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173B1 - 컨텐츠 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츠 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173B1
KR102216173B1 KR1020150125126A KR20150125126A KR102216173B1 KR 102216173 B1 KR102216173 B1 KR 102216173B1 KR 1020150125126 A KR1020150125126 A KR 1020150125126A KR 20150125126 A KR20150125126 A KR 20150125126A KR 102216173 B1 KR102216173 B1 KR 102216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hunk
cloud server
providing device
consum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8194A (ko
Inventor
정진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5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173B1/ko
Publication of KR20170028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7/282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for key distribution, e.g. centrally by truste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04L67/28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컨텐츠 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가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컨텐츠 소비 장치로 컨텐츠를 제공하되 클라우드 서버가 원본을 복원하지 못하도록 컨텐츠를 복수 개의 청크 단위로 분할하여 랜덤 배열한 후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고, 컨텐츠 소비 장치에게만 컨텐츠를 복원할 수 있는 청크 맵을 전달하여 컨텐츠 소비 장치에서 분할된 컨텐츠를 복원하여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컨텐츠 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방법은 컨텐츠 제공 장치가 컨텐츠를 복수 개의 청크 단위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복원할 수 있는 복원 정보를 포함하는 청크 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어느 하나의 컨텐츠 소비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정보와 상기 청크 맵을 상기 컨텐츠 소비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 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DO FOR USING OF CONTENTS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컨텐츠 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가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컨텐츠 소비 장치로 컨텐츠를 제공하되 클라우드 서버가 원본을 복원하지 못하도록 컨텐츠를 복수 개의 청크 단위로 분할하여 랜덤 배열한 후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고, 컨텐츠 소비 장치에게만 컨텐츠를 복원할 수 있는 청크 맵을 전달하여 컨텐츠 소비 장치에서 분할된 컨텐츠를 복원하여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컨텐츠 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 네트워크의 기술 발전에 따라, 각 단말의 독립적인 하드웨어 성능에 의존하던 기존의 컴퓨팅 환경은 네트워크상의 모든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과 같은 정보 통신망을 통한 '컴퓨팅 자원의 온 디맨드 아웃소싱 서비스'라고 정의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서비스 제공자는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 센터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사용자들에게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스토리지(Storage), 운영체제(OS), 보안(Security) 등의 컴퓨팅 자원을 각 사용자 소유의 단말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화 기술을 통해 생성된 가상 공간상의 서비스를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만큼 골라서 사용한다. 다시 말하면, 클라우트 컴퓨팅은 구름(cloud)과 같이 무형의 형태로 존재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자신이 필요한 만큼 빌려 쓰고 이에 대한 사용요금을 지급하는 방식의 컴퓨팅 서비스로, 서로 다른 물리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컴퓨팅 자원을 가상화 기술로 통합해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컨텐츠 공유 방식은 컨텐츠 제공자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컨텐츠를 업로드하고 공급 행위를 해당 서비스를 운용하는 시스템에 위탁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컨텐츠 소비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 보유한 컨텐츠를 조회하거나 다운로드하여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컨텐츠 원본 자체를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가 보관함으로써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가 언제든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컨텐츠 단위로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 보관되어 관리됨으로써, 저장 공간의 효율적인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피투피(P2P; Peer to Peer) 통신의 경우 단말 간 단말 컨텐츠 전송을 수행하고, 서버는 전송에 대한 간단한 제어만을 수행하는 방식이나 컨텐츠 소비자는 컨텐츠의 정확한 위치를 알고 있어야 하며 컨텐츠에 대한 수요가 많을 경우 컨텐츠 제공자에 많은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34222호, 2014년 03월 19일 공개 (명칭: 사용자-독립적인 암호화된 파일들의 서버측 중복제거를 하는 클라우드 파일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컨텐츠 제공 장치가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컨텐츠 소비 장치로 컨텐츠를 제공하되 클라우드 서버가 원본을 복원하지 못하도록 컨텐츠를 복수 개의 청크 단위로 분할하여 랜덤 배열한 후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고, 컨텐츠 소비 장치에게만 컨텐츠를 복원할 수 있는 청크 맵을 전달하여 컨텐츠 소비 장치에서 분할된 컨텐츠를 복원하여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컨텐츠 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방법은 컨텐츠 제공 장치가 컨텐츠를 복수 개의 청크 단위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복원할 수 있는 복원 정보를 포함하는 청크 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어느 하나의 컨텐츠 소비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정보와 상기 청크 맵을 상기 컨텐츠 소비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속성 정보 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청크 단위를 가변하여 상기 컨텐츠를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분할된 각각의 청크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일련 번호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분할된 컨텐츠 청크의 배열을 랜덤하게 재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청크 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조건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청크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컨텐츠 소비 장치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소비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컨텐츠 소비 장치의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기 생성된 청크 맵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확인된 청크 맵을 상기 컨텐츠 소비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소비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을 경우, 상기 컨텐츠를 복호화할 수 있는 암호키를 상기 컨텐츠 소비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소비 장치에서의 컨텐츠 이용 방법은 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로 컨텐츠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정보와 상기 컨텐츠에 대한 청크 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청크 맵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컨텐츠 청크를 상기 청크 맵에 따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는 컨텐츠를 복수 개의 청크 단위로 분할하는 컨텐츠 분할 모듈; 상기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상기 컨텐츠로 복원할 수 있는 청크 맵을 생성하는 청크 맵 생성 모듈; 및 상기 분할된 컨텐츠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며, 어느 하나의 컨텐츠 소비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로 복원하도록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정보 및 상기 청크 맵을 상기 컨텐츠 소비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소비 장치는 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로 컨텐츠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정보와 상기 컨텐츠에 대한 청크 맵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청크 맵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청크를 컨텐츠 복원 모듈로 전달하는 컨텐츠 처리 모듈; 및 상기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상기 청크 맵에 따라 상기 컨텐츠로 복원하는 컨텐츠 복원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텐츠 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의하면, 먼저 공급자 측면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는 컨텐츠 소비 장치로 매번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저장 공간을 이용하고자 하는 클라우드 서버로 컨텐츠를 전송한 후 클라우드 서버를 경유한 컨텐츠를 컨텐츠 소비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공급자 측의 네트워크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에 컨텐츠를 전송 시 컨텐츠 원본을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를 분할한 컨텐츠 청크 단위로 전송하고, 이를 복원할 수 있는 청크 맵은 컨텐츠 제공 장치 자신이 직접 관리하고 배포함으로써 악의적인 경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가 복원되는 경우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비자 측면에서 컨텐츠 소비 장치는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보안이 강화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버는 하나의 완성된 컨텐츠가 아닌 청크 단위로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복수 개의 저장 공간에 분산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어 저장공간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술한 효과 이외의 다양한 효과들이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소비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 및 특허 청구 범위에서, "네트워크" 또는 "통신망"은 컴퓨터 시스템들 및/또는 모듈들 간의 전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링크로서 정의된다. 정보가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선, 무선, 또는 유선 또는 무선의 조합인) 통신 접속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되거나 제공될 때, 이 접속은 컴퓨터-판독가능매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범용 컴퓨터 시스템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이 특정 기능 또는 기능의 그룹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어셈블리어, 또는 심지어는 소스코드와 같은 이진, 중간 포맷 명령어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가전제품(programmable consumer electronics),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모바일 전화, PDA, 페이저(page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데이터 링크, 무선 데이터 링크, 또는 유선 및 무선 데이터 링크의 조합으로 링크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 모두가 태스크를 수행하는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컨텐츠는 파일 단위로 구분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컨텐츠 이용 시스템을 통해 배포되고 공유될 수 있는 데이터라면 본 발명의 컨텐츠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시스템의 주요 구조에 대해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컨텐츠 이용 시스템(1000)은 컨텐츠를 소비하는 주체인 컨텐츠 소비 장치(100) 및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체인 컨텐츠 제공 장치(200), 그리고 컨텐츠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주체인 클라우드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통신망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통신망(500)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청크 맵을 수신하여 수신된 청크 맵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된 컨텐츠를 전달받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그 구현 형태에 따라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를 요청하고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단말(Terminal),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국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 컨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클라우드 서버(300)를 경유하여 공유를 하게 된다. 이때, 컨텐츠 원본 자체를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컨텐츠를 복수 개의 청크 단위로 분할한 후 분할된 컨텐츠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요청이 수신되면, 컨텐츠 분할 시 생성된 컨텐츠 청크 맵을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 전송하고,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상기 청크 맵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의해 분할되어 무작위로 섞인 상태이므로,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전달받은 청크 맵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복원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컨텐츠 소비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구현 형태에 따라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웹 서버(web server)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AS; Web Application Server)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텐츠 공유 주체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와 컨텐츠를 소비하는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 구분하여 설명하나 어느 하나의 역할에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나 컨텐츠를 전달받아 이용하는 컨텐츠 소비 장치(100)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컨텐츠를 전달받아 이용하는 역할을 수행하나, 다른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컨텐츠 소비를 주로 하는 사용자의 장치이며,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을 주로 하는 사용자의 장치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토록 한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본 발명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컨텐츠의 저장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3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분할된 컨텐츠를 전달받아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대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한다. 그리고 컨텐츠 소비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 분할된 컨텐츠를 전달하게 된다.
일반적인 클라우드 서버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관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청크 방식의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서비스에 적용되는 클라우드 서버(300)의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컨텐츠를 클라우드 서버(300)가 직접 청크 단위로 분할하여 저장하고 이를 CDN 노드에 배포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요청하고, 클라우드 서버(300)의 제어에 따라 컨텐츠를 전달받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방식의 클라우드 서버는 컨텐츠 원본을 저장하고 관리하며, 청크 단위로 분할하여 CDN 노드에 배포하더라도, 이를 복원할 수 있는 정보를 보유하고 있어, 컨텐츠 제공 장치(200) 입장에서는 자신의 컨텐츠가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단말이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는 장치인 바 외부의 공격에 쉽게 노출되어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3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보유하되, 원본 그대로의 형태로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 분할된 형태로 보유하며, 분할된 컨텐츠를 복원할 수 있는 정보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직접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 전달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300)는 도면에서는 하나의 장치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서버 그룹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클라우드 서버(3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제공하는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서로 다른 컨텐츠 청크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하고자 하는 1개의 컨텐츠 파일을 1, 2, 3, 4, 5, 6, 7, 8, 9, 10번의 10개의 청크 조각으로 분할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300)는 클라우드 서버 A, 클라우드 서버 B, 클라우드 서버 C의 3개의 그룹으로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클라우드 서버 A에 1, 3, 5번의 컨텐츠 청크를 전송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 B에 2, 4, 6번의 컨텐츠 청크를 전송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버 C에 나머지 컨텐츠 청크를 전송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 A, B, C는 단순히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컨텐츠 청크를 저장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뿐, 자신이 어떠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청크를 보유하고 있는 지, 다른 클라우드 서버가 어떠한 컨텐츠 청크를 보유하고 있는 지에 대해서는 확인할 필요가 없다.
한편 전술한 예에서, 클라우드 서버 A가 나머지 클라우드 서버 B, C를 제어하는 계층적 형태로 설계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클라우드 서버 A로 컨텐츠 청크를 전송하고, 클라우드 서버 A는 클라우드 서버 B, C로 컨텐츠 청크를 분산하여 저장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클라우드 서버 A는 클라우드 서버 B, C에 어떠한 컨텐츠 청크를 보유하고 있는 지에 대해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300)는 어떠한 구현 방식을 따르더라도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전달하는 컨텐츠 청크를 저장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뿐, 분할된 컨텐츠를 복원할 수 있는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전달받지 않으므로 컨텐츠 원본에 대한 접근이 불가하다.
따라서, 클라우드 서버(300)가 외부의 공격으로 인해 보유하고 있는 정보가 유출이 되더라도, 또한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달하는 컨텐츠 청크가 중간에 유출이 되더라도,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복원할 수 없으므로 보다 컨텐츠에 대한 보안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분할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주체를 서버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컨텐츠 제공 장치, 또는 컨텐츠 소비 장치가 분할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제공하는 분할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주체는 특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공간을 포함하고 있으며,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분할된 컨텐츠를 수신하고, 컨텐츠 소비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분할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300)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소비 장치(100), 컨텐츠 제공 장치(200) 및 클라우드 서버(300)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컨텐츠 소비 장치(100) 및 컨텐츠 제공 장치(200)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300) 간의 송수신되는 정보는 통신망(500)을 경유하여 송수신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200)와 클라우드 서버(300)는 인터넷망과 같은 공용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소비 장치(100) 및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근거리 통신망, 또는 사내 망과 같은 프라이빗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웹 서버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인터넷망을 통해 컨텐츠 소비 장치(100)가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접근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통신망 구조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의 통신망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하고,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컴퓨팅 자원을 해당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정보가 인터넷 상의 서버에 영구적으로 저장되고,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스마트폰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는 일시적으로 보관되는 컴퓨터 환경을 의미하며,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용자의 모든 정보를 인터넷 상의 서버에 저장하고, 이 정보를 각종 IT 기기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환경 접속망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통신망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최근 주목 받고 있는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소비 장치(1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소비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소비 장치 통신부(110), 소비 장치 입력부(120), 소비 장치 제어부(130), 소비 장치 저장부(140) 및 소비 장치 출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소비 장치 통신부(11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 및 클라우드 서버(300)와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소비 장치 통신부(1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컨텐츠를 요청한다. 그리고 소비 장치 통신부(11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청크 맵을 수신한다. 소비 장치 통신부(110)는 수신한 청크 맵을 소비 장치 제어부(130)로 전달하고 소비 장치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300)로 컨텐츠 청크를 요청하여 수신하여 소비 장치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소비 장치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 각종 기능 설정 및 컨텐츠 소비 장치(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소비 장치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소비 장치 입력부(120)는 컨텐츠 요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소비 장치 입력부(12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접근하기 위한 브라우저의 구동, 접속 프로그램 실행 등과 같은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지원하는 방식으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의 접속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소비 장치 입력부(120)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전달받아 소비 장치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의 실행, 재생과 관련된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소비 장치 입력부(120)는 키보드나 키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치센서나 터치 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음성 입력 수단,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와 근접 센서, 그리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소비 장치 제어부(130)는 컨텐츠 소비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하드웨어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로딩 데이터가 로딩되는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상기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들을 입출력하는 버스(BUS)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으로 컨텐츠 소비 장치(100)에 정의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의 요청, 컨텐츠의 수신, 컨텐츠의 재생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컨텐츠 소비 장치(100)에 구비되는 기능 중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가 가능한 구성 요소를 소비 장치 제어부(130)의 기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비 장치 제어부(130)는 컨텐츠 처리 모듈(131) 및 컨텐츠 복원 모듈(1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처리 모듈(131)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접속하는 과정을 지원한다. 그리고, 컨텐츠 처리 모듈(131)은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하게 된다. 이후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대신에 컨텐츠에 대한 청크 맵과 해당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장소, 즉 클라우드 서버(300)의 주소 정보가 수신되면, 컨텐츠 처리 모듈(131)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근한 후 상기 청크 맵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컨텐츠를 전달받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에 대한 청크 맵은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복원할 수 있는 복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컨텐츠 처리 모듈(131)은 상기 청크 맵에 따라 각각의 컨텐츠 청크에 대하여 클라우드 서버(300)로 컨텐츠 전송을 요청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모든 컨텐츠 청크가 전달되면 이를 복원하기 위해 컨텐츠 복원 모듈(132)로 청크 맵을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컨텐츠 처리 모듈(131)은 컨텐츠 복원 모듈(132)에 의해 복원된 컨텐츠의 실행, 재생 처리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복원 모듈(132)은 컨텐츠를 복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컨텐츠 청크가 전달되면 청크 맵에 따라 순차적으로 컨텐츠 청크를 정렬하여 하나의 컨텐츠 파일로 복원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컨텐츠 복원 모듈(132)은 각각의 컨텐츠 청크가 암호화되어 있을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요청하여 암호화키를 전달받아 컨텐츠 청크를 복호화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소비 장치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그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비 장치 저장부(140)는 청크 맵(141) 및 컨텐츠 청크(142)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소비 장치 저장부(14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컨텐츠 소비 장치(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와 같은 장치 구동을 위한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한다. 데이터 영역은 컨텐츠 소비 장치(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리밍 데이터 처리를 위한 다양한 명령들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비 장치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소비 장치 출력부(150)는 컨텐츠 소비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컨텐츠가 동영상 컨텐츠일 경우, 소비 장치 출력부(150)는 동영상 재생 시의 발생되는 영상 및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소비 장치 출력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비 장치 입력부(120)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소비 장치 입력부(120)와 함께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소비 장치 출력부(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TOLED(Transparant OLED)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를 통해 컨텐츠 소비 장치(100)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2를 통해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컨텐츠 소비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컨텐츠 소비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를 통해 도시된 컨텐츠 소비 장치(100)의 주요 구성요소의 위치는 얼마든지 편의상 또는 다른 이유로 바뀔 수 있음이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공 장치 통신부(210), 제공 장치 제어부(230) 및 제공 장치 저장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공 장치 통신부(210)는 컨텐츠 소비 장치(100)와 클라우드 서버(300) 간의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공 장치 통신부(210)는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 청크 맵을 전달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공 장치 통신부(210)는 클라우드 서버(300)로 컨텐츠 청크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공 장치 제어부(2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컨텐츠 제공 모듈(231), 컨텐츠 불할 모듈(232), 청크 맵 생성 모듈(233)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2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모듈에 대해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모듈(231)은 제공 장치 통신부(210)를 통해 컨텐츠 소비 장치(100)의 요청을 수신하거나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300)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모듈(231)은 컨텐츠 분할 모듈(232)에 의해 컨텐츠가 청크 단위로 분할되면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제공 장치 통신부(210)를 통해 해당 컨텐츠 청크를 저장할 저장 장소, 즉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요청이 전송되면, 청크 맵 생성 모듈(233)에 의해 생성된 청크 맵을 제공 장치 통신부(210)를 통해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컨텐츠 분할 모듈(232)은 컨텐츠를 분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컨텐츠 분할 모듈(232)은 하나의 컨텐츠를 일정 크기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분할할 수 있는데, 분할된 하나의 컨텐츠 조각을 컨텐츠 청크(chunk)로 지칭한다. 여기서, 하나의 컨텐츠 청크는 예컨대 4kb, 16kb 등의 크기로 분할될 수 있으며, 하나의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청크로 분할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분할 모듈(232)은 분할된 각각의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청크 식별 번호와 일련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이후에 컨텐츠 분할 모듈(232)은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배열을 달리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이 완료되면, 컨텐츠 제공 모듈(231)로 안내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전달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청크 맵 생성 모듈(233)은 컨텐츠 분할 모듈(232)에 의해 분할된 컨텐츠를 복원하기 위한 청크 맵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청크 맵은 컨텐츠 이름, 컨텐츠 전체 크기, 컨텐츠 복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컨텐츠 복원 정보는 컨텐츠를 복원하기 위한 것으로, 컨텐츠 청크 식별 정보 및 일련 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모듈(231)에 의해 사용자의 요청이 전달되면, 생성된 청크 맵을 제공 장치 통신부(210)를 통해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 전달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크 맵 생성 모듈(233)은 컨텐츠를 요청한 컨텐츠 소비 장치(100)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 정보별로 대응하는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청크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동일한 컨텐츠를 요청하더라도 이를 복원할 수 있는 청크 맵은 서로 다른 형태로 수신받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234)은 사용자의 접근을 지원하고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사용자 단말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200) 조작을 위한 다양한 정보의 입력을 지원하며 컨텐츠 재생 시의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200)과 통신망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웹 서버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는 별도의 장치를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접속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234)은 사용자 입출력과 관련된 다양한 사용자 요청을 처리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공 장치 저장부(240)는 청크 맵 생성 모듈(233)에 의해 생성된 청크 맵을 저장한다. 여기서 청크 맵은 컨텐츠를 기준으로 하나의 청크 맵만 존재할 수 있으며, 컨텐츠에 대한 조건별로 복수 개의 청크 맵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3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3을 통해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을 통해 도시된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주요 구성요소의 위치는 얼마든지 편의상 또는 다른 이유로 바뀔 수 있음이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3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300)는 클라우드 서버 통신부(310), 클라우드 서버 제어부(320) 및 클라우드 서버 저장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 통신부(310)는 컨텐츠 소비 장치(100) 및 컨텐츠 제공 장치(200)와의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한다. 특히,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 통신부(31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청크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 통신부(310)는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청크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따라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전송한 컨텐츠 청크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 제어부(3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3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으로, 서비스 관리 모듈(321) 및 서비스 제공 모듈(3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모듈(321)은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청크를 수신하고 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서비스 관리 모듈(321)은 회원제로 저장 공간을 할당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인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서비스 관리 모듈(321)은 클라우드 서버 저장부(330)에 저장되는 컨텐츠 청크(331)에 대한 정보를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관리 모듈(321)은 저장된 컨텐츠 청크를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삭제하는 과정을 지원하며,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사전 설정된 조건, 서비스 이용 등급, 컨텐츠 종류 및 등급 등의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저장된 청크를 삭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별다른 컨텐츠 제공 요청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서비스 관리 모듈(321)은 클라우드 서버 저장부(330)에 저장된 컨텐츠 청크(331)를 삭제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 모듈(322)은 컨텐츠 소비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 청크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 저장부(3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300)의 동작 수행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전달된 컨텐츠 청크(331)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3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3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서버(Web Server) 또는 네트워크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각 장치에 탑재되는 메모리는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또한,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특히,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관점에서 기술하고 있는 흐름도로,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파일 단위로 존재하는 컨텐츠를 복수 개의 청크 단위로 분할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01).
그리고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분할된 각각의 청크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일련 번호를 부여하고, 컨텐츠 청크의 배열을 재정렬하게 된다. 즉, 셔플링(shuffling) 단계를 수행하여 컨텐츠 청크의 순서를 바꾸게 된다(S103).
이후에,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하나의 컨텐츠로 복원할 수 있는 청크 맵을 생성한다(S105). 생성된 청크 맵은 컨텐츠 이름, 컨텐츠 전체 크기, 컨텐츠 복원 정보(컨텐츠 청크 식별 정보 및 일련 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한다(S105). 이때, 컨텐츠 청크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한 이후에 청크 맵을 작성하거나 변경하는 과정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클라우드 서버(300)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청크 맵에 기재되도록 필요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이와 같이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무작위로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하는 반면, 컨텐츠 청크를 복원할 수 있는 청크 맵에 대해서는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는 분할된 컨텐츠 청크만을 보관하고 관리할 뿐, 컨텐츠를 복원할 수 없어 컨텐츠에 대한 접근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된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후에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다(S107).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대신에 컨텐츠를 복원할 수 있는 청크 맵과 상기 컨텐츠 청크를 저장하고 있는 클라우드 서버(300)의 주소 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컨텐츠 소비 장치(100)가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수신하여 하나의 컨텐츠로 복원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S111).
아울러,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S107 단계 이후에, 컨텐츠 소비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사용자를 인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청크 맵을 전달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과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특히,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관점에서 기술하고 있는 흐름도로,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파일 단위로 존재하는 컨텐츠를 복수 개의 청크 단위로 분할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201).
이때,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컨텐츠의 속성 정보를 기초로 청크 단위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가 동영상 컨텐츠일 경우 속성 정보인 메타 데이터를 확인하여 씬(scene) 단위로 컨텐츠가 분할되도록 청크 단위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가 동영상 컨텐츠이고, '미성년자 관람 불가' 장면을 포함하고 있을 경우,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미성년자 관림 불가' 장면만이 별도의 컨텐츠 청크로 분할되도록 청크 단위를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가 특정 항목으로 구분되는 파일일 경우, 항목에 대한 속성 정보를 확인하여 항목별로 컨텐츠가 분할되도록 청크 단위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분할된 각각의 컨텐츠 청크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일련 번호를 부여하고, 컨텐츠 청크의 배열을 재정렬하게 된다. 즉, 셔플링(shuffling) 단계를 수행하여 컨텐츠 청크의 순서를 바꾸게 된다(S203).
이후에,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하나의 컨텐츠로 복원할 수 있는 청크 맵을 생성한다(S205). 이때 컨텐츠별로 하나의 청크 맵을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조건별로 복수 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사내 시스템에 위치하는 서버일 경우를 가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컨텐츠를 A, B, C의 복수 개의 시트로 구성되는 사내 공유 엑셀 파일인 것으로 가정하고, 시트 A는 사원 직책이 접근 가능하고, 시트 B는 대리 직책이 접근 가능하고, 시트 C는 과장 직책이 접근 가능한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직책별로 해당하는 시트만을 열람하도록 청크맵을 복수 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한다(S207). 이때, 컨텐츠 청크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한 이후에 청크 맵을 작성하거나 변경하는 과정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클라우드 서버(300)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청크 맵에 기재되도록 필요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이와 같이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무작위로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하는 반면, 컨텐츠 청크를 복원할 수 있는 청크 맵에 대해서는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하지 않는다.
이후에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다(S207). 이때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컨텐츠 소비 장치(100)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와 다르게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컨텐츠 소비 장치(100)가 미리 등록된 경우,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부터 식별 정보만을 전달받아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정보가 확인되면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청크 맵을 확인한다(S211). 전술한 예에서, 확인된 사용자 정보가 직책 정보일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해당 직책 정보에 대응하는 기 생성된 청크 맵을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확인된 청크 맵과 컨텐츠 청크를 소유하고 있는 클라우드 서버(300)의 주소 정보를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 전송한다(S213). 이때, 본 발명의 컨텐츠 청크가 복수 개의 저장 장소에 분산 배치되어 저장되어 있을 경우, 컨텐츠 청크에 대응하여 저장 장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수신한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해당 저장 장소, 예컨대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속하고, 수신된 청크 맵에 따라 대응하는 컨텐츠 청크를 요청하여 수신한 후, 수신된 컨텐츠 청크를 복원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소비 장치(100)에서의 컨텐츠 이용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컨텐츠를 요청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01). 컨텐츠를 요청하는 과정은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접속하는 과정, 컨텐츠 목록을 표시하는 과정, 사용자 입력에 따라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에, 본 발명의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컨텐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받을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300)의 주소 정보 및 컨텐츠를 복원할 수 있는 청크 맵을 수신한다(S303).
청크 맵을 수신한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청크 맵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300)에 컨텐츠를 요청하게 된다(S305). 이때, 본 발명의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청크 맵에 따라 각각의 컨텐츠 청크를 순차적으로 전송 요청하여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청크 맵 자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달하여 컨텐츠 청크를 일괄적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300)는 단일의 서버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컨텐츠 소비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순차적 또는 일괄적으로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 컨텐츠 청크를 전달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300)가 복수 개의 서버 형태로 구현되면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제공한 컨텐츠 청크가 여러 서버에 분산되어 저장되어 있을 경우, 해당 컨텐츠 청크를 보유하고 있는 서버를 확인한 후 확인된 서버로 연결되는 과정을 지원하거나 확인된 서버로부터 컨텐츠 청크를 전달받아 상기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300)는 컨텐츠 소비 장치(100)가 요청한 컨텐츠 청크가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요청하여 해당 컨텐츠 청크를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 전송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청크 단위로 분할된 컨텐츠 청크가 수신되면(S307), 본 발명의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청크 맵에 따라 컨텐츠로 복원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309).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방법을 데이터 흐름 관점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며,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해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컨텐츠를 복수 개의 청크 단위로 분할한다(S401). 분할된 컨텐츠 청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크 식별 정보(701), 청크 길이(702), 청크 데이터(703)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청크 식별 정보는 랜덤값(utime)과 맥주소의 조합 또는 랜덤값과 시리얼 넘버의 조합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청크 길이(702)는 컨텐츠 청크의 크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청크 길이(702)는 컨텐츠의 속성 정보 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컨텐츠 청크 마다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청크 데이터(703)는 컨텐츠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하나의 컨텐츠를 복수 개의 청크 단위로 분할하고, 이에 대한 순서를 무작위로 재배열하게 된다(S403).
그리고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컨텐츠로 복원할 수 있는 청크 맵을 생성한다(S405). 도 10은 청크 맵에 대한 예시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청크 맵은 컨텐츠 이름(704), 컨텐츠 전체 크기(705), 컨텐츠 복원 정보(70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복원 정보(706)는 각각의 컨텐츠 청크에 대한 컨텐츠 청크 식별 정보 및 일련 번호를 S403 단계에서 재배열된 순으로 나열한 것으로,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상기 청크 맵을 이용하여 수신된 컨텐츠 청크를 하나의 컨텐츠로 복원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과정에 대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하나의 컨텐츠 파일(707)을 복수 개의 컨텐츠 청크로 분할할 수 있다(708). 이때 각각의 컨텐츠 청크들은 식별 번호(id), 일련 번호를 부여받게 되고,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컨텐츠 청크들을 재배열한 후 재배열한 순으로 청크 맵에 기록하여 청크 맵을 완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청크 맵 생성이 완료되면,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달하고(S407) 클라우드 서버(300)는 분할된 컨텐츠를 저장한다(S409).
이후에,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컨텐츠 제공을 요청한다(S411). 이를 수신한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컨텐츠 대신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대한 주소 정보 및 컨텐츠를 복원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청크 맵을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 전송한다(413). 이후,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청크 맵에 따라 해당하는 클라우드 서버(300)로 컨텐츠를 요청하게 된다(S415).
클라우드 서버(300)는 컨텐츠 소비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 전송하고(S417),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청크 맵에 따라 수신된 컨텐츠 청크를 컨텐츠로 복원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S419).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청크 맵(801)에 따라 수신된 컨텐츠 청크를 나열하고(802), 나열된 컨텐츠 청크를 청크 맵에 따라 재정렬을 수행한 후(803), 하나의 컨텐츠 파일(804)로 복원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에,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복원된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S421).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급자 측면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 매번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저장 공간을 이용하고자 하는 클라우드 서버(300)로 컨텐츠를 전송한 후 클라우드 서버(300)를 경유한 컨텐츠를 컨텐츠 소비 장치(100)로 전송함으로써 공급자 측의 네트워크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300)에 컨텐츠를 전송 시 컨텐츠 원본을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를 분할한 컨텐츠 청크 단위로 전송하고, 이를 복원할 수 있는 청크 맵은 컨텐츠 제공 장치(100) 자신이 직접 관리하고 배포함으로써 악의적인 경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가 복원되는 경우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비자 측면에서 컨텐츠 소비 장치(100)는 클라우드 서버(300)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보안이 강화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버(300)는 하나의 완성된 컨텐츠가 아닌 청크 단위로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복수 개의 저장 공간에 분산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어 저장공간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컨텐츠 이용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컨텐츠 제공 장치가 컨텐츠를 복수 개의 청크 단위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복원할 수 있는 복원 정보를 포함하는 청크 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어느 하나의 컨텐츠 소비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분할된 컨텐츠 청크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정보와 상기 청크 맵을 상기 컨텐츠 소비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며 기록매체를 통해 배포되고 유통되어 특정 장치, 특정 컴퓨터에 읽히어 설치되고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프로그램 명령어에 대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컨텐츠 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가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컨텐츠 소비 장치로 컨텐츠를 제공하되 클라우드 서버가 원본을 복원하지 못하도록 컨텐츠를 복수 개의 청크 단위로 분할하여 랜덤 배열한 후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고, 컨텐츠 소비 장치에게만 컨텐츠를 복원할 수 있는 청크 맵을 전달하여 컨텐츠 소비 장치에서 분할된 컨텐츠를 복원하여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컨텐츠 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라우드 서버에 컨텐츠를 전송 시 컨텐츠 원본을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를 분할한 컨텐츠 청크 단위로 전송하고, 이를 복원할 수 있는 청크 맵은 컨텐츠 제공 장치 자신이 직접 관리하고 배포함으로써 악의적인 경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가 복원되는 경우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클라우드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컨텐츠 소비 장치 110: 소비 장치 통신부
120: 소비 장치 입력부 130: 소비 장치 제어부
140: 소비 장치 저장부 150: 소비 장치 출력부
200: 컨텐츠 제공 장치 210: 제공 장치 통신부
230: 제공 장치 제어부 240: 제공 장치 저장부
300: 클라우드 서버 310: 클라우드 서버 통신부
320: 클라우드 서버 제어부 330: 클라우드 서버 저장부
500: 통신망 1000: 컨텐츠 이용 시스템

Claims (11)

  1. 컨텐츠 제공 장치가 컨텐츠를 복수 개의 청크 단위로 분할하여 복수의 컨텐츠 청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생성된 컨텐츠 청크에 대한 배열을 랜덤하게 재정렬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컨텐츠 청크를 복원할 수 있는 복원 정보를 포함하는 청크 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컨텐츠 청크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어느 하나의 컨텐츠 소비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정보와 상기 청크 맵을 상기 컨텐츠 소비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청크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속성 정보 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청크 단위를 가변하여 상기 컨텐츠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정렬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각각의 컨텐츠 청크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일련 번호를 부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크 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조건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청크 맵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컨텐츠 소비 장치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소비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컨텐츠 소비 장치의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기 생성된 청크 맵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확인된 청크 맵을 상기 컨텐츠 소비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이용 방법.
  6. 삭제
  7. 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로 컨텐츠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복수 개의 청크 단위로 분할한 후, 배열을 랜덤하게 재정렬한 컨텐츠 청크를 저장하고 있는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정보와 상기 컨텐츠에 대한 청크 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청크 맵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청크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컨텐츠 청크를 상기 청크 맵에 따라 복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소비 장치에서의 컨텐츠 이용 방법.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컨텐츠를 복수 개의 청크 단위로 분할하여 복수의 컨텐츠 청크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컨텐츠 청크의 배열을 랜덤하게 재정렬하는 컨텐츠 분할 모듈;
    상기 컨텐츠 청크를 상기 컨텐츠로 복원할 수 있는 청크 맵을 생성하는 청크 맵 생성 모듈; 및
    상기 컨텐츠 청크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며, 어느 하나의 컨텐츠 소비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정보 및 상기 청크 맵을 상기 컨텐츠 소비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11. 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로 컨텐츠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복수 개의 청크 단위로 분할한 후, 배열을 랜덤하게 재정렬한 컨텐츠 청크를 저장하고 있는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정보와 상기 컨텐츠에 대한 청크 맵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청크 맵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 청크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청크를 컨텐츠 복원 모듈로 전달하는 컨텐츠 처리 모듈; 및
    상기 컨텐츠 청크를 상기 청크 맵에 따라 상기 컨텐츠로 복원하는 컨텐츠 복원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소비 장치.

KR1020150125126A 2015-09-03 2015-09-03 컨텐츠 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16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126A KR102216173B1 (ko) 2015-09-03 2015-09-03 컨텐츠 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126A KR102216173B1 (ko) 2015-09-03 2015-09-03 컨텐츠 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194A KR20170028194A (ko) 2017-03-13
KR102216173B1 true KR102216173B1 (ko) 2021-02-15

Family

ID=58412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126A KR102216173B1 (ko) 2015-09-03 2015-09-03 컨텐츠 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1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772B1 (ko) 2017-11-01 2019-07-12 카테노이드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52861B1 (ko) * 2020-07-29 2021-05-14 윤성민 데이터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0267A (ja) * 2003-07-31 2005-02-24 Nippon Telegraph & Telephone East Corp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JP2005149028A (ja) 2003-11-13 2005-06-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サーバ、コンテンツ受信装置、コンテンツ配信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2015023323A (ja) 2013-07-17 2015-02-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チャンクダウンロード完了判定装置、チャンクダウンロード完了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3166B2 (en) 2011-05-14 2016-02-02 Bitcasa, Inc. Cloud file system
KR101318985B1 (ko) * 2011-08-25 2013-11-21 주식회사 팬택 클라우드 컴퓨팅에서의 콘텐츠 보안 장치 및 방법
KR102036383B1 (ko) * 2013-05-13 2019-10-24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콘텐츠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0267A (ja) * 2003-07-31 2005-02-24 Nippon Telegraph & Telephone East Corp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JP2005149028A (ja) 2003-11-13 2005-06-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サーバ、コンテンツ受信装置、コンテンツ配信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2015023323A (ja) 2013-07-17 2015-02-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チャンクダウンロード完了判定装置、チャンクダウンロード完了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194A (ko) 201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0006B2 (en) Intelligent storage devices with cryptographic functionality
US10650077B2 (en) Providing secure storage of content and controlling content usage by social media applications
JP5975501B2 (ja) 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においてストレージデータの暗号化不要の整合性保護を促進するメカニズム
US95095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grating encrypted data
US10503917B2 (en) Performing operations on intelligent storage with hardened interfaces
US954286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gital steganography
EP3610623B1 (en) Protocol-level identity mapping
CN110178136A (zh) 现场可编程门阵列程序的签名验证
CN111767268B (zh) 数据库表分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465966B1 (ko)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데이터 암호화 처리 장치 및 방법
US8543821B1 (en) Scalably displaying sensitive data to users with varying authorization levels
EP27740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dentity based encryption in distributed computations
US20200266971A1 (en) Re-encrypting data on a hash chain
US11637868B2 (en) Attestation support for elastic cloud computing environments
US20210109870A1 (en) Isolating memory within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s
JP2015507787A (ja) 自律ネットワーク・ストリーミング
KR20180005542A (ko) 데이터 무결성 검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162876B1 (en) Embeddable cloud analytics
US11604671B2 (en) Secure virtual machine and peripheral device communication
KR102216173B1 (ko) 컨텐츠 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20167394A (ko) 다자간 컴퓨팅 및 확률적 데이터 구조를 이용한 정보에 대한 액세스 보호
US11947684B2 (en) Searching encrypted data
US9805177B1 (en) Processing large data sets from heterogeneous data sources using federated computing resources
EP4020156A1 (en) Reducing latency of hardware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s
US10853057B1 (en) Software library versioning with cac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