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196B1 - The flow regulator valve for collecting tubes - Google Patents

The flow regulator valve for collecting tub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196B1
KR102215196B1 KR1020190036694A KR20190036694A KR102215196B1 KR 102215196 B1 KR102215196 B1 KR 102215196B1 KR 1020190036694 A KR1020190036694 A KR 1020190036694A KR 20190036694 A KR20190036694 A KR 20190036694A KR 102215196 B1 KR102215196 B1 KR 102215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tube
housing
connection pin
flow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6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14627A (en
Inventor
윤종수
Original Assignee
윤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수 filed Critical 윤종수
Priority to KR1020190036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196B1/en
Publication of KR20200114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6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1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01N2001/247Syri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는 외부의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 튜브, 흡입 튜브와 포집관과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흡입 튜브에서 흡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 튜브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끼워지는 연결 핀 및 상기 하우징에 내삽 되며, 상기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의 내부 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정압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는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자동으로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 밸브와 흡입 튜브 간의 결합이 견고할 뿐 만 아니라 탈착이 용이하고, 시료를 흡입하는 흡입 튜브의 끝단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 controller for collecting air. The flow controller for collecting 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tube through which an external fluid is sucked, a housing coupled to the suction tube and the collection pipe, and a control valve for adjusting the flow rate sucked from the suction tube, and the suction tube and the housing It includes a connection pin sandwiched between and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a static pressure control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low regulator for air collection. The flow controller for air coll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internal pressure without adding additional parts,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control valve and the suction tube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is not only solid, but also easy to detach and remove, and sucks a sampl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end of the suction tube.

Description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The flow regulator valve for collecting tubes}The flow regulator valve for collecting tubes}

본 발명은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내부 압력을 조정하며 보다 정확히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 controller for collecting 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w controller for collecting air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internal pressure and more accurately controlling the flow rate.

공기 중에 함유된 가스 및 이물질 등의 성분을 검사하기 위해 유체 형태로 분포하는 시료를 채취하는 공기 포집기에 장착되며 공기 중 함유된 가스 등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유량 조절기에 있어서, 종래에는 샘플러를 통해 기체를 흡입 시킬 때, 샘플러 및 흡착제가 포함된 흡입관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흡착제가 포함된 흡입관이나 샘플러 내부 장치에 부하가 작용되어 장치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방지하고자,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CPC(정압 조절 장치)를 흡입통로에 추가로 포함시켜 내부가 진공상태에 가까워지면 진공 압에 의해 외부와 연결된 게이트가 열려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진공상태가 지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의 경우 추가로 CPC 장치를 구입하고 별도로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었다.In a flow regulator including a control valve that is mounted on an air collector that collects samples distributed in a fluid form to inspect components such as gases an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air, and can control the intake amount of gas contained in the air, Conventionally, when gas is sucked through a sampler,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uction pipe containing the sampler and the adsorbent is lowered. Accordingly, a load is applied to the suction pipe containing the adsorbent or the internal device of the sampler, causing damage to the device. There was. To prevent this, 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1, a CPC (static pressure control device) is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suction passage so that when the interior is close to a vacuum state, the gate connected to the outside is opened by vacuum pressure to induce external air to continue the vacuum state. It used a method to prevent it from becoming. However,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cumbersome and additional cost is incurred because additional CPC devices must be purchased and installed separately.

또한, 사람들이 공기포집기를 휴대하면서 이동시 그 움직임이나 외부의 약한 충격에 의해 흡입 튜브와의 결합을 유지하는 결합장치(예를 들면 나사)가 헐거워져 틈새가 발생하여 유량조절에 있어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공기에 함유된 성분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 등록특허 10-1863697 "포집튜브용 유량 밸브 조절기"(이하 종래기술)가 개시된 바 있다. 도 2에 도시된 종래기술에서는 조절밸브(16)와 연결부(10)간에 오링(O)을 추가하여 결합을 더 견고하게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In addition, when people move while carrying the air collector, the coupling device (for example, screw) that maintains the coupling with the suction tube is loose due to the movement or a weak external shock, resulting in a gap, causing an error in flow control.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in not properly measuring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ai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63697 "Flow valve regulator for collecting tube" (hereinafter, prior art) has been disclosed. In the prior art shown in FIG. 2, an O-ring (O) is added between the control valve 16 and the connection part 10 to further strengthen the coupling.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 유량의 흔들림은 어느 정도 개선했지만 오링(0)이 결합된 조절밸브(16)의 탈착이 어려워져 유량 조절시 큰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힘들여 조절해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유량을 조절하는 장치의 탈착에 어려움 이 없으면서 이와 동시에 유량을 조절함에 있어 오차가 없도록 하는 유량 조절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although the shaking of the flow rate has been improved to some extent,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control valve 16 to which the O-ring (0) is coupled, and thu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flow rate using a large driver.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need for a flow rate control device that does not have difficulty in attaching and detaching the device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no error in controlling the flow rate.

한국등록특허 10-1863697 "포집튜브용 유량 밸브 조절기"Korean Patent Registration 10-1863697 "Flow valve regulator for collection tub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자동으로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w controller for collecting air including a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internal pressure without adding additional parts.

또한,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 밸브와 흡입 튜브 간의 결합이 견고할 뿐 만 아니라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flow controller for collecting air that not only has a solid coupling between the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and the suction tube, but also facilitates detachment.

또한, 시료를 흡입하는 흡입 튜브의 끝단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flow controller for collecting air allowing a user to easily grasp the end of a suction tube for inhaling a sample.

본 발명의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는 유체를 흡입하여 저장하는 샘플러에 포집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샘플러에 흡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에 있어서, 외부의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 튜브; 일단이 상기 흡입 튜브의 타단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포집관과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흡입 튜브에서 흡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 튜브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끼워지는 연결 핀; 및 상기 하우징에 내삽 되며, 상기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의 내부 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정압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low controller for collecting 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sampler that sucks and stores a fluid through a collection pipe, and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fluid sucked into the sampler. tube; A housing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tub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collection tube; A connection pin fitted between the suction tube and the housing and including a control valve for adjusting the flow rate sucked from the suction tube; And a static pressure control device that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is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low controller for collecting air.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흡입튜브의 연장방향을 길이방향,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너비방향이라 할 때, 상기 너비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흡입 튜브가 끼워지는 흡입 튜브 통로,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포집관과 연결되는 포집관 통로 및,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포집관 통로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며, 외부와 통하는 유통구 측에 단차가 형성되는 압력 조절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ction tube is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 width direction, an inner spac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is formed, and the suction tube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uction tube passage into which is inserted, a collection pipe passag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collection pipe, and a collection pipe passag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ispos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collection pipe passage, and there is a step on the side of the circulatio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ed pressure control flow path is formed.

또한, 상기 정압 조절 장치는 상기 압력 조절 유로에 일 측이 위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포집관에 끼워지고, 상기 스프링과의 거리 조정이 가능하며 중앙에 홀이 형성되도록 설계되는 장력조절 볼트와, 타 측이 상기 스프링과 결합되며 상기 압력 조절 유로의 단차에 걸쳐져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atic pressure regulating device includes a spring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pressure regulating flow path, a tension regulating bolt that is fitted into the collecting pipe, and is capable of adjusting a distance from the spring and has a hole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other The side is coupled to the spring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opper designed to move up and down over a step of the pressure control flow path.

또한, 상기 정압 조절 장치는 상기 내부 공간의 내부 압력이 하강할 시, 상기 스프링이 수축되어 상기 마개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압입되어 상기 압력 조절 유로가 외부와 연통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내부 압력이 상승할 시, 상기 스프링이 팽창하여 상기 마개가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압출되어 상기 압력 조절 유로가 외부와 차단 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ternal space decreases, the static pressure control device is designed such that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ternal space is lowered, the spring is contracted and the stopper is press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so that the pressure control flow path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When the pressure rises, the spring expands and the stopper is extruded outside the housing to block the pressure control flow path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연결핀은 상기 흡입 튜브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 튜브 통로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in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fitted into the suction tube passage.

또한, 상기 연결핀은 상기 흡입 튜브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결핀 하우징, 상기 연결핀 하우징에 끼워지며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흡입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 밸브, 상기 조절 밸브와 상기 연결핀 하우징 사이에 끼워지는 풀림방지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공간과 접하는 위치에 상기 연결핀 하우징을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in is a connection pin housing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tube, a control valve that is fitted to the connection pin housing and has a step to be narrower toward the end to control the suction flow rate, the control valve and the connection pin housing It includes an anti-loosening spring interposed therebetw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e through the connection pin housing is form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space.

또한, 상기 연결핀은 상기 조절 밸브와 상기 연결핀 하우징 간의 결합을 고정하기 위한 풀림 방지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i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osening prevention means for fixing the coupling between the control valve and the connection pin housing.

또한, 상기 흡입 튜브는 한 개 이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ction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is disposed.

또한, 상기 흡입 튜브는 내부에 흡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ction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n adsorbent therein.

또한, 상기 흡입 튜브의 일단이 평편한 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uction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lat surfac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는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자동으로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flow controller for collecting ai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flow controller for collecting air including a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internal pressure without adding additional parts.

또한,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 밸브와 흡입 튜브 간의 결합이 견고할 뿐 만 아니라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flow controller for collecting air that not only has a solid coupling between the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and the suction tube, but also facilitates detachment.

또한, 시료를 흡입하는 흡입 튜브의 끝단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flow controller for collecting air that enables a user to easily grasp the end of a suction tube for sucking a sample.

도 1은 종래의 CPC정압조절장치를 사용하는 공기 포집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포집튜브용 유량조절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량 조절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량 조절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정압 조절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내부 압력이 고압일 시, 본 발명의 정압 조절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내부 압력이 저압일 시, 본 발명의 정압 조절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연결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연결핀과 타 구성간의 관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흡입튜브의 부분 확대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ir collecting device using a conventional CPC static pressure control devic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ow controller for a collecting tube of the prior art.
3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low reg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low reg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atic pressure adju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ow control device for collecting air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atic pressur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ternal pressure is high.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ow control device for collecting air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atic pressur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ternal pressure is low.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pin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on pin and other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suction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appropriate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y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variations.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an example shown to describ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s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100)의 개략적인 구성과 그 주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air trapping flow regulator 100 and its surrounding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100)는 유체를 흡입하여 저장하는 샘플러(200)에 포집관(300)을 통해 연결되며, 샘플러(200)에 흡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100)는 외부의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 튜브(11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튜브(110)의 일 측 끝단에는 외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흡입 홀(1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 튜브(110)는 한 개 이상 배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 흡착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에 포함된 흡착제는 포집한 유체에 분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The flow controller 100 for collecting 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3 is connected to a sampler 200 that sucks and stores a fluid through a collection pipe 300 and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fluid sucked into the sampler 200 It is used for Referring to FIG. 4, the flow controller 100 for collecting ai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ction tube 110 through which an external fluid is sucked. It is preferable that a suction hole 111 through which external air can be sucke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uction tube 110. In addition, more than one suction tube 110 may be disposed, 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adsorbent therein. The adsorbent contained therein must be able to play a role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distributed in the collected fluid.

또한, 본 발명의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100)는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는데 하우징(120)의 일단은 흡입 튜브(110)의 타단과 결합되고, 하우징(120)의 타단은 포집관(300)과 결합될 수 있다. 흡입 튜브(110), 포집관(300)은 하우징(120)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 튜브(110)가 한 개 이상 배치된 경우에는 한 개의 하우징(120)에 다수 개의 흡입 튜브(110)가 끼워지며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 controller 100 for collecting ai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120, wherein one end of the housing 12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tube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120 is a collection tube. It can be combined with 300. It is preferable that the suction tube 110 and the collection tube 300 are coupled in a form fitted to the housing 120. In addition, when more than one suction tube 110 is disposed, a plurality of suction tubes 110 may be fitted and coupled to one housing 120.

또한,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100)는 흡입 튜브(110)에서 흡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 밸브(126b)를 포함하며, 흡입 튜브(110)와 하우징(120)사이에 끼워지는 연결 핀(112)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 controller 100 for collecting ai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includes a control valve 126b for adjusting the flow rate sucked from the suction tube 110, and the suction tube 110 and the housing 120 It may include a connection pin 112 sandwiched between.

또한, 본 발명의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100)는 하우징(120)에 내삽 되며,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100)의 내부 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정압 조절 장치(12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collecting flow controll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20, and may include a static pressure control device 121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ir-collecting flow controller 100. .

이하로, 하우징(120)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도 6을 참조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6 to describe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120.

하우징(12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흡입 튜브(110)의 연장방향을 길이방향,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너비방향이라고 전제한다.Before describing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120, it is assumed that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ction tube 110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the width direction.

하우징(120)은 내부에 상기 너비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공간(122)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공간(122)은 하우징(120)이 용이하게 제작도록 하는 일예에서, 상기 너비방향으로 하우징(120)이 관통되게 통로를 뚫은 후 통로의 상기 너비방향 양측에 외부와 통로를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여 외부와 막히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성 될 수 있다.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흡입 튜브(110)가 끼워지는 흡입 튜브 통로(123),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포집관(300)과 연결되는 포집관 통로(124) 및,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포집관 통로(124)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며, 외부와 통하는 유통구(125a) 측에 단차가 형성되는 압력 조절 유로(125)가 형성될 수 있다. 압력 조절 유로(125)에 형성되는 단차는 하우징(120)의 외부와 가까운 유통구(125a)의 단면적이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흡입 튜브 통로(123)와 포집관 통로(124)와 압력 조절 유로(125)는 내부 공간(122)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using 120 may have an inner space 122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rein. In an example of allowing the housing 120 to be easily manufactured, the inner space 122 provides a means for blocking the passage from the outside on both sides of the passage in the width direction after the passage is pierced so that the housing 120 passes through the width direction. It can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it is provided and blocked from the outside. Inside the housing, a suction tube passage 123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to which the suction tube 110 is inserted, a collecting pipe passage 124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collecting pipe 300,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ressure control flow path 125 may be formed that extends to and is dispos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collection pipe passage 124, and has a step difference formed on the side of the flow port 125a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ort 125a clos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0 is smaller in the step formed in the pressure control flow path 125. In this case, the suction tube passage 123, the collection pipe passage 124, and the pressure control passage 125 are preferably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122.

이하로, 하우징(120)에 내삽되는 정압 조절 장치(121)의 구성 및 구조,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한다.Hereinafter, reference will be made to FIGS. 7 to 9 to describe the configuration,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tatic pressure control device 121 inserted into the housing 120.

도 7에 도시된 정압 조절 장치(121)는 압력 조절 유로(125)에 일 측이 위치되며 내부 공간(122)까지 연결되는 스프링(121b)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121b)은 내부 공간(122)과 압력 조절 유로(125)의 내부 압력에 따라 수축, 이완 될 수 있다. 스프링(121b)은 일 측에 마개(121a)가 연결될 수 있는데, 마개(121a)는 스프링(121b)이 수축, 이완함에 따라 압력 조절 유로(125)의 내부를 직선 운동 하여 외부 공기가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 및 차단 할 수 있다. The static pressure regulating device 121 shown in FIG. 7 may include a spring 121b that is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pressure regulating flow path 125 and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122. The spring 121b may contract and relax according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ternal space 122 and the pressure control flow passage 125. A stopper 121a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pring 121b, and the stopper 121a linearly moves the inside of the pressure control flow path 125 as the spring 121b contracts and relaxes, so that external air is transferred to the housing 120 ) It can be allowed and blocked from entering the interior.

보다 자세히, 마개(121a)는 압력 조절 유로(125)의 단면적이 큰 부분보다는 면적이 작으며 단면적이 작은 부분보다 면적이 크도록 형성되어 단차가 형성되지 않은 공간에 끼워져 직선 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압 조절 장치(121)는 내부 공간(122)의 내부 압력이 상승할 시, 스프링(121b)이 팽창하여 마개(121a)가 하우징(120) 외측으로 압출되어 압력 조절 유로(125)의 유통구(125a)가 외부와 차단 되도록 하여 외부 공기가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topper 121a is formed to have a smaller area than a portion with a large cross-sectional area and a larger area than a portion with a small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essure control passage 125, and is preferably inserted into a space where no step difference is formed to perform linear motion. Accordingly, as shown in FIG. 8,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ternal space 122 increases, the spring 121b expands and the stopper 121a is extrud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0 to provide pressure. The flow port 125a of the control flow path 125 is blocked from the outside, so that external ai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housing 120.

또한, 도 9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정압 조절 장치(121)는 내부 공간(122)의 내부 압력이 하강할 시, 스프링(121b)이 수축되어 마개(121a)가 하우징(120)의 내부로 압입되어 압력 조절 유로(125)의 유통구(125a)가 개방되도록 하여 외부 공기를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ternal space 122 decreases,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ternal space 122 decreases, the spring 121b contracts so that the stopper 121a is press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20. External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20 by opening the flow port 125a of the pressure control passage 125.

이에 추가로, 정압 조절 장치(121)는 포집관(300)에 끼워지고, 중앙에 홀이 형성되도록 설계되는 장력조절 볼트(121c)를 포함할 수 있다. 장력조절 볼트(121c)는 사용례에 따라 미리 내정된 내부 압력에서 마개(121a)가 열릴 수 있도록 스프링(121b)과의 거리 조정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o this, the static pressure adjusting device 121 may include a tension adjusting bolt 121c that is fitted into the collecting pipe 300 and is designed to have a hole formed in the center. The tension adjustment bolt 121c is capable of adjusting the distance with the spring 121b so that the stopper 121a can be opened at an internal pressure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use case.

이하로, 흡입 튜브(110)와 하우징(120)사이에 끼워지는 연결핀(112)의 구성 및 구조,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한다.Hereinafter, reference will be made to FIGS. 10 to 11 in order to describe the configuration,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connection pin 112 fitted between the suction tube 110 and the housing 120.

연결핀(112)은 흡입 튜브(110)의 타단에 연결되어 흡입 튜브 통로(123)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연결핀(112)이 흡입 튜브 통로(123)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흡입 튜브 통로(123)의 타단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in 112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tube 110 and fitted into the suction tube passage 123. Accordingly, a step that narrows toward the outside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tube passage 123 so that the connection pin 112 does not deviate from the suction tube passage 123.

연결핀(112)은 연결핀 하우징(112c)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연결핀 하우징(112c)는 흡입 튜브(110)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 공간(122)과 접하는 위치에 연결핀 하우징(112c)을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하다.The connection pin 112 may include a connection pin housing 112c, and the connection pin housing 112c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tube 110, and a connection pin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space 122 It is desirable that a hole through the housing 112c is formed.

또한 연결핀(112)은 연결핀 하우징(112c)에 끼워지며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흡입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 밸브(112b)가 포함될 수 있다. 조절 밸브(112b)는 도 10에 도시된 대로 옆면 일부가 나사 형태로 형성되어 일부가 연결핀 하우징(112c)과 나사 결합하는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조절 밸브(112b)는 연결핀 하우징(112c)의 의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 될 수 있는 형태라면 채택 될 수 있다. 조절 밸브(112b)가 연결핀 하우징(112c)내부에서 위치가 조정됨에 따라 조절 밸브(112b)의 단부는 흡입 튜브(110) 내부에 존재하는 흡입 유로 내부로 삽입, 분리 되면서 흡입 튜브(110)에서 흡입하는 유량을 조절 할 수 있다. 이에 추가로 사용자가 조절 밸브(112b)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부분은 하우징(120)의 내부로 내삽되어 외부의 충격에 조절 밸브(112b)의 위치가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pin 112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n housing 112c and include a control valve 112b that adjusts the suction flow rate by forming a step so as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end. As shown in FIG. 10, the control valve 112b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side surface is formed in a screw shape and a part thereof is screwed to the connection pin housing 112c, but the control valve 112b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rol valve 112b is a connection pin housing. (112c) can be adopted if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As the position of the control valve 112b is adjusted within the connection pin housing 112c, the end of the control valve 112b is inserted and separated into the suction flow path existing inside the suction tube 110, while being removed from the suction tube 110. You can adjust the suction flow rat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tion in which 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control valve 112b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2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ontrol valve 112b does not move due to external impact.

또한, 연결핀(112)은 조절 밸브(112b)와 연결핀 하우징(112c) 사이에 끼워지는 풀림방지 스프링(112d)을 포함할 수 있다. 풀림방지 스프링(112d)은 연결핀 하우징(112c)내부에 형성된 단차와 조절 밸브(112b)의 사이 공간에서 지지되어 위치하여 조절 밸브(112b)에 텐션을 줌으로써 조절 밸브(112b)가 외부에 충격에 의해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in 112 may include a loosening prevention spring 112d fitted between the control valve 112b and the connection pin housing 112c. The anti-loosening spring 112d is supported and positioned in the space between the step difference formed in the connection pin housing 112c and the control valve 112b, and provides tension to the control valve 112b, thereby preventing the control valve 112b from externally impacting. Therefore, it can be supported so that the position does not change.

이에 추가로, 연결핀(112)은 조절 밸브(112b)와 연결핀 하우징(112c) 간의 결합을 보다 완벽하게 고정하기 위한 풀림 방지수단(112c)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풀림 방지수단(112c)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In addition to this, the connection pin 112 may further include a loosening prevention means 112c for more completely fixing the coupling between the control valve 112b and the connection pin housing 112c, and the loosening prevention means 112c May be an O-ring as shown in the draw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로, 흡입 튜브(110)의 실시 예에 따른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 12를 참조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12 to describe the structure of the suction tub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르면 흡입 튜브(110)는 흡입 홀(111)을 통해 외부 기체와 접촉하는 일단부가 평편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흡입 튜브(110)를 하우징(120)에 고정 시킬 때, 흡입 튜브(110)의 일단을 손으로 잡고 하우징의 내부로 조여야 하는데, 흡입 튜브(110) 일단이 평편한 면을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흡입 튜브(110)를 보다 쉽게 쥐고 조립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tube 110 may be formed such that one end of the suction tube 110 in contact with the external gas through the suction hole 111 has a flat surface. When the user fixes the suction tube 110 to the housing 120, it is necessary to hold one end of the suction tube 110 by hand and tighten it into the housing. As the one end of the suction tube 110 has a flat surface, the user It can be seen the effect of allowing the suction tube 110 to be more easily gripped and assembl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하나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etc. and limit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one embodiment. It is not, and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is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all thing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elong to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


100 : 유량 조절기
110 : 흡입 튜브
111 : 흡입 홀
112 : 연결핀
112a : 풀림 방지 스프링 112b : 조절 밸브
112c : 연결핀 하우징 112d : 풀림 방지 수단
120 : 하우징
121 : 정압 조절 장치
121a : 마개 121b : 스프링
121c : 장력 조절 볼트
122 : 내부 공간 123 : 흡입 튜브 통로
124 : 포집관 통로 125 : 압력 조절 유로
125a : 유통구

100: flow regulator
110: suction tube
111: suction hole
112: connection pin
112a: anti-loosening spring 112b: regulating valve
112c: connection pin housing 112d: means for preventing loosening
120: housing
121: static pressure regulating device
121a: stopper 121b: spring
121c: tension adjustment bolt
122: inner space 123: suction tube passage
124: collection pipe passage 125: pressure control passage
125a: distribution port

Claims (10)

유체를 흡입하여 저장하는 샘플러에 포집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샘플러에 흡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에 있어서,
외부의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 튜브;
일단이 상기 흡입 튜브의 타단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포집관과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흡입 튜브에서 흡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 튜브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끼워지는 연결 핀;
상기 하우징에 내삽 되며, 상기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의 내부 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정압 조절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흡입튜브의 연장방향을 길이방향,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너비방향이라 할 때,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포집관과 연결되는 포집관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포집관 통로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며, 외부와 통하는 유통구 측에 단차가 형성되는 압력 조절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정압 조절 장치는,
상기 압력 조절 유로에 일 측이 위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포집관에 끼워지고, 상기 스프링과의 거리 조정이 가능하며 중앙에 홀이 형성되도록 설계되는 장력조절 볼트와,
타 측이 상기 스프링과 결합되며 상기 압력 조절 유로의 단차에 걸쳐져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
A flow controller for collecting air, which is connected to a sampler that sucks and stores a fluid through a collection pipe, and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fluid sucked into the sampler,
A suction tube through which an external fluid is sucked;
A housing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tub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collection tube;
A connection pin fitted between the suction tube and the housing and including a control valve for adjusting the flow rate sucked from the suction tube;
Includes; a static pressure control device that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low regulator for air collection,
The housing,
Whe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ction tube is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 width direction,
A collection pipe passag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collection pipe is formed,
A pressure control flow path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rang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collecting pipe passage, and forming a step in the flow port sid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s formed,
The static pressure regulating device,
A spring having one side positioned in the pressure control flow path,
A tension adjustment bolt that is fitted into the collection pipe and is capable of adjusting the distance with the spring and is designed to have a hole in the center,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spring and the flow regulator for air coll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opper designed to move up and down over a step of the pressure control flow pat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너비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흡입 튜브가 끼워지는 흡입 튜브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using,
An inner spac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is formed,
A flow regulator for air colle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suction tube passag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to which the suction tube is inserted is formed.
삭제delet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 조절 장치는,
상기 내부 공간의 내부 압력이 하강할 시, 상기 스프링이 수축되어 상기 마개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압입되어 상기 압력 조절 유로가 외부와 연통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내부 압력이 상승할 시, 상기 스프링이 팽창하여 상기 마개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압출되어 상기 압력 조절 유로가 외부와 차단 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atic pressure regulating device,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ternal space decreases, the spring is contracted so that the stopper is press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so that the pressure control flow path is design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ternal space increases, the spring expands and the stopper is extrud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the pressure control flow path is designed to be blocked from the outsid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은
상기 흡입 튜브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 튜브 통로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nection pin
A flow regulator for collecting ai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tube and fitted into the suction tube passag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은,
상기 흡입 튜브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결핀 하우징,
상기 연결핀 하우징에 끼워지며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흡입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 밸브,
상기 조절 밸브와 상기 연결핀 하우징 사이에 끼워지는 풀림방지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공간과 접하는 위치에 상기 연결핀 하우징을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nection pin,
A connection pin housing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tube,
A control valve tha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n housing and has a step formed so as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end to control the suction flow rate,
Including an anti-loosening spring fitted between the control valve and the connection pin housing,
A flow controller for collecting air, characterized in that a hole through the connection pin housing is form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spa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은,
상기 조절 밸브와 상기 연결핀 하우징 간의 결합을 고정하기 위한 풀림 방지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nection pin,
Air trapping flow regu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osening prevention means for fixing the coupling between the control valve and the connection pin hou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튜브는,
한 개 이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ction tube,
Flow regulator for collecting air,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are arrang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튜브는,
내부에 흡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ction tube,
A flow controller for collecting ai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n adsorbent therei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튜브의 일단이 평편한 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포집용 유량 조절기.
The method of claim 1,
Flow regulator for air collection,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suction tube has a flat surface.
KR1020190036694A 2019-03-29 2019-03-29 The flow regulator valve for collecting tubes KR1022151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694A KR102215196B1 (en) 2019-03-29 2019-03-29 The flow regulator valve for collecting tub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694A KR102215196B1 (en) 2019-03-29 2019-03-29 The flow regulator valve for collecting tub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627A KR20200114627A (en) 2020-10-07
KR102215196B1 true KR102215196B1 (en) 2021-02-15

Family

ID=7288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694A KR102215196B1 (en) 2019-03-29 2019-03-29 The flow regulator valve for collecting tub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196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5775A (en) * 1996-12-25 1998-07-14 Ohbayashi Corp Gas trapping device
KR20040089805A (en) * 2003-04-15 2004-10-22 김신호 Flow detect system
US8973603B2 (en) * 2009-02-17 2015-03-10 Carefusion 2200, Inc. Gas flow regulating device
KR101863697B1 (en) * 2016-09-01 2018-06-01 서치수 The flow regulator valve for collecting tub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627A (en)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7961B2 (en) Vacuum chuck
KR100476004B1 (en) Pinch Valve
WO2018006932A1 (en) Device with microfluidic actuator
ATE353313T1 (en) COMPONENT OF A MICROFLUIDIC VALVE
BRPI0807101A2 (en) VALVE, AND, VALVE FLOW ADJUSTMENT DEVICE
KR102215196B1 (en) The flow regulator valve for collecting tubes
EP1787703A3 (en) Liquid trap device for gas
US20140251094A1 (en) Air suction screw tightening apparatus
DE102013019885A1 (en) Pressure control valve
EP1643333A1 (en) Gas pressure controller with damping abutment
US8141580B2 (en) Pressure reducer
JPH085000A (en) Block valve
JP2006144553A (en) Fuel pump unit device
GB2426712A (en) Breathing mask with valve module
US8157903B2 (en) Gas-absorbing system
JP3087986U (en) Gas tank switchgear
CN108780332B (en) Flow rate control device
US7766027B2 (en) Vented steamer port cap assembly
US20160228805A1 (en) Breath sampling filter devices and gas analyzer including same
CN203616661U (en) Vacuum pressure adjusting device
KR101863697B1 (en) The flow regulator valve for collecting tubes
EP1334904A1 (en) Valve for reducing the pressure of a gas to a breathable level
KR200392348Y1 (en) Reducing valve
JP2006513842A (en) Pipetting device
JP2008175650A (en) Chromatography device, chromatography system, and separ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