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073B1 - M2m 통신 시스템에서 구독 및 통지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M2m 통신 시스템에서 구독 및 통지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073B1
KR102214073B1 KR1020157030666A KR20157030666A KR102214073B1 KR 102214073 B1 KR102214073 B1 KR 102214073B1 KR 1020157030666 A KR1020157030666 A KR 1020157030666A KR 20157030666 A KR20157030666 A KR 20157030666A KR 102214073 B1 KR102214073 B1 KR 102214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subscription
information
entity
condi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8526A (ko
Inventor
김성윤
최희동
정승명
박승규
안홍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08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29/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자원과 제2 자원이 구성된 M2M(Machine-to-Machine)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 자원의 필터링 속성에 제1 조건 정보를 추가하는 단계; 상기 제2 자원에 대응되는 주소를 지시하는 제1 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동작을 지시하는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제1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자원에 설정된 주소 정보가 가리키는 제2 엔티티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소정의 조건은 (1) 상기 제2 자원이 상기 제1 자원의 부모 자원에 해당할 것, (2) 상기 제1 조건 정보가 상기 동작에 대응되는 변수를 포함할 것의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원과 상기 제2 자원 각각은 고유한 주소를 이용하여 고유하게 어드레싱 가능한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M2M 통신 시스템에서 구독 및 통지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SUBSCRIPTION AND NOTIFICATION IN M2M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본 발명은 M2M(Machine-to-Machine)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M2M 시스템에서 특정 자원에 대해 수행되는 동작을 구독하고 통지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M2M(Machine-to-Machine) 통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M2M 통신은 사람의 개입 없이 기계(Machine)와 기계 사이에 수행되는 통신을 의미하며,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또는 IoT(Internet of Things) 통신으로도 지칭된다. M2M 통신에 사용되는 단말을 M2M 디바이스(M2M device)라고 지칭하는데, M2M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낮은 이동성(low mobility), 시간 내성(time tolerant) 또는 지연 내성(delay tolerant), 작은 데이터 전송(small data transmission)등과 같은 특성을 가지며, 기계 간 통신 정보를 중앙에서 저장하고 관리하는 M2M 서버와 연결되어 사용된다. 또한, M2M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따라 연결되면, 통신 방식이 변경되는 구간에서 M2M 게이트웨이를 통해 M2M 디바이스와 M2M 서버가 연결되며, 이를 통해 전체 M2M 시스템이 구성된다. 해당 시스템을 기반으로 사물 추적(Tracking), 전력 계량(Metering), 자동 지불 시스템(Payment), 의료 분야 서비스, 원격 조정 등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M2M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M2M 시스템에서 효율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M2M 시스템에서 특정 자원에 대한 구독/통지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M2M 시스템에서 특정 자원에 대해 수행되는 동작을 효율적으로 구독하고 통지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M2M 시스템에서 구독 대상 자원의 상태 변화에 관계없이 수행되는 동작을 기반으로 구독하고 통지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 제1 자원과 제2 자원이 구성된 M2M(Machine-to-Machine)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자원의 필터링 속성에 제1 조건 정보 또는 제2 조건 정보를 추가하는 단계; 상기 제2 자원에 대응되는 주소를 지시하는 제1 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동작을 지시하는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제1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자원에 설정된 주소 정보가 가리키는 제2 엔티티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소정의 조건은 (1) 상기 제2 자원이 상기 제1 자원의 부모 자원에 해당할 것, (2) 상기 제1 자원의 필터링 속성이 상기 제1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조건 정보가 상기 동작에 대응되는 변수를 포함할 것, (3) 상기 제1 자원의 필터링 속성이 상기 제2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자원 또는 상기 제2 자원의 자식 자원이 변화될 때, 상기 제2 조건 정보가 상기 제2 자원 또는 상기 제2 자원의 자식 자원의 변화된 상태에 대응되는 변수를 포함할 것의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원과 상기 제2 자원 각각은 고유한 주소를 이용하여 고유하게 어드레싱 가능한 데이터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 제1 자원과 제2 자원이 구성된 M2M(Machine-to-Machine)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M2M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유닛(Network Interface Unit);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자원의 필터링 속성에 제1 조건 정보 또는 제2 조건 정보를 추가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유닛을 통해 상기 제2 자원에 대응되는 주소를 지시하는 제1 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동작을 지시하는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제1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유닛을 통해 상기 제1 자원에 설정된 주소 정보가 가리키는 제2 엔티티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정의 조건은 (1) 상기 제2 자원이 상기 제1 자원의 부모 자원에 해당할 것, (2) 상기 제1 자원의 필터링 속성이 상기 제1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조건 정보가 상기 동작에 대응되는 변수를 포함할 것, (3) 상기 제1 자원의 필터링 속성이 상기 제2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자원 또는 상기 제2 자원의 자식 자원이 변화될 때, 상기 제2 조건 정보가 상기 제2 자원 또는 상기 제2 자원의 자식 자원의 변화된 상태에 대응되는 변수를 포함할 것 의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원과 상기 제2 자원 각각은 고유한 주소를 이용하여 고유하게 어드레싱 가능한 데이터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조건 정보는 상기 제2 자원 또는 상기 제2 자원의 자식 자원을 액세스하는 동작이 수행되는지 여부에 관계 없이 해당 동작이 시도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수는 생성, 회수, 갱신, 삭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지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동작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조건 정보가 상기 제1 자원의 필터링 속성에 추가되는 경우,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변화된 상태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의 조건은 (4)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제2 엔티티가 상기 제2 자원에 대해 회수 권한(retrieve permission)을 가질 것, (5) 상기 제1 엔티티와 상기 제2 엔티티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제1 엔티티가 상기 제2 엔티티로 통지 메시지를 보낼 액세스 권한(access rights)를 가질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자원은 구독을 위한 자원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자원은 구독 대상 자원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M2M 시스템에서 효율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M2M 시스템에서 특정 자원에 대한 구독/통지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M2M 시스템에서 특정 자원에 대해 수행되는 동작을 효율적으로 구독하고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M2M 시스템에서 구독 대상 자원의 상태 변화에 관계없이 수행되는 동작을 기반으로 구독하고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며,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M2M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2는 M2M 시스템의 계층 구조(layered structure)를 예시한다.
도 3은 M2M 시스템의 기능적 아키텍처(functional architecture)를 예시한다.
도 4는 M2M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5는 M2M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리소스(resource)를 예시한다.
도 6은 특정 M2M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리소스를 예시한다.
도 7은 일반적인 M2M 시스템의 통신 흐름을 예시한다.
도 8은 M2M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엔티티들이 상호 연동하는 예를 예시한다.
도 9는 구독 자원과 관련된 절차를 예시한다.
도 10은 통지를 위한 절차를 예시한다.
도 11은 구독 자원이 사용되는 예를 예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구독(operation subscription) 방법을 예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장치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예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2M 디바이스(M2M device)는 M2M(Machine-to-Machine)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M2M 디바이스는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2M 서버와 통신하여 사용자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M2M 디바이스는 단말(Terminal Equipment),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 Station), 무선 장치(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 장치(handheld 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M2M 서버는 M2M 통신을 위한 서버를 지칭하며 고정국(fixed station) 또는 이동국(mobile station)으로 구현될 수 있다. M2M 서버는 M2M 디바이스들 및/또는 다른 M2M 서버와 통신하여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M2M 게이트웨이는 M2M 디바이스가 연결된 네트워크와 M2M 서버가 연결된 네트워크가 서로 다른 경우,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연결점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또한, M2M 게이트웨이는 M2M 디바이스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외에 예를 들어 M2M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M2M 디바이스를 관리하거나, 하나의 메시지를 수신하여 연결된 M2M 디바이스들에게 동일 또는 변경된 메시지를 전달하거나(message fanout), 메시지 집적(message aggregation)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M2M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M2M 게이트웨이와 M2M 서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M2M 게이트웨이와 M2M 서버는 M2M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엔티티(entity)”라는 용어는 M2M 디바이스, M2M 게이트웨이, M2M 서버와 같은 하드웨어를 지칭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M2M 애플리케이션 계층과 M2M (공통) 서비스 계층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software component)를 지칭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M2M 시스템을 중심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M2M 시스템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서버(또는 송신자-응답자(sender-responder)) 모델에 따른 시스템에도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M2M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1은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 TS)에 따른 M2M 시스템을 예시한다.
ETSI TS M2M 기술 규격에 따른 M2M 시스템은 다양한 M2M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위한 공통 M2M 서비스 프레임워크(Service Framework)를 정의한다. M2M 애플리케이션은 e헬스(e-Health), 도시 자동화(City Automation), 커넥티드 컨슈머(Connected Consumer), 오토모티브(Automotive)와 같은 M2M 서비스 솔루션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software component)를 지칭할 수 있다. M2M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M2M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해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능들을 제공되며,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능들은 M2M 서비스 또는 M2M 공통 서비스라고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M2M 공통 서비스를 이용하면 각 M2M 애플리케이션마다 기본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다시 구성할 필요 없이 M2M 애플리케이션이 쉽게 구현될 수 있다.
M2M 서비스는 서비스 능력(Service Capability, SC)의 집합 형태로 제공되며, M2M 애플리케이션은 오픈 인터페이스(open interface)를 통해 SC(Service Capability)의 집합 또는 SC(Service Capability)에 접근하여 SC(Service Capability)가 제공하는 M2M 서비스 또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SC는 M2M 서비스를 구성하는 기능 (예, 디바이스 관리, 위치, 발견, 그룹 관리, 등록, 보안 등)을 제공할 수 있고, SC 계층(Service Capabilities Layer) 또는 SC 엔티티(Service Capability Entity)는 M2M 애플리케이션이 서비스 프레임워크 상에서 제공될 때 사용할 수 있는 M2M 서비스를 위한 기능(function)들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SC(Service Capability)는 xSC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x는 N/G/D 중의 하나로 표현될 수 있으며, SC(Service Capability)가 네트워크(Network)(및/또는 서버), 게이트웨이(Gateway), 디바이스(Device) 중 어디에 존재하는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NSC는 네트워크 및/또는 서버 상에 존재하는 SC(Service Capability)를 나타내고, GSC는 게이트웨이 상에 존재하는 SC(Service Capability)를 나타낸다.
M2M 애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또는 디바이스 상에 존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거나 서버와 직접 연결되어 존재하는 M2M 애플리케이션은 M2M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M2M Network Application)라고 지칭되며 간략히 NA(Network Application)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NA는 서버에 직접 연결되어 구현되는 소프트웨어이며, M2M 게이트웨이 또는 M2M 디바이스와 통신하고 이들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 상에 존재하는 M2M 애플리케이션은 M2M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M2M Device Application)이라고 지칭되며 간략히 DA(Device Application)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DA는 M2M 디바이스에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이며, 센서 정보 등을 NA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 상에 존재하는 M2M 애플리케이션은 M2M 게이트웨이 애플리케이션(Gateway Application)이라고 지칭되며 간략히 GA(Gateway Application)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GA는 M2M 게이트웨이를 관리하는 역할도 할 수 있고 DA에게 M2M 서비스 또는 기능(예, SCs(Service Capabilities) 또는 SC(Service Capability))를 제공할 수도 있다. M2M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엔티티(AE)와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통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M2M 시스템 아키텍처는 네트워크 도메인과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 도메인으로 구분될 수 있다. 네트워크 도메인은 M2M 시스템 관리를 위한 기능(function)들과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기능(function)들을 포함할 수 있다. M2M 시스템 관리를 위한 기능은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 도메인에 존재하는 디바이스들을 관리하는 M2M 애플리케이션과 M2M SCs(Service Capabilities)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기능은 코어 네트워크와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예에서, 코어 네트워크와 액세스 네트워크는 M2M 기능을 수행한다기보다는 각 엔티티들 간의 연결을 제공한다. 코어 네트워크와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도메인과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 도메인에서 M2M SCs(Service Capabilities) 간에 M2M 통신이 수행될 수 있으며, 각 도메인의 M2M 애플리케이션은 각 도메인의 M2M SCs(Service Capabilities)를 통해 신호 또는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는 M2M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 도메인이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엔티티이다. 액세스 네트워크의 예로는 xDSL(Digital Subscriber Line), HFC(Hybrid Fiber Coax), 위성(satellite), GERAN, UTRAN, eUTRAN, 무선(Wireless) LAN, WiMAX 등이 있다.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는 IP(Internet Protocol) 연결, 서비스와 네트워크 제어, 상호연결, 로밍(roaming)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엔티티이다. 코어 네트워크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코어 네트워크, ETSI TISPAN(Telecommunications and Internet converged Services and Protocols for Advanced Networking) 코어 네트워크와 3GPP2 코어 네트워크 등을 포함한다.
M2M SC(Service Capability)는 여러 M2M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들에서 공유될 수 있는 M2M 공통 서비스 기능(Common Service Function, CSF)을 제공하고 M2M 서비스를 오픈 인터페이스(open interface)를 통해 노출하여 M2M 애플리케이션들이 M2M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M2M SCL(Service Capability Layer)은 이러한 M2M SC 엔티티들 또는 M2M 공통 서비스 기능들을 포함하는 계층을 지칭할 수 있다.
M2M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로직(service logic)을 동작시키고, 오픈 인터페이스를 통해 M2M SCs(Service Capabilities)를 사용할 수 있는 엔티티이다. M2M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이러한 M2M 애플리케이션 및 관련 동작 로직(operational logic)을 포함하는 계층을 지칭할 수 있다.
M2M 디바이스는 M2M SCs(Service Capabilities)를 통해 M2M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엔티티이다. M2M 디바이스는 직접 네트워크 도메인의 M2M 서버와 통신할 수도 있으며, M2M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네트워크 도메인의 M2M 서버와 통신할 수도 있다. M2M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연결될 경우에는 M2M 게이트웨이는 프록시(proxy)와 같이 동작한다. M2M 디바이스는 M2M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M2M SCs(Service Capabilities)를 포함할 수 있다.
M2M 영역 네트워크(M2M area network)는 M2M 디바이스와 M2M 게이트웨이 간의 연결(connectivity)을 제공한다. 이 경우, M2M 게이트웨이와 M2M 서버 간 네트워크와 M2M 디바이스와 M2M 게이트웨이 간 네트워크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2M 영역 네트워크는 IEEE802.15.1,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IETF ROLL, ISA100.11a와 같은 PAN(Personal Area Network) 기술과 PLC(Power Line Communication), M-BUS, 무선 M-BUS, KNX와 같은 로컬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M2M 게이트웨이는 M2M SCs(Service Capabilities)를 통해 M2M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고 M2M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엔티티이다. M2M 게이트웨이는 M2M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도메인간의 프록시 역할을 수행하고 ETSI 비-호환(non-compliant) M2M 디바이스에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M2M 게이트웨이는 M2M 디바이스들 중 게이트웨이 기능을 갖는 엔티티를 지칭할 수 있다. M2M 게이트웨이는 M2M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M2M SCs(Service Capabilities)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M2M 시스템 아키텍처는 예시에 불과하고 각 엔티티의 명칭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M2M SC(Service Capability)는 M2M 공통 서비스 기능(common service function, CSF)로 지칭될 수 있고, SCL(Service Capability Layer)는 공통 서비스 계층(Common Service Layer, CSL) 또는 공통 서비스 엔티티(Common Service Entity, CSE)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M2M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엔티티(application entity, AE)로 지칭될 수 있고, M2M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간략히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지칭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도메인의 명칭 또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oneM2M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도메인은 인프라스트럭처 도메인(infrastructure domain)으로 지칭될 수 있고,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 도메인은 필드 도메인(field domain)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M2M 시스템은 M2M 통신을 위해 M2M 애플리케이션 계층과 M2M SC(Service Capability) 계층을 포함하는 계층 구조로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M2M 시스템의 계층 구조(layered structure)를 예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M2M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 계층(202), 공통 서비스 계층(204), 기저 네트워크 서비스 계층(underlying network services layer)(206)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계층(202)은 M2M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대응되고, 공통 서비스 계층(204)은 M2M SCL에 대응될 수 있다. 기저 네트워크 서비스 계층(206)은 코어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위치 서비스(location service), 및 장치 트리거링(device triggering)과 같은 서비스들을 공통 서비스 계층(204)에 제공한다.
도 3은 M2M 시스템의 기능적 아키텍처(functional architecture)를 예시한다. 기능적인 측면에서 M2M 시스템 아키텍처는 애플리케이션 엔티티(application entity, AE)(302), 공통 서비스 엔티티(common service entity, CSE)(304), 기저(underlying) 네트워크 서비스 엔티티(network service entity, NSE)(306)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엔티티들(302, 304, 306)은 공통 서비스 엔티티(304)가 지원하는 기준점(reference point)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기준점(reference point)은 각 엔티티들(302, 304, 306) 간의 통신 흐름(communication flow)를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 기준점은 Mcx로 표현될 수 있고 Mc는 “M2M communications”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Mca 기준점, Mcc 기준점, Mcn 기준점은 각각 Mca, Mcc, Mcn으로 표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Mca 기준점(312)은 애플리케이션 엔티티(AE)(302)와 공통 서비스 엔티티(CSE)(304)의 통신 흐름을 지정한다. Mca 기준점(312)은 AE(302)가 CSE(304)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고 CSE(304)가 AE(302)와 통신할 수 있게 한다. Mca 기준점(312)은 M2M 애플리케이션 계층과 M2M 공통 서비스 계층(또는 엔티티) 간의 인터페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Mcc 기준점(314)은 서로 다른 공통 서비스 엔티티(CSE)(304)들 간의 통신 흐름을 지정한다. Mcc 기준점(314)은 CSE(304)가 필요한 기능들을 제공할 때 다른 CSE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Mcc 기준점(314)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CSE(304)가 지원하는 기능들에 의존적일 수 있다. Mcc 기준점(312)은 M2M 공통 서비스 계층들 간의 인터페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Mcn 기준점(316)은 CSE(304)와 기저 네트워크 서비스 엔티티(NSE)(306) 간의 통신 흐름을 지정한다. Mcn 기준점(316)은 CSE(304)가 요구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기저 NSE(306)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Mcn 기준점(312)은 M2M 공통 서비스 계층과 M2M 기저 네트워크 계층 간의 인터페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예에서, CSE(304)는 다양한 공통 서비스 기능(common service function, CSF)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SE(304)는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계층 관리(Application and Service Layer Management) 기능, 통신 관리 및 전달 처리(Communication Management and Delivery Handling) 기능, 데이터 관리 및 저장(Data Management and Repository) 기능,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기능, 그룹 관리(Group Management) 기능, 발견(Discovery) 기능, 위치(Location) 기능, 네트워크 서비스 노출/서비스 실행 및 트리거링(Network Service Exposure/ Service Execution and Triggering) 기능, 등록(Registration) 기능, 보안(Security) 기능, 서비스 과금 및 계산(Service Charging and Accounting) 기능, 서비스 세션 관리 기능(Service Session Management), 구독/통지(Subscription/Notification)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CSE(304)는 상기 공통 서비스 기능들의 인스턴스(instance)를 가리키며, M2M 애플리케이션들이 사용하고 공유할 수 있는 공통 서비스 기능들의 서브세트를 제공한다. 공통 서비스 기능들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계층 관리(Application and Service Layer Management, ASM) : AE들과 CSE들의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ASM 기능은 CSE들의 기능을 설정(configure)하고 문제점을 해결(troubleshoot)하고 업그레이드(upgrade)할 뿐만 아니라 AE들의 기능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 통신 관리 및 전달 처리(Communication Management and Delivery Handling, CMDH): 다른 CSE들, AE들, NSE들과의 통신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CMDH 기능은 CSE-CSE 통신(CSE-to-CSE communication)을 위한 연결(connection)을 언제 어떻게 사용할지를 결정하고 특정 요청들이 지연 전달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 데이터 관리 및 저장(Data Management and Repository, DMR): M2M 애플리케이션들이 데이터를 교환, 공유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DMR 기능은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collecting)/병합(aggregating)하고 데이터를 특정 포맷으로 변환(converting)하고 저장(storing)할 수 있다.
-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DMG): M2M 게이트웨이 및 M2M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M2M 영역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디바이스 기능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DMG 기능은 애플리케이션 설치 및 설정, 펌웨어(Firmware) 업데이트, 로깅(Logging), 모니터링(Monitoring), 진단(Diagnostics),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 발견(Discovery, DIS): 주어진 범위 및 조건 내에서 요청에 따라 정보 및 리소스(resource)와 같은 정보를 검색(searching)한다.
- 그룹 관리(Group Management, GMG): 예를 들어 리소스(resource), M2M 디바이스, 또는 M2M 게이트웨이를 묶어 그룹을 생성할 수 있는데 그룹 관련 요청을 핸들링(handling)한다.
- 위치(Location, LOC): M2M 애플리케이션이 M2M 디바이스 또는 M2M 게이트웨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네트워크 서비스 노출/서비스 실행 및 트리거링(Network Service Exposure/ Service Execution and Triggering, NSSE): 기저 네트워크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기저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서비스 또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 등록(Registration, REG): M2M 애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CSE가 특정 CSE에 등록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등록은 특정 CSE의 M2M 서비스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수행된다.
- 보안(Security, SEC): 보안 키와 같은 민감한 데이터 핸들링, 보안 연관 관계(Association) 설립, 인증(Authentication), 권한 부여(Authorization), ID(Identity) 보호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 서비스 과금 및 계산(Service Charging and Accounting, SCA): AE 또는 CSE에 과금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서비스 세션 관리(Service Session Management, SSM): 단대단(end-to-end) 통신을 위한 서비스 계층의 M2M 세션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구독/통지(Subscription/Notification, SUB): 특정 리소스(resource)에 대한 변경을 구독(Subscription)하면 해당 리소스(resource)이 변경되면 이를 통지(notification)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M2M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노드(node)는 하나 이상의 M2M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엔티티 또는 하나의 CSE와 0개 이상의 M2M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엔티티를 의미한다.
애플리케이션 전용 노드(Application Dedicated Node, ADN)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엔티티(AE)를 가지지만 공통 서비스 엔티티(CSE)를 가지지 않는 노드를 지칭할 수 있다. ADN은 Mca를 통해 하나의 중간 노드(Middle Node, MN) 또는 하나의 인프라스트럭처 노드(Infrastructure Node, IN)와 통신할 수 있다. ADN은 제한된 능력을 갖는 M2M 디바이스(M2M device having a constrained capability)로 지칭될 수 있는데, 제한된 능력을 갖는 M2M 디바이스는 공통 서비스 계층(common service layer) 또는 공통 서비스 엔티티(CSE)를 포함하지 않는 M2M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제한된 능력을 갖는 M2M 디바이스는 간략히 제한적인 M2M 디바이스(constrained M2M device)라고 지칭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노드(Application Service Node, ASN)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 서비스 엔티티(CSE)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M2M 애플리케이션 엔티티(AE)를 가지는 노드를 지칭할 수 있다. ASN은 Mcc를 통해 하나의 중간 노드(Middle Node) 또는 하나의 인프라스트럭처 노드(Infrastructure Node)와 통신할 수 있다. ASN은 M2M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중간 노드(Middle Node, MN)는 하나의 공통 서비스 엔티티(CSE)와 0개 이상의 M2M 애플리케이션 엔티티(AE)를 가지는 노드를 지칭할 수 있다. MN은 Mcc를 통해 하나의 인프라스트럭처 노드(IN) 또는 다른 중간 노드(MN)와 통신할 수 있으며, 혹은 Mcc를 통해 IN/MN/ASN과 통신할 수 있으며, 혹은 Mca를 통해 ADN과 통신할 수 있다. MN은 M2M 게이트웨이로 지칭될 수 있다.
인프라스트럭처 노드(Infrastructure Node, IN)는 하나의 공통 서비스 엔티티(CSE)를 가지고 0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엔티티(AE)를 가지는 노드를 지칭할 수 있다. IN은 Mcc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중간 노드(MN)와 통신할 수 있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ASN과 통신할 수 있다. 혹은 IN은 Mca를 통해 하나 이상의 ADN과 통신할 수 있다. IN은 M2M 서버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case 1은 ADN(402)과 IN(422) 간의 통신을 예시한다. ADN(402)은 제한된 능력을 갖는 M2M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 경우, ADN(402)은 CSE 또는 공통 서비스 계층을 갖지 않으므로 Mca를 통해 IN(422)의 CSE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ADN(402)은 CSE 또는 공통 서비스 계층을 갖지 않으므로 AE 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다른 엔티티에 저장/공유할 수 없다. 따라서, case 1에서 ADN(402)의 AE 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IN(422)의 CSE에 저장되어 공유될 수 있다.
case 2는 ADN(404)과 MN(414) 간의 통신을 예시한다. ADN(404)도 제한된 능력을 갖는 M2M 디바이스일 수 있다. 따라서, ADN(404)이 MN(414)의 CSE과 통신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case 1과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다. 즉, ADN(404)은 Mca를 통해 MN(414)의 CSE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ADN(404)은 CSE 또는 공통 서비스 계층을 갖지 않으므로 AE 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다른 엔티티에 저장/공유할 수 없다. 따라서, ADN(404)의 AE 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MN(414)의 CSE에 저장되어 공유될 수 있다.
한편, case 2에서 MN(414)은 MN(412)을 거쳐 IN(422)과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MN(414)과 MN(412), 그리고 MN(412)과 IN(422)은 Mcc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MN(414)이 MN(412)을 거치지 않고 직접 IN(422)과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case 3은 ASN(406)과 MN(414) 간의 통신을 예시한다. case 1 또는 case 2와 달리, ASN(406)은 CSE 또는 공통 서비스 계층을 가지므로 ASN(406)의 AE 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자신의 CSE 또는 공통 서비스 계층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ASN(406)의 AE는 ASN(406)의 CSE를 통해 MN(414)의 CSE와 통신할 수 있다.
case 4는 ASN(408)과 MN(414) 간의 통신을 예시한다. case 3과 비교하여, ASN(408)의 CSE는 MN을 거치지 않고 직접 IN(422)의 CSE와 통신할 수 있다.
IN(422 또는 424)은 인프라스트럭처 도메인 또는 네트워크 도메인에 위치할 수 있고 하나의 CSE를 포함하고 0개 이상의 AE를 포함할 수 있다. IN들(422, 424)은 Mcc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도 5는 M2M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리소스(resource)를 예시한다.
M2M 시스템에서 애플리케이션 엔티티(AE), CSE, 데이터 등은 리소스(resource)로서 표현될 수 있다. M2M 시스템에서 리소스는 고유한 주소(예, URI(Universal Resource Identifier 또는 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이용하여 고유하게 어드레싱 가능한 엔티티(uniquely addressable entity)를 지칭한다. M2M 시스템에서 리소스는 특정 데이터 구조로서 표현되며 각 리소스는 서로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리소스는 CSE 또는 공통 서비스 계층에 의해 관리되고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M2M 디바이스, M2M 게이트웨이, M2M 서버의 CSE 또는 공통 서비스 계층에서는 이러한 리소스를 가질 수 있다. 반면, M2M 시스템의 AE 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는 이러한 리소스 구조를 가질 수 없다. 각 리소소는 자녀 리소스와 속성을 가진다. M2M 리소스에서 루트(Root) 리소스는 속성(attribute)과 자녀 리소스(child resource)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소스는 트리 구조로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트 리소스의 타입은 <baseURI> 또는 <CSEBase>로 표시될 수 있다. 리소스의 타입은 “<”과 “>”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M2M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리소스 타입이 정의되는데 M2M 애플리케이션들은 리소스 타입이 실체화(Instantiation)된 리소스를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하고 센서 값을 읽어 오는 등의 M2M 서비스를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리소스는 해당 리소스 타입의 인스턴스가 생성될 때 고유한 주소 정보(예, URI)가 주어지며, 루트 리소스와 동일하게 속성 및 자녀 리소스를 가질 수 있으며 각 리소스들은 고유한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어드레싱될 수 있다. 특정 리소스 타입은 해당 리소스가 실체화(Instantiation)되었을 때 가질 수 있는 자식 리소스와 속성을 정의한다. 특정 리소스 실체화(Instantiation) 시 리소스는 해당 리소스의 리소스 타입에 정의된 속성과 자식 리소스를 가질 수 있다.
속성은 리소스 자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자녀 리소스를 가질 수 없다. 자녀 리소스는 자신의 속성과 자신의 자녀 리소스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녀 리소스에는 원격 CSE 리소스, 애플리케이션 엔티티 리소스, 접근 제어 리소스, 컨테이너 리소스, 그룹 리소스, 구독 리소스 등이 있다.
- 원격 CSE 리소스는 해당 CSE에 등록(연결)된 다른 CSE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원격 CSE 리소스의 타입은 <entity> 또는 <remoteCSE>으로 표시될 수 있다.
- 애플리케이션 엔티티 리소스: 루트 리소스의 애플리케이션 엔티티 리소스(예, <baseURI>/<application> 또는 <CSEBase>/<AE>) 또는 루트 리소스의 원격 CSE 리소스(예, <baseURI>/<entity> 또는 <CSEBase>/<remote CSE>) 하위에 존재하는 리소스이며, 루트 리소스의 애플리케이션 엔티티 리소스(예, <baseURI>/<application> 또는 <CSEBase>/<AE>)의 하위에 존재할 경우 해당 CSE에 등록(연결)된 애플리케이션 엔티티의 정보가 저장되며, 루트 리소스의 원격 CSE 리소스(예, <baseURI>/<entity> 또는 <CSEBase>/<remote CSE>) 하위에 존재할 경우 특정 원격 CSE에 등록된 애플리케이션 엔티티들의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엔티티 리소스의 타입은 <application> 또는 <AE>로 표시될 수 있다.
- 접근 제어 리소스 : 접근 권한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리소스이다. 본 리소스에 포함된 접근 권한 정보를 이용하여 권한 부여(authorization)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접근 제어 리소스의 타입은 <accessRight> 또는 <accessControlPolicy>으로 표시될 수 있다.
- 컨테이너 리소스 : CSE 또는 AE 별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 리소스의 타입은 <container>로 표시될 수 있다.
- 그룹 리소스 : 여러 리소스를 하나로 묶어 함께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그룹 리소스의 타입은 <group>으로 표시될 수 있다.
- 구독 리소스 : 리소스의 상태가 변경되는 것을 통지(Notification)를 통해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구독 리소스의 타입은 <subscription>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특정 M2M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리소스 타입를 예시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특정 M2M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리소스는 M2M 게이트웨이의 CSE 또는 공통 서비스 계층의 리소스에서 애플리케이션 리소스(Application Resource)에 저장될 수 있다. 특정 M2M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리소스는 전체 리소스와 유사하게 속성(attribute)과 자녀 리소스(child resource)를 가질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 자녀 리소스는 타입(예, “<”, “>”으로 표시)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실체화 시 실제 이름이 부여되고 저장된다.
도 7은 일반적인 M2M 시스템의 통신 흐름을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M2M 시스템의 동작은 데이터 교환을 기반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특정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의 동작을 멈추기 위해 해당 명령을 데이터 형태로 다른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디바이스 내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특정 형태의 데이터 구조가 이용되는데 이를 자원(Resource, 리소스)이라고 지칭한다. 자원은 고유의 주소(예, URI)를 이용하여 액세스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AE와 CSE 간의 연결에서 또는 CSE들 간의 연결에서 요청 및 응답 방식(Request and Response Scheme)이 사용된다. 발신자(originator)는 수신자(receiver)에 저장된 자원(resource)을 요청하기 위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신자는 발신자로부터 자원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 메시지를 발신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요청 메시지는 요청으로 약칭될 수 있고 응답 메시지는 응답으로 약칭될 수 있다. 발신자에서 수신자로 전송되는 요청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op: 실행되는 동작(Operation)의 형태. 생성(Create)/회수(Retrieve)/갱신(Update)/삭제(Delete)/통지(Notify)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동작에 해당하는 정보는 명령(command)라고 지칭될 수 있다.
- to: 목적 자원의 URI
- fr: 요청(Request)을 생성한 발신자(Originator)의 식별 정보(또는 ID)
- mi: 해당 요청(Request)에 대한 추가 정보(Meta information)
- cn: 전달되는 자원의 내용
해당 요청(Request)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경우 응답(Response)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응답 메시지는 아래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결과값(rs)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 to: 요청(Request)을 생성한 발신자(Originator)의 식별 정보(또는 ID)
- fr: 요청(Request)을 수신한 수신자(receiver)의 식별 정보(또는 ID)
- mi: 요청(Request)에 대한 추가 정보(Meta information)
- rs: 요청(Request)에 대한 결과(예를 들어, Okay, Okay and Done, Okay and in progress)
- ai: 추가적인 정보
- cn: 전달되는 자원의 내용
해당 요청(Request)이 실패한 경우 응답(Response)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to: 요청(Request)을 생성한 발신자(Originator)의 ID
- fr: 요청을 수신한 수신자(receiver)의 ID
- mi: 요청(Request)에 대한 추가 정보(Meta information)
- rs: 요청에 대한 결과 (예를 들어, Not Okay)
- ai: 추가적인 정보
본 명세서에서, 발신자는 발신자 디바이스(또는 그 안의 CSE 또는 AE)을 나타내고, 수신자는 수신자 디바이스(또는 그 안의 CSE 또는 AE)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자원을 가지고 있는 디바이스(또는 그 안의 CSE)를 호스팅 디바이스(또는 호스팅 CSE)라고 지칭한다.
일 예로, 발신자는 수신자 상에 자원을 생성하기 위해 도 7에 예시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신자는 자원 생성 요청 메시지(예, CREATE request)를 수신자로 전송할 수 있다. 자원 생성 요청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op: C(Create)
- to: 생성 대상 자원의 부모의 URI
- fr: 발신자 ID
- cn: 생성 대상 자원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며, 선택 사항으로(optionally) 생성 대상 자원의 식별 정보(예, 생성 대상 자원의 이름)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자가 자원 생성 요청 메시지를 받는 경우, 수신자는 발신자가 인증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생성 대상 자원에 대한 정보(예, 액세스 권한(access rights) 또는 액세스 제어 정책 (access control policy))가 아직 수신자에게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수신자는 발신자를 인증함으로써 자원 생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발신자가 인증된 경우에 대상 자원의 생성이 허용될 수 있다. 또한, 자원 생성 요청 메시지에 생성 대상 자원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수신자는 생성 대상 자원의 식별 정보가 수신자의 자원 구조에 이미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증(verify)한다. 만일 유효한 식별 정보가 제공되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생성 대상 자원의 식별 정보가 중복되는 경우), 수신자는 생성 대상 자원의 식별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만일 자원 생성 요청 메시지가 생성 대상 자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수신자는 생성 대상 자원의 식별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수신자는 생성 대상 자원을 성공적으로 생성한 경우 다음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발신자로 전송할 수 있다.
- to : 발신자 ID
- fr : 수신자 ID
- cn : 생성된 자원의 URI 및/또는 내용(content)
다른 예로, 발신자는 수신자 상의 자원에 관한 정보(예, 속성 정보)를 회수(retrieve)하기 위해 도 7에 예시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신자는 수신자 상의 자원에 관한 정보(예, 속성 정보)를 회수(retrieve)하기 위해 회수 요청 메시지(예, RETRIEVE request)를 수신자로 전송할 수 있다. 발신자는 회수 요청 메시지를 통해 수신자의 대상 자원에서 모든 속성을 회수하거나 일부 속성만을 회수할 수 있다. 회수 요청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op: R(Retrieve)
- to: 회수 대상 자원의 URI
- fr: 발신자 ID
수신자는 발신자로부터 회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회수 요청 메시지에서 회수 대상 자원의 URI를 참조하여 회수 대상 자원이 존재하는지 검증하고 발신자가 회수 대상 자원에 대해 회수 권한(permission for retrieving)을 가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회수 대상 자원이 존재하지 않거나 발신자가 정당한 회수 권한을 가지지 않는 경우 수신자는 응답메시지를 통해 오류(error)를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회수 대상 자원이 존재하고 발신자가 정당한 회수 권한을 가지는 경우 수신자는 응답 메시지를 발신자로 전송할 수 있다. 응답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to : 발신자 ID
- fr : 수신자 ID
- cn : 회수 대상 자원의 내용(content)
또 다른 예로, 발신자는 수신자 상의 특정 자원에서 속성 정보를 갱신(update)하기 위해 도 7에 예시된 절차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신자는 갱신 요청 메시지(예, UPDATE request)를 수신자로 전송할 수 있다. 발신자는 갱신 요청 메시지를 통해 수신자 상의 특정 자원에서 속성 정보를 새로운 값으로 갱신할 수 있다. 갱신 요청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op: U(Update)
- to: 갱신 대상 자원의 URI
- fr: 발신자 ID
- cn : 갱신 대상 자원에서 갱신될 정보
수신자는 발신자로부터 갱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갱신 요청 메시지에서 갱신 대상 자원의 URI를 참조하여 갱신 대상 자원이 존재하는지 검증하고 발신자가 갱신 대상 자원을 수정하는 것에 대해 권한 부여가 되었는지 여부(whether the originator is authorized to perform modifying the target resource)를 확인한다. 만일 갱신 대상 자원이 존재하고 발신자가 정당한 권한 부여가 된 경우 수신자는 갱신 대상 자원을 갱신될 정보(예, cn)로 갱신할 수 있다. 성공적으로 갱신된 경우 수신자는 응답 메시지를 발신자로 전송할 수 있다. 응답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to : 발신자 ID
- fr : 수신자 ID
- cn : 동작 결과
또 다른 예로, 발신자는 수신자 상에서 특정 자원을 삭제(delete)하기 위해 도 7에 예시된 절차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신자는 삭제 요청 메시지(예, DELETE request)를 수신자로 전송할 수 있다. 삭제 요청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op: D(Delete)
- to: 삭제 대상 자원의 URI
- fr: 발신자 ID
수신자는 발신자로부터 삭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회수 요청 메시지에서 삭제 대상 자원의 URI를 참조하여 삭제 대상 자원이 존재하는지 검증하고 발신자가 대상 자원을 삭제하는 것에 대해 권한 부여가 되었는지 여부(whether the originator is authorized to delete the target resource)를 확인한다. 만일 대상 자원이 존재하지 않거나 발신자가 권한 부여가 되지 않은 경우 수신자는 응답메시지를 통해 오류(error)를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대상 자원이 존재하고 발신자가 권한 부여가 된 경우 수신자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발신자로 전송할 수 있다.
- to : 발신자 ID
- fr : 수신자 ID
- cn : 동작 결과
도 8은 M2M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엔티티들이 상호 연동하는 예를 예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IN(Infrastructure Node)에 등록된 AE(application2)가 M2M 디바이스(M2M Device)와 연동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M2M 디바이스는 물리적인 장치인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IN에 등록된 AE는 M2M 디바이스의 센서 값을 읽어올 수 있다.
M2M 디바이스 상에 존재하는 AE(application1)는 센서에서 값을 읽어 읽은 값을 자신이 등록한 CSE(dcse)에 자원 형태(예, <container> 자원)로 저장한다. 이를 위해, M2M 디바이스 상에 존재하는 AE(application1)는 M2M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CSE에 먼저 등록해야 한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등록이 완료되면, dcse/applications/application1 자원의 형태로 등록된 M2M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M2M 디바이스의 센서 값이 AE(application1)에 의해 dcse/applications/application1 리소스 하위의 Container 자원에 저장되면, IN(Infrastructure Node)에 등록된 AE(application2)가 해당 값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AE(application2)가 M2M 디바이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IN(Infrastructure Node)의 CSE(ncse)에 등록되어야 한다. 이는 AE(application1)가 CSE(dcse)에 등록하는 방법과 같이 ncse/applications/application2 자원에 AE(application2)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AE(application1)는 AE(application2)와 직접 통신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의 CSE(ncse)와 CSE(dcse)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CSE(ncse)와 CSE(dcse)는 상호 등록되어야 한다. CSE(dcse)가 CSE(ncse)에 등록하면, ncse/cses/dcse 자원 하위에 dcse 관련 정보(예, Link)가 저장된다. 이를 통해 AE(application2)는 AE(application1)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경로를 얻게 되어 해당 경로를 통해 센서의 값을 읽을 수 있다.
도 9는 구독 자원과 관련된 절차를 예시한다.
M2M 시스템(예, oneM2M)에서는 자원의 변화에 따라 해당 자원의 변화에 관심이 있는 엔티티(Entity)가 해당 변화에 대한 통지(notification)를 구독(subscription)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지를 구독하기 위해서는 구독을 위한 자원이 설정되어야 한다. 구독을 위한 자원은 구독 자원 또는 <subscription> 자원으로 지칭될 수 있다. 구독 자원이 생성/설정된 경우, 구독 자원이 설정된 디바이스(또는 엔티티)는 구독 자원에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수정/변화가 구독 대상 자원(subscribed-to resource 또는 subscribed resource)에서 발생하는 경우 구독 자원에 설정된 주소로 통지를 전송할 수 있다. 구독 자원이 설정되거나 및/또는 구독 대상 자원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또는 엔티티)를 호스팅 디바이스(또는 호스팅 엔티티)라고 지칭한다. 예를 들어, M2M 게이트웨이의 CSE에 구독 대상 자원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M2M 게이트웨이를 호스팅 디바이스라고 지칭하고 M2M 게이트웨이의 CSE를 호스팅 CSE라고 지칭할 수 있다.
구독 자원을 이용하여 자원 지향적인 방식(resource-oriented manner)으로 구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구독 대상 자원에 대하여 구독하기 위해 구독 자원을 생성할 수 있고, 구독 자원을 수정함으로써 구독을 위한 조건을 변경할 수 있으며, 구독을 더 이상 원치 않을 경우에는 구독 자원을 삭제할 수 있다.
구독 자원(subscription resource)은 구독 대상 자원(subscribed-to resourc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구독 대상 자원과 구독 자원 간의 관계는 부모-자식 관계로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독 대상 자원을 포함하는 <container> 자원은 자식 자원으로서 <subscription> 자원을 가질 수 있다. 부모 구독 대상 자원이 삭제될 때 <subscription> 자원은 삭제될 수 있다.
구독(subscription) 자원이 자식 자원인 경우에는 구독 자원의 설정(속성 설정)에 따라 부모 자원의 상태 변화를 지시하는 통지(notification)가 구독 자원 내의 notificationURI 속성에 명시된 엔티티에게 전달될 수 있다. 발신자가 구독가능한 자원에 대한 RETRIEVE(또는 READ) 권한(permission)을 가지는 경우 발신자는 구독 자원을 생성할 수 있다. 구독 자원의 발신자는 자원 구독자가 된다. 구독 대상 자원에 대한 수정이 있는 경우 그 수정을 필터링 속성(예, filterCriteria attribute)과 비교하여 통지가 자원 구독자로 전송될 지를 결정한다.
다른 예로서, 구독 자원은 부모 자원 아래의 특정 자원에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자원은 구독 자원의 묶음(collection)을 가지는 자원일 수 있으며, 이 자원은 구독 묶음(subscription collection) 자원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엔티티가 <resourceURI>/subscriptions/<subscription>의 구조로서 구독 자원 <subscription>이 생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특정 엔티티는 구독 자원을 통해 resourceURI에 의해 식별되는 자원을 구독할 수 있고 resourceURI에 의해 식별되는 자원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filterCriteria 속성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특정 엔티티로 통지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 <resourceURI>/subscriptions 자원은 구독 묶음 자원에 해당한다.
구독 자원(예, <subscription> 자원)은 다양한 속성과 자식 자원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독 자원(예, <subscription> 자원)은 자식 자원으로서 통지 배달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notificationSchedule 자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구독 자원(예, <subscription> 자원)은 표 1의 속성들을 가질 수 있다. 표 1에서 R/W는 해당 속성의 읽기(read)/쓰기(write) 허용여부(permission)을 나타내며, READ/WRITE(RW), READ ONLY(RO), WRITE ONLY(WO)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표 1에서 발생횟수(multiplicity)는 해당 속성이 <subscription> 자원에서 발생가능한 횟수를 나타낸다. 표 1은 오로지 예시일 뿐이며 구독 자원의 속성은 표 1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Figure 112015103175704-pct00001
표 1의 예에서, 필터링 속성(예, filterCriteria)은 구독 대상 자원의 수정/변화에 대한 조건들의 리스트이며, 각 조건들은 논리적 AND 관계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링 속성(예, filterCriteria)이 2개의 조건을 포함하는 경우, 구독 대상 자원의 수정/변화가 2개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통지가 전송될 수 있다. 구독 자원에 필터링 속성을 설정함으로써 통지 메시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설정한 필터링 속성을 만족 시에 통지 대상 엔티티(notification target entity)에게 통지가 전송되도록 하여 통지 메시지가 넘쳐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표 2는 필터링 속성에 포함될 수 있는 조건들을 예시한다.
Figure 112015103175704-pct00002
도 9를 참조하면, 디바이스 1(910)은 디바이스 2(920)의 특정 자원을 구독하기 위해 도 9에 예시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 1(910)은 구독 대상 자원의 변화에 따른 통지를 받는 대상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도 9의 예에서, 특정 자원은 구독 대상 자원에 해당하며, 디바이스 2(920)는 구독 대상 자원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호스팅 디바이스(또는 엔티티)에 해당할 수 있다.
S902 단계에서, 디바이스 1(910)은 특정 자원을 구독하기 위해 구독 자원에 대한 요청을 디바이스 2(9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독 자원에 대한 요청은 구독 자원의 생성 요청, 회수 요청, 삭제 요청, 갱신 요청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각 요청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요청-응답 방식에 따른 요청 메시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S902의 요청이 생성 요청인 경우, 구독 자원에 대한 요청은 C(Create)를 가지는 op 정보, 구독 자원의 속성 정보(예, notificationURI, filterCriteria, expirationTime 등)를 포함하는 cn 정보, 디바이스 1(910)의 식별 정보를 가지는 fr 정보, 및/또는 디바이스 2(920)의 식별 정보를 가지는 to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S902의 요청이 회수 요청인 경우, 구독 자원에 대한 요청은 R(Retrieve)를 가지는 op 정보, 디바이스 1(910)의 식별 정보를 가지는 fr 정보, 디바이스 2(920)의 식별 정보를 가지는 to 정보, 및/또는 회수 대상 속성을 가리키는 c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S902의 요청이 삭제 또는 갱신 요청인 경우, 구독 자원에 대한 요청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정보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S904 단계에서, 디바이스 2(920)는 구독 자원에 대한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지 검사(validate)하여 처리할 수 있는 경우 해당 요청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2(920)가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to 정보에 지정된 구독 대상 자원이 구독 가능하지 여부, 요청 발신자(예, 910)이 구독 대상 자원에 대해 RETRIEVE 권한(permission)을 가지는 여부, notificationURI가 요청 발신자(예, 910)를 가리키지 않는 경우 요청 발신자(예, 910)가 notificationURI로 지정된 엔티티 또는 디바이스로 통지를 보낼 액세스 권한(access rights)를 가지는 여부, 호스팅 디바이스 또는 엔티티(예, 920)가 notificationURI로 지정된 엔티티 또는 디바이스로 통지를 보낼 액세스 권한(access rights)를 가지는 여부를 검사(validate)한다. 이들 모두를 만족하는 경우, 디바이스 2(920)는 to 정보에 지정된 구독 대상 자원 아래에 구독 자원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바이스 2(920)가 회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디바이스 2(920)는 요청 발신자(예, 910)가 구독 자원에 대해 RETRIEVE 권한(permission)을 가지는 여부를 검사(validate)하며, 이를 만족하는 경우 구독 자원 전부 또는 회수 요청에서 지정된 일부를 반환(return)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바이스 2(920)가 갱신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디바이스 2(920)는 구독 자원이 존재하는지 검증(verify)한 후, 해당 속성이 WRITE가 가능한 속성인지 여부와 요청 발신자(예, 910)가 수정할 권한(permission)을 가지는지 여부를 검사(validate)하며, 이를 만족하는 경우 제공된 속성을 갱신한다.
또 다른 예로, 디바이스 2(920)가 삭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디바이스 2(920)는 요청 발신자(예, 910)가 DELETE 권한(permission)을 가지는지 여부를 검사(validate)하며, 이를 만족하는 경우 구독 자원을 삭제한다.
S906 단계에서, 디바이스 2(920)는 구독 자원에 대한 요청을 처리한 다음 응답 메시지를 디바이스 1(910)로 전송할 수 있다. S906의 응답 메시지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응답 메시지와 동일/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회수 요청의 경우 응답 메시지는 반환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통지를 위한 절차를 예시한다. 통지를 위한 절차에서 발신자는 구독 자원을 호스팅하고 있는 디바이스 또는 엔티티(예, 920)일 수 있다. 또한, 수신자는 구독 자원에 설정된 주소 정보(예, notificationURI)가 가리키는 디바이스(또는 엔티티)일 수 있다. 통지를 위한 절차를 위해 소정의 정책 정보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책 정보를 만족할 때 발신자가 통지 메시지(예, NOTIFY)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통지 메시지(예, NOTIFY)는 구독 자원의 정보에 대하여 트리거링되는 메시지이다. 통지 메시지는 구독 대상 자원의 변화가 구독 자원에 설정된 필터링 속성을 만족하는 경우 구독 자원에 설정된 주소 정보(예, notificationURI)가 가리키는 수신자로 전송될 수 있다. 통지 메시지의 수신자는 구독 자원의 설정에 따라 구독 자원을 생성/설정한 디바이스 또는 엔티티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1(910)은 디바이스 3(930)과 동일한 엔티티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엔티티일 수 있다. 통지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fr : 발신자(예, 920)의 식별정보 또는 ID
- to : 구독 자원에 설정된 주소 정보(예, notificationURI)
- cn : 구독 대상 자원의 수정 내용(modified content)을 나타내는 데이터 및/또는 이 통지 메시지를 생성한 구독 참조(subscription reference) 정보(예, 해당 구독 자원의 URI)
도 10을 참조하면, S1002 단계에서, 발신자(920)는 구독 대상 자원의 변화를 검출/감지할 수 있다. 구독 대상 자원은 구독 자원의 부모 자원이며, 구독 대상 자원 아래에서 구독 자원과 동일한 레벨에 있는 자원 또는 속성이 수정/변화되는 경우 발신자(920)(예를 들어, SUB CSF 또는 CSE 도 3 참조)는 구독 대상 자원의 변화로서 인지할 수 있다.
구독 대상 자원의 변화가 검출되는 경우, S1004 단계에서, 발신자(920)는 해당 변화가 구독 자원에 설정된 필터링 속성(예, filterCriteria)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필터링 속성은 예를 들어 표 2에 예시된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독 대상 자원의 변화가 필터링 속성에 포함된 조건들을 모두 만족하지 않는 경우 발신자(920)는 해당 변화를 무시할 수 있다.
만일 구독 대상 자원의 변화가 필터링 속성에 포함된 조건들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S1006 단계에서, 발신자(920)는 구독 자원에 설정된 주소 정보(예, notificationURI)가 가리키는 엔티티(930)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1006의 통지 메시지는 예를 들어 발신자(920)의 식별정보, 구독 대상 자원의 변경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 및/또는 통지 메시지를 생성한 구독 참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구독 자원이 사용되는 예를 예시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독 자원은 특정 자원의 자식 자원으로서 생성/설정될 수 있으며, 호스팅 디바이스 또는 엔티티(또는 구독 자원이 생성/설정된 M2M 디바이스 또는 엔티티)는 부모 자원에서의 상태 변화를 추적(track)하여 상태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구독 자원의 통지 주소(예, notificationURI)를 참조하여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경우, 구독 자원의 상태 변화를 추적/모니터링하는 것은 예를 들어 구독 자원이 생성/설정된 M2M 디바이스의 구독/통지(SUB) 공통 서비스 기능(CSF)이 담당할 수 있다(예, 도 3 참조). M2M 디바이스는 구독 대상 자원(예, 구독 자원의 부모 자원)에 대해 수정/변화가 발생할 때마다 구독 자원에 설정된 주소(예, notificationURI)로 통지를 보낼 수 있다.
하지만, 구독 자원이 생성/설정된 M2M 디바이스에서 특정 동작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더라도 구독 대상 자원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M2M 디바이스는 통지 메시지를 보내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회수 요청 메시지(예, RETRIEVE request)를 수신하는 경우 M2M 디바이스는 대상 자원의 속성 정보를 응답 메시지를 통해 회신하므로 대상 자원에 대한 변화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 구독 자원에 설정된 주소(예, notificationURI)로 통지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독 대상 자원에서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구독자(subscriber)(또는 구독 디바이스)는 구독 대상 자원에 대해 액세스가 있었는지 여부를 알 수 없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독 자원(예, <subscription> 자원)은 구독 대상 자원과 부모-자식 관계를 가지도록 생성/설정될 수 있다. 구독 자원이 생성/설정된 상황에서, 구독 자원과 동일한 레벨에 있는 다른 자원(예, 구독 대상 자원의 자식 자원 또는 속성)이 삭제되는 경우 구독 대상 자원에 변화가 발생한 것이므로 디바이스(또는 그 안의 SUB CSF)는 구독 자원에 설정된 주소(예, notificationURI)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하지만, 구독 자원과 서로 다른 레벨에 있는 자원의 경우 구독 자원의 대상이 아니므로 설정된 구독 자원을 통해 변화를 알 수 없다. 예를 들어, 특정 디바이스에서 자원은 레벨 별로 다른 액세스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모 자원과 해당 부모 자원의 자식 자원은 서로 다른 액세스 권한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구독 자원이 설정된 경우, 해당 구독 자원은 해당 레벨에 대해서만 동작할 수 있고 다른 레벨에 대해서는 해당 구독 자원이 적용될 수 없다.
도 11을 참조하면, 구독 자원(예, <subscription> 자원)이 특정 자원(예, Resource 1)의 자식 자원으로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독 자원은 Resource 1이며, 구독 자원(예, <subscription> 자원)을 통해 변화를 알 수 있는 범위는 1130이다. 하지만, 구독 자원과 서로 다른 레벨(예, 1140)에 있는 자원이나 속성의 변화에 대해서는 구독 자원(예, <subscription> 자원)을 통해 특정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변화를 알 수 없다. 예를 들어, 도 11의 예에서, <container> 자원 아래의 attribute4 속성이 삭제되는 등의 변화를 인지할 수 없다.
또한, 구독 자원은 구독 대상 자원의 자식 자원으로서 생성/설정되므로 구독 대상 자원이 삭제되는 경우 구독 자원도 함께 삭제된다. 따라서, 구독 대상 자원이 삭제되는 경우 구독 자원 자체가 삭제되므로 구독자는 구독 대상 자원의 삭제에 대해 통지 받지 못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자원을 생성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구독 대상 자원 아래에서 구독 자원과 동일한 레벨에 자원이 생성되는 경우 구독 대상 자원의 변화가 발생하므로 구독자에게 통지가 전송될 수 있다. 하지만, 구독 자원은 다른 레벨에 있는 자원에 대해서는 액세스 권한(access rights)을 가지지 못할 수 있으므로 구독 자원과 서로 다른 레벨에서 자원이 생성되는 경우 구독자에게 통지가 전송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레벨에 있는 자원의 변화를 구독하고 싶은 경우, 해당 레벨의 부모 자원의 자식 자원으로서 별도의 구독 자원을 생성/설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1의 예에서, 구독 대상 자원(예, Resource 1) 아래에 attribute5가 생성되는 경우 디바이스 2(920)는 구독 자원에 설정된 필터링 정보(예, filterCriteria)를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기준 정보를 만족하는 경우 구독 자원에 설정된 주소(예, notificationURI)로 통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도 11의 예에서, 구독 자원과 동일한 레벨의 자원이 생성되어 특정 필터링 조건 만족하는 변화(예컨대 attribute4가 특정 값을 가지는 자원 생성 시)를 인지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는 구독 대상 자원에 대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구독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독 대상 자원을 회수하는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회수 동작(retrieve operation)은 구독 대상 자원의 변화를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통지 메시지가 발생되지 않는다. 하지만, 회수 동작을 구독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면 구독 대상 자원의 변화에 관계없이 구독 대상 자원을 회수하는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해당 동작에 대한 통지 메시지가 발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구독 자원의 하위에 자원을 생성 또는 삭제하는 경우에도 생성 또는 삭제 동작을 구독하도록 구독 자원을 설정할 수 있다면 생성 또는 삭제되는 대상 자원에 대해 설정된 필터링 속성을 만족할 경우 통지 메시지가 발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구독 대상 자원 전체가 삭제되는 경우에도 삭제 동작을 구독하도록 구독 자원을 설정할 수 있다면 구독 대상 자원과 구독 자원이 삭제되기 전에 통지 메시지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구독 대상 자원의 삭제를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M2M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특정 동작(operation)을 구독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특정 동작의 구독을 위해 구독 자원에 구독 대상 동작에 관한 조건 정보를 추가할 것을 제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독 자원의 필터링 속성(예, filterCriteria)에 구독 대상 동작에 대한 조건 정보를 추가할 것을 제안한다. 구독 대상 동작은 구독하고자 하는 명령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독 대상 동작에 관한 조건 정보는 구독 대상 자원을 액세스하는 동작이 특정 값과 매칭되는 경우 통지를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제1 조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건 정보는 해당 동작이 수행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구독 대상 자원에 어떤 동작이 시도되고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제1 조건 정보는 operationMonitor라는 이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건 정보는 악의적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디바이스들이 구독 대상 자원에 액세스 시도를 할 경우 액세스 권한 때문에 자원 변화가 없지만 제1 조건 정보를 구독 자원(또는 필터링 속성)에 설정함으로써 이러한 악의적인 시도(malicious attempt)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1 조건 정보는 생성(Create), 회수(Retrieve), 갱신(Update), 삭제(Delete), 통지(Notify)와 같은 스트링 인자(string argument)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건 정보는 표 2에 예시된 조건들에 추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독 대상 동작에 관한 조건 정보는 특정 동작에 의해 구독 대상 자원이 변화될 때 구독 대상 자원의 변화된 상태가 특정 상태와 매칭되는 경우 통지를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제2 조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건 정보는 제1 조건 정보와 더불어 구독 대상 동작이 수행된 경우 자원 상태를 확인하는 데 있어서 유용할 수 있다. 제2 조건 정보는 생성됨(Created)(또는 자식 자원 생성됨), 갱신됨(Updated), 삭제됨(Deleted)(또는 자식 자원 삭제됨)과 같은 자원의 상태를 나타내는 값 또는 스트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구독 대상이 삭제될 경우(Itself Deleted)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건 정보는 resourceStatus라는 이름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독 대상 동작에 관한 조건 정보는 구독 대상 동작의 수행 결과가 특정 값에 해당하는 경우 통지를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제3 조건 정보 및/또는 구독 자원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보낸 디바이스(또는 엔티티)의 식별 정보(예, URI, ID)가 특정 값 또는 스트링에 해당하는 경우 통지를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제4 조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조건 정보는 성공(예, Success, Okay, Okay and Done, Okay and Scheduled, Okay and In Progress 등) 또는 실패(예, Not okay) 또는 에러 코드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조건 정보는 정당한 권한을 가진 디바이스 또는 엔티티의 식별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호스팅 디바이스/엔티티는 제1 조건 정보와 제2 조건 정보가 동시에 필터링 속성으로 설정되는 것을 막을 수도 있으며, 또는 동시에 필터링 속성으로 설정될 경우, 동일한 동작에 대해 제1 조건 정보와 제2 조건 정보 설정 시 제2 조건 정보를 우선시하고 (제1 조건 정보를 무시하고) 해당 동작에 대해서는 제2 조건 정보 만족 시 통지하며, 특정 동작이 제1 조건 정보 또는 제2 조건 정보에만 설정되어 있을 시 특정 동작에 대해서는 설정되어 있는 특정 조건 정보(제1 조건 정보 또는 제2 조건 정보) 만족 시 통지한다.
구독 대상 동작에 관한 조건 정보는 구독 자원 생성 절차를 구독 자원이 생성/설정되는 디바이스(또는 그 안의 CSE)(또는 호스팅 디바이스/엔티티)에 전달되거나 혹은 구독 자원에 대한 갱신 절차를 통해 해당 디바이스/엔티티에 전달될 수 있다. 구독 자원 생성 절차 또는 갱신 절차에서는 구독 자원에 대한 요청이 전송될 수 있으며(도 9 참조), 구독 자원에 대한 요청(예, cn 정보에서)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정보와 별도로 구독 대상 동작에 대한 정보, 구독 대상 동작을 수행한 후 통지를 수행할 자원 상태에 관한 정보, 구독 대상 동작의 수행 결과, 구독 자원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보낸 디바이스(또는 엔티티)의 식별 정보(예, URI, I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독 대상 동작을 수행한 후 통지를 수행할 자원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생성됨(Created), 삭제됨(Deleted), 회수됨(Retrieved), 갱신됨(Updat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구독 대상 동작의 수행 결과는 성공(예, Success, Okay, Okay and Done, Okay and Scheduled, Okay and In Progress 등) 또는 실패(예, Not okay) 또는 에러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독 자원 생성 시 전달
본 발명에 따른 구독 대상 동작에 관한 조건 정보는 구독 자원의 생성 요청 메시지(예, CREATE request) 안의 특정 정보에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독 대상 동작에 관한 조건 정보는 생성 요청 메시지의 cn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혹은, 구독 자원 생성 요청 메시지를 보낸 디바이스(또는 엔티티)의 식별 정보는 생성 요청 메시지의 fr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구독 자원 갱신을 통해 전달
본 발명에 따른 구독 대상 동작에 관한 조건 정보는 구독 자원의 갱신 요청 메시지(예, UPDATE request) 안의 특정 정보에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독 대상 동작에 관한 조건 정보는 갱신 요청 메시지의 cn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혹은, 구독 자원 갱신 요청 메시지를 보낸 디바이스(또는 엔티티)의 식별 정보는 갱신 요청 메시지의 fr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수신자(예, 수신 디바이스 또는 엔티티)가 요청 메시지를 통해 구독 대상 동작에 관한 조건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자는 구독 자원 아래에 해당 조건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자는 구독 자원의 필터링 속성(예, filterCriteria)에 구독 대상 동작에 관한 조건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특정 동작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호스팅 디바이스 또는 엔티티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 정보(예, to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동작이 구독 대상 자원에 대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 정보가 구독 대상 자원의 URI에 해당하는 경우 구독 자원의 필터링 속성(예, filterCriteria)을 참조하여 구독 대상 동작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만일 구독 대상 동작에 해당하는 경우, 수신자는 통지 메시지를 구독 자원에 포함된 주소(예, notificationURI)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지 메시지는 예를 들어 구독 대상 동작, 구독 대상 동작을 수행한 후 자원 상태, 또는 구독 대상 동작의 수행 결과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독 대상 동작에 관한 (속성) 정보는 생성(Create), 삭제(Delete), 회수(Retrieve), 갱신(Update), 통지(Notif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구독 대상 동작을 수행한 후 자원 상태에 관한 (속성) 정보는 자식 자원 생성됨(Created), 자식 자원 삭제됨(Deleted), 갱신됨(Updated), 해당 자원 삭제됨(Itself Delet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구독 대상 동작의 수행 결과는 성공(예, Success, Okay, Okay and Done, Okay and Scheduled, Okay and In Progress 등) 또는 실패(예, Not okay) 또는 에러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 정보가 구독 대상 자원의 URI와 동일한 경우 또는 구독 대상 자원의 URI를 포함하는 경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 정보는 구독 대상 자원의 URI에 해당할 수 있으며, 구독 자원의 설정에 따라 특정 동작에 대한 구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구독(operation subscription) 방법을 예시한다. 도 12에서, 각 디바이스(910, 920, 930)는 AE 및/또는 CSE를 포함할 수 있고, 도 12의 각 단계들은 각 디바이스(910, 920, 930)에 포함된 AE 또는 CS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S1202 단계에서, 디바이스 1(910)은 디바이스 2(920)에게 구독 자원 생성을 위해 요청 메시지(예, CREATE request)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 메시지는 구독 대상 동작에 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이미 구독 자원이 생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구독 자원 중 필터링 속성을 갱신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예, UPDATE request)가 전송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청 메시지에 구독 대상 동작에 관한 (속성)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S1202 단계에서 구독 자원 생성을 위한 요청 메시지(예, CREATE request)를 수신하는 경우, 디바이스 2(920)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구독 자원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2(920)는 요청 메시지(예, CREATE request)의 to 정보에 포함된 구독 자원의 부모 URI를 참조하여 구독 자원을 생성하고 cn 정보에 포함된 속성 정보를 참조하여 구독 자원의 속성들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독 대상 동작에 관한 (속성) 정보는 구독 자원 아래의 필터링 속성(예, filterCriteria)에 설정될 수 있다.
S1202 단계에서 구독 자원 갱신을 위한 요청 메시지(예, UPDATE request)를 수신하는 경우, 디바이스 2(920)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구독 자원을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2(920)는 요청 메시지(예, UPDATE request)의 to 정보에 포함된 구독 자원의 URI를 참조하여 구독 자원의 위치를 파악하고 cn 정보에 포함된 구독 대상 동작에 관한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구독 자원의 필터링 속성(예, filterCriteria)을 갱신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 2(920)는 요청 메시지(예, UPDATE request)의 to 정보에 구독 자원의 필터링 속성의 URI가 포함되어 있고, cn에 전체 필터링 속성 또는 부분 필터링 속성이 포함되어 있으면 구독 자원의 필터링 속성(예, filterCriteria)을 갱신할 수 있다.
S1202 및 S1204 단계를 통해 디바이스 2(920)가 구독 대상 동작에 관한 (속성) 정보를 수신하면 디바이스 2(920)는 구독 대상 동작에 관한 (속성) 정보를 구독 자원의 필터링 속성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독 대상 동작에 관한 (속성) 정보가 구독 대상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디바이스 2(920)는 구독 자원의 필터링 속성에 제1 조건 정보(예, operationMonitor)를 추가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구독 대상 동작에 관한 (속성) 정보가 동작 수행 후 통지를 수행할 자원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디바이스 2(920)는 구독 자원의 필터링 속성에 제2 조건 정보(예, resourceStatus)를 추가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구독 대상 동작에 관한 (속성) 정보가 통지를 수행할 구독 대상 동작의 수행 결과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디바이스 2(920)는 구독 자원의 필터링 속성에 제3 조건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구독 대상 동작에 관한 (속성) 정보가 통지를 수행할 조건으로서 특정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디바이스 2(920)는 구독 자원의 필터링 속성에 제4 조건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그런 다음, S1206 단계에서 디바이스 2(920)는 특정 동작(예, Create, Retrieve, Update, Delete 등)의 수행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S1206 단계의 요청 메시지는 구독 대상 자원의 URI에 대응되는 제1 정보 및/또는 구독 대상 자원(또는 그 자식 자원)에 대해 수행될 동작을 지시하는 제2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1208 단계에서, 디바이스 2(920)는 통지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2(920)는 상기 제1 정보를 참조하여 구독 대상 자원이 구독 자원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 2(920)는 상기 제1 정보에 대응되는 구독 대상 자원이 구독 자원과 부모-자식 자원 관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 2(920)는 구독 자원의 필터링 속성이 동작 구독을 위한 조건 정보(예, 제1 내지 제4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 2(920)는 상기 제2 정보를 참조하여 구독 자원의 필터링 속성의 제1 조건 정보가 상기 제2 정보가 지시하는 동작에 대응되는 변수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동작에 의해 구독 대상 자원 또는 그 자식 자원의 상태가 변화되는 경우, 디바이스 2(920)는 구독 자원의 필터링 속성의 제2 조건 정보가 변화된 상태에 대응되는 변수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 2(920)는 디바이스 1(910)이 구독 대상 자원에 대해 회수 권한(retrieve permission)을 가지는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 1(910)과 디바이스 3(930)이 서로 다른 경우, 디바이스 2(920)는 디바이스 1(910)이 디바이스 3(930)으로 통지 메시지를 보낼 액세스 권한(access rights)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조건들을 판별하여 일부 또는 전부가 만족되는 경우, 디바이스 2(920)는 구독 자원에 설정된 주소 정보(예, notificationURI)가 가리키는 엔티티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1208 단계에서 조건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만족되는 경우, S1210 단계에서 디바이스 2(920)는 구독 자원에 설정된 주소 정보(예, notificationURI)가 가리키는 엔티티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예에서 구독 자원에 디바이스 3(930)(또는 그 안의 특정 엔티티 또는 자원)을 가리키는 URI가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통지 메시지는 디바이스 3(930)(또는 그 안의 특정 엔티티 또는 자원)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2의 예에서, 디바이스 1(910)과 디바이스 3(930)은 동일한 디바이스 또는 엔티티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디바이스 또는 엔티티일 수 있다.
S1210에서 전송되는 통지 메시지는 예를 들어 제1 조건 정보가 구독 자원의 필터링 속성에 추가되는 경우 구독 대상 동작에 관한 정보(예, S1206 단계의 제2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통지 메시지는 예를 들어 제2 조건 정보가 구독 자원의 필터링 속성에 추가되는 경우 구독 대상 동작을 수행한 후 자원 상태를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조건 정보/제4 조건 정보가 구독 자원의 필터링 속성에 추가되는 경우, 통지 메시지는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예시된 방법을 통해, 구독 대상 동작이 회수(Retrieve) 동작이어서 자원 상태의 변화가 없더라도, 통지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구독 대상 동작이 생성(Create) 동작인 경우, 구독 대상 자원 아래에서 구독 자원과 서로 다른 레벨에 있는 자원에 대한 생성인 경우에도 통지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구독 대상 동작이 삭제(Delete) 동작인 경우, 구독 대상 자원 전체가 삭제되는 경우에도 통지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동작을 구독하도록 구독 자원을 설정하더라도 구독 대상 자원의 상태 변화가 있는 경우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독 자원에 설정된 주소로 통지가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동작이 필터링 속성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도 구독 자원의 설정에 따라 통지가 전송될 수 있지만, 이 경우 통지 메시지는 구독 대상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정 동작이 필터링 속성을 만족하지 않고 구독 대상 자원의 상태 변화만 있는 경우, 통지 메시지는 구독 대상 자원의 변경 내용, 변경된 URI 또는 부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3의 예에서, CSEBase 자원(1320) 아래에 구독 자원(1350)이 생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구독 대상 자원은 CSEBase 자원(1320)이다. 또한, 필터링 속성(1352)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조건 정보와 제2 조건 정보가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필터링 속성(1352)에서 제2 조건 정보는 CREATED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구독 자원의 주소 정보(1354)는 스마트 그리드 관리 서버의 URI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13의 예에서, M2M 디바이스(910)는 스마트 미터기(smart meter)로서 동작하며 공통 서비스 계층이 없는 ADN(Application Dedicated Node)이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M2M 디바이스(910)는 제한된 능력을 가지며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관리할 수 없으며, M2M 디바이스(910)는 검침 데이터를 모두 M2M 게이트웨이(920)에 저장할 수 있다. M2M 디바이스(910)는 주기적으로 전력 사용량을 검침하여 해당 주기 동안 사용된 사용량을 저장하기 위해 M2M 게이트웨이(920)의 자신 애플리케이션 자원(1332) 아래에 속성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해 검침된 사용량을 저장하기 위해 smartMeterVal 속성(1340)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M2M 디바이스(910)는 생성 요청 메시지를 M2M 게이트웨이(9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생성 요청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op : 요청되는 동작을 가리키므로 C(Create)로 설정
- to : 생성 대상 자원의 부모 ID를 가리키므로 "CSEBase/smartMeterAE"로 설정
- fr : 생성 요청 메시지의 발신자 식별 정보를 가리키므로 "smartMeterAE"로 설정
- cn : 생성 대상 속성의 이름으로서 "smartMeterVal"과 데이터 "100"을 포함
M2M 게이트웨이(920)는 상기 생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앞서 설명된 절차에 따라 생성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smartMeterVal 속성(1340)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M2M 게이트웨이(920)는 to 정보를 참조하여 구독 대상 자원에 대한 동작임을 알 수 있고, 필터링 속성(1352)을 참조하여 필터링 속성(1352)에 제2 조건 정보가 CREATED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예에서, 생성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동작에 관한 정보(예, op)가 C(Create)로 설정되어 있고 생성 요청 메시지에 따라 smartMeterVal 속성(1340)이 성공적으로 생성되었으므로, M2M 게이트웨이(920)는 해당 동작이 필터링 속성을 만족한다고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M2M 게이트웨이(920)는 구독 자원에 설정된 주소 정보(1354)가 가리키는 스마트 그리드 관리 서버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지 메시지는 구독 대상 동작에 관한 정보(예, CREATE)와 해당 동작 수행 후의 자원 상태에 관한 정보(예, CREATED)를 포함할 수 있다.
M2M 디바이스(910)가 자원 생성 권한을 갖지 못하거나 smartMeterAE 자원(1332)에 대해 권한이 없는 경우에는 M2M 게이트웨이(920)가 해당 자원을 생성할 수 없으므로 통지는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M2M 디바이스(910)가 정당한 권한을 갖지 못하는 경우에도 구독 자원의 필터링 속성(1352)에 본 발명에 따른 제1 조건 정보만이 설정되어 있다면 통지는 발생될 수 있다.
한편, 구독 자원의 필터링 속성(1352)에 본 발명에 따른 제1 조건 정보와 제2 조건 정보가 모두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smartMeterVal 속성(1340)이 성공적으로 생성되더라도 (액세스 권한 문제 등으로 인해) 구독 자원(1350)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자원의 변화이므로 통지는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 그리드 관리 서버는 스마트 미터(910)에 의해 생성된 검침 정보를 즉각적으로 알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제1 조건 정보와 제3 조건 정보의 조합을 통해 구독 대상 자원에 대해 제1 조건 정보에서 명시한 동작에 대해 제3 조건 정보에서 명시한 수행 결과 또는 실패에 대해서 조건 만족 시 통지할 수 있다. 물론 제4 조건 정보의 조합을 통해서는 제4 조건 정보에서 명시한 발신자 조건이 만족 시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조건 정보 및/또는 제2 조건 정보는 표 2에 예시된 속성들과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건 정보가 리소스 타입과 관련된 조건 정보(예, resourceType)와 함께 설정되는 경우, 특정 리소스 타입에 대한 동작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건 정보가 CREATE로 설정되고 리소스 타입과 관련된 조건 정보(예, resourceType)가 <application> 또는 <AE>로 설정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엔티티 리소스 타입(<application> 또는 <AE>)의 인스턴스가 생성되는 경우 통지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조건 정보가 특정 리소스의 라벨과 관련된 조건 정보(예, labels)와 함께 설정되는 경우, 해당 라벨을 가지는 리소스에 대한 동작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조건 정보가 특정 콘텐츠 타입과 관련된 조건 정보(예, contentType)와 함께 설정되는 경우, 해당 콘텐츠 타입을 가지는 리소스에 대한 동작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조건 정보(예, resourceStatus)도 표 2에 예시된 속성들과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건 정보가 리소스 타입과 관련된 조건 정보(예, resourceType)와 함께 설정되는 경우, 특정 리소스 타입과 관련된 동작의 결과가 제2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조건 정보가 특정 리소스의 라벨과 관련된 조건 정보(예, labels)와 함께 설정되는 경우, 해당 라벨을 가지는 리소스에 대한 동작의 결과가 제2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조건 정보가 특정 콘텐츠 타입과 관련된 조건 정보(예, contentType)와 함께 설정되는 경우, 해당 콘텐츠 타입을 가지는 리소스에 대한 동작의 결과가 제2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예시되지 않았지만, 표 2에 예시된 조건 정보와 본 발명에 따른 조건 정보(예, 제1 내지 제4 조건 정보)를 결합하여 다른 동작을 모니터링하도록 필터링 속성(예, filterCriteria)에 설정할 수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구독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 자원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동작에 대해서도 구독이 가능하다. 따라서, DDOS 공격과 같은 악의적 공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 실행되지 않는 명령에 대해서도 구독이 가능하므로, 특정 디바이스의 액세스 권한 설정 오류 또는 악의적 시도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 동작 구독을 통해 특정 동작을 추적(track)할 수 있으므로 특정 자원에 대해 어떤 동작이 수행되는지에 대한 통계 정보를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 자원 변화 뿐만 아니라 특정 동작에 대한 조건을 추가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통지 메시지를 줄이고 관심 있는 통지 메시지만을 선별적으로 구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 동작 구독을 통해 실시간으로 자원/속성에 대한 정보를 갱신할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작 구독 방식은 매우 유리한 효과를 제공하므로 강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구독 방식에 대해 적용될 수 있는 액세스 제어(access control) 방법을 설명한다.
1. 회수(retrieve) 동작에 대해 액세스 권한(access right)이 있을 경우 동작 구독이 가능하다.
2. 특정 동작에 대한 구독 시 해당 동작에서 사용하는 액세스 권한(access right) 값과 서로 다른 액세스 권한(access right)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 회수를 위한 액세스 권한 값과 회수 동작 구독을 위한 액세스 권한 값을 서로 다르게 사용할 수 있다.
3. 특정 동작 구독 시 해당 동작에 대해 액세스 권한(access right)이 있을 경우 해당 동작에 대한 구독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자원을 생성할 수 있는 액세스 권한이 있는 경우 생성 동작에 대한 구독이 가능하다.
Notification을 전송하는데 있어서, 전송하는 자원에 retrieve 권한이 있을 경우 notification을 보내고, retrieve 권한이 없을 경우에는 notification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장치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M2M 게이트웨이, M2M 서버 또는 M2M 디바이스는 각각 전송장치(10) 또는 수신장치(20)로 동작할 수 있다.
전송장치(10)와 수신장치(20)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 신호, 메시지 등을 나르는 무선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는 RF(Radio Frequency) 유닛(13, 23)과, 무선통신 시스템 내 통신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2, 22), 상기 RF 유닛(13, 23) 및 메모리(12, 22)등의 구성요소와 동작시 연결(operatively connected)되고,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해당 장치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메모리(12, 22) 및/또는 RF 유닛(13,23)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11, 21)를 각각 포함한다.
메모리(12, 22)는 프로세서(11, 21)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 22)가 버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 22)는 각종 설정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하는 리소스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1, 21)는 통상적으로 전송장치 또는 수신장치 내 각종 모듈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11, 21)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 21)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프로세서(11, 21)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또는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등이 프로세서(11, 21)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11, 21) 내에 구비되거나 메모리(12, 22)에 저장되어 프로세서(11, 21)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전송장치(10)의 프로세서(11)는 상기 프로세서(11) 또는 상기 프로세서(11)와 연결된 스케줄러로부터 스케줄링되어 외부로 전송될 신호 및/또는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부호화(coding) 및 변조(modulation)를 수행한 후 RF 유닛(13)에 전송한다. 수신장치(20)의 신호 처리 과정은 전송장치(10)의 신호 처리 과정의 역으로 구성된다. 프로세서(21)의 제어 하에, 수신장치(20)의 RF 유닛(23)은 전송장치(10)에 의해 전송된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프로세서(21)는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복호(decoding) 및 복조(demodulation)를 수행하여, 전송장치(10)가 본래 전송하고자 했던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RF 유닛(13, 23)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한다. 안테나는, 프로세서(11, 21)의 제어 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RF 유닛(13, 23)에 의해 처리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RF 유닛(13, 23)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4에서 송신장치와 수신장치가 각각 RF 유닛을 통해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송신장치와 수신장치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RF 유닛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유닛(network interface unit, NIU)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고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 또는 명령어(instruction)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 또는 명령어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때 본 발명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거나 원격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단말, 서버, 게이트웨이 등과 같은 통신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6)

  1. 제2 자원이 제1 자원의 부모 자원에 해당하도록 구성된 M2M(Machine-to-Machine)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자원의 필터링 속성에 제1 조건 정보를 추가하는 단계;
    상기 제2 자원에 대응되는 주소를 지시하는 제1 정보와 상기 M2M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동작을 지시하는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제1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자원에 설정된 주소 정보가 가리키는 제2 엔티티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소정의 조건은 다음 (1)의 조건을 포함하며,
    (1) 상기 제1 자원의 필터링 속성이 상기 제1 조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이 상기 제2 자원을 액세스(access)하는 경우, 상기 동작이 상기 제1 조건 정보의 값과 매칭(matching)될 것,
    상기 동작은 회수(retrieval)에 해당하고,
    상기 제1 자원과 상기 제2 자원 각각은 고유한 주소를 이용하여 고유하게 어드레싱 가능한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 정보는 상기 동작이 수행되는지 여부와 관계 없이 상기 동작이 시도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동작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2 조건 정보를 상기 제1 자원의 필터링 속성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조건은 다음 (2)의 조건을 더 포함하는,
    (2) 상기 제1 자원의 필터링 속성이 상기 제2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자원 또는 상기 제2 자원의 자식 자원이 변화될 때, 상기 제2 자원 또는 상기 제2 자원의 자식 자원의 변화된 상태가 상기 제2 조건 정보의 값과 매칭될 것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 정보가 상기 제1 자원의 필터링 속성에 추가되는 경우,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변화된 상태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다음 조건 (3) 내지 (4)를 더 포함하며,
    (3)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제2 엔티티가 상기 제2 자원에 대해 회수 권한(retrieve permission)을 가질 것,
    (4) 상기 제1 엔티티와 상기 제2 엔티티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제1 엔티티가 상기 제2 엔티티로 통지 메시지를 보낼 액세스 권한(access rights)를 가질 것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은 구독을 위한 자원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자원은 구독 대상 자원에 해당하는, 방법.
  9. 제2 자원이 제1 자원의 부모 자원에 해당하도록 구성된 M2M(Machine-to-Machine)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M2M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유닛(Network Interface Unit);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자원의 필터링 속성에 제1 조건 정보를 추가하고,
    상기 제2 자원에 대응되는 주소를 지시하는 제1 정보와 상기 M2M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동작을 지시하는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제1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자원에 설정된 주소 정보가 가리키는 제2 엔티티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정의 조건은 다음 (1)의 조건을 포함하며,
    (1) 상기 제1 자원의 필터링 속성이 상기 제1 조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이 상기 제2 자원을 액세스(access)하는 경우, 상기 동작이 상기 제1 조건 정보의 값과 매칭(matching)될 것,
    상기 동작은 회수(retrieval)에 해당하고,
    상기 제1 자원과 상기 제2 자원 각각은 고유한 주소를 이용하여 고유하게 어드레싱 가능한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M2M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 정보는 상기 동작이 수행되는지 여부와 관계 없이 상기 동작이 시도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되는, M2M 디바이스.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동작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M2M 디바이스.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2 조건 정보를 상기 제1 자원의 필터링 속성에 추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정의 조건은 다음 (2)의 조건을 더 포함하는,
    (2) 상기 제1 자원의 필터링 속성이 상기 제2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자원 또는 상기 제2 자원의 자식 자원이 변화될 때, 상기 제2 자원 또는 상기 제2 자원의 자식 자원의 변화된 상태가 상기 제2 조건 정보의 값과 매칭될 것인,
    M2M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 정보가 상기 제1 자원의 필터링 속성에 추가되는 경우,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변화된 상태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M2M 디바이스.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다음 조건 (3) 내지 (4)를 더 포함하며,
    (3)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제2 엔티티가 상기 제2 자원에 대해 회수 권한(retrieve permission)을 가질 것,
    (4) 상기 제1 엔티티와 상기 제2 엔티티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제1 엔티티가 상기 제2 엔티티로 통지 메시지를 보낼 액세스 권한(access rights)를 가질 것인, M2M 디바이스.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은 구독을 위한 자원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자원은 구독 대상 자원에 해당하는, M2M 디바이스.
KR1020157030666A 2013-05-16 2014-05-16 M2m 통신 시스템에서 구독 및 통지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14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23913P 2013-05-16 2013-05-16
US61/823,913 2013-05-16
US201361845351P 2013-07-11 2013-07-11
US61/845,351 2013-07-11
US201461937629P 2014-02-10 2014-02-10
US61/937,629 2014-02-10
PCT/KR2014/004429 WO2014185754A1 (ko) 2013-05-16 2014-05-16 M2m 통신 시스템에서 구독 및 통지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526A KR20160008526A (ko) 2016-01-22
KR102214073B1 true KR102214073B1 (ko) 2021-02-09

Family

ID=51898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666A KR102214073B1 (ko) 2013-05-16 2014-05-16 M2m 통신 시스템에서 구독 및 통지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00728B2 (ko)
EP (1) EP2999185B1 (ko)
JP (1) JP6240312B2 (ko)
KR (1) KR102214073B1 (ko)
CN (1) CN105210344B (ko)
WO (1) WO201418575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5370B1 (en) 2021-07-27 2022-03-01 Bank Of America Corporation Machine to machine (M2M) data transfer between data servers
US11784981B2 (en) 2021-06-04 2023-10-10 Bank Of America Corporation Data processing transactions using machine to machine (M2M) data transfer
US11792165B2 (en) 2021-06-04 2023-10-17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upporting data processing transactions using machine to machine (M2M) data transf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8800B (zh) * 2013-12-05 2017-11-03 华为技术有限公司 订阅通知的实现方法和装置
KR101453372B1 (ko) * 2014-04-15 2014-10-22 주식회사 스마티랩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간 이질적 데이터 교환 방식의 중재 시스템
CN105101040A (zh) * 2014-05-05 2015-11-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资源的创建方法及装置
CN105100002B (zh) * 2014-05-05 2019-05-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属性的操作方法及装置
CN105592400A (zh) * 2014-10-24 2016-05-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专有节点的注册方法、通信方法和节点
CN105744460A (zh) * 2014-12-09 2016-07-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应用通告资源的创建方法及装置
US11134365B2 (en) 2014-12-29 2021-09-28 Convida Wireless, Llc Resource link management at service layer
WO2016115130A1 (en) * 2015-01-15 2016-07-21 Servicenow, Inc. Related table notifications
CN106162715A (zh) * 2015-04-28 2016-11-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监控管理方法及装置
EP3298806B1 (en) * 2015-05-20 2019-10-16 Convida Wireles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analyzing and grouping service layer subscriptions and notifications for enhanced efficiency
US10070411B2 (en) * 2015-06-15 2018-09-04 Intel Corporation Batch notification in oneM2M environments
WO2017004391A1 (en) * 2015-07-02 2017-01-05 Convida Wireless, Llc Content security at service layer
EP3353993B1 (en) * 2015-09-23 2023-09-06 Convida Wireless, LLC Enhanced restful operations
EP3340563B1 (en) 2015-10-26 2020-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systems
CN108353263B (zh) * 2015-10-30 2021-02-09 Lg 电子株式会社 处理无线通信系统中的服务请求的方法及其设备
WO2017082506A1 (ko) * 2015-11-09 2017-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지 수신 중단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418549B2 (en) * 2015-12-21 2022-08-1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Internet protocol (IP) multimedia subsystem (IMS) level awareness of high latency device
WO2017155162A1 (ko) * 2016-03-07 2017-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근 제어 정책 자원을 어나운스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7175954A1 (ko) * 2016-04-05 201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자원에 대한 구독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7317785B (zh) * 2016-04-26 2021-04-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应用实体创建资源和注册方法、通信节点设备及终端设备
KR102169930B1 (ko) 2016-05-05 2020-10-26 한국전자기술연구원 M2M/IoT 플랫폼에서의 시맨틱 정보 관리 방법
WO2017195964A1 (ko) * 2016-05-11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콜렉션 패턴을 적용한 어드레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7426667B (zh) * 2016-05-24 2021-08-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资源属性的更新方法及装置、CSE、oneM2M系统
CN107567006A (zh) * 2016-06-30 2018-01-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M2m应用的信息方法、cse及ae
JP6741853B2 (ja) 2016-07-14 2020-08-19 コンヴィーダ ワイヤレス, エルエルシー サブスクリプションおよび通知サービス
CN107666432A (zh) 2016-07-29 2018-02-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进行通知的方法、装置和系统
CN108112007B (zh) * 2016-11-25 2020-08-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信息通知方法、装置及系统
KR102214185B1 (ko) * 2016-11-29 2021-02-09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자원 획득 방법
CN108235281B (zh) * 2016-12-12 2023-09-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应用实体创建资源和注册方法、通信节点设备及终端设备
WO2018182065A1 (ko) * 2017-03-30 2018-10-04 전자부품연구원 M2m 시스템에서 다중 리소스 구독 연관 방법
JP6848678B2 (ja) * 2017-05-19 2021-03-24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データ処理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3162996B (zh) 2017-06-02 2023-03-24 华为技术有限公司 服务发现的方法、注册中心和设备
CN109451793B (zh) * 2017-06-30 2021-11-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实现网络边缘计算的方法及装置
KR101852727B1 (ko) * 2017-07-28 2018-04-27 전자부품연구원 크로스-리소스 구독 관리 방법
CN109495524B (zh) * 2017-09-11 2022-03-04 华为云计算技术有限公司 一种物联网资源订阅的方法、设备和系统
US11523412B2 (en) * 2017-11-17 2022-12-06 Qualcomm Incorporated UE processing time for UCI multiplexing
KR102260656B1 (ko) * 2018-03-15 2021-06-04 한국전자기술연구원 M2m 시스템에서의 통지 메시지 실시간 전달 방법
JP7032970B2 (ja) * 2018-03-28 2022-03-09 京セラ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モジュール、サーバ、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465844B1 (ko) * 2018-07-02 2022-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2m 시스템에서 통지 실패시 통지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65843B1 (ko) * 2018-07-10 2022-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2m 시스템에서 누적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858833B (zh) 2018-08-22 2022-09-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访问控制策略配置方法、装置和系统以及存储介质
KR102598045B1 (ko) * 2019-02-11 2023-1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구독 및 통지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629018B (zh) * 2019-02-28 2022-07-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资源同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875209A (zh) * 2019-05-13 2021-12-3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在m2m系统中删除资源的方法和装置
KR20210041488A (ko) * 2019-10-07 2021-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2m 시스템에서 주기적인 통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03617A (ko) * 2021-01-15 2022-07-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2m 시스템에서 구독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28911A1 (en) 2009-11-23 2011-06-0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registration
US20110213871A1 (en) 2010-03-01 2011-09-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achine-to-machine gateway architecture and functionality
US20120281649A1 (en) 2011-05-05 2012-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twork access method an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922B1 (ko) 2010-03-05 2018-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1108891A2 (ko) 2010-03-05 2011-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10231497A1 (en) * 2010-03-18 2011-09-22 Tovar Tom 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notification of access and use of the internet
CN102255931B (zh) 2010-05-21 2017-04-05 山东金佳园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物联网架构下统一的通知方法及系统
US9210527B2 (en) 2010-07-13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form machine-to-machine addressing
US8416741B2 (en) 2010-09-07 2013-04-0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s over fixed wireless networks
US20150055557A1 (en) * 2012-03-22 2015-02-2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achine-to-machine caching at a service capability layer
WO2014037054A1 (en) * 2012-09-10 2014-03-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machine to machine (m2m) service provider networks
EP2995100B1 (en) * 2013-05-06 2021-07-28 Convida Wireless, LLC Semantics support and management in m2m syste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28911A1 (en) 2009-11-23 2011-06-0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registration
US20110213871A1 (en) 2010-03-01 2011-09-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achine-to-machine gateway architecture and functionality
US20120281649A1 (en) 2011-05-05 2012-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twork access method and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4981B2 (en) 2021-06-04 2023-10-10 Bank Of America Corporation Data processing transactions using machine to machine (M2M) data transfer
US11792165B2 (en) 2021-06-04 2023-10-17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upporting data processing transactions using machine to machine (M2M) data transfer
US11265370B1 (en) 2021-07-27 2022-03-01 Bank Of America Corporation Machine to machine (M2M) data transfer between data serv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9185A1 (en) 2016-03-23
US9900728B2 (en) 2018-02-20
US20160088420A1 (en) 2016-03-24
JP2016526322A (ja) 2016-09-01
JP6240312B2 (ja) 2017-11-29
WO2014185754A1 (ko) 2014-11-20
EP2999185A4 (en) 2016-12-14
EP2999185B1 (en) 2019-08-07
KR20160008526A (ko) 2016-01-22
CN105210344B (zh) 2018-09-18
CN105210344A (zh)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4073B1 (ko) M2m 통신 시스템에서 구독 및 통지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883400B2 (en) Method for subscription and notification in M2M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JP6254702B2 (ja) M2mシステムにおける通知メッセージ伝達方法及びこのための装置
KR101740449B1 (ko) M2m(machine-to-machine)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 변경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82167B1 (ko) M2m 서비스 설정 변경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689614B1 (ko) M2m 시스템에서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8886531B (zh) 使用服务层能力进行网络和应用管理
US10721313B2 (en) Method for processing service reques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11095904A (zh) 通信网络中的服务层消息模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