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998B1 -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998B1
KR102214998B1 KR1020200170803A KR20200170803A KR102214998B1 KR 102214998 B1 KR102214998 B1 KR 102214998B1 KR 1020200170803 A KR1020200170803 A KR 1020200170803A KR 20200170803 A KR20200170803 A KR 20200170803A KR 102214998 B1 KR102214998 B1 KR 102214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oil
recycled
carbonized
recycled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도
권명희
권정희
양미선
Original Assignee
정진도
권명희
권정희
양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도, 권명희, 권정희, 양미선 filed Critical 정진도
Priority to KR1020200170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998B1/ko
Priority to CN202110371950.5A priority patent/CN114606034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sewage, house, or town refus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0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plasti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7/00Other carbonising or coking processes; Features of destructive distillation processes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7/00Other carbonising or coking processes; Features of destructive distillation processes in general
    • C10B57/08Non-mechanical pretreatment of the charge, e.g. desulfurization
    • C10B57/10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002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in combination with oil conversion- or refin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06Methods of shaping, e.g. pelletizing or briquet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10L5/363Pellets or granu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40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deviating from typical ways of processing
    • C10G2300/4081Recycling asp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2Combustion or py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14Injection, e.g. in a reactor or a fuel stream during fuel production
    • C10L2290/141Injection, e.g. in a reactor or a fuel stream during fuel production of additive or catalys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18Spraying or sprink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24Mixing, stirring of fuel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30Pressing, compressing or compac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32Molding or mou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폐플라스틱과 하수슬러지를 연료탄으로 재생하되, 유해물질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연소 시 높은 발열량을 얻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에 있어서, a) 폐합성수지를 열분해 처리하여 오일로 재생하는 단계와; b) 하수슬러지를 건조시켜 건조슬러지로 만들거나, 하수슬러지를 탄화시켜 탄화슬러지로 만드는 하수슬러지 건조 또는 탄화단계와; c) 폐합성수지에서 재생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미리 설정된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와; d) 혼합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재생오일과 탄화슬러지를 연료탄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FUEL MANUFACTURING METHOD USING RECYCLED OIL OF WASTE PLASTIC AND SEWAGE SLUDGE}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플라스틱을 열분해시켜 제조한 재생오일과 하수슬러지 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혼합하여 연료탄을 제조함으로써, 유해물질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연소 시에 타 연료탄보다 높은 발열량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유해물질로서, 폐합성수지와 하수슬러지가 있다.
폐합성수지와 하수슬러지는, 많은 유해물질들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처리되지 않은 상태로 자연계에 배출되면 심각한 환경오염을 일으킨다. 따라서, 적절한 처리과정을 통해 그 부피와 유해성분을 줄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폐합성수지와 하수슬러지의 처리방법으로서, 폐합성수지 하수슬러지를 재생 및 재활용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특허출원 2004-38382호의 “하수슬러지와 폐플라스틱을 혼합한 고형화 연료의 제조방법”이 있다.
이 기술은, 폐플라스틱을 파쇄 및 분쇄하고, 슬러지를 건조시킨 다음, 분쇄된 폐플라스틱과 건조된 슬러지를 일정비율로 믹싱하여 일정크기의 연료펠릿으로 압출한다.
다른 예로서, 특허출원 2010-48606호의 “폐플라스틱과 슬러지를 합성한 고형연료 제조장치”가 있다.
이 기술은, 상기한 기술과 마찬가지로, 폐플라스틱을 잘게 분쇄하고, 슬러지를 건조시킨 다음, 분쇄된 폐플라스틱과 건조된 슬러지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후, 펠릿형태의 고형연료로 제조한다.
상기한 기술들은, 폐플라스틱과 하수슬러지를 적절한 처리과정을 통해 연료화하는 구조이므로, 그 부피와 유해성분을 줄이면서 에너지로 재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오염의 방지와 에너지 재생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폐플라스틱의 경우, 별도의 유해성분 제거 과정이 없이 그대로 잘게 분쇄한 다음 펠릿 상태로 연료화하는 구조이므로, 연료 펠릿속에 플라스틱 성분이 여전히 남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연료 펠릿을 연소시킬 경우, 유해물질, 예를 들면, 각종 환경호르몬과 황산화물(SOx)이 연소되면서 대기중으로 배출되어 대기오염을 일으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하수슬러지 연료탄 기술은, 연소 시에 충분한 수준의 발열량을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에너지 효율이 낮아 연료탄으로서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유연탄, 우드 펠릿 등과 같은 기존의 연료탄에 비해 비용대비 발열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주연료로 사용하기에 부족하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폐플라스틱을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혼합하여 연료로 재생하되, 유독성 유해물질을 최소화시켜 연료탄으로 재생할 수 있는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플라스틱과 하수슬러지의 유해물질을 최소화시켜 연료로 재생함으로써, 연소 시에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최소화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국내에서 처리하기 어려운 폐플라스틱과 하수슬러지를 동시에 처리하여, 환경오염 방지와 에너지 재활용이라는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폐플라스틱과 하수슬러지를 연료로 재생하되, 연료탄의 연소 시에, 높은 수준의 발열량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료탄의 연소 시에 높은 수준의 발열량을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연탄과 우드 펠릿의 대체품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연탄과 우드 펠릿의 사용으로 인한 대기오염과 산림파괴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재활용하는 연료탄 제조방법에 있어서, a) 폐합성수지를 열분해 처리하여 오일로 재생하는 단계와; b) 하수슬러지를 건조시켜 건조슬러지로 만들거나, 하수슬러지를 탄화시켜 탄화슬러지로 만드는 하수슬러지 건조 또는 탄화단계와; c) 폐합성수지에서 재생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미리 설정된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와; d) 혼합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재생오일과 탄화슬러지를 연료탄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재생되는 생산되는 재생오일 중, 그 일부분을 상기 a) 단계의 폐합성수지 열분해 처리공정의 연료로 재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하수슬러지를 분말의 형태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의 폐합성수지 열분해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열로, 상기 b) 단계의 하수슬러지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1차로 혼합하는 1차 혼합단계와; 1차로 혼합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2차로 혼합하는 2차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 혼합단계는, 상기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30~90 rpm의 저속 조건에서 혼합하고, 상기 2차 혼합단계는, 상기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120~300rpm의 고속 조건에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 혼합 단계에서, 액상의 재생오일과 분말 형태의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일정 압력으로 분사하면서 상호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 혼합 단계에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 혼합물의 총중량비를 기준으로, 재생오일이 50∼70중량%,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가 30∼50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1차 및 2차 혼합 단계에서, 진공 조건 하에서 상기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 및 2차 혼합 단계에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의 혼합물에 일정한 온도의 열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의 폐합성수지 열분해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열로, 상기 1차 및 2차 혼합 단계의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의 혼합물에 열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의 혼합물을 고압으로 압출한 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펠릿 형태의 연료탄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 단계 전에,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의 혼합물에 고형화제를 첨가하여, 상기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 혼합물의 압출 성형 시에, 상기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 혼합물의 고형화율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폐합성수지를 저온으로 열분해 처리하여 오일로 재생한 후, 이를 이용하여 연료탄으로 제조하므로, 폐합성수지 그대로를 연료탄 제조에 사용하는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폐합성수지의 유해성분을 줄인 후, 이를 연료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합성수지의 유해성분을 줄인 후, 이를 연료탄으로 재활용하는 방식이므로, 연료탄의 연소 시에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환경오염도 방지하고 에너지로도 사용할 수 있는 이중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폐합성수지의 열분해 처리로 얻은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혼합하여 연료탄을 제조하므로, 연소 시에 타 연료탄보다 높은 발열량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료탄의 연소 시에, 높은 수준의 발열량을 얻을 수 있으므로, 유연탄과 우드 펠릿의 대체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연탄과 우드 펠릿의 사용으로 인한 대기오염과 산림파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합성수지의 열분해로 얻은 재생오일을 폐합성수지의 열분해 공정 에너지로 다시 재사용하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에너지 소비 없이도 폐합성수지로부터 재생오일을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합성수지의 열분해 과정에서 얻은 폐열을 연료탄의 제조공정에 재사용하는 구조이므로, 많은 에너지 소비 없이도 연료탄의 제조가 가능하고, 연료탄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건조슬러지”는 하수슬러지를 건조시설에서 건조시킨 슬러지를 의미하고, “탄화슬러지”는 하수슬러지를 탄화시설에서 탄화시킨 슬러지를 의미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이하 간단히 '재생오일'이라 한다)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은, 폐합성수지, 예를 들면, 폐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폐폴리프로필렌(PP), 폐폴리에틸렌(PE), 폐폴리스티렌(PS), 폐비닐, 영농 폐비닐 등을 오일(Oil)로 재생하는 단계(S101)를 포함한다.
상기 폐합성수지의 오일 재생단계(S101)는, 저온 열분해 공정(S101-1)을 이용하는 것으로, 폐합성수지를 열분해로 챔버에 넣고, 상기 열분해로를 특정 온도로, 예를 들면, 400℃ 온도로 저온 가열하여 폐합성수지를 기화시킨 다음, 기화된 폐합성수지 가스를 열교환기로 응축시켜 오일을 추출한다.
이러한 열분해 공정(S101-1)을 통한 폐합성수지의 오일 재생방법은, 한국 등록특허 제10-2012813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폐합성수지의 오일 재생단계(S101)에서, 상기 열분해 공정(S101-1)을 통해 생산되는 재생오일 중 그 일부분은, 열분해 공정(S101-1)의 연료로 다시 재사용한다.
폐합성수지를 열분해하는 열분해 공정(S101-1)은, 많은 양의 연료를 필요로 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연료를 외부에서 공급받지 않고, 자체적으로 재생한 오일을 연료로 재사용한다.
이렇게 자체 재생한 오일로 열분해 공정(S101-1)을 수행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폐합성수지에서 오일을 재생하므로, 별도의 에너지 소비 없이도 오일을 재생할 수 있고, 그 결과 연료탄 제조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료탄 제조방법은, 하수슬러지를 건조 또는 탄화처리하는 단계(S103)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수슬러지의 건조 또는 탄화단계(S103)는, 건조시설에서 하수슬러지를 건조시켜 건조슬러지로 만들거나, 탄화시설에서 하수슬러지를 탄화시켜 탄화슬러지로 만든다.
여기서 하수슬러지의 건조 시에, 상기 하수슬러지를 함수율 10% 이하의 입상 및 분말의 형태로 건조시킨다.
그리고 하수슬러지의 건조 시, 열풍건조 또는 스팀건조에 의한 방법으로 건조시키며, 이때의 건조 열원은, 상기 오일 재생단계(S101)의 열분해 공정(S101-1)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사용한다,
이렇게 오일 재생단계(S101)의 열분해 공정(S101-1)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에너지 소비 없이도 하수슬러지의 건조가 가능하고, 이로써, 연료탄 제조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하수슬러지의 탄화 시에는, 하수슬러지를 400∼600℃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여, 함수율이 2∼3% 범위의 탄화슬러지로 만든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폐합성수지에서 오일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재생오일을 건조시설에서 발생되는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시설에서 발생하는 탄화슬러지와 미리 설정된 비율로 혼합한다(S105).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의 혼합단계(S105)는, 1차 혼합 단계(S105-1)와 2차 혼합 단계(S105-2)로 구성된다.
상기 1차 혼합 단계(S105-1)는, 회전식 저속혼합기를 사용하며, 미리 설정된 회전속도 이하 범위의 저속 조건, 예를 들면, 30∼90 RPM 범위의 저속 조건에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1차로 혼합한다.
이때, 1차 혼합 단계(S105-1)에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일정압력으로 분사하면서 상호 혼합한다.
이때 액상의 재생오일과 분말 형태의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의 분사량을 조절하면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혼합 단계(S105-1)에서는, 진공 조건 하에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혼합한다. 이로써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의 혼합과정에서 공기와 수분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2차 혼합 단계(S105-2)는, 회전식 고속혼합기를 사용하며, 미리 설정된 회전속도 이상 범위의 고속 조건, 예를 들면, 120∼300 RPM 범위의 고속 조건에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2차로 혼합한다.
또한 상기 2차 혼합 단계(S105-2)에서는, 진공 조건 하에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혼합한다.
그리고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의 혼합 단계(S105)에서, 상기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의 혼합비는,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 혼합물의 총중량비를 기준으로 재생오일이 50∼70중량%, 건조슬러지 또는 하수슬러지가 30∼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와 탄화슬러지를 혼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재생오일이 55∼65중량%, 건조슬러지가 5∼15중량%, 탄화슬러지가 25∼35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범위일 경우 발열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1, 2차 혼합 단계(S105-1, S105-2)에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1, 2차 혼합할 시에, 일정한 온도의 열을 가하여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의 혼합율을 향상시킨다.
이때의 열원은, 상기 오일 재생단계(S101)의 열분해 공정(S101-1)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오일 재생단계(S101)의 열분해 공정(S101-1)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에너지 소비 없이도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의 혼합율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의 혼합이 완료되면, 혼합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펠릿 형태의 연료탄으로 제조한다(S107).
상기 연료탄 제조단계(S107)는, 펠릿성형기를 사용하며,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 혼합물을 고압으로 압출한 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펠릿 형태의 연료탄으로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펠릿 형태의 연료탄은, 폐합성수지에서 추출된 재생오일과 하수슬러지를 함유하고 있으며, 재생오일과 하수슬러지를 함유한 연료탄은 발화가 우수하고, 연소시 높은 발열량을 갖는다.
특히, 재생오일은 발화점이 낮으므로 연료탄의 발화성을 높일 수 있고, 하수슬러지는 높은 밀도를 가지므로 연료탄의 발화지속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연료탄 제조단계(S107)에서, 필요에 따라 파라핀을 첨가할 수도 있다(S107-1).
상기 파라핀은,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 혼합물의 압출 성형 시에,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 혼합물의 고형화율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그 첨가량을 가변 조절하여 연료탄의 고형화 정도를 조절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장치의 일례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탄 제조장치는, 폐합성수지 오일재생부(10)를 포함한다.
상기 폐합성수지 오일재생부(10)는, 폐합성수지를 저온으로 열분해하여 오일로 재생하기 위한 것으로, 열분해로(12)와 열교환기(14)를 포함한다.
상기 열분해로(12)는, 내부 챔버(도시하지 않음)를 갖추고 있고, 챔버에 투입된 폐합성수지를 저온 가열하여, 예를 들면, 400℃ 온도로 저온 가열하여 폐합성수지를 기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열교환기(14)는, 수냉식 또는 공랭식으로 구성되며, 열분해로(12)에서 기화된 폐합성수지 가스를 응축시켜 오일을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폐합성수지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산되는 재생오일 중 그 일부분은 열분해로(12)의 연료로 재사용된다.
이에 따라, 자체적인 연료 공급이 가능하고, 그 결과 별도의 에너지 소비 없이도 오일을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연료탄 제조장치는, 하수슬러지 건조 및 탄화부(20)를 포함한다.
상기 하수슬러지 건조 및 탄화부(20)는, 하수슬러지를 건조시켜 건조슬러지로 만드는 건조시설(22)과, 하수슬러지를 탄화시켜 탄화슬러지로 만드는 탄화시설(24)을 구비한다.
상기 건조시설(22)은, 하수슬러지를 투입할 수 있는 건조로(도시 생략)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건조로 내부로 투입된 하수슬러지를 저온 가열하여 건조슬러지로 만든다.
이러한 건조시설(22)은, 하수슬러지를 함수율 10%이하의 입상 및 분말의 형태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시설(22)은, 하수슬러지의 건조 시에, 열풍건조 또는 스팀건조에 의한 방법으로 건조시킨다.
이때의 건조 열원은, 상기 폐합성수지 오일재생부(10)의 열교환기(14)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사용한다.
상기 탄화시설(24)는, 하수슬러지를 투입할 수 있는 탄화로를 갖추고 있고, 상기 탄화로 내부로 투입된 하수슬러지를 고온 가열하여 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탄화시설(24)은, 하수슬러지를 400∼600℃ 범위로 고온 가열하여, 함수율이 2∼3% 범위의 탄화물로 만든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료탄 제조장치는,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 혼합부(30)(이하 간단히 '혼합부'라 한다)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부(30)는, 상기 폐합성수지 오일재생부(10)에서 생산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를 혼합하거나, 상기 재생오일과 탄화슬러지를 혼합하는 것으로, 1차 혼합부(32)와 2차 혼합부(34)를 구비한다.
상기 1차 혼합부(32)는, 교반기 및 내부회전체를 구비하여, 혼합챔버(도시하지 않음)로 투입되는 특정비율의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1차로 혼합한다.
또한 상기 1차 혼합부(32)는 복수의 장치를 배치 타입(Batch type)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1차 혼합부(32)의 교차운용 방식에 의해 혼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연료탄의 제조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상기 1차 혼합부(32)는,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저속으로 혼합한다. 예를 들면, 30∼90 RPM 범위의 저속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 혼합부(32)는 진공식 혼합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진공 조건 하에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혼합하기 위함이며, 이로써 혼합과정에서 공기와 수분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혼합부(32)는, 액상의 재생오일과 분말의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 각각을 분사에 의한 방법으로 내부의 혼합챔버에 투입한다.
이렇게 분사에 의한 방법으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 각각을 혼합기의 혼합챔버에 투입함으로써,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의 혼합비율을 보다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의 혼합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의 혼합비는,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 혼합물의 총중량비를 기준으로, 재생오일이 50∼70중량%,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가 30∼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를 혼합할 경우, 재생오일이 60중량%, 건조슬러지가 40%일 경우 발열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재생오일과 탄화슬러지를 혼합할 경우에도, 재생오일이 60중량%, 탄화슬러지가 40%일 경우 발열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상기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와 탄화슬러지를 모두 혼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재생오일이 55∼65중량%, 건조슬러지가 5∼15중량%, 탄화슬러지가 25∼35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탄화슬러지를 건조슬러지보다 약간 더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건조슬러지 자체의 발열량보다 탄화슬러지 자체의 발열량이 높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재생오일이 60중량%, 건조슬러지가 10중량%, 탄화슬러지가 30중량% 일 경우가 발열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2차 혼합부(34)는, 내부의 혼합챔버(도시하지 않음)로 투입된 특정비율의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2차로 혼합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2차 혼합부(34)는,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고속으로 혼합한다. 예를 들면, 120∼300 RPM 범위의 고속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차 혼합부(34) 역시 진공식 혼합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소 상기 1차 및 2차 혼합부(32, 34)는,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1, 2차 혼합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온도의 열을 가하는데, 이때의 열원은, 상기 폐합성수지 오일재생부(10)의 열교환기(14)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사용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료탄 제조장치는, 연료탄 제조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연료탄 제조부(40)는, 펠릿성형기(42)로 구성되며, 상기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의 혼합부(30)에서 1차와 2차에 걸쳐 혼합된 혼합물을 연료탄으로 제조한다.
특히, 상기 혼합부(30)에서 혼합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 혼합물을 도입하고, 도입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 혼합물을 고압으로 압출시키며, 압출되는 압출물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펠릿 형태의 연료탄으로 제조한다.
이렇게 연료탄 제조부(40)에 의해 제조된 연료탄 펠릿은, 폐합성수지에서 추출된 재생오일과 하수슬러지를 함유하고 있다.
특히, 재생오일이 연료탄 펠릿의 총중량비를 기준으로 50∼70중량%,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가 30∼50중량% 함유되며, 이렇게 함유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는 연료탄의 발화성과 발화지속성 및 발열량을 높인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료탄 제조장치는, 고형화제 공급부(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형화제 공급부(50)는, 상기 연료탄 제조부(40)로 도입되는 재생오일 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 혼합물에 고형화제, 예를 들면, 파라핀을 필요에 따라 공급한다.
이러한 고형화제 공급부(50)는, 상기 연료탄 제조부(40)에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 혼합물을 압축 성형할 시에, 그 고형화율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펠릿 형태로 최종 제조되는 연료탄의 고형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연료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연료탄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본 발명의 연료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연료탄과, 종래의 연료탄들을 몇 가지 항목으로 비교 시험해 보았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의 연료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연료탄과, 종래 연료탄의 발열량을 비교 테스트한 결과이다.
종래의 연료탄과 본 발명의 연료탄의 발열량 비교

구 분
비교예1
(하수슬러지
+ 톱밥)
비교예2
(건조슬러지
+탄화톱밥)
비교예3
(우드펠릿)
실시예1
(재생오일+
건조슬러지)
실시예2
(재생오일+
탄화슬러지)
실시예3
(재생오일+
건조슬러지+
탄화슬러지)
저위발열량
(kcal/kg)
3,500 4,000 4,500 6,683 7,157 7,038
효율(%) 52 60 67 100 107 105
위 [표 1]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비교예 1(하수슬러지 60% + 톱밥 40%)의 저위발열량은 3,500kcal/kg, 비교예 2(건조슬러지 60% + 탄화톱밥 40%)의 저위발열량은 4,000kcal/kg, 비교예 3(우드펠릿 100%)의 저위발열량은 4,500kcal/kg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재생오일 60% + 건조슬러지 40%)의 저위발열량은 6,683kcal/kg, 실시예 2(재생오일 60% + 탄화슬러지 40%)의 저위발열량은 7,157kcal/kg, 실시예 3(재생오일 60% + 건조슬러지 10% + 탄화슬러지 30%)의 저위발열량은 7,038kcal/kg로, 종래에 비해 발열량이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재생오일 연료탄은, 연소 시에 높은 발열량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결과, 종래의 연료탄들에 비해 연료로서의 효율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아래의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오일 연료탄과 종래의 우드펠릿 및 유연탄의 발열효율을 비교한 것이다.
종래의 우드펠릿 및 유연탄과 본 발명 연료탄의 발열효율 비교

구 분
비교예3
(우드펠릿)
비교예4
(유연탄)
실시예1
(재생오일+
건조슬러지)
실시예2
(재생오일+
탄화슬러지)
실시예3
(재생오일+
건조슬러지+
탄화슬러지)
저위발열량
(kcal/kg)
4,500 5,950 6,683 7,157 7,038
유연탄 대비 효율(%) 76 100 112 120 118
우드펠릿 대비 효율(%) 100 132 149 159 156
위 [표 2]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탄의 실시예 1은, 비교예 3의 우드펠릿의 저위발열량 대비 효율이 149%, 실시예 2는 159%, 실시예 3은 156%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탄의 실시예 1은, 비교예 4의 유연탄의 저위발열량 대비 효율이 112%, 실시예 2는 120%, 실시예 3은 118%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재생오일 연료탄은, 비교예 1(하수슬러지+톱밥), 비교예2(건조슬러지+탄화톱밥), 비교예 3(우드펠릿) 및 비교예 4(유연탄)에 비해 발열효율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본 발명은 우드펠릿이나 유연탄의 대체품으로 사용할 수 있고, 그 결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드펠릿이나 유연탄의 사용으로 인한 대기오염과 산림파괴의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또한 아래의 [표 3]은 연료탄의 연소시 재 발생량을 나타낸 것이다.
연료탄 연소시의 재 발생량 비교
구분 회분량 1kg 연소시(g) 재 발생량 감소량
비교예1
(하수슬러지+톱밥)
35% 0.350
49%
실시예1
(재생오일+건조슬러지)
17% 0.170
위 [표 3]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종래의 연료탄(비교예 1)을 1kg 연소시킬 경우, 회분량이 연소전의 질량 대비 35%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탄을 1kg 연소시킬 경우에는, 회분량이 연소전의 질량 대비 17%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재생오일 연료탄이, 종래의 연료탄(비교예 1) 대비 회분량을 49%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본 발명의 재생오일 연료탄은, 종래의 연료탄보다 연소효율이 높고, 적은 회분량을 발생시키므로 후처리도 용이해진다. 특히 적은 회분량을 발생시키므로, 환경오염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하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폐합성수지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혼합하여 제조한 본 발명의 연료탄은, 발열량과 재 발생량에서도 종래의 연료탄들에 비해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재생오일 연료탄은, 환경오염을 방지하면서 고효율의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폐합성수지 오일재생부 12: 열분해로
14: 열교환기 20: 하수슬러지 건조 및 탄화부
22: 건조시설 24: 탄화시설
30: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 혼합부
32: 1차 혼합부 34: 2차 혼합부
40: 연료탄 제조부 42: 펠릿(Pellet)성형기
50: 고형화제 공급부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재활용하여 연료탄으로 재생하는 연료탄 제조방법에 있어서,
    a) 폐합성수지를 열분해 처리하여 오일로 재생하는 단계와;
    b) 하수슬러지를 건조시켜 건조슬러지로 만들거나, 하수슬러지를 탄화시켜 탄화슬러지로 만드는 하수슬러지 건조 또는 탄화단계와;
    c) 폐합성수지에서 재생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미리 설정된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와;
    d) 혼합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재생오일과 탄화슬러지를 연료탄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재생되는 생산되는 재생오일 중, 그 일부분을 상기 a) 단계의 폐합성수지 열분해 처리공정의 연료로 재사용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하수슬러지를 분말의 형태로 건조시키고,
    상기 a) 단계의 폐합성수지 열분해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열로, 상기 b) 단계의 하수슬러지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1차로 혼합하는 1차 혼합단계와;
    1차로 혼합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2차로 혼합하는 2차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혼합단계는, 상기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30~90 rpm의 저속 조건에서 혼합하고,
    상기 2차 혼합단계는, 상기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120~300 rpm의 고속 조건에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혼합 단계에서,
    액상의 재생오일과 분말 형태의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일정 압력으로 분사하면서 상호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혼합 단계에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 혼합물의 총중량비를 기준으로, 재생오일이 50∼70중량%,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가 30∼50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1차 및 2차 혼합 단계에서,
    진공 조건 하에서 상기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혼합 단계에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의 혼합물에 일정한 온도의 열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폐합성수지 열분해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열로, 상기 1차 및 2차 혼합 단계의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의 혼합물에 열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의 혼합물을 고압으로 압출한 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펠릿 형태의 연료탄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전에,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의 혼합물에 고형화제를 첨가하여, 상기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 혼합물의 압출 성형 시에, 상기 재생오일과 건조슬러지 또는 탄화슬러지 혼합물의 고형화율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
  14. 삭제
KR1020200170803A 2020-12-08 2020-12-08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 KR102214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803A KR102214998B1 (ko) 2020-12-08 2020-12-08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
CN202110371950.5A CN114606034A (zh) 2020-12-08 2021-04-07 利用再生废弃合成树脂的油和污水污泥的燃料碳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803A KR102214998B1 (ko) 2020-12-08 2020-12-08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998B1 true KR102214998B1 (ko) 2021-02-10

Family

ID=74560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803A KR102214998B1 (ko) 2020-12-08 2020-12-08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4998B1 (ko)
CN (1) CN1146060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749B1 (ko) * 2022-08-31 2023-04-17 주식회사 케이아그로 폐비닐 분해 시스템을 이용한 가축분뇨로부터 고체연료 및 바이오차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159A (ko) * 2002-11-19 2003-01-09 김준영 하수 슬러지와 폐합성수지류를 이용한 고형연료(r.d.f)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040076642A (ko) * 2003-02-26 2004-09-03 재단법인 충남대학교 산학연교육연구재단 폐 플라스틱을 이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KR20050112931A (ko) * 2004-05-28 2005-12-01 동명산업 주식회사 하수슬러지와 폐플라스틱을 혼합한 고형화 연료의 제조방법
KR20110005104A (ko) * 2009-07-09 2011-01-17 (주)레띠즈에너지 탄화 고체연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54855A (ko) * 2011-11-17 2013-05-27 배희동 음식물 쓰레기 폐수내의 부상 유지류 고형화 방법
KR20170124980A (ko) * 2017-10-11 2017-11-13 엣지오일에너지 주식회사 폐합성수지로부터 재생연료유를 생산하는 방법
CN209778675U (zh) * 2018-12-07 2019-12-13 河南小威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城市水处理污泥制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394B1 (ko) * 2000-09-26 2002-09-18 (주)티에이엔 하수 슬러지를 이용한 시멘트 클링커 소성용 연료와 그제조 장치 및 제조방법
JP2006022184A (ja) * 2004-07-07 2006-01-26 Toshiba Corp 廃プラスチック油化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残渣スラッジ混合成形装置及び残渣スラッジ混合成形体
JP2006152097A (ja) * 2004-11-29 2006-06-15 Tsukishima Kikai Co Ltd 固形燃料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設備
CN202400939U (zh) * 2011-12-31 2012-08-29 广州茵绿环境科技发展有限公司 废油脂与污泥干粉混合作燃料的污泥干燥装置
CN106977068A (zh) * 2017-04-14 2017-07-25 中国科学院广州能源研究所 一种提高污泥碳产量的方法
CN108342226A (zh) * 2018-03-30 2018-07-31 吴宽永 一种利用废弃物热解气化碳化生产再生油的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159A (ko) * 2002-11-19 2003-01-09 김준영 하수 슬러지와 폐합성수지류를 이용한 고형연료(r.d.f)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040076642A (ko) * 2003-02-26 2004-09-03 재단법인 충남대학교 산학연교육연구재단 폐 플라스틱을 이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KR20050112931A (ko) * 2004-05-28 2005-12-01 동명산업 주식회사 하수슬러지와 폐플라스틱을 혼합한 고형화 연료의 제조방법
KR20110005104A (ko) * 2009-07-09 2011-01-17 (주)레띠즈에너지 탄화 고체연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54855A (ko) * 2011-11-17 2013-05-27 배희동 음식물 쓰레기 폐수내의 부상 유지류 고형화 방법
KR20170124980A (ko) * 2017-10-11 2017-11-13 엣지오일에너지 주식회사 폐합성수지로부터 재생연료유를 생산하는 방법
CN209778675U (zh) * 2018-12-07 2019-12-13 河南小威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城市水处理污泥制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749B1 (ko) * 2022-08-31 2023-04-17 주식회사 케이아그로 폐비닐 분해 시스템을 이용한 가축분뇨로부터 고체연료 및 바이오차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06034A (zh)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3640B2 (ja) バイオマス炭の製造方法
KR101464917B1 (ko) 소수성 석탄-바이오매스 그래뉼 형태 혼합연료,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796461B1 (ko) 고농도 바이오매스 함량을 갖는 석탄-바이오매스 혼합연료 제조방법
KR101539224B1 (ko) 바이오메스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CA2797438A1 (en) Torrefaction process
KR101251025B1 (ko) 폐감귤을 이용하여 건조 유동층 방식으로 열분해 가스화한 합성가스 생산장치 및 생성방법
KR101221851B1 (ko) 바인더 물질과 탄소원이 혼합된 고체 연료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체 연료
CN103466616A (zh) 用于有机溶剂回收煤质活性炭的制备方法
KR102214998B1 (ko)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
KR101999650B1 (ko) 하수슬러지의 건조 여부를 이용한 발전소용 rps대응 연료탄 반탄화 생산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CN101007975A (zh) 污泥制备洁净煤的方法
CN111732357A (zh) 一种利用粉煤灰和城市污泥制备轻骨料的系统和方法
CN107651684A (zh) 一种用城市污泥热解碳化制造活性炭的方法
KR101860041B1 (ko) 하이브리드 슬러지 연료탄 생산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US20180195017A1 (en) Processed biochar pellets from beneficiated organic-carbon-containing feedstock
CN109384228B (zh) 一种脱硫脱硝活性炭及其制备方法
KR102457709B1 (ko) 음폐수에서 추출한 재생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
KR102215003B1 (ko)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오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장치
KR100319803B1 (ko) 오니탄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4426276B (zh) 一种脱硫脱硝用柱状活性焦的制备方法
CN109504490B (zh) 一种林业固体废物协同城市污泥制备生物质燃料的方法
Peng et al. Co-combustion interactions between teak sawdust and sewage sludge with additives
Zhang et al. Grindability, thermogravimetric characteristics, and kinetics analysis of semi‐biochar from coarse wood pyrolyzed in a fluidized bed
KR101101185B1 (ko) 고형연료
CN116119895A (zh) 一种含油污泥的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