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395B1 - 디스크 니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니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395B1
KR102216395B1 KR1020180110933A KR20180110933A KR102216395B1 KR 102216395 B1 KR102216395 B1 KR 102216395B1 KR 1020180110933 A KR1020180110933 A KR 1020180110933A KR 20180110933 A KR20180110933 A KR 20180110933A KR 102216395 B1 KR102216395 B1 KR 102216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disk
skin
flow path
disk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1888A (ko
Inventor
윤형
Original Assignee
윤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형 filed Critical 윤형
Priority to KR1020180110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395B1/ko
Publication of KR20200031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76Tattoo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61Methods for using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ir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착색제나 약물 등의 용액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피부에 침투시킬 수 있도록, 중앙에 회전축이 끼워지도록 중심홀이 형성된 원판, 및 상기 원판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방사방향으로 돌출되어 피부를 절개하는 복수의 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판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는 중심홀 쪽에서 상기 침부로 연장되어 용액이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 디스크 니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크 니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DISK NEEDLE AND SKIN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개시내용은 피부 시술을 위한 디스크 니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영구 화장이나 문신을 위한 착색제 또는 피부 관리용 약물을 피부에 침투시키기 위해 니들이 구비된 시술장치가 사용된다. 니들은 피부를 천공하여 미세 구멍을 형성한다. 착색제나 약물은 니들에 의해 형성된 미세 기공을 통해 피부에 보다 효과적으로 침투될 수 있다.
니들 중 디스크 형태의 니들은 원판 외주면을 따라 미세한 침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디스크 니들을 피부를 따라 디스크를 굴려주는 것으로 간단하게 미세한 구멍을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최근 들어, 문신이나 반영구 화장이 유행하면서 착색제나 약물을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원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침투시키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눈썹, 입술, 아이라인, 문신 등과 같은 반영구 화장 시술의 경우, 니들로 피부를 천공함과 더불어 착색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피부에 침투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시술 과정에서 고가의 착색제가 증발되어 낭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원하는 위치에만 원하는 형태대로 착색제를 피부에 침투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니들은 단지 피부에 구멍을 뚫는 데 적합한 구조로, 착색제나 약물을 피부의 원하는 위치에 빠르고 정확하게 침투시켜 피부에 흡수되도록 하는 데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디스크 형태의 니들을 이용하여 피부에 신속하고 정밀하게 착색제나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한국공개특허 제2009-0073716호(발명의 명칭 : 디스크 니들 롤러)
본 과제는 착색제나 약물 등의 용액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피부에 침투시킬 수 있도록 된 디스크 니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착색제나 약물 등의 용액을 보다 효과적으로 피부에 직접 주입시킬 수 있도록 된 디스크 니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니들에 진동을 가하여 착색제나 약물 등의 용액 침투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된 디스크 니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피부를 쉽게 절개할 수 있도록 하여 착색제나 약물 등의 용액 침투 효과를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된 디스크 니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시술자가 디스크 니들을 사용하는 손의 압력 조절에 따라서 침부의 날이 피부 속으로 삽입되는 깊이와 절개 상태 등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시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디스크 니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은 시술자가 디스크 니들을 보다 쉽고 정밀하게 조작하여 시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디스크 니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시술장치는, 피부에 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디스크 니들, 상기 디스크 니들의 중심홀에 끼워져 디스크 니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부재, 일측 선단에 상기 축부재가 장착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된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부재를 클램핑하고 상기 로드에 체결되는 연결소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에 결합되어 시술자 손에 지지되며 상기 로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되는 회전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는 상기 로드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로드를 중심으로 자유 회전되는 자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부재는 디스크 니들의 양면을 지나 외측으로 연장되는 스트립, 상기 스트립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디스크 니들의 중심홀을 관통하여 회전축을 이루는 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부재는 길게 연장된 스트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트립은 중간부가 접어져 상기 디스크 니들의 중심홀을 관통하여 끼워지고, 상기 중간부는 디스크 니들의 중심홀에 위치하여 축부를 이루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축부는 스트립의 폭방향 양 선단에 내측으로 홈부가 절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립은 상기 디스크 니들의 표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립은 상기 구멍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립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로드 또는 상기 연결소켓에 결합되는 끼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부는 상기 로드에 직접 나사 결합되도록 측단에 나사산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니들은 중앙에 회전축이 끼워지도록 중심홀이 형성된 원판과, 상기 원판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방사방향으로 돌출되어 피부를 절개하는 복수의 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홀은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깝거나 먼 철부와 요부가 교대로 형성된 요철형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중심홀은 톱니 형태 또는 다각 형태 또는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니들은 일방향을 따라 상기 각 요부의 일측 끝에 회전축에 걸리도록 돌출된 라쳇을 형성하여 회전축에 대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디스크 니들은 중앙에 회전축이 끼워지도록 중심홀이 형성된 원판과, 상기 원판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방사방향으로 돌출되어 피부를 절개하는 복수의 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판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는 중심홀 쪽에서 상기 침부로 연장되어 용액이 흐르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는 상기 원판의 표면에서 함몰 형성된 트랜치홈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유로는 원판의 방사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는 원판의 방사방향을 따라 유선 형태로 만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는 상기 침부와 연결되는 선단 토출구의 폭이 유로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유로는 상기 침부와 연결되는 선단 토출구의 폭이 유로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침부는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피부를 절개하는 한 쌍의 날, 상기 한 쌍의 날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날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유로의 선단 토출구와 연결되어 유로를 따라 흘러나온 용액을 상기 공간 내에 머물도록 하는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니들은 중앙에 회전축이 끼워지도록 중심홀이 형성된 원판과, 상기 원판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방사방향으로 돌출되어 피부를 절개하는 복수의 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침부의 날은 표면 부식을 통해 가장자리는 톱니 형태로 형성되고 표면에는 홈 형태의 분화구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본 구현예에 의하면, 니들이 피부를 절개하면서 절개된 부위로 용액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침투시켜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용액이 니들 선단으로 흘러내려 주사기와 같이 용액을 니들을 통해 바로 피부로 주입시킴으로써 원하는 부위에 정확히 용액을 침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착색제를 포함한 용액을 피부에 침투시키는 시간을 줄이고, 원하는 부위에만 선택적으로 정밀하게 용액 침투가 이루어져, 용액의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국소 부위에 선택적 정밀 시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시술자가 디스크 니들을 피부에 사용하면서 디스크 니들이 회전하는 동안 자체적으로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착색제를 포함한 용액을 주입 하게 됨변, 진동으로 인하여 피부 깊숙이 용액을 주입할 수 있고 용액의 침투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니들이 피부에 구멍을 뚫는 천공 효과에 대하여 피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절개할 수 있고, 디스크 니들의 회전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피부 절개시 절개 길이를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어 용액의 침투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니들을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니들을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축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니들과 축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니들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니들의 중심홀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니들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니들에 의한 피부 절개 상태를 나타낸 실험 사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니들의 표면 유로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니들의 날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실시예는 문신이나 반영구 화장 시술을 위해 착색제를 피부에 침투시키기 위한 디스크 니들과 시술장치를 예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피부 관리를 위한 약물이나 화장수 등의 용액을 피부에 주입하는 시술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착색제 등의 피부 주입 물질을 용액이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시술장치(100)는, 피부에 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디스크 니들(100), 디스크 니들(100)의 중심홀(212)에 끼워져 디스크 니들(10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부재(300), 일측 선단에 축부재(300)가 장착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된 로드(4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 니들(100)과 축부재(300)는 하나의 셋트를 이루어 제공될 수 있다. 디스크 니들(100)이 결합된 축부재(300)는 로드(4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필요시 디스크 니들(100)이 결합된 축부재(300)를 로드(400)에 간단히 장착하여 피부에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로드(400)는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형 파이프 구조물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단순한 구조 외에 로드(400)는 전동식으로 상하 왕복 운동과 편심축에 의한 진동 기능을 갖는 구조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드(400)는 디스크 니들(100)을 선단에 장착할 수 있는 구조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로드(400)는 선단에 디스크 니들(100)을 고정한다. 이에, 시술자는 로드(400)를 마치 연필처럼 잡은 상태로 로드(400) 선단에 설치된 디스크 니들(100)을 피부의 원하는 부위에 굴려줌으로써 피부를 절개하여 용액을 피부에 주입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시술장치는 축부재(300)를 클램핑하며 로드(400)에 체결되는 연결소켓(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드(400)에 결합되어 사용자 손과 로드(400) 사이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는 회전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소켓(500)은 스트립(310) 구조로 된 축부재(300)가 끼워지도록 선단에 슬릿(512)이 형성된 지그(510)와 지그(510)에 끼워져 슬릿(512)을 벌리거나 오므리도록 압력을 가하는 외부파이프(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외부파이프(520)를 지그(510) 선단쪽으로 가압하게 되면 지그(510)가 조여지면서 슬릿(512)에 끼워진 축부재(300)가 가압 고정된다. 로드(400)와 결합되는 연결소켓(500)의 타측 선단부분은 로드(400)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로드(400) 선단에 형성된 암나사홀에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지그(510)의 타측 선단에는 수나사축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지그(510)를 로드(400)에 나사체결하게 되면 연결소켓(500)이 로드(400)에 결합된다. 그리고 외부파이프(520)가 로드(400)에 의해 지그(510) 선단쪽으로 밀려 이동되면서 지그(510)에 압력을 가하여 지그(510)의 슬릿(512)에 끼워진 축부재(300)가 가압 고정된다.
회전구(600)는 로드(400)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재(610), 고정부재(610)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로드(400)를 중심으로 자유 회전되는 자유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610)는 원통형태로 로드(400)에 끼워져 적절한 위치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610)의 내부에는 예를 들어 로드(400)와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고무링이나 고무 패드 등의 밀착부재(6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고정부재(610)는 로드(400)에 끼워져 로드(400) 외주면에 밀착 고정된다. 자유부재(620)는 고정부재(610)에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자유부재(620)와 고정부재(610) 사이에는 베어링부재(6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자유부재(620)는 고정부재(610)가 설치된 로드(40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자유부재(620)는 시술자가 손으로 로드(400)를 팬을 잡듯이 잡았을 때, 엄지와 검지 사이 부분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외면이 오목하게 만곡된 원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시술자는 로드(400)에 설치된 자유부재(620)를 손에 밀착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손목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로드(400)를 피부곡선에 따라 혹은 시술자가 의도하는 크기의 원형 모형을 따라 마치 컴퍼스로 원을 그리듯 정밀하게 구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시술자는 로드(400)를 자유롭게 움직여 원하는 시술부위와 형태에 맞춰 디스크 니들(100)을 굴려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초보 시술자라 할지라도 원하는 모양대로 디스크 니들(100)을 이동시켜 정확한 위치에서 용액을 선택적으로 피부에 주입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화장수나 약물을 피부에 전체적으로 도포하는 시술과 달리 문신이나 반영구 화장 시술의 경우 피부를 착색시키는 것으로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형태대로 시술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와 같이 로드(400)를 손에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어 문신이나 반영구 화장 시술시에 정밀하고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다.
축부재(300)는 디스크 니들(100)의 중심홀(212)에 끼워져 결합된다. 축부재(300)는 디스크 니들(10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으로 작용한다.
축부재(300)는 디스크 니들(100)의 양면을 지나 외측으로 연장되는 스트립(310), 스트립(310) 사이를 연결하며 디스크 니들(100)의 중심홀(212)을 관통하여 회전축을 이루는 축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 니들(100)은 축부재(300)의 축부(320)를 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축부재(300)는 길게 연장된 스트립(3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트립(310)은 두께가 얇고 길게 연장된 띠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스트립(310)은 디스크 니들(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하여 강성 재질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연장된 스트립(310)은 중간부가 접어져 디스크 니들(100)의 중심홀(212)을 관통하여 끼워진다. 접혀져 마주하는 스트립(310)은 디스크 니들(100)의 양면에 위치한다. 스트립(310)의 접혀진 중간부는 디스크 니들(100)의 중심홀(212)에 위치하여 디스크 니들(100)의 회전축인 축부(320)를 이룬다.
이에, 디스크 니들(100)은 축부재(300)의 접혀진 부분인 축부(320)에 지지되어 양면에 위치한 스트립(310) 사이로 회전될 수 있다.
지그(510)의 슬릿(512)에 대한 축부재(300)의 스트립(310) 양단 삽입 길이를 달리하거나 축부재(300)에 대한 지그(510)의 고정력을 달리함으로써, 축부재(300)에 결합된 디스크 니들(100)의 회전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디스크 니들(100)은 축부재(300)의 스트립(310) 사이를 지나면서 회전되므로, 예를 들어 축부재(300)의 스트립(310)을 지그(510) 슬릿(512)에 깊게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되면 스트립(310)이 디스크 니들(100) 양면에 근접하면서 간섭이 발생되어 디스크 니들(100)의 회전감도가 저하된다. 반대로, 스트립(310)이 디스크 니들(100)에서 이격되면 디스크 니들(100)이 보다 자유롭게 회전감도가 높아져 보다 쉽게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축부재(300)의 축부(320)는 스트립(310)의 폭방향 양 선단에 내측으로 홈부(322)가 절단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축부(320)의 폭은 스트립(310)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스트립(310)의 중간부가 접혀져 축부(320)를 형성할 때, 폭방향을 따라 축부(320) 양쪽에서 스트립(310)이 축부(320)보다 상대적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룬다.
홈부(322)는 축부재(300)의 축부(320)를 중심으로 디스크 니들(100)이 회전될 때, 축부(320)가 디스크 니들(100)의 중심홀(212)에서 이탈되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축부(320)가 디스크 니들(100)의 중심홀(212) 내측 선단에 접하였을 때, 홈부(322)에 의해 축부(320)보다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스트립(310)의 폭방향 단부가 디스크 니들(100) 중심홀(212)을 지나 디스크 니들(100) 원판 쪽에 걸쳐져 있게 된다. 따라서, 홈부(322)에 의해 형성된 스트립(310)의 폭방향 단부가 원판에 걸려 축부(320)가 중심홀(212)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디스크 니들(100)은 축부재(300)에 지지된 상태로 계속 회전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홈부(322)는 축부(320)가 디스크 니들(100)의 중심홀(212) 내측 선단에 접한 상태에서 스트립(310)이 디스크 니들(100)의 원판 쪽으로 걸쳐질 수 있으면 충분하며, 그 크기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스트립(310)의 양 선단에는 로드(400) 또는 연결소켓(500)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부(31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312)는 스트립(3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형태의 끼움부(3120가 형성된 스트립(310)들을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끼움부(312)는 도 3에 도시된 구조 외에 로드(400) 또는 연결소켓(5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 외에, 끼움부(312)는 스트립(310)을 직접 로드(400)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측단이 톱니 형태로 수나사(3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스트립(310)의 끼움부(312)를 로드(400) 선단의 암나사홀(402)에 끼워 회전시켜 줌으로써, 별도의 연결소켓(500) 없이 바로 축부재(300)의 스트립 선단에 형성된 수나사(313)를 로드(400) 선단의 암나사홀(402)에 나사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트립(310)은 디스크 니들(100)의 표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314)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구멍(314)은 디스크 니들(100)을 피부에 밀착시켜 회전시키는 상태에서 구멍(314)이 디스크 니들(100)의 원판 표면이나 침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구멍(314)의 크기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구멍(314)은 예를 들어 점성의 용액이 수용되어 머무는 공간을 이룰 수 있다. 이에, 구멍(314)에 용액을 발라놓게 되면 디스크 니들(10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용액이 디스크 니들(100)의 침부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묻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시술자는 구멍(314)에 용액을 도포하는 것으로, 별도로 디스크 니들(100)의 침부에 용액을 번거롭게 찍어 바르지 않고도 모든 침부에 간편하게 용액을 묻힐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트립(310)에는 구멍(314) 쪽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31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316)는 두 개가 직선으로 연장되어 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리브(316)는 상기한 형태 외에 복수개가 격자 형태로 연장되거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리브(316)는 스트립(3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리브(316)는 공간으로 돌출되어 공간에 수용된 용액과 접하여 용액이 구멍(314)에서 급하게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구멍(314)에 수용된 용액은 리브(316)에 달라붙은 상태로 구멍(314)에서 곧바로 흘러내리지 않고 구멍(314)에 계속 머물 수 있게 된다.
디스크 니들(100)의 침부로 공급된 용액은, 피부를 따라 디스크 니들(100)이 회전 이동하는 과정에서 침부에 의해 절개된 피부로 바로 주입되어, 원하는 문신이나 반영구 화장이 정확히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피부를 절개하여 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디스크 니들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니들(100)과 축부재(30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5는 축부재(300)와 결합되는 본 실시예의 디스크 니들(100)을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 니들(100)은 회전시 진동을 발생시켜 피부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피부를 효과적으로 절개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디스크 니들(100)은, 중앙에 회전축이 끼워지도록 중심홀(212)이 형성된 원판(210)과, 원판(210)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방사방향으로 돌출되어 피부를 절개하는 복수의 침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홀(212)은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철부(232)와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요부(230)가 교대로 형성된 요철형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중심홀(212)은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홈이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절단 형성되어 요철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에, 홈은 요부(230)를 이루고 홈과 홈 사이의 중심홀(212) 내주면 부분은 철부(232)를 이루어 중심홀(212)의 내주면은 원주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요철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한 구조 외에, 중심홀의 내주면에서 중심쪽으로 돌기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요철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런 구조의 경우 돌기는 철부를 이루고 돌기와 돌기 사이의 중심홀 내주면 부분은 요부를 이루어 중심홀의 내주면은 원주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요철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에, 축부재(300)에 지지된 디스크 니들(100)이 피부에 가압된 상태로 회전 이동되면, 디스크 니들(100)의 요부(230)와 철부(232)가 축부재(300)의 축부(320)를 지나면서 디스크 니들(100)이 유동된다. 따라서, 디스크 니들(100)이 축부재(300)에 대해 회전되면, 요부(230)와 철부(232)가 연속적으로 축부(320)를 지나면서 디스크 니들(100)에 진동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피부를 따라 단지 디스크 니들(100)을 회전 이동시키는 것으로 디스크 니들(100)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축부재(300)를 가압하여 디스크 니들(100)을 피부에 누른 상태에서, 디스크 니들(100)이 회전하게 되면 축부재(300)의 축부(320)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인 철부(232)에서 낮은 위치인 철부(232)로 넘어가면서 디스크 니들(100)에 충격을 가하게 된다. 디스크 니들(100) 회전 이동에 다른 이러한 반복적인 충격에 의해 디스크 니들(100)이 진동하게 된다. 디스크 니들(100)이 진동하면서 피부를 지나게 되어 그 충격에 의해 피부가 효과적으로 절개된다. 따라서, 용액이 절개된 부위를 통해 피부 깊숙이 효과적으로 침투함으로써 문신이나 반영구적 화장이 효과적으로 시술될 수 있다. 종래 바늘을 이용하여 피부에 미세 구멍을 형성하는 시술의 경우, 용액이 제대로 피부 속 깊이 침투하지 못해 여러번 반복적으로 시술이 수행되어야 했다.
본 실시예에서, 요부(230)는 둥글게 만곡된 원형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요부(230)의 크기는 회전축 역할을 하는 축부재(300)의 축부(320)가 요부(230) 내측으로 지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요부(230)의 형성 간격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중심홀(212)의 요부(230)와 철부(232)의 형태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 외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요부(230)와 철부(232)가 형성된 중심홀(212)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중심홀(212)은 톱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톱니의 산과 골이 각각 철부(232)와 요부(230)를 이룰 수 있다. 또는 중심홀(212)은 삼각이나 사각 등의 다각 형태 또는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각형태의 중심홀(212) 변과 모서리가 각각 철부(232)와 요부(230)를 이룰 수 있다. 중심홀은 디스크 니들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멀거나 가까운 부분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형태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모서리 요부(230)의 형태 또한 원형 홈 구조 외에 삼각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각형태의 중심홀(212) 모서리에는 진동력을 높일 수 있도록 별도의 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 6에 도시된 구조의 경우에도 디스크 니들(100) 회전 이동에 따라 축부재(300)의 축부(320)는 중심홀(212)의 요부(230)와 철부(232)를 지나게 되어 디스크 니들(100)에 진동이 가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디스크 니들(100)은 원판(210)의 중심홀(212)에 다양한 형태의 요부(230)와 철부(232)를 형성함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변형 가능한 실시예들 모두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에 속한다 할 것이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 니들(100)은 일방향으로 이동시에만 피부에 대해 회전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디스크 니들(100)을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피부에 대해 회전되지 않은 상태로 이동된다. 따라서, 하나의 디스크 니들(100)을 통해 디스크 니들(100)의 회전에 의한 피부 시술은 물론 디스크 니들(100)의 비회전에 의한 피부 시술도 같이 수행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문신이나 반영구적 화장 시술의 경우 피부에 구멍을 천공하는 것 보다 길게 실선과 같은 스크래치 형태로 절개하여 착색제를 신속하게 착색 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눈썹 시술의 경우 눈썹의 형태대로 길게 절개하여 착색제를 절개 단면에 흡수시킴으로써 실제의 눈썹과 같이 길고 자연스런 모양으로 피부 착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디스크 니들(100)은 회전시 피부를 짧게 절개하게 되고, 반대로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피부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침부(220)가 피부를 길게 절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디스크 니들(100)은 일방향을 따라 각 요부(230)의 일측 끝에 라쳇(234)을 돌출 형성할 수 있다. 라쳇(234)은 요부(230)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라쳇(234)은 디스크 니들(100)에 대한 축부재(300)의 상대적 이동방향에 대해 반대쪽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라쳇(234)은 요부(230)에서 돌출되어 회전축인 축부재(300)의 축부(320)가 걸리는 걸림턱으로 작용한다. 라쳇(234)은 축부재(300)의 축부(320)가 걸려 요부(230)를 타고 철부(232)로 넘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면 충분하며 그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크 니들(100)의 라쳇(234)에 축부(320)가 걸림으로써 축부재(300)에 대해 디스크 니들(100)의 회전이 제한된다. 축부재(300)를 이동시키게 되면 디스크 니들(100)이 회전되지 않은 상태로 축부재(300)와 함께 피부를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디스크 니들(100)의 침부(220)가 피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피부를 길게 절개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디스크 니들(100)의 회전 진동 및 비회전 이동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니들(100)은 축부재(300)의 축부(320)를 회전축으로 하여지지된 상태로 피부에 밀착된다. 축부재(300)를 눌러 디스크 니들(100)을 피부에 가압한 상태에서 축부재(300)를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축부재(300)의 축부(320)는 디스크 니들(100)의 중심홀(212)에 형성된 요부(230)와 철부(232)를 지나게 된다. 요부(230)와 철부(232) 사이는 축부재(300)의 축부(320)가 걸리지 않도록 부드럽게 연결되어 있어, 축부(320)는 요부(230)를 따라 철부(232)쪽으로 부드럽게 이동된다. 이에, 디스크 니들(100)이 축부(320)에 걸리지 않고 피부에 대해 회전 이동된다. 즉, 시술자가 디스크 니들(100)을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켰을 때는 디스크 니들(100)이 회전하면서 피부를 절개하게 된다.
피부를 따라 디스크 니들(100)이 회전 이동되면 축부재(300)의 축부(320)는 중심홀(212)에 연속 형성된 요부(230)와 철부(232)를 따라 유동되면서 디스크 니들(100)에 진동이 가해진다. 축부재(300)는 시술자에 의해 디스크 니들(100)을 피부에 가압하고 있는 상태로, 축부재(300)가 요부(230)에서 철부(232)로 이동하면서 철부에 부딪쳐 디스크 니들(100)에 충격을 가해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 니들(100)의 진동 및 이에 따른 충격에너지에 의해 디스크 니들(100)의 침부(220)가 피부를 깊숙이 정밀하게 절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크 니들(100)에 묻힌 용액이 진동과 충격에 의해 피부 속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 및 착색될 수 있다.
반대로 시술자가 축부재(300)를 반대방향인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축부재(300)의 축부(320)는 디스크 니들(100)의 중심홀(212)에 형성된 요부(230)의 라쳇(234)에 걸려 요부(230)에서 철부(232)로 이동되지 못한다. 이에, 축부재(300)에 대해 디스크 니들(100)은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축부재(300)가 계속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디스크 니들(100)은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축부재(300)와 같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 니들(100)의 침부(220)가 피부를 따라 계속 이동하여 스크래치 형태로 피부를 길게 절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 방향에 따라 디스크 니들(100)을 회전시켜 피부를 미세한 크기로 연속적으로 절개하거나 디스크 니들(100)을 고정시켜 스크래치 형태로 길게 절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하나의 디스크 니들(100)을 사용하여 단지 이동방향을 전환하는 것으로 피부 천공과 절개의 다양한 형태의 시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니들에 의한 절개 실험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실험은 사람의 피부와 유사한 바나나 표면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 니들의 회전감도를 조절하거나 회전을 제한함으로서, 다양한 길이의 절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8에서 가장 위쪽 라인은 디스크 니들의 회전감도를 높여 보다 자유롭게 디스크 니들이 회전될 때의 피부 절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서 중간의 라인은 디스크 니들의 회전감도를 상대적으로 낮춰 디스크 니들의 회전이 힘들때의 실험 결과이다. 이와 같이, 디스크 니들의 회전감도를 높이거나 낮춤으로써, 상대적으로 매우 짧은 길이에서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실선 형태로 피부를 절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에서 가장 아래쪽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 니들을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연속적으로 긴 길이의 실선 형태로 피부를 절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험은 바나나 표면을 이용하여 실시되었으나, 피부 역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디스크 니들(100)은 용액을 침부(220)로 유도하여 흘러나가도록 함으로써 피부에 보다 효과적으로 침투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디스크 니들(100)은 적어도 한쪽 표면에 중심홀(212) 쪽에서 침부(220)로 연장되어 용액이 흐르는 유로(240)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240)는 디스크 니들(100)의 각 침부(220)에 대응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로(240)는 디스크 니들(100)의 원판(210)에서 침부(220)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디스크 니들(100)이 회전하게 되면 용액이 원심력에 의해 유로(240)를 따라 디스크 니들(100)의 외측 선단 형성된 침부(220)로 흘러나가게 된다. 유로(240)를 따라 용액을 침부(220)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침부(220)가 피부를 절개하면서 침부(220)로 흘러간 용액이 바로 피부에 주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크 니들(100) 표면의 유로(240)를 통해 용액을 침부(220)로 이동시켜 마치 주사기와 같이 침부(220)를 통해 용액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침투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로(240)는 원판(210)의 표면에서 함몰 형성된 트랜치홈 구조일 수 있다. 유로(240)는 용액이 유로(240)를 타고 흘러나갈 수 있으면 충분하며 그 파여진 깊이나 폭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유로(2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유로(240)는 방사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사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외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240)는 원판(210)의 방사방향을 따라 유선 형태로 만곡 형성될 수 있다. 유로(240)가 유선 형태로 만곡된 구조의 경우 디스크 니들(100) 회전시 용액이 유로(240)를 따라 보다 원활하게 침부(220) 쪽으로 흘러나갈 수 있게 된다.
도 9에서 유로(240)는 침부(220)와 연결되는 선단 토출구(242)의 폭이 유로(24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좁다는 것은 유로 전체적으로 또는 유로 선단 쪽에서 토출구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또는 급격히 폭이 줄어드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유로(240)는 침부(220)와 연결되는 선단 토출구(242)의 폭이 유로(240)의 폭과 같거나 유로(24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구조일 수 있다. 상대적으로 넓다는 것은 유로 전체적으로 또는 유로 선단 쪽에서 토출구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또는 급격히 폭이 확장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로(240)의 선단 토출구(242)의 폭을 달리 형성함으로써, 용액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고, 용액의 점성도에 따라 적절한 양으로 용액을 배출 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점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용액은 유로(240)를 따라 천천히 흘러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유로(240) 선단 토출구(242)의 폭을 좁게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점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용액은 유로(240)보다 선단 토출구(242)의 폭을 확장 형성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흘러나갈 수 있게 된다. 이에, 용액의 점성에 관계없이 시술에 필요한 균일한 양으로 용액을 배출하여 피부에 침투시킬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디스크 니들(100)을 지지하고 있는 축부재(300)의 스트립(310)에는 용액이 수용되는 구멍(314)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314)은 원판(210)에 형성된 유로(240)와 연통되므로, 구멍(314)에 수용된 용액은 디스크 니들(100)이 회전되면서 전체 유로(240)에 묻혀지고 원심력에 의해 유로(240)를 따라 침부(220)로 이동된다. 유로(240)를 따라 이동된 용액은 침부(220)로 흘러나가 침부(220)에 의해 절개된 피부 속으로 침투된다.
본 실시예에서 침부(220)는 유로(240)의 선단 토출구(242)에서 배출되는 용액을 침부(220) 쪽에서 수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피부속 깊이 침투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니들(100)의 침부(220)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침부(220)는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피부를 절개하는 한 쌍의 날(222), 한 쌍의 날(222) 사이를 연결하여 한 쌍의 날(222) 사이에 공간(226)을 형성하며 유로(240)의 선단 토출구(242)와 연결되어 유로(240)를 따라 흘러나온 용액을 공간(226) 내에 머물도록 하는 단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단부(224)는 예를 들어, 날(222)과 날(222) 사이를 직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날(222)과 단부(224) 사이가 유로(240)의 선단 토출구(242)에서 배출되는 용액이 머무는 저장 공간(226)을 이룬다. 이와 같이, 날(222)과 날(222) 사이에 단부(224)를 형성하여 용액의 저장 공간(226)을 만듦으로써 유로(240)에서 배출된 용액을 날(222) 쪽에 머물도록 하여 날(222)에 의해 절단된 피부 속으로 용액을 주입하여 효과적으로 피부에 흡수시킬 수 있게 된다.
디스크 니들(100) 회전에 따라 용액은 원심력에 의해 유로(240)를 타고 침부(220)로 흘러나간다. 침부(220)로 흘러나간 용액은 유로(240)의 선단 토출구(242)를 통해 침부(220)로 배출된다. 침부(220)로 배출된 용액은 날(222)과 단부(224) 사이에 형성된 공간(226)에 모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침부(220)의 날(222)이 피부를 절개하게 되면 단부(224) 외측에 모아져 있던 용액이 침부(220)를 통해 피부로 용이하게 침투하게 된다. 따라서, 침부(220)의 날(222)이 피부를 천공 및 절개함과 동시에 용액을 피부 속으로 직접 흡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디스크 니들(100)은 용액을 침부(220)의 날(222)과 단부(224) 사이에 저장하고 있다 디스크 니들(100) 회전에 따라 날(222)이 피부를 절개하면서 동시에 피부에 용액을 주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용액의 주입이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단시간 내에 만족할만한 시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디스크 니들(100)은 침부(220)의 날(222)이 보다 효과적으로 피부를 절개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침부(220)의 날(222)은 표면 부식을 통해 가장자리(223)는 톱니 형태로 형성되고 표면에는 홈 형태의 복수의 분화구(225)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날(222) 가장자리(223)의 톱니 및 표면의 분화구(225)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날(222)의 가장자리(223)와 표면은 에칭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에칭(etching) 공정은 화학약품의 부식 작용에 의한 표면 가공법으로 이에 대해서는 많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에칭 공정 외에 날(222)의 가장자리(223)를 톱니 형태로 형성하고 표면에 분화구(225)를 형성할 수 있으면 다양한 공정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디스크 니들(100)은 마치 톱처럼 거칠게 형성된 침부(220)의 날(222)이 피부를 절개함으로써, 피부의 절개가 보다 용이하다. 또한, 톱니 형태의 날(222)에 의해 피부의 절개되는 단면은 매우 거친 형태를 이룬다. 즉, 피부는 날(222)에 의해 거친 단면을 갖도록 절단된다. 따라서, 용액이 거칠게 절단된 피부의 단면으로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침투해 스며들 수 있게 된다.
또한, 날(222)의 표면에 형성된 분화구(225) 속으로 용액이 스며들면서, 용액이 분화구(225) 속에 고여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날(222)이 피부를 절개하게 되면, 날(222)이 피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분화구(225)에 고여 있던 용액이 피부 속으로 바로 주입된다. 이에,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용액을 피부 속으로 침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디스크 니들(100)은 피부를 종래의 피부 시술 바늘과 달리 피부를 절개하고 용액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침투시켜 문신이나 반영구적 화장 시술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0 : 시술장치 200 : 디스크 니들
210 : 원판 212 : 중심홀
220 : 침부 222 : 날
223 : 가장자리 224 : 단부
225 : 분화구 226 : 공간
230 : 요부 232 : 철부
240 : 유로 242 : 토출구
300 : 축부재 310 : 스트립
312 : 끼움부 313 : 수나사
314 : 구멍 316 : 리브
320 : 축부 322 : 홈부
400 : 로드 402 : 암나사홀
500 : 연결소켓 510 : 지그
512 : 슬릿 520 : 외부파이프
600 : 회전구 610 : 고정부재
620 : 자유부재 630 : 밀착부재
640 : 베어링블럭

Claims (16)

  1. 중앙에 회전축이 끼워지도록 중심홀이 형성된 원판, 및 상기 원판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방사방향으로 돌출되어 피부를 절개하는 복수의 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판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는 중심홀 쪽에서 상기 침부로 연장되어 용액이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중심홀에 끼워져 디스크 니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축부재는 상기 원판 양면을 지나 외측으로 연장되는 스트립, 상기 스트립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원판의 중심홀을 관통하여 회전축을 이루는 축부를 포함하는 디스크 니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원판의 방사방향을 따라 유선 형태로 만곡 형성된 디스크 니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침부와 연결되는 선단 토출구의 폭이 상기 유로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구조의 디스크 니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침부와 연결되는 선단 토출구의 폭이 상기 유로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구조의 디스크 니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부는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피부를 절개하는 한 쌍의 날, 및 상기 한 쌍의 날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날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유로의 선단 토출구와 연결되어 유로를 따라 흘러나온 용액을 상기 공간 내에 머물도록 하는 단부를 포함하는 디스크 니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날은 표면 부식을 통해 가장자리는 톱니 형태로 형성되고, 표면에는 홈 형태의 분화구가 형성된 구조의 디스크 니들.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기 스트립의 폭방향 양 선단에 내측으로 홈부가 절단 형성된 디스크 니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상기 디스크 니들의 표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관통 형성된 디스크 니들.
  10. 삭제
  11. 피부에 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디스크 니들, 상기 디스크 니들의 중심홀에 끼워져 디스크 니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부재, 및 일측 선단에 상기 축부재가 장착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된 로드를 포함하는 시술 장치로,
    상기 디스크 니들은 중앙에 회전축이 끼워지도록 중심홀이 형성된 원판, 및 상기 원판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방사방향으로 돌출되어 피부를 절개하는 복수의 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판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는 중심홀 쪽에서 상기 침부로 연장되어 용액이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축부재는 디스크 니들의 양면을 지나 외측으로 연장되는 스트립, 상기 스트립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디스크 니들의 중심홀을 관통하여 회전축을 이루는 축부를 포함하는 시술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침부는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피부를 절개하는 한 쌍의 날, 및 상기 한 쌍의 날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날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유로의 선단 토출구와 연결되어 유로를 따라 흘러나온 용액을 상기 공간 내에 머물도록 하는 단부를 포함하는 시술 장치.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스트립의 폭방향 양 선단에 내측으로 홈부가 절단 형성된 시술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상기 디스크 니들의 표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관통 형성된 시술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되는 회전구를 더 포함하는 시술 장치.
KR1020180110933A 2018-09-17 2018-09-17 디스크 니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 KR102216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933A KR102216395B1 (ko) 2018-09-17 2018-09-17 디스크 니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933A KR102216395B1 (ko) 2018-09-17 2018-09-17 디스크 니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888A KR20200031888A (ko) 2020-03-25
KR102216395B1 true KR102216395B1 (ko) 2021-02-17

Family

ID=70001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933A KR102216395B1 (ko) 2018-09-17 2018-09-17 디스크 니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3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2192A1 (en) * 1994-07-20 1996-02-01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Marking pen for coloring the ski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616A (ko) * 2014-11-28 2016-06-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문신 인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2192A1 (en) * 1994-07-20 1996-02-01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Marking pen for coloring the sk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888A (ko) 202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78028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manipulating subdermal fat
JP5154642B2 (ja) 複数のマイクロ導管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507716B1 (ko) 바늘과 롤러를 갖는 약물 전달 장치
US20060051404A1 (en) Microstructure roller system
EP1670369B1 (en) Apparatus for removing pigments from a pigmented section of skin
US10610251B2 (en) Medical device for tissue removal
US9616211B2 (en) Roller device
CN104540462A (zh) 用于在软组织中创建通道的医疗装置、组件和方法
WO1996002192A1 (en) Marking pen for coloring the skin
KR102200722B1 (ko) 디스크 니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
EP3108923A1 (en) Medicinal fluid injection device
KR20170108049A (ko)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및 사용 방법
KR102216395B1 (ko) 디스크 니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
KR102038477B1 (ko) 실 삽입기
US11554197B2 (en) Device with an open cell element
US7100846B2 (en) Water-jet device for separating a biological structure
KR101541159B1 (ko) 피부 시술용 모듈
KR102170519B1 (ko) 피부 시술용 니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
US6197039B1 (en) Triple pointed micro knife
KR102170517B1 (ko) 피부 시술 장치
KR102229570B1 (ko) 피부 시술 장치 및 피부 시술 장치용 니들 유닛
KR102470744B1 (ko) 피부흡수유도장치
KR102582623B1 (ko) 문신장치 및 문신용 니들롤러
KR102631974B1 (ko) 문신용 니들 장치
UA118812U (uk) Ручне пристосування для татуюванн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