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203B1 - 유전율을 이용한 저장량 계측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전율을 이용한 저장량 계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203B1
KR102216203B1 KR1020190112727A KR20190112727A KR102216203B1 KR 102216203 B1 KR102216203 B1 KR 102216203B1 KR 1020190112727 A KR1020190112727 A KR 1020190112727A KR 20190112727 A KR20190112727 A KR 20190112727A KR 102216203 B1 KR102216203 B1 KR 102216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orage
dielectric constant
sensing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로
Priority to KR1020190112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전율을 이용한 저장량 계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저장공간부가 형성된 저장몸체를 갖고, 입자를 갖는 저장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유전율을 감지하도록 상기 저장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되는 감지부, 및 상기 저장공간부가 비어있는 상태의 각 감지부의 기준유전율을 알고, 상기 각 감지부의 유전율을 수신하여 상기 기준유전율과 비교함에 따라 저장공간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장물이 대량으로 저장되는 저장부의 저장높이와 저장량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관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전율을 이용한 저장량 계측시스템{Storage amount measurement system using permittivity}
본 발명은 저장량 계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물이 대량으로 저장되는 저장부의 저장높이와 저장량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하여 저장물의 충전시기와 필요량 등을 알 수 있음은 물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어 실시간 재고파악 및 주문 등 관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전율을 이용한 저장량 계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나 분체의 저장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주로 비접촉 방식의 구동 원리를 지니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분체 및 유체의 높이를 검출하는 레벨측정장치를 사용한다.
종래 레벨측정장치는 공개특허번호 제10-2006-0028218호에 개진된 바와 같이, 초음파 센서의 검출거리는 0 ~ 6m 정도의 측정거리를 지니는 검출장치와 0 ~ 10m 정도의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로 크게 나누어지며 검출에 사용하는 초음파 센서의 발진 주파수는 약 40kHz 대역을 주로 사용한다.
초음파 센서에서는 발진자에서 발생한 초음파 신호가 검출대상까지 도달하여 반사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발생에서 검출 때까지의 시간을 계산하여 공기 중에서의 음속을 이용하여 시간과 음속에서부터 검출거리를 계산하게 된다.
그러나 초음파 센서는 온도에 의한 음속의 변화 및 저장 탱크 내부에 발생되는 분진 등으로 인하여 반사파의 도달시간에의한 거리의 환산 시 최초에 설정해둔 기준 데이터를 그대로 사용하여 측정하는 경우 거리의 오차부분이 발생 할 수 있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반사파 도달시간의 오차는 결과적으로 측정거리의 오차 성분으로 작용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정밀한 측정이 불가능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저장된 저장물의 저장높이와 저장량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하여 관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내부에 저장공간부가 형성된 저장몸체를 갖고, 입자를 갖는 저장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유전율을 감지하도록 상기 저장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되는 감지부, 및 상기 저장공간부가 비어있는 상태의 각 감지부의 기준유전율을 알고, 상기 각 감지부의 유전율을 수신하여 상기 기준유전율과 비교함에 따라 저장공간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제어부,를 포함하여 저장물이 대량으로 저장되는 저장부의 저장높이와 저장량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관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전율을 이용한 저장량 계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공간부가 형성된 저장몸체를 갖고, 입자를 갖는 저장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유전율을 감지하도록 상기 저장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되는 감지부, 및 상기 저장공간부가 비어있는 상태의 각 감지부의 기준유전율을 알고, 상기 각 감지부의 유전율을 수신하여 상기 기준유전율과 비교함에 따라 저장공간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감지부는,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출력부, 상기 출력부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전하량을 체크하기 위한 수신부, 및 상기 출력부와 수신부의 연결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저장몸체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감지패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패드와의 반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반응향상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반응향상부는, 자성력을 갖는 미세입자의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가 외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측을 감싸되, 자성력이 외측으로 노출되는 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물과 함께 상기 저장공간부로 복수 개 유입되어 상기 수신부에서 체크되는 전하량을 변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저장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부에서 저장물과 함께 배출되는 상기 캡슐을 부착시켜 분리하는 캡슐분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공간부로 유입되는 뭉쳐진 저장물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분산부는, 와이어로, 상기 저장공간부의 중앙부를 지나도록 양단부가 상기 저장몸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분산부는, 상기 저장공간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분산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높이방향을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갈수록 일정 각도 간격으로 설치되어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일단부가 저장몸체의 상단부 중앙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최하측에 위치되는 설치와이어,가 형성되며, 상기 분산부는 와이어로, 일정 장력을 유지하도록 일단부가 설치와이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저장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설치와이어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와이어의 하단부는 최하측에 위치된 분산부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장력유지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장력유지부는, 상기 해당 와이어의 장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력센서, 상기 해당 와이어를 당기기 위한 장력구동부, 및 상기 각 장력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각 장력구동부를 제어하여 일정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장력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저장부의 저장량과 저장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각 감지부의 설치 높이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제1표시부, 및 상기 저장부의 총 저장량을 표시하기 위한 제2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저장부의 저장량과 저장된 위치신호를 기설정된 데이터베이스와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량계측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량이 일정량 이하일 경우, 저장물에 대한 주문신호를 발송하고, 주문신호를 수신한 업체는 해당 저장물을 자동으로 배송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전율을 이용한 저장량 계측시스템에 의하면, 저장물이 대량으로 저장되는 저장부의 저장높이와 저장량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관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량 계측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향상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량 계측시스템에 분산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부가 구비된 저장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부에 장력유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량 계측시스템에 표시부와 통신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량 계측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향상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량 계측시스템에 분산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부가 구비된 저장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부에 장력유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량 계측시스템에 표시부와 통신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전율을 이용한 저장량 계측시스템은 저장부(100)와 감지부(200) 및 감지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저장부(100)는 내부에 저장공간부(102)가 형성된 저장몸체(110)를 갖고, 입자를 갖는 저장물을 저장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 저장부(100)는 저장몸체(110)와 저장유입부(120) 및 저장배출부(130)를 포함한다.
저장몸체(110)는 내부에 저장공간부(102)를 갖고, 하단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협소해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저장유입부(120)는 저장공간부(102)로 저장물을 유입시키도록 저장몸체(110)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저장배출부(130)는 저장공간부(102)의 저장물을 배출시키도록 저장몸체(110)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물론, 저장유입부(120)와 저장배출부(130)는 개폐 가능함이 당연하며, 폐쇄된 상태에서 저장물을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킬 경우, 개방시킴이 당연하다.
또한 감지부(200)는 유전율을 감지하도록 저장부(100)의 높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된다.
이 감지부(200)는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일정한 전하량이 이동되는 것으로, 이에 따른 유전율을 측정한다.
감지제어부(300)는 저장공간부(102)가 비어있는 상태의 각 감지부(200)의 기준유전율을 알고, 각 감지부(200)의 유전율을 수신하여 기준유전율과 비교함에 따라 저장공간부(102)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유전율을 이용한 저장량 계측시스템에 의하면, 복수의 감지부(200)에 의해 저장부(100)의 각 위치에서 실시간 전하가 이동되는 상태에서 저장공간부(102)로 저장물이 유입될 경우, 해당 감지부(200)의 유전율을 변화시킨다.
이에, 각 감지부(200)의 유전율을 수신한 감지제어부(300)는 유전율이 변화되는 감지부를 확인할 수 있고, 해당 감지부의 위치까지 저장물이 저장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감지부(2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부(210)와 수신부(220) 및 감지패드(230)를 포함한다.
출력부(210)는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출력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수신부(220)는 출력부(210)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전하량을 체크하기 위해 구비된다.
감지패드(230)는 출력부(210)와 수신부(220)의 연결라인에 연결되며, 저장몸체(110)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감지부(200)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출력부(210)에서 지속적으로 출력신호를 출력하면 수신부(220)가 수신하여 전하량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있는 상태에서 저장물이 감지패드(230)에 인접할 경우, 이 저장물에 의해 전하량이 변화된다.
이에, 전하의 유전율이 변화되어 이를 감지제어부(300)에서 확인함에 따라, 해당 감지패드(230)의 인접한 위치에 저장물이 저장되어 있다는 것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20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응향상부(240)를 더 포함한다.
반응향상부(240)는 감지패드(230)와의 반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반응향상부(240)는 자성체(242)와 캡슐(244)을 포함한다.
자성체(242)는 자성력을 갖는 미세입자로 형성되고, 캡슐(244)은 자성체(242)가 외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측을 감싸되, 자성력이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러한 자성체(242)를 포함한 캡슐(244)이 저장물과 함께 복수 개 유입되어 저장되며, 감지부(200)의 전하량을 변형시킴에 따라 유전율일 변형된다.
이에, 유전율이 변화되는 해당 감지부(200)의 위치까지 저장물이 저장됨을 더욱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반응향상부(240)는 캡슐분리부(246)를 더 포함한다.
이 캡슐분리부(246)는 저장몸체(110)에 구비되어 저장공간부(102)에서 저장물과 함께 배출되는 캡슐(244)을 부착시켜 분리한다.
이러한 캡슐분리부(246)는 자성체(242)에 반응하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저장배출부(130)에 구비된다.
이에, 저장물과 함께 배출되는 자성체(242)를 감싼 캡슐(244)을 분리시킨다.
여기서, 자성체(242)를 감싼 캡슐(244)은 저장공간부에 일정 개수 유입시키는 것으로, 배출되거나 유입되는 개수를 측정하여 새로운 저장물이 유입되는 상태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부(100)는 저장공간부(102)로 유입되는 뭉쳐진 저장물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부(400)를 더 포함한다.
이 분산부(400)는 저장공간부(102)로 유입되는 저장물을 분산시키는 것으로, 뭉쳐진 저장물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저장공간부(102)의 가장자리로 가이드하여 분산시킨다.
이러한 분산부(400)는 와이어로 저장공간부(102)의 중앙부를 지나도록 양단부가 저장몸체(110)에 고정된다.
이 분산부(400)는 저장공간부(102)의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구비된다.
이러한 복수의 분산부(40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높이방향을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갈수록 일정 각도 간격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유입되는 각 분산부(400)는 해당 위치에서 저장물과 충돌되어 분리시킴과 동시에, 분산시킨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분산부(400)의 중간부는 저장공간부(102)의 중앙부를 지나도록 양단부가 저장몸체(110)에 고정되되, 중간부에서 각 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각 분산부(400)는 저장공간부(102)의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구비되되, 복수의 분산부(400)는 평면에서 봤을 때, 높이방향을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갈수록 일정 각도 간격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유입되는 저장물이 충돌하여 분리됨과 동시에, 분산되는 것으로, 하향 경사진 분산부(400)를 따라, 저장공간부(102)의 가장자리방향으로 가이드된다.
이는, 저장물이 저장공간부(102)의 중앙부에만 쌓이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저장물의 상단부를 대도록 평평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저장량계측부(200)의 계측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각 분산부(400)의 중간부는 설치와이어(410)에 의해 저장몸체(110)에 고정된다.
이 설치와이어(410)는 일단부가 저장몸체(110)의 상단부 중앙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최하측에 위치된 분산부(400)에 고정된다.
물론, 이 설치와이어(410)의 타단부는 저장몸체(110)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장력을 유지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각 실시 예의 분산부(400)는 금속와이어로 형성되되, 단일선으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선이 꼬여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면은 녹방지를 위해 코팅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실시 예의 분산부(400)의 와이어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장력유지부(420)를 더 포함한다.
이 장력유지부(420)는 장력센서(422)와 장력구동부(424) 및 장력제어부(426)를 포함한다.
장력센서(422)는 해당 와이어의 장력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장력구동부(424)는 해당 와이어를 당기기 위해 구비된다.
장력제어부(426)는 각 장력센서(422)의 신호를 수신하여 각 장력구동부(424)를 제어하여 일정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물론, 장력제어부(426)는 복수의 장력구동부(424)를 제어하여 각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 및 유지하는 것으로, 각 와이어의 장력을 동일하게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장력유지부(420)는 각 실시 예의 분산부(400)에 사용됨이 당연하다.
또한 각 와이어의 진동을 측정하기 위한 진동센서(428)를 더 포함한다.
이 진동센서(428)는 해당 와이어의 진동을 측정한 신호를 감지제어부(300)가 수신하여 저장물의 위치를 파악한다.
다시 말해, 저장물이 유입될 경우, 저장물과의 충돌에 의해 진동이 발생될 경우, 해당 와이어 위치보다 저장위치가 낮음을 알 수 있는 것으로, 측정된 진동이 일정 진동 미만일 경우, 저장물이 쌓여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 진동센서(428)의 신호는 해당 장력센서(422)의 신호와 연계되어 감지제어부(300)에서 연산 및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진동센서(428)와 장력센서(422)는 감지부(200)과 연계되어 감지제어부(300)에서 저장량을 계측함에 따라, 더욱 정밀한 계측이 가능하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실시 예의 감지부(200)는 표시부(500)와 통신부(600)를 더 포함한다.
표시부(500)는 감지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며, 저장부(100)의 저장량과 저장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 표시부(500)는 제1표시부(510)와 제2표시부(520)를 포함한다.
제1표시부(510)는 각 감지부의 설치 높이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 구비되어 외부에서 육안으로 저장 높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표시부(520)는 저장부(100)의 총 저장량을 표시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통신부(600)는 감지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며, 저장부(100)의 저장량과 저장된 위치신호를 기설정된 데이터베이스와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됨은 물론, 단말기를 소지한 관련자들에게 실시간 정보를 전송하여 확인 및 대처할 수 있는 것으로, 저장량 확인은 물론, 저장물을 자동으로 주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감지제어부(300)는 각 실시 예의 감지부(200)의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량이 일정량 이하일 경우, 저장물에 대한 주문신호를 발송하고, 주문신호를 수신한 업체는 해당 저장물을 자동으로 배송시킨다.
여기서, 업체는 기 설정된 단말기를 소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나 컴퓨터 등 통신 가능한 장치를 이용하여 주문신호를 수신한 후, 해당 저장물을 배송시킨다.
이에, 저장부(100)는 저장물이 채워지며, 일정량 이상 채워지지 않도록 제어부(300)에서 조절됨이 당연하다.
100 : 저장부 200 : 감지부
210 : 출력부 220 : 수신부
230 : 감지패드 240 : 반응향상부
300 : 감지제어부 400 : 분산부
500 : 표시부 600 : 통신부

Claims (6)

  1. 내부에 저장공간부가 형성된 저장몸체를 갖고, 입자를 갖는 저장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유전율을 감지하도록 상기 저장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되는 감지부; 및
    상기 저장공간부가 비어있는 상태의 각 감지부의 기준유전율을 알고, 상기 각 감지부의 유전율을 수신하여 상기 기준유전율과 비교함에 따라 저장공간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출력부;
    상기 출력부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전하량을 체크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출력부와 수신부의 연결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저장몸체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감지패드; 및
    상기 감지패드와의 반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반응향상부;를 포함하는 유전율을 이용한 저장량 계측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향상부는,
    자성력을 갖는 미세입자의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가 외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측을 감싸되, 자성력이 외측으로 노출되는 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물과 함께 상기 저장공간부로 복수 개 유입되어 상기 수신부에서 체크되는 전하량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율을 이용한 저장량 계측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부에서 저장물과 함께 배출되는 상기 캡슐을 부착시켜 분리하는 캡슐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유전율을 이용한 저장량 계측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공간부로 유입되는 뭉쳐진 저장물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부;를 더 포함하는 유전율을 이용한 저장량 계측시스템.
KR1020190112727A 2019-09-11 2019-09-11 유전율을 이용한 저장량 계측시스템 KR102216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727A KR102216203B1 (ko) 2019-09-11 2019-09-11 유전율을 이용한 저장량 계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727A KR102216203B1 (ko) 2019-09-11 2019-09-11 유전율을 이용한 저장량 계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203B1 true KR102216203B1 (ko) 2021-02-16

Family

ID=74687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727A KR102216203B1 (ko) 2019-09-11 2019-09-11 유전율을 이용한 저장량 계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2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806A (ja) * 1994-06-24 1996-01-16 Kao Corp 粉体の分配方法および分配装置
KR20170104748A (ko) * 2016-03-08 2017-09-18 세종공업 주식회사 복수 개의 pcb 패드를 이용한 탱크 내부 유체의 수위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806A (ja) * 1994-06-24 1996-01-16 Kao Corp 粉体の分配方法および分配装置
KR20170104748A (ko) * 2016-03-08 2017-09-18 세종공업 주식회사 복수 개의 pcb 패드를 이용한 탱크 내부 유체의 수위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65171B (zh) 用于通过振动计来确定和控制流体静压的方法和设备
Albion et al. Detection of the breakage of pharmaceutical tablets in pneumatic transport
CN102077061B (zh) 速度增强的流量测量
CN105612410A (zh) 用于监测流变学复杂流动的传感器
CN103765168B (zh) 用于防止振动计量仪中错误流量测量结果的系统和方法
US9360360B2 (en) System for measuring level of dry bulk material in container
CN101553714A (zh) 用于过程管线中流动的介质的测量系统
US9163971B2 (en) Evalua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characteristic variable for the location of a boundary surface in a container
KR102216203B1 (ko) 유전율을 이용한 저장량 계측시스템
CN104880228B (zh) 多相流量计
CN101663566A (zh) 用于修正流动材料的二相流的夹带(entrained)相的振动流量计和方法
CN101711351A (zh) 用于在过程管线中流动的介质的测量系统
KR20140126310A (ko) 제조 및 포장 라인들을 위한 금속 검출기
CN102472659A (zh) 用于确定和/或监控在容器中的液体的料位和密度和/或粘度的多变量传感器
US10823600B2 (en) System for sensing flowable substrate levels in a storage unit
CN103884266A (zh) Lvdt式位移传感器、汽车载重测量系统及方法
US5042700A (en) Process and equipment to determine disturbance variables when pouring molten metal from a container
EP1242979B1 (en) Vending machines and coin handling apparatus
KR102212085B1 (ko) IoT 센서를 이용한 사료빈의 재고파악 및 사료주문 시스템
CN104303213A (zh) 声硬币传感器
KR102093042B1 (ko) 사일로 저장량 계측시스템
KR102093043B1 (ko) 버튼식 저장량 계측시스템
US20220099543A1 (en) Coriolis mass flow meter
US20080148866A1 (en) Device for Determining and/or Monitoring the Volume- and/or Mass-Flow of a Medium
JPS5847219A (ja) 粉粒体貯蔵用サイロの貯蔵物計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