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242B1 -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 - Google Patents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242B1
KR102221242B1 KR1020200063501A KR20200063501A KR102221242B1 KR 102221242 B1 KR102221242 B1 KR 102221242B1 KR 1020200063501 A KR1020200063501 A KR 1020200063501A KR 20200063501 A KR20200063501 A KR 20200063501A KR 102221242 B1 KR102221242 B1 KR 102221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inker
pressure rod
straigh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조
Original Assignee
신우전기제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전기제조(주) filed Critical 신우전기제조(주)
Priority to KR1020200063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조단로기를 설치하여 진공이터럽터의 유기전압에 따른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개폐기에 있어서, 보조단로기부의 긴 스트로크를 이동할 때 발생되는 충격력에 의한 진공인터럽터의 통전부 변형에 따른 투입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입시 보조단로기가 1단계 슬로우(slow) 동작으로 진공인터럽터의 가동도체부에 결합 후, 탄성력에 의한 2단계 퀵(quick) 동작은 진공인터럽터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하여 투입 충격량을 감소시켜줌으로써 진공인터럽터의 통전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보조단로기에 힘을 작용하여 선로를 투입시키는 작동기; 및 상기 작동기를 구동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기는, 상기 보조단로기를 향해 직진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가압로드; 각각 회전될 수 있도록 축 결합된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 상기 제1샤프트와 상기 가압로드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샤프트의 회전력을 직진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가압로드를 1차로 직진시키는 제1연결링커; 및 상기 제2샤프트에 설치되며, 상기 제2샤프트의 회전력을 직진운동으로 변환하여 1차 직진된 가압로드를 2차로 직진시키는 제2연결링커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로드의 직진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브라켓이 마련되되, 가이드 브라켓의 양측에는 가압로드의 직진경로를 따라 장공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로드의 후단부에는 양측으로 각각 돌출된 연결돌기가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A two steps drive structure of a overhead electric switch}
본 발명은 보조단로기가 부착된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보조단로기가 먼저 슬로우(slow) 동작으로 진공인터럽터의 가동도체부에 결합 후, 탄성력에 의한 퀵(quick) 동작은 진공인터럽터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하여 투입 충격량을 감소시켜줌으로써 진공인터럽터의 통전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 지역의 전력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도로변에 전신주를 일정 간격으로 세우고, 이에 절연대와 애자를 이용하여 송배전선을 가설하는 가공 송배전 시설이 널리 사용된다. 이때 가공 송배전 시설에는 전주 등에 설치되는 고압회로의 고압선로 상에 발생하는 전류 또는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고압회로의 개폐 상태나 접속상태를 변경하는 가공용 개폐기가 제공된다.
가공용 개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 회로의 고압 선로가 관통하는 하우징(10) 및 하우징(10)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개폐 구동기(20)로 구성된다. 하우징(10)은 고압 회로의 고압 선로가 관통하는 한 쌍의 메인 부싱(11)과 한 쌍의 보조 부싱(12)이 하우징(10)의 양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0)의 양측 내벽에 한 쌍의 전류 감지용 변류기(13)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메인 부싱(11) 중 일측의 메인 부싱(11)과 연결되어 고압 회로의 고압 선로를 접촉/차단하는 진공인터럽터(VI;14), 및 상기 한 쌍의 메인 부싱(11) 중 나머지 타측의 메인 부싱(11)과 상기 진공인터럽터(1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진공인터럽터(14)를 개폐 작동하는 작동기(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동기(15)는 상기 한 쌍의 메인 부싱(11) 중 나머지 타측의 메인 부싱(11)과 상기 진공인터럽터(14) 사이에 배치되는 직선 왕복 운동 부재(15a)가 이 직선 왕복 운동 부재(15a)와 연결되는 승강봉(15b)이 승강 운동함에 따라서 직선 왕복 운동을 하면서 상기 진공인터럽터(14)를 개폐한다. 개폐 구동기(20)는 상기 작동기(15)의 승강봉(15b)을 승강 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링크 및 기어열로 구성되는 구동수단(21)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공용 개폐기는 상기 변류기(13)에 의해 감지되는 고압 선로의 서지 전류를 도선을 통하여 상기 가공용 개폐기와 연결되는 컨트롤 박스(도시하지 않음)로 전달하고, 상기 컨트롤 박스에서 상기와 같이 감지된 서지 전류 혹은 서지 전압을 특정 기준치와의 대소를 비교하여 회로 개폐 신호를 출력함에 따라서 상기 개폐 구동기(20)의 구동수단(21)이 상기 승강봉(15b)을 상승 혹은 하강시키면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된 상기 진공인터럽터(14)가 고압회로의 고압 선로를 접촉/차단함으로써 전주 등에 설치되는 고압 회로를 서지 전류로부터 보호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개폐기는 진공인터럽터(14)간 간극(투입거리)이 작아, 선로 개방(OFF)시에도 유기전압을 야기시켜 작업자에게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전압에 따른 다양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진공인터럽터(14)와 메인붓싱(11) 사이에 보조단로기(disconnector)를 설치한 개폐기가 다양한 형태로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보조단로기를 갖는 개폐기는 보조단로기의 스트로크 거리가 길어 진공인터럽터(14)에 가해지는 충격량이 커서, 투입시 충격에 의해 진공인터럽터(14)의 통전부에 변형이 발생하여 동작횟수가 증가하면서 불완전 투입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058595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단로기가 먼저 슬로우(slow) 동작으로 진공인터럽터의 가동도체부에 결합 후,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퀵(quick) 동작은 진공인터럽터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하여 투입 충격량을 감소시켜줌으로써 진공인터럽터의 통전부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조단로기에 힘을 작용하여 선로를 투입시키는 작동기; 및 상기 작동기를 구동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기는, 상기 보조단로기를 향해 직진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가압로드; 각각 회전될 수 있도록 축 결합된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 상기 제1샤프트와 상기 가압로드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샤프트의 회전력을 직진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가압로드를 1차로 직진시키는 제1연결링커; 및 상기 제2샤프트에 설치되며, 상기 제2샤프트의 회전력을 직진운동으로 변환하여 1차 직진된 가압로드를 2차로 직진시키는 제2연결링커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로드의 직진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브라켓이 마련되되, 가이드 브라켓의 양측에는 가압로드의 직진경로를 따라 장공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로드의 후단부에는 양측으로 각각 돌출된 연결돌기가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를 제공한다.
삭제
이때, 상기 제1연결링커의 일단부는 상기 제1샤프트에 결합되고, 제1연결링커의 타단부는 상기 연결돌기에 결합되며, 상기 제2연결링커의 일단부는 상기 제2샤프트에 결합되고, 제2연결링커의 타단부는 상기 연결돌기를 향해 개구된 개구홈을 형성하여 1차 이동된 가압로드의 연결돌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기는, 양측에 아크 형태의 회전공이 형성된 설치브라켓; 상기 회전공을 따라 일단부 및 타단부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설치브라켓에 축 결합된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회전동력을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에 전달하는 제1구동링커 및 제2구동링커; 및 상기 회동부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되, 상기 회동부의 일단부가 일측의 회전공에서 사점(死點)을 지날때 신축작용을 하면서 회동부의 타단부를 타측의 회전공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구동링커는, 상기 회동부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제1샤프트를 향해 직진운동하도록 설치되되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직진바와, 상기 제1샤프트와 상기 직진바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직진바의 장공에 위치된 체결돌기가 형성된 회전바와, 상기 회동부의 일단부와 상기 회전바 사이에 설치된 개방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는 투입 동작에 있어서,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의 순차적 회전작용을 통해 로드의 진행이 2단계에 걸쳐 진행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진공인터럽터의 전극투입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즉, 1단계로써, 보조단로기를 투입시켜주기 위한 제1샤프트의 회전은 구동부의 탄성부재를 인장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힘에 의해 서서히 이루어지하고, 이를 통해 로드가 직진 운동하여, 진공인터럽터의 가동부와 보조단로기가 결합 되고, 이후, 2단계로써, 인장된 탄성부재가 사점을 지나면서 복원되는 과정에서 제2샤프트의 빠른 회전을 통해 로드가 이동하여 진공인터럽터를 투입시킴으로써 보조단로기로 인해 늘어난 이동구간을 빠른 속도로 투입함에 따른 충격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는 투입 시에 진공인터럽터의 통전부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공선로의 개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를 일측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를 타측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에 있어서, 선로투입 과정을 나타낸 작용도이다.
도 8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에 있어서, 선로개방 과정을 나타낸 작용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는 진공인터럽터의 유기전압 발생에 따른 작업자의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보조단로기(disconnector) 설치를 통해 절연거리를 늘려 감전사고를 예방한 개폐기에 있어서, 보조단로기의 2단계 작용을 통해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조단로기의 스트로크 에너지량을 분산시켜 투입에 따른 진공인터럽터의 충격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기(OP)와 구동기(DR)를 포함한다.
작동기(OP)는 구동기(DR)의 구동을 통해 가압로드를 단계적으로 직진시키면서 진공이터럽터를 통해 선로를 투입시키는 역할을 하며, 개폐기의 일측을 구성한다. 작동기(OP)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로드(100)와, 샤프트(200)와, 연결링커(300)를 포함한다.
작동기(OP)의 가압로드(100)는 보조단로기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써, 구동기(DR)의 구동에 의해 왕복 직진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가압로드(100)는 이동 및 복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롯 스프링(S)을 포함하며, 보조단로기를 가압하는 부위를 가압로드(100)의 선단부라할 때, 가압로드(100)의 후단부에는 양측을 향해 돌출된 연결돌기(110)가 마련된다. 연결돌기(110)는 연결링커(300)의 동작을 전달받기 위한 구성이며, 가압로드(100)의 직진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가압로드(100)는 가이드 브라켓(120)을 통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브라켓(120)은 가압로드(100)의 직진경로를 가이드하며, 양측에는 가이드공(121)이 형성된다. 가이드공(121)에는 가압로드(100)의 연결돌기(110)가 위치되며, 가압로드(100)의 직진 이동시 연결돌기(110)는 가이드공(121)을 따라 이동된다.
작동기(OP)의 샤프트(200)는 구동기(DR)의 동작을 가압로드(100)에 단계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알 수 있듯이 2개로 제공된다. 샤프트(200)는 선로 투입을 위한 구동기(DR)의 제1동작을 통해 가압로드(100)의 1차 직진을 위해 제공되는 제1샤프트(210)와, 1차 직진된 가압로드(100)를 2차로 직진시키기 위한 제2샤프트(220)로 구성된다. 제1샤프트(210)와 제2샤프트(220)는 회전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우징(미도시)에 축 결합된다. 제1샤프트(210)와 제2샤프트(220)는 하우징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다.
작동기(OP)의 연결링커(300)는 샤프트(200)의 회전작용을 상기 가압로드(1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샤프트(200)의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가압로드(100)를 직진운동시키는 구성이다. 연결링커(300)는 제1샤프트(210)와 제2샤프트(220) 각각에 설치된 제1연결링커(310) 및 제2연결링커(320)로 구성된다. 제1연결링커(310)는 제1샤프트(210)의 회전운동을 가압로드(100)에 전달하여 상기 가압로드(100)를 일정 거리만큼 1차로 직진이동시키며, 제1연결링커(310)의 일단부는 제1샤프트(210)에 결합되고, 제1연결링커(310)의 타단부는 가압로드(100)의 연결돌기(110)에 결합된다. 제2연결링커(320)는 제2샤프트(220)의 회전운동을 가압로드(100)에 전달하여, 제1연결링커(310)를 통해 1차로 직진된 가압로드(100)를 2차로 재차 직진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제2연결링커(320)의 일단부는 제2샤프트(220)에 결합되고 제2연결링커(320)의 타단부는 상기 연결돌기(110)를 향해 개구된 수용홈(321)을 형성한다.
구동기(DR)는 동력을 발생하여 작동기(OP)를 작동시키며, 설치브라켓(400)과, 회동부(500)와, 탄성부재(600)와, 구동링커(700)를 포함한다.
구동기(DR)의 설치브라켓(400)은 구동기(DR)의 각 부품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설치브라켓(40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크 형태의 회전공(410)이 형성되며, 회전공(410)은 설치브라켓(400)의 양측에 형성된다. 회전공(410)은 회동부(500)의 회전운동시, 회동부(500)의 양단부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동기(DR)의 회동부(500)는 샤프트(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발생하며, 설치브라켓(400)에 축 결합된다. 회동부(500)는 양 회전공(410) 사이에 설치되며, 일측의 모터(M)에 의해 양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회동부(500)의 양단부는 회전공(410)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설명의 편의상 회동부(500)의 일단부를 제1날개(510)라 하고 회동부(500)의 타단부를 제2날개(520)라 한다. 회동부(500)는 평면에서 봤을 때, 삼각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구동기(DR)의 탄성부재(600)는 회동부(500)가 일측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탄성력을 작용하여 회동부(500)를 타측으로 자동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탄성부재(600)는 회동부(500)가 일측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사점(死點)을 지나면 회동부(500)를 타측으로 자동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탄성부재(600)는 인장스프링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탄성부재(600)의 일단부는 제1날개(510)에 설치되고 탄성부재(600)의 타단부는 제2날개(520)에 설치된다.
구동기(DR)의 구동링커(700)는 회동부(500)의 회전동력을 샤프트(200)에 전달하며, 회동부(500)와 샤프트(200) 사이에 설치된다. 구동링커(700)는 제1샤프트(210)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링커(710)와, 제2샤프트(220)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링커(720)로 구성된다. 제1구동링커(710)는 회동부(500)의 제1날개(510)측에 설치되어 회동부(500)의 제1날개(510)가 회전공(410)을 따라 이동시, 제1샤프트(210)를 밀거나 당기면서 제1샤프트(210)를 회전시킨다. 제1구동링커(7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바(711)와 회전바(712)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직선바(711)는 회동부(500)의 회전운동시 직진운동하면서 회전바(712)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며, 회전바(7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직선바(711)의 직진운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1샤프트(210)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직선바(711)에는 직선바(711)의 길이 방향으로 장공(長空)(711a)이 형성되며, 회전바(712)에는 장공(711a)에 체결된 체결돌기(712a)가 형성된다. 체결돌기(712a)는 장공(711a)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직경으로 제공된다. 한편, 회전바(712)와 회동부(500)의 제1날개(510)측 사이에는 개방인장스프링(713)이 설치된다. 개방인장스프링(713)은 선로 투입후, 선로 개방을 위한 제1샤프트(210)의 복원을 용이하게 한다. 제2구동링커(720)는 회동부(500)의 제2날개(520)측에 설치되어 회동부(500)의 제2날개(520)가 회전공(410)을 따라 이동시, 제2샤프트(220)를 밀거나 당기면서 제2샤프트(220)를 회전시킨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의 선로 투입 및 개방 작용에 대하여 도 5a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5a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개폐기의 선로 투입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5a는 선로가 개방된 상태로써, 개폐기의 요부 평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5b는 도 5a에 상응하는 개폐기의 요부 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선로를 투입 시키기 위해서는, 모터(M)가 동력을 발생하여 회동부(500)를 도면상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500)의 제1날개(510)를 이동시킨다. 제1날개(510)는 회전공(410)을 따라 이동하며, 제1구동링커(710)의 직선바(711)는 회전바(712)를 밀어 제1샤프트(210)를 회전시킨다.
이때, 제1연결링커(310) 역시 제1샤프트(210)에 연동되어 회전하면서 가압로드(100)의 연결돌기(110)를 밀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로드(100)를 1차로 직진이동시킨다. 연결돌기(110)는 가이드공(121)을 따라 이동되며, 제2연결링커(320)의 수용홈(321)에 대응된다. 이와 같은 가압로드(100)의 이동은 선로 투입을 위한 1단계로써, 가압로드(100)가 보조단로기를 밀어 진공인터럽터에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한 작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탄성부재(600)는 일단부가 제1날개(510)와 함께 이동됨에 따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이 된다. 이때, 탄성부재(600)는 인장되다가 사점(死點)이 지나면서 복원이 되는데, 탄성부재(600)가 복원되면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500)의 제2날개(520)를 이동시킨다. 제2날개(520)는 회전공(410)을 따라 이동되며, 제2연결링커(320)는 회동부(500)의 제2날개(520)에 의해 연동되면서 제2샤프트(220)를 회전시킨다. 제2샤프트(22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321)에 대응되어 있던 가압로드(100)의 연결돌기(110)를 이동시킴으로써, 1차로 이동되어 있던 가압로드(100)는 2차로 재차 이동이 된다. 이와 같은 가압로드(100)의 이동은 선로 투입을 위한 2단계로써, 가압로드(100)가 보조단로기를 밀어 투입시키는 단계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선로 투입을 위한 가압로드(100)의 이동이 2단계에 걸쳐 이루어짐으로써, 선로 투입을 위한 보조단로기의 에너지량이 분산됨에 따라 보조단로기 추가 설치로 인한 보조단로기의 이동거리가 늘어나더라도 투입시, 진공인터럽터의 충격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입 과정에서의 진공인터럽터 통전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선로 투입된 후, 선로가 개방되는 과정에 대하여 도 8a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8a는 선로가 투입된 상태로써, 개폐기의 요부 평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8b는 도 8a에 상응하는 개폐기의 요부 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선로를 개방 시키기 위해서는, 모터(M)가 동력을 발생하여 회동부(500)를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500)의 제1날개(510)를 이동시킨다. 제1날개(510)는 회전공(410)을 따라 이동하며, 제1구동링커(710)의 직선바(711)는 제1날개(510)를 따라 이동된다. 이때, 직선바(711)는 장공(711a)의 구성에 의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바(712)를 그대로 둔채로 이동된다. 즉, 회동부(500)가 회전되더라도, 제1샤프트(210)는 연동되지 않는 것이다. 이때,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인장스프링(713)은 제1날개(510)의 움직임에 의해 인장된 상태가 된다.
한편, 회동부(500)의 제1날개(51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600)는 일단부가 제1날개(510)와 함께 이동됨에 따라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이 된다. 이때, 탄성부재(600)는 인장되다가 사점(死點)을 지나면서 복원이 되는데, 탄성부재(600)가 복원되면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500)의 제2날개(520)를 이동시킨다. 제2날개(520)는 회전공(410)을 따라 이동되며, 제2연결링커(320)는 회동부(500)의 제2날개(520)에 의해 연동되면서 제2샤프트(220)를 원위치로 회전시킨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선로 개방을 위한 회동부(500)의 회동시 제1샤프트(210)가 회전되기전에 제2샤프트(220)가 먼저 회전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제1구동링커(710)의 직선바(711)에 형성된 장공(711a)의 구성때문이다. 즉, 직선바(711)의 장공(711a)으로 인해 직선바(711)가 제1날개(510)를 따라 이동되더라도, 회전바(712)를 연동시키지 않기 때문에 제1샤프트(210)의 회전에 의한 가압로드(100) 움직임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제2샤프트(220)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321)에 대응되어 있던 가압로드(100)의 연결돌기(110)를 원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압로드(100)는 이동하여 1차로 복귀된다. 이와 같은 가압로드(100)의 이동은 선로 개방을 위한 1단계로써, 가압로드(100)가 보조단로기를 당겨 진공인터럽터를 해제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가압로드(100)가 이동하여 1차로 복귀되는 과정에서, 가압로드(100)의 이동만큼 제1샤프트(210)가 회전되는데, 이 과정에서 인장되었던 개방인장스프링(713)이 사점을 지나면서 수축이 된다. 개방인장스프링(713)의 수축(복원)에 의해 제1샤프트(210)는 원위치로 재차 회전되고, 제1샤프트(210)의 회전에 의해 가압로드(100)는 2차로 재차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은 가압로드(100)의 복귀는 선로 개방을 위한 2단계로써, 가압로드(100)가 보조단로기로부터 분리되는 단계이다. 이로써, 개폐기의 선로 투입 및 개방 작용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는 가압로드(100)가 선로를 투입시키기 위한 진공인터럽터 구동시, 보조단로기가 먼저 슬로우(slow) 동작으로 진공인터럽터의 가동도체부에 결합 후, 탄성력에 의한 퀵(quick) 동작은 진공인터럽터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하여 투입 충격량을 감소시켜줌으로써 진공인터럽터의 통전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OP : 작동기 DR : 구동기
100 : 가압로드 110 : 연결돌기
120 : 가이드 브라켓 121 : 가이드공
200 : 샤프트 210 : 제1샤프트
220 : 제2샤프트 300 : 연결링커
310 : 제1연결링커 320 : 제2연결링커
321 : 수용홈 400 : 설치브라켓
410 : 회전공 500 : 회동부
510 : 제1날개 520 : 제2날개
600 : 탄성부재 700 : 구동링커
710 : 제1구동링커 711 : 직선바
711a : 장공 712 : 회전바
712a : 체결돌기 713 : 개장인장스프링
720 : 제2구동링커 S : 스프링
M : 모터

Claims (5)

  1. 보조단로기에 힘을 작용하여 선로를 투입시키는 작동기; 및
    상기 작동기를 구동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기는,
    상기 보조단로기를 향해 직진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가압로드;
    각각 회전될 수 있도록 축 결합된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
    상기 제1샤프트와 상기 가압로드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샤프트의 회전력을 직진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가압로드를 1차로 직진시키는 제1연결링커; 및
    상기 제2샤프트에 설치되며, 상기 제2샤프트의 회전력을 직진운동으로 변환하여 1차 직진된 가압로드를 2차로 직진시키는 제2연결링커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로드의 직진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브라켓이 마련되되, 가이드 브라켓의 양측에는 가압로드의 직진경로를 따라 장공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로드의 후단부에는 양측으로 각각 돌출된 연결돌기가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링커의 일단부는 상기 제1샤프트에 결합되고, 제1연결링커의 타단부는 상기 연결돌기에 결합되며,
    상기 제2연결링커의 일단부는 상기 제2샤프트에 결합되고, 제2연결링커의 타단부는 상기 연결돌기를 향해 개구된 개구홈을 형성하여 1차 이동된 가압로드의 연결돌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는,
    양측에 아크 형태의 회전공이 형성된 설치브라켓;
    상기 회전공을 따라 일단부 및 타단부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설치브라켓에 축 결합된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회전동력을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에 전달하는 제1구동링커 및 제2구동링커; 및
    상기 회동부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되, 상기 회동부의 일단부가 일측의 회전공에서 사점(死點)을 지날때 신축작용을 하면서 회동부의 타단부를 타측의 회전공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제1구동링커는,
    상기 회동부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제1샤프트를 향해 직진운동하도록 설치되되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직진바와,
    상기 제1샤프트와 상기 직진바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직진바의 장공에 위치된 체결돌기가 형성된 회전바와,
    상기 회동부의 일단부와 상기 회전바 사이에 설치된 개방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






KR1020200063501A 2020-05-27 2020-05-27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 KR102221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501A KR102221242B1 (ko) 2020-05-27 2020-05-27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501A KR102221242B1 (ko) 2020-05-27 2020-05-27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242B1 true KR102221242B1 (ko) 2021-03-02

Family

ID=75169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501A KR102221242B1 (ko) 2020-05-27 2020-05-27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2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7791A (ja) * 1995-04-12 1996-11-01 Takaoka Electric Mfg Co Ltd 電力用負荷開閉器の操作装置
KR100585959B1 (ko) 2003-12-30 2006-06-07 한국전력공사 가공용 폴리머 절연 차단/개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7791A (ja) * 1995-04-12 1996-11-01 Takaoka Electric Mfg Co Ltd 電力用負荷開閉器の操作装置
KR100585959B1 (ko) 2003-12-30 2006-06-07 한국전력공사 가공용 폴리머 절연 차단/개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158B1 (ko) 초고압 가스 절연 차단기
RU2518193C2 (ru) Прерыватель тока линии питания, имеющий вакуумную камеру переключения
US8426760B2 (en) High-voltage circuit breaker having a switch for connection of a closing resistor
KR100675984B1 (ko) 가스절연 차단기
EP3407367B1 (en) 3-way disconnector and earth switch for gas insulated switchgear
KR20140044822A (ko) 이중-모션 가스 절연형 회로 차단기
KR102221242B1 (ko) 가공선로용 개폐기의 2단 구동구조
KR200438667Y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CN101728784B (zh) 开关设备以及用于该开关设备的控制机构
KR100891895B1 (ko) 스위치기어 및 배전반에 사용되는 차단기 및 부하개폐기의 수동조작장치
EP0763840A2 (de) Metallgekapselter, gasisolierter Hochspannungsschalter
JP4714527B2 (ja) 高電圧大容量遮断器
US9460873B2 (en) Switching method and switching device
KR101189654B1 (ko) 진공개폐장치용 셀프록킹 조작기구
KR100631007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20180088222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및 접지개폐기
US10043622B1 (en) Gas-insulated switch gear using dual motion with multi-lever
KR102007779B1 (ko) 접지스위치를 갖는 개폐장치
KR101783801B1 (ko) 가스절연 차단기
KR20060030978A (ko) 가스절연 차단기의 개폐장치
KR20220080873A (ko) 가스절연개폐장치용 단로기 및 접지개폐기
KR20010106810A (ko) 가스절연 개폐기의 단로기
KR101869720B1 (ko) 가스절연차단기
KR200406796Y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단로기
CN113035632B (zh) 断路器及其电阻断口传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