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871B1 - 토목건축구조물의 설계방법 - Google Patents

토목건축구조물의 설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871B1
KR102221871B1 KR1020200120691A KR20200120691A KR102221871B1 KR 102221871 B1 KR102221871 B1 KR 102221871B1 KR 1020200120691 A KR1020200120691 A KR 1020200120691A KR 20200120691 A KR20200120691 A KR 20200120691A KR 102221871 B1 KR102221871 B1 KR 102221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unit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site
inle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영구
Original Assignee
함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영구 filed Critical 함영구
Priority to KR1020200120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측량자를 이용하여 토목건축구조물 시공 장소의 토지를 측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목건축구조물의 설계방법.

Description

토목건축구조물의 설계방법{METHOD OF DESIGNING A BUI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토목건축구조물의 설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목건축구조물 준공까지의 일련의 설계 흐름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건설 및/또는 토목 현장에 적용되는 교량, 난간, 날개 옹벽, 교명주, 교대, 교각, 용수로, 콘크리트 거푸집, 동바리, 비계, 접속 슬래브, 옹벽 등의 구조물은 대부분이 정형화된 설계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토사량의 정확한 계산 기능을 포함하여 상기와 같이 정형화된 설계 단면을 가지는 구조물 등에 소요되는 콘크리트 및/또는 철근 등의 자재 물량 또한 정형화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정형화된 설계 단면을 가지는 구조물을 현장에 적용할 경우 시공현장의 상황에 따라 설계상 의도하지 않았던 여러가지의 변수가 발생하여 구조물의 설계 단면을 변경할 수 밖에 없는데, 이 경우 종래에는 설계 작업자가 공학 수식의 연산을 통해 수작업으로 설계 변경에 맞는 자재 물량을 산출해야 하는 불편함은 물론, 수작업으로 자재 물량을 산출시 건설 및/또는 토목 공사가 지연될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종래에는 건설 및/또는 토목 현장에서 변수 발생으로 구조물에 대한 설계 단면을 변경시킬 경우 새롭게 공학수식의 연산에 변수값을 대입하여 일일이 소요되는 자재 물량을 새롭게 산출해야 하는 등 그 설계 단계가 복잡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와 같은 설계 단계의 복잡성으로 인해 공사가 지연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토목건축구조물 준공까지의 일련의 설계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토목건축구조물의 설계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토목건축물의 설계 단계에 있어서 토지 측량 시 사용되는 측량자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토목건축구조물의 설계방법은 측량자를 이용하여 토목건축구조물 시공 장소의 토지를 측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시공 장소의 현장 답사 단계; 상기 토목건축물의 자재 선정 및 물량 산출 단계; 상기 토목건축물의 자재의 단가 및 물량에 따른 총 공사비 산출 단계;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설계 도면 작성 단계; 상기 설계 도면 및 자재 공급 단계; 및 준공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량자는, 상기 시공 장소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직육면체 형상의 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시공 장소의 토지면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의 길이 측량을 위해 일측에 눈금이 소정 단위로 표시되는 수평 측량부; 및 상기 수평 측량부와 수직하게 배치되고, 직육면체 형상의 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시공 장소의 토지면의 높이 측량을 위해 일측에 눈금이 소정 단위로 표시되는 수직 측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측량부는, 상기 수평 측량부의 일측면에 상기 수평 측량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눈금이 소정 단위로 표시되는 눈금자 표시면; 상기 수평 측량부의 상측면에 상기 수평 측량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 상기 삽입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 설치되고, 내측에 다수의 태양광 기반의 led 칩이 실장되어 상부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발광 모듈; 및 상기 삽입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 설치되되, 상기 삽입홈 내에서 상기 발광 모듈의 상부에 구비되도록 설치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발광 모듈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측량부는, 하단부에 내측으로 소정 깊이로 인입되어 형성되고, 중심에 고정핀 관통홀을 포함하는 인입홈; 및 상기 인입홈에 마련되어 상기 수직 측량부를 상기 시공 장소의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인입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입홈에 삽입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원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뾰족한 형상의 단부가 상기 시공 장소의 바닥면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 측량부를 소정 힘으로 고정시키는 고정핀; 및 상기 인입홈에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인입된 상태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인입홈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인입홈의 내측면을 향하여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상기 인입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그 사이에 상기 고정핀이 위치하도록 한 쌍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의 단부가 상기 인입홈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고정핀의 외면을 고정 지지하는 보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량자는, 상기 수직 측량부 및 상기 수평 측량부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는 이동 레일; 상기 수직 측량부 및 상기 수평 측량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직 측량부 및 상기 수평 측량부를 소정 각도로 상호 연결하는 각도 조절부; 및 상기 수직 측량부 및 상기 수평 측량부에 각각 설치된 각도 조절부가 상호 겹쳐지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체결되어 그 상태를 고정하는 체결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각 모서리 부분에 고정 수단 체결 홀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 레일의 소정 높이에서 상기 고정 수단 체결 홀에 삽입되는 고정 수단을 통해 상기 수직 측량부 또는 상기 수평 측량부에 체결 고정되는 슬라이딩 블록;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수직 측량부 또는 상기 수평 측량부 사이에 게재되고,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의 고정 핀 체결 홀을 형성하며, 소정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고정 핀 체결 홀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형성되는 고정 핀 관통 홀에 체결되는 회전부 고정 핀에 의해 현재 회전한 상태로 고정되는 회전부; 및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평평한 안착 면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중심 부분에 형성되는 안착부 관통 홀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블록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체결 수단의 삽입을 위한 체결 수단 관통 홀을 형성하고, 안착 면이 상호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체결 수단 관통 홀에 상기 체결 수단이 체결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토목건축구조물 설계의 작업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측량자는 빛을 조사하는 발광 모듈이 삽입 설치되고, 수평자 및 수직자 간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마련되어 측량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건축구조물의 설계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량 단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평 측량부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평 측량부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수직 측량부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측량자를 이용한 측량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각도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건축구조물의 설계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건축구조물의 설계방법은 현장 답사 단계(S10), 측량 단계(S20), 자재 선정 단계(S30), 물량 산출 단계(S40), 공사비 산출 단계(S50), 설계 도면 작성 단계(S60), 설계 도면 및 자재 공급 단계(S70) 및 준공 단계(S80)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 답사 단계(S10)는 토목건축구조물의 시공 장소의 현장 답사 단계에 해당한다.
현장 답사 단계(S10)는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토목건축구조물의 시공 장소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측량 단계(S20)는 토목건축구조물의 시공 장소의 토지를 측량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측량 단계(S20)는 측량자, 광파측량기, 오토레벨기 등의 측량 모듈을 이용하여 시공 장소의 지형을 파악할 수 있도록 측량하여 측량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자재 선정 단계(S30) 및 물량 산출 단계(S40)는 현장 답사 단계(S10)에서 획득한 시공 장소의 이미지 및 측량 단계(S20)에서 획득한 측량 데이터에 기반하여 토목건축구조물의 자재에 기반한 토목건축구조물의 자재를 선정하고 그 물량을 산출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여기서, 자재는 경유, 비계, 페인트, 레미콘, 패널 등의 물리적 재료뿐만 아니라, 노무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재 선정 단계(S30) 및 물량 산출 단계(S40)는 입출력장치를 포함하여, 시공 장소의 이미지 및 측량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를 출력하여 시공 전문가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자재 선정 단계(S30) 및 물량 산출 단계(S40)는 시공 전문가로부터 토목건출물의 자재 및 물량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공사비 산출 단계(S50)는 자재 선정 단계(S30) 및 물량 산출 단계(S40)에서 산출한 토목건축구조물의 자재의 단가 및 물량에 따른 총 공사비를 산출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공사비 산출 단계(S50)는 입출력장치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자재의 단가 데이터에 따른 총 공사비를 산출하여 출력함으로써 시공 전문가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공사비 산출 단계(S50)는 예산 대비 공사비를 산출하고, 산출한 공사비를 조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사비 산출 단계(S50)는 입출력장치를 이용하여 토목건축구조물 설계에 대한 예산을 입력받고, 예산 대비 산출한 공사비에 따라 관공서와의 노선 비용 협의 등을 요청하여 공사비를 예산 대비 소정 금액 이하로 공사비가 산출되도록 조율할 수 있다.
설계 도면 작성 단계(S60)는 토목건축구조물의 설계 도면을 작성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설계 도면 작성 단계(S60)는 입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설계 도면 작성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전문가로부터 설계 도면을 입력받을 수 있다.
설계 도면 및 자재 공급 단계(S70)는 설계 도면 작성 단계(S60)에서 작성된 설계 도면 및 자재를 작업자에게 공급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설계 도면 및 자재 공급 단계(S70)는 설계 도면에 따라 토목건축구조물이 준공될 수 있도록 설계 도면을 소정 방법으로 출력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자재 및 그 수량이 시공 장소로 이송되도록 일련의 주문 단계를 처리할 수 있다.
준공 단계(S80)는 설계 도면에 따른 토목건축구조물의 준공 단계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건축구조물의 설계방법은 토목건축구조물 설계의 작업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량 단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측량 단계(S20)는 측량자(200)를 이용하여 토목건축구조물 시공 장소의 토지를 측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측량자(200)는 수평 측량부(210) 및 수직 측량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측량부(210)는 시공 장소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시공 장소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의 길이 측량을 가능하게 한다.
수직 측량부(220)는 수평 측량부(210)와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시공 장소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시공 장소의 높이 측량을 가능하게 한다.
수평 측량부(210) 및 수직 측량부(220)는 직육면체 형상의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면에 눈금이 소정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평 측량부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평 측량부(210)는 눈금자 표시면(211) 및 삽입홈(213)을 포함할 수 있다.
눈금자 표시면(211)은 수평 측량부(210)의 일측면에 수평 측량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눈금이 소정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작업자는 이러한 눈금자 표시면(211)에 표시된 눈금을 읽어 시공 장소의 길이를 측량할 수 있을 것이다.
삽입홈(213)은 수평 측량부(210)의 상측면에 수평 측량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홈(213)에는 빛을 조사하는 발광 모듈이 삽입 설치되어 측량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평 측량부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평 측량부(210)는 발광 모듈(215) 및 덮개부(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모듈(215)은 삽입홈(21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홈(213)에 삽입 설치될 수 있으며, 내측에 다수의 태양광 기반의 led 칩이 실장되어 상부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덮개부(216)는 삽입홈(21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발광 모듈(215)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홈(213)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즉, 덮개부(216) 및 발광 모듈(215)은 암수 결합되도록 끝단에 홈과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삽입홈(213) 내에서 발광 모듈(215)의 상부에 덮개부(216)가 구비되도록 한다.
덮개부(216)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되어 발광 모듈(215)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수직 측량부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직 측량부(220)는 하단부에 고정 모듈(270)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 모듈(270)은 수직 측량부(220)가 시공 장소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측량 작업의 안정성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수직 측량부(220)는 하단부에 내측으로 소정 깊이로 인입되어 형성되는 인입홈(210a) 및 인입홈(210a)의 중심에 형성되는 고정핀 관통홀(210b)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모듈(270)은 이러한 수직 측량부(220)의 인입홈(210a)에 마련될 수 있다.
고정 모듈(270)은 고정 플레이트(271), 고정핀(272) 및 탄성 부재(27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271)는 인입홈(210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인입홈(210a)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핀(272)은 고정 플레이트(271)의 일측으로부터 원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뾰족한 형상의 고정핀(272) 단부는 시공 장소에 삽입되어 수직 측량부(220)을 시공 장소에 소정 힘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핀(272)의 높이는 인입홈(210a)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271)는 고정핀(272)이 고정핀 관통홀(210b)에 삽입되도록 배치되어 인입홈(210a)에 설치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인입홈(210a)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고정핀(272)의 뾰족한 단부는 인입홈(210a)으로부터 돌출될 것이다.
탄성 부재(273)는 인입홈(210a)에 고정 플레이트(271)가 인입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탄성 부재(273)는 인입홈(210a)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테두리부(273a) 및 테두리부(273a)의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그 사이에 고정핀(272)이 위치하도록 한 쌍 형성되는 보조부(273b)를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부(273a)는 인입홈(210a)에 삽입되는 경우, 인입홈(210a)의 내측을 향하여 탄성력을 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입홈(210a)에 고정 플레이트(271)를 삽입한 뒤 탄성 부재(273)를 삽입하는 경우, 탄성 부재(273)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271)가 인입홈(210a)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고정핀(272)이 인입홈(210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된 경우, 고정핀(272)의 외면은 보조부(273b)에 의해 고정 지지될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측량자를 이용한 측량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직 측량부(220)에 수평 측량부(210)를 수직하게 설치하여 시공 장소의 토지면의 폭 방향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수직 측량부(220)는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는 이동 레일(2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 레일(230)을 통해 수평 측량부(210)는 수직 측량부(22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수평 측량부(210)를 시공 장소 토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배치한 뒤 수평 측량부(210)에 마련된 눈금을 통해 시공 장소의 폭 방향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수평 측량부(210) 또한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는 이동 레일(2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 레일(230)을 통해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수직 측량부(220)는 수평 측량부(210)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시공 장소의 토지면이 기울어진 경우, 수직 측량부(220)에 대하여 수평 측량부(210)를 수직이 아닌 각도로 설치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량자(200)는 수직 측량부(220)에 대하여 수평 측량부(210)를 설치하되, 그 설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각도 조절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 이하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각도 조절부(240)는 수직 측량부(220) 및 수평 측량부(21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수직 측량부(220) 및 수평 측량부(210)는 각도 조절부(240)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즉, 수직 측량부(220) 및 수평 측량부(210)에 각각 설치된 각도 조절부(240)를 상호 겹쳐지도록 배치한 뒤 소정 체결 수단(250)을 통해 그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직 측량부(220)에 설치되는 각도 조절부(240)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각도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각도 조절부(240)는 슬라이딩 블록(241), 안착부(245) 및 회전부(247)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241)은 직사각형 형태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모서리 부분에 고정 수단(243)의 삽입을 위한 고정 수단 체결 홀(241b)을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241)은 이러한 고정 수단 체결 홀(241b)에 삽입되는 고정 수단(243)을 통해 수직 측량부(220)에 형성되는 이동 레일(230)의 소정 높이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241)은 중심 부분에 후술하는 안착부(245)의 관통을 위한 안착부 관통 홀(241a)을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241)은 안착부 관통 홀(241a)의 하측에 후술하는 회전부(247)의 회전 상태 고정을 위해 회전부(247)에 체결되는 회전부 고정 핀의 관통을 위한 회전부 고정 핀 관통 홀(241c)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부(247)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블록(241)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슬라이딩 블록(241)이 수직 측량부(220)의 일측면에 체결되는 경우, 수직 측량부(220)와 슬라이딩 블록(241) 사이에 게재될 수 있다.
회전부(247)는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의 고정 핀 체결 홀(247a)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247)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고정 핀 체결 홀(247a) 및 고정 핀 관통 홀(241c)을 맞추어 배치한 뒤, 회전부 고정 핀을 차례로 체결하여 그 회전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안착부(245)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평평한 안착 면을 가지며, 회전부(247)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블록(241)의 안착부 관통 홀(241a)을 통해 슬라이딩 블록(241)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안착부(245)는 체결 수단(250)의 삽입을 위한 체결 수단 관통 홀(246)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도 조절부(240)를 통한 수직 측량부(220) 및 수평 측량부(210)의 체결에 있어서, 수직 측량부(220) 및 수평 측량부(210) 간의 각도에 맞추어 각 안착부(245)의 안착면이 맞닿을 수 있도록 각 회전부(247)를 회전시켜 고정한 뒤, 각 안착부(245)의 안착면을 맞닿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체결 수단(250)을 삽입하여 해당 각도로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00: 측량자
210: 수평 측량부
220: 수직 측량부

Claims (2)

  1. 측량자를 이용하여 토목건축구조물 시공 장소의 토지를 측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시공 장소의 현장 답사 단계;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자재 선정 및 물량 산출 단계;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자재의 단가 및 물량에 따른 총 공사비 산출 단계;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설계 도면 작성 단계; 상기 설계 도면 및 자재 공급 단계; 및 준공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량자는,
    상기 시공 장소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직육면체 형상의 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시공 장소의 토지면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의 길이 측량을 위해 일측에 눈금이 소정 단위로 표시되는 수평 측량부; 및
    상기 수평 측량부와 수직하게 배치되고, 직육면체 형상의 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시공 장소의 토지면의 높이 측량을 위해 일측에 눈금이 소정 단위로 표시되는 수직 측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측량부는,
    상기 수평 측량부의 일측면에 상기 수평 측량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눈금이 소정 단위로 표시되는 눈금자 표시면;
    상기 수평 측량부의 상측면에 상기 수평 측량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
    상기 삽입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 설치되고, 내측에 다수의 태양광 기반의 led 칩이 실장되어 상부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발광 모듈; 및
    상기 삽입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 설치되되, 상기 삽입홈 내에서 상기 발광 모듈의 상부에 구비되도록 설치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발광 모듈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측량부는,
    하단부에 내측으로 소정 깊이로 인입되어 형성되고, 중심에 고정핀 관통홀을 포함하는 인입홈; 및
    상기 인입홈에 마련되어 상기 수직 측량부를 상기 시공 장소의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고 정 모듈은,
    상기 인입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입홈에 삽입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원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뾰족한 형상의 단부가 상기 시공 장소의 바닥면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 측량부를 소정 힘으로 고정시키는 고정핀; 및
    상기 인입홈에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인입된 상태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인입홈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인입홈의 내측면을 향하여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상기 인입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그 사이에 상기 고정핀이 위치하도록 한 쌍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의 단부가 상기 인입홈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고정핀의 외면을 고정 지지하는 보조부;를 포함하는, 토목건축구조물의 설계방법.
  2. 삭제
KR1020200120691A 2020-09-18 2020-09-18 토목건축구조물의 설계방법 KR102221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691A KR102221871B1 (ko) 2020-09-18 2020-09-18 토목건축구조물의 설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691A KR102221871B1 (ko) 2020-09-18 2020-09-18 토목건축구조물의 설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871B1 true KR102221871B1 (ko) 2021-03-03

Family

ID=75151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691A KR102221871B1 (ko) 2020-09-18 2020-09-18 토목건축구조물의 설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8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5429A (en) * 1980-02-19 1982-02-16 Morozov Viktor N Method of determining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materials and soil
KR101863638B1 (ko) * 2017-12-19 2018-06-01 (주)아신테크 도로대장 및 지하시설물도 작성을 위한 지중관체 측량용 스타프장치
KR101942868B1 (ko) * 2018-01-17 2019-01-28 한국광해관리공단 휴대용 토양계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양정보와 경사도 계측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5429A (en) * 1980-02-19 1982-02-16 Morozov Viktor N Method of determining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materials and soil
KR101863638B1 (ko) * 2017-12-19 2018-06-01 (주)아신테크 도로대장 및 지하시설물도 작성을 위한 지중관체 측량용 스타프장치
KR101942868B1 (ko) * 2018-01-17 2019-01-28 한국광해관리공단 휴대용 토양계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양정보와 경사도 계측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11514A (ja) 基礎の構築方法と装置及び構築用アンカーボルト支持装置
CN109443327A (zh) 一种测量控制网的布设方法
JP7018682B1 (ja) べた基礎の構築方法
KR102221871B1 (ko) 토목건축구조물의 설계방법
KR100593184B1 (ko) 보강토 옹벽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GB2391897A (en) Levelling device for multi-sided brick construction, e.g. column
CN103912127A (zh) 楼模板或楼板施工控制方法及专用校正尺
JP5976976B1 (ja) スライドレール方式建込み簡易土留工法
KR101234372B1 (ko) 토털스테이션을 이용한 수직도 관리측량방법
JP5923400B2 (ja) 構真柱組み立て方法
CN203769332U (zh) 楼模板或楼板施工控制装置
KR100413952B1 (ko) 경사도 측량자
CN113482008A (zh) 一种变电站建设施工用基坑内支撑装置
JP7209509B2 (ja) 水路のライニング構造
CN106930406A (zh) 一种钢柱脚锚栓就位结构的制备方法
KR200275936Y1 (ko)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폴을 슬라이드식으로 한 폴결합체를 이용한 규준틀
CN105298118A (zh) 一种现浇混凝土楼梯踏步的模板
KR200300122Y1 (ko) 폴리에틸렌을 이용한 도로 측량 성토부 삼각규준틀
RU2790542C2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уровня бетонирования вертика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19158312U (zh) 一种冲筋杆用找正结构及激光型平衡校准冲筋杆
CN211527398U (zh) 一种激光水平仪在施工控制标高过程中的承托装置
Habib et al. Proposed approach for positioning anchorage system in concrete
CN114775957A (zh) 冲筋杆用找正结构、激光型平衡校准冲筋杆及施工方法
EP3653791A1 (en) Tool for manual laying of paving stones and method of manually laying paving stones
KR20170045072A (ko) 비탈 규준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