벗어나면 새로운 최대전력점(MPP)을 탐색하여 확인된 최대전력점(MPP)으로 이동하여 태양광발전을 수행하는 최대전력점 탐색 및 추종단계와; 전력변화율이 설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전력변화량(dP)를 확인하고 전력(P)에 변화가 없으면 통상발전단계로 귀환하는 전력변화확인단계와; 전력(P)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전압변화량(dV)를 확인한 후, 전력변화량(dP)와 전압변화량(dV)의 양태에 따라 목표전력을 변경한 후 상기 통상발전단계로 귀환하는 목표전력변경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최대전력점 탐색 및 추종단계에서는 개방전압(Vop)의 30~80% 범위 내의 최대전력점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Optimized Control Method in Missmatch for Solar Power System}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미스매치가 발생하여 전압-전력 곡선에 다수의 변곡점이 존재할 경우 현재 전압 부근이 아닌 넓은 전압 범위에서 최대전력점을 탐색함으로써 보다 높은 최대전력점을 기준으로 제어되어 발전량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는 시스템의 발전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비선형적인 출력특성을 가지는 태양전지를 최대전력점으로 제어하는 기술인 최대전력추종제어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최대전력추종 알고리즘은 다양하게 구현되고 있으나,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그 구현이 쉽고 비교적 사용이 간단한 P&O(Perturbation and Observation) 알고리즘과 IncCond(Increment and Conductance) 알고리즘이다. 이외에도 AHB(Adaptive hysteresis-band) 알고리즘과 미분요소기법 알고리즘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에 의한 전류와 전압 및 전력량을 비교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태양광 발전장치가 다양한 지역에 설치됨에 따라 건축물의 그림자나 구름, 눈과 같은 외부적 환경요인으로 인해 일부의 태양광 모듈에 영향을 주어 출력 불평형을 일으키는 미스매치 현상이 발생하여 다수의 국부점(local minimum)이 존재하는 출력특성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태양광 패널의 불량이 발생하게 되어 동일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태양광 발전장치의 태양광 패널들의 직렬 연결마다 MPPT 회로가 연결되지 않고, 일정 수량의 병렬 연결이 동반되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국부점이 생길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는 다수의 태양광 패널이 직렬 및 병렬 연결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미스매치가 발생한 패널의 수에 따른 출력특성이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국부점이 다수 존재하는 출력특성을 가지게 되면 최대전력을 추종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즉, 종래의 MPPT 알고리즘을 이용하게 되면, 인버터가 전체 전압 범위 중에 최대전력점을 찾아가지 못하고, 기존 최대전력점이 형성된 전압 주변에 형성된 최대전력점으로 동작점을 유지하는 오류를 범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최대전력점(A)이 존재하는 출력특성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미스매치가 발생하여 두 개의 국부점(B, C)이 발생하는 경우 낮은 전압의 국부점(B)에서의 발전량이 더 높음에도 기존 최대전력점 부근에 존재하는 높은 전압의 국부점(C)으로 동작점을 유지함으로써 발전량이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한 종래의 MPPT 알고리즘은 태양광 모듈의 불평형 상태인 미스매치 상황에서 다수의 국부점이 생기게 되면 올바른 최대전력을 추종 제어하지 못하는 현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 설치된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량을 조사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최대 약 70%의 발전손실률을 보인 예가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태양광 어레이; 상기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전압(Vpv)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부; 상기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전류(Ipv)를 측정하는 전류측정부; 상기 태양광 어레이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 태양광 어레이의 동작점을 조절하는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 상기 부스트 컨버터의 출력신호의 펄스폭을 변조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PWM 인버터(Pulse Width Modulation-Inverter); 및 상기 부스트 컨버터의 스위치의 시비율(D)을 조절하여, 상기 태양광 어레이 출력전압(Vpv)을 개방전압(VOC)으로부터 소정의 전압까지 변동시키고, 상기 태양광 어레이 출력전압(Vpv)의 변동에 따른 전력특성(P-V)곡선을 스캐닝(scanning)하여 최대전력점(PMAX)을 도출한 후, 상기 최대전력점(PMAX)에서 태양광 어레이가 동작되도록 상기 부스트 컨버터를 제어하는 최대전력추종(Maximum Power Point Tracking; MPPT) 제어알고리즘을 구비하는 최대전력추종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사법(scanning)을 이용하여 최대전력을 추종하는 기법 및 그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복수의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과, 태양전지 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저장하는 커패시터부, 저장된 직류 전원을 레벨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부, 태양전지 모듈에서 핫 스팟이 발생하는 경우, 공급되는 직류 전압을 복수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에서의 로컬 최대 전력 지점을 산출하며, 산출된 복수의 로컬 최대 전력 지점 중 최대값을 최대 전력 지점으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션 박스를 포함하며, 핫 스팟 발생시 최대 전력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 태양광 모듈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복수 개의 발전 모듈로부터 생성된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경시키기 위한 2개의 DC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2 개의 DC 링크 중 제1 DC 링크의 일단은 상기 복수 개의 발전 모듈 회로에서 제1 전위를 발생하는 제1 전위점과 연결되고, 상기 2 개의 DC 링크 중 제2 DC 링크의 일단은 상기 복수 개의 발전 모듈 회로에서 상기 제1 전위보다 작은 제2 전위를 발생하는 제2 전위점과 연결되며, 상기 제1 DC 링크의 타단과 상기 제2 DC 링크의 타단은 모두 상기 복수 개의 발전 모듈 회로에서 제1 전위와 제2 전위 사이의 크기인 제3 전위를 발생하는 제3 전위점과 연결되도록 한, 독립적인 MPPT 구동을 위한 DC링크 전압 비대칭 제어기법을 갖는 3레벨 태양광 인버터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4는, 복수의 태양 전지와, 태양 전지 중 제1 태양 전지에 접속되는 제1 도전성 라인과, 태양 전지 중 제2 태양 전지에 접속되는 제2 도전성 라인을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 태양전지 모듈의 배면에 부착되는 정션박스를 포함하며, 정션 박스는, 제1 도전성 라인과 제2 도전성 라인 사이에 배치되는 커패시터부와, 커패시터부 양단의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버터부와, 컨버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며, 전력 변환부는 복수의 태양 전지 중 일부에 음영이 발생한 경우, 음영 발생 전에 공급하던 제1 전류 보다 레벨이 작은 제2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음영 발생시에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없더라도 핫 스팟 발생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태양광 모듈을 개시하고 있다.
KR 10-2012-0077865 A KR 10-2012-0116154 A KR 10-1351650 B1 KR 10-2017-0107279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미스매치가 발생하여 전압-전력 곡선에 다수의 변곡점이 존재할 경우 현재 전압 부근이 아닌 넓은 전압 범위에서 최대전력점을 탐색함으로써 보다 높은 최대전력점을 기준으로 제어되어 발전량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태양광 패널이 직렬 및 병렬 연결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면서 일정 주기로 전압값과 전류값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전압변화량과 전력변화량 및 변경팩터를 각각 구하는 통상발전단계와; 통상발전 도중 전력변화율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미스매치 발생으로 인해 전력변화율이 설정 범위를 벗어나면 새로운 최대전력점을 탐색하여 확인된 최대전력점으로 동작점을 이동하여 태양광발전을 수행하는 최대전력점 탐색 및 추종단계와; 전력변화율이 설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전력변화량를 확인하고 전력에 변화가 없으면 통상발전단계로 귀환하는 전력변화확인단계와; 전력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전압변화량를 확인한 후, 전력변화량과 전압변화량의 양태에 따라 목표전력을 변경한 후 상기 통상발전단계로 귀환하는 목표전력변경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최대전력점 탐색 및 추종단계에서는 개방전압의 30~80% 범위 내의 최대전력점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에 따르면, 상기 최대전력점 탐색 및 추종단계는 전력변화율이 10%를 초과하는 경우에 새로운 최대전력점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에 따르면, 상기 목표전력변경단계에서는 전력값과 전압값이 모두 증가하거나 모두 감소하는 경우에는 목표전력을 증가시켜 제어하고, 전력값과 전압값 중 어느 하나는 증가하고 다른 하나는 감소하는 경우에는 목표전력을 감소시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에 따르면, 상기 목표전력변경단계에서는 기준전압에 변경팩터를 곱한 값만큼 목표전력을 증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에 따르면, 상기 변경팩터는 전력변화량과 전압변화량의 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은, 미스매치 발생시에는 넓게 설정된 범위 내의 최대전력점을 탐색하여 최대전력점으로 제어하게 되므로 보다 많은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에 따르면, 최대전력점 탐색범위를 개방전압의 30~80% 범위로 함으로써 신속한 탐지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에 따르면, 전력변화율이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미스매치 발생으로 간주하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최대전력점을 탐색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에 따르면, 전력변화율이 10% 이하로서 미스매치 발생으로 간주되지 않는 경우에는 기존 미분요소 제어기법에 따라 MPP를 추종하게 되므로 보다 많은 전력의 생산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MPPT 알고리즘에 따른 전류와 전압 및 전력 특성을 나타낸 참고도.
도 2는 태양광 모듈의 미스매치시 전력/전압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일반적인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직렬 및 병렬 연결된 패널의 미스매치 상태에 따른 전력 및 전압 특성을 나타낸 참고도.
도 4는 기존 MPPT 알고리즘에 따라 최적 전압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알고리즘.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8은 종래의 MPPT 알고리즘과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의 전류 특성을 대비한 그래프.
도 9는 종래의 MPPT 알고리즘과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의 전압 특성을 대비한 그래프.
도 10은 종래의 MPPT 알고리즘과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의 전력 특성을 대비한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8은 종래의 MPPT 알고리즘과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의 전류 특성을 대비한 그래프이고, 도 9는 종래의 MPPT 알고리즘과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의 전압 특성을 대비한 그래프이며, 도 10은 종래의 MPPT 알고리즘과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의 전력 특성을 대비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은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면서 일정 주기로 전압값(V)과 전류값(I)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전압변화량(dV)와 전력변화량(dP) 및 변경팩터(B)를 각각 구하는 통상발전단계와; 통상발전 도중 전력변화율(P(k)/P(k-1))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미스매치 발생으로 인해 전력변화율(P(k)/P(k-1))이 설정 범위를 벗어나면 새로운 최대전력점(MPP)을 탐색하여 확인된 최대전력점(MPP)으로 이동하여 태양광발전을 수행하는 최대전력점 탐색 및 추종단계와; 전력변화율(P(k)/P(k-1))이 설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전력변화량(dP)를 확인하고 전력(P)에 변화가 없으면 통상발전단계로 귀환하는 전력변화확인단계와; 전력(P)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전압변화량(dV)를 확인한 후, 전력변화량(dP)와 전압변화량(dV)의 양태에 따라 목표전력을 변경한 후 상기 통상발전단계로 귀환하는 목표전력변경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다.
그리고, 상기 최대전력점 탐색 및 추종단계에서는 개방전압(Vop)의 30~80% 범위 내의 최대전력점을 탐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미스매치 발생에 따라 최대전력점을 탐색할 때 탐색 범위가 협소할 경우 실제 최대전력점이 아닌 현 단계의 전압값 인근에 위치한 최대전력점을 추종함으로써 발전전력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개방전압(Vop)의 30% 미만의 범위에서는 발전량이 작아 최대전력점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탐색범위에서 제외하고, 미스매치로 인해 발전전력이 감소하는 것을 감안하면 개방전압(Vop)의 80%를 초과하는 범위 내에 최대전력점이 존재할 수 없으므로 탐색범위에서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최대전력점 탐색 및 추종단계는 전력변화율(P(k)/P(k-1))이 10%를 초과하는 경우, 구체적으로 전력변화율(P(k)/P(k-1))이 0.9미만인 경우와 1.1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미스매치로 판단하여 새로운 최대전력점(MPP)을 탐색한다. 이는 전력변화율(P(k)/P(k-1))이 10% 이하인 경우에는 미스매치의 발생이 아닌 순간적인 변화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목표전력변경단계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값(P)과 전압값(V)이 모두 증가하거나 모두 감소하는 경우에는 목표전력을 증가시켜 제어하고, 전력값(P)과 전압값(V) 중 어느 하나는 증가하고 다른 하나는 감소하는 경우에는 목표전력을 감소시켜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전력변화량(dP)이 양(+)의 값일 때 전압변화량(dV)이 양(+)의 값이면 목표전력을 증가시켜 제어하고, 전압변화량(dV)이 0이나 음(-)의 값이면 목표전력을 감소시켜 제어한다. 반대로, 전력변화량(dP)이 0이나 음(-)의 값일 때 전압변화량(dV)이 양(+)의 값이면 목표전력을 감소켜 제어하고, 전압변화량(dV)이 0이나 음(-)의 값이면 목표전력을 증가시켜 제어한다.
그리고, 목표전력을 증감시킬 때에는 기준전압(Vref)에 변경팩터(B)를 곱한 값만큼 목표전력을 증감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변경팩터(B)는 전력변화량(dP)과 전압변화량(dV)의 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목표전력변경단계를 반복 수행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P 위치까지 목표전력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은 미스매치 발생시에는 넓게 설정된 범위 내의 최대전력점을 신속하게 탐색함으로써 보다 많은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미스매치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력량 및 전압량의 변화가 발생할 경우에는 최대전력점을 추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을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미스매치 발생시의 전류와 전압 및 전력 변화를 기존 MPPT 제어방식과 대비한 결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값을 더 높게 유지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값은 더 낮게 유지하면서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량이 증가함이 확인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B...변경팩터
dP...전력변화량
dV...전압변화량
MPP...최대전력점
I...전류값
I(k)...현 단계의 전류값
V...전압값
Vop...개방전압
Vref...기준전압
V(k)...현 단계의 전압값
V(k-1)...직전 단계의 전압값
P...전력값
P(k)...현 단계의 전력값
P(k-1)...현 단계의 전력값

Claims (5)

  1. 태양광 패널이 직렬 및 병렬 연결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면서 일정 주기로 전압값(V)과 전류값(I)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전압변화량(dV)와 전력변화량(dP)을 각각 구한 후, 전력변화량(dP)과 전압변화량(dV)의 비로 이루어지는 변경팩터(B)를 구하는 통상발전단계와;
    통상발전 도중 전력변화율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미스매치 발생으로 인해 전력변화율이 10%를 초과하면 새로운 최대전력점(MPP)을 탐색하여 확인된 최대전력점(MPP)으로 동작점을 이동하여 태양광발전을 수행하는 최대전력점 탐색 및 추종단계와;
    전력변화율이 설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전력변화량(dP)를 확인하고 전력(P)에 변화가 없으면 통상발전단계로 귀환하는 전력변화확인단계와;
    전력(P)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전압변화량(dV)를 확인한 후, 전력변화량(dP)와 전압변화량(dV)의 양태에 따라 목표전력을 변경한 후 상기 통상발전단계로 귀환하는 목표전력변경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최대전력점 탐색 및 추종단계에서는 개방전압(Vop)의 30~80% 범위 내의 최대전력점을 탐색하며,
    상기 목표전력변경단계에서는 전력값(P)과 전압값(V)이 모두 증가하거나 모두 감소하는 경우에는 목표전력을 증가시켜 제어하고, 전력값(P)과 전압값(V) 중 어느 하나는 증가하고 다른 하나는 감소하는 경우에는 목표전력을 감소시켜 제어하되, 기준전압(Vref)에 변경팩터(B)를 곱한 값만큼 목표전력을 증감시킴으로써, 상기 목표전력변경단계의 반복 수행을 통해 MPP 위치까지 목표전력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59240A 2020-05-18 2020-05-18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 KR102223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240A KR102223450B1 (ko) 2020-05-18 2020-05-18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240A KR102223450B1 (ko) 2020-05-18 2020-05-18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450B1 true KR102223450B1 (ko) 2021-03-05

Family

ID=75163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240A KR102223450B1 (ko) 2020-05-18 2020-05-18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4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60393A (zh) * 2022-05-18 2022-06-24 深圳市德兰明海科技有限公司 一种多路pv输入模式的识别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7865A (ko) 2010-12-31 2012-07-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주사법을 이용한 태양광 최대전력추종기법 및 그 시스템
KR20120116154A (ko) 2011-04-12 2012-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광 모듈 및 그 제어방법
KR101351650B1 (ko) 2012-10-09 2014-01-24 (재) 기초전력연구원 독립적인 mppt 구동을 위한 dc링크 전압 비대칭 제어기법을 갖는 3레벨 태양광 인버터
JP2014206780A (ja) * 2013-04-10 2014-10-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16093048A (ja) * 2014-11-10 2016-05-23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太陽電池ストリング動作点検出方法、太陽電池ストリング不具合検出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KR20170107279A (ko) 2016-03-15 2017-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광 모듈
JP2019146297A (ja) * 2018-02-16 2019-08-29 学校法人幾徳学園 太陽電池の動作電圧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7865A (ko) 2010-12-31 2012-07-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주사법을 이용한 태양광 최대전력추종기법 및 그 시스템
KR20120116154A (ko) 2011-04-12 2012-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광 모듈 및 그 제어방법
KR101351650B1 (ko) 2012-10-09 2014-01-24 (재) 기초전력연구원 독립적인 mppt 구동을 위한 dc링크 전압 비대칭 제어기법을 갖는 3레벨 태양광 인버터
JP2014206780A (ja) * 2013-04-10 2014-10-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16093048A (ja) * 2014-11-10 2016-05-23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太陽電池ストリング動作点検出方法、太陽電池ストリング不具合検出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KR20170107279A (ko) 2016-03-15 2017-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광 모듈
JP2019146297A (ja) * 2018-02-16 2019-08-29 学校法人幾徳学園 太陽電池の動作電圧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60393A (zh) * 2022-05-18 2022-06-24 深圳市德兰明海科技有限公司 一种多路pv输入模式的识别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Çelik et al. A Hybrid MPPT method for grid connected photovoltaic systems under rapidly changing atmospheric conditions
Murtaza et al. A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technique based on bypass diode mechanism for PV arrays under partial shading
Veerasamy et al. Efficient MPPT control for fast irradiation changes and partial shading conditions on PV systems
Toumi et al. PV Integrated single-phase dynamic voltage restorer for sag voltage, voltage fluctuations and harmonics compensation
Morales-Acevedo et al. Improved MPPT adaptive incremental conductance algorithm
CN105630061A (zh) 一种串联光伏组件最大功率点跟踪方法
Veerasamy et al. MPPT method for PV modules using current control-based partial shading detection
Radjai et al. The new FLC-variable incremental conductance MPPT with direct control method using Cuk converter
KR102223450B1 (ko) 태양광 발전장치의 미스매치시 최적 제어방법
Karatepe et al. Power controller design for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under partially shaded insolation conditions
Saxena et al. Maximum power extraction from solar PV systems using intelligent based soft computing strategies: A critical review and comprehensive performance analysis
Başoğlu et al. Experimental evaluations of global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approaches in partial shading conditions
Morales et al. Grid connected PV system with new MPPT estimation method based on measuring cells
KR20210125834A (ko) 다수개의 태양광 모듈이 직렬 연결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한 차동 전력변환기 및 그것을 이용한 전력제어장치
Morales et al. A novel global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method based on measurement cells
Thakur et al. Automatic Observation and Detection of Faults for Solar Photovoltaic Systems with Multilevel Inverter Topology
Ding et al. Improved global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method based on voltage interval for PV array under partially shaded conditions
Fazal et al. Modified Perturb and Observe MPPT algorithm for partial shading conditions
Birane et al. Evaluation and Performance of Different topologies of converters with Efficient MPPT in a Photovoltaic System.
Joshi et al. Incremental Conductance Based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for PV Multi-string Power Conditioning System
KR101554546B1 (ko) 가변 전압 증분의 mppt를 이용한 태양광 인버터의 효율 개선 방법
Abo-Khalil et al. A novel islanding detection method for three-phase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s
Gaikwad et al. A novel algorithm for mppt for pv application system by use of direct control method
KR20210142217A (ko) 전력변환기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전력제어방법
Kumaresan et al. Performance comparison of flexible power point tracking algorithms on normal and degraded photovolatic modu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