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158B1 - 통증완화용 패치의 조성물과 이러한 패치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통증완화용 패치의 조성물과 이러한 패치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158B1
KR102215158B1 KR1020190112158A KR20190112158A KR102215158B1 KR 102215158 B1 KR102215158 B1 KR 102215158B1 KR 1020190112158 A KR1020190112158 A KR 1020190112158A KR 20190112158 A KR20190112158 A KR 20190112158A KR 102215158 B1 KR102215158 B1 KR 102215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patch
component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익
Original Assignee
강성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익 filed Critical 강성익
Priority to KR1020190112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2Burseraceae (Frankincense family)
    • A61K36/324Boswellia, e.g. frankinc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4Gard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6Phellodendron, e.g. cork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증완화용 패치의 조성물과 이러한 패치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통증완화용 패치의 조성물과 이러한 패치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송진분말로 되는 제1 조성성분과, 유황·당귀·별갑·치자·오공·황백·아차 및 혈갈을 혼합한 분말로 되는 제2 조성성분과, 황단·은주·대황·경분·빙편 및 청대를 혼합한 분말로 되는 제3 조성성분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증완화용 패치의 조성물과 이러한 패치 조성물의 제조방법 {COMPOSITION OF PAIN RELIEF PATCH AND METHOD OF MAKING THE PATCH}
본 발명은, 통증완화에 기여하는 약제성분이 연고기제(軟膏基劑)에 혼화되어 환부에 패치형태로 첩부하여 약효를 기대할 수 있는 통증완화용 패치의 조성물과 이러한 패치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통증완화용 패치는 통증완화에 기여하는 다양한 약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연고기제와 혼합한 것을 외피제에 도포하여 통증이 있는 부위에 첩부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통증완화용 패치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고 있으나 통증완화에 유효한 성분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은 많은 연구와 실험이 필요하고, 더욱이 이러한 패치는 피부첩부용이므로 통증완화의 효과에 앞서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성분이 포함되어서는 아니되는 것임은 물론 유효성분이 혼합되어 연고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고기제가 고유의 연고기제로서의 작용과 함께 통증완화의 효능을 갖도록 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27455호 (2002.04.13 공개) 2.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16503호 (2005.12.13 공개) 3.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8137호 (2010.12.07 공개) 4.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4204호 (2015.05.20 공개) 5.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38510호 (2018.12.31 공개)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통증완화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생약을 유효성분으로 선택하고 상당비율을 차지하는 연고기제로 피부자극이 없고 외용으로 통증완화에 효과를 보이는 것을 선택하여 통증완화용 패치를 얻을 수 있는 조성물과 이러한 패치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송진분말로 되는 제1 조성성분과, 유향·당귀·별갑·치자·오공·황백·아차 및 혈갈을 혼합하여 되는 제2 조성성분과, 황단·은주·대황·경분·빙편 및 청대를 혼합하여 되는 제3 조성성분으로 조성되는 통증완화용 패치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조성성분의 각 비율은 유향이 10.6 중량%이고 당귀·별갑·치자·오공·황백·아차 및 혈갈은 각각 5.3중량%로 되며, 상기 제3 조성성분의 각 비율은 황단이 26.0중량%이고 은주는 10.5 중량%이며 대황과 경분이 각각 5.3 중량%이고 빙편과 청대가 각각 2.6 중량%로 조성되는 통증완화용 패치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조성성분인 송진과 제2 및 제3 조성성분의 혼합비율이 94~96중량% 대 4~6중량%로 조성되는 통증완화용 패치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송진분말을 포함하는 제1 조성성분을 준비하는 단계와; 각각 분말상태인 유황·당귀·별갑·치자·오공·황백·아차 및 혈갈을 포함하는 제2 조성성분을 준비하는 단계와; 각각 분말상태인 황단·은주·대황·경분·빙편 및 청대를 포함하는 제3 조성성분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조성성분과 상기 제2 및 제3 조성성분을 94~96중량% 대 4~6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와; 송진분말을 약 200℃의 온도로 약 2시간 가열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냉각하여 고형물 상태로 만든 다음, 약 150℃의 온도로 가열하여 겔 상태로 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조성성분을 물과 5:5의 비율로 혼합하여 약 1시간 정도 끓이면서 물을 증발시킨 후. 건조하여 고형물을 만들고, 미세분말로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조성물의 미세분말을 제1 조성성분인 송진의 가열중에 균일하게 혼합하는 혼합단계; 및 상기 혼합단계에서 제3 조성성분의 분말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실온에서 냉각시켜 연고형태의 조성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증완화용 패치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통증완화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생약을 선택하고 상당비율을 차지하는 연고기제로 피부자극이 없고 외용으로 통증완화에 효과를 보이는 것을 선택하여 통증완화용 패치를 얻을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증완화용 패치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도
본 발명은, 송진을 주요 연고기제로 하는 제1 조성성분과, 유효성분으로서 유향·당귀·별갑·치자(지자)·오공·황백·아차 및 혈갈을 혼합하여 되는 제2 조성성분과, 황단·은주·대황·경분·빙편 및 청대를 혼합하여 되는 제3 조성성분으로 조성되는 통증완화용 패치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통증완화용 패치의 조성물을 조성하는 각 조성성분의 유효성분은 다음과 같다.
송진(松脂)의 약효는 새 살을 나게 하고 아픔을 멈추게 하며 살균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민간요법으로 알려진 약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서는 소나무 껍질에 상처를 내어 흘러내린 송진을 물에 넣고 끓여 천으로 걸러서 찬물에 넣은 후 엉킨 덩어리를 그늘에 말려 가루를 만들어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송진의 정유성분이 피부자극작용·억균작용·염증을 없애는 작용을 하므로 습진·데인 곳·옴 등의 외용약으로는 물론 관절염과 요통·장염·혈관벽 강화에도 많이 쓰이며, 오장을 편하게 하고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한다.
본 발명은 주요 연고기제로 송진을 사용하는데, 이는 송진이 관절염과 요통·혈관벽 강화에도 많이 쓰이고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한다는 효능이 있고 송진 자체의 유효성분이 외용약으로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송진에는, 테르페노이드(terpenoid)라는 유독성이 강한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어 이러한 유독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송진을 물에 넣고 삶으면서 지속적으로 새로운 물을 갈아서 삶기를 대여섯 차례 반복하여 유독성이 없어지도록 한 다음에 말려서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사용한다.
유향(乳香)은 감람과에 속하는 유향나무의 수액을 건조시켜 만든 약재로, 맛이 맵고 성질이 따뜻하며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여 통증을 없애 주고,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삭아 없어지게 하고 헌데가 생긴 부위에서 새 살이 돋아나게 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은 혈의 운행을 활발히 하여 통증을 없애준다는 효능을 기대하여 분말화된 것을 사용한다.
당귀(當歸)는 성질이 따뜻하며 맛은 달고 매우며 독이 없는 약재로, 몸의 물질대사 및 내분비 기능을 돕고 혈액 순환을 좋게 함은 물론 모든 풍병(風病)·혈병(血病)·허로(虛勞)를 치료하는데 쓰이며, 파악혈양신혈(破惡血養新血; 나쁜 피를 부수고 새 피를 생기게 함)·적취(積聚)·부인의 붕루(崩漏)·불임증을 주치하고, 여러 가지 나쁜 창양(瘡瘍; 부스럼과 종기)·금창(金瘡)·객혈(喀血)·속이 차가운 증세·이질복통(痢疾腹痛)을 그치게 하며, 학질을 낫게 하고 오장을 보하며 기육(肌肉)을 생하게 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당귀가 몸의 물질대사 및 내분비 기능을 돕고 혈액 순환을 좋게 하는 효능을 이용하기 위하여 분말화된 것을 사용한다.
별갑(鱉甲)은 자라과 동물의 등딱지를 말린 것을 분말화하여 사용하며, 그 효능은 오래된 학질·음독(陰毒)으로 인한 복통·과로로 인한 질병의 재발·음식으로 인한 질병의 재발은 물론 반(斑)과 두창(痘瘡) 및 가슴이 답답하고 천식하는 증상을 치료하며, 소아의 경련성 질환·여성의 월경이 나오지 않는 증상·난산·산후 자궁이 빠지는 증상·남성의 생식기에 부스럼이 생기고 고름이 나며 소변이 시원하지 않은 증상의 치료 및 종기가 터진 것을 아물게 하고, 또한 간경(肝經)에 작용하며, 음정(陰精)을 자양하여 열을 내리고 어혈을 없애고, 간양(肝陽)을 내리고 굳은 것을 유연하게 하며, 엉기어 있는 것을 흩어지게 하고, 음정이 부족하여 오후가 되면 열이 나면서 식은땀을 흘리는 데와 몸이 여위는 데 등에 쓰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열을 내리고 어혈을 없애는 효능을 기대하고 사용한다.
치자(梔子) 또는 지자(枝子)는 꼭두서니과에 속한 치자나무의 성숙한 과실을 건조하여 분말화한 것을 사용하며, 동의보감에 따르면 가슴과 대소장에 있는 심한 열과 위 안에 있는 열 그리고 속이 답답한 것을 낫게 하고, 열독을 없애고 오림(五淋)을 낫게 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5가지 황달을 낫게 하며 소갈을 멎게 하고, 입안이 마르고 눈이 피서며 붓고 아픈 것·얼굴까지 벌개지는 주사비·문둥병·창양(瘡瘍)을 낫게 하고 지충의 독을 없애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혈청콜레스테롤 수치와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수치를 저하시켜 고점도 혈증으로 인한 혈관의 울혈과 충혈을 완화시키는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발명은 이러한 효능을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오공(蜈蚣)은 절지동물인 지네를 일컫는 것으로 성질은 따뜻하며 독소와 매운 맛이 있고 주로 간경(肝經)에 들어가 작용하며, 거풍진경·해창독·해사독 등에 효과가 있어 거풍진경으로 급만성경풍 등으로 인한 경련·구금·각궁반장(환자의 머리와 목이 강직되고 허리와 등이 젖혀져서 활처럼 후방으로 만곡된 것)등의 증상에 적용되고, 피부궤양·나력·뱀·벌레에 물린 상처에 외용되며, 또한 항경련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몸안의 풍을 몰아내고 경련을 중단해주는 능력이 있어 파상풍 및 급만성 경풍으로 인한 경련·팔다리가 잘 펴지지 않고 움처드는 증세에 효과가 있고 뭉친 걸 풀어주고, 기혈순환촉진과 통증 완화를 도와주어 두통과 팔다리 저림에 좋은 영향을 가져다 준다고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효능을 기대하여 분말화한 것을 사용한다.
황백(黃柏)은 운향과에 속하는 황벽나무의 껍질을 말린 것을 분말화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약성은 한(寒)하고 고(苦)하며, 건위·청간·정장·조습·해독·수렴·살균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소화불량·위염·장염·설사·간염·황달·간경화·뇌막염·목적종통·구내염·창종 등의 증상에 사용하며, 균을 제거하는 살균작용과 체내 독소를 제거하는 해독작용이 강력하여 달여서 꾸준히 섭취하면 아토피·여드름·피부염과 같은 각종 피부질환 예방에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발명은 이러한 효능을 기대하여 사용한다.
아차(芽茶)는 차나무(Thea sinensis L.)의 어린잎으로 머리와 눈을 맑게 하며 답답하고 갈증나는 것을 없애주며 담을 삭히고 소화를 도와주며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해독시키는 효능을 가진 약재로 본말화하여 사용하며, 다른 효능으로서는 암·뇌졸중·당뇨병을 비롯한 심각한 질병의 예방에서 식중독·건초열·구취·독감 대책·다이어트와 피부 미용 효과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효능을 기대하여 사용한다.
혈갈(血竭)은 종려과 식물인 기린갈나무의 수지로 말려서 분말화하여 사용하며, 심과 간의 혈분에 작용을 하는 것으로 성질은 달고 짠맛을 겸하고 있는 것으로 종기를 삭히고 새살을 돋게 하는 동시에 지통의 효과도 있기 때문에 출혈증이나 멍이 든 것 등 찰과상이나 절상을 치료하는 외용으로 사용되고, 내복하면 어혈로 인한 복통·부녀의 생리가 고르지 못한 증상·산후에 어혈이 있는 증상에 응용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효능을 기대하여 사용한다.
황단(黃丹)은 산화물 한약으로서 연(鉛)을 가공하여 만든 분말제품으로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차며, 심경(心經)·비경(脾經)·간경(肝經)에 작용하고 열독(熱毒)을 없애고 새살이 돋아나게 하며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능이 있어 여러 가지 피부 화농성 질병과 화상 외용약으로 쓰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통증완화의 효능을 기대하여 사용한다.
은주(銀朱)는 수은과 유황으로 합성한 황화수은을 분말화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맛은 맵고 성질이 따뜻하며 독이 있고, 심경(心經)·폐경(肺經)에 작용하며, 해독하고 기생충을 구제하며 습사(濕邪)를 없애고 담(痰)을 삭이고, 주로 악성 종기·옴·창양(瘡瘍)·한센병 등에 외용약으로 쓰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담(痰)을 삭이는 효능을 기대하여 사용한다.
대황(大黃)은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대황류의 뿌리로 만든 한약재로 본 발명은 분말화한 것을 사용하며, 동의보감에 따르면 어혈과 월경이 막힌 것을 나가게 하고, 징가와 적취를 삭이고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며, 온병과 열병을 치료하고 옹저와 창절과 종독을 낫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대황에 포함되어 있는 폴리페놀성분의 카테킨(d-Catechin)은 모세혈관 투과성항진을 억제하고 혈소판응고를 저지하여 각종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각종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능을 기대하여 사용한다.
경분(輕粉)은 분말화 된 염화제일수은의 한방 약재로 맛이 맵고 차며 큰 독성이 있는 것으로, 주로 대장·소장경에 작용하며, 성질이 조(燥)하고 맹렬하여 침투력이 강하고 독을 칠만한 독성으로 단호하게 약효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해독·살충(균)·부식(腐蝕)·축장(逐腸)제로서 지독한 병독·수종·풍담습열을 쫓아내며, 더듬어 씻어서 잇몸 틈새나 소대변으로 배제하므로 담이 뭉친 병·배에 물이 차 팽창된 수종 고창병·대소변불통에 쓰고, 나력·개선·매독·모든 창독 등에 외용하면 속효적이며, 또한 소아과의 경풍·감질 등에도 좋은 약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능이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담이 뭉친 병에 외용한다는 효능을 기대하여 사용한다.
빙편은 용뇌(龍腦)라고도 하는 것으로 용뇌향과 식물인 용뇌향의 진이나 줄기와 가지를 잘라서 수증기 증류하여 얻은 액체를 식혀서 생긴 덩어리를 모아 그늘에서 말려 분말화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향기가 있고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매우면서 시원하고 독이 없으며, 눈에 생긴 내장과 외장을 낫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마음을 진정시키고, 눈에 피지면서 예막이 생긴 것을 낫게 하고, 명치 밑에 있는 사기와 풍습·적취를 없애며 삼충을 죽이고 다섯 가지 치질을 낫게 하며 부종을 내리고 통증을 없애는 효능이 있으며, 열이 나고 정신이 혼미한 병증·중이염·치질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발명은 부종을 내리고 통증을 없애는 효능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한다.
청대(靑黛)는 여뀌과 식물인 쪽 또는 배추과 식물인 대청(大靑)의 전초를 가공하여 분말화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맛은 짜고 성질은 차며 간경에 작용하고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혈분의 열을 없애고 억균작용 및 항암작용을 나타내며, 반진(斑疹)·어린아이가 고열이 나면서 경련이 이는데·헌데·단독(丹毒)·악창(惡瘡)·전염병으로 머리가 아프고 오슬오슬 추우며 열이 나는데·혈열(血熱)로 피를 토하는데·혈담(血痰)·비출혈·구내염·치은염·습진·편도선염·이하선염 등에 쓰이고, 요즘에는 백혈병에 써서 효과를 보고 있으며, 고열로 인한 소아경풍·폐열에 의한 기침·가래·습진과 구내염·피부발진·토혈·각혈·코피·볼거리염 등에 쓰이고, 해독작용이 있어 뱀과 개에 물린 독을 치료하는데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발명은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혈분의 열을 없애는 효능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증완화용 패치의 조성물 중 제1 조성성분은 100중량%의 송진분말이며, 이는 채취하여 얻은 송진을 정제하여 유독물질을 제거한 것을 입수하여 사용한다.
제2 및 제3 조성성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조성성분과의 혼합단계에서 제2 조성성분을 먼저 혼합하고 이후 제3 조성성분을 혼합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므로, 이를 구분하기 위하여 제2 및 제3 조성성분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제2 조성성분은 유향 10.6중량%와 나머지 당귀·별갑·치자·오공·황백·아차 및 혈갈은 각각 5.3중량%로 합계 47.7중량%로 되고, 제3 조성성분은 황단 26.0중량%와 은주 10.5중량%와 대황과 경분이 각각 5.3중량%와 빙편과 청대가 각각 2.6중량%로 합계 52.3중량%로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및 제3 조성성분의 전체는 100중량%로 된다.
이와 같은 제1 조성성분과 제2 및 제3 조성물의 비율을 정리하면, 하기의 표 1,2와 같다.
제1 조성성분
성 분 비 율 (중량%)
송진 (분말) 100
제2 조성성분
성 분 비 율 (중량%)
유향 (분말) 10.6
당귀 (분말) 5.3
별갑 (분말) 5.3
치자 (분말) 5.3
오공 (분말) 5.3
황백 (분말) 5.3
아차 (분말) 5.3
혈갈 (분말) 5.3
제3 조성성분
황단 (분말) 26.0
은주 (분말) 10.5
대황 (분말) 5.3
경분 (분말) 5.3
빙편 (분말) 2.6
청대 (분말) 2.6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통증완화용 패치의 조성물의 제조과정은 다음의 실시예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증완화용 패치의 조성물의 제1 조성성분은 100중량%의 송진분말이며, 이는 채취하여 원재료로서 얻은 송진을 정제하여 유독물질을 제거한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송진에는 테르페노이드(terpenoid)라는 유독성이 강한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며, 이에 따라 송진을 물에 넣고 삶으면서 지속적으로 새로운 물을 갈아서 삶기를 대여섯 차례 반복하여 유독물질을 제거한다.
제1 조성성분은, 3000g의 송진분말을 용기에 넣고 약 200℃의 온도로 약 2시간 가열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단계 S1), 냉각하여 고형물 상태로 만든 다음(단계 S2), 다시 약 150℃의 온도로 가열하여 겔 상태가 되게 한다(단계 S3).
제2 조성성분은, 유황·당귀·별갑·치자·오공·황백·아차 및 혈갈의 분말을 물과 5:5의 비율로 혼합하여 약 1시간 정도 끓이면서 물을 증발시킨다(단계 S4). 이를 건조시켜 고형물을 만든후(단계 S5), 분쇄하여 옅은 갈색의 미세분말을 얻는다(단계 S6).
이러한 과정에서, 제3 조성성분인 황단·은주·대황·경분·빙편 및 청대를 분말인 상태 그대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준비한다.
이와 같은 제1 조성성분인 송진과 제2 및 제3 조성성분을 혼합하는 비율은 약 94~96중량% 대 약 4~6중량%를 유지하는데, 예를 들어 제1 조성성분인 송진이 3000g인 경우에는 제2 및 제3 조성성분은 140g을 혼합한다.
이후, 미세분말의 제2 조성물은 제1 조성성분인 송진을 약 50~70℃의 온도로 약하게 가열하는 중에 균일하게 혼합하고(단계 S7), 이러한 혼합과정에서 제3 조성성분의 분말을 균일하게 혼합하여(단계 S8) 실온에서 냉각시켜 연고형태의 본 발명 통증완화용 패치의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러한 연고형태의 조성물을 패치기재의 면포 또는 합성포에 일정두께로 도포하여 환부에 첩부할 수 있도록 제조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렇게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통증완화용 패치의 조성물은 조성성분 중 가장 양이 많고 관절염과 요통 및 혈관벽 강화에 많이 쓰이며 피부자극이 없고 외용약으로 적합하며 통증완화 등의 효능이 있는 송진을 주요 연고기제로 하여, 혈의 운행을 활발히 하여 통증을 없애주는 효능을 갖는 유황과, 혈액 순환을 좋게 하는 효능을 갖는 당귀와, 열을 내리고 어혈을 없애는 효능을 갖는 별갑과, 혈관의 울혈과 충혈을 완화시키는 효능을 갖는 치자와, 기혈순환촉진과 통증 완화를 도와주는 효능을 갖는 오공과, 살균 효능이 있는 황백과, 담을 삭이는 효능이 있는 아차 및 은주와, 지통의 효능이 혈갈과, 새살이 돋아나게 하는 효능을 갖는 황단과,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능을 갖는 대황과, 담에 뭉친 병에 외용하는 효능을 갖는 경분과, 부종을 내리고 통증을 없애는 효능을 갖는 빙편과,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혈분을 없애는 효능을 갖는 청대를 적절하게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성분들의 효능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상승 작용을 하기 때문에 통증완화 효과를 향상시켜 주게 된다.
S1~S8 : 단계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송진분말로 되는 제1 조성성분 94~96중량%을 준비하는 단계와;
    분말상태인 유향 10.6중량%·당귀 5.3중량% ·별갑 5.3중량%·치자 5.3중량%·오공 5.3중량%·황백 5.3중량%·아차 5.3중량% 및 혈갈 5.3중량%를 혼합하여 되는 제2 조성성분을 준비하는 단계와;
    분말상태인 황단 26.0중량%·은주 10.5 중량%·대황 5.3중량%·경분 5.3중량%·빙편 2.6 중량%·청대 2.6 중량%를 혼합하여 되는 제3 조성성분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조성성분을 200℃의 온도로 2시간 가열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냉각하여 고형물 상태로 만든 다음, 150℃의 온도로 가열하여 겔화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조성성분을 물과 5:5의 비율로 혼합하여 1시간 정도 끓이면서 물을 증발시킨 후. 이를 건조시켜 고형물을 만들고, 다시 미세분말로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조성성분을 가열하여 겔화하는 중에 분말상태인 제2 조성물을 균일하게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단계에서 분말상태인 제3 조성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실온에서 냉각시켜 연고형태의 조성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완화용 패치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190112158A 2019-09-10 2019-09-10 통증완화용 패치의 조성물과 이러한 패치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215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158A KR102215158B1 (ko) 2019-09-10 2019-09-10 통증완화용 패치의 조성물과 이러한 패치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158A KR102215158B1 (ko) 2019-09-10 2019-09-10 통증완화용 패치의 조성물과 이러한 패치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158B1 true KR102215158B1 (ko) 2021-02-10

Family

ID=74560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158A KR102215158B1 (ko) 2019-09-10 2019-09-10 통증완화용 패치의 조성물과 이러한 패치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15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455A (ko) 2002-03-22 2002-04-13 장감용 천연재료 파스 제조법
KR20050116503A (ko) 2004-06-08 2005-12-13 정영애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찜질용 패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 찜질 파스
KR20100128137A (ko) 2009-05-27 2010-12-07 (주)리뉴시스템 적색 셰일을 함유한 기능성 패치
KR101445010B1 (ko) * 2009-09-01 2014-09-26 유니-프레지던트 바이오텍 컴퍼니 리미티드 소염, 부기제거, 진통에 사용되는 중국 생약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20150054204A (ko) 2013-11-11 2015-05-20 장감용 냄새없는 통증완화 천연패치
KR20170051126A (ko) * 2015-11-02 2017-05-11 팅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통증 경감용 고약
KR20180138510A (ko) 2017-06-21 2018-12-31 전혁준 천연오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통증완화용 파스제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455A (ko) 2002-03-22 2002-04-13 장감용 천연재료 파스 제조법
KR20050116503A (ko) 2004-06-08 2005-12-13 정영애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찜질용 패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 찜질 파스
KR20100128137A (ko) 2009-05-27 2010-12-07 (주)리뉴시스템 적색 셰일을 함유한 기능성 패치
KR101445010B1 (ko) * 2009-09-01 2014-09-26 유니-프레지던트 바이오텍 컴퍼니 리미티드 소염, 부기제거, 진통에 사용되는 중국 생약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20150054204A (ko) 2013-11-11 2015-05-20 장감용 냄새없는 통증완화 천연패치
KR20170051126A (ko) * 2015-11-02 2017-05-11 팅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통증 경감용 고약
KR20180138510A (ko) 2017-06-21 2018-12-31 전혁준 천연오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통증완화용 파스제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ar et al. Allium cepa: A traditional medicinal herb and its health benefits
Bhide et al. Roles of Emblica officinalis (amla) in medicine
CN106343343A (zh) 一种降三高的多穗柯苦荞组合物及其应用
KR100867514B1 (ko) 지초 비누의 제조방법
Shah et al. Ethnobotanical studies of the flora of district Musakhel and Barkhan in Balochistan, Pakistan.
CN102579701A (zh) 复方蒲公英煎剂
Hussain et al. Some important medicinal plants associated with the vegetation in District Mirpurkhas, Sindh
KR102215158B1 (ko) 통증완화용 패치의 조성물과 이러한 패치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5918660A (zh) 一种奶牛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Aswandi et al. Ethnomedicinal properties of orchidaceae by local communities in Lake Toba region, North Sumatra, Indonesia
KR100609643B1 (ko) 피부염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Muthukumar et al.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of the coastal diversity in Tuticorin district, Tamil Nadu, India
KR20110091959A (ko) 암의 치료 개선효과를 갖는 무수 유산균발효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394440A (zh) 预防花鲈烂鳃病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HARUNA et al. Medicinal plants used by the community of Lipulalongo Village, Banggai Laut District, Central Sulawesi, Indonesia
JPH0773478B2 (ja) 保健食品組成物の製造方法
CN110237140A (zh) 一种袪腐生肌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922449A (zh) 一种中药消毒液及其制备方法
CN115177701B (zh) 一种用于治疗胃溃疡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30079289A (ko) 숙취해소용 탄산음료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CN107753670A (zh) 一种治疗烧烫伤的中药膏
CN107397858B (zh) 一种治疗皮肤病的外用药及制备方法
Khan et 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recipes and its uses for curing different diseases reported from district Bannu
Rasulov et al. THE BENEFITS OF THE MOST IMPORTANT MEDICINAL PLANTS FOR HUMANS IN STRENGTHENING THEIR IMMUNE SYSTEM
KR20160124436A (ko) 기능성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