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493B1 - Body Supporting Cush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Body Supporting Cushio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493B1
KR102219493B1 KR1020190004676A KR20190004676A KR102219493B1 KR 102219493 B1 KR102219493 B1 KR 102219493B1 KR 1020190004676 A KR1020190004676 A KR 1020190004676A KR 20190004676 A KR20190004676 A KR 20190004676A KR 102219493 B1 KR102219493 B1 KR 102219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ushion structure
adjustment module
present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6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88103A (en
Inventor
강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스비에스
Priority to KR1020190004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493B1/en
Publication of KR20200088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1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4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36Pillow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신체를 기댈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지지하는 본체부, 및 본체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부의 지지면의 형상 또는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에서의 지지면의 각도 및 형상을 자신의 체형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된다.Disclosed is a cushion structure for body suppor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for supporting the user's body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lean on the body, and an adjustment devic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to adjust the shape or angle of the suppor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adjust the angle and shape of the support surface in the body support cushion structure according to his/her body shape as necessary.

Description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Body Supporting Cushion Structure}Body Supporting Cushion Structure {Body Supporting Cushion Structure}

본 발명은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지지면의 각도 및 형상을 자신의 체형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hion structure for body suppo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shion structure for body support that enables a user to adjust the angle and shape of the support surface according to their body shape.

실내에서 앉거나 누워있는 경우에 사용자의 등, 다리 등의 신체 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자세 변환 용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Various types of posture conversion tools are widely used to support body parts such as a user's back and legs when sitting or lying down indoors.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자세 변환 용구는 제품 제작시에 이미 정해진 형상을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변형할 수 없으며, 지지면의 각도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sture conversion tool according to the prior art cannot deform a predetermined shap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during product manufacturing, and the angle of the support surface cannot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뿐만 아니라, 노약자가 자세 변환 용구를 장시간 동안 자세 변환 없이 사용하는 경우에 욕창 등의 발생 위험이 존재할 수 있는데 종래의 자세 변환 용구는 사용자에게의 욕창 발생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노약자의 응급 상태시에 주변에 보호자가 없는 상황에서는 노약자에 대한 적절한 구호 조치를 취할 수 없다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an elderly person uses a posture conversion tool for a long time without posture change, there may be a risk of occurrence of bedsores. However, the conventional posture conversion tool cannot prevent the risk of the occurrence of bedsores to the user. There was a technical limitation in that it was not possible to take appropriate relief measures for the elderly in a situation where there are no guardians around during an emergency situ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지지면의 각도 및 형상을 자신의 체형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shion structure for body support that enables a user to adjust the angle and shape of the support surface according to his or her body shap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는, 사용자가 신체를 기댈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지지면의 형상 또는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구는 상기 본체부의 외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조절구가 상기 본체부의 외부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상기 본체부의 외부면에서 상기 조절구가 제거된 공간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함몰됨으로써, 상기 본체부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지지하는 지지면의 경사 각도가 변형되며, 상기 조절구는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조절 모듈, 상기 제1 조절 모듈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조절 모듈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제2 조절 모듈 및 상기 제2 조절 모듈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제3 조절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형상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 조절 모듈, 상기 제2 조절 모듈 및 상기 제3 조절 모듈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일부가 상기 조절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dy support cush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ody portion supporting the body part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lean on the body; And an adjustment devic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part to adjust the shape or angle of the support surface of the body part, wherein the control part is inserted into the body 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the control part is When the body part is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the space in which the adjustment tool is remov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is depressed by the pressure applied by the body part of the user, thereby causing the body part of the user in the body par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upporting surface is changed, and the adjustment tool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adjustment module and the first adjustment module, which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adjustment module. A second adjustment module to be installed and a third adjustment modul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second adjustment module, wherein the first adjustment module, the second adjustment module, and the first adjustment module to adjust the shape of the main body. Part of the third adjustment module selected by the user is separated from the adjustment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구는, 적층 결합되며 분리 가능한 복수의 조절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control modules that are laminated and bonded and detachable.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pressure applied by the user's body part is installed in the body part.

또한, 상기 압력 센서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신체의 위험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Further, 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user's body is in a dangerous stat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pressure sensor.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에서의 지지면의 각도 및 형상을 자신의 체형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adjust the angle and shape of the support surface in the body support cushion structure according to his/her body shape as necessary.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를 장시간 자세 변환 없이 사용함에 따른 욕창 발생 등의 위험을 미리 감지하고 이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and prevent the risk of bedsores caused by using the body support cushion structure for a long time without posture chang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응급 상태시에 적절한 구호 조치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ort appropriate relief measures in case of an emergency situation of a user who uses the body support cushion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의 사시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 support cushion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shion structure for body suppo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cushion structure for body suppor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100)는 본체부(110), 및 조절구(120)를 포함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shion structure for body suppo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cushion structure 100 for body suppo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110 and an adjustment device 120.

본체부(110)는 고탄력 스펀지, 우레탄, 고무 블록 등의 탄성 재료로 제작되며, 사용자가 등, 어깨, 다리 등의 신체 부위를 기댈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body portion 11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high-elastic sponge, urethane, and rubber block, and perform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user's body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lean on the body portion such as the back, shoulders, and legs.

조절구(120)는 본체부(110)의 외부면으로부터 본체부(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본체부(11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조절구(120)는 본체부(110)에 삽입하거나 본체부(11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본체부(110)의 지지면의 형상 또는 각도를 사용 환경 및 자신의 체형에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adjuster 120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portion 110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terior of the body portion 110. The user can adjust the shape or angle of the support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o suit the use environment and his or her body shape by inserting the adjuster 120 into the main body unit 110 or separating it from the main body unit 110 as necessary. You will be able to.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조절구(120)는 본체부(110)와 동일한 탄성 재료로 제작함이 바람직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referable that the adjusting device 120 is made of the same elastic material as the body portion 110.

조절구(120)는 본체부(110)에서의 각각의 외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구(120)를 본체부(110)에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100)를 필요한 형상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At least one adjustment device 120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user may optionally couple the adjustment device 120 to the main body 110 as needed. According to the body support cushion structure 100 can be transformed into a required shape and used.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조절구(120)를 본체부(11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본체부(110)에 기대는 경우에 본체부(110)에서의 조절구(120)가 제거된 공간이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함몰됨으로써, 본체부(110)에서의 사용자를 지지하는 지지면의 경사 각도가 변형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보다 적합한 형상으로 본체부(110)가 변형 조절되게 된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leans against the main body 110 in a state in which the adjuster 12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0 as necessary, the space in which the adjuster 120 is removed from the main body 110 By being depressed by the pressure applied by the user's body par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upport surface supporting the user in the body part 110 is deformed, so that the body part 110 is transformed into a shape more suitable for the user's body shape. It will be.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1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100)에서와 동일한 설치 구조와 기능을 갖는 본체부(110), 및 조절구(120)를 포함하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100)에서의 조절구(120)는 순차적으로 적층 결합되는 복수의 조절 모듈(120-1,..,120-4)로 이루어져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shion structure for supporting a bod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body support cushion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installation structure and function as in the body support cushion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adjustment member 120, the adjustment member 120 in the body support cushion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adjustment modules that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coupled It consists of (120-1,..,120-4).

그에 따라,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조절 모듈(120-1,..,120-4)의 전부 또는 일부만을 본체부(11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자신의 체형에 적합한 형상으로 본체부(110)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separates all or part of the plurality of control modules 120-1,..,120-4 from the main body 110 as necessary, thereby forming the main body 110 in a shape suitable for their body shape. Can be adjusted.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100)의 내부에는 압력 센서(130), 제어부(150), 출력부(170), 및 통신부(190)가 구비된다.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cushion structure for body suppor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 pressure sensor 130, a control unit 150, an output unit 170, and a communication unit 190 are provided inside the cushion structure 100 for body suppor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압력 센서(130)는 본체부(110)의 내부에서의 각 지점별로 복수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부위를 본체부(110)에 기대는 경우에 각 지점별로 가해지는 압력값을 측정하고, 제어부(150)는 복수의 압력 센서(130)로부터 수신되는 압력값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신체의 위험 상태 여부를 판단한다.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130 are installed for each point in the body part 110, and when the user leans his or her body part on the body part 110, the pressure value applied for each point is measured. Then,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body is in a dangerous state based on the pressure value measure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130.

구체적으로, 정상적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100)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간헐적으로 신체를 움직임에 따라 복수의 압력 센서(130)가 측정하는 압력값은 지속적으로 변동된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uses the body support cushion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normal state, the pressure values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130 continuously fluctuate as the user intermittently moves the body. do.

그러나, 거동이 불편한 상태에 있는 환자는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100)를 사용하는 동안 비교적 장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복수의 압력 센서(130)가 측정하는 압력값은 변동되지 않고 각각 일정한 압력값을 유지하게 된다.However, a patient in a state of discomfort may not move for a relatively long time while using the body support cushion structure 100, and in this case, the pressure values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130 do not change. Each maintains a constant pressure value.

이에 제어부(150)는 복수의 압력 센서(130)로부터 수신되는 압력값이 소정의 제1 기준 시간(예를 들면, 30분) 이상 각각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에 본체부(110)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신체 부위에서의 욕창 발생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자세를 바꿔 주세요' 등의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메시지를 스피커 등의 출력부(170)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50 is supported by the main body 110 when the pressure value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130 are kept constant for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time (eg, 30 minutes) or mor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isk of bedsores in the body part, and a notification message such as'Please change your posture'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notification message is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an output unit 170 such as a speaker.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서의 욕창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어부(150)는 복수의 압력 센서(130)로부터 수신되는 압력값이 소정의 제1 기준 시간(예를 들면, 30분) 이상 각각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에 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진동용 모터(미도시)를 구동시킴으로써 본체부(110)와 밀착되어 있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서의 압력이 일시적으로 해소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bedsores in the user's body part,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the pressure value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130 at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time (for example, , 30 minutes) or more), by driving a vibration motor (not shown)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the pressure in the body part of the user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110 It could be temporarily resolved.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서의 욕창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어부(150)는 복수의 압력 센서(130)로부터 수신되는 압력값이 소정의 제1 기준 시간(예를 들면, 30분) 이상 각각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에 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 펌프(미도시)를 진동용 모터와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본체부(110)와 밀착되어 있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통기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밀착 부위에서의 압력이 일시적으로 해소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bedsores in the user's body part,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the pressure value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130 at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time (for example, , 30 minutes) or more, when each is kept constant, the user who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110 by driving an air pump (not shown)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together with a vibration motor or separately By allowing air to be supplied to the body part of the body, breathability may be ensured, and the pressure in the close contact area may be temporarily relieved.

한편, 제어부(150)가 상기와 같은 욕창 방지를 위한 동작을 실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복수의 압력 센서(130)로부터 수신되는 압력값이 소정의 제2 기준 시간(예를 들면, 60분) 이상 각각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에 제어부(150)는 노약자 등의 사용자가가 의식이 없는 위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노약자가 장시간 움직임이 없으니 현장으로 출동해주세요' 등과 같은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the control unit 150 has performed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for preventing bedsores, the pressure value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130 are at least a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time (eg, 60 minutes), respectively. When it is kept constant, the control unit 15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such as the elderly, is in an unconscious risk state, and may generate a notification message such as'Please go to the site because the elderly are not moving for a long time'.

이에 따라, 통신부(190)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노약자의 보호자가 소지하고 있는 무선 통신 단말기인 보호자 단말기 또는 의료 센터의 서버에 송신함으로써 노약자에 대한 긴급한 구호 조치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unit 190 can support urgent relief measures for the elderly by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guardian terminal, which i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possessed by the guardian of the elderly or a server of a medical center.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and appl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application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y belong, as well as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 110: 본체부,
120: 조절구, 130: 압력 센서,
150: 제어부, 170: 출력부,
190: 통신부.

100: body support cushion structure, 110: main body,
120: regulator, 130: pressure sensor,
150: control unit, 170: output unit,
190: Ministry of Communications.

Claims (2)

사용자가 신체를 기댈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지지하는 본체부(110); 및
상기 본체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110)의 지지면의 형상 또는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구(120)
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구(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외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조절구(120)가 상기 본체부(110)의 외부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상기 본체부(110)의 외부면에서 상기 조절구(120)가 제거된 공간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함몰됨으로써, 상기 본체부(110)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지지하는 지지면의 경사 각도가 변형되며,
상기 조절구(120)는 상기 본체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조절 모듈(120-1), 상기 제1 조절 모듈(120-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조절 모듈(120-1)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제2 조절 모듈(120-2) 및 상기 제2 조절 모듈(120-3)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제3 조절 모듈(120-3)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10)의 형상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 조절 모듈(120-1), 상기 제2 조절 모듈(120-2) 및 상기 제3 조절 모듈(120-3)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일부가 상기 조절구(1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인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
A body part 110 supporting the user's body part so that the user can lean on the body; And
Adjuster 1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10 to adjust the shape or angle of the suppor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Including,
The adjuster 120 is inserted and installed into the body part 110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110,
When the adjuster 120 is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he space from which the adjuster 120 is remov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is applied by the body part of the user. By being depressed by the losing pressur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upport surface supporting the body part of the user in the main body 110 is changed,
The adjuster 120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adjustment module 120-1 and the first adjustment module 120-1, which ar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110, and the first adjustment module ( A second adjustment module 120-2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120-1) and a third adjustment module 120-3 detachably inserted and installed within the second adjustment module 120-3 ), and
In order to adjust the shape of the main body 110, a part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first control module 120-1, the second control module 120-2, and the third control module 120-3 A cushion structure for body support that is separated from the adjuster 1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 모듈(120-1), 상기 제2 조절 모듈(120-2) 및 상기 제3 조절 모듈(120-3)은 적층 결합되는 것인 포함하는 것인 신체 지지용 쿠션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djustment module (120-1), the second adjustment module (120-2) and the third adjustment module (120-3) is a body support cushion structure comprising a laminated bond.
KR1020190004676A 2019-01-14 2019-01-14 Body Supporting Cushion Structure KR1022194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676A KR102219493B1 (en) 2019-01-14 2019-01-14 Body Supporting Cushio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676A KR102219493B1 (en) 2019-01-14 2019-01-14 Body Supporting Cushion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103A KR20200088103A (en) 2020-07-22
KR102219493B1 true KR102219493B1 (en) 2021-02-24

Family

ID=7189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676A KR102219493B1 (en) 2019-01-14 2019-01-14 Body Supporting Cushion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49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583B1 (en) * 2020-07-21 2023-07-07 조승만 Automatic posture change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760B2 (en) * 1997-04-08 2000-11-13 工業技術院長 Gas diffusion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073713A (en) * 2002-08-22 2004-03-11 Molten Corp Mat for chair
JP2009261512A (en) * 2008-04-23 2009-11-12 Ceremo:Kk Pillow and pillow se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760U (en) * 2004-11-16 2005-04-28 明輝 徐 Combined pressure release engineering pillow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760B2 (en) * 1997-04-08 2000-11-13 工業技術院長 Gas diffusion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073713A (en) * 2002-08-22 2004-03-11 Molten Corp Mat for chair
JP2009261512A (en) * 2008-04-23 2009-11-12 Ceremo:Kk Pillow and pillow 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103A (en)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76343B1 (en) Technique for controlling equipment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US9655762B2 (en) Trunk supporting exoskeleton and method of use
US20140378882A1 (en) Trunk Supporting Exoskeleton and Method of Use
US11266353B2 (en) Support system and method
US20130231596A1 (en) Sequential compression therapy compliance monitoring systems & methods
US20210244190A1 (en) Chair assemblies, systems, and apparatuses having integrated technologies, and related methods
KR101865204B1 (en) Sitting-mat for performing a sitting posture correction and chair including the same
KR102219493B1 (en) Body Supporting Cushion Structure
KR20170002727U (en)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WO2020122135A1 (en) Biological sensor and vehicle seat
CN105725559A (en) Intelligent long-time sitting prevention office chair
JP2020509970A (en) Self-adjusting vehicle seat
KR20160111077A (en) Feedback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posture
KR20230040964A (en) Mattress assembly comprising oscillator
EP1329207A3 (en) Absorbent article
DE10342823A1 (en) Implanted prosthesis seat check has two axis acceleration sensor with wireless data transmission to telemedicine centre to determine movement relative to bone
KR101423423B1 (en) Power seat
JP2008253570A (en) Biological information sensor, bed apparatus, and seat device
WO2018149833A1 (en) System for correcting shoulder alignment, assembly of a system and a further processing device,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CN117100224A (en) Sleep detection method, intelligent bedding product and storage medium
KR102262393B1 (en) wheelchair with bedsore monitoring apparatus
KR20170069423A (en) Wheel chair having fall alarming function
US20220151395A1 (en) Smart Chair
US20160038035A1 (en) Method for acquiring dynamic information of living body and applications thereof
JP2010069020A (en) Biological information detecting body, bed device and sea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