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837B1 -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7837B1 KR102217837B1 KR1020200080257A KR20200080257A KR102217837B1 KR 102217837 B1 KR102217837 B1 KR 102217837B1 KR 1020200080257 A KR1020200080257 A KR 1020200080257A KR 20200080257 A KR20200080257 A KR 20200080257A KR 102217837 B1 KR102217837 B1 KR 1022178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blocking plate
- rotation shaft
- deposition blocking
- sedi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E02B3/023—Removing sedi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안과 인접한 해저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0)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복수 개의 브래킷(200)이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브래킷(200)의 상단부에는 삽입공(210)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210)을 관통하여서는 바닷물이 유출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축(3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300)에는 복수 개의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의 타단은 바닷물이 유출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퇴척 차단 플레이트(400)의 타단은 바닷물이 빠져나갈 때는 유속에 의해 밀려 기립하고, 바닷물이 밀려 들어올 때는 일단 및 타단이 해저면과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할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구동부를 구비할 필요 없이 더욱 간단한 구성만으로 토사의 유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퇴적 차단 플레이트가 해안으로부터 외해방향으로 빠져나가는 모래의 이동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특히, 해수욕장 인근에서 강구조물 건설시 또는 양빈시 비사로 인한 모래의 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구동부를 구비할 필요 없이 바닷물에 의해 밀려 자동으로 기립하여 항만 내에 토사 및 이물질 등의 퇴적물이 쌓이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는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며, 해안의 모래 등 토사가 이동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는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만은 방파제 또는 안벽과 같은 해상 시설을 통해 외해로부터 유입되는 파도를 차단하거나 조수간만의 차이에 따른 해수 이동의 자연현상을 인공적으로 조절하여 선박의 출입, 정박, 계류 또는 하역작업 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항만은 선박의 안전과 안정적인 정박을 위하여 항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로 인해 항내에 퇴적이 증대되는 환경이 조성될 수 밖에 없다. 특히, 우리나라 서해 및 남해안 지역과 같이 큰 조수간만의 차를 가지는 지역 특성 상 퇴적이 진행될 수 밖에 없는 환경이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퇴적 현상에 의해 항만의 기능이 저하되면 선박의 출입 및 정박, 계류 또는 하역작업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데, 항만은 국가사회간접자본시설로, 항만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국가에서 준설작업을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이와 같은 준설작업은 퇴적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이었으나, 임시방편인 것에 불과하고, 준설, 운반 및 처리 등에 막대한 비용이 발생된다는 점에서 국가의 큰 부담이 따르게 되며, 이미 퇴적이 진행된 항만에서는 대형선박이 조수 대기를 해야하는 등 이용이 불편한 상태이다.
한편, 동해안과 같은 해수욕장은 고파랑 등으로 인하여 해빈이 유실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해수욕장 인근에 강구조물(방파제, 이안제 등)을 건설 또는 양빈을 진행하게 된다. 강구조물 건설시 또는 양빈시 많은 비용이 발생되며, 비사로 인한 모래의 이동도 심각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만 및 해수욕장 등에서 토사(모래 등)가 퇴적 또는 침식되는 것을 저감하는 것과 동시에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바닷물이 항만을 향해 들어올 때는 신속하게 기립되면서 저층으로 유입되는 토사 및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폐할 수 있는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해수욕장 인근에서 강구조물 건설시 또는 양빈시 비사로 인한 모래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에 따르면, 해저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단부에 삽입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브래킷; 상기 삽입공을 관통하여 바닷물이 유출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일단은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닷물이 해안으로부터 외해로 유출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바닷물이 해안으로부터 외해로 빠져나갈 때는 타단이 유속에 의해 밀려 기립되고, 바닷물이 외해로부터 해안으로 밀려 들어올 때는 일단 및 타단이 해저지면과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복수 개의 퇴적 차단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할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는, 일단이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단이 해저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플레이트,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타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플레이트, 및 상기 경사 플레이트로부터 해저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경사 플레이트는 만곡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래킷의 삽입공 및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관통공의 내경은 상기 회전축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와 인접한 퇴적 차단 플레이트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는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의 일단의 전방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의 일단이 걸어져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는 해안으로부터 외해방향으로 빠져나가는 모래의 이동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는 해안가에서 바람으로 인한 모래의 날림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에 따르면, 바닷물이 항만측으로 밀려들어올 때는 그 힘으로 퇴적 차단 플레이트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신속하게 기립되어 저층으로 유입되는 토사 및 이물질 등의 퇴적물의 유입을 차폐하고, 바닷물이 다시 빠져나갈 때는 퇴적 차단 플레이트가 밀려나가는 물에 의해 원위치 된다. 따라서 별도의 구동부를 구비할 필요 없이 더욱 간단한 구성만으로 유입되는 토사 및 이물질 등 퇴적물의 유입을 용이하게 차폐할 수 있고, 특히,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에 따르면, 퇴적 차단 플레이트가 해안으로부터 외해방향으로 빠져나가는 모래의 이동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특히, 해수욕장 인근에서 강구조물 건설시 또는 양빈시 비사로 인한 모래의 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가 항만과 인접한 해저지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가 항만과 인접한 해저지면에 설치된 상태가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10)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0)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대략 판 형상으로, 항만과 인접한 해저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바닷물의 유속에 의해 밀려 내려가지 않도록 고정볼트 등에 의해 해저지면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자체 하중을 크게하여 유속에 의해 이동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재질은 염분에 견딜 수 있도록 코팅한 철판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아래에서 설명될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바닷물이 유입되는 방향과 밀려 나가는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양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토사나 이물질 등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복수 개의 브래킷(200)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래킷(20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브래킷(200)의 상단부에는 삽입공(21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210)은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축(30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공(210)의 내경은 회전축(3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토사 등이 상기 삽입공(210)과 회전축(300)의 사이에 유입되어 회전축(300)의 회전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되기 위함이다.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200)의 삽입공(210)에는 회전축(300)이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축(300)의 양단은 각각 상기 브래킷(200)의 삽입공(210)을 각각 관통하여 위치된다. 상기 회전축(300)은 바닷물이 유출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아래에서 설명될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300)의 양단에는 상기 삽입공(210)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공(210)보다 크게 형성되는 이탈방지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10)에는 복수 개의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가 구비된다.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3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바닷물이 유출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는 바닷물이 빠져나갈 때는 타단이 바닷물의 유속에 의해 밀려 기립되고, 바닷물이 유입될 때 즉, 밀려 들어올 때는 일단 및 타단이 해저지면과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할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타단이 바닷물의 유속에 의해 밀려 신속하게 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괴 동시에, 선박 등에 의해 타단이 접촉될 때 용이하게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는 토사 및 이물질 등 퇴적물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가 기립된 상태에서의 높이는 해저지면으로부터 대략 1.5 미터 이상 2m 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밀물 때의 깊이 등 주변 자연환경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에는 수평 플레이트(4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 플레이트(410)는 대략 판 형상으로, 해저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 플레이트(410)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해저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 플레이트(41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플레이트(410)의 일단에는 관통공(41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412)은 상기 수평 플레이트(410)의 일단이 상기 회전축(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전축(300)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수평 플레이트(410)의 타단에는 경사 플레이트(4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플레이트(410)가 해저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일 때, 상기 경사 플레이트(420)는 상기 수평 플레이트(410)의 타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 플레이트(420)는 바닷물이 밀려 들어올 때 유속에 의해 밀려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가 신속하게 기립될 수 있도록 힘을 받는 부분이다.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 플레이트(420)는 만곡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경사 플레이트(420)에 가해지는 힘이 어느 한 곳에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유속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함이다.
상기 경사 플레이트(420)에는 연장 플레이트(4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 플레이트(430)는 상기 경사 플레이트(420)로부터 해저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 플레이트(430)는 상기 경사 플레이트(420)와 함께 바닷물이 밀려 들어올 때 유속에 의해 밀려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가 신속하게 기립될 수 있도록 힘을 받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 플레이트(410), 경사 플레이트(420), 및 연장 플레이트(430)는 실리콘 재질로, 일체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수평 플레이트(410)로부터 연장 플레이트(430)를 향할 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타단이 바닷물의 유속에 의해 밀려 신속하게 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선박 등에 의해 연장 플레이트(430)가 접촉될 때 용이하게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선박에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는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는 실리콘 재질로, 상기 수평 플레이트(410), 경사 플레이트(420), 및 연장 플레이트(430)가 일체로 제작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유속에 따라 소재가 변경 가능하며, 상기 수평 플레이트(410)는 부식에 강한 소재, 예를 들어,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일반 FRP의 경우 비중이 철강 재료의 1/4 정도로 가볍고, 카본 섬유(CF)를 강화한 FRP의 경우 비중은 약 1.5로 더욱 가벼워, 뛰어난 기계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계 매트릭스의 내식성과 우수한 성형성을 갖고 있어, 바닷물에 직접 접촉하는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에 적합하다.
이때, 상기 경사 플레이트(420) 및 연장 플레이트(430)는 실리콘 재질로 일체로 제작되어 상기 수평 플레이트(410)와 요철(凹凸) 형상으로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의 타단, 즉, 상기 경사 플레이트(420) 및 연장 플레이트(430)이 선박 등 외력에 의해 손상되었을 경우,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상기 경사 플레이트(420) 및 연장 플레이트(430) 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되면, 제작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손상 시 교체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가 자중에 의해 해저지면과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바닷물의 유속에 의해 기립되는 것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부력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기립될 수 있도록 속이 빈 철판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경량이면서도 탄성 및 강도가 높은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EPP)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와 같은 발포수지 플라스틱류 또는 NBR(nitrile-butadiene rubber)과 같은 합성고무 등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소재가 취급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10)에는 스토퍼(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00)는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의 일단의 전방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500)는 기둥 형상으로, 복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00)는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의 일단, 즉, 상기 수평 플레이트(410)의 일단이 걸어져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의 회전 반경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스토퍼(500)는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5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돌출되게 구비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토퍼(500)는 와이어 형상으로,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의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의 회전 반경을 규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는 상기 회전축(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와 인접한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 사이에는 스페이서(6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00)는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600)는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메우고,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페이서(600)는 플라스틱(plastic)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 또는 합성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00)에는 고정부재(W)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W)는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W)의 일단은 상기 스페이서(6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유속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하나의 큰 판으로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닷물이 유입되는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복수 개의 레일(rail)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선 방향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브래킷(200)이 서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브래킷(200)을 관통하여서는 회전축(300)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회전축(300)에는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의 일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스토퍼(500')는 도 6을 기준으로,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의 일단의 전방과 대응되는 상기 브래킷(200)에 구비되어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의 회전을 규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가 인접한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와 서로 부딪치는 것이 방지되고, 복수 개의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 중 어느 하나를 수리해야 할 경우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는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는 서로 지그재그(zigzag)로 배열됨으로써, 인접한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 사이로 토사 및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만과 인접한 해상의 수위가 평상수위 즉, 바닷물이 밀려들어오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는 해저지면과 수평한 상태로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바닷물이 밀려 들어오기 시작하면,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의 경사 플레이트(420)의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작용하는 힘으로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는 상기 회전축(30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경사 플레이트(420)와 함께 상기 연장 플레이트(430)도 유속의 힘에 의해 밀려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가 신속하게 기립된다.
이와 같이,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는 별도의 구동부 없이도 신속하게 작동됨으로써, 토사 및 이물질 등이 퇴적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닷물이 외해 쪽으로 밀려나갈 때, 다시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가 밀려나가는 물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고, 쌓였던 토사 및 이물질 등은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의 상부 및 하부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항 내에 토사 및 이물질 등 퇴적물이 쌓이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는 항 내에 토사 및 이물질 등 퇴적물이 쌓이는 것이 방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를 반대방향으로 하여 해안가 또는 해수욕장 인근에서 강구조물을 건설 또는 양빈하려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400)가 해안으로부터 외해방향으로 빠져나가는 모래의 이동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해안가에서는 바람으로 인한 모래의 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
100: 베이스 플레이트
200: 브래킷 210: 삽입공
300: 회전축
400: 퇴적 차단 플레이트 410: 수평 플레이트
412: 관통공 420: 경사 플레이트
430: 연장 플레이트
500: 스토퍼
600: 스페이서
W: 고정부재
100: 베이스 플레이트
200: 브래킷 210: 삽입공
300: 회전축
400: 퇴적 차단 플레이트 410: 수평 플레이트
412: 관통공 420: 경사 플레이트
430: 연장 플레이트
500: 스토퍼
600: 스페이서
W: 고정부재
Claims (8)
- 해저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단부에 삽입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브래킷;
상기 삽입공을 관통하여 바닷물이 유출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일단은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닷물이 해안으로부터 외해로 유출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바닷물이 해안으로부터 외해로 빠져나갈 때는 타단이 유속에 의해 밀려 기립되고, 바닷물이 외해로부터 해안으로 밀려 들어올 때는 일단 및 타단이 해저지면과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복수 개의 퇴적 차단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할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는,
일단이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단이 해저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플레이트,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타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플레이트, 및
상기 경사 플레이트로부터 해저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플레이트는 만곡하게 형성되며,
상기 수평 플레이트로부터 연장 플레이트를 향할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사 플레이트 및 연장 플레이트는 일체로 제작되어 상기 수평 플레이트와 요철 형상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삽입공 및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관통공의 내경은 상기 회전축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와 인접한 퇴적 차단 플레이트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는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의 일단의 전방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의 일단이 걸어져 상기 퇴적 차단 플레이트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는 회전축이 상기 삽입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삽입공보다 크게 형성되는 이탈방지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스페이서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연결되어 유속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0257A KR102217837B1 (ko) | 2020-06-30 | 2020-06-30 |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0257A KR102217837B1 (ko) | 2020-06-30 | 2020-06-30 |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17837B1 true KR102217837B1 (ko) | 2021-02-19 |
Family
ID=74687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0257A KR102217837B1 (ko) | 2020-06-30 | 2020-06-30 |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783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0980B1 (ko) * | 2021-02-02 | 2021-06-04 | (주)지오시스템리서치 | 항만용 항내매몰 저감장치 |
KR102260981B1 (ko) * | 2021-02-02 | 2021-06-04 | (주)지오시스템리서치 | 모래사장용 모래날림 저감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50895B1 (ko) | 1999-10-12 | 2002-09-09 | 한국해양연구원 | 환경친화성 퇴적제어장치 |
JP2006342653A (ja) * | 2005-05-12 | 2006-12-21 | Norimasa Ozaki | 津波防波堤 |
JP2014058812A (ja) * | 2012-09-18 | 2014-04-03 | Ginjiro Onda | 浮遊式砂浜育成装置 |
KR101949499B1 (ko) * | 2018-07-03 | 2019-02-18 | 주식회사 나라에너지 | 수력도약을 이용한 해안의 침식 및 모래 유실 방지장치 |
-
2020
- 2020-06-30 KR KR1020200080257A patent/KR10221783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50895B1 (ko) | 1999-10-12 | 2002-09-09 | 한국해양연구원 | 환경친화성 퇴적제어장치 |
JP2006342653A (ja) * | 2005-05-12 | 2006-12-21 | Norimasa Ozaki | 津波防波堤 |
JP2014058812A (ja) * | 2012-09-18 | 2014-04-03 | Ginjiro Onda | 浮遊式砂浜育成装置 |
KR101949499B1 (ko) * | 2018-07-03 | 2019-02-18 | 주식회사 나라에너지 | 수력도약을 이용한 해안의 침식 및 모래 유실 방지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0980B1 (ko) * | 2021-02-02 | 2021-06-04 | (주)지오시스템리서치 | 항만용 항내매몰 저감장치 |
KR102260981B1 (ko) * | 2021-02-02 | 2021-06-04 | (주)지오시스템리서치 | 모래사장용 모래날림 저감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17837B1 (ko) | 퇴적물이동 저감 장치 | |
US9963847B2 (en) | Wave attenuation system and method | |
JP5893408B2 (ja) | 海底設置基礎又は離岸風力タービンパイルからなる海洋構造物の周辺の海底の侵食を抑制又は低減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 |
US8287208B2 (en) | Wave attenuation systems | |
CN114207218B (zh) | 浮动式防波堤结构 | |
US20090154996A1 (en) | Shoreline and Coastal Protection and Rebuilding Apparatus and Method | |
US11447216B2 (en) | Floating platform | |
US9624636B2 (en) | Multi-stage suspended wave screen and coastal protection system | |
US6390730B1 (en) | Protective elements, devices comprising said elements and method for protecting a zone against floods and avalanches | |
KR101949499B1 (ko) | 수력도약을 이용한 해안의 침식 및 모래 유실 방지장치 | |
KR101104030B1 (ko) | 부유식 방파제 | |
US4225268A (en) | Breakwater pier apparatus | |
KR101384115B1 (ko) | 수상 계류 및 다목적 보호 장치 | |
RU2328589C2 (ru) |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лубоководного гибкого восходяще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 |
JP5067703B1 (ja) | 海上浮揚式消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海波減衰システム | |
ZA201102296B (en) | Breakwater structure | |
KR102260980B1 (ko) | 항만용 항내매몰 저감장치 | |
KR102257051B1 (ko) | 부유식 연락교 | |
KR102260981B1 (ko) | 모래사장용 모래날림 저감장치 | |
JP3917869B2 (ja) | 開閉式港湾構造物 | |
KR100350895B1 (ko) | 환경친화성 퇴적제어장치 | |
JP4120988B2 (ja) | ダブルビーム式係留装置及びこの係留装置を備えた浮揚施設と浮桟橋式流木止め設備 | |
KR102375488B1 (ko) |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 |
US339548A (en) | eiupt | |
KR101831106B1 (ko) | 부유체 선형 흐트러짐 방지 브라켓을 이용한 수중막체 수직유지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