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618B1 - 모니터 승하강 전동책상 - Google Patents

모니터 승하강 전동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618B1
KR102217618B1 KR1020200112730A KR20200112730A KR102217618B1 KR 102217618 B1 KR102217618 B1 KR 102217618B1 KR 1020200112730 A KR1020200112730 A KR 1020200112730A KR 20200112730 A KR20200112730 A KR 20200112730A KR 102217618 B1 KR102217618 B1 KR 102217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lift
user
desk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엠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엠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엠앤씨
Priority to KR1020200112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07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 A47B21/007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liftable above the desk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14Platforms for supporting office equipment
    • A47B2021/0364Keyboard and monitor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5Monitor mounted supports or stands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의 모니터(1)를 자동으로 승하강시키는 전동책상에 관한 것으로, 의자에 착석된 1인 이상의 사용자를 수용하는 박스형 골격프레임(10); 상기 골격프레임(10)의 상단에 장착되어 작업공간을 제공하고, 후방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어 모니터(1)가 출입하는 통로가 마련된 상판(20); 상기 상판(20)의 통로 상에 전후로 회전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모니터(1)의 승하강에 따라 통로를 개폐하는 덮개(30); 상기 골격프레임(10)의 후방에 통로와 연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모니터(1)가 은폐되게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함(40); 상기 골격프레임(10)의 일측 하단에 배치되어 컴퓨터의 본체를 거치해주는 선반(50); 상기 상판(20)의 하부에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컴퓨터의 키보드와 마우스를 거치하는 하나 이상의 서랍(60); 상기 수납함(30)의 내부에 상하로 수직하게 장착되고, 상기 모니터(1)를 승하강시켜 상판(20)으로 인출 또는 수납함(30)에 내장시키는 리프트(70); 상기 상판(20)에 노출되게 장착되는 스위치(81)와, 휴대 가능한 리모컨(82)으로 구성되어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리프트(70)의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부(80); 상기 스위치(81)와 리모컨(82)으로부터 조작신호를 수신받아 리프트(70)로 승하강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니터 승하강 전동책상{Monitor elevating electric desk}
본 발명은 모니터 승하강식 전동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프트가 컴퓨터의 모니터를 승하강되게 구현함으로써, 컴퓨터의 사용여부에 따라 모니터를 책상 위로 인출하거나 책상 내부에 수납할 수가 있으므로 책상의 가용면적을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의실이나 회의실 등과 같은 다중이 이용하는 경우 개인적인 컴퓨터 사용을 금지시킬 수가 있어 주의력 향상은 물론 부주의로 인한 모니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모니터 승하강 전동책상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화 사회에서는 가정은 물론 사무실이나 강의실에서 컴퓨터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컴퓨터의 이용자는 더욱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즉, 현대인에게 필수적인 컴퓨터는 끊임없이 개발되고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지만, 이를 사용하는 환경은 크게 변하지 않고 있다.
예컨대 가정이나 직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컴퓨터의 사용 환경을 보면, 컴퓨터를 이루는 모니터와 본체를 책상 위에 나란히 올려놓고 사용하거나, 모니터만 책상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본체는 책상 아래에 놓고 사용하고 있다.
물론, 일반적인 사무용 책상 이외에 모니터와 본체를 올려놓을 수 있는 컴퓨터 전용 책상도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컴퓨터 전용 책상의 경우에는 책상 위에 모니터가 일정한 면적을 고정적으로 차지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컴퓨터책상은 일반책상에 비해 가용면적이 좁아 컴퓨터 외에 다른 업무를 보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정리정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일반책상과 컴퓨터책상은 각각 그 용도에 맞게 제작된 것이므로 일반책상과 컴퓨터책상을 겸용으로 사용하기가 불편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모니터를 책상에 수납 및 인출할 수 있게 하여 책상의 가용면적을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모니터 승하강식 책상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모니터 승하강식 책상은 그 세부 구조가 조금씩은 다르지만 전동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컴퓨터의 사용여부에 따라 모니터를 책상 위로 인출하거나 책상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기존에는 전동액추에이터에 모니터를 수직하게만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모니터를 정면으로 바라볼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즉, 눈에 가장 치명적인 것은 바로 건조한 공기인데, 모니터를 정면으로 바라보게 되면, 눈꺼풀이 크게 개방됨에 따라 안구가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커져 안구건조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강의실이나 회의실 등과 같은 다중이 이용하는 장소에 복수개의 책상이 배치된 경우 강의자나 관리자가 책상마다 일일이 조작하여 모니터를 승하강시킬 수밖에 없어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준비 및 마감에 소요되는 시간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강의실이나 회의실과 같이 불특정 다수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마다 신체사이즈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모니터가 동일한 높이로만 인출됨에 따라 불안정한 자세로 인해 거북목 증후군이나 척추질환을 불러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6667호 (발명의 명칭: 컴퓨터 책상)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227호 (고안의 명칭: 컴퓨터 책상의 모니터 승하강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리프트에 장착되어 모니터를 결합해주는 연결브래킷에 공통규격인 베사(VESA)홀을 적용하여 높은 호환성을 보장함과 함께 후방을 향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어 사용자가 모니터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볼 수 있음에 따라 안구건조를 예방함과 더불어 후면에 수직방향의 보강편이 형성되어 승하강시 모니터의 떨림을 방지할 수 있는 모니터 승하강 전동책상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책상마다 리프트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스위치와 더불어 무선으로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을 복합 구성함으로써, 책상은 물론 책상과 이격된 원거리에서도 모니터를 승하강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고, 한 공간에 다수의 책상이 배치된 경우 리프트의 제어를 조별로 통합 구축하여 관리자 또는 강의자가 단일의 리모컨만으로도 복수의 모니터들을 동시에 승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준비 및 마감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모니터 승하강 전동책상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를 따라 동반 승하강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 모니터의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됨에 따라 사용자의 올바른 착석자세를 유도하여 거북목 증후군이나 척추질환을 방지할 수 있는 모니터 승하강 전동책상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의 모니터를 자동으로 승하강시키는 전동책상에 관한 것으로, 의자에 착석된 1인 이상의 사용자를 수용하는 박스형 골격프레임; 상기 골격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어 작업공간을 제공하고, 후방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어 모니터가 출입하는 통로가 마련된 상판; 상기 상판의 통로 상에 전후로 회전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모니터의 승하강에 따라 통로를 개폐하는 덮개; 상기 골격프레임의 후방에 통로와 연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모니터가 은폐되게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함; 상기 골격프레임의 일측 하단에 배치되어 컴퓨터의 본체를 거치해주는 선반; 상기 상판의 하부에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컴퓨터의 키보드와 마우스를 거치하는 하나 이상의 서랍; 상기 수납함의 내부에 상하로 수직하게 장착되고, 상기 모니터를 승하강시켜 상판으로 인출 또는 수납함에 내장시키는 리프트; 상기 상판에 노출되게 장착되는 스위치와, 휴대 가능한 리모컨으로 구성되어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리프트의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스위치와 리모컨으로부터 조작신호를 수신받아 리프트로 승하강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리프트는, 상기 모니터의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내부 중앙에 스크루를 회전 가능하게 내장하는 안내레일; 상기 안내레일의 전방에 스크루와 맞물리게 장착되고, 상기 스크루의 회전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유동블록; 상기 안내레일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스크루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전동모터; 상기 안내레일의 상/하단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수납함에 나사로 장착을 유도하는 고정브래킷; 상기 유동블록의 전면에 장착되고, 상기 모니터와 결합되는 연결브래킷;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연결브래킷은, 상기 유동블록의 전면과 양측을 감싸며 나사로 고정 체결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의 일단에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 절곡되어 모니터를 지지하는 연결편; 상기 연결편의 상측에 모니터와 나사로 체결을 유도하는 복수의 베사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연결편은, 상기 모니터를 사용자가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볼 수 있도록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1 내지 15°로 경사지게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연결편은 굽힘 강도를 가중시켜 승하강시 모니터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후면 양측으로 수직방향의 보강편;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 승하강 전동책상이 한 공간에 다수가 배치되어 복수개로 구성되는 경우 설정 책상개수별 조 편성에 맞춰 단일의 리모컨(82)으로부터 수신되는 주파수를 각 제어부들이 동시에 포괄 인식되도록 공통주파수가 할당되어 한명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복수의 모니터들을 동시에 제어되게 통합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모니터 승하강 전동책상은, 상기 모니터의 상단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 상기 모니터의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제어부로 영상정보를 전송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카메라는 촬영중심선이 모니터로부터 설정 거리 전방에서 모니터의 하단을 기준으로 3분의2 지점의 수평선과 서로 교차되는 각도를 가지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정보를 실시간 입력받아 사용자의 눈 위치를 실시간 추적하는 가운데 사용자의 눈 위치가 오차범위 내에서 설정 시간동안 정지하고 있는 경우 리프트로 작동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눈 위치가 촬영중심선과 일치되도록 모니터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은 리프트가 컴퓨터의 모니터를 승하강되게 구현함으로써, 컴퓨터의 사용여부에 따라 모니터를 책상 위로 인출하거나 책상 내부에 수납할 수가 있으므로 책상의 가용면적을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의실이나 회의실 등과 같은 다중이 이용하는 경우 개인적인 컴퓨터 사용을 금지시킬 수가 있어 주의력 향상은 물론 부주의로 인한 모니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리프트에 장착되어 모니터를 결합해주는 연결브래킷에 공통규격인 베사(VESA)홀을 적용하여 높은 호환성을 보장함과 함께 후방을 향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어 사용자가 모니터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볼 수 있음에 따라 안구건조를 예방함과 더불어 후면에 수직방향의 보강편이 형성되어 승하강시 모니터의 떨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책상마다 리프트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스위치와 더불어 무선으로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을 복합 구성함으로써, 책상은 물론 책상과 이격된 원거리에서도 모니터를 승하강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고, 한 공간에 다수의 책상이 배치된 경우 리프트의 제어를 조별로 통합 구축하여 관리자 또는 강의자가 단일의 리모컨만으로도 복수의 모니터들을 동시에 승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준비 및 마감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모니터를 따라 동반 승하강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 모니터의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됨에 따라 사용자의 올바른 착석자세를 유도하여 거북목 증후군이나 척추질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책상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책상의 리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가 모니터를 승하강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책상의 리모컨 제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의 리모컨으로 복수의 모니터를 동시에 승하강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참고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책상에 카메라가 적용된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책상의 카메라 제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가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 모니터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조절상태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모니터 승하강식 전동책상에 관한 것으로, 도 1처럼 골격프레임(10), 상판(20), 덮개(30), 수납함(40), 선반(50), 서랍(60), 리프트(70) 그리고 입력부(80)와 제어부(9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모니터 승하강 전동책상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동책상은 도 1처럼 단일의 상판(20)에 2인 이상이 사용 가능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고,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1인용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먼저, 골격프레임(10)은 도 1처럼 의자에 착석된 1인 이상의 사용자를 수용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바닥으로부터 상판(20)을 이격되게 지지한다.
이러한 골격프레임(10)은 원형 또는 각형 단면형상의 금속파이프들이 박스형으로 연결된 것으로, 하단에는 체결에 따라 높낮이가 가변되는 조절다리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판(20)은 도 1처럼 골격프레임(10)의 상단에 장착되어 작업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판(20)은 후방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어 모니터(1)가 출입하는 각형의 통로가 형성된다.
이어서 덮개(30)는 도 1처럼 상판(20)의 통로에 전후로 회전되게 힌지 결합되어 모니터(1)의 승하강에 따라 통로를 개폐해준다.
즉, 덮개(30)는 상판(20)의 통로를 폐쇄하고 있다가 도 5처럼 리프트(70)에 의해 상승하는 모니터(1)와의 간섭으로 인해 통로를 자동으로 개방한다.
따라서 덮개(30)에 연결되는 힌지(경첩)는 소정 각도에 이르면, 자동으로 개폐운동을 유도하면서 개폐된 상태를 유지해주는 반자동형 힌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어서 수납함(40)은 도 1처럼 골격프레임(10)의 후방에 상판(20)의 통로와 연통되게 배치되며 모니터(1)가 은폐되게 수납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수납함(40)은 목재 또는 수지재의 판들이 골격프레임(10)의 후방에 박스형으로 장착되어 내부에 모니터(1)와 리프트(70)를 수용한다.
여기서 수납함(40)을 이루는 전방의 판재는 리프트(70)의 장착과 점검이 용이하도록 여닫이 도어로 구성된다.
이러한 수납함(40)의 도어에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 외에는 개방할 수 없도록 잠금 부재를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어서 선반(50)은 도 1처럼 골격프레임(10)의 일측 하단에 배치되어 컴퓨터의 본체를 거치해준다.
이때, 선반(50)이 위치하는 수납함(40)의 일측으로는 본체의 케이블들이 인입되도록 하나 이상의 케이블 구멍이 형성된다.
이어서 서랍(60)은 도 1처럼 상판(20)의 하부에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컴퓨터의 키보드와 마우스를 거치한다.
이러한 서랍(60)은 키보드와 마우스를 각각 분리 거치되게 구성할 수도 있고, 키보드와 마우스를 동시에 거치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리프트(70)는 도 1처럼 수납함(40)의 내부에 상하로 수직하게 장착되어 모니터(1)를 승하강 시켜준다.
즉, 리프트(70)는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모니터(1)를 상판(20)으로 인출시키거나 수납함(40)에 내장시켜준다.
이러한 리프트(7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레일(71), 유동블록(72), 전동모터(73), 고정브래킷(74), 연결브래킷(75)으로 구성된다.
안내레일(71)은 최소한 모니터(1)의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내부 중앙에는 스크루를 회전 가능하게 내장한다.
유동블록(72)은 안내레일(71)의 전방으로 스크루와 맞물리게 장착되고, 스크루의 회전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전동모터(73)는 안내레일(71)의 하단에 장착되고,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스크루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준다.
여기서 스크루와 전동모터(73)는 서로 직결되지 않고 고출력을 발휘하도록 변속기어가 장착된다.
이러한 변속기어는 비교적 높은 감속비를 가지면서도 서로 직교되는 축 이음을 통해 전동모터(73)의 동력만을 전달할 수 있는 웜 기어를 채택하는 것이 좋다.
고정브래킷(74)은 안내레일(7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장착되어 수납함(30)에 나사로 장착을 유도한다.
연결브래킷(75)은 유동블록(72)의 전면에 장착되어 모니터(1)를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시켜준다.
이러한 연결브래킷(75)은 도 4처럼 고정편(75a)과 연결편(75b) 및 베사홀(75c)로 구성된다.
고정편(75a)은 평면기준 U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유동블록(72)의 전면과 양측을 감싸며 나사로 고정 체결된다.
연결편(75b)은 고정편(75a)의 일단에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 절곡되는 측면기준 ㄴ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모니터(1)를 지지한다.
베사홀(75c)은 연결편(75b)의 상측에 복수로 형성되어 모니터(1)와 나사로 체결을 유도한다.
이때, 연결편(75b)은 고정편(75a)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3 내지 15°로 경사지게 절곡된다.
즉, 연결편(75b)은 사용자가 모니터(1)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볼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눈꺼풀의 좁은 개방으로 인해 안구가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 안구건조를 예방할 수가 있다.
또한, 연결편(75b)은 고정편(75a)으로부터 굽힘 강도를 가중되도록 후면 양측으로 수직방향의 보강편(75d)이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편(75d)은 승하강시 모니터(1)의 요동을 방지해줌으로써, 진동과 소음을 차단함과 함께 모니터(1)의 고장을 방지해준다.
즉, 후술하는 제어부(90)로부터 승강신호를 입력받으면, 도 5와 같이 전동모터(73)가 작동하여 모니터(1)를 상판(20)으로 승강시킨다.
모니터(1)의 승강으로 인해 통로를 폐쇄하던 덮개(30)는 자동으로 개방되고, 최대 높이까지 승강이 완료되면 전동모터(73)는 자동으로 정지한다.
이어서 입력부(80)는 상판(20)에 노출되게 장착되는 스위치(81)와, 휴대 가능한 리모컨(82)으로 구성되어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리프트(70)의 조작을 입력받는다.
즉, 스위치(81)는 상판(20)상에 노출되게 장착되어 근거리 조작을 유도하고, 리모컨(82)은 휴대 가능하게 구성되어 원거리 조작을 유도한다.
여기서 리모컨(82)은 비교적 고장률이 낮고 가격이 저렴한 적외선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제어부(90)는 도 1처럼 수납함(40)에 장착되어 스위치(81)와 리모컨(82)으로부터 조작신호를 유무선으로 수신받아 리프트(70)로 승하강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어부(90)는 리모컨(82)의 버튼별로 발신된 주파수를 수신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기 저장된 버튼별 주파수와 매칭시켜 승강 또는 하강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생성된 신호에 맞춰 전동모터(73)가 인식하는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전동책상이 한 공간에 다수 개가 배치되어 제어부(90)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경우, 도 7처럼 설정 책상개수별 조 편성에 맞춰 단일의 리모컨(82)으로부터 수신되는 주파수를 각 제어부(90)들이 동시에 포괄 인식되도록 공통주파수가 할당된다.
즉, 한명의 관리자 또는 강의자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모니터(1)들을 동시에 제어되게 통합 구축된다.
따라서 단일의 리모컨(82)으로 복수개 책상의 모니터(1)들을 동시에 승하강시킬 수 있어 강의나 회의준비 및 마감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동책상은 도 10 및 도 11처럼 모니터(1)의 상단에 장착되어 제어부(90)로 영상정보를 전송하는 카메라(100)를 더 포함한다.
이때, 거북목 증후군이나 척추질환 및 피로를 예방하기 위한 가장 올바른 모니터(1)의 높이는 사용자의 눈이 모니터(1)의 하단을 기준으로 2/3 지점과 일치되는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의 눈 위치를 모니터(1)의 3분의2 지점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모니터(1)의 중앙을 응시하게 되면, 정면을 바라보는 것보다 턱이 목 쪽으로 당겨지게 됨에 따라 목 전체의 긴장도를 완화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90)는 카메라(100)가 촬영한 영상정보를 실시간 입력받아 도 12 및 도 13처럼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 모니터(1)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시켜준다.
이때, 카메라(100)는 촬영중심선(FL)이 모니터(1)로부터 50㎝ 전방에서 모니터(1)의 하단을 기준으로 3분의2 지점의 수평선(CL)과 서로 교차되는 각도를 가지도록 장착된다.
즉, 제어부(90)는 스위치(81)나 리모컨(82)으로부터 모니터(1)의 승강신호를 입력받으면, 전동모터(73)를 작동시켜 모니터(1)가 최대 높이에 위치되도록 승강시킨다.
도 12와 같이 모니터(1)가 상판(20)으로부터 최대 높이로 승강되면, 평균신장을 가진 사용자의 눈 위치(EP)는 모니터(1)의 하단부에 일치하게 된다.
이어서 카메라(100)가 촬영한 영상정보를 실시간 입력받아 기 입력된 사람 눈의 색상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눈의 위치(EP)를 검출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실시간 눈 위치(EP)가 오차범위 내에서 설정 시간동안 정지하고 있는 경우 도 13처럼 전동모터(73)로 작동신호를 출력하여 모니터(1)를 서서히 하강시킨다.
이 과정에서 촬영중심선(FL)과 눈 위치(EP)가 일치되면, 전동모터(73)로 작동신호를 출력하여 모니터(1)의 하강을 정지시켜 설정을 완료한다.
즉, 모니터(1)의 높낮이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눈 위치(EP)는 모니터(1)의 하단을 기준으로 3분의2 지점의 수평선(CL)과 평행하게 일치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니터(1)의 중심을 바라보면, 3 내지 15°로 하향 응시하게 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턱이 목 쪽으로 당겨지게 되어 거북목 증후군이나 척추질환 예방 및 피로를 현저히 낮춰주는 환경이 구현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모니터
10: 골격프레임
20: 상판
30: 덮개
40: 수납함
50: 선반
60: 서랍
70: 리프트
71: 안내레일
72: 유동블록
73: 전동모터
74: 고정브래킷
75: 연결브래킷
75a: 고정편
75b: 연결편
75c: 베사홀
75d: 보강편
80: 입력부
81: 스위치
82: 리모컨
90: 제어부
100: 카메라
FL: 촬영중심선
CL: 수평선
EP: 눈 위치

Claims (9)

  1. 컴퓨터의 모니터(1)를 자동으로 승하강시키는 전동책상에 있어서,
    의자에 착석된 1인 이상의 사용자를 수용하는 박스형 골격프레임(10);
    상기 골격프레임(10)의 상단에 장착되어 작업공간을 제공하고, 후방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어 모니터(1)가 출입하는 통로가 마련된 상판(20);
    상기 상판(20)의 통로 상에 전후로 회전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모니터(1)의 승하강에 따라 통로를 개폐하는 덮개(30);
    상기 골격프레임(10)의 후방에 통로와 연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모니터(1)가 은폐되게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함(40);
    상기 골격프레임(10)의 일측 하단에 배치되어 컴퓨터의 본체를 거치해주는 선반(50);
    상기 상판(20)의 하부에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컴퓨터의 키보드와 마우스를 거치하는 하나 이상의 서랍(60);
    상기 수납함(40)의 내부에 상하로 수직하게 장착되고, 상기 모니터(1)를 승하강시켜 상판(20)으로 인출 또는 수납함(40)에 내장시키는 리프트(70);
    상기 상판(20)에 노출되게 장착되는 스위치(81)와, 휴대 가능한 리모컨(82)으로 구성되어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리프트(70)의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부(80);
    상기 스위치(81)와 리모컨(82)으로부터 조작신호를 수신받아 리프트(70)로 승하강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90);
    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70)는,
    상기 모니터(1)의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내부 중앙에 스크루를 회전 가능하게 내장하는 안내레일(71);
    상기 안내레일(71)의 전방에 스크루와 맞물리게 장착되고, 상기 스크루의 회전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유동블록(72);
    상기 안내레일(71)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스크루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전동모터(73);
    상기 안내레일(71)의 상/하단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수납함(40)에 나사로 장착을 유도하는 고정브래킷(74);
    상기 유동블록(72)의 전면에 장착되고, 상기 모니터(1)와 결합되는 연결브래킷(75);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결브래킷(75)은,
    상기 유동블록(72)의 전면과 양측을 감싸며 나사로 고정 체결되는 고정편(75a);
    상기 고정편(75a)의 일단에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 절곡되어 모니터(1)를 지지하는 연결편(75b);
    상기 연결편(75b)의 상측에 모니터(1)와 나사로 체결을 유도하는 복수의 베사홀(75c);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결편(75b)은,
    상기 모니터(1)를 사용자가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볼 수 있도록 상기 고정편(75a)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1 내지 15°로 경사지게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니터 승하강 전동책상은,
    상기 모니터(1)의 상단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 상기 모니터(1)의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제어부(90)로 영상정보를 전송하는 카메라(1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카메라(100)는 촬영중심선(FL)이 모니터(1)로부터 설정 거리 전방에서 모니터(1)의 하단을 기준으로 3분의2 지점의 수평선(CL)과 서로 교차되는 각도를 가지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카메라(100)가 촬영한 영상정보를 실시간 입력받아 사용자의 눈 위치(EP)를 실시간 추적하는 가운데 사용자의 눈 위치(EP)가 오차범위 내에서 설정 시간동안 정지하고 있는 경우 리프트(70)로 작동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눈 위치(EP)가 촬영중심선(FL)과 일치되도록 모니터(1)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하강 전동책상.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75b)은 굽힘 강도를 가중시켜 승하강시 모니터(1)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후면 양측으로 수직방향의 보강편(75d);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하강 전동책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모니터 승하강 전동책상이 한 공간에 다수 개가 배치되어 복수개로 구성되는 경우 설정 책상개수별 조 편성에 맞춰 단일의 리모컨(82)으로부터 수신되는 주파수를 각 제어부(90)들이 동시에 포괄 인식되도록 공통주파수가 할당되어 한명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복수의 모니터(1)들을 동시에 제어되게 통합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하강 전동책상.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00112730A 2020-09-04 2020-09-04 모니터 승하강 전동책상 KR102217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730A KR102217618B1 (ko) 2020-09-04 2020-09-04 모니터 승하강 전동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730A KR102217618B1 (ko) 2020-09-04 2020-09-04 모니터 승하강 전동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618B1 true KR102217618B1 (ko) 2021-02-22

Family

ID=74687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730A KR102217618B1 (ko) 2020-09-04 2020-09-04 모니터 승하강 전동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6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5899A (zh) * 2022-01-12 2022-04-19 中山市华盛家具制造有限公司 一种适用于不同身高人群的升降办公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252Y1 (ko) * 2005-09-15 2005-12-20 김은숙 컴퓨터 책상
KR20060124409A (ko) * 2005-05-31 2006-12-05 한규동 테이블용 디스플레이 승강장치 및 그 시스템
KR200443227Y1 (ko) 2008-02-28 2009-01-28 주식회사 퍼맥스 컴퓨터 책상의 모니터 승하강장치
KR20110003439A (ko) * 2010-10-20 2011-01-12 박광수 컴퓨터 책상
KR101667399B1 (ko) * 2016-04-20 2016-10-28 엠테크노 주식회사 디지털 시력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4409A (ko) * 2005-05-31 2006-12-05 한규동 테이블용 디스플레이 승강장치 및 그 시스템
KR200404252Y1 (ko) * 2005-09-15 2005-12-20 김은숙 컴퓨터 책상
KR200443227Y1 (ko) 2008-02-28 2009-01-28 주식회사 퍼맥스 컴퓨터 책상의 모니터 승하강장치
KR20110003439A (ko) * 2010-10-20 2011-01-12 박광수 컴퓨터 책상
KR101126667B1 (ko) 2010-10-20 2012-03-29 박광수 컴퓨터 책상
KR101667399B1 (ko) * 2016-04-20 2016-10-28 엠테크노 주식회사 디지털 시력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5899A (zh) * 2022-01-12 2022-04-19 中山市华盛家具制造有限公司 一种适用于不同身高人群的升降办公桌
CN114365899B (zh) * 2022-01-12 2023-09-19 广东华盛家具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不同身高人群的升降办公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7890B2 (en) Integrated flat panel workstation system
US11470959B1 (en) Desktop workspace that adjusts vertically
US9723919B1 (en) Combination foldable and adjustable workstation
US7864512B2 (en) Thin screen enclosure
US6394402B2 (en) Vertically adjustable mobile computer workstation
US6609465B2 (en) Multiple purpose table
US7106014B1 (en) Lectern
US8684325B1 (en) Concealable TV mount extends and rotates
EP1927811A1 (en) An equipped kitchen element having a hood and tiltable cooking range
US5177912A (en) Computer workstation
US5662396A (en) Bedside cabinet for storing appliances
US20050275322A1 (en) Wheelchair accommodating system
KR102217618B1 (ko) 모니터 승하강 전동책상
KR101126667B1 (ko) 컴퓨터 책상
CN110292254A (zh) 一种带有智能升降系统的办公会议桌
US5842758A (en) Sky cabinet work station
KR20200120270A (ko) 상판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다용도 수납가구
EP0797716B1 (en) Multi-purpose quarters
US20220087411A1 (en) Height-adjustable workstation and furniture combination
KR102367050B1 (ko) 모니터의 수납이 가능한 책상
KR102254423B1 (ko) 음성인식 융복합 슬림형 모니터승강기의 제어장치
US20130018510A1 (en) Selectively Networked Extension and Retraction Arrangements
CN112675023B (zh) 一种自动开门的桑拿舱
KR101153157B1 (ko) 모니터 승강장치
EP2861102A1 (en) Liftable/lowerable b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