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763B1 - 집진 필터모듈 - Google Patents

집진 필터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763B1
KR102220763B1 KR1020200146999A KR20200146999A KR102220763B1 KR 102220763 B1 KR102220763 B1 KR 102220763B1 KR 1020200146999 A KR1020200146999 A KR 1020200146999A KR 20200146999 A KR20200146999 A KR 20200146999A KR 102220763 B1 KR102220763 B1 KR 102220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lter
filter unit
scrap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우
손정욱
김현호
서성화
Original Assignee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6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7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D46/00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5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iltering elements moving during filtering operation
    • B01D46/00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iltering elements moving during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tion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부에 수용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기 배출부가 연결되는 접속 결합부가 구비된 필터 케이싱; 상기 수용 공간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제1 공기 배출공이 형성된 제1 필터유닛과, 상기 제1 필터유닛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며 제2 공기 배출공이 형성된 제2 필터유닛을 갖는 필터부; 상기 제1 필터유닛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구동부; 상기 제2 필터유닛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와 함께 회전되는 종동부; 상기 구동부와 종동부를 연결하는 동력 전달부; 상기 구동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 동력부; 상기 필터 케이싱에 지지 고정되며, 단부는 상기 제1 필터유닛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이루어진 제1 스크래퍼부; 및 상기 필터 케이싱에 지지 고정되며, 단부는 상기 제2 필터유닛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이루어진 제2 스크래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크래퍼부와 제2 스크래퍼부는 상기 필터부의 회전시, 상기 필터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인 집진 필터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집진 필터모듈{DUST COLLECTING FILTER MODULE}
본 발명은 집진 필터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별도의 에어 공급부 없이도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의 탈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집진 필터모듈에 관한 것이다.
집진 필터모듈은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집진 필터모듈이 예를 들어, 노면 청소차에 구비되는 경우, 집진 필터모듈은 노면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 및 이물질을 필터링한 후 필터링된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집진 필터모듈이 산업현장에 구비되는 경우, 집진 필터모듈은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분진과 이물질 등을 정화시켜 작업자가 호흡기 질환에 걸리는 것을 예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집진 필터모듈은 주기적인 필터 클리닝 작업을 통해 효과적인 필터링이 이루어지도록 관리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집진 필터모듈의 클리닝 방식으로는 펄스젯 방식이 주로 이용된다.
이와 같은 펄스젯 방식은 에어 콤프레서 배관을 통하여 에어탱크로 압축공기가 공급되고, 에어탱크의 온, 오프 과정을 통해 고압의 압축공기를 필터의 내부로 공급하여 필터에 부착된 먼지 및 이물질을 탈리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펄스젯 방식이 적용된 집진 필터모듈은 에어 콤프레서, 에어탱크 등 다양한 구성품이 마련되어야 하기에, 장치의 구조가 복잡함은 물론 소형 제작에도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집진 필터모듈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선행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1906232호(2018.10.0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별도의 에어 공급부 없이도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의 탈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집진 필터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부에 수용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기 배출부가 연결되는 접속 결합부가 구비된 필터 케이싱; 상기 수용 공간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제1 공기 배출공이 형성된 제1 필터유닛과, 상기 제1 필터유닛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며 제2 공기 배출공이 형성된 제2 필터유닛을 갖는 필터부; 상기 제1 필터유닛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구동부; 상기 제2 필터유닛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와 함께 회전되는 종동부; 상기 구동부와 종동부를 연결하는 동력 전달부; 상기 구동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 동력부; 상기 필터 케이싱에 지지 고정되며, 단부는 상기 제1 필터유닛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이루어진 제1 스크래퍼부; 및 상기 필터 케이싱에 지지 고정되며, 단부는 상기 제2 필터유닛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이루어진 제2 스크래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크래퍼부와 제2 스크래퍼부는 상기 필터부의 회전시, 상기 필터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인 집진 필터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부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 필터유닛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 배출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필터 케이싱과 상기 제1 필터유닛의 사이의 공간으로 안내하는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수용 공간부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2 필터유닛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필터유닛의 하부로 이동되는 공기를 상기 필터 케이싱과 상기 제2 필터유닛의 사이의 공간으로 안내하는 제2 공기 이동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래퍼부는, 상기 제1 필터유닛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이루어진 제1 스크래퍼 유닛; 및 상기 제1 스크래퍼 유닛을 지지 고정하며, 상기 제1 케이스의 외측면에 탈부착되는 제1 스크래퍼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크래퍼 유닛은 고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싱은, 상기 접속 결합부가 구비된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제1 필터유닛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되, 상기 제2 필터유닛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케이스와 연결되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하부에 연결되며 자유 낙하하는 이물질이 적재되는 이물질 적재 공간이 마련된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케이스는, 일단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와 연결되며, 외측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와 연결되며, 내측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 연결부; 및 상기 제3 연결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2 케이스와 연결되는 제4 연결부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마주보는 상기 제1 연결부 사이의 폭은 '∧ '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의 양단부 간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의 양단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제1 필터유닛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연결부와 제1 필터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평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싱에는 상기 제1 공기 배출공과 연통되는 제1 정화 배출부, 상기 제2 공기 배출공과 연통되는 제2 정화 배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이물질 적재 공간에 적재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진 이물질 배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와 제2 공기 이동 가이드부는 상기 필터부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 동력부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전달받으며 회전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필터유닛과 결합된 구동 회전축; 상기 구동 회전축을 지지하는 구동 베어링; 상기 필터 케이싱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 베어링을 지지하는 구동 지지부; 및 상기 구동 회전축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부는, 상기 동력 전달부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기어; 일단부는 상기 종동기어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필터유닛과 결합되는 종동 회전축; 상기 종동 회전축을 지지하는 종동 베어링; 및 상기 필터 케이싱에 결합되며, 상기 종동 베어링을 지지하는 종동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집진 필터모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필터유닛과 제2 필터유닛을 가지는 필터부는 회전 동력부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고, 필터 케이싱에 결합된 제1 스크래퍼부와 제2 스크래퍼부는 필터부의 회전시, 필터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집진 필터모듈은 종래의 집진 필터모듈과 달리, 별도의 에어 공급부의 구성이 구비되지 않아도 되기에, 구조가 단순하며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일측에서 바라본 집진 필터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타측에서 바라본 집진 필터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부과 스크래퍼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동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일측에서 바라본 집진 필터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타측에서 바라본 집진 필터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부과 스크래퍼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동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집진 필터모듈(700)은 건식 모드의 청소 과정에서 공기 배출부(63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게 된다.
이러한 집진 필터모듈(700)은 필터 케이싱(710), 필터부(720), 구동부(730), 종동부(740), 회전 동력부(750), 제1 스크래퍼부(760), 제2 스크래퍼부(770),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780) 및 제2 공기 이동 가이드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 케이싱(710)은 집진 필터모듈(700)의 외형을 이룬다.
이러한 필터 케이싱(710)의 내부에는 수용 공간부(701)가 형성된다. 그리고 필터 케이싱(710)의 상부에는 접속 결합부(70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접속 결합부(702)는 공기 배출부(630)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공기 배출부(630)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수용 공간부(701)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필터 케이싱(710)은 상부 케이스(711), 제1 케이스(712), 제2 케이스(713) 및 하부 케이스(7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케이스(711)에는 접속 결합부(702)가 구비되며, 하부는 제1 케이스(712)와 연결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케이스(712)는 상부 케이스(711)와 연결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케이스(712)의 내부에는 제1 필터유닛(721)의 배치된다. 즉, 제1 케이스(712)는 제1 필터유닛(721)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1 케이스(712)는 제1 연결부(715), 제2 연결부(716), 제3 연결부(717) 및 제4 연결부(71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케이스(712)의 구성을 도 3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연결부(715)의 일단부는 상부 케이스(711)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연결부(715)의 타단부는 제1 연결부(715)의 일단부로부터 외측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연결부(716)의 일단부는 제1 연결부(715)의 타단부와 연결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연결부(716)는 제1 연결부(715)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3 연결부(717)는 제2 연결부(716)의 타단부와 연결 형성되며, 제3 연결부(717)의 타단부는 제3 연결부(717)의 일단부로부터 내측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연결부(715) 내지 제3 연결부(717)는 내부에 구비되는 제1 필터유닛(721)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제1 필터유닛(721)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4 연결부(718)는 제3 연결부(717)의 타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제4 연결부(718)는 제1 케이스(712)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케이스(713)와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 케이스(712)가 제1 연결부(715) 내지 제4 연결부(718)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 것은 수용 공간부(701)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가 제1 필터유닛(721)을 통해 효과적인 필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1 케이스(712)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제1 필터유닛(721)의 특정 부위로만 집중적으로 공급되지 않고, 제1 필터유닛(721)의 전체적인 부분으로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외부 공기에 대한 공기 필터링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780)에 의해 제1 케이스(712)와 제1 필터유닛(721)의 사이의 공간으로 안내되는 공기는 제1 필터유닛(721)의 전체적인 부분으로 균일하게 공급되어 효과적인 공기 필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케이스(713)는 제1 케이스(712)의 하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2 케이스(713)의 내부에는 제2 필터유닛(722)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2 케이스(713)는 제1 케이스(712)와 대응 형상으로 이루는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내용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714)는 제2 케이스(713)의 하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하부 케이스(714)에는 이물질 적재 공간(703)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이물질 적재 공간(703)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 중 제1 필터유닛(721)과 제2 필터유닛(722)에서 필터링되지 못하고 자유 낙하하는 이물질 및 먼지 등이 적재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하부 케이스(714)에는 이물질 적재 공간(703)에 적재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진 이물질 배출부(70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필터 케이싱(710)에는 제1 정화 배출부(706)와 제2 정화 배출부(707)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화 배출부(706)는 제1 필터유닛(721)의 내부에 중공을 이루는 제1 공기 배출공(723)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정화 배출부(707)는 제2 필터유닛(722)의 내부에 중공을 이루는 제2 공기 배출공(724)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필터유닛(721)을 통해 필터링된 공기는 제1 공기 배출공(723)을 경유한 후, 제1 정화 배출부(70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필터유닛(722)을 통해 필터링된 공기는 제2 공기 배출공(724)을 경유한 후, 제2 정화 배출부(70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730)는 제1 필터유닛(721)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1 필터유닛(721)은 구동부(730)의 회전시, 구동부(730)와 함께 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동부(730)는 회전 동력부(75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회전 동력부(750)는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회전 동력부(75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감속기 형태를 이루며, 구동부(730)로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회전 동력부(750)는 배터리부(1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동력부(750)로부터 발생된 동력은 복수개의 기어가 치합된 상태에서 구동부(730)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를 통해 구동부(730)로 동력 전달을 할 수도 있는 등. 회전 동력부(750)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구동부(730)로 전달하는 방식은 특정 방식으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을 통해 구동부(730)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종동부(740)는 제2 필터유닛(722)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2 필터유닛(722)은 종동부(740)의 회전시, 종동부(740)와 함께 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동부(730)와 종동부(740)는 동력 전달부(735)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구동부(730)의 회전시, 종동부(740)는 구동부(730)와 함께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구동부(730)와 종동부(740)를 연결하는 동력 전달부(735)는 체인인 형태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동력 전달부(735)는 반드시 체인으로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벨트 등의 다양한 동력 전달 수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부(730)와 종동부(740)가 체인으로 이루어진 동력 전달부(735)로부터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는 형태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종동부(740)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730)는 구동 회전축(731), 구동 베어링(732), 구동 지지부(733) 및 구동기어(7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회전축(731)의 타단부는 제1 필터유닛(721)과 결합되어, 구동 회전축(731)의 회전시, 제1 필터유닛(721)은 구동 회전축(731)과 함께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동 회전축(731)은 회전 동력부(75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구동 지지부(733)는 필터 케이싱(710)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동 지지부(733)는 구동 회전축(731)을 지지하는 구동 베어링(732)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구동 회전축(731)의 일단부에는 구동기어(734)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동기어(734)는 체인기어로 이루어지며, 동력 전달부(735)에 의해 종동부(740)와 체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한편, 종동부(740)는 종동 회전축(741), 종동 베어링(742), 종동 지지부(743) 및 종동기어(7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종동 회전축(741)은 구동부(730)로 회전력을 제공받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종동 지지부(743)는 필터 케이싱(710)에 결합된다. 이러한 종동 지지부(743)는 종동 회전축(741)을 지지하는 종동 베어링(742)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종동 회전축(741)의 일단부에는 종동기어(744)가 구비된다.
따라서, 구동부(730)의 회전시, 종동부(740)는 구동부(730)와 함께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회전 동력부(750), 동력 전달부(735), 구동기어(734), 종동기어(744), 구동 베어링(732) 및 종동 베어링(742)은 필터 케이싱(710)의 외부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용 공간부(701)로 유입되는 이물질 및 미세먼지로 인해 회전 동력부(750), 동력 전달부(735), 구동기어(734), 종동기어(744), 구동 베어링(732) 및 종동 베어링(742)의 각 구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 스크래퍼부(760)는 필터 케이싱(710)에 지지 고정되며, 제1 필터유닛(721)의 회전시, 제1 필터유닛(721)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스크래퍼부(760)는 제1 스크래퍼 유닛(761) 및 제1 스크래퍼 고정부(76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크래퍼 유닛(761)은 제1 스크래퍼 고정부(762)가 제1 케이스(712)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 필터유닛(721)의 외측면에 맞닿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스크래퍼 유닛(761)은 제1 필터유닛(721)이 회전하는 경우, 제1 필터유닛(721)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스크래퍼 유닛(761)은 고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크래퍼 유닛(761)은 반드시 고무재로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1 필터유닛(721)에 부착된 이물질의 탈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면 어떠한 재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제1 스크래퍼 고정부(762)는 제1 스크래퍼 유닛(761)을 지지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 스크래퍼 고정부(762)는 제1 케이스(712)의 외측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스크래퍼 유닛(761)을 지지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크래퍼 고정부(762)는 제1 케이스(712)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스크래퍼 유닛(761)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제1 스크래퍼 고정부(762)를 제1 케이스(712)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제1 스크래퍼 유닛(761)을 교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케이스(712)에는 제1 스크래퍼 유닛(761)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슬릿(708)이 형성되어, 제1 스크래퍼 유닛(761)은 수용 공간부(70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집진 필터모듈(700)은 예를 들어, 공기 배출부(630)로부터 필터 케이싱(710)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에 대한 필터링 과정이 모두 완료된 상태에서 구동부(730)는 제1 필터유닛(721)과 제2 필터유닛(722)으로 이루어진 필터부(7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필터부(720)에 부착된 먼지 및 이물질 등은 제1 스크래퍼부(760) 및 제2 스크래퍼부(770)에 의해 탈리될 수 있다.
한편, 제2 스크래퍼부(770)는 제1 스크래퍼부(760)와 동일한 구성이다.
이러한 제2 스크래퍼부(770)는 제2 스크래퍼 유닛(771) 및 제2 스크래퍼 고정부(772)를 포함하며, 제1 스크래퍼부(760)와 같이 제2 필터유닛(722)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780)는 공기 배출부(630)로부터 수용 공간부(70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공기 이동 가이드부(790)는 제1 케이스(712)를 경유하여 제2 케이스(713)로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공기 이동 가이드부(790)는 제2 필터유닛(722)의 상부에 구비되며, 제2 케이스(713)로 유입되는 공기를 제2 필터유닛(722)의 전체적인 부분으로 고르게 이동될 수 있도록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2 공기 이동 가이드부(790)는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780)와 동일한 구성으로,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780)를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780)는 제1 필터유닛(721)의 상부에 구비되며, 수용 공간부(701)를 유입되는 공기를 제1 필터유닛(721)의 전체적인 부분으로 고르게 이동될 수 있도록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780)는 공기 배출부(63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1 필터유닛(721)의 특정 부분으로만 공기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외부로 유입된 공기가 제1 필터유닛(721)의 전체적인 부분으로 효과적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공기의 필터링 효과를 높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1 필터유닛(721)의 특정 부분으로만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제1 필터유닛(721)의 공기 필터 효과가 떨어짐을 물론 제1 필터유닛(721)의 교체 주기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780)는 제1 필터유닛(721)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제1 필터유닛(721)의 전체적인 부분으로 고르게 공기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780)의 양단부는 제1 연결부(715)와 제1 필터유닛(721)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제1 연결부(715)와 제1 필터유닛(721)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780)는 제1 연결부(715)와 평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 ' 형상을 이루는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780)의 양단부 간의 폭은 마주보는 제1 연결부(715) 사이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공기 배출부(63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780)의 안내를 받으며, 제1 케이스(712)의 내부로 유도됨에 있어, 제1 케이스(712)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케이스(713)의 내부로도 자연스러운 공기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공기 배출부(63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제1 필터유닛(721)에서만 공기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제2 케이스(713)의 내부에 구비된 제2 필터유닛(722)에서도 공기 필터링이 이루어지기에, 제1 필터유닛(721)과 제2 필터유닛(722)의 전체적인 부분으로 고르게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은 중요하다. 즉, 집진 필터모듈(700)에 구비되는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780)와 제2 공기 이동 가이드부(790)는 제1 필터유닛(721)과 제2 필터유닛(722)의 전체적인 부분으로 고르게 공기가 이동되도록 공기의 이동 방향을 안내함에 따라 효과적인 공기 필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공기 이동 가이드부(790)는 제2 필터유닛(722)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2 공기 이동 가이드부(790)는 제1 케이스(712)를 경유한 후, 제2 케이스(713)의 내부로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2 공기 이동 가이드부(790)는 제1 필터유닛(721)의 하부로 이동되는 공기를 제2 케이스(713)와 제2 필터유닛(722)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2 케이스(713)의 내부로 이동되는 공기는 제2 공기 이동 가이드부(790)에 의해 제2 필터유닛(722)의 전체적인 부분으로 고른 공기 이동이 이루어지며, 제2 필터유닛(722)을 통해 효과적인 공기 필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공기 이동 가이드부(790)는 제2 공기 이동 가이드부(790)는 필터부(720)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공기 이동 가이드부(790)는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780)와 대응되는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내용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700: 집진 필터모듈
701: 수용 공간부
702: 접속 결합부
703: 이물질 적재 공간
705: 이물질 배출부
706: 제1 정화 배출부
707: 제2 정화 배출부
708: 제1 슬릿
710: 필터 케이싱
711: 상부 케이스
712: 제1 케이스
713: 제2 케이스
714: 하부 케이스
715: 제1 연결부
716: 제2 연결부
717: 제3 연결부
718: 제4 연결부
720: 필터부
721: 제1 필터유닛
722: 제2 필터유닛
723: 제1 공기 배출공
724: 제2 공기 배출공
730: 구동부
731: 구동 회전축
732: 구동 베어링
733: 구동 지지부
734: 구동기어
735: 동력 전달부
740: 종동부
741: 종동 회전축
742: 종동 베어링
743: 종동 지지부
744: 종동기어
750: 회전 동력부
760: 제1 스크래퍼부
761: 제1 스크래퍼 유닛
762: 제1 스크래퍼 고정부
770: 제2 스크래퍼부
771: 제2 스크래퍼 유닛
772: 제2 스크래퍼 고정부
780: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
790: 제2 공기 이동 가이드부

Claims (9)

  1. 내부에 수용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기 배출부가 연결되는 접속 결합부가 구비된 필터 케이싱;
    상기 수용 공간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제1 공기 배출공이 형성된 제1 필터유닛과, 상기 제1 필터유닛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며 제2 공기 배출공이 형성된 제2 필터유닛을 갖는 필터부;
    상기 제1 필터유닛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구동부;
    상기 제2 필터유닛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와 함께 회전되는 종동부;
    상기 구동부와 종동부를 연결하는 동력 전달부;
    상기 구동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 동력부;
    상기 필터 케이싱에 지지 고정되며, 단부는 상기 제1 필터유닛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이루어진 제1 스크래퍼부; 및
    상기 필터 케이싱에 지지 고정되며, 단부는 상기 제2 필터유닛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이루어진 제2 스크래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크래퍼부와 제2 스크래퍼부는 상기 필터부의 회전시, 상기 필터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 공간부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 필터유닛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 배출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필터 케이싱과 상기 제1 필터유닛의 사이의 공간으로 안내하는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수용 공간부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2 필터유닛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필터유닛의 하부로 이동되는 공기를 상기 필터 케이싱과 상기 제2 필터유닛의 사이의 공간으로 안내하는 제2 공기 이동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케이싱은, 상기 접속 결합부가 구비된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제1 필터유닛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되, 상기 제2 필터유닛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케이스와 연결되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하부에 연결되며 자유 낙하하는 이물질이 적재되는 이물질 적재 공간이 마련된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케이스는, 일단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와 연결되며, 외측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와 연결되며, 내측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 연결부; 및 상기 제3 연결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2 케이스와 연결되는 제4 연결부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 것인 집진 필터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래퍼부는,
    상기 제1 필터유닛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이루어진 제1 스크래퍼 유닛; 및
    상기 제1 스크래퍼 유닛을 지지 고정하며, 상기 필터 케이싱의 외측면에 탈부착되는 제1 스크래퍼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크래퍼 유닛은 고무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필터모듈.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마주보는 상기 제1 연결부 사이의 폭은 '∧ '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의 양단부 간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필터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의 양단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제1 필터유닛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연결부와 제1 필터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평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필터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싱에는 상기 제1 공기 배출공과 연통되는 제1 정화 배출부와, 상기 제2 공기 배출공과 연통되는 제2 정화 배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이물질 적재 공간에 적재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진 이물질 배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필터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 이동 가이드부와 제2 공기 이동 가이드부는 상기 필터부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필터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 동력부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전달받으며 회전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필터유닛과 결합된 구동 회전축;
    상기 구동 회전축을 지지하는 구동 베어링;
    상기 필터 케이싱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 베어링을 지지하는 구동 지지부; 및
    상기 구동 회전축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부는,
    상기 동력 전달부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기어;
    일단부는 상기 종동기어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필터유닛과 결합되는 종동 회전축;
    상기 종동 회전축을 지지하는 종동 베어링; 및
    상기 필터 케이싱에 결합되며, 상기 종동 베어링을 지지하는 종동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필터모듈.
KR1020200146999A 2020-11-05 2020-11-05 집진 필터모듈 KR102220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999A KR102220763B1 (ko) 2020-11-05 2020-11-05 집진 필터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999A KR102220763B1 (ko) 2020-11-05 2020-11-05 집진 필터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763B1 true KR102220763B1 (ko) 2021-03-02

Family

ID=75169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999A KR102220763B1 (ko) 2020-11-05 2020-11-05 집진 필터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7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729A (ko) * 1988-11-29 1990-06-03 에이엠피 인코포레이티드 표면장착 코넥터의 복수개 터미널을 회로기판상의 접촉패드들에 결합시키는 장치
KR20050062317A (ko) * 2003-12-18 2005-06-23 퓨아스 가부시키가이샤 입자형상 물질의 감소장치
JP2009202100A (ja) * 2008-02-28 2009-09-10 Panasonic Corp 粉塵除去装置および粉塵除去システム
KR101906232B1 (ko) 2017-08-10 2018-12-05 (주)케이엘 집진필터 세척기능을 구비한 악취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729A (ko) * 1988-11-29 1990-06-03 에이엠피 인코포레이티드 표면장착 코넥터의 복수개 터미널을 회로기판상의 접촉패드들에 결합시키는 장치
KR20050062317A (ko) * 2003-12-18 2005-06-23 퓨아스 가부시키가이샤 입자형상 물질의 감소장치
JP2009202100A (ja) * 2008-02-28 2009-09-10 Panasonic Corp 粉塵除去装置および粉塵除去システム
KR101906232B1 (ko) 2017-08-10 2018-12-05 (주)케이엘 집진필터 세척기능을 구비한 악취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2777B2 (ja) ろ過集塵機
KR100673854B1 (ko) 컨베이어벨트용 클리닝장치
US6500339B2 (en) Filtration apparatus for filtering a machining fluid
KR102076931B1 (ko)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공기청정기
KR101668015B1 (ko) 여과집진 장치
KR102220763B1 (ko) 집진 필터모듈
CN109290358A (zh) 一种便于清洗的土壤修复装置
KR101277743B1 (ko) 백 필터 장치 및 백 필터 장치 청소 방법
KR20050054551A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니트
KR102210128B1 (ko) 노면 청소용 전기차
JP5776632B2 (ja) エアフィルタ再生方法及びエアフィルタ再生装置
JP3888986B2 (ja) 遠心分離機及びその残留ケーキ排出装置
US4294596A (en) Air-filter apparatus in combination with a turbine engine
JP2015202430A (ja) 固液分離機
JP2011067891A (ja) クーラント濾過装置
KR100200171B1 (ko) 절삭액의 여과장치
CN208066003U (zh) 机械式自动刮刷粉尘过滤器
KR100212301B1 (ko) 오염공기 및 배기가스의 정화방법과 그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환형필터
KR100886197B1 (ko) 집진장치
FI78623B (fi) Foerfarande foer avlastning av skivfilter och avlastningsanordning foer genomfoerande av foerfarandet.
KR100897227B1 (ko) 건식 노면청소차
KR101637230B1 (ko) 바스켓의 탈착이 용이한 젤라틴 캡슐 건조장치
KR102208548B1 (ko) 절삭유 기름 정제장치
KR0135456Y1 (ko) 로타리타잎 필터장치
KR100336695B1 (ko) 방진망 청소기가 부착된 공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