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174B1 - 안전성이 확보된 튜브형 보트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확보된 튜브형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174B1
KR102218174B1 KR1020200124721A KR20200124721A KR102218174B1 KR 102218174 B1 KR102218174 B1 KR 102218174B1 KR 1020200124721 A KR1020200124721 A KR 1020200124721A KR 20200124721 A KR20200124721 A KR 20200124721A KR 102218174 B1 KR102218174 B1 KR 102218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ody
deck
bottom layer
boat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코
Priority to KR1020200124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63B34/52Inflatable or partly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63B34/565Accessories, e.g. sticks for water wal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5Accessories or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seats, sailing kits, mot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이 확보된 튜브형 보트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2개의 내부공기실을 갖는 튜브몸체와, 상기 튜브몸체의 바닥면 상호 간 이격되게 배치되게 고정되는 제1,2바닥층을 통해 보트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더불어 튜브몸체의 제1바닥층에 안착되는 데크플레이트를 3등분으로 분할시켜 분해조립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분할되는 데크플레이트를 레일프레임으로 고정하고, 상기 레일프레임은 접이식의자를 슬라이딩 안착시켜 레일프레임 상에서 접이식의자의 위치를 손쉽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성이 확보된 튜브형 보트{TUBULAR BOAT WITH SECURED SAFETY}
본 발명은 안전성이 확보된 튜브형 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내부공기실을 갖는 튜브몸체와, 상기 튜브몸체의 바닥면 상호 간 이격되게 배치되게 고정되는 제1,2바닥층을 통해 보트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더불어 튜브몸체의 제1바닥층에 안착되는 데크플레이트를 3등분으로 분할시켜 분해조립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분할되는 데크플레이트를 레일프레임으로 고정하고, 상기 레일프레임은 접이식의자를 슬라이딩 안착시켜 레일프레임 상에서 접이식의자의 위치를 손쉽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안전성이 확보된 튜브형 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트란, 노 등을 이용한 인력에 의해 추진되거나 모터 등의 내연기관에 의해 추진되는 소형 배를 말하는 것으로써, 수송 또는 낚시 등을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수상 레저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수상 레저용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이러한 보트는 부피 및 무게가 상당하여 운반이 까다롭고 보관에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이식 또는 분리형으로 구성되는 보트에 관한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2593호의 "휴대용 보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74424호의 "휴대용 접이식 보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6524호의 "운반이 편리한 접이식 보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4396호의 "노를 구비한 접이식 보트"가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2593호의 "휴대용 보트"에는 선수 부분인 전반부와 선미 부분인 후반부에 나누어 제작하고, 선미 보강패널을 횡 방향으로 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나사대신 안전핀으로 의자패널과 선미 보강패널 등을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보트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74424호의 "휴대용 접이식 보트"에는 총 중량이 10㎏ 미만이며 사용 후 접었을 때 부피가 10분의 1로 줄어들어 휴대가 가능한 보트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6524호의 "운반이 편리한 접이식 보트"에는 선수 부분이 선미 부분의 내부 수용 공간에 수납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이 절약될 수 있고 잦은 해체 및 조립에 따른 부품 손실과 부품 자체의 손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보트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4396호의 "노를 구비한 접이식 보트"에는 접이식으로 구성된 보트몸체의 앞부분 및 뒷부분이 보트몸체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콤팩트한 크기를 가짐으로써 보관 및 이동시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보트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운반 또는 보관을 위한 부피의 감소 효과가 미미하거나 조립이 복잡하여 분해 또는 조립 과정에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으며, 안전을 위해 보트가 손상된다 하더라도 부력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259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7442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652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439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2개의 내부공기실을 갖는 튜브몸체와, 상기 튜브몸체의 바닥면 상호 간 이격되게 배치되게 고정되는 제1,2바닥층을 통해 보트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성이 확보된 튜브형 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튜브몸체의 제1바닥층에 안착되는 데크플레이트를 3등분으로 분할시켜 분해조립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분할되는 데크플레이트를 레일프레임으로 고정하고, 상기 레일프레임은 접이식의자를 슬라이딩 안착시켜 레일프레임 상에서 접이식의자의 위치를 손쉽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안전성이 확보된 튜브형 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발명은, 안전성이 확보된 튜브형 보트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호 간 이격되게 일체로 접합되는 제1,2바닥층을 갖는 도너츠 형태의 튜브몸체;와,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탑승할 수 있도록 상기 튜브몸체의 제1바닥층에 안착되는 데크플레이트; 및 접이식의자의 위치를 가변시켜 고정하기 위해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한쌍의 레일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데크플레이트는 상기 제1바닥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튜브몸체의 내경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되 분해 조립을 용이하도록 중앙데크와, 상기 중앙데크의 양측에 배치되는 윙데크로 분리구성되고, 상기 레일프레임은 중앙데크와 윙데크의 분리면에 결합되어 상기 중앙데크와 윙데크를 상호 간 연결시키고, 상기 튜브몸체는 전방 및 후방 내부로 격벽이 형성되어 2개의 내부공기실을 갖고, 상기 제2바닥층은 물의 저항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튜브몸체의 최하점에 접합되고, 상기 제1바닥층은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2바닥층에 대해 뜬 바닥 시공방식으로 상기 튜브몸체의 내경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튜브몸체 및 제1,2바닥층은 폴리에스터 메쉬층을 심재로 하여 양면에 발포성 PVC시트와, 타포린 PVC시트가 일체로 융착되어 인장강도와, 내한성과, 내열성과, 내구성과, 방수성이 향상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접이식의자는 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저면에는 높낮이가 조절되는 유압식 승강봉과, 상기 승강봉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각 레일프레임의 사이에 전/후 위치 이동이 가변되게 슬라이딩 안착되는 이동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프레임은 튜브몸체의 진행이 용이하게 무게가 타측으로 편중되도록 배터리거치대가 더 고정되되, 상기 각 레일프레임은 상기 접이식의자의 이동플레이트와, 배터리거치대를 슬라이딩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둘레에는 "⊃" 형태로 상향 만곡된 다수의 러버부재가 더 결합되되, 상기 각 러버부재는 튜브몸체의 내경 하부면과 제1바닥층의 사이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데크플레이트의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가 튜브몸체 및 제1바닥층과의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튜브몸체와 제1바닥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각 레일프레임은 윙데크를 결합면을 삽입시켜 고정하는 보조프레임이 내부에 중첩되어 손잡이볼트와 너트를 통해 일체로 고정되고, 하부에 연장되는 지지부가 상기 중앙데크와 결합피스와 너트를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확보된 튜브형 보트에 따르면, 2개의 내부공기실을 갖는 튜브몸체를 통해 어느 하나의 내부공기실이 파손된다 하더라도 다른 하나의 내부공기실을 통해 부력을 유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튜브몸체의 바닥면 상호 간 이격되게 배치되게 고정되는 제1,2바닥층을 통해 보트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튜브몸체의 제1바닥층에 안착되는 데크플레이트를 3등분으로 분할시켜 분해조립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분할되는 데크플레이트를 레일프레임으로 고정하고, 상기 레일프레임은 접이식의자를 슬라이딩 안착시켜 레일프레임 상에서 접이식의자의 위치를 손쉽게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확보된 튜브형 보트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튜브몸체의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몸체와, 제1바닥층 및 제2바닥층의 재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1에서 튜브몸체에서 분리된 데크플레이트와, 레일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1의 배터리거치대에 배터리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사진,
도 8은 도 1의 종단면도,
도 9은 도 1에서 닻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사진,
도 10은 도 1에서 전기모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사진,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확보된 튜브형 보트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확보된 튜브형 보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튜브몸체의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몸체와, 제1바닥층 및 제2바닥층의 재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에서 튜브몸체에서 분리된 데크플레이트와, 레일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배터리거치대에 배터리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사진이고, 도 8은 도 1의 종단면도이고, 도 9은 도 1에서 닻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사진이고, 도 10은 도 1에서 전기모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개의 내부공기실을 갖는 튜브몸체와, 상기 튜브몸체의 바닥면 상호 간 이격되게 배치되게 고정되는 제1,2바닥층을 통해 보트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더불어 튜브몸체의 제1바닥층에 안착되는 데크플레이트를 3등분으로 분할시켜 분해조립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분할되는 데크플레이트를 레일프레임으로 고정하고, 상기 레일프레임은 접이식의자를 슬라이딩 안착시켜 레일프레임 상에서 접이식의자의 위치를 손쉽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안전성이 확보된 튜브형 보트(5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전성이 확보된 튜브형 보트(500)는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튜브몸체(100)와 데크플레이트(200)와, 레일프레임(300) 및 접이식의자(400)로 구성된다.
상기 튜브몸체(100)는 도너츠 형태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호 간 이격되게 일체로 접합되는 제1,2바닥층(120,130)을 갖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제2바닥층(130)은 도 3과 같이, 물의 저항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튜브몸체(100)의 최하점에 접합되고, 상기 제1바닥층(120)은 제2바닥층(130)과 뜬 바닥 시공방식으로 상기 튜브몸체(100)의 내경에 높이차를 두고 접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제1,2바닥층(120,130)의 구성은 제2바닥층(130)이 손상된다 하더라도, 제1바닥층(120)을 통해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할 수 있으며, 이는 제2바닥층(130)이 돌이나 나무와 같은 이물질에 의해 파손된다 하더라도, 제1바닥층(120)이 동시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구조이다.
그리고 제1,2바닥층(120,130)은 40mm ~ 60mm 정도의 이격차를 갖는 것으로, 40mm 이하일 경우에는 제1,2바닥층(120,130)의 거리가 가까워 동시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60mm 이상의 경우에는 제1바닥층(120)에 결합된 접이식의자(400)의 무게 중심 상승으로 인해 튜브몸체(100)가 뒤집힐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아울러 상기 튜브몸체(100) 및 제1,2바닥층(120,130)은 도 4와 같이, 폴리에스터 메쉬층(100a)을 심재로 하여 양면에 발포성 PVC시트(100b)와, 타포린 PVC시트(100c)가 일체로 접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쉬층(100a)은 인장강도를 증대시키고, 발포성 PVC시트(100b)는 내한성과 내화학성을 증대시키고, 타포린 PVC시트(100c)는 방수성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튜브몸체(100)는 도 3의 (a)와 같이, 전방 및 후방 내부로 격벽(112)이 형성되어 2개의 내부공기실(110)을 갖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튜브 몸체(100)는 상부면에 각 내부공기실(110)로 공기를 공급하는 복수의 공기주입구(111)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내부공기실(110)의 공기가 배출된다 하더라도 다른 하나의 내부공기실(110)의 부력이 유지되어 수장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외에 상기 튜브몸체(100)는 선택적으로 내부공기실(110)은 3,4개로 분할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튜브몸체(100)의 둘레에는 다수의 구명손잡이(180)가 더 결합되어 있어, 유사시 보트를 구명보트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루한 구명손잡이(180)는 튜브몸체(100)를 이동시킬 때 이동손잡이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데크플레이트(200)는 상기 튜브몸체(100)의 제1바닥층(120)에 안착되어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탑승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데크플레이트(200)의 둘레에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 형태로 성형된 다수의 러버부재(210)가 끼움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각 러버부재(210)는 도 8과 같이, 튜브몸체(100)의 내경 하부면과 제1바닥층(120)의 사이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데크플레이트(200)의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200)가 튜브몸체(100) 및 제1바닥층(120)과의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튜브몸체(100)와 제1바닥층(1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한편 상기 데크플레이트(200)는 상기 제1바닥층(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튜브몸체(100)의 내경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상기 데크플레이트(200)는 이동 및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중앙데크(220)와, 상기 중앙데크(220)의 양측에 배치되는 윙데크(230)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2개의 윙데크(230)와 중앙데크(220)로 분리된 데크플레이트(200)는 물렁한 제1바닥층(120)에 밀착된다 하더라도, 탑승하는 사람의 하중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부가적인 기능을 겸한다.
아울러 분리된 중앙데크(220)와 윙데크(230)를 상호 간 연결하고, 상기 접이식의자(400)를 슬라이딩 결합시켜 가이드하는 것이 한쌍의 레일프레임(300)이다.
여기서 상기 각 레일프레임(300)은 윙데크(230)를 결합면을 삽입시켜 고정하는 보조프레임(310)이 내부에 중첩되어 손잡이볼트(B)와 너트(N)를 통해 일체로 고정되고, 하부에 연장되는 지지부(300a) 역시 결합피스(B)와 너트(N)를 통해 상기 중앙데크(220)를 고정하는 구성이다.
이 때 상기 보조프레임(310)역시 윙데크(230)와 별도의 결합피스(B)와 너트(N)를 통해 일체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레일프레임(300)은 보조프레임(310)을 매개로 상기 윙데크(230)를 고정하고, 또한 상기 지지부(300a)를 매개로 중앙데크(220)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레일프레임(300)은 도 8과 같이, 중앙데크(220)와 윙데크(230)의 분리면에 결합되어 상기 중앙데크(220)와 윙데크(230)를 상호 간 연결시키는 1차적인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레일프레임은 상기 접이식의자(400)를 슬라이딩 안착시켜 지지하는 2차적인 기능을 겸한다.
여기서 상기 접이식의자(400)는 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저면에는 높낮이가 조절되는 유압식 승강봉(410)과, 상기 승강봉(4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각 레일프레임(300)의 사이에 전/후 위치 이동이 가변되게 슬라이딩 안착되는 이동플레이트(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된 이동플레이트(420)는 상기 상기 레일프레임(300)의 상부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300b)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접이식의자(400)는 이동플레이트(420)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손잡이볼트(B)와, 상기 가이드레일(300b)의 내부에 슬라이딩 결합된 상태로 상기 손잡이볼트(B)와 체결되는 스프링너트(SN)에 의해 전/후 위치가 슬라이딩 이송에 의해 가변되며, 상기 스프링너트(SN)에 대한 손잡이볼트(B)의 조임력에 의해 레일프레임(300)에 가압 고정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레일프레임(300)은 도 7과 같이, 튜브몸체(100)의 진행이 용이하게 무게가 타측으로 편중되도록 배터리(321)를 고정하기 위한 배터리거치대(310)가 더 고정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배터리거치대(310)는 후술되는 전기모터(M)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기모터(M)는 도 10과 같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체(프로펠러)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거치대(320) 역시 손잡이볼트(B)와 레일프레임(300)의 가이드레일(300b)에 삽입된 스프링너트(SN)에 의해 위치를 가변시켜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튜브몸체(100)의 상부면 양측에는 각각 한쌍의 손잡이마운트(140)가 더 고정되고, 상기 각 손잡이마운트(140)에는 안전손잡이봉(141)이 직립되게 결합되어 접이식의자(400)에 착석한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몸체(100)의 상부면 양측에는 노(151)를 수윙하가 위한 힌지부(150a)와, 상기 힌지부(150a)에 힌지결합된 노(151)를 고정하기 위한 노끼움부(150b)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상기 튜브몸체(100)의 일측에는 닻(162)에 연결된 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닻고정마운트(160)와, 상기 닻(162)과 연결된 와이어를 가이드하기 위한 닻가이드(16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과 같이, 상기 튜브몸체(100)의 타측에는 전기모터(M)를 거치기 위한 복수의 모터고정마운트(170)를 더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전기모터(M)를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튜브몸체 100a: 메쉬층 100b: 발포성 PVC시트
100c: 타포린 PVC시트 110: 내부공기실
111: 공기주입구 112: 격벽
120: 제1바닥층 130: 제2바닥층
140: 손잡이마운트 141: 안전손잡이봉
150a: 힌지부 150b: 노끼움부
151: 노 160: 닻고정마운트
161: 닻가이드 162: 닻
170: 모터고정마운트 180: 구명손잡이
200: 데크플레이트 210: 러버부재 220: 중앙데크
230: 윙데크
300: 레일프레임 300a: 지지부 300b: 가이드레일
310: 보조프레임 320: 배터리거치대
321: 배터리
400: 접이식의자 410: 승강봉 420: 이동플레이트
B: 손잡이볼트, 결합피스 N: 너트 M: 전기모터
SN: 스프링너트
500: 안전성이 확보된 보트

Claims (5)

  1.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호 간 이격되게 일체로 접합되는 제1,2바닥층(120,130)을 갖는 도너츠 형태의 튜브몸체(100);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탑승할 수 있도록 상기 튜브몸체(100)의 제1바닥층(120)에 안착되는 데크플레이트(200); 및
    접이식의자(400)의 위치를 가변시켜 고정하기 위해 상기 데크플레이트(200)에 고정되는 한쌍의 레일프레임(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데크플레이트(200)는 상기 제1바닥층(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튜브몸체(100)의 내경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되 분해 조립을 용이하도록 중앙데크(220)와, 상기 중앙데크(220)의 양측에 배치되는 윙데크(230)로 분리구성되고,
    상기 레일프레임(300)은 중앙데크(220)와 윙데크(230)의 분리면에 결합되어 상기 중앙데크(220)와 윙데크(230)를 상호 간 연결시키고,
    상기 튜브몸체(100)는 전방 및 후방 내부로 격벽(112)이 형성되어 2개의 내부공기실(110)을 갖고,
    상기 제2바닥층(130)은 물의 저항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튜브몸체(100)의 최하점에 접합되고,
    상기 제1바닥층(120)은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2바닥층(130)에 대해 뜬 바닥 시공방식으로 상기 튜브몸체(100)의 내경에 접합되되,
    상기 튜브몸체(100) 및 제1,2바닥층(120,130)은 폴리에스터 메쉬층(100a)을 심재로 하여 양면에 발포성 PVC시트(100b)와, 타포린 PVC시트(100c)가 일체로 융착되어 인장강도와, 내한성과, 내열성과, 내구성과, 방수성이 향상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확보된 튜브형 보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의자(400)는 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저면에는 높낮이가 조절되는 유압식 승강봉(410)과, 상기 승강봉(4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각 레일프레임(300)의 사이에 전/후 위치 이동이 가변되게 밀착 결합되는 이동플레이트(4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프레임(300)은 튜브몸체(100)의 진행이 용이하게 무게가 타측으로 편중되도록 배터리를 고정할 수 있는 배터리거치대(310)가 더 고정되되, 상기 접이식의자(400)의 이동플레이트(420)와, 배터리거치대(320)를 슬라이딩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300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확보된 튜브형 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200)의 둘레에는 "⊃" 형태로 상향 만곡된 다수의 러버부재(210)가 더 결합되되,
    상기 각 러버부재(210)는 튜브몸체(100)의 내경 하부면과 제1바닥층(120)의 사이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데크플레이트(200)의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200)가 튜브몸체(100) 및 제1바닥층(120)과의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튜브몸체(100)와 제1바닥층(1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확보된 튜브형 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레일프레임(300)은 윙데크(230)를 결합면을 삽입시켜 고정하는 보조프레임(310)이 내부에 중첩되어 손잡이볼트(B)와 너트(N)를 통해 일체로 고정되고, 하부에 연장되는 지지부(300a)가 상기 중앙데크(220)와 결합피스(B)와 너트(N)를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확보된 튜브형 보트.
KR1020200124721A 2020-09-25 2020-09-25 안전성이 확보된 튜브형 보트 KR102218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721A KR102218174B1 (ko) 2020-09-25 2020-09-25 안전성이 확보된 튜브형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721A KR102218174B1 (ko) 2020-09-25 2020-09-25 안전성이 확보된 튜브형 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174B1 true KR102218174B1 (ko) 2021-02-23

Family

ID=74688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721A KR102218174B1 (ko) 2020-09-25 2020-09-25 안전성이 확보된 튜브형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17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9385A (ja) * 1984-03-01 1985-10-21 インタミン・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浮遊乗物
KR19980015322U (ko) * 1996-09-09 1998-06-25 김상헌 안전한 물놀이 튜브
KR200352593Y1 (ko) 2004-02-17 2004-06-09 박익서 휴대용 보트.
KR20080074424A (ko) 2007-02-09 2008-08-13 신병철 휴대용 접이식 보트
KR20120006379U (ko) * 2011-03-07 2012-09-17 위니코니 주식회사 물놀이 기구
KR20120126524A (ko) 2011-05-12 2012-11-21 박형규 운반이 편리한 접이식 보트
KR20140026911A (ko) * 2012-08-24 2014-03-0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형 수상보트
KR101564396B1 (ko) 2015-03-20 2015-10-30 홍승길 노를 구비한 접이식 보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9385A (ja) * 1984-03-01 1985-10-21 インタミン・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浮遊乗物
KR19980015322U (ko) * 1996-09-09 1998-06-25 김상헌 안전한 물놀이 튜브
KR200352593Y1 (ko) 2004-02-17 2004-06-09 박익서 휴대용 보트.
KR20080074424A (ko) 2007-02-09 2008-08-13 신병철 휴대용 접이식 보트
KR20120006379U (ko) * 2011-03-07 2012-09-17 위니코니 주식회사 물놀이 기구
KR20120126524A (ko) 2011-05-12 2012-11-21 박형규 운반이 편리한 접이식 보트
KR20140026911A (ko) * 2012-08-24 2014-03-0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형 수상보트
KR101564396B1 (ko) 2015-03-20 2015-10-30 홍승길 노를 구비한 접이식 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8985B2 (en) Unitary twin pontoon hull float boat
US6640741B1 (en) Pontoon watercraft integrated load distribution system
US9969226B2 (en) Convertible electric bike and board apparatus
CA2263614C (en) Dual hull kayak
US5964178A (en) Collapsible boat with enhanced rigidity and multi-function chair
EP0158640A1 (en) Watercraft stabilizer flotation structure
US20070283869A1 (en) Pontoon boat
US2334072A (en) Collapsible boat
US8789487B2 (en) Personal watercraft
US8132523B2 (en) Portable, single-person pontoon boat, kit and method
WO2016144852A1 (en) Modular personal watercraft hull, steering, control, and seating systems
US6539889B2 (en) Frame, inflatable skin and watercraft formed from same
US6892666B1 (en) Watercraft suspension
US9517824B1 (en) Watercraft
US5013270A (en) River raft
KR102218174B1 (ko) 안전성이 확보된 튜브형 보트
CA2052741C (en) Car topable catamaran with collapsible frame and universal tiller/rudder-mast daggerbaord mounting constructions
US7610870B1 (en) Interlocking platform boats
US5615634A (en) Collapsible boat with enhanced rigidity
JP2018177173A (ja) 多胴船
US5826533A (en) Twin-hulled boat
US5878682A (en) Watercraft and hull systems
US5058522A (en) Portable personal floatation device
KR20060134556A (ko) 조립식 보트
US20020134296A1 (en) Attachment for increasing seaworthiness and utility of inflatable bo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