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863B1 - 모바일을 통한 컴퓨터 사용 승인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을 통한 컴퓨터 사용 승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863B1
KR102222863B1 KR1020200100861A KR20200100861A KR102222863B1 KR 102222863 B1 KR102222863 B1 KR 102222863B1 KR 1020200100861 A KR1020200100861 A KR 1020200100861A KR 20200100861 A KR20200100861 A KR 20200100861A KR 102222863 B1 KR102222863 B1 KR 102222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time
key number
management server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니스
Priority to KR1020200100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8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04L63/084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using time-dependent-passwords, e.g. periodically changing passwo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을 통한 컴퓨터 사용 승인방법으로서, 컴퓨터 사용 승인에 대한 권한을 갖는 관리자가 회사에서 부재 중 사용자가 컴퓨터 연장사용을 신청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연장사용 신청시간과 연산된 허용시간을 비교한 다음, 신청시간 또는 허용시간을 부여할 것인지 또는 연장사용을 불승인할 것인지에 대한 관리자의 의사결정에 대한 정보가 관리자의 무선통신단말기에 입력된 후 관리서버에 전송되어 사용자의 컴퓨터 연장사용을 통제할 수 있는 모바일을 통한 컴퓨터 사용 승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을 통한 컴퓨터 사용 승인방법{A approval method of computer-using through mobile}
본 발명은, 탄력적 근로제의 운영방법에서, 컴퓨터 사용 승인에 대한 권한을 갖는 관리자가 회사에서 부재 중 사용자가 컴퓨터 연장사용을 신청한 상태에서, 관리자가 모바일을 통하여 컴퓨터 사용을 승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와 관리자의 통신 의존도를 최소화하면서 컴퓨터 사용에 대한 승인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탄력적 근로제가 운영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연장사용 신청시간과 연산된 소정의 허용시간을 비교한 다음, 신청시간 또는 허용시간을 부여할 것인지 또는 연장사용을 불승인할 것인지에 대한 관리자의 의사결정에 대한 정보가 관리자의 무선통신단말기에 입력된 후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에 전송되어 사용자의 컴퓨터 연장사용을 통제할 수 있는 모바일을 통한 컴퓨터 사용 승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연근로제란 근로자들이 전형적인 근로시간에 얽매이지 않고 일하는 시간을 유연하게 선택하고, 나아가 근로 장소도 유연하게 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직의 근로 규정과 제도을 말한다.
일례로, 유연근로제의 일종인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근로기준법 51조에 근거를 둔 제도이다. 특정일의 근로시간을 연장하는 대신 다른 날의 근로시간을 단축해 탄력적 근로시간제가 적용되는 단위기간 동안 평균 근로시간을 법정근로시간에 맞추는 방식이다.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2주 이내 또는 3개월 이내 단위기간을 정해 운영할 수 있다. 이는 일감이 몰리는 시기엔 근로자들이 더 오래 일하고, 적을 땐 근로시간을 줄여 2주 또는 3개월 평균 근로시간을 법정근로시간에 맞추는 방식이다.
탄력적 근로제를 운영하는 회사 입장에서는 효율적으로 탄력적 근로제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 즉, 근로자의 근로태만을 방지하면서 법정근로시간을 준수할 수 있도록 운영될 필요가 있다.
탄력적 근로제가 적용됨에 따라 근로자의 근로시간이 체크되면서 법정근로시간이 준수되어야 하는데, 근로시간이 체크되지 않는 등 근로시간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는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어느 시점에서는 이미 법정근로시간을 준수할 수 없을 정도로 이미 근로시간을 사용하여, 근로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근로를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될 문제점을 안고 있다.
탄력적 근로제가 적용됨에 따라 일정에 따라 사용자의 컴퓨터 사용시간에 제한을 두거나 일정시간 이후에는 컴퓨터 사용에 제한을 두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컴퓨터 사용에 제한이 따르는 경우, 컴퓨터 사용자는 필요시 컴퓨터 사용시간을 연장하고자 하는 경우 관리자에게 연장사용을 신청하고, 이에 관리자의 사용승인이 이루어짐에 따라 컴퓨터 사용 제한이 해제되면서 사용자는 다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가 연장사용을 신청하였는데 관리자가 회사를 벗어난 상태인 경우, 컴퓨터 연장사용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더 이상 연장하여 컴퓨터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모바일을 통하여 승인 키번호가 관리자에게 전송되면, 관리자는 전화통화를 통한 육성이나 메세지로 사용자에게 승인 키번호를 통지하여 컴퓨터 사용 제한을 해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술한 컴퓨터 사용 제한을 해제하는 방식으로는 승인 키번호 등의 정보전달이 불완전할 수 있으며, 관리자와 사용자 간의 통신에 따른 불필요한 시간이 소모된다.
나아가, 탄력적 근로제 하에서 관리자는 사용자의 사용 가능한 근로시간 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승인이 이루어질 수 있어, 관리자와 사용자 간의 정보 비대칭으로 사용자의 탄력적 근로제가 비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허문헌 1) KR10-2015-0033225 A
(특허문헌 2) KR10-1850509 B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관리자가 회사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컴퓨터 연장사용을 신청한 경우, 효율적으로 사용자의 탄력적 근로제가 운영되도록 하고, 정확한 정보전송 등으로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연장사용 승인여부가 부여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시간 소모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모바일을 통한 컴퓨터 사용 승인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을 통한 컴퓨터 사용 승인방법은. (a) 사용자 컴퓨터(10)의 모니터에 차단창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에 입력된 컴퓨터 연장사용 신청에 대한 정보가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로 전송되는 단계; (b) 컴퓨터 연장사용을 신청한 사용자의 당일 컴퓨터 연장사용에 대한 소정의 허용시간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연산되는 단계; (c)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청시간이 상기 허용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상기 신청시간이 상기 허용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생성된 신청시간 키번호 및 허용시간 키번호에 대한 정보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관리자의 무선통신단말기(50)로 무선으로 전송되는 단계; 및 (e) 일정시간 이내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상기 신청기간 키번호 또는 허용시간 키번호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f) 상기 (e) 단계에서 일정시간 이내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상기 신청시간 키번호 또는 허용시간 키번호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신청시간 또는 허용시간 동안 상기 차단창의 디스플레이 실행이 해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상기 신청시간이 상기 허용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생성된 불승인 키번호에 대한 정보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관리자의 무선통신단말기(50)로 무선으로 전송되며,
(g) 상기 (e) 단계에서 일정시간 이내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상기 신청기간 키번호 또는 허용시간 키번호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일정시간 이내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상기 불승인 키번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h) 상기 (g) 단계에서, 일정시간 이내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상기 불승인 키번호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단창이 상기 허용시간 동안 상기 차단창의 디스플레이 실행이 해제되며, 일정시간 이내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상기 불승인 키번호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단창의 디스플레이 실행이 계속 유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d-1) 상기 (d) 단계 이후, 상기 신청시간 키번호, 허용시간 키번호 또는 불승인 키번호에 대한 정보가 상기 관리자의 무선통신단말기(50)에 입력되어 상기 관리자의 무선통신단말기(50)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로 전송되며, 상기 (d-1) 단계 이후 상기 (e)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관리자가 회사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컴퓨터 연장사용을 신청한 경우, 관리자가 사용자에게 전화통화를 통한 육성이나 메세지로 키번호를 통지하고 사용자가 이러한 전화통화를 통한 육성이나 메세지로 받은 키번호를 입력하여 컴퓨터 사용 제한을 해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던 종래기술과 달리, 관리자가 무선통신단말기에서 신청시간, 허용시간 또는 불승인 키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컴퓨터 사용 제한을 제어함에 따라, 정확한 정보전송 등으로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연장사용 승인여부가 부여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시간 소모가 이루어지지 않아 효율적인 근로시간이 관리될 수 있다.
나아가, 탄력적 근로제 하에 연장사용을 신청한 사용자의 근로시간 현황이 제대로 파악된 상태에서 연장사용 승인여부가 결정되는 바, 사용자의 탄력적 근로제가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을 통한 컴퓨터 사용 승인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을 통한 컴퓨터 사용 승인방법의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모바일을 통한 컴퓨터 사용 승인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사용 승인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는 다수의 사용자 컴퓨터(10)와 각각의 사용자 컴퓨터(10)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 인사관리서버(20) 및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근로시간은 사용자 컴퓨터(10)의 사용시간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은 근로자별로 각각의 사용자 컴퓨터(10)에 설치되어 각각의 사용자 컴퓨터(10)의 사용 시간을 관리하고 사용자 컴퓨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로부터 수신하는 근로자별 애플리케이션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컴퓨터(10)의 사용 시간을 체크 및 관리하고, 탄력적 근로제가 적용되는 단위기간 동안의 근로자의 컴퓨터 사용시간 체크 및 관리, 근로자별 애플리케이션 설정정보에 기초한 근로시간 연산, 모니터에 차단창을 디스플레이 또는 차단창 디스플레이를 해제하거나, 또는 전원의 온/오프 동작 실행 등으로 컴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은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사용자 컴퓨터(10)에 설치되며, 사용자 컴퓨터(10)의 전원이 켜짐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구동되고 메모리에 상주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은 근로자가 강제로 종료시키거나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없도록 설정될 수 있다. 컴퓨터 제어판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을 삭제/변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관리자에게만 제공된 인증키번호를 입력하여 삭제/변조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근로자가 사용자 컴퓨터(10)의 시간을 임의로 변경하더라도 오프라인의 경우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 자체에 설정된 자동 타이머 동작으로 컴퓨터 사용 시간이 관리되며, 온라인의 경우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이 후술할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와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동기화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설정된 시간으로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서비스 관리 메뉴에 접근을 방지하거나 속성 창 내에서 서비스 중지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인사관리서버(20)는 근로자들의 근로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근로정보를 일정 주기, 실시간 또는 요청에 의하여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근로자의 근로정보는 사용자 컴퓨터(10)에 대한 사용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컴퓨터 연장사용 신청/승인 내역, 운영자, 차단 예외자, 비대상자, 출퇴근 또는 휴가 등의 근로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근로정보는 인사관리서버(20)에 저장된 인사기록정보(이름, 사원 번호, 부서, 직급 등)에 상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인사관리서버(20)는 근로자들의 인사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메인서버에 포함되거나 메인서버에서 분리된 상태의 서버일 수 있다. 인사관리서버(20)에서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로 전송되는 근로정보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의 컴퓨터 사용 제어와 관련된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는 인사관리서버(20)로부터 근로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근로정보를 기반으로 연산하여 애플리케이션 설정정보를 생성한다. 애플리케이션 설정정보는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각각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으로 전송되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에 설정되고,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각각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 실행이 제어된다.
사용자의 근로시간은 사용자 컴퓨터(10)의 사용시간으로 판단됨에 따라, 여기에서 애플리케이션 설정정보는 사용자 컴퓨터(10)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환경설정에 대한 정보로서, 예컨대 탄력적 근로제에 적용되는 단위기간에 대한설정정보, 출퇴근 시간정보, 알림창 실행 시간, 알림창 실행 방법, 휴일정보, 근로자 근로관련 컴퓨터 사용 가능 여부, 사용자 컴퓨터 중단 시간정보, 사용자 컴퓨터(10) 전원 차단방법, 모니터에 차단창 실행방법,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 및 인사관리서버(20) 간의 주기적 또는 실시간 양방향 통신, 네트워크 통신 여부 판단 등과 같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에 대한 각종 실행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탄력적 근로제 적용에 따라 사용자 컴퓨터(10)의 모니터에 차단창이 디스플레이되고, 연장사용 승인 권한을 갖는 관리자가 회사에서 부재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컴퓨터 연장사용을 신청하는 경우, 탄력적 근로제에 적용되는 단위기간을 기반으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에서 체크 및 관리된 사용자의 과거 근로시간 및 근로자별 애플리케이션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연산된 근로시간을 반영하여,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는 사용자가 컴퓨터 연장사용을 신청한 경우에 당일에 사용자의 컴퓨터 연장사용이 허용될 수 있는 소정의 허용시간이 연산된다.
인사관리서버(20)와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서버일 수 있다. 하나의 운영체제에 의해 운영될 경우, 전산운영 특성상 위험요소(애플리케이션 운영 간의 충돌, 서버 점검에 따른 변수 발생 등)가 따르기 때문이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 및 인사관리서버(20)는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양방향 통신된다. 이에 따라, 인사관리서버(20)의 근로정보가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로 전송되고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으로 애플리케이션 설정정보가 전송되는 것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에서 관리된 근로자의 컴퓨터 사용 시간, 근로자의 근로시간 연산내역, 컴퓨터 미작동 시간, 연장사용 신청 및 승인 내역 등 근로자의 컴퓨터 사용 내역이 인사관리서버(20)로 전송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탄력적 근로제 적용에 따라 사용자 컴퓨터(10)의 모니터에 차단창이 디스플레이되고, 연장사용 승인 권한을 갖는 관리자가 회사에서 부재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컴퓨터 연장사용을 신청하는 경우, 모바일을 통한 컴퓨터 사용 승인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한다.
상술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에서는 컴퓨터 연장사용을 할 수 있도록 컴퓨터 연장사용 신청 창이 활성화되도록 컴퓨터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컴퓨터 연장사용이 필요한 경우 컴퓨터 연장사용 신청 창을 활성화시킨 다음, 연장사용 시간, 연장사용 사유, 관리자 목록에서의 관리자의 선택 등에 대한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연장사용 신청 창에 입력된 정보에 따라 컴퓨터 연장신청이 실행되면, 컴퓨터 연장신청 정보가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로 전송된다.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는 컴퓨터 연장사용을 신청한 사용자에게 적용되는 탄력적 근로제를 기반으로 과거의 근로시간을 반영하여 사용자의 컴퓨터 연장사용 허용시간 등이 연산된다.
이후, 연장사용 승인 권한을 갖는 관리자에게 전송되도록 사용자의 신청시간에 대한 키번호, 연장사용 허용시간에 대한 키번호 및 연장사용을 불승인하는 불승인 키번호가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생성된다. 생성된 신청시간 키번호, 허용시간 키번호 및 불승인 키번호에 대한 정보가 관리자의 무선통신단말기(50)로 전송된다. 다만, 관리자가 회사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자 컴퓨터(40)로 생성된 신청시간 키번호, 허용시간 키번호 및 불승인 키번호에 대한 정보가 전송된다.
이후, 관리자가 무선통신단말기(50)에 신청시간 키번호, 허용시간 키번호 또는 불승인 키번호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됨에 따라, 입력된 키번호가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로 전송되고,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입력된 키번호에 따라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이 제어되어, 신청시간 또는 허용시간 동안 차단창의 디스플레이 실행이 해제되거나 차단창의 디스플레이가 계속 유지되도록 제어된다.
도 2를 참조하여, 탄력적 근로제 적용에 따라 사용자 컴퓨터(10)의 모니터에 차단창이 디스플레이되고, 연장사용 승인 권한을 갖는 관리자가 회사에서 부재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컴퓨터 연장사용을 신청하는 경우, 모바일을 통한 컴퓨터 연장사용을 승인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S1: 연장사용 신청정보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에서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로 전송되는 단계
탄력적 근로제가 적용된 상태에서, 소정의 업무시간이 지남에 따라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의 작동에 의해 사용자 컴퓨터(10)의 모니터에 차단창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의 컴퓨터 사용이 중단된다.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의 작동에 의해 컴퓨터 연장사용 신청 창이 활성화되도록 한다. 활성화된 연장사용 신청 창에 컴퓨터 연장사용 시간, 연장사용 사유, 연장사용에 대한 승인 권한을 갖는 관리자 선택 등에 대한 연장사용 신청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연장사용 신청정보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에서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로 전송된다.
S2: 컴퓨터 연장사용을 신청한 사용자의 당일 컴퓨터 연장사용에 대한 소정의 허용시간이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연산되는 단계
사용자의 근로시간은 사용자 컴퓨터(10)의 사용시간으로 판단되는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사용자의 컴퓨터 연장사용에 대한 신청정보가 전송됨에 따라, 탄력적 근로제에 적용되는 단위기간을 기반으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에서 체크 및 관리된 사용자의 과거 근로시간 및 근로자별 애플리케이션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연산된 근로시간을 반영하여,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는 사용자가 컴퓨터 연장사용을 신청한 경우에 당일에 사용자의 컴퓨터 연장사용이 허용될 수 있는 소정의 허용시간이 연산된다.
여기에서 소정의 허용시간은, 탄력적 근로제에 적용되는 단위기간에 적용될 수 있는 제한된 전체 근로시간에서 사용자의 과거 근로시간을 차감한 상태에서, 단위기간 내에 잔여 각각의 근로일에 설정된 근로일 최저 근로시간 및 최대 근로시간 범위을 벗어나지 않은 조건에서 당일 허용가능한 연장사용 시간일 수 있다.
단위기간 내에서 초기 근로일에는 많은 잔여 근로일 때문에 허용시간이 충분히 주어질 수 있으나, 단위기간이 마무리되는 시점에서는 잔여 근로일이 적기 때문에 허용시간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잔여 근로일의 근로시간을 고려하여 연장사용 신청 당일에 연상사용이 허용될 수 있는 시간이 연산될 수 있다.
또는, 소정의 허용시간은 회사 근로시간 정책에 따를 수 있다.
또는, 단위기간과 무관하게 일주일 또는 1개월 등 일정한 기간에 근로할 시간이 정해진 상태에서 이미 근로한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근로시간을 반영하여 연장사용 신청 당일에 연상사용이 허용될 수 있는 시간일 수 있다.
S3: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연장사용 신청시간이 연산된 허용시간을 초과하는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사용자가 컴퓨터 연장사용을 신청한 신청시간과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연산된 허용시간이 비교판단된다.
신청시간이 허용시간 범위 이내라면, 관리자의 승인절차 없이 자동으로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을 제어하여, 신청시간 동안 차단창의 디스플레이 실행이 해제된다(S3-1 단계). 사용자는 별도로 관리자의 승인절차 없이도 곧바로 연장사용이 가능하다. 불필요한 시간이 소모되고 복잡한 절차가 진행되는 관리자의 승인절차가 제거되는 바, 사용자의 근로시간 사용의 효율성이 증대된다.
신청시간이 허용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관리자의 승인절차를 거치게 된다.
S4: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신청시간 키번호, 허용시간 키번호 및 불승인 키번호가 생성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신청시간과 허용시간이 비교판단되건대, 신청시간이 허용시간을 초과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연장사용 여부가 관리자의 의사결정에 따른다.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신청시간 키번호, 허용시간 키번호 및 불승인 키번호가 생성된다. 신청시간 키번호, 허용시간 키번호 및 불승인 키번호 각각의 알고리즘을 서로 다르다. 따라서, 신청시간 키번호가 입력되면 신청시간 동안 차단창의 디스플레이 실행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며, 허용시간 키번호의 경우 허용시간 동안 차단창의 디스플레이 실행이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불승인 키번호가 입력되면 어떠한 상황에서도 차단창의 디스플레이가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S5: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컴퓨터 연장사용 승인 권한을 갖는 관리자의 무선통신단말기(50)로 신청시간 키번호, 허용시간 키번호 및 불승인 키번호에 대한 정보 모두가 전송되는 단계
관리자가 회사 내에 부재 중인 바, 관리자의 무선통신단말기(50)로 신청시간 키번호, 허용시간 키번호 및 불승인 키번호에 대한 정보 모두가 전송된다.
관리자의 승인 하에 컴퓨터 연장사용이 승인된다. 신청시간이 허용시간을 초과함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당일 신청시간만큼 컴퓨터 연장사용이 필요한 경우, 잔여 근로일의 근로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을 감수하면서 컴퓨터 연장사용을 승인하기 위함이다.
또는, 굳이 신청시간만큼 컴퓨터 연장사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잔여 근로일의 근로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범위에서 컴퓨터 연장사용이 가능하도록 허용시간만큼 컴퓨터 연장사용을 승인하기 위함이다.
또는, 사용자의 근로형태 등을 고려하여 컴퓨터의 연장사용이 허용될 수 없는 경우에 잔여 근로일의 근로시간에 상관없이 컴퓨터 연장사용을 불허하기 위함이다.
S6: 신청시간 키번호, 허용시간 키번호 또는 불승인 키번호가 관리자의 무선통신단말기(50)에 입력되어 관리자의 무선통신단말기(50)에서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로 전송는 단계
신청시간 키번호, 허용시간 키번호 또는 불승인 키번호 중 어느 하나가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다. 선택된 키번호가 관리자의 무선통신단말기(50)에 입력된다. 관리자의 무선통신단말기(50)에 입력된 선택된 키번호에 대한 정보가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로 전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는 상황에 따라 신청시간 키번호, 허용시간 키번호 또는 불승인 키번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선택된 키번호가 관리자가 소지한 무선통신단말기(50)에 입력된다. 관리자의 무선통신단말기(50)에 입력된 선택된 키번호에 대한 정보가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로 전송된다.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로 전송된 선택된 키번호가 입력되고, 선택된 키번호가 신청시간 키번호, 허용시간 키번호 또는 불승인 키번호인지에 따라, 컴퓨터 연장사용이 가능한 시간이 신청시간인지 허용시간인지, 아니면 컴퓨터 연장사용이 허용되지 않도록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가 제어된다.
다만, 회사 내에 부재 중인 관리자가 무선통신단말기(50)에 부주의하여 사용자의 컴퓨터의 연장사용 신청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무작정 관리자가 인식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은 불필요하게 소중한 시간을 소모하는 것으로 근로시간이 비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S7: 일정시간 이내에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신청시간 키번호 또는 허용시간 키번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관리자의 무선통신단말기(50)로부터 전송된 신청시간 키번호 또는 허용시간 키번호가 입력되었는지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판단된다.
즉, 관리자가 사용자에게 키번호를 알려주어 사용자기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0)에 키번호를 입력하여 차단창의 디스플레이 실행을 해제하는 방식보다, 관리자와 사용자 간의 통신에 따른 불필요한 시간을 제거하고자 그리고 사용자가 관리자로부터 전달받은 키번호가 부정확한 상태로 입력됨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하고자, 관리자가 무선통신단말기(50)로 전송받은 신청시간 키번호, 허용시간 키번호 또는 불승인 키번호 중 어느 하나를 직접 무선통신단말기(50)에 입력하고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근로시간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정시간 내에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신청시간 키번호 또는 허용시간 키번호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키번호가 신청시간 키번호라면 신청시간 동안 차단창의 디스플레이 실행이 해제되며, 입력된 키번호가 허용시간 키번호라면 사용자의 신청시간에 불구하고 허용시간 동안 차단창의 디스플레이 실행이 해제되어 사용자는 그 시간동안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다(S7-1 단계).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신청시간 키번호 또는 허용시간 키번호가 입력될 때까지(관리자가 무선통신단말기(50)에 키번호를 입력할 때까지) 사용자는 마냥 기다릴 수는 없다. 따라서, 일정시간 내에 이러한 신청시간 키번호 또는 허용시간 키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 자체에서 차단창의 디스플레이 실행 유지여부가 결정되도록 구성된다.
S8: 일정시간 내에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불승인 키번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일정시간 내에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신청시간 키번호 또는 허용시간 키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관리자는 무선통신단말기(50)에 불승인 키번호를 입력하고, 이러한 불승인 키번호가 관리자의 무선통신단말기(50)에서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일정시간 내에 신청시간 키번호 또는 허용시간 키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 자동적으로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차단창의 디스플레이 실행 유지 여부가 결정되기 전, 불승인 키번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된다.
일정시간 내에 신청시간 키번호 또는 허용시간 키번호가 아닌 불승인 키번호가 입력된 경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을 제어하여 차단창의 디스플레이 실행이 유지되도록 한다(S8-1 단계). 사용자는 더 이상 컴퓨터를 연장하여 사용할 수 없는 상태이다.
일정시간 내에 신청시간 키번호, 허용시간 키번호 또는 불승인 키번호 중 어느 하나도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입력되지 않은 경우, 이는 관리자의 부주의로 사용자의 컴퓨터 연장사용 신청을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여, 신청시간이 아닌 허용시간만큼 차단창의 디스플레이 실행이 해제되도록 한다(S8-2 단계).
본원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비효율적인 탄력적 근로제 운영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컴퓨터 연장사용 신청시 관리자의 통제가 이루어지도록 신청시간, 허용시간 및 불승인으로 구분되어 키번호가 생성되도록 하여 관리자에 전달되며,
나아가, 관리자와 사용자 간의 통신에 따른 불필요한 시간소모를 제거하고자, 관리자가 직접 무선통신단말기(50)로 키번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혹 관리자가 컴퓨터 연장사용 신청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최소의 컴퓨터 연장사용 시간인 허용시간만을 연장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효율적인 탄력적 근로제가 운영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사용자 컴퓨터
12: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20: 인사 관리서버 30: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
40: 관리자 컴퓨터 50: 관리자의 무선통신단말기

Claims (5)

  1. (a) 사용자 컴퓨터(10)의 모니터에 차단창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에 입력된 컴퓨터 연장사용 신청에 대한 정보가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로 전송되는 단계;
    (b) 컴퓨터 연장사용을 신청한 사용자의 당일 컴퓨터 연장사용에 대한 소정의 허용시간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연산되는 단계;
    (c)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청시간이 상기 허용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상기 신청시간이 상기 허용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생성된 신청시간 키번호, 허용시간 키번호 및 불승인 키번호에 대한 정보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서 관리자의 무선통신단말기(50)로 무선으로 전송되는 단계; 및
    (e) 일정시간 이내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상기 신청기간 키번호 또는 허용시간 키번호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f) 상기 (e) 단계에서 일정시간 이내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상기 신청시간 키번호 또는 허용시간 키번호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신청시간 또는 허용시간 동안 상기 차단창의 디스플레이 실행이 해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g) 상기 (e) 단계에서 일정시간 이내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상기 신청기간 키번호 또는 허용시간 키번호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일정시간 이내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상기 불승인 키번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h) 상기 (g) 단계에서, 일정시간 이내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상기 불승인 키번호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단창이 상기 허용시간 동안 상기 차단창의 디스플레이 실행이 해제되며, 일정시간 이내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상기 불승인 키번호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단창의 디스플레이 실행이 계속 유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의해 제어되는 상태에서, 상기 신청시간 키번호, 허용시간 키번호 또는 불승인 키번호가 상기 관리자의 무선통신단말기(50)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로 전송되어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입력됨에 따라, 상기 신청시간 동안 또는 상기 허용시간 동안 상기 차단창의 디스플레이 실행이 해제되거나, 상기 차단창의 디스플레이 실행이 계속 유지되도록 상기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이 제어되며,
    상기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의해 제어되는 상태에서, 일정시간 이내에 상기 신청시간 키번호, 허용시간 키번호 및 불승인 키번호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서버(30)에 입력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허용시간 동안 상기 차단창의 디스플레이 실행이 해제되도록 상기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2)이 제어되는 모바일을 통한 컴퓨터 사용 승인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00861A 2020-08-12 2020-08-12 모바일을 통한 컴퓨터 사용 승인방법 KR102222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861A KR102222863B1 (ko) 2020-08-12 2020-08-12 모바일을 통한 컴퓨터 사용 승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861A KR102222863B1 (ko) 2020-08-12 2020-08-12 모바일을 통한 컴퓨터 사용 승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863B1 true KR102222863B1 (ko) 2021-03-04

Family

ID=75174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861A KR102222863B1 (ko) 2020-08-12 2020-08-12 모바일을 통한 컴퓨터 사용 승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8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351A (ko) * 2002-02-25 2003-08-30 포디홈네트 홈 네트워크에서의 특정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접속 제한방법
KR101850509B1 (ko) * 2017-10-13 2018-04-19 주식회사 제이니스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가된 근무정보에 기반한 컴퓨터 사용 제어방법
JP2020004090A (ja) * 2018-06-28 2020-01-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351A (ko) * 2002-02-25 2003-08-30 포디홈네트 홈 네트워크에서의 특정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접속 제한방법
KR101850509B1 (ko) * 2017-10-13 2018-04-19 주식회사 제이니스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가된 근무정보에 기반한 컴퓨터 사용 제어방법
JP2020004090A (ja) * 2018-06-28 2020-01-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1210B2 (en) Policy enforcement of client devices
US8060924B2 (en) On-line centralized and local authorization of executable files
US740108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user access to computer software application programs
US7958216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an unplanned shutdown of a computer system
EP2936378B1 (en) Orchestrated interaction in access control evaluation
US8417815B2 (en) Management server, client terminal, terminal management system, terminal management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103112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isolating secure communication events from a non-secure application
CN102792632A (zh) 自动化证书管理
CN103984576A (zh) 用于防止应用卸载的方法和终端
JP6964160B2 (ja) 勤務管理システム、勤務管理方法、及び勤務管理プログラム
CN1650568B (zh) 手持设备忘记密码的通知
JP2008117316A (ja) 業務情報防護装置
KR101850509B1 (ko)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가된 근무정보에 기반한 컴퓨터 사용 제어방법
KR102222863B1 (ko) 모바일을 통한 컴퓨터 사용 승인방법
JP2006330846A (ja) アクセス制御装置、アクセス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630914B2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KR20210109489A (ko) 건설공사 프로젝트에 대한 협업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102096024B1 (ko)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단위기간 산정방법
KR102136936B1 (ko) 크론 테이블 작업 통합 관리 장치 및 시스템
CN104054088B (zh) 管理跨周界访问
JP2020004090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2282733B1 (ko) 연차사용계획제출 및 연차사용 촉진방법
US20230401504A1 (en) System for creating and managing enterprise user workflows
WO2024079916A1 (ja) 生産システム及び制御装置
JP7451262B2 (ja) 業務管理システム、業務管理プログラム実行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