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818B1 - Portable Rain Sampler - Google Patents

Portable Rain Samp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818B1
KR102217818B1 KR1020200080074A KR20200080074A KR102217818B1 KR 102217818 B1 KR102217818 B1 KR 102217818B1 KR 1020200080074 A KR1020200080074 A KR 1020200080074A KR 20200080074 A KR20200080074 A KR 20200080074A KR 102217818 B1 KR102217818 B1 KR 102217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infall
water
water collect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0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한나
김용철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80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8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8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2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11/00Funnels, e.g. for liquids
    • B67C11/02Funnels, e.g. for liquids without discharge val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A portable rain sam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rain sampler that can be movable in a first mode and can sample rainfall in a second mode. The portable rain sampler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pillar frames and connection frames connected to the pillar frames so as to connect the pillar frames to each other while changing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pillar frames; a water sample tank for receiving the sampled rainwater; and a water sampling member having a connection part wherein a hole corresponding to an inlet of the water sample tank is formed at the center, a wing fram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to be tilted, and a wing cover installed in the wing frame.

Description

휴대용 강우 채수기{Portable Rain Sampler}Portable Rain Sampler {Portable Rain Sampler}

본 발명은 휴대용 강우 채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람이 들고다닐 수 있는 크기와 무게로 접어서 운반이 가능한 휴대용 강우 채수기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rainfall extractor, and to a portable rainfall extractor that can be folded and transported in a size and weight that can be carried by a person.

빗물을 받아 분석하는 강우채수기는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지표수 및 지하수의 시작점으로서 강우를 포집하여 화학성분 분석을 수행하기도 하며, 인공강우 실험의 성공여부와 강우 내 방사성물질 함량 측정을 위해 채수가 이루어 지기도 한다. 최근 국내외 미세먼지 연구에서도 지표에 미치는 미세먼지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강수의 수리화학적 특성분석이 주목받고 있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강우측정소에서 수집한 빗물의 독성성분을 분석하여 대기오염 여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수질뿐 아니라 대기와 토양의 오염연구에서도 강수 연구는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날씨 및 포집 위치에 따른 빗물의 조성성분 차이에 관하여도 많은 관심이 모이고 있다. 따라서 시공간적 제약없이 빗물채수가 가능한 장비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Rainwater harvesters that receive and analyze rainwater are used in various fields. For example, as the starting point of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rainfall may be collected and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may be performed, and water collection may be performed to determine the success of an artificial rainfall experiment and the content of radioactive substances in the rainfall. In rece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fine dust studie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fine dust on the surface, the hydrochemical characteristic analysis of precipitation is drawing attention. The Seoul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tri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air pollution by analyzing the toxic components of rainwater collected at the rainfall monitoring station. As described above, precipitation studies have been extensively conducted not only in water quality, but also in air and soil pollution studies, and a lot of attention has been drawn on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rainwater depending on the weather and collection locations. Therefore, the need for equipment capable of collecting rainwater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is increasing.

도 5는 종래에 이용되는 강우 채수기의 사진이다. 도 5를 참조해보면, 채수기는 수집한 빗물을 모아놓는 탱크를 내부에 수용하는 빗물수집통(1)과 떨어지는 빗물을 받아 모으는 채수부재(2)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채수기는 특정 위치에 빗물수집통을 묻어두고 채수를 수행하며, 그 높이가 약 51cm, 지름이 약 22cm가 넘어 다양한 위치에서 강우를 채수하기 윈한 유의미한 위치 변경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더욱이 크기를 단순히 줄이는 것에 한계가 있다. 예컨대, 채수부재(2)의 경우에는 빗물을 잘 받기 위해서는 넓게 퍼져야 하는데, 채수부재(2)가 채수기의 크기를 줄이는 가장 큰 제한조건이 된다. 5 is a photograph of a rain water collector used in the related art. Referring to FIG. 5, the water collector is composed of a rainwater collecting tank 1 that accommodates a tank for collecting collected rainwater therein, and a water collecting member 2 that receives and collects falling rainwater. Such a conventional water collector performs water collection by burying a rainwater collector at a specific location, and its height is about 51 cm and a diameter of about 22 cm, so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change a meaningful location for collecting rainfall from various locations. Moreover, there is a limit to simply reducing the siz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water collecting member 2, it must be spread widely in order to receive rainwater well, and the water collecting member 2 is the biggest limiting condition for reducing the size of the water collecting device.

결국 종래의 강우 채수기는 시공간 제약없이 빗물채수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능동적으로 위치를 바꿔가며 강우를 수집하고 분석하고자 하는 요구에 부합하는 새로운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Eventually, it is impossible to collect rainwater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in the conventional rainfall collector.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method that meets the demand to collect and analyze rainfall while actively changing locations.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능동적으로 위치를 바꿔가며 강우를 수집하고 분석하고자 하는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휴대용 강우 채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rainfall collector capable of meeting the demands of actively collecting and analyzing rainfall while changing its location.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other objects not specifie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dditionally considered within a range that can be easily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effects thereof below.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휴대용 강우 채수기는 제1모드에서는 휴대하여 이동가능한 형태가 되고, 제2모드에서는 강우를 채수할 수 있는 형태가 되는 휴대용 강우 채수기로서: 복수개의 기둥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들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기둥프레임에 대한 각도가 변화가능하도록 상기 기둥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 채수한 강수를 수용하는 채수탱크; 및 중앙에 상기 채수탱크의 입구에 대응하는 구멍을 가지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틸팅(tilting)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날개프레임과, 상기 날개프레임에 설치되는 날개커버를 포함하는 채수부재;를 포함하고, 제1모드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기둥프레임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변형되며, 상기 날개프레임의 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변형되어 휴대하여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고, 제2모드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기둥프레임이 서로 멀어져서 상기 본체의 내측에 상기 채수탱크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변형되며, 상기 본체의 내측에 상기 채수탱크가 수용되고, 상기 채수탱크의 입구에 상기 연결부의 구멍이 끼워지고, 상기 날개프레임의 단부가 서로 멀어지도록 펼쳐지고, 상기 날개프레임에 날개커버가 설치되어 떨어진 강우가 날개커버를 타고 상기 채수부재의 중앙으로 흘러 강우를 채수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ortable rainfall water collec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rain water extractor in the first mode, which is portable and movable, and in the second mode, rainfall is collected. A main body including a column frame and a connection frame connected to the column frame so th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column frame can be changed while connecting between the column frames; A water collection tank for receiving the collected precipita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having a hole corresponding to the inlet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in the center, a wing fram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to be tiltable, and a wing cover installed on the wing frame; including, In the first mode,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are deformed so as to be close to each other, and the ends of the wing frames are deformed to be close to each other to be portable and movable, and in the second mode,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main body It is deformed to have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water collecting tank inside of the body, the water collecting tank is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the hole of the connect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entrance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and the end of the wing frame It is spread so as to be distant from each other, and a wing cover is installed on the wing frame, so that the fallen rainfall flows to the center of the water collecting member while riding the wing cover, so that the rainfall can be collected.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양쪽 끝부분의 내측에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기둥프레임에 고정되는 핀이 끼워지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제1모드에서는 상기 핀이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중앙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결프레임이 양쪽의 상기 기둥프레임에 대해 수평 내지 수평에 가깝게 배치되며, 제2모드에서는 상기 핀이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결프레임이 양쪽의 상기 기둥프레임에 대해 대각선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connecting frame has a sliding groove formed at the inner side of both ends in one direction and into which a pin fixed to the column frame is inserted, and in the first mode, the pin is centered along the sliding groove. By moving, the connecting frame is arranged horizontally or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both of the pillar frames, and in the second mode, the pin moves outward along the sliding groove so that the connecting frame is diagonally aligned with respect to the pillar frames on both sides. It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arranged.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기둥프레임의 상단부 일측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고정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제1모드에서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단부가 자유롭게 움직여 상기 기둥프레임과 수평 내지 수평에 가깝게 위치하며, 제2모드에서 인접하는 기둥프레임의 상단부 다른 일측에 설치된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의 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xample, a fixing frame connected to be rotatable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column frame, and the fixing frame is positioned horizontally to horizontally with the column frame by moving freely at the end of the fixing frame in the first mode. In the second mode, the end of the fixing frame may be fixed by a fixing member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adjacent column frame.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기둥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지면에 고정하는 못이 걸리거나 끈이 연결되는 고정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pillar fram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nail to be fixed to the ground or a fixing ring to which a string is connected is formed.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채수탱크의 입구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덮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덮개부재는 상기 채수탱크의 입구에 연결되며, 중앙에 제2덮개부재 설치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덮개부재는 상기 제2덮개부재 설치구에 상기 날개커버가 그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중앙에 상기 채수부재에 의해 모여진 강우가 상기 채수탱크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xample, further comprising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water collection tank, the first cover member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water collection tank, and a second cover member installation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The second cover member is installed so that the wing cover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second cover member installation hole, and an inlet through which rainfall collected by the water collecting member flows into the water collecting tank is formed in the center. It can be characterized.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강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xample, a filter may be installed at the inlet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rainfall flowing into the inlet.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날개프레임은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제2모드에서 2개의 상기 채수부재가 서로 수직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채수탱크의 입구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wing frame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and in the second mode, the two water collecting member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ion part may be installed to be fitted into the inlet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날개프레임은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우산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wing fram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n umbrella around the connection part.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날개프레임의 단부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제2모드에서 새가 상기 채수부재에 앉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xample, an end portion of the wing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prevention pin protruding upward to prevent a bird from sitting on the water collecting member in the second mode.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채수탱크는 상부 채수탱크와 상기 상부 채수탱크에 나사결합되는 하부 채수탱크로 이루어져, 세척시 상기 상부채수탱크와 상기 하부 채수탱크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water collection tank may be composed of an upper water collection tank and a lower water collection tank screwed to the upper water collection tank, and the upper water collection tank and the lower water collection tank can be separated during washing.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드에서 상기 채수탱크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채수탱크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xample, in the second mode, it may further include a pedestal positioned below the water sampling tank and fixing the water collection tank to the body.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드에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물을 수용하여 휴대용 강우 채수기의 무게 중심을 낮추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in the second mode, it is installed under the main body, is formed in a bellows shap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eight for lower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portable rainfall water collector by receiving water therei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강우 채수기는 제1모드에서는 휴대하여 이동가능한 형태가 되고, 제2모드에서는 강우를 채수할 수 있는 형태가 되므로 능동적으로 위치를 바꿔가며 강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The portable rainfall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comes a portable and movable form in the first mode and a form capable of collecting rainfall in the second mode, so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llect and analyze rainfall while changing its loc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On the other hand, even if it is an effect not explicitly mentioned herein, it is added that the effect described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and its provisional effect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reated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휴대용 강우 채수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휴대용 강우 채수기의 본체의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서, 휴대용 강우 채수기를 설치하였다가 휴대할 경우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휴대용 강우 채수기의 채수부재의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서, 휴대용 강우 채수기를 설치하였다가 휴대할 경우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휴대용 강우 채수기의 채수탱크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강우 채수기의 사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rainfall extrac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ain body of a portable rainfall water extrac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quentially shows a case where the portable rainfall water extractor is installed and then carried.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water collecting member of a portable rainfall water ex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quentially shows a case where the portable rainfall water extractor is installed and then carried.
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collection tank of a portable rainfall water ex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hotograph of a conventional rainfall collector.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emplified by reference for an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안내하는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으로부터 비롯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guided by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ffects resulting from 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as matter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respect to known func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휴대용 강우 채수기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휴대용 강우 채수기의 본체의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서, 휴대용 강우 채수기를 설치하였다가 휴대할 경우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휴대용 강우 채수기의 채수부재의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서, 휴대용 강우 채수기를 설치하였다가 휴대할 경우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휴대용 강우 채수기의 채수탱크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rain water collec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rain water collec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water collecting member of a portable rainfall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quentially shows a case where a portable rainfall water dispenser is installed and then carried, and FIG. 4 is It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collection tank of a portable rain water ex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강우 채수기(100)의 각 구조와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ach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ortable rainfall coll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강우 채수기(100)는 본체(10), 채수탱크(20) 및 채수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와 채수탱크(20), 그리고 채수부재(30)는 휴대하여 이동할 경우(제1모드)에는 각각 분리되며, 설치되어 강우를 채수할 경우(제2모드)에는 서로 결합된다. The portable rainfall water extra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ody 10, a water collection tank 20, and a water collection member 30. The main body 10, the water collecting tank 20, and the water collecting member 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case of carrying and moving (the first mode), and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the case of being installed and collecting rainfall (the second mode).

본체(10)는 복수개의 기둥프레임(11)을 포함한다. 기둥프레임(11)은 바닥에 수직한 사각 또는 원형의 봉 형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인접하는 기둥프레임(11)은 연결프레임(12)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프레임(12)에는 길게 슬라이딩 홈(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딩 홈(12a)에 연결프레임(12)을 기둥프레임(11)에 고정하는 핀이 끼워진다. 따라서 기둥프레임들 사이의 간격에 따라서 연결프레임(12)의 기둥프레임(11)에 대한 각도가 변화가능하다. 도면에서는 2개의 기둥프레임(11)이 2개의 연결프레임(12)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경량화를 위하여 1개의 연결프레임(12)만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둥프레임(11)의 상단부측 또는 하단부측에는 고정프레임(13, 14)이 힌지(13a, 14a)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다. The body 10 includes a plurality of pillar frames 11. The pillar frame 11 may be a square or circular rod-shaped tank perpendicular to the floo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djacent pillar frames 11 are connected by connection frames 12. The connecting frame 12 has a long sliding groove 12a, and a pin for fixing the connecting frame 12 to the column frame 11 is fitted in the sliding groove 12a. Therefore, the angle of the connection frame 12 with respect to the column frame 11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column frames. In the drawing, it is shown that the two pillar frames 11 are connected by two connection frames 12,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only one connection frame 12 for weight reduction. In addition, the fixing frames 13 and 14 are rotatably fixed to the upper end side or the lower end side of the column frame 11 by hinges 13a and 14a.

제2모드(도 2의 좌측 도면)에서는 기둥프레임(11)이 가장 먼 곳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핀은 슬라이딩 홈(12a)의 끝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연결프레임(12)은 양쪽의 기둥프레임(11)에 대해 대각선으로 배치된다. 제2모드에서는 기둥프레임(11)이 서로 멀어지면서, 본체(10)의 중앙에 채수탱크(2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본체(10)를 전개한 후에는 본체의 중앙에 채수탱크(20)를 위치시킨다. 이때, 채수탱크(20)를 본체(10)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채스탱크 받침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채수탱크 받침대(40)는 채수탱크(20)가 끼워지는 가이드(41), 끼워진 채수탱크(20)를 고정시키는 고정나사(42) 및 아래쪽의 고정프레임(13)에 걸리는 걸림부재(4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기둥프레임(11) 사이의 거리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고정프레임(13, 14)을 기둥프레임(11)에 수직하게 세워져 다른쪽의 기둥프레임(11)에 연결한다. 기둥프레임(11)의 하단부에는 지면에 고정하는 못 또는 끈이 연결되는 고정링(15)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별도의 본체 받침대(50)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본체 받침대의 판(51)에 형성된 결합부(52)에 기둥프레임(11)이 끼워지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second mode (left view of FIG. 2), the column frame 11 is located at the farthest position, and the pin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sliding groove 12a. Thereby, the connection frame 12 is disposed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pillar frames 11 on both sides. In the second mode, as the column frames 1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water collection tank 2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0. After the main body 10 is deployed, the water collection tank 20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In this case, a chat tank pedestal 40 may be further included in order to firmly fix the water collection tank 20 to the body 10. The water collection tank support 40 includes a guide 41 into which the water collection tank 20 is inserted, a fixing screw 42 fixing the inserted water collection tank 20, and a locking member 43 that is caught on the fixing frame 13 at the bottom. Is formed.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fix the distance between the pillar frames 11, the fixing frames 13 and 14 are erected perpendicular to the pillar frame 11 and connected to the other pillar frame 11. A fixing ring 15 to which nails or strings fixed to the ground are connected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lumn frame 11. Furthermore, when a separate main body support 50 is provided, the column frame 11 may be fitted to the coupling portion 52 formed on the plate 51 of the main body support.

제2모드에서 제1모드(도 2의 우측 도면)로 변환할 때에는 먼저 고정프레임(13, 14)을 a1과 같이 접어서 기둥프레임(11)에 붙여준다. 이때 자석 등을 이용하여 고정프레임(13, 14)이 기둥프레임(11)에 반부착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 기둥프레임(11)을 서로 가까워지게 눌러주면, 연결프레임(12)의 슬라이딩 홈(12a)을 타고 핀이 중앙 쪽으로 이동하면서 연결프레임(12)이 기둥프레임(11)에 수평 또는 수평에 가깝게 위치(a2 참조)하게 된다. 이로써 제1모드에서의 본체(10)의 부피는 제2모드에 비해 현저히 작아진다. When converting from the second mode to the first mode (the right drawing in FIG. 2), first, the fixing frames 13 and 14 are folded like a 1 and attached to the column frame 11. At this time, the fixing frames 13 and 14 may be semi-attached to the column frame 11 by using a magnet or the like. Then, when the column frame 11 is pressed close to each other, the pin moves toward the center by riding the sliding groove 12a of the connecting frame 12, and the connecting frame 12 is horizontally or horizontally on the column frame 11 They are located close together (see a 2 ). As a result, the volume of the main body 10 in the first mode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in the second mode.

강우 채수기에서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하는 것은 바로 채수부재(30)이다. 채수부재(30)가 넓을수록 보다 효율적으로 강우를 수집할 수 있는데, 이는 반대로 휴대성에서는 불리한 요소로 작용한다. It is the water collecting member 30 that occupies the largest volume in the rainfall water collector. The wider the water collecting member 30 is, the more efficiently it is possible to collect rainfall, which, on the contrary, acts as a disadvantage in portabil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강우 채수기(100)의 채수부재(30)는 제1모드에서는 접어서 이동하다가, 제2모드에서는 전개하여 강우를 채수할 수 있다. The water collecting member 30 of the portable rainfall water extra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lded and moved in the first mode, and then expanded in the second mode to collect rainfall.

채수부재(30)는 연결부(31)와 날개프레임(32), 그리고 날개커버(35)로 구성된다. 연결부(31)의 중앙에는 채수탱크(20)의 입구(23)에 대응하는 구멍(31a)을 가진다. 연결부(31)의 일측 또는 양쪽에는 틸팅가능(tilting) 가능하도록 힌지(31b)에 의해 연결되는 날개프레임이 설치된다. 도 3에서 보듯이, 제2모드(도 3의 좌측 도면)에서는 날개프레임(32)이 펼쳐져 위에서 내려봤을 때 넓은 면적을 점유하게 되며, 제1모드(도 3의 우측 도면)에서는 날개프레임(32)을 b1처럼 접어 점유하는 부피를 줄이게 된다. 즉, 제2모드에서는 날개프레임의 단부가 서로 멀어지도록 펼쳐지고, 제1모드에서는 날개프레임의 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변형되어 휴대하여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제2모드에서 날개프레임(32)을 전개하였을 때 그 위에는 날개커버(35)가 설치된다. 날개커버(35)는 방수성의 물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비닐을 이용할 수 있다. The water collecting member 30 is composed of a connecting portion 31 and a wing frame 32, and a wing cover 35. A hole 31a corresponding to the inlet 23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20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part 31. Wing frames connected by hinges 31b are install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31 to enable tilting. As shown in FIG. 3, in the second mode (left view of FIG. 3), the wing frame 32 is unfolded and occupies a large area when viewed from above, and in the first mode (right view of FIG. 3), the wing frame 32 ) Is folded like b 1 to reduce the occupied volume. That is, in the second mode, the ends of the wing frames are unfolded so that they are away from each other, and in the first mode, the ends of the wing frames are deformed so that they become close to each other, thereby becoming a portable and movable state. When the wing frame 32 is deployed in the second mode, the wing cover 35 is installed thereon. The wing cover 35 may be made of a waterproof material, for example, vinyl.

제2모드에서 채수탱크(20)를 본체(10)에 설치하고, 채수탱크(20)의 입구(23)를 채수부재(30)의 연결부(31)의 구멍(31a)에 끼운다. 그 다음 제1덮개부재(24)를 입구(23)에 체결함과 동시에, 연결부(31)를 고정시킨다. 그 뒤 펼쳐진 날개프레임(32)에 날개커버(35)를 설치하고, 제2덮개부재(25)의 중앙에 형성된 제2덮개부재 설치구에 날개커버(35)의 일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제2덮개부재(25)를 제2덮개부재 설치구에 끼워준다. 제2덮개부재(25)의 중앙에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강우시 날개커버(35)를 타고 흐르는 빗물이 유입구를 통해 채수탱크(20)에 포집된다. 강우의 원할한 수집을 위해서 제1덮개부재(24)와 제2덮개부재(25)의 상면은 가운데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유입구에는 유입되는 강우에 포함된 불순물을 거르기 위한 필터(26)가 설치될 수 있다. 날개프레임(32)은 연결부(31)의 양측에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도 1에서와 같이 2개의 채수부재(30)를 서로 수직하도록 상 연결부(31)를 채수탱크의 입구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날개프레임의 단부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제2모드에서 새가 채수부재에 앉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핀(33)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방지핀(33)을 안테나와 같이 다단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하여, 필요에 따라 날개커버(35)가 설치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second mode, the water collecting tank 20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and the inlet 23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20 is inserted into the hole 31a of the connection part 31 of the water collecting member 30. Then, the first cover member 24 is fastened to the inlet 23 and the connection part 31 is fixed. Then, install the wing cover 35 on the spread wing frame 32, and a second cover so that a part of the wing cover 35 is fitted and fixed to the second cover member installation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cover member 25. The member 25 is fitted into the second cover member mounting hole. An inlet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cover member 25, and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wing cover 35 during rainfall is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on tank 20 through the inlet. For smooth collection of rainfall, upper surfaces of the first cover member 24 and the second cover member 25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er. Meanwhile, a filter 26 for filtering impurities included in the incoming rainfall may be installed at the inlet. The wing frame 32 may be formed in a pair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31, and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 the upper connection part 31 is coupled to the inlet of the water collection tank so that the two water collecting members 30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t is also possible. The end of the wing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prevention pin 33 protruding upward to prevent the bird from sitting on the water collecting member in the second mode.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increasing the area in which the wing cover 35 is installed, if necessary, by having the prevention pin 33 extend in multiple stages like an antenna.

채수탱크(20)는 하부 채수탱크(21)와 상부 채수탱크(22)로 분리가능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하부 채수탱크(21)와 상부 채수탱크(22)는 서로 나사결합(21a)할 수 있으며, 세척시 상기 상부 채수탱크(22)와 상기 하부 채수탱크(21)를 분리하여 용이하게 세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water collection tank 20 may be separated into a lower water collection tank 21 and an upper water collection tank 22. The lower water collection tank 21 and the upper water collection tank 22 can be screwed together (21a), and when washing, the upper water collection tank 22 and the lower water collection tank 21 can be separated to facilitate cleaning. There is an advantage.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휴대용 강우 채수기의 무게 중심을 낮추는 무게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게추는 자바라 물통 형태로 형성되어 평소에는 자바라를 압축하여 들고다니다가, 필요시 자바라를 확장시키고 물을 담아 본체(10)의 하부에 설치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weight for lower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portable rain water extractor may be further included. The weight is formed in the form of a bellows bucket, so that the bellows are usually compressed and carried, and if necessary, the bellows can be expanded and plac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10 to contain water.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강우 채수기(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강우 채수기는 제1모드에서는 휴대하여 이동가능한 형태가 되고, 제2모드에서는 강우를 채수할 수 있는 형태가 되므로 능동적으로 위치를 바꿔가며 강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above, the portable rainfall coll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rainfall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comes a portable and movable form in the first mode and a form capable of collecting rainfall in the second mod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collect and analyze.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and expression of the embodiments explicitly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is added once again tha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due to obvious changes or substitution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laims (10)

제1모드에서는 휴대하여 이동가능한 형태가 되고, 제2모드에서는 강우를 채수할 수 있는 형태가 되는 휴대용 강우 채수기로서:
복수개의 기둥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들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기둥프레임에 대한 각도가 변화가능하도록 상기 기둥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
채수한 강수를 수용하는 채수탱크; 및
중앙에 상기 채수탱크의 입구에 대응하는 구멍을 가지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틸팅(tilting)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날개프레임과, 상기 날개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날개커버를 포함하는 채수부재;를 포함하고,
제1모드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기둥프레임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변형되며, 상기 날개프레임의 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변형되어 휴대하여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고,
제2모드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기둥프레임이 서로 멀어져서 상기 본체의 내측에 상기 채수탱크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변형되며, 상기 본체의 내측에 상기 채수탱크가 수용되고, 상기 채수탱크의 입구에 상기 연결부의 구멍이 끼워지고, 상기 날개프레임의 단부가 서로 멀어지도록 펼쳐지고, 상기 날개프레임에 날개커버가 설치되어 떨어진 강우가 날개커버를 타고 상기 채수부재의 중앙으로 흘러 강우를 채수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채수탱크의 입구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덮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덮개부재는 상기 채수탱크의 입구에 연결되며, 중앙에 제2덮개부재 설치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덮개부재는 상기 제2덮개부재 설치구에 상기 날개커버가 그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중앙에 상기 채수부재에 의해 모여진 강우가 상기 채수탱크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강우 채수기.
In the first mode, it becomes a portable and movable type, and in the second mode, it is a portable rainfall collector that is capable of collecting rainfall:
A main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pillar frames and a connection frame connected to the pillar frame so th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pillar frame can be changed while connecting between the pillar frames;
A water collection tank for receiving the collected precipitation; And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having a hole corresponding to the inlet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in the center, a wing fram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to be tilted, and a water collecting member including a wing cover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ing frame; and ,
In the first mode,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are deformed so as to be close to each other, and the ends of the wing frames are deformed to be close to each other so that they are portable and movable,
In the second mode,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are deformed so as to have a space to accommodate the water collection tank inside the body by moving away from each other, the water collection tank is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and the entrance of the water collection tank In a state in which the hole of the connection part is inserted, the ends of the wing frames are spread so that they are away from each other, and the wing covers are installed on the wing frames so that the fallen rainfall flows to the center of the water collecting member while riding the wing covers to collect rainfall. Becomes,
Further comprising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water collection tank,
The first cover member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water collection tank, and a second cover member installation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The second cover member is installed so that the wing cover is sandwiched and fixed to the second cover member installation hole, and an inlet through which rainfall collected by the water collecting member flows into the water collecting tank is formed in the center. Portable rainfall extra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양쪽 끝부분의 내측에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기둥프레임에 고정되는 핀이 끼워지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제1모드에서는 상기 핀이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중앙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결프레임이 양쪽의 상기 기둥프레임에 대해 수평 내지 수평에 가깝게 배치되며,
제2모드에서는 상기 핀이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결프레임이 양쪽의 상기 기둥프레임에 대해 대각선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강우 채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frame has a sliding groove formed on the inside of both ends in one direction and into which pins fixed to the column frame are inserted,
In the first mode, the pin moves to the center along the sliding groove so that the connection frame is disposed horizontally to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pillar frames on both sides,
In the second mode, the pin moves outward along the sliding groove, and the connection frame is arranged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pillar frames on both si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프레임의 상단부 일측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고정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제1모드에서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단부가 자유롭게 움직여 상기 기둥프레임과 수평 내지 수평에 가깝게 위치하며, 제2모드에서 인접하는 기둥프레임의 상단부 다른 일측에 설치된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의 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강우 채수기.
The method of claim 1,
A fixed frame is installed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pillar frame,
In the first mode, the end of the fixed frame is freely moved and is positioned horizontally or horizontally to the column frame, and in the second mode, the fix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adjacent column frame. Portable rainfall water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is fix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지면에 고정하는 못 또는 끈이 연결되는 고정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강우 채수기.
The method of claim 1,
A portable rainfall water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pillar frame is formed with a retaining ring to which a nail or string is connected to the groun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강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강우 채수기.
The method of claim 1,
A portable rainfall water extra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is provided with a filter capable of filtering out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rainfall flowing into the in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프레임은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제2모드에서 2개의 상기 채수부재가 서로 수직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채수탱크의 입구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강우 채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ing fram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In the second mode, the portable rainfall water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water collecting members are install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ion part is fitted into the inlet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프레임의 단부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제2모드에서 새가 상기 채수부재에 앉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강우 채수기.
The method of claim 1,
A portable rainfall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prevention pin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wing frame to prevent a bird from sitting on the water collecting member in the second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수탱크는 상부 채수탱크와 상기 상부 채수탱크에 나사결합되는 하부 채수탱크로 이루어져, 세척시 상기 상부채수탱크와 상기 하부 채수탱크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강우 채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collecting tank comprises an upper water collecting tank and a lower water collecting tank screwed to the upper water collecting tank, and when washing, the upper water collecting tank and the lower water collecting tank can be sepa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드에서 상기 채수탱크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채수탱크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채수탱크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강우 채수기.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econd mode, the portable rainfall water dispenser further comprising a water collecting tank support positioned below the water collecting tank and fixing the water collecting tank to the main body.
KR1020200080074A 2020-06-30 2020-06-30 Portable Rain Sampler KR1022178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074A KR102217818B1 (en) 2020-06-30 2020-06-30 Portable Rain Samp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074A KR102217818B1 (en) 2020-06-30 2020-06-30 Portable Rain Samp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818B1 true KR102217818B1 (en) 2021-02-22

Family

ID=74687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074A KR102217818B1 (en) 2020-06-30 2020-06-30 Portable Rain Samp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81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0423A (en) * 2003-03-08 2004-09-30 Asahi Komuten:Kk Device for collecting and storing rainwater
JP2012082669A (en) * 2010-10-06 2012-04-26 Yukio Toyama Rainwater storage device
KR20140099779A (en) * 2013-02-04 2014-08-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capturing fluid
CN209167567U (en) * 2019-01-11 2019-07-26 四川农业大学 Rain is penetrated in one elite stand and the matter collection device that withers and fal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0423A (en) * 2003-03-08 2004-09-30 Asahi Komuten:Kk Device for collecting and storing rainwater
JP2012082669A (en) * 2010-10-06 2012-04-26 Yukio Toyama Rainwater storage device
KR20140099779A (en) * 2013-02-04 2014-08-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capturing fluid
CN209167567U (en) * 2019-01-11 2019-07-26 四川农业大学 Rain is penetrated in one elite stand and the matter collection device that withers and fal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53318U1 (en) FRAMES FOR RAIN WATER COLLECTION
US20030051414A1 (en) Debris collection device for a gutter downspout
KR102217818B1 (en) Portable Rain Sampler
CN208273124U (en) A kind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monitoring device of rain-proof dust-proof
CN210181023U (en) A quality of water on-line monitoring equipment for it is open-air
CN208287430U (en) A kind of tamper-proof formula tennis net
CN212270114U (en) Agricultural planting is with ecological device of administering of plant diseases and insect pests
CN108760405A (en) The dust-proof automatic field collection rain apparatus and system of vaporization prevention
CN214712404U (en) Drainage device of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structure
CN211527920U (en) Groundwater sampling device for hydrogeology
CN213427371U (en) Cherry rain shade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CN209055367U (en) A kind of Portable high-flow air sampler
CN211740824U (en) Online water quality detector with filtering function
CN220907489U (en) Detachable pollen sampler
Reheis et al. Elemental analyses of modern dust in southern Nevada and California
CN219200915U (en) Sampling tube for geological mineral exploration
CN208874936U (en) A kind of vinyl house with collection rain recyclable device
CN206411476U (en) A kind of junk collects frame and equipment
CN220933199U (en) Radiation monitoring device for radiation environment
CN218406107U (en) Rainwater collector
CN214473257U (en) Water quality monitoring device
KR101595656B1 (en) Rain capture for tepee tent
JPH11293870A (en) Rainwater draining facility for building
CN210356703U (en) Organic waste gas light catalytic oxidation treatment facility
KR102451007B1 (en) Parasol Umbrella with detachable insect 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