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442B1 -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 - Google Patents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442B1
KR102214442B1 KR1020190086766A KR20190086766A KR102214442B1 KR 102214442 B1 KR102214442 B1 KR 102214442B1 KR 1020190086766 A KR1020190086766 A KR 1020190086766A KR 20190086766 A KR20190086766 A KR 20190086766A KR 102214442 B1 KR102214442 B1 KR 102214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filter
supply chamber
air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773A (ko
Inventor
서병윤
Original Assignee
서병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병윤 filed Critical 서병윤
Priority to KR1020190086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44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3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having means for creating a fresh air curtai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공기를 필터링하여 호흡기 내로 흡입함에 따른 부하 발생을 최소화하여 착용자의 편안한 호흡을 도모하면서, 외부공기의 여과에 따른 필터패드의 간편한 치환을 통해서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게 착용되어 착용자의 호흡기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며, 호흡기와 연통하는 필터공이 형성된 베이스 시트부와;
상기 베이스 시트부에 형성된 필터공에 전개되어, 호흡기 내로 흡기되는 외부공기를 여과하여, 외부공기 내에 잔류된 미세먼지와 황사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과 필터부와;
상기 베이스 시트부의 전방에 적층되게 배치되어 베이스 시트부의 전방에 필터공과 연통하는 급기실을 형성하며, 외부와 연통하는 급기공이 형성된 급기 챔버부재; 및
상기 급기 챔버부재에 형성된 급기공에 연통되게 배치되어, 외부공기를 급기실 내로 강제 흡기하는 흡기 디스팬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MASK HAVING SUB INTAKE-AIR STRUCTURE}
본 발명은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공기를 여과하여 호흡기 내로 흡입함에 따른 부하 발생을 최소화하여 착용자의 편안한 호흡을 도모하면서, 외부공기의 여과에 따른 여과패드의 간편한 치환 설치를 통해서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Mask)는 보건위생상 병균·먼지 등의 흡입 및 비산(飛散)을 막기 위하여 코와 입을 가리는 물건을 말하는데, 흔히 단사 올로 성기게 짠 평직 면직물인 거즈로 제조되기 때문에 흔히 '순면 마스크'로 불린다.
유래는 1919년 세계적으로 유행한 스페인 감기, 즉 인플루엔자가 유행하였을 때, 감기를 예방하기 위한 발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나, 찬 공기를 직접 들이마신 결과 비강(鼻腔)이나 구강(口腔) 내의 저항력이 약해져서 감기에 잘 걸리게 되는 것은 피할 수는 있어도, 조직이 성긴 평직 면직물의 특성상 면직물의 조직 간에 형성된 기공보다 작은 바이러스나 세균 등은 순면 마스크를 통과하여 다수가 코나 입을 통해 인체 내로 유입되거나, 반대로 호흡기질환 감염자가 호흡이나, 기침, 재채기 등을 하는 과정에서 코와 입을 통해 배출되는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유해입자가 순면 마스크를 통과하여 외부로 비산됨으로써 순면 마스크를 이용한 유해 입자의 필터링은 효과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우리나라는 지형적 특성상, 인접 국가인 중국이나 몽골 등 아시아 대륙의 중심부에 있는 사막과 황토 지대의 작은 모래나 황토 또는 먼지가 하늘에 떠다니다가 편서풍을 타고 우리나라로 대량 유입되는 '황사'가 매년 주로 3~5월에 3~6일 정도의 주기로 빈번하게 관측될 뿐만 아니라, 중국의 급속한 산업화에 따라 중국 내 수많은 공장 등에서 발생한 초미세먼지가 편서풍을 타고 국내로 유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황사는 지름이 10㎛ 미만인 미세먼지이며, 미세먼지보다 직경이 더 작은 초미세먼지의 경우 그 지름이 25㎛ 미만으로써, 일반적인 순면 마스크로는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런데,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이하, 미세먼지로 통칭함)는 인체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경우에 호흡기의 가장 깊은 곳까지 침투하여 혈관까지 침투함으로써 장기간 미세먼지에 노출되면 면역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감기, 천식,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은 물론 심혈관 질환, 피부질환, 안구질환 등 각종 질병에 노출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세계보건기구(WHO)는 미세먼지 중에서 자동차의 디젤 엔진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인 BC(black carbon)을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하는 등 미세먼지에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그에 따라, 보건위생상 바이러스나 세균뿐만 아니라, 미세먼지의 인체 유입을 예방하여 인체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대처법이 알려지고 있는데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 바로 마스크를 사용하여 바이러스나 세균, 미세먼지 등의 유해입자를 필터링하여 인체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통상의 순면 마스크는 조직이 성긴 평직 면직물의 특성상 면직물의 조직 간에 형성된 기공보다 작은 바이러스나 세균, 미세먼지 등과 같이 크기가 매우 작은 유해입자를 필터링하는 것이 효과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종래의 순면 마스크의 부족한 필터링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부직포와 필터를 혼용하여 제작한 미세먼지 마스크인데, 흔히 '황사 마스크'로 불린다
한편, 이러한 마스크를 착용자가 안면에 착용하여 호흡기를 커버하면, 공기 중에 잔류된 황사나 미세먼지 등이 호흡기 내로 흡입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위생상 바람직하지만, 호흡과정에 마스크에 의해 공기의 원활한 통기가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관계로 착용자는 마스크의 착용에 의한 답답함을 느끼게 되고, 또 호흡기와 마스크 사이에 형성된 내측공간에 호흡기에서 배기된 공기에 잔류하는 다량의 수분과 냄새에 의해 악취 등의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마스크의 착용에 의한 불편함과 불쾌감에 의해 마스크의 착용을 꺼리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KR 10-1078333 B1 KR 10-1078333 B1 KR 10-1078333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공기를 여과하여 호흡기 내로 흡입함에 따른 부하 발생을 최소화하여 착용자의 편안한 호흡을 도모하면서, 외부공기의 여과에 따른 여과필터의 간편한 치환 설치를 통해서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는,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게 착용되어 착용자의 호흡기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며, 호흡기와 연통하는 필터공이 형성된 베이스 시트부와;
상기 베이스 시트부에 형성된 필터공에 전개되어, 호흡기 내로 흡기되는 외부공기를 여과하여, 외부공기 내에 잔류된 미세먼지와 황사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과 필터부와;
상기 베이스 시트부의 전방에 적층되게 배치되어 베이스 시트부의 전방에 필터공과 연통하는 급기실을 형성하며, 외부와 연통하는 급기공이 형성된 급기 챔버부재; 및
상기 급기 챔버부재에 형성된 급기공에 연통되게 배치되어, 외부공기를 급기실 내로 강제 흡기하는 흡기 디스팬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기 디스팬서는 급기 챔버부재에 형성된 급기공에 배기구를 연통되게 고정하는 중공의 흡기 케이스와; 상기 흡기 케이스의 중공부 내에 배치되어 흡기팬을 회전시켜 외부공기를 흡기구를 통해 흡기하여 배기구를 통해 급기 챔버부재의 급기실 내로 강제 급기하는 흡기팬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기 챔버부재의 내벽에는 구획편이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구획편에 의해 급기 챔버부재 내에는 필터공과 연통하는 급기실과, 상기 필터공과 구획된 수납실이 구획되게 형성되고,
상기 여과 패드부는, 전개를 요하는 복수의 여과패드들이 적층된 적층물로 구성되고, 상기 적층된 여과패드들의 일변은 접착을 통해 고정된 적층 바인딩단을 형성하고 타단변은 상호 분리하여 적층된 적층 분리단을 형성하되,
상기 베이스 시트부의 전면에는 압입홈이 형성된 압입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여과 패드부를 구성하는 적층 바인딩단에는 상기 압입부재에 탄성 압입하여 고정되는 압입핀을 형성하여서, 상기 여과 패드부는 압입핀을 압입부재에 압입하여 베이스 시트부의 전면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여과 패드부의 적층된 여과패드들은 수납실 내에 수납된 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적층된 여과패드들에서 전개된 낱장의 여과패드는 급기실 내에 수납되어서 필터공을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시트부에 급기 챔버부재와 흡기 디스팬서를 포함하는 보조 흡기구조를 마련하여 착용자의 호흡에 따른 외부공기가 각 필터층을 안정되게 투과하여 흡기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외부공기의 흡기과정에 필터층에 의한 외부공기의 흡기 부하가 최소화되므로 편안한 호흡이 가능하고, 또 외부공기의 강제 흡입에 의해 호흡기에서 배출된 공기는 혼입되어, 들숨과 날숨을 포함하는 호흡과정에 마스크에 다량의 수분이나 냄새가 잔류하는 현상이 억제되어서 쾌적한 상태로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여과 필터부와 보조 흡기구조가 유기적으로 접목되어, 필터공에 전개되어 오염된 여과필터의 간편한 제거와 여과필터를 필터공에 간편하게 전개 가능한 필터 교환 공급구조를 부가하여 있으며, 상기 필터 교환 공급구조를 통해 여과필터의 간편한 치환 설치를 통해 지속적으로 외부공기의 안정적인 여과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조 흡기구조와 유기적으로 접목된 흡착구조를 부가하여, 베이스 시트부와 안면 사이가 흡착에 의해 안정된 밀착상태를 형성함으로써, 여과필터를 거치지 아니한 공기가 호흡기 내로 흡기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도 1과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1과 도 2는 전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배면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의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에 있어, 여과 필터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에 있어, 여과 필터부의 치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에 있어, 흡착배관을 통한 베이스 시트부와 안면부의 감압 흡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밀폐형 마스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1과 도 2는 전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배면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의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에 있어, 여과 필터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에 있어, 여과 필터부의 치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에 있어, 흡착배관을 통한 베이스 시트부와 안면부의 감압 흡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안하고 있는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1)는, 입과 코를 포함하는 호흡기가 형성된 착용자의 안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하여 들숨과 날숨을 포함하는 착용자의 호흡과정에 외부공기에 잔류된 오염물질, 즉 미세먼지나 황사 등이 호흡기 내로 유입되는 현상을 차단하는 일종의 위생용품이다.
상기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1)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게 착용되어 착용자의 호흡기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며, 호흡기와 연통하는 필터공(11)이 형성된 베이스 시트부(10)와; 상기 베이스 시트부(10)에 형성된 필터공(11)에 낱장씩 전개되어 호흡기 내로 흡기되는 외부공기를 여과하여, 외부공기 내에 잔류된 미세먼지와 황사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과 필터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시트부(10)의 양편에는 착용자의 귀부위에 견착하는 견착밴드(12)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시트부(10)는 견착밴드(12)를 착용자의 양측 귀부위에 견착하여서 착용자의 안면에 착용된다.
따라서, 착용자는 베이스 시트부(10)에 형성된 필터공(11)을 통해 외부공기를 들이마시고 또 호흡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형태로 호흡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상기 필터공(11)에 배치된 여과 필터부(20)는 필터공(11)을 통해 호흡기 내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여과하여, 외부공기 내에 잔류된 오염물질, 즉 미세먼지나 황사 등을 여과함으로써, 호흡과정에 호흡기 내로 인체에 유해한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차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마스크(1)에 외부공기를 강제로 여과공을 통해 착용자의 호흡기로 급기하는 보조 흡기구조를 마련하여, 호흡에 따른 과도한 부하 발생없이 착용자의 편안한 호흡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흡기구조는, 상기 베이스 시트부(10)의 전방에 적층되게 배치되어 베이스 시트부(10)의 전방에 필터공(11)과 연통하는 급기실(31)을 형성하며, 외부와 연통하는 급기공(32)이 형성된 급기 챔버부재(30)와; 상기 급기 챔버부재(30)에 형성된 급기공(32)에 연통되게 배치되어, 외부공기를 급기실(31) 내로 강제 흡기하는 흡기 디스팬서(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흡기 디스팬서(40)는 급기 챔버부재(30)에 형성된 급기공(32)에 배기구(41a)를 연통되게 고정하는 중공의 흡기 케이스(41)와; 상기 흡기 케이스(41)의 중공부 내에 배치되어 흡기팬을 회전시켜 외부공기를 흡기구(41b)를 통해 흡기하여 배기구(41a)를 통해 급기 챔버부재(30)의 급기실(31) 내로 강제 급기하는 흡기팬 부재(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기 챔버부재(30)의 내벽에 구획편(33)을 내향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구획편(33)에 의해 급기 챔버부재(30) 내에는 필터공(11)과 연통하는 급기실(31)과, 후술되는 바와 같이 여과 패드부(20)를 수납하는 수납실(34)이 상하 구획되게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기 케이스(41)의 양편에 흡기구(41b)를 각각 형성하여 배기구(41a)측에 흡기팬 부재(42)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흡기 케이스(41)에 형성된 각 흡기구(41b) 측에는 프리필터(43)가 배치되어, 급기실(31) 내로 강제 흡기되는 외부공기는 프리필터(43)를 통해 1차 여과된 다음, 필터공(11)에 마련된 여과 패드부(20)의 여과패드(21)를 통과하면서 2차적인 여과를 도모한다.
따라서, 상기 흡기팬 부재(42)는 흡기 케이스(41)의 양편에 형성된 흡기구(41b)를 통해 외부공기를 동시 흡기하여 배기구(41a)를 통해 급기 챔버부재(30)의 급기실(31) 내로 외부 공기를 강제 유입하여서, 착용자의 호흡에 따른 외부공기를 1차적으로 여과하여 급기실(31) 내로 강제 급기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획편(33)에 의해 급기실(31)과 구획된 수납실(34)은 구획편(33)에 의해 급기실(31)과 밀폐된 관계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아니하므로, 수납실(34) 내에 수납된 여과 필터부(20)의 여과패드(21)들은 외부공기에 의한 오염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실(31) 내로 강제 급기된 외부공기는 베이스 시트부(10)의 필터공(11)에 배치된 여과패드(21)를 투과하여 착용자의 호흡기 내로 여과하여 흡기되고, 또 호흡기에서 배출된 호흡공기는 역방향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착용자가 외부공기를 프리필터(43)와 여과패드(21)를 포함하는 복층의 필터층을 투과하여 흡기함에 있어 보조 흡기구조에 의해 외부공기를 착용자의 호흡기 내로 강제 급기하므로, 착용자가 외부공기를 흡기하여 호흡함에 따른 부하 발생이 억제되어 편안한 호흡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 시트부(10)에 독특한 공급구조의 여과 패드부(20)와, 상기 여과 패드부(20)를 통한 여과패드(21)의 치환 설치를 도모하는 치환 설치구조를 제안하여서, 필터공(11)에 전개되어 오염이 발생된 여과패드(21)의 간편한 제거와, 상기 오염된 여과패드(21)가 제거된 필터공(11)에 새로운 여과패드(21)를 간편하게 전개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미세먼지의 농도 등 주변 상황에 따라 필터공(11)에 전개되는 여과패드(21)의 적층개수를 증감하여 상황에 적합한 여과효율이 확보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 패드부(20)를 구성하는 낱장의 여과패드(21)들은 직물지나, 부직포 등으로 제작되어, 조직사이로 외부공기를 투과하면서 외부공기 중에 잔류된 미세먼지나 황사 등의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안하고 있는 여과 패드부(20)는, 전개를 요하는 복수의 여과패드(21)들이 적층된 적층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적층된 여과패드(21)들의 일변은 접착이나, 압입핀이 형성된 고정클립(미도시)을 통해 적층되게 고정한 적층 바인딩단(22)을 형성하고, 타단변은 상호 분리하여 적층된 적층 분리단(23)을 형성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상기 압입핀이 형성된 고정클립을 통해 여과패드의 일변을 적층되게 고정하면, 고정클립의 반영구적인 재사용이 가능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 시트부(10)의 전면에 압입홈이 형성된 압입부재(13)를 마련하고, 도 2와 도 4와 같이 상기 여과 패드부(20)를 구성하는 적층 바인딩단(22)에 상기 압입부재(13)에 탄성 압입하여 고정되는 압입핀(25)을 형성하여서, 상기 여과 패드부(20)는 압입핀(25)을 압입부재(13)에 압입하여 베이스 시트부(10)의 전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시트부(10)의 전면에 고정된 여과 패드부(20의 여과패드(21)는, 적층 바인딩단을 통해 필터공(11)으로 전개되어서, 필터공(11)을 투과하는 외부공기의 여과한다.
이때, 상기 여과 패드부(20)의 적층된 여과패드(21)들은 수납실(34) 내에 수납된 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적층된 여과패드(21)들에서 전개된 낱장의 여과패드(21)는 급기실(31) 내에 수납되어서 필터공(11)을 커버한다.
즉, 상기 필터공(11)에 전개된 여과패드(21)는 도 4와 같이 급기실(31)과 연통하는 필터공(11)에 전개되어 급기실(31) 내에 수납된 상태를 형성하고, 나머지 여과 패드부(20)를 구성하는 여과패드(21)들은 수납실(34) 내에 수납되어서, 착용자의 호흡에 따른 외부공기에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층 바인딩단(22)이 형성된 각 여과패드(21)의 일변 내측에는 절취선(24)들을 형성하여, 필터공(11)에 배치되어 오염이 발생된 낱장의 여과패드(21)를 절취선(24)을 통해 여과 패드부(20)의 적층 바인딩단(22)에서 절취하여 제거가 가능하다.
따라서, 착용자는 도 4와 같이 미세먼지나 황사 등 주위 환경에 따라 여과 패드부(20)의 여과패드(21)를 필터공(11)에 전개하여 요하는 두께의 여과 패드층을 형성함으로써, 필터공(11)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안정적인 여과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공에 배치되어 외부공기의 여과과정에 오염이 발생된 여과패드(21)는 도 6a와 도 6b와 같이 절취선(24)를 통해 절취하여 제거한 다음, 수납실(34) 내에 수납된 여과 필터부(20)를 구성하는 낱장의 여과패드(21)를 새로이 필터공(11)에 전개하여서, 절취를 통한 오염된 여과패드(21)의 간편한 제거와, 새로운 여과패드(21)의 전개를 통해, 여과패드(21)의 신속하고 반복적인 치환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 흡기구조가 마련된 마스크(1)를 구현함에 있어,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을 요하는 베이스 시트부(10)의 가장자리부에 감압 흡착구조를 부가하여 베이스 시트부(10)와 안면 사이의 안정적인 밀착을 도모함으로써, 외부공기가 베이스 시트부(10)와 안면 사이에 발생되는 틈을 통해 호흡기 내로 유입되는 현상이 차단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착용자의 안면과 마주하는 베이스 시트부 (10)의 내벽 가장자리부에 복수의 흡착공(51)들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흡착배관(50)이 환형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흡착배관(50)은 흡기 감압관(52)을 통해 흡기팬 부재(42)에 의해 흡기가 이루어지는 흡기 디스팬서(40)의 흡기구(41b)와 연통되어, 흡착배관(50)은 흡기 디스팬서(40)를 통해 제공되는 흡기압에 의해 감압상태를 형성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시트부(10)의 가장자리부와, 흡기 디스팬서(42) 사이에, 흡착공들이 형성된 흡착배관(50)과 흡기 감압관(52)을 포함하는 내부 순환 흡착구조를 더 마련하여서, 베이스 시트부(10)와 안면 사이의 안정적인 감압 흡착이 도모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시트부(10)는 흡기 디스팬서(40)의 흡기에 의해 감압상태가 형성된 흡착배관(50)에 의해 착용자의 안면에 진공 흡착하어 외부와 안정된 밀폐상태를 형성하고, 결과적으로 베이스 시트부(10)와 안면 사이로 필터링되지 아니한 외부공기가 호흡기 내로 흡입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1. 흡기 디스팬서를 구비한 마스크
10. 베이스 시트부 11. 필터공
12. 견착밴드 13. 압입부재
14. 압입 고정림
20. 여과 필터부 21. 여과패드
22. 적층 바인딩단 23. 분할 적층단
24. 절취선 25. 압입핀
30. 급기 챔버부재 31. 급기실
32. 급기공 33. 구획편
34. 수납실
40. 흡기 디스팬서 41. 흡기 케이스
41a. 배기구 41b. 흡기구
42. 흡기팬 부재 43. 프리필터
50. 흡착배관 51. 흡착공
52. 흡기 감압관

Claims (3)

  1.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게 착용되어 착용자의 호흡기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며, 호흡기와 연통하는 필터공이 형성된 베이스 시트부와;
    상기 베이스 시트부에 형성된 필터공에 전개되어, 호흡기 내로 흡기되는 외부공기를 여과하여, 외부공기 내에 잔류된 미세먼지와 황사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과 필터부와;
    상기 베이스 시트부의 전방에 적층되게 배치되어 베이스 시트부의 전방에 필터공과 연통하는 급기실을 형성하며, 외부와 연통하는 급기공이 형성된 급기 챔버부재; 및
    상기 급기 챔버부재에 형성된 급기공에 연통되게 배치되어, 외부공기를 급기실 내로 강제 흡기하는 흡기 디스팬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급기 챔버부재의 내벽에는 구획편이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구획편에 의해 급기 챔버부재 내에는 필터공과 연통하는 급기실과, 상기 필터공과 구획된 수납실이 구획되게 형성되고,
    상기 여과 패드부는, 전개를 요하는 복수의 여과패드들이 적층된 적층물로 구성되고, 상기 적층된 여과패드들의 일변은 접착을 통해 고정된 적층 바인딩단을 형성하고 타단변은 상호 분리하여 적층된 적층 분리단을 형성하되,
    상기 베이스 시트부의 전면에는 압입홈이 형성된 압입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여과 패드부를 구성하는 적층 바인딩단에는 상기 압입부재에 탄성 압입하여 고정되는 압입핀을 형성하여서, 상기 여과 패드부는 압입핀을 압입부재에 압입하여 베이스 시트부의 전면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여과 패드부의 적층된 여과패드들은 수납실 내에 수납된 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적층된 여과패드들에서 전개된 낱장의 여과패드는 급기실 내에 수납되어서 필터공을 커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디스팬서는 급기 챔버부재에 형성된 급기공에 배기구를 연통되게 고정하는 중공의 흡기 케이스와;
    상기 흡기 케이스의 중공부 내에 배치되어 흡기팬을 회전시켜 외부공기를 흡기구를 통해 흡기하여 배기구를 통해 급기 챔버부재의 급기실 내로 강제 급기하는 흡기팬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
  3. 삭제
KR1020190086766A 2019-07-18 2019-07-18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 KR102214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766A KR102214442B1 (ko) 2019-07-18 2019-07-18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766A KR102214442B1 (ko) 2019-07-18 2019-07-18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773A KR20210009773A (ko) 2021-01-27
KR102214442B1 true KR102214442B1 (ko) 2021-02-08

Family

ID=7423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766A KR102214442B1 (ko) 2019-07-18 2019-07-18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44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333B1 (ko) 2010-11-23 2011-11-01 김창용 공기호흡장치가 장착된 헬멧
KR20180015409A (ko) * 2016-08-03 2018-02-13 주식회사 아일리스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773A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664B1 (ko) 들숨 및 날숨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 마스크
US7294175B2 (en) Personal inhalation filter
US20160213957A1 (en) Breathing Mask
TWI609711B (zh) 具有分流效果的呼吸罩
KR20150063904A (ko) 물 필터 마스크
KR102113556B1 (ko) 측면용 날숨배출장치가 구비된 마스크
KR102229882B1 (ko) 마스크용 디스팬서
KR102214442B1 (ko)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
CN212185262U (zh) 一种口鼻呼吸通道分离式口罩
KR101530869B1 (ko) 일상 생활용 마스크
KR200285213Y1 (ko) 삽입형 간이 마스크 장치
CN104069596B (zh) 一种仿生呼吸面罩
TWM531291U (zh) 具有分流效果的呼吸罩
CN214340293U (zh) 口鼻呼吸分离过滤口罩
CN213077273U (zh) 一种呼吸分离型口罩
CN110680034A (zh) 内环式大过滤口罩
CN212414824U (zh) 一种能扩大呼吸腔的口罩
US20210220679A1 (en) Filter-type respiratory protective device
CN214340252U (zh) 一种口鼻分离双循环口罩
CN208975020U (zh) 双向净化呼吸器
KR200358411Y1 (ko) 공기청정 마스크
CN111450435A (zh) 一种隔离病毒及灰尘的防护面罩
CN217311679U (zh) 一种具有除臭功能的口罩
TWM584207U (zh) 吸氣與呼氣分離口罩改良結構
CN212998014U (zh) 一种隔离病毒及灰尘的防护面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