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915B1 - 모듈 전환형 vr 또는 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모듈 전환형 vr 또는 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915B1
KR102222915B1 KR1020190134654A KR20190134654A KR102222915B1 KR 102222915 B1 KR102222915 B1 KR 102222915B1 KR 1020190134654 A KR1020190134654 A KR 1020190134654A KR 20190134654 A KR20190134654 A KR 20190134654A KR 102222915 B1 KR102222915 B1 KR 102222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easurement
image sensor
optic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필성
안희경
김영식
임현균
안봉영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34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colour television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05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optical manifolds, diffusers, windows
    • G01J3/0208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optical manifolds, diffusers, windows using focussing or collimating elements, e.g. lenses or mirrors; performing aberration corr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metry And Color Measur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 전환형 VR/AR 기기 광특성·영상품질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 이미지를 갖는 측정대상; 상기 측정대상의 광이 입사되며 초점을 조절하는 대물렌즈모듈; 영상품질 측정모드시, 획득된 영상을 기반으로 영상품질을 분석하고, 영상품질 측정용 이미지 센서 유닛; 광특성 측정모드시, 상기 영상품질 측정용 이미지 센서 유닛을 광 경로 이외의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영상품질 측정모드시 상기 영상품질 측정용 이미지 센서 유닛을 광 경로 상에 위치되도록 구동하는 이미지 센서 유닛 이송유닛; 광특성 측정모드시, 상기 대물렌즈모듈을 통과한 광 일부가 입사되어 측정대상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하여 측정영역을 파악하는 이미지 센서모듈; 및 상기 대물렌즈모듈을 통과한 나머지 광이 입사되어 광특성을 측정, 분석하는 분광복사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전환형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듈 전환형 VR 또는 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Optical characteristic and Image quality of VR/AR}
본 발명은 모듈 전환형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AR(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 기기는 사람 눈과 매우 가까운 거리에 있는 디스플레이로 확대된 가상의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해 복잡한 형태의 광학소자를 사용하며 이로 인해 해상력 저하, 영상의 심한 왜곡, 색수차 등이 발생되며 영상의 중심부와 주변부의 휘도 및 색도 균일도가 낮아지게 된다.
도 1a 내지 도 1d는 VR 원리과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a 내지 도 2d는 AR 기기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VR/AR기기는 양안시차(stereoscopic)를 이용하여 입체감이 있는 영상을 구현하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양안시차를 이용하여 입체감 있는 영상을 구현하는 VR기기의 원리를 나타낸 모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VR기기의 경우, 눈과 매우 가까운 거리에 있는 디스플레이의 영상을 볼록렌즈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멀리 떨어진 거리에 확대된 정립상(가상 이미지)을 볼 수 있도록 함을 알 수 있다.
AR 기기의 경우 좀 더 복잡한 광학소자를 이용하나, 사람 눈에 거의 평행한 빛을 주사하는 원리는 동일하다.
도 4a 및 도 4b는 평면 디스플레이의 휘도, 색도 측정장비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기존의 휘도, 색도 측정장비는 평면디스플레이(TV, 모니터)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크기가 크고 교정된 타켓거리에 대해서 측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VR/AR 기기의 광특성(휘도, 색도, 휘도 균일도, 색도 균일도, 시야각, eyebox, stray light 등)과 영상 품질(해상력, 왜곡, 색수차 등)을 올바르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측정장비로는 측정 불가능하다.
VR/AR 기기는 사람 눈을 대상으로 설계된 것으로 측정 및 평가 시 사람 눈의 특성(동공 크기, 렌즈-동공간 거리, 안구회전 중심, 시야각 등)을 고려해야 하며, 사람 눈이 위치하는 곳에 측정장비를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좁은 공간에 들어갈 수 있으며 비축측정이 가능한 작은 크기의 측정부(광학 시스템)가 필요하다.
또한, 광영상을 하나의 측정 시스템에서 구현할 경우 구조가 복잡해지고 광학소자 개수가 많아지면서 오차발생요인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LED 또는 레이져 조사로 측정 범위 확인 시 빔스플리터 및 광학소자들의 내부반사로 인해 측정 위치 확인이 어렵고 측정 시 LED 또는 레이져의 전원을 꺼야 하기 때문에 측정위치 확인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VR/AR 기기의 광특성 측정 모드,영상품질 측정 모드 간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VR/AR 기기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측정장비 및 측정방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21812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71820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1626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VR/AR 기기의 광특성 측정 모드, 영상품질 측정 모드 간 전환이 가능하여 VR/AR 기기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VR/AR기기의 성능평가를 위한 장비로, 기존의 측정장비 보다 소형으로 제작되어 정확한 Eye relief (사용자의 눈 위치)에서 측정이 가능한 VR/AR 기기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측정장비 및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드스탑에 위치한 폴딩 미러의 구멍을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영역을 파악하면서 휘도, 색도 등 광특성 분석이 가능한, VR/AR 기기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측정장비 및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광복사계를 통해 광특성을 측정 시 빛이 통과하는 광학소자의 개수가 적어 오차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간단하게 측정 모듈을 이송하여 영상품질 측정 모드로 전환이 가능한, VR/AR 기기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측정장비 및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시스템의 회전중심 변경으로 1) 정면주시 상황에서의 축상 및 비축상 측정, 2)비축 주시 상황에서의 비축상 측정이 가능한, VR/AR 기기의 광영상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장비 및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에 있어서, 가상 이미지를 갖는 측정대상; 상기 측정대상의 광이 입사되며 초점을 조절하는 대물렌즈모듈; 영상품질 측정모드시, 획득된 영상을 기반으로 영상품질을 분석하고, 영상품질 측정용 이미지 센서 유닛; 광특성 측정모드시, 상기 영상품질 측정용 이미지 센서 유닛을 광 경로 이외의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영상품질 측정모드시 상기 영상품질 측정용 이미지 센서 유닛을 광 경로 상에 위치되도록 구동하는 이미지 센서 유닛 이송유닛; 광특성 측정모드시, 상기 대물렌즈모듈을 통과한 광 일부가 입사되어 측정대상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하여 측정영역을 파악하는 이미지 센서모듈; 및 상기 대물렌즈모듈을 통과한 나머지 광이 입사되어 광특성을 측정, 분석하는 분광복사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품질 측정용 이미지 센서모듈은 상기 대물렌즈모듈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폴딩미러; 영상품질 측정모드시, 영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제2이미지 센서와 상기 폴딩미러 사이에 구비되는 제2이미지 측정용 렌즈모듈을 포함하고, 측정대상의 디스플레이에 측정용 타켓이미지를 뛰우고 상기 제2이미지 센서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여,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영상품질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센서모듈은, 광특성 측정모드시 측정대상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이미지 센서; 상기 측정영역의 크기를 조절하고 입사되는 광 일부는 상기 제1이미지 센서측으로 입사시키고 나머지 광을 분광복사계측으로 입사시키는 필드 스탑; 및 상기 제1이미지 센서와 상기 필드 스탑 사이에 구비되는 제1이미지 측정용 렌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센서모듈과 상기 분광복사계 사이에 구비되는 광섬유 케이블용 렌즈모듈과 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드 스탑은 홀이 형성된 폴딩미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광특성 측정모드시, 상기 이미지 센서 유닛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영상품질 측정용 이미지 센서유닛을 광 경로 외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측정대상의 광은 대물렌즈모듈을 거쳐 상기 광섬유 케이블용 렌즈모듈과, 렌즈를 통과하여 분광복사계로 입사되어, 상기 분광복사계를 통해 광특성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광특성 측정모드시, 상기 대물렌즈모듈을 통해 가상이미지에 초점을 맞추고, 상기 제1이미지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데이터를 통해 측정영역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로 측정시스템을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품질 측정모드시, 상기 이미지 센서 유닛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영상품질 측정용 이미지 센서유닛을 광 경로 상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측정대상의 광은 대물렌즈모듈을 거쳐 상기 영상품질측정용 이미지 센서유닛의 제2이미지 센서로 입사되어 영상을 획득하고, 측정대상의 디스플레이에 측정용 타켓이미지를 뛰우고 상기 제2이미지 센서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여,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영상품질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시스템을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상기 측정시스템을 회전시키거나 회전중심을 변경시켜, 정면주시 상황에서의 축상 및 비축상 측정, 및 비축 주시상황에서의 비축상 측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AR 기기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에 따르면, VR/AR 기기의 광특성 측정 모드 및 영상품질 측정 모드로 변환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AR 기기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에 따르면, VR/AR기기의 성능평가를 위한 시스템으로, 기존의 측정장비 보다 소형으로 제작되어 정확한 Eye relief (사용자의 눈 위치)에서 측정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AR 기기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에 따르면, 필드스탑에 위치한 폴딩미러의 구멍을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영역을 파악하면서 휘도, 색도 등 광특성 분석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AR 기기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에 따르면, 분광복사계를 통해 광특성을 측정 시 빛이 통과하는 광학소자의 개수가 적어 오차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간단하게 측정 모듈을 이송하여 영상품질 측정 모드로 전환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AR 기기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에 따르면, 측정시스템의 회전중심 변경으로 1) 정면주시 상황에서의 축상 및 비축상 측정, 2)비축 주시 상황에서의 비축상 측정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 내지 도 1d는 VR 원리과 사진,
도 2a 내지 도 2d는 AR 기기 사진,
도 3a 내지 도 3c는 양안시차를 이용하여 입체감 있는 영상을 구현하는 VR기기의 원리를 나타낸 모식도,
도 4a 및 도 4b는 평면 디스플레이의 휘도, 색도 측정장비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특성 측정모드에서의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품질 측정모드에서의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의 구성도,
도 7a는 정면주시 상황을 나타낸 모식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면주시 상황에서의 축상측정모드에서의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의 구성도,
도 8a는 정면주시 비축상 상황을 나타낸 모식도,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면주시 상황에서의 비축상 측정모드에서의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의 구성도,
도 9a는 비축 주시 상황을 나타낸 모식도,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축 주시 상황에서의 비축상 측정모드에서의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100)의 구성, 기능, 그리고 측정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특성 측정모드에서의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100)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품질 측정모드에서의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100)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100)은, VR/AR 기기의 광특성 측정 모드 및 영상품질 측정 모드로 전환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AR 기기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측정시스템(100)에 따르면, VR/AR기기의 성능평가를 위한 장비로, 기존의 측정장비보다 소형으로 제작되어 정확한 Eye relief (사용자의 눈 위치)에서 측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AR 기기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측정시스템(1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물렌즈모듈(10), 영상품질 측정용 이미지 센서유닛(20), 이미지 센서 유닛 이송유닛, 이미지 센서모듈(30), 분광복사계(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대상(1)은 가상 이미지를 갖는 VR, AR 기기에 해당한다.
대물렌즈모듈(10)은 측정대상(1)의 광이 입사되며 초점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영상품질 측정용 이미지 센서유닛(20)은 영상품질 측정모드시, 광 경로 상에 위치되어 획득된 영상을 기반으로 영상품질을 분석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품질 측정용 이미지 센서유닛(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물렌즈모듈(10)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폴딩미러(21)와, 영상품질 측정모드시, 영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이미지 센서(23)와, 제2이미지 센서(23)와 상기 폴딩미러(21) 사이에 구비되는 제2이미지 측정용 렌즈모듈(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영상품질 측정모드시, 측정대상(1)의 디스플레이에 측정용 타켓이미지(체커보드 이미지, 특정 공간주파수를 갖는 스트라이프 이미지, 왜곡 측정용 균등 간격 점 이미지)를 띄우고 제2이미지 센서(23)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여,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영상품질을 분석하게 된다.
또한, 이미지 센서 유닛 이송유닛은 광특성 측정모드시, 영상품질 측정용 이미지 센서유닛(20)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경로 이외의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영상품질 측정모드시 영상품질 측정용 이미지 센서유닛(20)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경로 상에 위치되도록 구동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모듈(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특성 측정모드시, 대물렌즈모듈(10)을 통과한 광 일부가 입사되어 측정대상(1)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하여 측정영역을 파악하도록 구성되며, 대물렌즈모듈(10)을 통과한 나머지 광은 분광복사계(60)에 입사되어 광특성을 측정, 분석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모듈(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특성 측정모드시 측정대상(1)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이미지 센서(33)와, 측정영역의 크기를 조절하고 입사되는 광 일부는 제1이미지 센서(33) 측으로 입사시키고 나머지 광을 분광복사계(60)측으로 입사시키는 필드 스탑(31)과, 제1이미지 센서(33)와 상기 필드 스탑(31) 사이에 구비되는 제1이미지 측정용 렌즈모듈(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드 스탑(31)은 홀이 형성된 폴딩거울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AR 기기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측정시스템(100)에 따르면, 필드스탑(31)에 위치한 폴딩 미러의 구멍을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영역을 파악하면서 휘도, 색도 등 광특성 분석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모듈(30)과 분광복사계(60) 사이에 구비되는 광섬유 케이블용 렌즈모듈(40)과 렌즈(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100)이 광특성 측정모드로 작동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100)에서 이미지 센서 유닛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영상품질 측정용 이미지 센서유닛(20)을 광 경로 외부로 이송시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대상(1)에서 나온 광이 분광복사계(60)에 입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측정대상(1)의 광은 대물렌즈모듈(10)을 거쳐 광섬유 케이블용 렌즈모듈(40)과, 렌즈(50)를 통과하여 분광복사계(60)로 입사되어, 분광복사계(60)를 통해 광특성을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광특성 측정모드시, 대물렌즈모듈(10)을 통해 가상이미지에 초점을 맞추고, 이미지 센서모듈(30)의 제1이미지센서(33)를 통해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데이터를 통해 측정영역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로 측정시스템(100)을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측정되는 영역은 이미지 상의 검은색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광특성 측정모드에서는 분광복사계(60)를 통해 광특성(휘도, 색도, 휘도 균일도, 색도 균일도, 시야각, eyebox, stray light 등)을 측정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100)이 영상품질 측정 모드로 작동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영상품질 측정모드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 유닛 이송수단에 의해 영상품질 측정용 이미지 센서유닛(20)을 광 경로 상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그리고 측정대상(1)에서 나오는 광은 이미지 센서 모듈(30), 광섬유 케이블용 렌즈모듈(40), 분광복사계(60)로는 입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영상품질 측정모드에서, 측정대상(1)의 광은 대물렌즈모듈(10)을 거쳐 영상품질측정용 이미지 센서유닛(20)의 제2이미지 센서(23)로 입사되어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물렌즈모듈(10)을 거쳐 폴딩미러(21)에 의해 반사되어 제2이미지 측정용 렌즈모듈(22)을 통해 제2이미지센터로 입사되게 된다.
이때 측정대상(1)의 디스플레이에 측정용 타켓이미지(체커보드 이미지, 특정 공간주파수를 갖는 스트라이프 이미지, 왜곡 측정용 균등 간격 점 이미지)를 /띄우고 제2이미지 센서(23)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여,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영상품질을 분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AR 기기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측정장비 및 측정방법에 따르면, 분광복사계(60)를 통해 광특성을 측정 시 빛이 통과하는 광학소자의 개수가 적어 오차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간단하게 측정 모듈을 이송하여 영상품질 측정 모드로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광영상 측정은 축상, 비축상에서 실시할 수 있다. 이때 회전중심은 측정조건에 따라 동공위치 또는 안구회전중심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대물렌즈모듈(10) 전단의 조리개(11)는 사람 눈 동공크기를 고려하여 직경 약 2 ~ 5mm를 적용하였고, 안구회전중심은 각막으로부터 약 13mm, 동공으로부터 약 10mm 뒤에 위치된다.
도 7a는 정면주시 상황을 나타낸 모식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면주시 상황에서의 축상측정모드에서의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100)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8a는 정면주시 비축상 상황을 나타낸 모식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면주시 상황에서의 비축상 측정모드에서의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100)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는 비축 주시 상황을 나타낸 모식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축 주시 상황에서의 비축상 측정모드에서의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100)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주시 상황에서의 축상측정이 가능함을 물론,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측정시스템(100)을 회전시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주시 상황에서의 비축상 측정이 가능하며, 또한, 도 9a 및 h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중심을 변경하여, 비축 주시에서의 비축상 측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AR 기기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에 따르면, VR/AR 기기의 광특성 측정 모드 및 영상품질 측정 모드로 변환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AR 기기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측정시스템(100) 및 측정방법에 따르면, VR/AR기기의 성능평가를 위한 장비로, 기존의 측정장비 보다 소형으로 제작되어 정확한 Eye relief (사용자의 눈 위치)에서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AR 기기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측정시스템(100) 및 측정방법에 따르면, 광특성 측정모드시, 필드스탑(31)에 위치한 폴딩 미러의 구멍을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영역을 파악하면서 휘도, 색도 등 광특성 분석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AR 기기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측정시스템(100) 및 측정방법에 따르면, 분광복사계(60)를 통해 광특성을 측정 시 빛이 통과하는 광학소자의 개수가 적어 오차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간단하게 측정 모듈을 이송하여 영상품질 측정 모드로 전환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AR 기기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측정시스템(100) 및 측정방법에 따르면, 측정시스템(100)의 회전중심 변경으로 1) 정면주시 상황에서의 축상 및 비축상 측정, 2)비축 주시 상황에서의 비축상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측정대상
10:대물렌즈모듈
11:조리개
20:영상품질측정용 이미지센서유닛
21:폴딩미러
22:제2이미지측정용 렌즈모듈
23:제2이미지센서
30:이미지센서 모듈
31:필드스탑
32:제1이미지측정용 렌즈모듈
33:제1이미지센서
40:광섬유케이블용 렌즈모듈
50:렌즈
60:분광복사계
100: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

Claims (9)

  1.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에 있어서,
    가상 이미지를 갖는 측정대상;
    상기 측정대상의 광이 입사되며 초점을 조절하는 대물렌즈모듈;
    영상품질 측정모드시, 획득된 영상을 기반으로 영상품질을 분석하고, 영상품질 측정용 이미지 센서 유닛;
    광특성 측정모드시, 상기 영상품질 측정용 이미지 센서 유닛을 광 경로 이외의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영상품질 측정모드시 상기 영상품질 측정용 이미지 센서 유닛을 광 경로 상에 위치되도록 구동하는 이미지 센서 유닛 이송유닛;
    광특성 측정모드시, 상기 대물렌즈모듈을 통과한 광 일부가 입사되어 측정대상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하여 측정영역을 파악하는 이미지 센서모듈; 및
    상기 대물렌즈모듈을 통과한 나머지 광이 입사되어 광특성을 측정, 분석하는 분광복사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전환형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품질 측정용 이미지 센서모듈은 상기 대물렌즈모듈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폴딩미러;
    영상품질 측정모드시, 영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제2이미지 센서와 상기 폴딩미러 사이에 구비되는 제2이미지 측정용 렌즈모듈을 포함하고,
    측정대상의 디스플레이에 측정용 타켓이미지를 뛰우고 상기 제2이미지 센서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여,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영상품질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전환형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모듈은,
    광특성 측정모드시 측정대상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이미지 센서;
    상기 측정영역의 크기를 조절하고 입사되는 광 일부는 상기 제1이미지 센서측으로 입사시키고 나머지 광을 분광복사계측으로 입사시키는 필드 스탑; 및
    상기 제1이미지 센서와 상기 필드 스탑 사이에 구비되는 제1이미지 측정용 렌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전환형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모듈과 상기 분광복사계 사이에 구비되는 광섬유 케이블용 렌즈모듈과 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전환형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 스탑은 홀이 형성된 폴딩거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전환형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광특성 측정모드시,
    상기 이미지 센서 유닛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영상품질 측정용 이미지 센서유닛을 광 경로 외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측정대상의 광은 대물렌즈모듈을 거쳐 상기 광섬유 케이블용 렌즈모듈과, 렌즈를 통과하여 분광복사계로 입사되어, 상기 분광복사계를 통해 광특성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전환형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광특성 측정모드시,
    상기 대물렌즈모듈을 통해 가상이미지에 초점을 맞추고,
    상기 제1이미지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데이터를 통해 측정영역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로 측정시스템을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전환형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영상품질 측정모드시,
    상기 이미지 센서 유닛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영상품질 측정용 이미지 센서유닛을 광 경로 상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측정대상의 광은 대물렌즈모듈을 거쳐 상기 영상품질측정용 이미지 센서유닛의 제2이미지 센서로 입사되어 영상을 획득하고,
    측정대상의 디스플레이에 측정용 타켓이미지를 뛰우고 상기 제2이미지 센서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여,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영상품질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전환형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시스템을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상기 측정시스템을 회전시키거나 회전중심을 변경시켜, 정면주시 상황에서의 축상 및 비축상 측정, 및 비축 주시상황에서의 비축상 측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전환형 VR/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
KR1020190134654A 2019-10-28 2019-10-28 모듈 전환형 vr 또는 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 KR102222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654A KR102222915B1 (ko) 2019-10-28 2019-10-28 모듈 전환형 vr 또는 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654A KR102222915B1 (ko) 2019-10-28 2019-10-28 모듈 전환형 vr 또는 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915B1 true KR102222915B1 (ko) 2021-03-04

Family

ID=7517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654A KR102222915B1 (ko) 2019-10-28 2019-10-28 모듈 전환형 vr 또는 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91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1820A (ko) 2008-12-19 2010-06-29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 품질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94147A (ko) * 2012-02-15 2013-08-23 주식회사 고영로보틱스 공초점을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
KR101416265B1 (ko) 2013-02-28 2014-07-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방식 기반 영상의 화질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604424B1 (ko) * 2014-05-28 2016-03-18 주식회사 맥사이언스 휘도 및 색도 분포 측정 장치
KR101705818B1 (ko) * 2015-12-30 2017-02-10 주식회사 맥사이언스 색도 및 휘도 측정 장치, 시스템 및 측정방법
KR20190021812A (ko) 2017-08-24 2019-03-06 한국과학기술원 Vr 피로로유발인자의 딥 러닝 분석을 사용하는 vr 컨텐츠 체감 품질 정량적 평가 장치 및 방법
KR20190048918A (ko)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맥사이언스 분광복사 및 색채휘도 동시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1820A (ko) 2008-12-19 2010-06-29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 품질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94147A (ko) * 2012-02-15 2013-08-23 주식회사 고영로보틱스 공초점을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
KR101416265B1 (ko) 2013-02-28 2014-07-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방식 기반 영상의 화질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604424B1 (ko) * 2014-05-28 2016-03-18 주식회사 맥사이언스 휘도 및 색도 분포 측정 장치
KR101705818B1 (ko) * 2015-12-30 2017-02-10 주식회사 맥사이언스 색도 및 휘도 측정 장치, 시스템 및 측정방법
KR20190021812A (ko) 2017-08-24 2019-03-06 한국과학기술원 Vr 피로로유발인자의 딥 러닝 분석을 사용하는 vr 컨텐츠 체감 품질 정량적 평가 장치 및 방법
KR20190048918A (ko)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맥사이언스 분광복사 및 색채휘도 동시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974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 configuration near eye display performance characterization
EP2347701B1 (en) Ophthalmic photographing apparatus
US8891164B2 (en) System for wavefront analysis and optical system having a microscope and a system for wavefront analysis
TW590758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difying an input beam into an eye, ophthalmic wavefront measuring device, corrective prescription ve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binocular wavefront aberration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00096274A (ko) 광학 장치 정렬 방법
US9993153B2 (e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ystem and method with multiple apertures
JP5378474B2 (ja) 視力検査装置
JP2014521461A5 (ko)
US9239237B2 (en) Optical alignment apparatus and methodology for a video based metrology tool
WO2001060241A1 (en) Ophthalmoscope with multiple interchangeable groups of optical components
US11954766B2 (en) Method for carrying out a shading correction and optical observation device system
US9494485B2 (en) Measuring parallelism in lightguide surfaces
EP2656781A1 (en) Guide star generation
GB2359375A (en) Ophthalmoscope optical system
Penczek et al. 54‐5: Measuring Direct Retinal Projection Displays
KR102222915B1 (ko) 모듈 전환형 vr 또는 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
CN112869703B (zh) 眼底相机的光学系统及眼底相机
KR102229604B1 (ko) 교정이 가능한 vr 또는 ar 기기 광영상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
WO2017222086A1 (ko) 단일검출기 기반의 다초점 광 단층 영상 시스템
US10473905B2 (en) Microscope having a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device
JPS63167318A (ja) 実体顕微鏡
CN215448189U (zh) 显示图像检测装置
WO2023197106A1 (en) Waveguide measurement device
Eisenberg et al. Novel modular optical system for simplified development of AR, VR display measurement solutions
CN219122497U (zh) 一种拍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