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381B1 - 폐비닐체 소각열로 해수가 정수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폐비닐체 소각열로 해수가 정수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381B1
KR102217381B1 KR1020180066522A KR20180066522A KR102217381B1 KR 102217381 B1 KR102217381 B1 KR 102217381B1 KR 1020180066522 A KR1020180066522 A KR 1020180066522A KR 20180066522 A KR20180066522 A KR 20180066522A KR 102217381 B1 KR102217381 B1 KR 102217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seawater
supply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0138A (ko
Inventor
민승기
민병이
Original Assignee
민승기
민병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민병이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180066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381B1/ko
Publication of KR20190140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using waste heat from other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using solar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8Off-grid powered water treatment
    • Y02A20/212Solar-powered wastewater sewage treatment, e.g. spray evapo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비닐물의 소각열로 해수의 정수된 용수를 농지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뭄이 계속되거나 여름철에 비치는 태양열으로, 터밭이나 과수원에 영농 등을 가꾸어 주는 용수 공급장치와, 이에 부가적으로 응축수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특히 건조로 가뭄이 형성되거나 낮은지역의 저수지, 연안지역의 해수면에 저장되는 용수를 사용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을 하면.
하천이나 연안지역에 저장되는 하천수면(해수면)(115)에 부유로 떠있도록 부기대가 구비된 프레임에 장착으로 태양광이 비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태양광발전판 모듈과, 상기 모듈의 저측면에 제1자켓으로 구비된 제1가열공간와, 상기 제1가열공간에서 가열된 가열공기를 해수면 저장탱크에 조사로 1차가열시켜 주고,
별도의 제2태양광발전판 모듈과, 상기 모듈의 저측면에 제2자켓으로 구비된 제2가열공간와, 상기 제2가열공간에서 가열된 가열공기로 비닐폐기물을 예열로 건조화시켜 주고,
상기 1차가열된 해수를 수증기 증발을 촉진시켜 주기 위하여, 별도의 제2저장탱크에 공급시켜 주되, 상기 건조화로 예열된 비닐폐기물의 연소(소각)으로 재가열시켜 주고,
상기 제2저장탱크에서 증발된 수증기를 지중에 매설로 연결하는 수증기공급관에 별도로 냉각장치에서 분기관으로 공급된 냉풍기를 분사로, 응결된 응결수를 저장하는 응결수용 저장통과, 상기 응결하고 남은 수증기를 경작지에 매설된 분출관으로 공급된 응결수를 경작지에 급수하여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폐비닐체 소각열로 해수가 정수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장치{Omitted}
본 발명은 폐비닐체 소각열로 해수가 정수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뭄이 계속되면서 여름철에 비치는 태양열의 가열로 해수를 1차예열시켜 주되, 1차예열된 해수를 폐비닐체의 소각으로 증발된 수증기를 응축으로 정수화와 아울러, 정수화로 생산된 용수를 터밭이나 과수원의 농지에 공급으로 급수효과로 제공되는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사회의 도시화로 발생하는 합성수지제의 폐기물은 과잉발생으로 매립이나 소각하는데 사회문제가 되는 것이다.
또한 기후변화로 강수량 편중되는 건조지역에서도 용수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는 것이다.
가뭄의 시기에는 대부분 쾌청한 날씨로 태양광이 비치고 있으며, 또한 연안지역, 섬 주변의 해수는 염도가 높아서 직접사용은 불가하며, 또한 경작지 사용을 위한 정수공정은 고가의 에너지비용이 소요되는 것이다.
또한 산업사회의 발달로 증가되는 폐비닐물(이하;폐비닐체로 칭한다)는 소각이나 매립으로 처리하나 도시화 등으로 발생량이 과잉상태이며, 특히 해수로 흘러서 바다 전체의 생태계 악영향이 끼치려고 예상되는 것이다.
또한 건조한 지역이나 쾌청한 날씨에는 태양광발전 모듈의 설치에 대한 경제성이 높으며, 또한 상기 모듈의 가열에너지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는 현실이며, 특히 하천 등에 저장된 용수로 가뭄지역에 공급하고 있으나, 심해지는 건조화로 다년생으로 성장되는 과실수의 뿌리 부근, 즉 농지의 지중에 용수의 공급수행이 증가되는 상태이다.
이는 연안지역의 해수를 친환경적인 정수로서 터밭(토지)에 방울방울 형태의 초절약형으로 공급하는 추세이며, 특히 원예용 비닐하우스에 구비된 실내공간은 외부와 차단으로 실내의 온도 및 습도조절이 용이한 상태이다.
본인의 선 발명 출원 등록된 10-2015-0028616호에 의하면, 폭염이 비치는 여름철에 연안지역의 해수면에 비치는 태양광의 활용으로 해수를 정수화 시켜주도록 제공되었다.
또한 본인의 선 발명 등록된 10-1406894호에서는 발전판에 구비된 태양열가열로 축사, 농산물의 부산물을 건조시켜 주도록 제공되었다.
또한 본인의 선 발명 등록된 10-1208307호에 소개된 바와 같이, 해수면에 부유된 폐비닐체를 수거로서, 친환경적으로 해수면에 부유물을 건져주도록 제공되었다.
또한 대부분 경작지에서 작물성장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지중에 스며든 용수나 적절량의 물의 공급시켜 주는데, 건조지역에서는 강우량의 부족으로 작물성장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하천수 또는 연안지역의 심해부위의 온도는 지역에 따라 수면부위와 비교하여 낮은수온을 형성하여 주는 것이다.
상기 태양열발전판의 저측면에 구비된 가열공간에서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제1가열공간에서 해수를 예열함과 동시에, 별도로 건조탱크에서 예열로 건조된 폐비닐체를, 소각장치에서 소각으로 가열되는 해수의 증발공정에서 증발에너지의 절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증발된 수증기용 응축장치에 대한 구성은, 상기 소각장치에서 소각으로 가열되는 해수의 증발공정에서 증발되는 수증기가 공급되는 파이프가 지중매설되는 구간에서, 상기 파이프에 구비되는 응결구간에 흐르는 응결관에서, 수증기가 해수로 조절되는 수증기온도와 지중매설된 지중온도로 수증기가 응축온도로 조절됨으로서, 응축된 용수를 토양에 공급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1차 가열된 해수를 폐비닐체를 소각으로 수증기로 증발함으로서, 해수의 증발에너지 절감을 제공함이며, 또한 지중의 낮은 온도와 같은 저온상태로 낮아지는 효과로, 소각장치에서 공급된 수증기가 응축된 용수를 비닐하우스의 토지에 공급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증발되는 수분을 심해의 저온이용으로 응결량을 증대시켜주는 장치가 요구되는 현실이다.
삭제
연안(120)지역에 인접되는 해수면(115)에 부유로 떠있는 부기대(135)와, 상기 부기대(135)에서 프레임(125)으로 고정되면서 각각 제1가열공간(155)이 구비된 태양광발전용 제1모듈(140)과, 상기 연안지역(120)에 고정되는 제2가열공간(156)이 구비된 태양광발전용 제2모듈(141)과,
상기 제1,2가열공간(155)(156)에서 발생되는 가열공기를 지중(138)에 매설된 파이프(174)에 공급으로, 경작지구(190)에 해수가 정수된 용수를 공급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공간(155)에서 가열공기가 공급되도록 공급관(146)으로 연결되는 자켓(160)으로 구비된 해수용 가열탱크(158)와, 상기 가열탱크(158)에서 가열된 해수를 제2공급관(146')으로 공급되는 수증기증발공간(153)이 구비된 폐비닐체(211)용 소각장치(200)와, 상기 소각장치(200)의 수증기증발공간(153)에서 증발된 수증기를 파이프(187)로 공급시켜 주는 수증기공급관(246)과,
상기 제2가열공간(156)에서 가열된 가열공기가 공급된 폐비닐체(211)용 건조장치(236)와, 상기 건조장치(236)는 폐비닐체(211) 건조공간(a)이 형성되도록 덮개(246')이 구비된 자켓(160)과, 상기 건조장치(236)에서 연결되는 분기관(171)으로 가열공기가 공급되도록 파이프(187)에 조립되는 응결관(247)과, 상기 응결관(247)의 외측으로 수증기 용수화로 응결시켜주는 응결구간(178)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몸체(142)와, 상기 응결구간(178)에는 응축효과를 보강시켜 주도록 해수온도가 낮은 심해(118)에 구비된 펌프(133)에 연결된 파이프(187')로 해수가 공급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가열탱크(158)에서 공급관(146)으로 연결된 노즐관(162)으로 가열공기가 분출되는 자켓(160)과,
상기 소각장치(200)에 구비되는 제2가열탱크(255)에 유입된 해수가 폐비닐체(211)의 소각으로 수증기를 발생시켜 주는 수증기증발공간(153)와,
상기 수증기증발공간(153)에서 증발된 수증기를 수증기공급관(246)으로 공급시켜 주는 파이프(187)와,
상기 제2모듈(141)에 구비되는 제2가열공간(156)에서 가열된 가열공기를 제2가열공간(156)의 저측구간에 연결되는 공급관(146)으로 공급된 가열공기로, 폐비닐체(211)을 건조시켜 주는 건조탱크(236)와,
상기 건조탱크(236)의 하측구간에 내장되는 가열공기용 공급관(146)에서 가열공기가 다수개의 분출구(191)가 관통된 분출관(198)에서 분출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소각장치(200)의 상,하측구간에다 연소장치(258) 및 수증기증발공구간(153)이 각각 구비되도록 가열판(159)으로 분리되는 수증기증발장치(150)과,
삭제
상기 수증기증발장치(150)에서 증발되는 수증기를 응결관(247)에 공급시켜 주도록 호파(188)에 조립된 수증기공급관(246)으로 수증기를 공급시켜 주도록 파이프(187)에 구비된 응결관에 수증기를 유입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가뭄으로 용수가 부족한 연안지역에 태양광 가열과 도심지에서 발생한 폐비닐체의 소각열로 해수가 정수화된 용수를 연안지역의 원예단지에 공급하는 발명으로서, 아울러 가뭄지역의 경작지에 용수와 같이 수증기를 공급하는 발명으로서, 매립으로 폐비닐체의 오염방지나 기후변화로 가뭄이 증가하는 시대에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를 도시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2는 도 1에서 요부에 대한 부분 확대된 절개도
도 3은 도 1에서 요부에 대한 조립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일부 절개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요부에 대한 분리된 상태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요부에 대한 일부 절개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요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에 대한 일부 절개된 단면도
가뭄이 계속되면서 여름철에 비치는 태양열의 가열로 해수를 예열시켜 주되, 비닐폐기물을 소각으로 증발된 해수를 액체화로 제공되는 용수를 원예단지 등에 제공되는 발명으로서, 특히 생활포장용 비닐의 폐기물로 형성되는 폐비닐체를 정수를 위한 소각하는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아열대 지역이나 여름철에 비치는 태양열을 태양광발전판에서 가열된 공기로 해수를 예열시켜 주되, 폐비닐체의 건조와 소각으로, 상기 예열된 해수를 증발시켜 준 수증기를 지중매설된 파이프에서, 응축공정으로 얻어지는 용수를 터밭이나 영농단지에 제공되는 정수장치로서, 특히 가뭄으로 용수부족이 형성되거나 연안지역의 해수면에서 용수를 개발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현장시공을 위한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를 도시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요부에 대한 부분 확대된 절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서 요부에 대한 조립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일부 절개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요부에 대한 분리된 상태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요부에 대한 일부 절개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요부의 사시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업사회에서 생활포장물인 폐비닐체를 매립이나 소각 등으로 처리하고 있으나, 발생량의 증가로 환경오염이나 해양오염의 요인이 되는 것이다. 고로 상기 제1,2태양열발전판의 저면에 각각 구비된 제1,2가열공간에서 가열된 고온의 공기로, 별도의 소각장치에서 해수를 1차로 예열한 다음, 별도의 소각장치에서 예열로 건조된 폐비닐체를 소각으로 1차예열된 해수를 증발공정으로 수증기 제공과, 별도로 폐비닐체의 건조공정에서 제공된 가열공기로 지중매설된 파이프에 구비된 응축구간에서 수증기를 응축시켜 제공된 용수를 제공하는 증발에너지의 절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고로 본 발명은 기후변화로 준 건조지역으로 변화되거나, 사막화 지역에서 건조지역이면서 수온이 높은 온도로 형성되는 지역에 유용하도록 제공시켜 주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인 태양광가열로 폐비닐체를 건조와 소각 및 해수를 증발된 수증기를 응축으로 용수개발하는 공정을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이를 시공 현장에 맞추어 실시되는 일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2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연안(120)지역에 인접되는 하천수면이나 해수면(115)에 부유되는 작업선(137)이나 해수면에 부유된 부기대(135)의 프레임(125)에 장착되면서 각각 제1가열공간(155)이 구비되면서 태양광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태양광발전용 제1모듈(140)과, 상기 연안(120)지역에 별도로 고정되는 제2가열공간(156)이 구비된 태양광발전용 제2모듈(141)의 구비시켜 준다.
여기서 본 발명의 목적인 해수를 가열과 폐비닐체의 소각으로 수증기 증발을 위하는 소각장치와, 상기 폐비닐체(211)의 건조를 수행하면서 공급되는 가열공기로 지중매설된 응결관에서 응축수응결로 용수를 공급시켜 주는 응축장치로 구성되는 발명이다.
고로 상기 제1가열공간(155)에서 가열공기가 공급되도록 공급관(146)으로 연결되는 자켓(160)으로 구비된 해수용 가열탱크(158)와, 상기 가열탱크(158)에서 가열된 해수를 제2공급관(146')으로 공급되는 수증기증발공간(153)이 구비된 폐비닐체(211)용 소각장치(200)와, 상기 소각장치(200)의 수증기증발공간(153)에서 증발된 수증기를 파이프(187)로 공급시켜 주도록 수증기공급관(246)을 구비시켜 준다.
즉 폭염기에 비치는 태양열로 가열되도록 구비된 태양광발전용 제1모듈(140)에서 유입구와 배출구가 상,하측으로 구비되는 제1가열공간(155)에서 해수를 가열하기 위하여, 해수면(115)에서 유입관(144)으로 유입된 해수를 가열시켜주도록, 제1가열공간(155)에서 공급관(146)으로 연결된 노즐관(162)에서 가열공기가 분출되도록, 자켓(160)으로 조립된 해수의 가열탱크(158)와, 상기 가열탱크(158)에서 가열된 해수를 제2공급관(146')으로 공급하여 주되, 폐비닐체(211) 소각으로 해수를 증발시켜 주도록 수증기증발공간(153)이 구비된 폐비닐체(211)용 소각장치(200)와, 상기 소각장치(200)의 수증기증발공간(153)에서 증발된 수증기를 수증기공급관(246)으로 파이프(187)에 공급시켜 준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인 폐비닐체에 대한 소각열로 증발된 수증기를 응축으로 용수제공하는 발명을 위한 효과적인 구조는, 경작지구(190)에 매설되는 파이프(187)를 응결관(247)로 제공으로서 응축수효과를 보강시켜 주기 위하는 발명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2모듈(141)의 저측면에 구비된 제2가열공간(156)에서 가열된 가열공기를 공급관(146)으로 공급된 폐비닐체(211)용 건조장치(236)에는, 폐비닐체(211) 건조공간(a)이 형성되도록 덮개(246')이 구비된 자켓(160)과, 상기 건조장치(236)에서 배출하는 가열공기를 분기관(171)으로 가열공기가 공급되도록 파이프(187)에 조립되는 응결관(247)에 공급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따라서 상기 소각장치(200)에 고정되는 제2가열탱크(255)에다 공급관(146 )으로 해수가 공급되는 수증기증발공간(153)에서 소각되는 폐비닐체(211)를 효과적으로 소각하도록 태양광가열로 건조시켜 주기 위하여, 첨부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모듈(141)의 저측면에 구비된 제2가열공간(156)에서 가열된 가열공기를 공급관(146)으로 건조장치(236)에 공급시켜 준다.
상기 건조장치(236)에서 연결되는 분기관(171)으로 가열공기가 공급되도록 파이프(187)에 조립되는 응결관(247)과,
상기 응결관(247)의 외측으로 수증기 용수화로 응결시켜주는 응결구간(178)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몸체(142)의 구비로서, 후술로 설명되는 응결구간(178)에 응축효과를 보강시켜 주도록 해수온도가 낮은 심해(118)에 구비된 펌프(133)에 연결된 파이프(187')로 해수가 공급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건조장치(236)에서, 지중의 저온을 이용으로 응축수형성이 보강되도록 매설구간에 형성된 응결관(247)과, 상기 응결관(247)의 외측구간을 감싸주는 몸체(242) 사이에 형성되는 응결구간(178)으로 구비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응결관(247)의 단부는 토지로 형성된 경작지구(190)에 수증기 공급용 분출구(185)의 구비로서 토양에 용수 또는 수증기를 분출로 제공시켜 주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187)에서 분기되는 분기관(168)은, 별도의 응결구간(178)에서 응축으로 형성된 용수 중에서 일부가 저장되도록 구비된 저장통(148)으로 연결시켜 준다.
또한 태양광발전판 모듈(140)은 많은 량의 태양광을 흡수시켜 주기 위하여 넓은면적의 모듈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고로 이에 대하여 적절한 용량을 유지시켜 주기 위하여 다수개의 제1가열공간(155)으로 결합시켜 주는 것이다.
고로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열공간(155)의 구간을 다수개로 연결되도록 자켓(160)으로 구비되는 가열탱크(158)과, 상기 가열탱크(158)이 결합되는 벽체리브(173)으로 통과구(147)가 서로 연결시켜 준다.
또한 상기 건조장치(236)을 상,하측 구간으로 분리시켜 주도록 건조공간(a)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덮개(246')과,
상기 하측구간에는 가열공기 공급관(146)을 결합되는 분출관(198)을 구비시켜 주고, 상측구간에는 폐비닐체(211)을 건조하려는 건조공간(a)으로 안치시켜 주되, 분출관(198)을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폐비닐체(211)에 건조효율을 보강시켜 주기 위한 덮개(246')에 구비된 가열공기 배출구(b)로 연결된 배기관(171)으로 구비시켜 준다.
고로 건조장치(236)의 하측구간으로 내장되는 가열공기용 공급관(146)에서 연결되는 다수개의 분출관(198)과, 상기 분출관(198)에 관통되는 분출구(179)와, 상기 분출관(198)에는 제2모듈(141)의 저측면에 구비된 제2가열공간(156)에서 가열된 공기의 분출로서 폐비닐체(211)을 건조시켜 줌과 동시에 공기배출구(b)로 배출된 배출공기는 지중매설된 응결관(247)으로 공급이며, 이는 응결구간(178)에서 응축수가 응축되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삭제
또한 상기 폐비닐체(21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각장치(200)에 구비되는 가열판(159)으로 상하측으로 분리되는 연소장치(258)와 수증기증발공간(153)과, 상기 수증기증발공간(153)에는 역 나팔형의 호파(188)에 연결되는 수증기공급관(246)으로, 미 도시된 펌프로 응결구간(178)으로 공급시켜 준다. 여기서 수증기증발공간(153)에서 증발된 수증기를 응결구간(178)으로 공급시켜 주기 위한 설명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결구간(178)용 몸체(142)에는 응축효과를 보강시켜 주도록 해수온도가 낮은 심해(118)에 구비된 펌프(133)와 순환용 파이프(187')로 연결시켜 주는 것이다. 여기서 간혹 응축율의 낮아서 토양에 용수공급이 부족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바, 상기 응축공정에서 잉여로 응축된 용수를 저장하는 응결수용 저장통(148)에서, 제2펌프(233)로 연결된 파이프(187)로 경작지구(190)의 지중에 식수된 과수의 뿌리부근의 토지를 적셔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건조장치(236)에 대한 설명은, 상기 건조장치(236)는 폐비닐체(211) 건조공간(a)이 형성되도록 덮개(246')이 구비된 자켓(160)과, 상기 건조장치(236)에서 연결되는 배기관(171)으로 가열공기가 공급되도록 파이프(187)에 조립되는 응결관(247)과, 상기 응결관(247)의 외측으로 수증기 용수화로 응결시켜주는 응결구간(178)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몸체(142)로 제공시켜 준다.
상기 응결구간(178) 형성용 벽체(이하;몸체라 칭한다)(142)에는 응축효과를 보강시켜 주면서, 응결관(247)에서 응축수 응결력을 보강하도록 해수온도가 낮은 심해(118)를, 펌프(133)가 구비되는 순환용 파이프(187')로 공급시켜 준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187)을 경작지구(190)에 매설된 응결구간(178)에 연결로서, 심해(118)에서 공급되는 낮은온도의 해수를 공급으로 파이프(187)에 공급된 수증기가 응결관(247)에서 응축수 응결력을 보강으로, 경작지구(190)에 형성된 분출구(185)로 용수공급을 보강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응결관(247)에서 수증기 응축력의 부족으로 수증기 중의 일부는 경작지구(190)으로 분출로서, 토지에 용수가 공급되는 효과를 제공시켜 준다.
또한 해수의 증발과정에서 증발된 수증기는 지중매설된 응결구간(178)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지중의 온도와 같은 상태로 낮아지는 효과와 아울러, 수증기와 접촉하는 토지는 수분을 공급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일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변경, 변형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115 : 해수면 120 : 연안지역 125 : 프레임 126 : 이송관
130 : 관통구 133 : 펌프 135 : 부기대 138 : 지중 140 : 제1모듈
146 : 공급관 148 : 저장통 147 : 통과구 150 : 수증기발생장치
151 : 태양광발전판용 블럭 153 : 수증기증발공간 155 : 제1가열공간
158 : 가열탱크 168 : 분기관 170 : 경작지역
173 : 벽체리브 178 : 응결구간 185 : 분출구
187 : 파이프 190 : 경작지구 200 : 소각장치 236 : 건조장치
246 : 수증기공급관 246' : 덮개 247 : 응결관 258 : 연소장치

Claims (3)

  1. 연안(120)지역에 인접되는 해수면(115)에 부유로 떠있는 작업선(137)이나 부기대(135)와, 상기 부기대(135)에서 프레임(125)으로 고정되면서 각각 제1가열공간(155)이 구비된 태양광발전용 제1모듈(140)과, 상기 연안지역(120)에 고정되는 제2가열공간(156)이 구비된 태양광발전용 제2모듈(141)과,
    상기 제1,2가열공간(155)(156)에서 발생되는 가열공기를 지중(138)에 매설된 파이프(174)에 공급으로, 경작지구(190)에 해수가 정수된 용수를 공급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공간(155)에서 가열공기가 공급되도록 공급관(146)으로 연결되는 자켓(160)으로 구비된 해수용 가열탱크(158)와, 상기 가열탱크(158)에서 가열된 해수를 제2공급관(146')으로 공급되는 수증기증발공간(153)이 구비된 폐비닐체(211)용 소각장치(200)와, 상기 소각장치(200)의 수증기증발공간(153)에서 증발된 수증기를 파이프(187)로 공급시켜 주는 수증기공급관(246)과,
    상기 제2가열공간(156)에서 가열된 가열공기가 공급된 폐비닐체(211)용 건조장치(236)와, 상기 건조장치(236)는 폐비닐체(211) 건조공간(a)이 형성되도록 덮개(246')이 구비된 자켓(160)과, 상기 건조장치(236)에서 연결되는 배기관(171)으로 가열공기가 공급되도록 파이프(187)에 조립되는 응결관(247)과, 상기 응결관(247)의 외측으로 수증기 용수화로 응결시켜주는 응결구간(178)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몸체(142)와, 상기 응결구간(178)에는 응축효과를 보강시켜 주도록 해수온도가 낮은 심해(118)에 구비된 펌프(133)에 연결된 파이프(187')로 해수가 공급하도록 제공되는 폐비닐체 소각열로 해수가 정수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탱크(158)에서 공급관(146)으로 연결된 노즐관(162)으로 가열공기가 분출되는 자켓(160)과,
    상기 소각장치(200)에 구비되는 제2가열탱크(255)에 유입된 해수가 폐비닐체(211)의 소각으로 수증기를 발생시켜 주는 수증기증발공간(153)와,
    상기 수증기증발공간(153)에서 증발된 수증기를 수증기공급관(246)으로 공급시켜 주는 파이프(187)와,
    상기 제2모듈(141)에 구비되는 제2가열공간(156)에서 가열된 가열공기를 제2가열공간(156)의 저측구간에 연결되는 공급관(146)으로 공급된 가열공기로, 폐비닐체(211)을 건조시켜 주는 건조탱크(236)와,
    상기 건조탱크(236)의 하측구간에 내장되는 가열공기용 공급관(146)에서 가열공기가 다수개의 분출구(191)가 관통된 분출관(198)에서 분출되도록 제공되는 폐비닐체 소각열로 해수가 정수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장치(200)의 상,하측구간에다 연소장치(258) 및 수증기증발공구간(153)이 각각 구비되도록 가열판(159)으로 분리되는 수증기증발장치(150)과, 상기 수증기증발장치(150)에서 증발되는 수증기를 응결관(247)에 공급시켜 주도록 호파(188)에 조립된 수증기공급관(246)으로 수증기를 공급시켜 주도록 파이프(187)에 구비된 응결관에 수증기를 유입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폐비닐체 소각열로 해수가 정수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장치.
KR1020180066522A 2018-06-11 2018-06-11 폐비닐체 소각열로 해수가 정수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장치 KR102217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522A KR102217381B1 (ko) 2018-06-11 2018-06-11 폐비닐체 소각열로 해수가 정수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522A KR102217381B1 (ko) 2018-06-11 2018-06-11 폐비닐체 소각열로 해수가 정수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138A KR20190140138A (ko) 2019-12-19
KR102217381B1 true KR102217381B1 (ko) 2021-02-18

Family

ID=69056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522A KR102217381B1 (ko) 2018-06-11 2018-06-11 폐비닐체 소각열로 해수가 정수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3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67542B (zh) * 2021-03-11 2021-12-28 巢湖学院 一种浮体稳定性实验持续供电保障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746B1 (ko) 2017-01-18 2018-07-04 최동민 선박을 이용한 폐기물 연소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539A (ko) * 2001-02-12 2002-08-19 김재숙 폐기물 고형연료 소각장치를 이용한 온수 및 온풍공급시스템
KR20040009151A (ko) * 2002-07-22 2004-01-31 박무현 폐기물 소각열을 이용한 대체에너지 생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8449B1 (ko) * 2015-01-09 2018-07-23 민승기 연안지역용 신재생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746B1 (ko) 2017-01-18 2018-07-04 최동민 선박을 이용한 폐기물 연소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138A (ko)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0214A (en) Irrigation system and irrigation method
US6116034A (en) System for producing fresh water from atmospheric air
CN108633541A (zh) 一种可用海水直接灌溉的太阳能自产淡水种植装置
US4856281A (en) Solar power plant and still
GB2528975A (en) Desalination and underground irrigation system
CN208402603U (zh) 一种可用海水直接灌溉的太阳能自产淡水种植装置
JP2021516981A (ja) ソーラー温室アクアポニックス及びアメリカミズアブコンポスタ及び自動魚給餌器用のシステム及び方法
AU2021273589A1 (en) Water management system
KR102217381B1 (ko) 폐비닐체 소각열로 해수가 정수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장치
CN101642034A (zh) 水封闭循环种植大棚
CN102715070A (zh) 海洋农业多功能种植盘与防风采水蓄光大棚
KR100965403B1 (ko)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
CN207017350U (zh) 一种自然循环的淡水采集装置
Chaibi et al. Solar thermal processes: A review of solar thermal energy technologies for water desalination
KR20100081698A (ko) 친환경적인 옹벽용 블록
CN103109694A (zh) 大气形态循环转化多功能水陆建筑立体种植装置
KR102332402B1 (ko) 해수면에서 용수 및 소금생산을 위한 태양광발전장치
AU620918B2 (en) Method of and means for controlling the volume and salinity of water in a reservoir
CN107996368B (zh) 一种水汽远距离输送及供给系统
KR102076849B1 (ko) 해수면에서 태양광가열로 응축수 응축보강을 위한 응축장치
KR101344073B1 (ko) 토양 내 염분·오염물질 차단, 수분·양분공급 및 과습·유해가스배출의 다목적 시스템
RU2072769C1 (ru) Мелиоративное обустройство пустинных долин по системе мамырина
KR102568856B1 (ko) 해수면에서 부유물의 수거 및 소각처리용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SU165537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лива минерализованной водой
KR20100081697A (ko) 응축수 포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