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227B1 - 건식 노면청소차 - Google Patents

건식 노면청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227B1
KR100897227B1 KR1020080039746A KR20080039746A KR100897227B1 KR 100897227 B1 KR100897227 B1 KR 100897227B1 KR 1020080039746 A KR1020080039746 A KR 1020080039746A KR 20080039746 A KR20080039746 A KR 20080039746A KR 100897227 B1 KR100897227 B1 KR 100897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ischarge duct
air
mounting frame
filt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순
Original Assignee
김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순 filed Critical 김종순
Priority to KR1020080039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27Dislodging by suction; Mechanical dislodging-clean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or dependent exhaust, e.g. dislodging-sweeping machines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s ;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working under vacuum
    • E01H1/0836Apparatus dislodging all of the dirt by suction ; Suction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의 정비성이 향상된 건식 노면청소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청소차는 적재부, 배출덕트, 제1필터장치 그리고 제2필터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적재부에는 흡입력에 의해 노면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수용된다. 배출덕트는 일단부가 적재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개방되어 적재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제1필터장치는 적재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적재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배출덕트로 유입되기 전에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한다. 그리고 제2필터장치는 배출덕트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배출덕트와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하는 설치하우징과, 설치하우징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외형을 형성하며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장착프레임과, 장착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제1필터장치에서 걸러지지 않은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제2필터부재 및 제2필터부재가 장착프레임의 내측으로 장착되거나 장착프레임의 내측에서 탈거되도록 장착프레임의 어느 일측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고정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배출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출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이송방향에 수직하게 구비된다.
노면청소차, 필터, 이물질, 제거, 교체

Description

건식 노면청소차{dry sweeper}
본 발명은 건식 노면청소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의 정비성이 향상된 건식 노면청소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지방자치단체 또는 도로를 관리하는 기관에서는 이미 건설되어 사용하고 있는 도로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작업을 주기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노면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관리하고 있다.
특히, 도시 미관과 관련하여 폐기물을 처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그중에서도 도로 및 도로 주변에 대하여 청소가 실시되는 것은 높은 인구가 밀집되어 생활하고 있는 도시 특성상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적은 인력으로도 노면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관리할 수 있는 방법으로 노면청소차가 사용되고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노면청소차는 노면의 이물질을 빨아들여 도로를 청소하기 위한 특수차량이다.
노면청소차는 노면의 이물질을 빨아들여 적재함에 적재하고, 별도의 처리장소로 이동하여 적재된 이물질을 처리하게 된다.
한편, 노면청소차는 청소가 진행되는 동안에 노면으로부터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과정에서 함께 유입된 공기를 대기 중으로 재배출하게 된다.
이때,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공기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면청소차에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장치가 구비되어 진다.
이러한 필터장치는 다양한 형태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이물질이 잘 부착되고, 걸러진 이물질이 비산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사용되는 습식필터장치가 일예로 제시될 수 있다.
그러나, 필터장치가 다양한 형태를 이루더라도, 공기로부터 분리되거나 걸러진 이물질은 어떠한 형태로든 필터장치에 부착되거나 묻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필터장치는 정기적으로는 비정기적으로든 청소되어야 하는 것은 공통된 사항이다.
하지만, 종래의 노면청소차에 장착된 필터장치는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를 고정하는 프레임이 일체로 되어있어서, 필터부재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중량물인 프레임까지 함께 노면청소차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필터부재만이 파손되거나 손상되어 필터부재만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도, 상기 필터부재와 프레임이 일체로 되어있음에 따라 교체하지 않아도 될 프레임까지도 교체해야 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교체비용도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습식필터장치는 필터부재를 습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 여 액체(예컨대, 물)가 사용되는데, 동절기에는 이러한 액체가 필터부재에 얼어붙게 됨으로써 공기저항이 증가하거나 필터효율이 감소하고, 심한 경우 필터부재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의 정비성이 향상된 건식 노면청소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흡입력에 의해 노면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수용되는 적재부; 일단부는 상기 적재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개방되어 상기 적재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덕트; 상기 적재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배출덕트로 유입되기 전에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제1필터장치; 그리고 상기 배출덕트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덕트와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하는 설치하우징과, 상기 설치하우징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외형을 형성하며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장착프레임, 상기 장착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필터장치에서 걸러지지 않은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제2필터부재 및 상기 제2필터부재가 상기 장착프레임의 내측으로 장착되거나 상기 장착프레임의 내측에서 탈거되도록 상기 장착프레임의 어느 일측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고정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상기 배출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배출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이송방향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제2필터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필터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노면청소차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2필터부재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되, 공기의 이송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겹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공기의 이송방향을 따라 후방에 위치될수록 단계적으로 조밀하게 형성되어 유체에 젖지 않은 건식 상태에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설치하우징은 상기 제2필터조립체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용부의 내측과 상기 개폐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필터조립체가 상기 수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안내하는 슬라이딩가이드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노면청소차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1필터장치를 구비하여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1차로 제거하고, 상기 제1필터장치에서 걸러지지 않은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제2필터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제1필터장치와 제2필터장치 모두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 기 각 필터장치를 청소하거나 교체하는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제2필터장치가 공기로부터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가 설치되는 장착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필터부재와 장착프레임이 각각 분리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필터부재만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교체비용도 감소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청소차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청소차의 제1필터장치와 제2필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건식 노면청소차는 적재부(10), 배출덕트(14), 제1필터장치(20) 그리고 제2필터장치(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노면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수용되는 상기 적재부(10)에는 상기 배출덕트(14)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덕트(14)의 타단부는 개방되는데, 이를 통해 상기 적재부(10)에 존재하는 공기는 상기 배출덕트(14)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적재부(10)에는 상기 적재부(10)에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배출덕트(14)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제1필터장치(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필터장치(20)는 상기 적재부(10)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덕트(14)의 타 단부에는 제2필터장치(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제2필터장치(30)에는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출덕트(14)에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상기 제1필터장치(20)에서 걸러지지 않은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제2필터조립체(5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공기가 이송되는 유로상에 제1필터장치(20)와 제2필터장치(30)가 순차적으로 설치됨으로써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필터장치(20)와 상기 제2필터조립체(50)가 각각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청소 및 교체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건식 노면청소차의 후방에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적재부(1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부(10)의 전방에는 흡입덕트(12)가 연결되는데, 상기 흡입덕트(12)의 일단부는 상기 건식 노면청소차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건식 노면청소차의 외부, 즉 대기(大氣) 중으로 개방되며, 타단부는 상기 적재부(1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배출덕트(14)는 상기 건식 노면청소차의 내측에 관로를 형성하는데, 상기 배출덕트(14)의 일단부는 상기 적재부(10)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건식 노면청소차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부(10)의 외측에는 송풍력 발생장치(16)가 구비되는데, 상기 송풍력 발생장치(16)는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통상의 송풍장치(blower)일 수 있다.
상기 송풍력 발생장치(16)는 상기 배출덕트(14)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송풍력 발생장치(16)는 상기 배출덕트(14)의 내측에 송풍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송풍력은 상기 흡입덕트(12)에서 상기 배출덕트(14)의 방향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력 발생장치(16)에서 제공되는 송풍력은 상기 흡입덕트(12)에서는 흡입력으로 적용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건식 노면청소차의 외부의 물질이 상기 흡입덕트(12)로 흡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흡입된 노면의 이물질과 공기 등은 상기 흡입덕트(12)를 따라 이송되어 상기 적재부(10)로 유입되어 진다.
한편, 상기 적재부(10)의 내부에 유입된 이물질 중에 중량이 무거운 물질은 낙하하여 상기 적재부(10)에 쌓이게 되고, 중량이 가벼운 이물질은 상기 적재부(10)의 내부에서 비산된 상태로 존재하면서, 상기 송풍력에 의해 공기와 함께 상기 배출덕트(14)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적재부(10)에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배출덕트(14)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도록, 상기 적재부(10)의 상부 일측에는 제1필터장치(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필터장치(20)는 제1필터부재(21)와 커버(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필터부재(21)는 공기를 통과시키되,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 질은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질 수 있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필터부재(21)는 미세한 중공(中空)이 형성되거나 그물형태(mesh)로 형성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통상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걸러내기 위한 이물질의 크기 등에 맞추어 적절한 것으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필터부재(21)는 부직포나 종이 또는 합성섬유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필터부재(21)는 단위시간 동안 많은 양의 공기가 상기 제1필터부재(21)를 통과하고, 이를 통해 공기 중의 이물질이 더욱 많이 걸러질 수 있도록 공기에 접촉되는 면적이 넓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필터부재(21)는 주름지게 형성되어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필터부재(21)의 내측에는 유로부(25)가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유로부(25)를 통해서는 상기 제1필터부재(21)를 통과하여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가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필터부재(21)의 양측에는 커버(23)가 각각 결합됨이 바람직하며,상기 커버(23)가 상기 제1필터부재(21)의 양측을 각각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1필터부재(21)의 형상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23) 중 어느 하나에는 연결어댑터(27)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어댑터(27)는 상기 적재부(10)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 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어댑터(27)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상될 수 있으며, 상기 적재부(10)의 상측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어댑터(27)가 상기 적재부(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교체가 요구되는 제1필터장치(20)를 선별하여 상기 적재부(1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하고 다시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필터장치(20)를 청소하거나 수리해야 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필터장치(20)를 상기 적재부(10)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청소 또는 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연결어댑터(27)는 상기 제1필터장치(20)가 상기 적재부(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정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연결어댑터(27)와 상기 적재부(10)가 나사산에 의한 결합이 아니라, 다른 결합방식(예를 들면, 클램프 결합방식 등)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연결어댑터(27)에는 상기 유로부(25)를 통해 이송하는 공기가 상기 커버(23)와 상기 적재부(10)의 상면을 통하여 상기 배출덕트(14)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29)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29)은 상기 유로부(25)의 내측 지름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커버(23)와 상기 적재부(10)에도 상기 관통홀(29)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관통홀이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 유로부(25)와 상기 각 관통홀이 연속적인 유로면을 형성할 수 있어 공기의 이송저항이 감소되고 더욱 원활한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 제1필터장치(20)는 상기 적재부(10)에 설치되는 설치면을 기준으로 종횡방향으로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열되어 설치됨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배열은 상기 적재부(10)에 더욱 많은 개수의 제1필터장치(20)가 설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덕트(14)의 타단부에는 상기 배출덕트(14)로부터 배출된 공기에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제2필터장치(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필터장치(30)는 상기 제1필터장치(20)에서 걸러지지 않은 이물질을 다시 걸러낼 수 있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청소차의 제2필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청소차의 제2필터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필터장치(30)는 설치하우징(40)과 제2필터조립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설치하우징(40)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 배출 덕트(14)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측 공간이 상기 배출덕트(14)와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치하우징(40)의 내측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제2필터조립체(50)가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설치하우징(40)은 상기 제2필터조립체(50)가 수용되어 장착되는 수용부(42)와, 상기 수용부(4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42)를 개폐하는 개폐부(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42)는 상기 제2필터조립체(50)가 삽입되면 상기 제2필터조립체(50)의 외측면이 상기 수용부(42)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필터조립체(50)에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배출덕트(14)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수용부(42)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2필터조립체(50)를 통과하여 이동하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걸러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필터조립체(50)는 장착프레임(51), 제2필터부재(53) 그리고 고정커버(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장착프레임(51)은 외형을 형성하는데, 상기 장착프레임(51)의 외면은 상기 수용부(42)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착프레임(51)의 내측에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공간으로는 상기 제2필터부재(5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필터부재(53)는 공기를 통과시키되,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은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질 수 있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필터부재(53)는 미세한 중공(中空)이 형성되거나 그물형태(mesh)로 형성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통상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걸러내기 위한 이물질의 크기 등에 맞추어 적절한 것으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필터부재(53)는 단위시간 동안 많은 양의 공기가 상기 제2필터부재(53)를 통과하고, 이를 통해 공기 중의 이물질이 더욱 많이 걸러질 수 있도록 공기에 접촉되는 면적이 넓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필터부재(53)는 주름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출덕트(14)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수용부(42)로 유입된 공기의 이송방향을 가로막도록 상기 장착프레임(51)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필터부재(53)는 종이 또는 합성섬유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필터부재(53)는 공기의 이송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겹 이상이 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공기가 이송하는 방향의 후방에 구비될수록 더욱 미세한 중공으로 형성되거나 촘촘한 그물형태로 형성되는 것과 같이 공기의 이송방향을 따라 단계적으로 조밀해지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필터부재(53)를 통과하는 공기는 적어도 두 번에 걸쳐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게 됨으로써 이물질이 걸러지는 여과 면적이 증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이물질의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여과 성능의 향상으로 인하여, 상기 제2필터부재(53)는 건식(乾式) 상태에서도 미세한 크기의 이물질까지도 걸러내는 것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건식 상태란 상기 제2필터부재(53)와 같이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에 물과 같은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필터가 물에 젖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이물질이 물에 흡착되어 여과되는 습식(濕式) 상태에 반대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각 겹에 따라 걸러지는 이물질이 분리되되, 전방에서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걸러짐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공기의 이송저항이 증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필터부재(53)에 형성되는 겹과 겹 사이의 간격은 걸러진 이물질이 충분히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소정의 간격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겹과 겹 사이에는 상기 겹과 겹이 일정한 간격을 이룰 수 있도록 간격조절부(5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커버(55)는 상기 장착프레임(51)의 어느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프레임(51)의 내측 공간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일측면은 공기의 이송방향으로 위치되는 상기 장착프레임(51)의 전면과 후면(공기의 이송방향에 수직하게 위치되는 면) 중 어느 일면임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커버(55)는 상기 장착프레임(51)에 회전가능하도록 힌 지부(58)가 구비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힌지부(58)는 기준이 되는 부재를 중심으로 결합된 다른 부재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상의 힌지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커버(55)가 상기 장착프레임(51)에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59)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결합부(59)는 상호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탈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통상의 결합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클램프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커버(55)가 회전개방되면 상기 제2필터부재(53)는 상기 장착프레임(51)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2필터부재(53)가 삽입된 후에 상기 고정커버(55)가 회전되어 닫히게 되면 상기 제2필터부재(53)는 상기 장착프레임(51)의 내측에 고정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2필터부재(53)가 이물질에 많이 오염되었거나 파손되는 등에 의해 상기 제2필터부재(53)를 청소하거나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 제2필터조립체(50) 전체가 아닌 상기 제2필터부재(53)만을 분리하여 청소하거나 교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청소가 용이하고 교체비용이 감소될 수 있으며 작업성도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고정커버(55)는 상기 제2필터부재(53)가 상기 장착프레임(51)에서 나오지 못하도록 상기 제2필터부재(53)를 구속할 수 있고, 상기 제2필터부재(53)로 이송되는 공기의 이송량을 불필요하게 감소시키지 않을 정도의 크기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착프레임(51)의 내측에는 삽입된 상기 제2필터부재(53)가 고정결합되도록 고정부(미도시)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공기가 상기 제2필터부재(53)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제2필터부재(53)와 상기 장착프레임의 내측면 사이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필터부재(53)가 상기 장착프레임(51)의 내측면에 고정되거나 밀착될 수 있다면 특정한 형상이나 개수에 한정됨이 없이 다양한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필터조립체(50)는 상기 배출덕트(14)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이송방향에 수직하게 상기 수용부(42)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필터조립체(50)는 상기 배출덕트(14)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이송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효율이 향상될 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42)의 내측과 상기 개폐부(44)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필터조립체(50)가 상기 수용부(42)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거나 상기 수용부(42)의 내측에서부터 슬라이딩 배출되는 것을 안내하는 슬라이딩가이드(4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42)와 상기 개폐부(44)에 구비되는 상기 각 슬라이딩가이드(45)는 서로 연속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청소차의 제2필터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청소차에서는 전술한 장착프레임의 다른 일측면에 고정커버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전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필터조립체(150)는 장착프레임(151), 상기 제2필터부재(53) 그리고 고정커버(1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장착프레임(151)은 외형을 형성하는데, 상기 장착프레임(151)의 외면은 상기 수용부(도 3의 42)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착프레임(151)의 내측에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공간으로는 상기 제2필터부재(5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151)의 어느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커버(15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일측면은 상기 장착프레임(151)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개폐부(도 3의 44)에 대향되는 상기 장착프레임(151)의 측면임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2필터부재(53)를 청소하거나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장착프레임(151)을 상기 수용부로부터 빼내지 않고도, 즉, 상기 장착프레임(151)이 상기 수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커버(155)만을 개방하여 상기 제2필터부재(53)를 꺼내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청소차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청소차의 제1필터장치와 제2필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청소차의 제2필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청소차의 제2필터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노면청소차의 제2필터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적재부 14: 배출덕트
16: 송풍력 발생장치 20: 제1필터장치
21: 제1필터부재 23: 커버
25: 유로부 27: 연결어댑터
30: 제2필터장치 40: 설치하우징
42: 수용부 44: 개폐부
45: 슬라이딩가이드 50,150: 제2필터조립체
51,151: 장착프레임 53: 제2필터부재
55,155: 고정커버 57: 간격조절부

Claims (7)

  1. 흡입력에 의해 노면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수용되는 적재부;
    일단부는 상기 적재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개방되어 상기 적재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덕트;
    상기 적재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배출덕트로 유입되기 전에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제1필터장치; 그리고
    상기 배출덕트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덕트와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하는 설치하우징과, 상기 설치하우징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외형을 형성하며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장착프레임, 상기 장착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필터장치에서 걸러지지 않은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제2필터부재 및 상기 제2필터부재가 상기 장착프레임의 내측으로 장착되거나 상기 장착프레임의 내측에서 탈거되도록 상기 장착프레임의 어느 일측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고정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상기 배출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배출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이송방향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제2필터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필터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식 노면청소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부재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되, 공기의 이송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겹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공기의 이송방향을 따라 후방에 위치될수록 단계적으로 조밀하게 형성되어 유체에 젖지 않은 건식 상태에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노면청소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하우징은 상기 제2필터조립체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용부의 내측과 상기 개폐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필터조립체가 상기 수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안내하는 슬라이딩가이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노면청소차.
  6. 삭제
  7. 삭제
KR1020080039746A 2008-04-29 2008-04-29 건식 노면청소차 KR100897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746A KR100897227B1 (ko) 2008-04-29 2008-04-29 건식 노면청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746A KR100897227B1 (ko) 2008-04-29 2008-04-29 건식 노면청소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7227B1 true KR100897227B1 (ko) 2009-05-14

Family

ID=40861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746A KR100897227B1 (ko) 2008-04-29 2008-04-29 건식 노면청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2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360B1 (ko) * 2015-02-25 2015-08-31 발라드동물병원(주) 송풍수단 및 공기여과부의 사용 여부에 상관없이 공기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축사용 공기 여과 시스템
KR102258567B1 (ko) * 2021-02-26 2021-06-01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노면 청소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9512A (en) 1993-11-10 1995-04-25 Commerical Sweeper Systems, Inc. Air filtration system
KR100554024B1 (ko) * 2005-10-17 2006-02-21 김종순 셰브론형 피엠10 필터여과장치
KR20060094718A (ko) * 2005-02-25 2006-08-30 오종태 건식,습식겸용 터널용 집진장치
KR100732411B1 (ko) * 2006-10-26 2007-06-27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건식 청소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9512A (en) 1993-11-10 1995-04-25 Commerical Sweeper Systems, Inc. Air filtration system
KR20060094718A (ko) * 2005-02-25 2006-08-30 오종태 건식,습식겸용 터널용 집진장치
KR100554024B1 (ko) * 2005-10-17 2006-02-21 김종순 셰브론형 피엠10 필터여과장치
KR100732411B1 (ko) * 2006-10-26 2007-06-27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건식 청소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360B1 (ko) * 2015-02-25 2015-08-31 발라드동물병원(주) 송풍수단 및 공기여과부의 사용 여부에 상관없이 공기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축사용 공기 여과 시스템
KR102258567B1 (ko) * 2021-02-26 2021-06-01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노면 청소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487B1 (ko) 도로 분진 청소차
KR100732411B1 (ko) 건식 청소차
JP3840249B2 (ja) 閉鎖循環養殖装置
JP3133227U (ja) 懸濁排水処理装置
KR101296194B1 (ko) 미세먼지제거용 건식 및 습식 진공흡입청소차
KR102012014B1 (ko) 오염수 여과용 이동식 처리장비 및 이를 이용한 오염수 여과 처리 공법
KR101384729B1 (ko) 소형 청소차
KR102280912B1 (ko) 렌즈 연마폐수용 여과장치 및 연마폐수 환원시스템
KR100882015B1 (ko) 건식 노면청소차
KR100897227B1 (ko) 건식 노면청소차
KR101448298B1 (ko) 수처리 여과장치에 사용되는 여과필터
KR101595838B1 (ko) 건식 노면 청소차
JP6865938B1 (ja) 不純物除去装置
KR20150144465A (ko) 건식 청소차의 공기정화 시스템
JP7112078B2 (ja) 液切板及びそれを備える湿式集塵機
KR100883086B1 (ko) 공조시스템을 이용한 도로 청소방법
KR102210128B1 (ko) 노면 청소용 전기차
KR20160083234A (ko) 건습식 필터 유닛 및 이를 갖는 도로 청소차
KR101642025B1 (ko) 진공 흡입 구조의 다중 필터 방식의 드럼 스크린 장치
US6578714B2 (en) Mobile washer with fluid reclamation system
KR20160004499A (ko) 수질 정화용 드럼스크린장치
US7967151B1 (en) Universal fuel recycling machine
KR101471372B1 (ko)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
CN206625331U (zh) 一种易清理的地漏
DE10342117B4 (de) Selbstfahrende Kehrsaugmaschine mit einer Filtereinrichtung zum Abscheiden von nassem oder trockenem Kehric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