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471B1 - 그린 월을 구성하는 포트에 대한 물 공급 제어가 가능한 그린 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그린 월을 구성하는 포트에 대한 물 공급 제어가 가능한 그린 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471B1
KR102222471B1 KR1020200181051A KR20200181051A KR102222471B1 KR 102222471 B1 KR102222471 B1 KR 102222471B1 KR 1020200181051 A KR1020200181051 A KR 1020200181051A KR 20200181051 A KR20200181051 A KR 20200181051A KR 102222471 B1 KR102222471 B1 KR 102222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water supply
groups
value
supply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혜선
이종순
김선영
이상준
박진규
오두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크래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크래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크래프트
Priority to KR1020200181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G05D7/0623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et value given to the control el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6Matrix or vector computation, e.g. matrix-matrix or matrix-vector multiplication, matrix factor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lgebra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그린 월(Green Wall)을 구성하는 포트(Pot)에 대한 물 공급 제어가 가능한 그린 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수분 센서를 통해 그린 월을 구성하는 복수의 포트들의 수분량을 센싱하고, 센싱된 수분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포트들에 대한 물 공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그린 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그린 월을 구성하는 포트에 대한 물 공급 제어가 가능한 그린 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GREEN WALL SYSTEM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WATER SUPPLY FOR POT CONSTITUTING THE GREEN WAL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그린 월을 구성하는 포트에 대한 물 공급 제어가 가능한 그린 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주거 공간이나 회사 등과 같은 실내 공간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실내 공간에서는 밀폐된 환경으로 인해, 미세먼지와 휘발성 유기화합 물질 등과 같은 유해 물질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유해 물질은 인간의 건강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밀폐된 실내 공간에서 장시간 동안 머무는 현대인을 위한 환경 개선 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서, 기존에는 공기 청정기를 이용하여 밀폐된 실내 공간에서 발생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공기 청정기는 휘발성 유기화합 물질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존재하였고, 공기 청정기를 가동시키는데 막대한 전기요금이 부과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한계점과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실내 공간에, 건물 내부 및 외부 벽, 독립형태의 구조물에서 자라는 식물인 그린 월(Green Wall)을 도입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그린 월은 식물을 통해 휘발성 유기화합 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간에게 정서적으로 편안함을 느끼게 해 주며, 도시 안에서 자연을 만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보통, 그린 월은 식물이 심어진 복수의 포트(Pot)들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건물 내부 및 외부 벽, 독립형태의 구조물에서 식물을 최적의 상태로 기르기 위해서는 그린 월을 구성하는 포트들에 적절하게 물을 공급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한편, 최근에는, 센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센서를 이용하여 소정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센싱하고, 이를 기초로 소정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파악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그린 월을 구성하는 복수의 포트들 각각에 소정의 수분 센서를 배치함으로써, 각 포트에서의 수분 함량을 측정한 후 이를 기초로 각 포트들에 대해 적절하게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시스템의 도입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이 도입된다면, 조경 관리자를 그린 월이 설치된 지점에 파견시킬 필요가 없어지며, 물이 부족한 포트들을 보다 빠르게 찾아내어, 해당 포트들에 대해 물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린 월을 구성하는 복수의 포트들에 대한 물 공급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수분 센서를 활용하여 포트에 대한 물 공급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그린 월 시스템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수분 센서를 통해 그린 월을 구성하는 복수의 포트(Pot)들의 수분량을 센싱하고, 센싱된 수분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포트들에 대한 물 공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그린 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그린 월을 구성하는 식물이 항상 최상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린 월(Green Wall)을 구성하는 n(n은 4이상의 자연수)개의 포트(Pot)들 - 상기 n개의 포트들 각각에는 수분 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n개의 포트들은 t(t는 2이상의 자연수)개씩 묶여서 총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의 그룹들로 그룹화되어 있으며,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심어진 식물들은 그룹별로 모두 동일한 종들이고,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는 각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기가 구비되어 있음 - 에 대한 물 공급 제어가 가능한 그린 월 시스템 장치는 상기 n개의 포트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수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수분 센싱 값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대해, 각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 각각에서 측정된 수분 센싱 값을 성분으로 갖는 t차원의 벡터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t차원의 센싱 벡터를 생성하는 벡터 생성부,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Manhattan Norm)을 연산하는 맨해튼 노름 연산부, 상기 k개의 그룹들 중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이 사전 설정된 제1 기준치 미만으로 연산되는 그룹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k개의 그룹들 중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이 상기 제1 기준치 미만으로 연산되는 그룹으로, 제1 그룹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그룹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 그룹에 구비된 물 공급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린 월을 구성하는 n(n은 4이상의 자연수)개의 포트들 - 상기 n개의 포트들 각각에는 수분 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n개의 포트들은 t(t는 2이상의 자연수)개씩 묶여서 총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의 그룹들로 그룹화되어 있으며,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심어진 식물들은 그룹별로 모두 동일한 종들이고,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는 각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기가 구비되어 있음 - 에 대한 물 공급 제어가 가능한 그린 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n개의 포트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수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수분 센싱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대해, 각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 각각에서 측정된 수분 센싱 값을 성분으로 갖는 t차원의 벡터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t차원의 센싱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k개의 그룹들 중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이 사전 설정된 제1 기준치 미만으로 연산되는 그룹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k개의 그룹들 중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이 상기 제1 기준치 미만으로 연산되는 그룹으로, 제1 그룹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그룹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 그룹에 구비된 물 공급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분 센서를 통해 그린 월을 구성하는 복수의 포트(Pot)들의 수분량을 센싱하고, 센싱된 수분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포트들에 대한 물 공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그린 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그린 월을 구성하는 식물이 항상 최상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린 월 시스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린 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블록들이나 흐름도의 단계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등 데이터 프로세싱이 가능한 장비의 프로세서나 메모리에 탑재되어 지정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instructions)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퓨터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 또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도의 블록들 또는 흐름도의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이를 수행하는 명령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로 생산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가능한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정해진 순서와 달리 실행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일부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생략된 채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린 월(Green Wall) 시스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린 월 시스템 장치(110)는 수신부(111), 벡터 생성부(112), 맨해튼 노름 연산부(113), 확인부(114) 및 제어부(115)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그린 월 시스템 장치(110)는 소정의 식물이 심어진 n(n은 4이상의 자연수)개의 포트(Pot)들로 구성된 그린 월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n개의 포트들 각각에는 수분 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n개의 포트들은 t(t는 2이상의 자연수)개씩 묶여서 총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의 그룹들로 그룹화되어 있으며,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심어진 식물들은 그룹별로 모두 동일한 종들이고,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는 각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기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n을 '8'이라고 하고, t를 '2'라고 하며, k를 '4'라고 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그린 월 시스템 장치(110)는 도 1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8개의 포트들(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인 '포트 1(141), 포트 2(142), 포트 3(143), 포트 4(144), 포트 5(145), 포트 6(146), 포트 7(147), 포트 8(148)'로 구성된 그린 월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8개의 포트들(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각각에는 '수분 센서 1(151), 수분 센서 2(152), 수분 센서 3(153), 수분 센서 4(154), 수분 센서 5(155), 수분 센서 6(156), 수분 센서 7(157), 수분 센서 8(158)'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8개의 포트들(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인 '포트 1(141), 포트 2(142), 포트 3(143), 포트 4(144), 포트 5(145), 포트 6(146), 포트 7(147), 포트 8(148)'은 2개씩 묶여서 총 4개의 그룹들(101, 102, 103, 104)인 '그룹 1(101), 그룹 2(102), 그룹 3(103), 그룹 4(104)'로 그룹화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4개의 그룹들(101, 102, 103, 104)인 '그룹 1(101), 그룹 2(102), 그룹 3(103), 그룹 4(104)' 각각에 포함된 2개의 포트들에 심어진 식물들은 그룹별로 모두 동일한 종들일 수 있고, 4개의 그룹들(101, 102, 103, 104)인 '그룹 1(101), 그룹 2(102), 그룹 3(103), 그룹 4(104)' 각각에는 각 그룹에 포함된 2개의 포트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기 1(161), 물 공급기 2(162), 물 공급기 3(163), 물 공급기 4(164)'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린 월 시스템 장치(110)의 수신부(111)는 상기 n개의 포트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수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수분 센싱 값을 수신한다.
벡터 생성부(112)는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대해, 각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 각각에서 측정된 수분 센싱 값을 성분으로 갖는 t차원의 벡터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t차원의 센싱 벡터를 생성한다.
맨해튼 노름 연산부(113)는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Manhattan Norm)을 연산한다.
여기서, 맨해튼 노름이란 벡터나 행렬의 크기를 나타내는 L1 노름으로,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연산될 수 있다.
Figure 112020139736410-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20139736410-pat00002
은 맨해튼 노름을 의미하고, xi는 벡터나 행렬에 포함되어 있는 i번째 성분을 의미한다.
확인부(114)는 상기 k개의 그룹들 중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이 사전 설정된 제1 기준치 미만으로 연산되는 그룹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제어부(115)는 상기 k개의 그룹들 중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이 상기 제1 기준치 미만으로 연산되는 그룹으로, 제1 그룹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그룹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 그룹에 구비된 물 공급기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수신부(111), 벡터 생성부(112), 맨해튼 노름 연산부(113), 확인부(114) 및 제어부(115)의 동작을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술한 예와 같이, 그린 월에 8개의 포트들(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이 존재한다고 하는 경우, 수신부(111)는 '포트 1(141), 포트 2(142), 포트 3(143), 포트 4(144), 포트 5(145), 포트 6(146), 포트 7(147), 포트 8(148)'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수분 센서인 '수분 센서 1(151), 수분 센서 2(152), 수분 센서 3(153), 수분 센서 4(154), 수분 센서 5(155), 수분 센서 6(156), 수분 센서 7(157), 수분 센서 8(158)'을 통해 측정되는 수분 센싱 값을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수분 센서 1(151), 수분 센서 2(152), 수분 센서 3(153), 수분 센서 4(154), 수분 센서 5(155), 수분 센서 6(156), 수분 센서 7(157), 수분 센서 8(158)'을 통해 측정된 수분 센싱 값이 각각 '2, 0, 7, 8, 9, 8, 6, 9'로 수신되었다고 하는 경우, 벡터 생성부(112)는 4개의 그룹들인 '그룹 1(101), 그룹 2(102), 그룹 3(103), 그룹 4(104)' 각각에 대해, 각 그룹에 포함된 2개의 포트들 각각에서 측정된 수분 센싱 값을 성분으로 갖는 2차원의 벡터를 구성함으로써, '그룹 1(101), 그룹 2(102), 그룹 3(103), 그룹 4(104)' 각각에 대응되는 2차원의 센싱 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그룹 1(101)'에 대해서는 '그룹 1(101)'에 포함된 2개의 포트들인 '포트 1(141), 포트 2(142)' 각각에서 측정된 수분 센싱 값이 '2, 0'이므로, 벡터 생성부(112)는 '그룹 1(101)'에 대한 2차원의 센싱 벡터로 '[2 0]'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그룹 2(102)'에 대해서는 '그룹 2(102)'에 포함된 2개의 포트들인 '포트 3(143), 포트 4(144)' 각각에서 측정된 수분 센싱 값이 '7, 8'이므로, 벡터 생성부(112)는 '그룹 2(102)'에 대한 2차원의 센싱 벡터로 '[7 8]'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그룹 3(103)'에 대해서는 '그룹 3(103)'에 포함된 2개의 포트들인 '포트 5(145), 포트 6(146)' 각각에서 측정된 수분 센싱 값이 '9, 8'이므로, 벡터 생성부(112)는 '그룹 3(103)'에 대한 2차원의 센싱 벡터로 '[9 8]'을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그룹 4(104)'에 대해서는 '그룹 4(104)'에 포함된 2개의 포트들인 '포트 7(147), 포트 8(148)' 각각에서 측정된 수분 센싱 값이 '6, 9'이므로, 벡터 생성부(112)는 '그룹 4(104)'에 대한 2차원의 센싱 벡터로 '[6 9]'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그룹 1(101), 그룹 2(102), 그룹 3(103), 그룹 4(104)' 각각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가 생성되면, 맨해튼 노름 연산부(113)는 '그룹 1(101), 그룹 2(102), 그룹 3(103), 그룹 4(104)' 각각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인 '[2 0], [7 8], [9 8], [6 9]'의 맨해튼 노름을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2, 15, 17, 15'와 같이 연산할 수 있다.
그 이후, 확인부(114)는 '그룹 1(101), 그룹 2(102), 그룹 3(103), 그룹 4(104)' 중 앞서 연산된 맨해튼 노름이 사전 설정된 제1 기준치 미만을 갖는 그룹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상기 제1 기준치를 '6'이라고 하는 경우, '그룹 1(101), 그룹 2(102), 그룹 3(103), 그룹 4(104)' 각각에 대응되는 맨해튼 노름은 '2, 15, 17, 15'이므로, 확인부(114)는 상기 제1 기준치인 '6' 미만의 크기를 갖는 맨해튼 노름을 갖는 그룹으로 '그룹 1(101)'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확인부(114)에 의해 '그룹 1(101)'이 확인되면, '그룹 1(101)'에 존재하는 포트인 '포트 1(141)'과 '포트 2(142)'는 수분량이 매우 적은 상태라고 볼 수 있으므로, 제어부(115)는 '그룹 1(101)'에 물이 공급되도록 '그룹 1(101)'에 구비된 '물 공급기 1(161)'을 제어함으로써, '그룹 1(101)'에 존재하는 '포트 1(141)'과 '포트 2(142)'에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맨해튼 노름 연산부(113)는 상기 k개의 그룹들 중 사전 설정된 임계치 미만의 성분을 1개 이상 센싱 벡터 내에 포함하고 있는 그룹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k개의 그룹들 중 상기 임계치 미만의 성분을 1개 이상 센싱 벡터 내에 포함하고 있는 그룹으로, 제2 그룹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을 연산할 때, 상기 제2 그룹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에 대해서는, 0.5 초과 1 미만의 크기를 갖는 사전 설정된 감축 보정치를 곱함으로써, 상기 제2 그룹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을 보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예에 따르면, 맨해튼 노름 연산부(113)는 '그룹 1(101), 그룹 2(102), 그룹 3(103), 그룹 4(104)' 중, 사전 설정된 임계치 미만의 성분을 1개 이상 센싱 벡터인 '[2 0], [7 8], [9 8], [6 9]' 내에 포함하고 있는 그룹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상기 임계치를 '3'이라고 하는 경우, '그룹 1(101), 그룹 2(102), 그룹 3(103), 그룹 4(104)' 각각의 센싱 벡터는 '[2 0], [7 8], [9 8], [6 9]'이고, 그 중 '그룹 1(101)'의 센싱 벡터인 '[2 0]'은 상기 임계치인 '3' 미만의 크기를 갖는 성분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맨해튼 노름 연산부(113)는 '그룹 1(101), 그룹 2(102), 그룹 3(103), 그룹 4(104)' 중에서 상기 임계치인 '3' 미만의 성분을 1개 이상 센싱 벡터 내에 포함하고 있는 그룹으로 '그룹 1(101)'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맨해튼 노름 연산부(113)에 의해 '그룹 1(101)'이 확인되면, 맨해튼 노름 연산부(113)는 '그룹 1(101), 그룹 2(102), 그룹 3(103), 그룹 4(104)' 각각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인 '[2 0], [7 8], [9 8], [6 9]'의 맨해튼 노름을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연산할 때, '그룹 1(101)'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인 '[2 0]'의 맨해튼 노름인 '2'에 대해서는, 0.5 초과 1 미만의 크기를 갖는 사전 설정된 감축 보정치를 곱함으로써, '그룹 1(101)'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인 '[2 0]'의 맨해튼 노름인 '2'를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상기 감축 보정치를 '0.7'이라고 하는 경우, 맨해튼 노름 연산부(113)는 '그룹 1(101), 그룹 2(102), 그룹 3(103), 그룹 4(104)' 각각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인 '[2 0], [7 8], [9 8], [6 9]'의 맨해튼 노름을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연산할 때, '그룹 1(101)'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인 '[2 0]'의 맨해튼 노름인 '2'에 대해서는, 상기 감축 보정치인 '0.7'을 곱함으로써, '그룹 1(101)'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인 '[2 0]'의 맨해튼 노름인 '2'를 '1.4'와 같이 보정할 수 있다.
즉, 특정 그룹을 구성하는 특정 포트로부터 수집된 수분 센싱 값이 상기 임계치 미만의 아주 작은 값을 갖는 경우에는 해당 포트의 수분량이 매우 적은 상태로 식물이 말라 죽을 수도 있기 때문에, 맨해튼 노름 연산부(113)는 해당 그룹의 맨해튼 노름이 더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도록 소정의 감축 보정치를 곱함으로써, 맨해튼 노름에 대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해당 그룹의 맨해튼 노름이 작은 값으로 보정된다면, 그 맨해튼 노름은 물 공급 제어의 기준이 되는 상기 제1 기준치보다 작은 값으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해당 그룹을 구성하는 포트들은 제어부(115)의 제어에 의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5)는 공급량 테이블 유지부(116), 공급량 확인부(117) 및 공급량 제어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량 테이블 유지부(116)는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물 공급량들과 상기 복수의 물 공급량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사전 설정된 범위 값이 기록되어 있는 물 공급량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한다.
예컨대, 3개의 물 공급량들이 존재한다고 하는 경우, 공급량 테이블 유지부(116)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물 공급량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3개의 물 공급량들 범위 값
0.5L 0 이상 2 미만
1L 2 이상 4 미만
1.5L 4 이상 6 미만
공급량 확인부(117)는 상기 k개의 그룹들 중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이 상기 제1 기준치 미만으로 연산되는 그룹으로, 상기 제1 그룹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기준치와 상기 제1 그룹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 간의 차이 값을 연산하고, 상기 물 공급량 테이블로부터 상기 연산된 차이 값이 속하는 범위 값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물 공급량을 확인한다.
공급량 제어부(118)는 상기 제1 물 공급량이 확인되면, 상기 제1 그룹에, 물이 상기 제1 물 공급량만큼 공급되도록 상기 제1 그룹에 구비된 물 공급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예컨대, 전술한 예에 따라, 확인부(114)에서 '그룹 1(101)'의 맨해튼 노름인 '2'가 상기 제1 기준치인 '6' 미만으로 확인되었다고 하는 경우, 공급량 확인부(117)는 상기 제1 기준치인 '6'과 '그룹 1(101)'의 맨해튼 노름인 '2' 간의 차이 값인 '4'를 연산할 수 있다.
그 이후, 공급량 확인부(117)는 상기 표 1과 같은 물 공급량 테이블로부터 상기 연산된 차이 값인 '4'가 속하는 범위 값인 '4 이상 6 미만'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물 공급량인 '1.5L'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공급량 확인부(117)에 의해 상기 제1 물 공급량이 '1.5L'로 확인되면, 공급량 제어부(118)는 '그룹 1(101)'에, 물이 상기 제1 물 공급량인 '1.5L'만큼 공급되도록 '그룹 1(101)'에 구비된 '물 공급기 1(161)'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5)는 상기 제1 기준치와 상기 제1 그룹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 간의 차이 값에 따라 상기 제1 그룹에 공급될 물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5)는 보정치 테이블 유지부(119) 및 식물 종 테이블 유지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정치 테이블 유지부(119)는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식물 종들 각각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보정치가 기록되어 있는 보정치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한다.
예컨대, 4개의 식물 종들이 존재한다고 하는 경우, 보정치 테이블 유지부(119)는 하기의 표 2와 같이 보정치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4개의 식물 종들 보정치
식물 종 1 0.5
식물 종 2 1
식물 종 3 1.5
식물 종 4 2
식물 종 테이블 유지부(120)는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심어진 것으로 지정된 식물 종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식물 종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한다.
예컨대, 4개의 그룹들(101, 102, 103, 104)이 존재한다고 하는 경우, 식물 종 테이블 유지부(120)는 하기의 표 3과 같이 식물 종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4개의 그룹들 심어진 것으로 지정된
식물 종에 대한 정보
그룹 1(101) 식물 종 3
그룹 2(102) 식물 종 4
그룹 3(103) 식물 종 1
그룹 4(104) 식물 종 2
이때, 공급량 제어부(118)는 상기 제1 물 공급량이 확인되면, 상기 식물 종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그룹에 심어진 것으로 지정된 제1 식물 종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보정치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식물 종에 대응되는 제1 보정치를 추출한 후 상기 제1 물 공급량에 상기 제1 보정치를 곱함으로써, 상기 제1 물 공급량을 보정하여, 상기 제1 그룹에, 물이 상기 보정된 제1 물 공급량만큼 공급되도록 상기 제1 그룹에 구비된 물 공급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예와 같이, 공급량 확인부(117)에 의해 상기 제1 물 공급량이 '1.5L'로 확인되었다고 하는 경우, 공급량 제어부(118)는 상기 표 3과 같은 식물 종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그룹인 '그룹 1(101)'에 심어진 것으로 지정된 제1 식물 종으로 '식물 종 3'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이후, 공급량 제어부(118)는 상기 표 2와 같은 보정치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식물 종인 '식물 종 3'에 대응되는 제1 보정치인 '1.5'를 추출한 후 상기 제1 물 공급량인 '1.5L'에 상기 제1 보정치인 '1.5'를 곱함으로써, 상기 제1 물 공급량인 '1.5L'를 '2.25L'와 같이 보정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공급량 제어부(118)는 '그룹 1(101)'에, 물이 상기 보정된 제1 물 공급량인 '2.25L'만큼 공급되도록 '그룹 1(101)'에 구비된 '물 공급기 1(161)'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5)는 상기 제1 그룹에 심어진 것으로 지정된 식물 종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그룹에 공급될 물 공급량을 추가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그린 월 시스템 장치(110)는 재수신부(121), 표준편차 연산부(122), 판단부(123) 및 메시지 전송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재수신부(121)는 제어부(115)에 의해 상기 제1 그룹에 구비된 물 공급기가 제어된 이후, 사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수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수분 센싱 값을 재수신한다.
표준편차 연산부(122)는 재수신부(121)를 통해 재수신된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 각각의 수분 센싱 값에 대한 표준편차를 연산한다.
판단부(123)는 상기 연산된 표준편차가 사전 설정된 제2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다.
메시지 전송부(124)는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대한 점검이 필요함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130)로 전송한다.
예컨대, 전술한 예와 같이, 제어부(115)에 의해, '그룹 1(101)'에 구비된 '물 공급기 1(161)'이 제어되었다고 하는 경우, 재수신부(121)는 '물 공급기 1(161)'이 제어된 시점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그룹 1(101)'에 포함된 2개의 포트들인 '포트 1(141), 포트 2(142)'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수분 센서 1(151), 수분 센서 2(152)'를 통해 측정되는 수분 센싱 값을 재수신할 수 있다.
이때, '그룹 1(101)'에 포함된 2개의 포트들인 '포트 1(141), 포트 2(142)'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수분 센서 1(151), 수분 센서 2(152)'를 통해 측정된 수분 센싱 값이 '6, 26'과 같이 재수신되었다고 하는 경우, 표준편차 연산부(122)는 재수신된 '그룹 1(101)'에 포함된 2개의 포트들인 '포트 1(141), 포트 2(142)' 각각의 수분 센싱 값인 '6, 26'에 대한 표준편차를 '14.14'와 같이 연산할 수 있다.
그 이후, 판단부(123)는 상기 연산된 표준편차인 '14.14'가 사전 설정된 제2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그룹 1(101)'에 포함된 2개의 포트들인 '포트 1(141), 포트 2(142)'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상기 제2 기준치를 '10'이라고 하는 경우, 판단부(123)는 상기 연산된 표준편차인 '14.14'가 상기 제2 기준치인 '10'을 초과하기 때문에, '그룹 1(101)'에 포함된 2개의 포트들인 '포트 1(141), 포트 2(142)'에 대해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특정 그룹에 물이 공급된 이후, 해당 그룹에 포함된 포트들의 수분 센싱 값의 표준 편차가 크다는 의미는 포트들 간에 수분이 소모되는 속도의 편차가 크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앞서, 동일 그룹 내에서는 포트들에 같은 식물 종이 심어져 있는 상황이라고 하였기 때문에, 그룹 내에서 수분이 소모되는 속도의 편차가 크게 발생한다면, 해당 그룹에 존재하는 특정 포트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판단부(123)는 특정 그룹에 포함된 포트들의 수분 센싱 값의 표준 편차가 상기 제2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된다면, 해당 그룹에 포함된 포트들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판단부(123)에 의해 '그룹 1(101)'에 포함된 2개의 포트들인 '포트 1(141), 포트 2(142)'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메시지 전송부(124)는 '그룹 1(101)'에 포함된 2개의 포트들인 '포트 1(141), 포트 2(142)'에 대한 점검이 필요함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상기 안내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대한 점검을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그린 월 시스템 장치(110)에는 주변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를 센싱하기 위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미세먼지 센서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그린 월 시스템 장치(110)는 해당 센서들을 통해 그린 월 시스템 장치(110)가 설치되어 있는 주변 장소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관리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그린 월 시스템 장치(110)에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그린 월 시스템 장치(110)는 n개의 포트들 각각에 심어진 것으로 지정된 식물 종에 대한 정보, 그린 월 시스템 장치(110)가 설치되어 있는 주변 장소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린 월을 구성하는 n(n은 4이상의 자연수)개의 포트들(상기 n개의 포트들 각각에는 수분 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n개의 포트들은 t(t는 2이상의 자연수)개씩 묶여서 총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의 그룹들로 그룹화되어 있으며,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심어진 식물들은 그룹별로 모두 동일한 종들이고,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는 각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기가 구비되어 있음)에 대한 물 공급 제어가 가능한 그린 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210)에서는 상기 n개의 포트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수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수분 센싱 값을 수신한다.
단계(S220)에서는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대해, 각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 각각에서 측정된 수분 센싱 값을 성분으로 갖는 t차원의 벡터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t차원의 센싱 벡터를 생성한다.
단계(S230)에서는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을 연산한다.
단계(S240)에서는 상기 k개의 그룹들 중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이 사전 설정된 제1 기준치 미만으로 연산되는 그룹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단계(S250)에서는 상기 k개의 그룹들 중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이 상기 제1 기준치 미만으로 연산되는 그룹으로, 제1 그룹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그룹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 그룹에 구비된 물 공급기를 제어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250)에서는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물 공급량들과 상기 복수의 물 공급량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사전 설정된 범위 값이 기록되어 있는 물 공급량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상기 k개의 그룹들 중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이 상기 제1 기준치 미만으로 연산되는 그룹으로, 상기 제1 그룹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기준치와 상기 제1 그룹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 간의 차이 값을 연산하고, 상기 물 공급량 테이블로부터 상기 연산된 차이 값이 속하는 범위 값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물 공급량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물 공급량이 확인되면, 상기 제1 그룹에, 물이 상기 제1 물 공급량만큼 공급되도록 상기 제1 그룹에 구비된 물 공급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250)에서는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식물 종들 각각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보정치가 기록되어 있는 보정치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심어진 것으로 지정된 식물 종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식물 종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물 공급량이 확인되면, 상기 식물 종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그룹에 심어진 것으로 지정된 제1 식물 종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보정치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식물 종에 대응되는 제1 보정치를 추출한 후 상기 제1 물 공급량에 상기 제1 보정치를 곱함으로써, 상기 제1 물 공급량을 보정하여, 상기 제1 그룹에, 물이 상기 보정된 제1 물 공급량만큼 공급되도록 상기 제1 그룹에 구비된 물 공급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230)에서는 상기 k개의 그룹들 중 사전 설정된 임계치 미만의 성분을 1개 이상 센싱 벡터 내에 포함하고 있는 그룹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k개의 그룹들 중 상기 임계치 미만의 성분을 1개 이상 센싱 벡터 내에 포함하고 있는 그룹으로, 제2 그룹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을 연산할 때, 상기 제2 그룹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에 대해서는, 0.5 초과 1 미만의 크기를 갖는 사전 설정된 감축 보정치를 곱함으로써, 상기 제2 그룹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린 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계(S250)에 의해 상기 제1 그룹에 구비된 물 공급기가 제어된 이후, 사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수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수분 센싱 값을 재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수신하는 단계를 통해 재수신된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 각각의 수분 센싱 값에 대한 표준편차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표준편차가 사전 설정된 제2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대한 점검이 필요함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린 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린 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그린 월 시스템 장치(110)의 동작에 대한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린 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린 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그린 월 시스템 장치
111: 수신부 112: 벡터 생성부
113: 맨해튼 노름 연산부 114: 확인부
115: 제어부 116: 공급량 테이블 유지부
117: 공급량 확인부 118: 공급량 제어부
119: 보정치 테이블 유지부 120: 식물 종 테이블 유지부
121: 재수신부 122: 표준편차 연산부
123: 판단부 124: 메시지 전송부
130: 관리자 단말
101, 102, 103, 104: 4개의 그룹들

Claims (12)

  1. 그린 월(Green Wall)을 구성하는 n(n은 4이상의 자연수)개의 포트(Pot)들 - 상기 n개의 포트들 각각에는 수분 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n개의 포트들은 t(t는 2이상의 자연수)개씩 묶여서 총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의 그룹들로 그룹화되어 있으며,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심어진 식물들은 그룹별로 모두 동일한 종들이고,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는 각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기가 구비되어 있음 - 에 대한 물 공급 제어가 가능한 그린 월 시스템 장치에 있어서,
    상기 n개의 포트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수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수분 센싱 값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대해, 각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 각각에서 측정된 수분 센싱 값을 성분으로 갖는 t차원의 벡터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t차원의 센싱 벡터를 생성하는 벡터 생성부;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Manhattan Norm)을 연산하는 맨해튼 노름 연산부;
    상기 k개의 그룹들 중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이 사전 설정된 제1 기준치 미만으로 연산되는 그룹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k개의 그룹들 중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이 상기 제1 기준치 미만으로 연산되는 그룹으로, 제1 그룹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그룹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 그룹에 구비된 물 공급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그린 월 시스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물 공급량들과 상기 복수의 물 공급량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사전 설정된 범위 값이 기록되어 있는 물 공급량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공급량 테이블 유지부;
    상기 k개의 그룹들 중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이 상기 제1 기준치 미만으로 연산되는 그룹으로, 상기 제1 그룹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기준치와 상기 제1 그룹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 간의 차이 값을 연산하고, 상기 물 공급량 테이블로부터 상기 연산된 차이 값이 속하는 범위 값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물 공급량을 확인하는 공급량 확인부; 및
    상기 제1 물 공급량이 확인되면, 상기 제1 그룹에, 물이 상기 제1 물 공급량만큼 공급되도록 상기 제1 그룹에 구비된 물 공급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공급량 제어부
    를 포함하는 그린 월 시스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식물 종들 각각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보정치가 기록되어 있는 보정치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보정치 테이블 유지부; 및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심어진 것으로 지정된 식물 종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식물 종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식물 종 테이블 유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량 제어부는
    상기 제1 물 공급량이 확인되면, 상기 식물 종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그룹에 심어진 것으로 지정된 제1 식물 종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보정치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식물 종에 대응되는 제1 보정치를 추출한 후 상기 제1 물 공급량에 상기 제1 보정치를 곱함으로써, 상기 제1 물 공급량을 보정하여, 상기 제1 그룹에, 물이 상기 보정된 제1 물 공급량만큼 공급되도록 상기 제1 그룹에 구비된 물 공급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그린 월 시스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해튼 노름 연산부는
    상기 k개의 그룹들 중 사전 설정된 임계치 미만의 성분을 1개 이상 센싱 벡터 내에 포함하고 있는 그룹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k개의 그룹들 중 상기 임계치 미만의 성분을 1개 이상 센싱 벡터 내에 포함하고 있는 그룹으로, 제2 그룹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을 연산할 때, 상기 제2 그룹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에 대해서는, 0.5 초과 1 미만의 크기를 갖는 사전 설정된 감축 보정치를 곱함으로써, 상기 제2 그룹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을 보정하는 그린 월 시스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그룹에 구비된 물 공급기가 제어된 이후, 사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수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수분 센싱 값을 재수신하는 재수신부;
    상기 재수신부를 통해 재수신된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 각각의 수분 센싱 값에 대한 표준편차를 연산하는 표준편차 연산부;
    상기 연산된 표준편차가 사전 설정된 제2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대한 점검이 필요함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그린 월 시스템 장치.
  6. 그린 월(Green Wall)을 구성하는 n(n은 4이상의 자연수)개의 포트(Pot)들 - 상기 n개의 포트들 각각에는 수분 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n개의 포트들은 t(t는 2이상의 자연수)개씩 묶여서 총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의 그룹들로 그룹화되어 있으며,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심어진 식물들은 그룹별로 모두 동일한 종들이고,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는 각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기가 구비되어 있음 - 에 대한 물 공급 제어가 가능한 그린 월(Green Wall)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n개의 포트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수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수분 센싱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대해, 각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 각각에서 측정된 수분 센싱 값을 성분으로 갖는 t차원의 벡터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t차원의 센싱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Manhattan Norm)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k개의 그룹들 중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이 사전 설정된 제1 기준치 미만으로 연산되는 그룹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k개의 그룹들 중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이 상기 제1 기준치 미만으로 연산되는 그룹으로, 제1 그룹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그룹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 그룹에 구비된 물 공급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그린 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물 공급량들과 상기 복수의 물 공급량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사전 설정된 범위 값이 기록되어 있는 물 공급량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상기 k개의 그룹들 중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이 상기 제1 기준치 미만으로 연산되는 그룹으로, 상기 제1 그룹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기준치와 상기 제1 그룹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 간의 차이 값을 연산하고, 상기 물 공급량 테이블로부터 상기 연산된 차이 값이 속하는 범위 값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물 공급량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물 공급량이 확인되면, 상기 제1 그룹에, 물이 상기 제1 물 공급량만큼 공급되도록 상기 제1 그룹에 구비된 물 공급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그린 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식물 종들 각각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보정치가 기록되어 있는 보정치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심어진 것으로 지정된 식물 종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식물 종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물 공급량이 확인되면, 상기 식물 종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그룹에 심어진 것으로 지정된 제1 식물 종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보정치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식물 종에 대응되는 제1 보정치를 추출한 후 상기 제1 물 공급량에 상기 제1 보정치를 곱함으로써, 상기 제1 물 공급량을 보정하여, 상기 제1 그룹에, 물이 상기 보정된 제1 물 공급량만큼 공급되도록 상기 제1 그룹에 구비된 물 공급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그린 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맨해튼 노름을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k개의 그룹들 중 사전 설정된 임계치 미만의 성분을 1개 이상 센싱 벡터 내에 포함하고 있는 그룹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k개의 그룹들 중 상기 임계치 미만의 성분을 1개 이상 센싱 벡터 내에 포함하고 있는 그룹으로, 제2 그룹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k개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을 연산할 때, 상기 제2 그룹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에 대해서는, 0.5 초과 1 미만의 크기를 갖는 사전 설정된 감축 보정치를 곱함으로써, 상기 제2 그룹에 대응되는 센싱 벡터의 맨해튼 노름을 보정하는 그린 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제1 그룹에 구비된 물 공급기가 제어된 이후, 사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수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수분 센싱 값을 재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수신하는 단계를 통해 재수신된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 각각의 수분 센싱 값에 대한 표준편차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표준편차가 사전 설정된 제2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t개의 포트들에 대한 점검이 필요함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그린 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2.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181051A 2020-12-22 2020-12-22 그린 월을 구성하는 포트에 대한 물 공급 제어가 가능한 그린 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22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051A KR102222471B1 (ko) 2020-12-22 2020-12-22 그린 월을 구성하는 포트에 대한 물 공급 제어가 가능한 그린 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051A KR102222471B1 (ko) 2020-12-22 2020-12-22 그린 월을 구성하는 포트에 대한 물 공급 제어가 가능한 그린 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471B1 true KR102222471B1 (ko) 2021-03-03

Family

ID=7515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051A KR102222471B1 (ko) 2020-12-22 2020-12-22 그린 월을 구성하는 포트에 대한 물 공급 제어가 가능한 그린 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47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014A (ko) * 2007-10-30 2009-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센서 데이터 기반 버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적용되는 센서 데이터 관리 서버
KR101769832B1 (ko) * 2016-04-11 2017-08-21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Ndvi 카메라 장치
US20180295783A1 (en) * 2017-04-17 2018-10-18 Iron Ox, Inc. Method for monitoring growth of plants and generating a plant grow schedule
JP6443788B2 (ja) * 2012-08-23 2018-12-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自動灌水システム、自動灌水方法、プログラム、自動灌水用コントローラ
JP2019118342A (ja) * 2017-12-28 2019-07-22 株式会社テヌート 多区画型栽培施設
KR102176188B1 (ko) * 2020-08-07 2020-11-09 정만식 인공지능 기반의 도로 노후화 등급 판단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014A (ko) * 2007-10-30 2009-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센서 데이터 기반 버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적용되는 센서 데이터 관리 서버
JP6443788B2 (ja) * 2012-08-23 2018-12-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自動灌水システム、自動灌水方法、プログラム、自動灌水用コントローラ
KR101769832B1 (ko) * 2016-04-11 2017-08-21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Ndvi 카메라 장치
US20180295783A1 (en) * 2017-04-17 2018-10-18 Iron Ox, Inc. Method for monitoring growth of plants and generating a plant grow schedule
JP2019118342A (ja) * 2017-12-28 2019-07-22 株式会社テヌート 多区画型栽培施設
KR102176188B1 (ko) * 2020-08-07 2020-11-09 정만식 인공지능 기반의 도로 노후화 등급 판단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32235B (zh) 基于三维模型的关系型数据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6777751A (zh) 建筑信息处理方法及装置
US7930626B2 (en) Determining a location for placing data in a spreadsheet based on a location of the data source
CN111061740B (zh) 一种数据同步方法、设备和存储介质
CA2913379C (en)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compost
CN111930317A (zh) 基于ceph数据分布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102222471B1 (ko) 그린 월을 구성하는 포트에 대한 물 공급 제어가 가능한 그린 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04198530A5 (ko)
CN105656928B (zh) 一种基于数据中心终端的个人工作台内容显示方法及系统
CN110888949B (zh) 基于三维地图的设备告警屏蔽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0610008B (zh) 核素释放活度的计算方法和装置
JP5613708B2 (ja) 気流状況予測装置、気流状況予測方法、拡散状況予測装置および拡散状況予測方法
EP3591481B1 (en) Device configuration management apparatus, system, and program
JP2023077061A (ja) 課税情報管理装置、課税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120752A (zh) 一种基于大数据的飞行模拟器参数自动调整系统
CN114363214A (zh) 用于交换机抗震测试的方法及装置、计算机设备、存储介质
CN112906117A (zh) 室内设备布置图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1859058A (zh) 环境数据的获取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Pelikan et al. NEWGARDEN: a computer program to model the population dynamics and genetics of establishing and fragmented plant populations
Boettcher et al. d c= 4 Is the Upper Critical Dimension for the Bak-Sneppen Model
CN109542374A (zh) 一种在拼接屏上显示拼接盒地址的方法及系统
CN117706045B (zh) 基于物联网实现大气臭氧监测设备的联合控制方法及系统
CN106997523A (zh) 一种高压架空输电线路房屋信息获取装置及方法
US20240112284A1 (en) System for managing/monitoring natural ecosystem
JP7312285B2 (ja) 課税情報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