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348B1 -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348B1
KR102221348B1 KR1020200164513A KR20200164513A KR102221348B1 KR 102221348 B1 KR102221348 B1 KR 102221348B1 KR 1020200164513 A KR1020200164513 A KR 1020200164513A KR 20200164513 A KR20200164513 A KR 20200164513A KR 102221348 B1 KR102221348 B1 KR 102221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mage information
geographic
lower support
bas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제일항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항업(주) filed Critical 제일항업(주)
Priority to KR1020200164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은,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으로서, 3개의 지지대(183’)를 이용하여 확인대상지점으로 결정된 지표면 상에 설치되고 설치지점 간의 수평거리를 정밀측정하는 다수의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와;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에 따라 수치지도를 구성하는 지형정보 또는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를 실시간 보완 갱신하는 지도정보 관리장치(200’);를 포함하고, 상기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는 상기 지지대(183’)의 끝단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지지대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받침고정기구(280’); 및 상기 받침고정기구(280’)와 상기 받침고정기구(280’) 주변부의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DIGITAL MAP MAKING SYSTEM)}
본 발명은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적 또는 인공적인 지형변화에 따른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의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 전반의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동작상태 모니터링과 주변부 감시를 통하여 시스템 구성요소의 동작 신뢰성 확보와 이상여부 감시 및 도난, 파손 등의 실시간 감시가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 운용에 있어, 인공적인 지형변화에 따른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의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오류가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된 수치지도의 갱신으로 수치지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확인대상지점으로 결정된 지표면 상에 설치되는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의 설치 장소가 단단하지 않은 토질인 경우에도 흔들림 없는 안정된 자세로 유지할 수 있어 지지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정확한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이러한 내용은 기본으로하면서,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 전반의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동작상태 모니터링과 주변부 감시를 통하여 시스템 구성요소의 동작 신뢰성 확보와 이상여부 감시 및 도난, 파손 등의 실시간 감시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2318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 운용에 있어, 인공적인 지형변화에 따른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의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오류가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된 수치지도의 갱신으로 수치지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확인대상지점으로 결정된 지표면 상에 설치되는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의 설치 장소가 단단하지 않은 토질인 경우에도 흔들림 없는 안정된 자세로 유지할 수 있어 지지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정확한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 전반의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 구성(예: 받침고정기구(280’) 등)의 동작상태 모니터링과 주변부 감시를 통하여 시스템 구성요소의 동작 신뢰성 확보와 이상여부 감시 및 도난, 파손 등의 실시간 감시를 수행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은 3개의 지지대(183)를 이용하여 확인대상지점으로 결정된 지표면 상에 설치되고 설치지점 간의 수평거리를 정밀측정하는 다수의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와;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에 따라 수치지도를 구성하는 지형정보 또는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를 실시간 보완 갱신하는 지도정보 관리장치(200’);를 포함하고, 상기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는 상기 지지대(183’)의 끝단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지지대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받침고정기구(280’); 및 상기 받침고정기구(280’)와 상기 받침고정기구(280’) 주변부의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 운용에 있어, 인공적인 지형변화에 따른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의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오류가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된 수치지도의 갱신으로 수치지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확인대상지점으로 결정된 지표면 상에 설치되는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의 설치 장소가 단단하지 않은 토질인 경우에도 흔들림 없는 안정된 자세로 유지할 수 있어 지리적 영상 이미지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정확한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 전반의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 구성(예: 받침고정기구(280’) 등)의 동작상태 모니터링과 주변부 감시를 통하여 시스템 구성요소의 동작 신뢰성 확보와 이상여부 감시 및 도난, 파손 등의 실시간 감시를 수행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가 설치되어 작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의 동작모습을 순차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의 다른 동작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에서 받침고정기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에서 받침고정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에서 받침고정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에서 받침고정기구의 각도 및 높이조절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도정보 관리장치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케이스를 구성하는 측판의 예시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체결볼트 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측판을 구성하는 망체 및 그 제조예를 요부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 구성들 중 모니터링장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 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 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 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은 설치지점 간의 수평거리를 정밀 측정하는 다수의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a-100g; 이하 100')와,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에 따라 수치지도를 구성하는 지형정보 또는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등을 보완 갱신하는 지도정보 관리장치(200')로 구성된다.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는 실제 지면 상에 설치되어서, 이웃하는 다른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와의 수평거리를 측정하는 것으로, 상기 수평거리는 기존 수치지도의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와 비교해서 수치지도의 오류를 수정 및 갱신하는데 활용된다.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하도록 한다. 지도정보 관리장치(200')는 이미지화된 지형정보를 저장하는 지형정보DB(210')와, 지형정보에 상응하는 수치정보인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를 저장하는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DB(220')와,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를 상기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DB(220')에 기저장된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와 비교하는 수집정보 비교모듈(230')과,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들 간의 비교결과 기준치 이상의차이가 발생할 경우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에 기반해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DB(220')의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를 수정 갱신하는 갱신모듈(240')과, 지형정보DB(210')에 저장된 지형정보와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DB(220')에 저장된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를 합성하여 수치지도를 완성 출력하는 수치지도 출력모듈(250')을 포함하며, 이들 모듈과 DB는 케이스(300, 도 13 참조')에 실장된다. 도 2를 참조해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다수의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a 내지 100g')는 확인대상지점으로 결정된 지표면 상에 설치되어서, 이웃하는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a 내지 100g') 간 수평거리를 측정한다. 즉, 임의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a')는 이웃하는 다른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b')로 광신호를 송신하고, 당해 광신호를 수신한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b')는 수신확인신호를 상기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a')로 송신하며, 수신확인신호를 수신한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a')는 광신호를 송신한 시간과 세기, 수신확인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세기를 근거로 두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a, 100b') 간의 거리를 계산한다. 한편,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는 GPS좌표를 측정 및 안내하는 GPS모듈(170; 도 3 참고')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치지도에서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의 확인이 필요한 지점과 해당 지점의 GPS좌표를 확인한 후, GPS모듈(170')을 읽어서 상기 지점의 위치를 추적하여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를 상기 지점에 정확히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된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 간의 거리(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는 지도정보 관리장치(200')에 입력된다. 상기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는 일반적인 수치데이터에 준하는 형식으로 저장되고,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의 전송을 위해 이동식디스크와 같은 매개체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이동식디스크는 일반 플로피디스크, USB, CD 등 너무나 다양함은 물론 주지 관용의 기술이므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해서, 수집정보 비교모듈(230')은 상기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에 대응하는 지형정보를 지형정보DB(210')에서 검색하고, 이미지화된 지형정보에서 해당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에 상응하는 위치에 대한 픽셀정보를 추적한 후, 픽셀 간의 거리를 연산한다.
이때, 상기 픽셀 간 거리는 일정비율로 축소된 것이므로, 당해 비율을 적용해서 픽셀 간 거리를 실제 거리로 연산한다. 수집정보 비교모듈(230')은 이렇게 연산된 거리와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가 전송한 실측 거리를 비교해서 수치지도의 오차 여부를 판정한다. 갱신모듈(240')은 수집정보 비교모듈(230')이 판정한 오차 정도가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가 전송한 실측 거리에 대한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를 기준으로 기존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정 및 갱신하고, 이미지화된 지형정보 또한 별도의 이미지 수정작업을 통해 수정 및 갱신한다. 이렇게 수정 및 갱신된 지형정보 및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는 각각 지형정보DB(210') 및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DB(220')에 저장되고, 수치지도 출력모듈(250')은 이를 기반으로 정확성이 향상된 수치지도를 출력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는 광신호를 송수신하며 전,후면으로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1,2통신모듈(110', 120')과, 제1,2통신모듈(110', 120')의 송수신 위치를 확인하는 수신감지모듈(130')과, 제1,2통신모듈(110', 120')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50')와, 제1,2통신모듈(110', 120')과 수신감지모듈(130')과 승강장치(150')의 연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40')과, 제1,2통신모듈(110', 120')과 수신감지모듈(130')과승강장치(150')와 제어모듈(140') 등을 지지하는 서포터(180')와, 지지대(183, 183', 183"')를 상호 연결하면서 하기 제어함(141')이 항시 수평을 유지하게 중량을 가하는 캡(190')을 포함한다. 상기 제1,2통신모듈(110', 120')은 각각 감광기능을 갖는 제1,2광수신부(111', 121')와, 제1,2광송신부(112, 122')를 갖추고,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의 전,후면에 각각 대향하게 배치된다. 즉, 제1,2광수신부(111', 121')와 제1,2광송신부(112, 122')는 이웃하는 다른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해서 이를 다시 다른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로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2통신모듈(110', 120')에 각각 위치하는 제1,2광수신부(111', 121')와 제1,2광송신부(112, 122')는 상하위치를 각각 달리해서 제1,2광송신부(112, 122')에서 수평하게 송신한 광신호가 제1,2광수신부(111', 121')에 정확히 수신되도록 한다.
즉, 제1통신모듈(110')의 제1광수신부(111')가 위쪽, 제2광송신부(112')가 아래쪽에 일렬로 배치되면, 제2통신모듈(120')의 제2광수신부(121')는 아래쪽, 제1광송신부(122')는 위쪽에 위치하도록 일렬 배치되는 것이다. 제1,2통신모듈(110', 120')이 송신 및 수신하는 광신호는 레이저가 활용될 수 있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본 발명에서의 광신호는 적외선 신호 또는 초음파신호(RF신호 등을 포함') 등이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수신감지모듈(130')은 이웃하는 다른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면서 다른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의 송신 높이를 감지하는 것으로,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2통신모듈(120')을 수용하는 플레이트(131')와, 플레이트(131')를 따라 일렬 배치되는 다수의 수신센서(132')를 포함한다. 수신센서(132')는 제1,2광수신부(111', 121')와 동일/유사한 기종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제1,2광송신부(112, 122')로부터 송신된 광신호를 수신 및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승강장치(150')는 제1,2통신모듈(110', 120')의 높낮이를 조정해서 이웃하는 다른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수평하게 송신되는 광신호를 정확히 수신하거나, 반대로 정확히 송신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모터(151')와, 구동모터(151')의 구동으로 회전하며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돼 입설되는 스크류(152')와, 스크류(152')가 관통해서 나사산 결합되는 너트부(153a')를 포함하고 너트부(153a')와 나란히 상하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홈(153b')을 갖는 승강대(153')와, 가이드홈(153b')을 이동가능하게 관통하면서 승강대(153')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154')를 포함한다. 즉, 구동모터(151')가 구동하면, 동축으로 연결된 스크류(152')는 구동모터(151')의 구동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스크류(152')와 나사산 결합되면서 가이드(154')에 지지를 받는 승강대(153')는 스크류(15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로 승강한다. 이때, 상기 승강대(153')의 양단에는 각각 제1,2통신모듈(110', 120')이 고정 배치되고, 특히 제2통신모듈(120')은 수신감지모듈(130')의 플레이트(131')를 매개로 승강대(153')와 연결된다.
한편, 제1통신모듈(110')은 승강대(153')와 상호 회동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제1통신모듈(110')은 제1힌지브래킷(113')을 구성하고, 승강대(153')의 일단에는 제1힌지브래킷(113')과 연결되는 제2힌지브래킷(153c')이 형성되어서, 회전축(미인출함')을 중심으로 제1통신모듈(110')과 승강대(153')가 회동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결속을 통해 3개 이상의 서로 이웃하는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가 그 위치에 상관없이 각각의 제1,2통신모듈(110', 120')은 광신호를 정확히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40')은 제1,2통신모듈(110', 120')의 광신호 통신을 제어하고, 수신감지모듈(130')이 수신한 감광신호에 따라 승강장치(150')의 구동을 제어한다.
우선, 제어모듈(140')의 첫 번째 기능인 '제1,2통신모듈(110', 120') 제어'는 특정 지면 상에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제1,2통신모듈(110', 120')의 제1,2광송신부(112, 122')로부터 광신호를 송신하도록 하고, 제1,2광수신부(111', 121')가 수신한 광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광신호에 대한 정보는, 광신호의 수신시점 또는 광신호의 수신 세기 등이 될 것인데, 이는 제어모듈(140')이 제1,2광송신부(112, 122')에서 송신한 광신호의 송신시점 또는 광신호의 송신 세기와 비교해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 간의 거리를 측정 및 연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어모듈(140')은 제1,2통신모듈(110', 120')의 제어와 더불어, 제1,2통신모듈(110', 120')이 송수신한 광신호를 토대로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 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제어모듈(140')의 두 번째 기능인 '수신감지모듈(130') 및 승강장치(150') 제어'는 이웃하는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의 제1,2통신모듈(110', 120')의 높이를 일치시켜서 수평하게 송수신되는 광신호를 정확히 송수신할 수있고, 이를 통해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 간의 수평거리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수신감지모듈(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통신모듈(120')을 중심에 배치하는 플레이트(131')와, 플레이트(131')를 따라 상하로 일렬 배치되는 다수의 수신센서(132')를 구비하면서, 이웃하는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에서 송신한 광신호가 다수 개의 수신센서(132') 중 어디로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 수신감지모듈(130')은 확인된 수신위치 정보를 제어모듈(140')로 전송하고, 제어모듈(140')은 수신위치 조정을 위해 승강장치(150')를 구동시킨다. 즉, 이웃하는 다른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의 제1통신모듈(110')에서 송신된 광신호가 당해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의 제2통신모듈(120')의 위쪽에 위치한 수신센서(132')에 수신되면, 제어모듈(140')은 승강장치(150')의 구동모터(151')를 구동시켜서 승강대(153')가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제2통신모듈(120')이 제1통신모듈(110')로부터 수평송신된 광신호를 정확히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 100'')가 설치되는 지면의 굴곡 여부에 상관없이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 100'') 간에 송수신되는 광신호가 수평하게 되도록 한다. 참고로, 승강장치(150')의 가이드(154')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홈(154a')이 형성되어서, 제1,2통신모듈(110', 120')및 수신감지모듈(130')로부터 인출된 전선이 외부로 노출됨 없이 가이드(154')를 따라 내설되어서 제어모듈(14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모듈(140')은 각종 소자가 실장된 기판이므로, 이를 보호하기 위한 제어함(141')을 구비하고, 이 제어함(141')은 그 상면에 가이드(154')와 구동모터(151')가 축조되어 이를 지지할 것이다. 한편, 제어함(141')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고리(142')가 더 형성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한다. 상기 전원(160')은 제1,2통신모듈(110', 120'), 수신감지모듈(130'), 승강장치(150'), 제어모듈(140') 및 GPS모듈(170')에 구동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제어함(141') 내에 배터리 형태로 보관 배치되거나, 전원선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서포터(180')는 제1,2통신모듈(110', 120'), 수신감지모듈(130'), 승강장치(150'), 제어모듈(140') 및 GPS모듈(170')을 지지하는 제어함(141')이 항시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면서 안정된 입설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제어함(141')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고정대(181')와, 제1고정대(181')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고정대(182')와, 제2고정대(182')의 3면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를 안정되게 지지하는 3개의 지지대(183, 183', 183"')로 이루어진다.
제1고정대(181')는 제어함(141')이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고정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제어함(141')은 측면에 제1회동홈(141a')이 형성되고, 제1고정대(181')의 내측면에는 제1회동홈(141a')과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제1회전축(181a')이 형성된다 이때, 제1회동홈(141a') 및 제1회전축(181a')은 제어함(141')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지점에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제2고정대(182')는 제1고정대(181')가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고정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제1고정대(181')는 제2회동홈(181b')이 형성되고, 제2고정대(182')의 내측면에는 제2회동홈(181b')과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제2회전축(182a')이 형성된다 이때, 제2회동홈(182b') 및 제2회전축(182a')은 제1고정대(181')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지점에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제1회동홈(141a') 및 제1회전축(181a')이 이루는 축선과, 제2회동홈(182b') 및 제2회전축(182a')이 이루는 축선은 상호 직교하도록 배치되어서, 제어함(141')이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제2고정대(182')의 외측면에는 지지대(183, 183', 183"')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브래킷(182b')이 돌출 형성되어서, 지지대(183, 183', 183"')의 상단에 형성된 결속체(183a')와 힌지대(183b')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맞물리도록 연결된다.
또한, 연결브래킷(182b')은 제2고정대(182')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이를 위해 연결브래킷(182b')은 제2고정대(18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축(182c')을 갖는다. 결국, 지지대(183, 183', 183"')는 지면의 굴곡 상태에 따라 회동하면서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가 안정하게 입설되도록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를 보관할 시에는 평판 형상의 지지대(183, 183',183"')가 민감한 구성인 제1,2통신모듈(110', 120'), 수신감지모듈(130'), 승강장치(150'), 제어모듈(140') 및 GPS모듈(170')을 감싸 보호하면서, 보호케이스의 기능을 더불어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캡(19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를 보관할 시에 제어함(14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지지대(183, 183', 183"')가 상호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것으로, 일정한 중량을 갖는 본체(191')와, 본체(191')의 외면에 배치되는 영구자석(192')과, 상면에 돌출형성되는 고리형상의 걸이(193')로 이루어 진다. 한편, 이에 상응해서 지지대(183, 183', 183"')의 하단 일면에는 영구자석(192')에 반응하는 금속재질의 자성체(183c')가 부착되면서, 지지대(183, 183', 183"') 사이에 위치한 캡(190')의 영구자석(192')에 밀착되게 한다. 즉, 지지대(183, 183', 183"')는 캡(190')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캡(190')은 제어함(141')이 항시 수평을 유지하도록 중량을 가하는 용도로 활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2통신모듈(110', 120')로 송수신되는 광신호는 항시 수평하게 이동하는데, 이에 상응해서제1,2통신모듈(110', 120') 또한 항시 수평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하지만,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가 설치되는 지표면은 위치에 따라 굴곡이 심하므로, 제1,2통신모듈(110', 120')을 수평하게 배치하기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제어함(141')을 서포터(18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하고,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의 낮은 위치에 무게중심이 위치하도록 한다. 전자의 조건은 전술한 바 있으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후자의 조건은 상기 캡(190')을 통해 이루는데, 우선, 도 5에 상태로 보관되는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에서 캡(190')을 분리한다. 캡(190')이 분리되면 지지대(183, 183', 183"')는 서로 자유롭게 회동하면서 도 7(본 발명에 따른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의 다른 동작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표면에 고정된다. 이렇게 입설된 상태에서 제어함(141')의 저면에 돌출된 고리(142')에 캡(190')의 걸이(193')를 연결한다. 물론, 캡(190')의 본체(191')는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의 무게중심을 낮출 수 있는 충분한 중량을 가져야 할 것이다. 참고로, 본체(191')는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가 입설된 지표면 상태에 상관없이 항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중량을 가하는 것으로,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의 무게중심이 하단을 향하도록 본체(191')의 중량은 제1,2통신모듈(110', 120'), 수신감지모듈(130'), 승강장치(150'), 제어모듈(140') 및 GPS모듈(170')의 중량을 합한것 이상의 중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본체(191')는 지지대(183')가 설치되는 지표면 상태에 상관없이 제어함(141')을 수평하게 배치함은 물론, 이를 통해 제1,2통신모듈(110', 120')을 통한 광신호의 송수신이 항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 간의 정확한 거리측정을 가능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의 각 지지대(183, 183', 183"') 끝단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지지대(183, 183', 183"')를 지표면에 대하여 견고하게 지지하는 받침고정기구(280')를 더 구비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고정기구(280')는, 고정통체(181'), 수직몸체(282'), 수평몸체(283'), 제1 고정부(284'), 제2 고정부(285') 및 고정기둥(286')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지지대(183')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먼저 고정통체(281')는, 지지대(183') 끝단에 끼울 수 있는 사이즈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나사(281a')에 의해 지지대(18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수직몸체(282')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단이 상기 고정통체(281')의 일측과 각도조절노브(287')에 의해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고정 및 고정해제되는 것으로, 각도조절노브(287')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축(287a')이 수직몸체(282')와 고정통체(281')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수직몸체(282')에 대하여 고정통체(281')가 나사축(287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고, 나사축(287a')의 끝단은 수직몸체(282')의 나사구멍(282a')에 나사결합되어 각도조절노브(287')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수직몸체(282')와 고정통체(281')를 조여 고정하거나, 풀어 고정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직몸체(282')는, 높이조절구멍(288a')이 형성된 하부몸체(288')와, 상기 높이조절구멍(288a')에 삽입되어 몸체고정나사(290')에 의해 고정되는 높이조절부(289a')를 가지는 상부몸체(289')로 분리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수평몸체(283')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몸체(282')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지면에 접촉하는 바닥면에 복수개의 원추형상돌기(283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부(284')는 수평몸체(283') 일끝단에 위치하여 힌지핀(283b')에 의해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자유롭게 설치되며, 끝이 뾰족하고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지면에 꽂을 수 있도록 형성된 3개의 갈고리가 일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제2 고정부(285')는 수직몸체(282')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고정부(284')의 반대쪽 수평몸체(283') 끝단에 위치한 것으로, 연결통체(285a'), 삽입관(285c') 및 지지관(285d')으로 이루어진다. 연결통체(285a')는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수평몸체(283') 끝단에 일단이 힌지핀(283c')에 의해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자유롭게 연결된다. 삽입관(285c')은 상기 연결통체(285a') 내에 삽입되어 조임나사(285b')에 의해 고정되고, 지지관(285d')은 속이 빈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관(285c')의 노출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통체(285a')에 삽입관(285c')을 삽입하는 길이에 따라, 수평몸체(283')와 지지관(285d')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고정기둥(286')은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285')의 지지관(285d')을 관통시켜 지면에 박아 넣기위한 것으로, 길이가 다르게 하여 복수개 구비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길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받침고정기구(280')는,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의 지지대(183')를 지표면에 삽입하여 고정할 때, 바닥의 토질이, 예를 들어 모래땅, 진흙땅 또는 갯벌과 같이 단단하지 않을 경우, 지지대(183')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의 흔들림을 최대한 방지하여 오류 없이 정밀한 수치지도 제작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의 견고한 고정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수시로 재조정해 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즉,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고정기구(280')는 지지대(183') 끝단에 고정통체(281')를 끼운 후, 고정나사(281a')로 고정함으로써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또한 고정나사(281a')를 푸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어서, 수평몸체(283')를 지면에 놓으면, 수평몸체(283')의 원추형상돌기(283a')가 땅속으로 삽입되면서 수평몸체(283')의 저면이 지면에 놓여지게 되므로, 수평몸체(283')가 지면에 대하여 미끄러지거나 유동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되어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상태에서도 지지대(183')가 유동할 염려가 있을 때에는, 수평몸체(283')에 설치된 제1 고정부(284') 또는 제2 고정부(285')를 이용하여 수평몸체(283')를 지면에 대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먼저, 제1 고정부(284')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몸체(283')와 힌지핀(283b')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3개의 갈고리는 ㄱ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끝이 뾰족하게 형성된 것이므로, 힌지핀(283b')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갈고리의 뾰족한 끝을 지면에 꽂을 수 있고, 이로써 수평몸체(283')가 유동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부(285')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통체(285a')가 수평몸체(283')와 힌지핀(283c')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연결된 것이므로, 연결통체(285a')를 수평몸체(283')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연결통체(285a')에 삽입된 삽입관(285c')의 끝단에 형성된 지지관(285d')이 수평몸체(283')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고, 이어서 고정기둥(286')을 지지관(285d')에 관통시켜 뾰족한 끝단을 지면에 대고, 망치 등의 타격도구로 고정기둥(286')을 지면 깊숙이 박아 넣을 수 있다. 이로써 수평몸체(283')가 미끄러지거나 유동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지면이 모래땅인 경우에도 수평몸체(283')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조임나사(285b')를 풀어 연결통체(285a')에 삽입된 삽입관(285c')의 삽입길이를 조절하게 되면, 수평몸체(283')에 대하여 지지관(285d')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는 고정기둥(286')을 박아 넣기 좋은 위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고정기둥(286')은 길이를 다르게 하여 복수개 구비하면, 지면의 단단한 정도에 따라 고정기둥(286')의 길이를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수평몸체(283')를 더욱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받침고정기구(280')는 지면의 단단한 정도에 따라 제1 고정부(284')와 제2 고정부(285')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함께 사용하여 수평몸체(283')를 더욱 견고하고 효율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83')에 고정된 고정통체(281')와 지면에 지지된 수직몸체(282')가 각도조절노브(287')의 나사축(287a')에 의해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연결된 것이므로, 지면 이 평탄하지 않고 경사진 경우, 각도조절노브(287')를 풀면, 수직몸체(282')에 대하여 고정통체(281')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지대(183')의 설치각을 조절한 후, 각도조절노브(287')를 다시 조여 고정하게 되면, 지지대(183')의 고정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몸체(282')는, 높이조절구멍(288a')이 형성된 하부몸체(288')와, 상기 높이조절구멍(288a')에 삽입되어 몸체고정나사(290')에 의해 고정되는 높이조절부(289a')를 가지는 상부몸체(289')로 분리 형성된 것이므로, 몸체고정나사(290')를 풀어 하부몸체(288')와 상부몸체(289')의 길이를 조정한 후, 다시 몸체고정나사(290')를 조여고정하면, 지지대(18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지면에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를 설치할 때, 지지대(183')가 경사진쪽으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300')는 도 13의 예시와 같이, 전면(310')에는 개폐가능한 도어(312')가 설치되고, 상면(320')에는 송풍기(322')가 설치되는데, 상기 송풍기(322')에는 삽탈가능한 필터(324')가 설치되어 송풍압이 떨어질 경우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00')의 측면(330')은 도 14에서와 같이, 사각틀 형태의 측면프레임(332')과, 상기 측면프레임(332')에 탈착 가능한 망체(33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측면프레임(332')의 일측면 내측 둘레에는 단턱(DT')이 형성되고, 상기 망체(334')는 상기 단턱(DT')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볼트(BLT')로 체결된다. 아울러, 상기 망체(334')는 상기 단턱(DT')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BLT') 체결되는 망체틀(TL')과, 상기 망체틀(TL')에 결속되어 일종의 다이어프램 필터를 구성하는 망(MAG')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체결볼트(BLT')는 예컨대, 도 15의 예시와 같이, 상기 망체틀(TL')에 형성된 조임볼트공(342')이 측면프레임(332')에 형성된 프레임볼트공(332a')보다 크게 형성되며, 프레임볼트공(332a')에 체결볼트부(340')가 체결된다. 특히, 체결 안정성을 높이면서 풀림 방지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해 상기 체결볼트부(340')는 조임볼트공(342')에 삽입된 채 걸림 고정되는 가이드부쉬(344')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쉬(344') 속에서 체결볼트부(340')가 움직이도록 설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쉬(344')는 길이방향으로 단차 형성되며, 단차면에는 장력유지스프링(346')의 일단이 안착되고, 상기 장력유지스프링(346')의 타단은 상기 체결볼트부(340')의 볼트헤드(340'')에 걸림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쉬(344')의 외주면에는 유동환(348')이 끼워져 가이드부쉬(344')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구성되며, 상기 유동환(348')의 상단 외주면에는 편상의 파지편(PGP')이 힌지(HIN')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파지편(PGP')은 힌지(HIN')를 중심으로 세우고 눕힐 수 있는데 세웠을 때는 상기 볼트헤드(340'')에 형합되게 형상 가공된다. 따라서, 체결볼트부(340')를 조이게 되면 볼트헤드(340'')가 장력유지스프링(346')을 압축하면서 프레임볼트공(332a')에 조여지기 때문에 항상 텐션이 작용하고 있어 피치들끼리의 접촉마찰력이 커져 쉽게 풀어지지 않는다.
또한, 조이거나 풀 때는 상기 파지편(PGP')을 세워 볼트헤드(340'')에 형합시킨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파지편(PGP')을 잡고 조이거나 풀면 되므로 굳이 별도의 조임공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조일 때 유동환(348')은 가이드부쉬(344')의 외주면을 타고 하강하여 망체틀(TL')의 표면에 밀착되므로 보다견실안정적인 체결 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측면프레임(332')과 망체틀(TL')은 절연성 및 내열안정성, 내구성 및 내식성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측면프레임(332')과 망체틀(TL')은 부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 15중량%와; 에틸아세테이트 2.5중량%와, 메틸벤젠 15중량%와, 무정형의 나노입자 크기의 질화붕소를 분산시킨 질화규소 5중량%와, 소성된 산화이테르븀 5중량%와, 제1인산 마그네슘(Mg(H2PO4')2')과 제1인산 알루미늄(Al(H2PO4')3')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액 2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로 이루어진 성형조성물로 성형된다.
이때, 상기 부틸아크릴레이트는 접착면, 즉 계면의 개질을 통해 접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공중합용 성분으로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부틸메타크릴레이트는 공중합체의 가소성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면서 접착 고정성과 내충격성을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메타크릴산은 산에 강하기 때문에 내부식성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투명성과 내후성 및 성형성과 기계적 물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스티렌은 비닐기가 벤젠고리와 결합한 불포화수소로서 내충격성이 조금 떨어지는 점만 빼고, 내수성, 방습성이 매우 우수하고, 내열성이 강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접착제 조성물로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에틸아세테이트는 에탄올과 아세트산의 에스테르로서, 본 발명에서는 접착활성 및 경화촉진을 위해 첨가되며, 상기 메틸벤젠은 용제이다. 또한, 무정형의 나노입자 크기의 질화붕소를 분산시킨 질화규소는 고열 팽창시 열충격을 흡수하여 미소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며, 내침식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소성된 산화이테르븀은 희토류 금속으로서 결정립 미세화를 통해 내구성을 증대시키면서 내화학성, 내약품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제1인산 마그네슘(Mg(H2PO4')2')과 제1인산 알루미늄(Al(H2PO4')3')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액은 금속인산염의 투입을 통해 전기절연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폴리카보네이트수지는 강도와 경도를 높여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베이스 수지이다. 한편, 상기 망(MAG')은 도 16의 예시와 같이, 기준실(410')과, 상기 기준실(410')에 일정간격을 두고 묶여 있는 구슬형 털(420')로 된 망체형성사(400')를 상기 망체틀(TL')에 미세한 간격을 두고 결속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망체형성사(400')는 격자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기준실(410')은 나일론 필라멘트(Nylon Filament')를 사용하고, 상기 구슬형 털(420')은 100 데니어(denier') 이하의 140가닥으로 된 신축성 있는 나일론 스트레치(Nylon Stretch')로 된 묶음실을 기준실(410')에 묶은 다음 양쪽을 커팅하여 부풀면서 구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렇게 하면, 송풍기(322')에 의해 송풍될 때는 내부압에 의해 구슬형 털(420')이 바깥방향으로 벌어지면서 통기로를 형성하여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며, 송풍기(322')가 동작하지 않을 때는 구슬형 털(420')들 이 펼쳐지면서 구슬형 털(420')들 사이의 공극을 막아 외부오염물질이 쉽게 유입되지 못하도록 동작하는 일종의 다이어프램 필터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망체형성사(400')의 형성과정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3가닥의 기준실(410')이 진행하면서 구슬형털(420')을 만드는 묶음실(YAN')이 묶이기 전 위치에 설치된 접착제도포기(430')를 통해 상기 기준실(410') 표면 일부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그리고, 묶음 위치에서 서로 교차되게 기준실(410')의 진행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묶음실공급기(440')가 움직이면서 기준실(410')을 사이에 두고 교차 이동하면서 묶음실(YAN')을 기준실(410')에 꼰다.
이때, 꼬아진 묶음실(YAN')은 접착제에 의해 기준실(410')에 꼬인 상태로 완전히 접착된다. 이렇게 하여, 묶음실(YAN')이 기준실(410')에 꼬인 상태로 완전히 묶이게 되면, 이후 커터로 기준실(410')의 양쪽묶음실(YAN')을 잘라 준다.
그러면, 묶음실(YAN')은 140가닥으로 된 것이기 때문에 이들이 펼쳐지면서 구형상의 구슬을 만들게 되며, 이러한 망체형성사(400')를 일정간격을 배열하여 망체틀(TL')에 결속하게 되면 일종의 필터를 형성하게 되는데, 구슬의 직경만큼이 일종의 공극이 되며 이들 사이는 구슬형 털(420')들이 펼쳐진 상태로 막게 된다. 덧붙여, 상기 나일론 필라멘트, 즉 기준실(410')의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기준실(410')은 소르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8.0중량%와, 히드록시프롤린(hydroxyproline') 2.5중량%와, 부틸 프로-2-에노에이트 (butyl prop-2-propenoate') 15중량%와, 우르솔산(Ursolic acid') 10중량%와, 이소헥사데칸 2.5중량%와, 시아노아크릴레이트(cyanoacrylate') 5.0중량%와, 소성된 산화이테르븀 4.5중량%와, 알루미나 1.5중량% 및 나머지 폴리에틸렌수지로 이루어진 함침액에 함침시겨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소르비탄올리베이트는 소르비톨에서 유래된 헥시톨안하이드라이드와 올리브오일에서 유래된 지방산의 모노에스터로서 계면활성 강화에 따른 천연유화 기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히드록시프롤린은 젤라틴 가수 분해물에서 라이네케염으로서 열을 받게 되면 젤라틴화되면서 수지조성물의 유연성을 증대시키므로 이를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부틸 프로-2-에노에이트는 조성물에 연성, 충격보강 및 바인딩성 강화기능을 제공하면서 휨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우르솔산은 침상의 흡수성이 우수한 분체로서 무기물 표면에 폴리머 입자를 흡착시켜 완충성, 굴곡특성 및 내구성과 내크랙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이소헥사데칸은 성형품의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는데 기여하도록 첨가되며, 상기 시아노아크릴레이트(cyanoacrylate')는 고열팽창을 억제하고 조성물들 사이의 바인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소성된 산화이테르븀은 희토류 금속으로서 결정립 미세화를 통해 내구성을 증대시키면서 내화학성과 내약품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알루미나(alumina')는 알루미늄의 산화물로서 내열성 향상을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폴리에틸렌수지는 베이스 수지이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도 17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감시시스템의 구성으로서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하되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모니터링 장치>
전술한 내용 및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삼단 일체형 CCTV 지주(1)는 하측 지지대(10), 연결 지지대(20), 상측 지지대(30), 가로대(40), 제어함(50), 빗물 유입 방지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삼단 일체형 CCTV 지주(1)는 하측 지지대(10), 연결 지지대(20) 및 상측 지지대(30)가 순차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며, 하측 지지대(10)가 지상에 고정되며, 하측 지지대(10), 연결 지지대(20) 및 상측 지지대(30)는 모두 파이프 형태로 철,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지지대(30)의 상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수직방향으로 가로대(40)가 결합되고, 상기 가로대(40)의 단부 에는 감시 카메라(41)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가로대(40)가 상기 상측 지지대(30)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측 지지대(30)의 상부와 상기 가로대(40)의 단부에 와이어 고리(42)를 설치하여 와이어(43)를 통해 상기 가로대(40)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상기 가로대(40)의 중량에 의한 하중이 와이어(43)에 의해서 상측 지지대(30)로 다시 전달되고 지지되므로, 상기 가로대(40)가 상기 상측 지지대(3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연결 지지대(20)와 제어함(5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연결 지지대(20)는 상기 하측지지대(10)의 상단과 상기 상측 지지대(30)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부와 하부에 통과공이 형성되며, 전후방이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 공간에 제어함(50)이 장착되고, 빗물 유입 방지구(60)는 상기 연결 지지대(20)의 상부 통과공 측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함(50)의 상부면과 상기 연결 지지대(20)의 사이에 체결된다. 상기 하측 지지대(10)의 상단, 상기 연결 지지대(20)의 하단과 상기 제어함(50)의 하단에는 각각 대응되는 제1체결공(23)이 형성되어 제1 체결부(21)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연결 지지대(20)의 상단, 상기 상측 지지대(30)의 하단과 상기 빗물 유입 방지구(60)에는 각각 대응되는 제2 체결공(24)이 형성되어 제2 체결부(22)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 연결 지지대(20)는 상기 제어함(50)의 외측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연결 지지대(20)의 상부와 상기 제어함(50)의 상부 사이에 빗물 유입 방지구(60)가 체결되어, 상기 빗물 유입 방지구(6)는 상기 상측 지지대(30)의 내측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제어함(5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 한다. 상기 제어함(50)의 일측면에는 도어(52)가 결합되어 있다. 즉 도어(52)는 힌지에 의해서 상기 제어함(5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여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함(50)의 내부에는 송풍팬(51)이 내장되고 상기 제어함(50)의 측면에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송풍팬(51)은 상기 제어함(50) 내부의 열기 또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배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연결 지지대(20)의 측면에는 통기공이 형성된다. 상기 송풍팬(5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어함(50) 내의 열기 또는 습기가 배출구로 배출되고, 통기공을 통해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제어함(50) 내의 장비의 오작동이 방지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하측 지지대(10)와 상측 지지대(30) 사이에 연결 지지대(2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연결 지지대(20)의 내부에는 제어함(5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어함(50)의 내부에는 CCTV의 동작 및 제어를 위한 기능들을 담당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함(50)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송풍팬(51)의 회전을 통해 배출구를 통과하여 제어함(50) 내부의 열기와 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따라서, 지주 내의 제어함(50)과 송풍팬(51)을 갖춰서 배기를 담당하여 제어함(40) 내부와 지주 내부의 습기와 열기를 지주의 바깥으로 손쉽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 제어함(50) 내 부품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함(50)의 하면에 형성된 통과공과 하측 지지대(10)의 내부를 통해 지면에서 올라온 전선들이 상기 제어함(50)의 제어부로 이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함(50)의 상면에 형성된 통과공, 빗물 유입 방지구(60)에 형성된 통과공과 상측 지지대(30)의 내부를 통해 상기 감시 카메라(41)에 전선이 연결된다. 전선은 상기 제어함(50)의 제어부로부터 감시 카메라로 전력 및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감시 카메라에서 촬영한 연상과 음성 데이터를 전송받는 전선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연결 지지대(20)와 상기 제어함(50)의 사이 공간에는 충격흡수제(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제(70)는 상기 연결 지지대(20)의 내부와 상기 제어함(50)의 외부를 채워 지주를 더지지하며, 도로 위에서 생기는 강한 충격에 의해 제어함(50)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여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를 보호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들 및 도 21을 참조하면,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으로서, 3개의 지지대(183')를 이용하여 확인대상지점으로 결정된 지표면 상에 설치되고 설치지점 간의 수평거리를 정밀측정하는 다수의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와;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에 따라 수치지도를 구성하는 지형정보 또는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를 실시간 보완 갱신하는 지도정보 관리장치(200');를 포함하고, 상기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는 상기 지지대(183')의 끝단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지지대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받침고정기구(280'); 및 받침고정기구(280’)와 받침고정기구(280’) 주변부에 구비되어 다양한 위치로 필요에 따라 설정된 위치에서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장치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측지지대(10); 상기 하측지지대(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연결 지지대(20); 상기 연결 지지대(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측 지지대(30); 상기 상측 지지대(30)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는 가로대(40); 상기 하측지지대(10)의 하부의 구비되며, 제1베이스패널(110)과,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의 일측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높이방향상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지지대(10)로 장착되는 직사각의 제1삽입패드(130)가 구비되는 제1대향패널(120)과, 상기 하측지지대(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과 마주하는 제2베이스패널(210)과,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의 타측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높이방향상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지지대(10)로 장착되는 직사각의 제2삽입패드(230)가 구비되는 제2대향패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대향패널(120)은 높이방향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의 일측 하부에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로 장착되는 정사각의 제3삽입패드(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대향패널(220)은 높이방향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의 일측 하부에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로 장착되는 정사각의 제4삽입패드(240)가 구비되며, 상기 제1대향패널(120)과 상기 제2대향패널(220)은 각각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과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에서 하부로 일정거리 유동되어, 상기 제1삽입패드(130) 내지 상기 제4삽입패드(240)롤 통해, 상기 하측지지대(10)를 당김 고정시키며,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과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의 하부에는 중앙받침구(310)가 구비되되, 일측상부의 제1끼움돌기(411)로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의 하부에 체결되며, 타측상부의 제2끼움돌기(511)로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의 하부에 체결되며, 상기 모니터링 감시장치(100)은, 상기 중앙받침구(310)와 일측으로 대향하며 제1피스톤(412)으로 연동되며, 상부로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의 외측하단부를 받치는 좌측받침구(413)와, 상기 중앙받침구(310)와 타측으로 대향하며 제2피스톤(512)으로 연동되며, 상부로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의 외측하단부를 받치는 우측받침구(5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앙받침구(310)는 상기 제1끼움돌기(411)와 상기 제2끼움돌기(511)를 내부측방향으로 각각 유동시키며, 상기 좌측받침구(413)는 상부에 구비된 제1가벽돌기(414)로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의 외측 단부를 우측방향으로 눌러 고정하며, 상기 우측받침구(513)는 상부에 구비된 제2가벽돌기(514)로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의 외측 단부를 좌측방향으로 눌러 고정하며, 상기 중앙받침구(310)는 상기 제1피스톤(412)과 상기 제2피스톤(512)을 통해 상기 좌측받침구(413)와 상기 우측받침구(513)를 당김으로써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과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을 고정시키며,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의 상부에는, 상기 제1대향패널(120)의 외측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하부받침구(611)와, 상기 제1하부받침구(611)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1연결패널(612)과 상기 제1연결패널(612)의 상부로 구비되며, 제1내측돌기(6131)로 상기 제1대향패널(120)에 걸림고정되는 제1상부받침구(6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의 상부에는, 상기 제2대향패널(220)의 외측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하부받침구(711)와, 상기 제2하부받침구(711)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2연결패널(712)과 상기 제2연결패널(712)의 상부로 구비되며, 제2내측돌기(7131)로 상기 제2대향패널(220)에 걸림고정되는 제2상부받침구(713)가 구비되며, 상기 제1하부받침구(611)는 상기 제1연결패널(612)을 통해 상기 제1상부받침구(613)를 하부이동시키며, 상기 제2하부받침구(711)는 상기 제2연결패널(712)을 통해 상기 제2상부받침구(713)를 하부이동시켜 상기 제1대향패널(120)과 상기 제2대향패널(220)을 하부로 고정시키며, 상기 제1상부받침구(613)와 상기 제2상부받침구(713)의 상부로는 덮개패널(P)이 구비되며, 상기 덮개패널은 상기 제1대향패널(120)과 상기 제2대향패널(220)의 상방단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하측지지대(10)를 옆면을 관통하는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제1상부받침구(613)와 상기 제2상부받침구(713)는 상기 덮개패널을 연동수단(L1, L2)으로 당겨 고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의 상부에는 수평이동되는 제1유동플레이트(811)가 구비되며, 높이방향에 제1돌기(812)가 구비되어, 상기 제1돌기로 상기 제1연결패널(612)을 눌러 가압하며,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의 상부에는 수평이동되는 제2유동플레이트(911)가 구비되며, 높이방향상에 제2돌기(912)가 구비되어, 상기 제2돌기로 상기 제2연결패널(712)을 눌러 가압하는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
200’: 지도정보 관리장치

Claims (1)

  1.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으로서 3개의 지지대(183’)를 이용하여 확인대상지점으로 결정된 지표면 상에 설치되고 설치지점 간의 수평거리를 정밀측정하는 다수의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에 따라 수치지도를 구성하는 지형정보 또는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를 실시간 보완 갱신하는 지도정보 관리장치(200’);를 포함하고, 상기 지리적 영상이미지정보 수집장치(100’)는 지지대(183’)의 끝단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지지대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받침고정기구(280’); 및 상기 받침고정기구(280’)와 상기 받침고정기구(280’) 주변부의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장치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측지지대(10)와,
    상기 하측지지대(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연결 지지대(20)와,
    상기 연결 지지대(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측 지지대(30)와,
    상기 상측 지지대(30)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는 가로대(40)와,
    상기 하측지지대(10)의 하부의 구비되는 제1베이스패널(110)과,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 상부에서 상기 하측지지대(10)의 좌측에 대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하측지지대(10)로 장착되는 직사각의 제1삽입패드(130)가 구비되는 제1대향패널(120)과,
    상기 하측지지대(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과 마주하는 제2베이스패널(210)과,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 상부에서 상기 하측지지대(10)의 타측에 대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하측지지대(10)로 장착되는 직사각의 제2삽입패드(230)가 구비되는 제2대향패널(2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대향패널(120)은,
    상기 하측지지대(10)의 좌측에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로 장착되는 정사각의 제3삽입패드(140)가 구비되며,
    상기 제2대향패널(220)은,
    상기 하측지지대(10)의 우측에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로 장착되는 정사각의 제4삽입패드(240)가 구비되고,
    상기 제1대향패널(120)과 상기 제2대향패널(220)은,
    각각 제1베이스패널(110)과 제2베이스패널(210)에서 하부로 일정거리 유동되어 제1삽입패드(130) 내지 제4삽입패드(240)롤 통해 하측지지대(10)를 당김 고정시키며,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과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은 하부에 중앙받침구(310)가 구비되며,
    상기 중앙받침구(310)는,
    상부면 좌측에 구비된 제1끼움돌기(411)로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의 하부에 체결되며, 상부면 우측에 구비된 제2끼움돌기(511)로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의 하부에 체결되는,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
KR1020200164513A 2020-11-30 2020-11-30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 KR102221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513A KR102221348B1 (ko) 2020-11-30 2020-11-30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513A KR102221348B1 (ko) 2020-11-30 2020-11-30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348B1 true KR102221348B1 (ko) 2021-03-02

Family

ID=7516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513A KR102221348B1 (ko) 2020-11-30 2020-11-30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3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256B1 (ko) * 2021-10-14 2022-05-23 (주)엔토포스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
KR102590779B1 (ko) * 2023-04-10 2023-10-19 주식회사포앤텍 초정밀 전자지도 제작을 위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616773B1 (ko) * 2023-08-22 2023-12-21 현공간정보 주식회사 실시간 기준점 확인을 통해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2020A (ja) * 1997-07-15 2009-01-2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向きの検知を伴うカメラデバイス、及び方法
KR101089361B1 (ko) * 2011-06-01 2011-12-05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형변화 감지를 통해 영상도화 이미지의 수정이 가능한 디지털 수치지도시스템
KR20120051838A (ko) * 2010-11-15 2012-05-23 주식회사 레드로버 랩잭을 이용한 입체 카메라 정렬 모듈 및 그 정렬 모듈이 구비된 입체 카메라 리그
KR101223181B1 (ko) 2012-08-30 2013-01-22 (주)선영종합엔지니어링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20140031756A (ko) * 2012-09-05 2014-03-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항공촬영용 시스템 마운트 장치
KR20140141153A (ko) * 2013-05-31 2014-1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180041098A (ko) * 2018-04-03 2018-04-23 대원항업 주식회사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지형정보의 영상정보를 합성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1865281B1 (ko) * 2018-03-27 2018-06-07 중앙항업(주) 실시간 기준점을 확인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제작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2020A (ja) * 1997-07-15 2009-01-2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向きの検知を伴うカメラデバイス、及び方法
KR20120051838A (ko) * 2010-11-15 2012-05-23 주식회사 레드로버 랩잭을 이용한 입체 카메라 정렬 모듈 및 그 정렬 모듈이 구비된 입체 카메라 리그
KR101089361B1 (ko) * 2011-06-01 2011-12-05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형변화 감지를 통해 영상도화 이미지의 수정이 가능한 디지털 수치지도시스템
KR101223181B1 (ko) 2012-08-30 2013-01-22 (주)선영종합엔지니어링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20140031756A (ko) * 2012-09-05 2014-03-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항공촬영용 시스템 마운트 장치
KR20140141153A (ko) * 2013-05-31 2014-1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865281B1 (ko) * 2018-03-27 2018-06-07 중앙항업(주) 실시간 기준점을 확인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제작 시스템
KR20180041098A (ko) * 2018-04-03 2018-04-23 대원항업 주식회사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지형정보의 영상정보를 합성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256B1 (ko) * 2021-10-14 2022-05-23 (주)엔토포스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
KR102590779B1 (ko) * 2023-04-10 2023-10-19 주식회사포앤텍 초정밀 전자지도 제작을 위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616773B1 (ko) * 2023-08-22 2023-12-21 현공간정보 주식회사 실시간 기준점 확인을 통해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1348B1 (ko)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 이미지 처리의 영상처리 시스템
KR101865281B1 (ko) 실시간 기준점을 확인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제작 시스템
CN204373879U (zh) 一种野外用八方位四层梯度集沙仪
KR102108446B1 (ko) 지피에스 좌표의 기준점을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N115166291A (zh) 一种用于枯水期监测河道水流速度的装置及其监测方法
JP4008021B1 (ja) カメラ等の高所据付具
KR102065749B1 (ko) 영상 왜곡의 실시간 보정이 가능한 영상처리시스템
CN204929098U (zh) 一种便携式全景调查仪
WO2007053888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to replace string lines especially in roadworks
CN208780206U (zh) 垂直度测量装置及垂直度控制系统
CN112262708A (zh) 一种园林施工用树木移栽防护支架
CN216532947U (zh) 一种用于树木的可调节支撑架
CN206873514U (zh) 钢管桩垂直度检测装置
CN109115201A (zh) 垂直度测量装置及垂直度控制系统
CN202433168U (zh) 座椅用耐水平撞击能力测试装置
CN208736419U (zh) 一种工程测绘用测绘仪定位装置
CN110849329B (zh) 一种植被冠层垂直结构参数测量方法、装置及系统
CN214276980U (zh) 一种基于智慧农业的环境数据监测装置
CN106205131A (zh) 一种横杆高度可调的智能交通路况信息采集系统
CN206744291U (zh) 一种智能型人工渔礁
CN220647687U (zh) 一种用于地理测绘的户外测绘仪
CN218762444U (zh) 一种高速作业雷达测速预警一体机
CN220986923U (zh) 一种园林绿化用幼苗防护架
CN218992817U (zh) 一种土地测绘遥感定位标示装置
CN209703312U (zh) 一种用于道路桥梁铺设用定点打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