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045B1 - 구독 및 통지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구독 및 통지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045B1
KR102598045B1 KR1020190015652A KR20190015652A KR102598045B1 KR 102598045 B1 KR102598045 B1 KR 102598045B1 KR 1020190015652 A KR1020190015652 A KR 1020190015652A KR 20190015652 A KR20190015652 A KR 20190015652A KR 102598045 B1 KR102598045 B1 KR 102598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ption
cross
notification
resource
condi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8046A (ko
Inventor
나영진
이민병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5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045B1/ko
Priority to CN202080013622.1A priority patent/CN113412634A/zh
Priority to PCT/KR2020/001882 priority patent/WO2020166927A1/ko
Priority to US17/426,280 priority patent/US11937206B2/en
Priority to EP20756307.3A priority patent/EP3908016A4/en
Publication of KR20200098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5Transfer to or from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차 리소스에 기초하여 호스트가 구독자에게 통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통지를 전송하는 방법은 교차 리소스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구독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복수 개의 구독 조건 각각을 만족하는 각각의 이벤트를 디텍트하는 단계 및 복수 개의 구독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 교차 리소스에 대한 통지를 구독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구독 조건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구독 및 통지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UBSCRIPTION AND NOTIFICATION}
본 발명은 시스템에서 구독 및 통지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M2M(Machine-to-Machine) 시스템에서 구독 및 통지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M2M(Machine-to-Machine) 시스템에 대한 도입이 활발해지고 있다. M2M 통신은 사람의 개입 없이 기계(Machine)와 기계 사이에 수행되는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M2M은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IoT(Internet of Things) 또는 D2D(Device-to-Device)를 지칭할 수 있다. 다만,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M2M로 통일하게 지칭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M2M 통신에 사용되는 단말은 M2M 단말(M2M device)일 수 있다. M2M 단말은 일반적으로 적은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낮은 이동성을 갖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때, M2M 단말은 기계 간 통신 정보를 중앙에서 저장하고 관리하는 M2M 서버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M2M 단말은 사물 추적, 자동차 연동, 전력 계량 등과 같이 다양한 시스템에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M2M 단말과 관련하여, 다양한 표준화 기구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은 시스템에서 구독 및 통지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시스템에서 교차 구독에 기초하여 통지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시스템에서 교차 구독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구독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시스템에서 교차 구독의 만료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차 리소스에 기초하여 호스트가 구독자에게 통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통지를 전송하는 방법은 교차 리소스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구독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복수 개의 구독 조건 각각을 만족하는 각각의 이벤트를 디텍트하는 단계 및 복수 개의 구독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 교차 리소스에 대한 통지를 구독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구독 조건은 우선 순위를 갖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교차 리소스에 기초하여 구독자에게 통지를 전송하는 호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호스트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교차 리소스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구독 조건을 설정하고, 복수 개의 구독 조건 각각을 만족하는 각각의 이벤트를 디텍트하고, 복수 개의 구독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 교차 리소스에 대한 통지를 구독자에게 전송하되, 복수 개의 구독 조건은 우선 순위를 갖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교차 리소스에 기초하여 구독자가 호스트로부터 통지를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통지를 수신하는 방법은 복수 개의 구독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 교차 리소스에 대한 통지를 호스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통지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호스트는 교차 리소스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구독 조건을 설정하고, 호스트가 복수 개의 구독 조건 각각을 만족하는 각각의 이벤트를 디텍트하면 구독자로 통지를 전송하되, 복수 개의 구독 조건은 우선 순위를 갖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교차 리소스에 기초하여 호스트로부터 통지를 수신하는 구독자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구독자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복수 개의 구독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 교차 리소스에 대한 통지를 호스트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통지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호스트는 교차 리소스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구독 조건을 설정하고, 호스트가 복수 개의 구독 조건 각각을 만족하는 각각의 이벤트를 디텍트하면 구독자로 통지를 전송하되, 복수 개의 구독 조건은 우선 순위를 갖을 수 있다.
또한, 다음의 사항들은 통지를 전송하는 호스트 및 통지를 수신하는 구독자에 대해서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구독 조건 각각을 만족하는 각각의 이벤트가 타임 윈도우 내에 디텍트되는 경우에만 교차 리소스에 대한 통지를 구독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임 윈도우는 복수 개의 구독 조건 중 어느 하나의 구독 조건에 대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시작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구독 조건에 우선 순위가 설정된 경우, 복수 개의 구독 조건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구독 조건에 대한 이벤트가 디텍트되는 경우에만 타임 윈도우가 시작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구독 조건에 대한 이벤트가 디텍트되어 타임 윈도우가 시작된 경우, 타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 동안 내에 복수 개의 구독 조건이 만족되면 교차 리소스에 대한 통지를 구독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호스트는 복수 개의 구독 조건 각각에 대한 단일 리소스를 각각의 M2M 엔티티에 요청하고, 각각의 M2M 엔티티들은 각각의 구독 조건에 기초하여 이벤트가 트리거링되면 단일 리소스에 기초하여 각각의 통지를 호스트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호스트가 타임 윈도우 내에 각각의 M2M 엔티티로부터 각각의 통지를 수신하는 경우, 호스트는 교차 리소스에 대한 통지를 구독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교차 리소스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구독 조건이 설정되는 경우, 교차 리소스에 대한 만료 카운터(expirationCounter)가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구독 조건이 설정되기 전에 복수 개의 구독 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관련된 선행 구독이 존재하는 경우, 선행 구독에 대한 만료 카운터(expirationCounter)는 교차 리소스에 대한 만료 카운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행 구독에 대한 만료 카운터는 교차 구독에 대한 만료 카운터로 재작성(Rewrite)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행 구독에 대한 만료 카운터가 교차 구독에 대한 만료 카운터보다 작은 경우에만 교차 구독에 대한 만료 카운터로 재작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행 구독에 대한 만료 카운터가 교차 리소스에 대한 만료 카운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되는 경우, 선행 구독에 대한 현재 통지 발행 수는 리셋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행 구독에 대한 현재 통지 발행 수에 기초하여 남은 통지 수가 교차 리소소의 만료 카운터보다 작은 경우에만 선행 구독에 대한 현재 통지 발행 수가 리셋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시스템에서 구독 및 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시스템에서 교차 구독에 기초하여 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시스템에서 교차 구독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구독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시스템에서 교차 구독의 만료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M2M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M2M 시스템의 계층 구조(layered structure)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각 엔티티 간의 통신 흐름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M2M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송신자와 수신자가 메시지를 교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구독 리소스에 대한 속성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교차 리소스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교차 리소스 구독에 대한 속성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구독 및 통지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구독 및 통지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교차 리소스에 대한 만료 카운터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디바이스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디바이스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일 예로, 본 발명에서 시스템이라 함은 IoT(Internet of Things)를 활용한 시스템, M2M(Machine To Machine)을 활용하는 시스템 등일 수 있다. 또한, 그 밖에도 본 발명에 기초한 동작이 적용되는 시스템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시스템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는 M2M 통신에 기초한 네트워크에 대해 설명하며, M2M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M2M 단말은 M2M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으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고려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일 수 있다. 즉, M2M 단말은 M2M 통신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동작될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으나, M2M 통신 네트워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2M 단말은 다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M2M 통신에 사용되는 단말을 M2M 디바이스(M2M device)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때, M2M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낮은 이동성(low mobility), 시간 내성(time tolerant) 또는 지연 내성(delay tolerant), 작은 데이터 전송(small data transmission)등과 같은 특성을 가지며, 기계 간 통신 정보를 중앙에서 저장하고 관리하는 M2M 서버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M2M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 연결되면, 통신 방식이 변경되는 구간에서 M2M 게이트웨이를 통해 M2M 디바이스와 M2M 서버가 연결되며, 이를 통해 전체 M2M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해당 시스템을 기반으로 교통분야 서비스 (예,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운송안전 서비스 등), 사물 추적(Tracking), 전력 계량(Metering), 자동 지불 시스템(Payment), 의료 분야 서비스, 원격 조정 등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M2M 디바이스는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2M 서버와 통신하여 사용자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M2M 디바이스는 단말(Terminal Equipment),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 Station), 무선 장치(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 장치(handheld 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M2M 서버는 M2M통신을 위한 서버를 지칭하며 고정국(fixed station) 또는 이동국(mobile station)으로 구현될 수 있다. M2M 서버는 M2M 디바이스들 및/또는 다른 M2M 서버와 통신하여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M2M 게이트웨이는 M2M 디바이스가 연결된 네트워크와 M2M 서버가 연결된 네트워크가 서로 다른 경우,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연결점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M2M 게이트웨이는 M2M 디바이스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외에 예를 들어 M2M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M2M 디바이스를 관리하거나, 하나의 메시지를 수신하여 연결된 M2M 디바이스들에게 동일 또는 변경된 메시지를 전달하거나(message fan out), 메시지를 집적(message aggregation)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M2M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M2M 게이트웨이와 M2M 서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M2M 게이트웨이와 M2M 서버는 M2M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엔티티(entity)”라는 용어는 M2M 디바이스, M2M 게이트웨이, M2M 서버와 같은 하드웨어를 지칭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M2M 어플리케이션 계층과 M2M (공통) 서비스 계층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software component)를 지칭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M2M 시스템을 중심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M2M 시스템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서버(또는 송신자-응답자(sender-responder)) 모델에 따른 시스템에도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M2M 시스템을 도시한다.
M2M 시스템은 다양한 M2M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위한 공통 M2M 서비스 프레임워크(Service Framework)를 정의한다. M2M 어플리케이션(10)은 e헬스(e-Health), 도시 자동화(City Automation), 커넥티드 컨슈머(Connected Consumer), 오토모티브(Automotive)와 같은 M2M 서비스 솔루션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software component)를 지칭할 수 있다. M2M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M2M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해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능들을 제공되며,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능들은 M2M 서비스 또는 M2M 공통 서비스라고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M2M 공통 서비스를 이용하면 각 M2M 어플리케이션마다 기본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다시 구성할 필요 없이 M2M 어플리케이션이 쉽게 구현될 수 있다.
M2M 서비스는 서비스 능력(Service Capability, SC; 20)의 집합 형태로 제공되며, M2M 어플리케이션(10)은 오픈 인터페이스(open interface)를 통해 SC(Service Capability)의 집합 또는 SC(Service Capability)에 접근하여 SC(Service Capability)가 제공하는 M2M 서비스 또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M2M 서비스 능력(20)은 M2M 서비스를 구성하는 기능(예, 디바이스 관리, 위치, 발견, 그룹 관리, 등록, 보안 등)을 제공할 수 있고, SC 계층(Service Capabilities Layer) 또는 SC 엔티티(Service Capability Entity)는 M2M 어플리케이션이 서비스 프레임워크 상에서 제공될 때 사용할 수 있는 M2M 서비스를 위한 기능(function)들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SC(Service Capability)는 xSC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x는 N/G/D 중의 하나로 표현될 수 있으며, SC(Service Capability)가 네트워크(Network)(및/또는 서버), 게이트웨이(Gateway), 디바이스(Device) 중 어디에 존재하는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NSC는 네트워크 및/또는 서버 상에 존재하는 SC(Service Capability)를 나타내고, GSC는 게이트웨이 상에 존재하는 SC(Service Capability)를 나타낸다.
M2M 어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또는 디바이스 상에 존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거나 서버와 직접 연결되어 존재하는 M2M 어플리케이션은 M2M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M2M Network Application)라고 지칭되며 간략히 NA(Network Application)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NA는 서버에 직접 연결되어 구현되는 소프트웨어이며, M2M 게이트웨이 또는 M2M 디바이스와 통신하고 이들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 상에 존재하는 M2M 어플리케이션은 M2M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M2M Device Application)이라고 지칭되며 간략히 DA(Device Application)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DA는 M2M 디바이스에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이며, 센서 정보 등을 NA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 상에 존재하는 M2M 어플리케이션은 M2M 게이트웨이 어플리케이션(Gateway Application)이라고 지칭되며 간략히 GA(Gateway Application)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GA는 M2M 게이트웨이를 관리하는 역할도 할 수 있고 DA에게 M2M 서비스 또는 기능(예, SCs(Service Capabilities) 또는 SC(Service Capability))를 제공할 수도 있다. M2M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엔티티(AE)와 어플리케이션 계층을 통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M2M 시스템 아키텍처는 네트워크 도메인(10)과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 도메인(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네트워크 도메인은 M2M 시스템 관리를 위한 기능(function) (11)들과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기능(function)(12)들을 포함할 수 있다. M2M 시스템 관리를 위한 기능은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 도메인에 존재하는 디바이스들을 관리하는 M2M 어플리케이션과 M2M SCs(Service Capabilities)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기능은 코어 네트워크와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예에서, 코어 네트워크(13)와 액세스 네트워크(14)는 M2M 기능을 수행한다기보다는 각 엔티티들 간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3)와 액세스 네트워크(14)를 통해 네트워크 도메인(10)과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 도메인(20)에서 M2M SCs(Service Capabilities) 간에 M2M 통신이 수행될 수 있으며, 각 도메인의 M2M 어플리케이션은 각 도메인의 M2M SCs(Service Capabilities)를 통해 신호 또는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 14)는 M2M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 도메인이 코어 네트워크(13)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엔티티이다. 액세스 네트워크(14)의 예로는 xDSL(Digital Subscriber Line), HFC(Hybrid Fiber Coax), 위성(satellite), GERAN, UTRAN, eUTRAN, 무선(Wireless) LAN, WiMAX 등이 있다.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13)는 IP(Internet Protocol) 연결, 서비스와 네트워크 제어, 상호연결, 로밍(roaming)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엔티티일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3)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코어 네트워크, ETSI TISPAN(Telecommunications and Internet converged Services and Protocols for Advanced Networking) 코어 네트워크와 3GPP2 코어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M2M SC(Service Capability) (15)는 여러 M2M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들에서 공유될 수 있는 M2M 공통 서비스 기능 (Common Service Function, CSF)을 제공하고 M2M 서비스를 오픈 인터페이스(open interface)를 통해 노출하여 M2M 어플리케이션(16)들이 M2M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M2M SCL(Service Capability Layer)은 이러한 M2M SC 엔티티들 또는 M2M 공통 서비스 기능들을 포함하는 계층을 지칭할 수 있다.
M2M 어플리케이션(16)은 서비스 로직(service logic)을 동작시키고, 오픈 인터페이스를 통해 M2M SCs(Service Capabilities)를 사용할 수 있는 엔티티이다. M2M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이러한 M2M 어플리케이션 및 관련 동작 로직(operational logic)을 포함하는 계층을 지칭할 수 있다.
M2M 디바이스(21)는 M2M SCs(Service Capabilities)를 통해 M2M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엔티티이다. M2M 디바이스(21)는 직접 네트워크 도메인의 M2M 서버와 통신할 수도 있으며, M2M 게이트웨이(22)를 통해서 네트워크 도메인의 M2M 서버와 통신할 수도 있다. M2M 게이트웨이(22)를 통해서 연결될 경우에는 M2M 게이트웨이(22)는 프록시(proxy)와 같이 동작한다. M2M 디바이스(21)는 M2M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M2M SCs(Service Capabilities)를 포함할 수 있다.
M2M 영역 네트워크(M2M area network) (23)는 M2M 디바이스와 M2M 게이트웨이 간의 연결(connectivity)을 제공한다. 이 경우, M2M 게이트웨이와 M2M 서버 간 네트워크와 M2M 디바이스와 M2M 게이트웨이 간 네트워크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M2M 영역 네트워크는 IEEE802.15.1,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IETF ROLL, ISA100.11a와 같은 PAN(Personal Area Network) 기술과 PLC(Power Line Communication), M-BUS, 무선 M-BUS, KNX와 같은 로컬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M2M 게이트웨이(22)는 M2M SCs(Service Capabilities)를 통해 M2M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고 M2M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엔티티일 수 있다. M2M 게이트웨이(22)는 M2M 디바이스(21)와 네트워크 도메인(10)간의 프록시 역할을 수행하고 비-호환(non-compliant) M2M 디바이스에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M2M 게이트웨이(22)는 M2M 디바이스(21)들 중 게이트웨이 기능을 갖는 엔티티를 지칭할 수 있다. M2M 게이트웨이(22)는 M2M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M2M SCs(Service Capabilities)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M2M 시스템 아키텍처는 예시에 불과하고 각 엔티티의 명칭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M2M SC(Service Capability)는 M2M 공통 서비스 기능(common service function, CSF)으로 지칭될 수 있고, SCL(Service Capability Layer)는 공통 서비스 계층(Common Service Layer, CSL) 또는 공통 서비스 엔티티 (Common Service Entity, CSE)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M2M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엔티티 (application entity, AE)로 지칭될 수 있고, M2M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간략히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지칭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도메인의 명칭 또한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oneM2M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도메인은 인프라스트럭처 도메인(infrastructure domain)으로 지칭될 수 있고,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 도메인은 필드 도메인(field domain)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M2M 시스템은 M2M 통신을 위해 M2M 어플리케이션 계층과 M2M SC(Service Capability) 계층을 포함하는 계층 구조로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M2M 시스템의 계층 구조(layered structure)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M2M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 계층(202), 공통 서비스 계층(204), 기저 네트워크 서비스 계층(underlying network services layer)(206)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계층(202)은 M2M 어플리케이션 계층에 대응되고, 공통 서비스 계층(204)은 M2M SCL에 대응될 수 있다. 기저 네트워크 서비스 계층(206)은 코어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위치 서비스(location service), 및 장치 트리거링(device triggering)과 같은 서비스들을 공통 서비스 계층(204)에 제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Mca 기준점(312)은 어플리케이션 엔티티(AE)(302)와 공통 서비스 엔티티(CSE)(304)의 통신 흐름을 지정할 수 있다. Mca 기준점(312)은 AE(302)가 CSE(304)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고 CSE(304)가 AE(302)와 통신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Mca 기준점(312)은 M2M 어플리케이션 계층과 M2M 공통 서비스 계층 (또는 엔티티) 간의 인터페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Mcc 기준점(314)은 서로 다른 공통 서비스 엔티티(CSE)(304)들 간의 통신 흐름을 지정할 수 있다. Mcc 기준점(314)은 CSE(304)가 필요한 기능들을 제공할 때 다른 CSE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Mcc 기준점(314)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CSE(304)가 지원하는 기능들에 의존적일 수 있다. Mcc 기준점(314)은 M2M 공통 서비스 계층들 간의 인터페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Mcn 기준점(316)은 CSE(304)와 기저 네트워크 서비스 엔티티(NSE)(306) 간의 통신 흐름을 지정할 수 있다. Mcn 기준점(316)은 CSE(304)가 요구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기저 NSE(306)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Mcn 기준점(316)은 M2M 공통 서비스 계층과 M2M 기저 네트워크 계층 간의 인터페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예에서, CSE(304)는 다양한 공통 서비스 기능/능력(common service function/capabilities)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SE(304)는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계층 관리(Application and Service Layer Management) 기능, 통신 관리 및 전달 처리(Communication Management and Delivery Handling) 기능, 데이터 관리 및 저장 (Data Management and Repository) 기능,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기능, 그룹 관리(Group Management) 기능, 발견(Discovery) 기능, 위치(Location) 기능, 네트워크 서비스 노출/서비스 실행 및 트리거링(Network Service Exposure/ Service Execution and Triggering) 기능, 등록(Registration) 기능, 보안(Security) 기능, 서비스 과금 및 계산(Service Charging and Accounting) 기능, 서비스 세션 관리 기능(Service Session Management), 구독/통지(Subscription/Notification)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CSE(304)는 상기 공통 서비스 기능들의 인스턴스(instance)를 가리키며, M2M 어플리케이션들이 사용하고 공유할 수 있는 공통 서비스 기능들의 서브세트를 제공한다. 공통 서비스 기능들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계층 관리(Application and Service Layer Management, ASM): AE들과 CSE들의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ASM 기능은 CSE들의 기능을 설정(configure)하고 문제점을 해결(troubleshoot)하 고 업그레이드(upgrade)할 뿐만 아니라 AE들의 기능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 통신 관리 및 전달 처리(Communication Management and Delivery Handling, CMDH): 다른 CSE들, AE들, NSE들과의 통신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CMDH 기능은 CSE-CSE 통신(CSE-to-CSE communication)을 위한 연결 (connection)을 언제 어떻게 사용할지를 결정하고 특정 요청들이 지연 전달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 데이터 관리 및 저장(Data Management and Repository, DMR): M2M 어플리케이션들이 데이터를 교환, 공유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DMR 기능은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collecting)/병합(aggregating)하고 데이터를 특정 포맷으로 변환(converting)하고 저장(storing)할 수 있다.
-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DMG): M2M 게이트웨이 및 M2M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M2M 영역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디바이스 기능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DMG 기능은 어플리케이션 설치 및 설정, 펌웨어(Firmware) 업데이트, 로깅(Logging), 모니터링(Monitoring), 진단(Diagnostics),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 발견(Discovery, DIS): 주어진 범위 및 조건 내에서 요청에 따라 정보 및 리소스([0054] resource)와 같은 정보를 검색(searching)할 수 있다.
- 그룹 관리(Group Management, GMG): 예를 들어 리소스(resource), M2M 디바이스, 또는 M2M 게이트웨이를 묶어 그룹을 생성할 수 있는데 그룹 관련 요청을 핸들링(handling)할 수 있다.
- 위치(Location, LOC): M2M 어플리케이션이 M2M 디바이스 또는 M2M 게이트웨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네트워크 서비스 노출/서비스 실행 및 트리거링(Network Service Exposure/ Service Execution and Triggering, NSSE): 기저 네트워크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기저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서비스 또는 기능을 사용 할 수 있게 한다.
- 등록(Registration, REG): M2M 어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CSE가 특정 CSE에 등록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등록은 특정 CSE의 M2M 서비스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 보안(Security, SEC): 보안 키와 같은 민감한 데이터 핸들링, 보안 연관 관계(Association) 설립, 인증 (Authentication), 권한 부여 (Authorization), ID(Identity) 보호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서비스 과금 및 계산(Service Charging and Accounting, SCA): AE 또는 CSE에 과금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서비스 세션 관리(Service Session Management, SSM): 단대단(end-to-end) 통신을 위한 서비스 계층의 M2M 세션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구독/통지(Subscription/Notification, SUB): 특정 리소스(resource)에 대한 변경을 구독(Subscription)하면 해당 리소스(resource)이 변경되면 이를 통지(notification)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M2M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노드(node)는 하나 이상의 M2M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엔티티 또는 하나의 CSE와 0개 이상의 M2M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엔티티를 의미한다.
어플리케이션 전용 노드(Application Dedicated Node, ADN)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엔티티(AE)를 가지지만 공통 서비스 엔티티(CSE)를 가지지 않는 노드를 지칭할 수 있다. ADN은 Mca를 통해 하나의 중간 노드(Middle Node, MN) 또는 하나의 인프라스트럭처 노드(Infrastructure Node, IN)와 통신할 수 있다. ADN은 제한된 능력을 갖는 M2M 디바이스(M2M device having a constrained capability)로 지칭될 수 있는데, 제한된 능력을 갖는 M2M 디바이스는 공통 서비스 계층(common service layer) 또는 공통 서비스 엔티티(CSE)를 포함하지 않는 M2M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제한된 능력을 갖는 M2M 디바이스는 간략히 제한적인 M2M 디바이스(constrained M2M device)라고 지칭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노드(Application Service Node, ASN)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 서비스 엔티티(CSE)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M2M 어플리케이션 엔티티(AE)를 가지는 노드를 지칭할 수 있다. ASN은 Mcc를 통해 하나의 중간 노드(Middle Node) 또는 하나의 인프라스트럭처 노드(Infrastructure Node)와 통신할 수 있다. ASN은 M2M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중간 노드(Middle Node, MN)는 하나의 공통 서비스 엔티티(CSE)와 0개 이상의 M2M 어플리케이션 엔티티(AE)를 가지는 노드를 지칭할 수 있다. MN은 Mcc를 통해 하나의 인프라스트럭처 노드(IN) 또는 다른 중간 노드(MN)와 통신할 수 있으며, 혹은 Mcc를 통해 IN/MN/ASN과 통신할 수 있으며, 혹은 Mca를 통해 ADN과 통신할 수 있다. MN은 M2M 게이트웨이로 지칭될 수 있다.
인프라스트럭처 노드(Infrastructure Node, IN)는 하나의 공통 서비스 엔티티(CSE)를 가지고 0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엔티티(AE)를 가지는 노드를 지칭할 수 있다. IN은 Mcc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중간 노드(MN)와 통신할 수 있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ASN과 통신할 수 있다. 혹은 IN은 Mca를 통해 하나 이상의 ADN과 통신할 수 있다. IN은 M2M 서버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예 1은 ADN과 IN 간의 통신을 예시한다. ADN은 제한된 능력을 갖는 M2M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 경우, ADN은 CSE 또는 공통 서비스 계층을 갖지 않으므로 Mca를 통해 IN의 CSE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ADN은 CSE 또는 공통 서비스 계층을 갖지 않으므로 AE 또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다른 엔티티에 저장/공유할 수 없다. 따라서, “예 1”에서 ADN의 AE 또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IN의 CSE에 저장되어 공유될 수 있다.
일 예로, “예 2”는 ADN과 MN 간의 통신을 예시한다. ADN도 제한된 능력을 갖는 M2M 디바이스일 수 있다. 따라서, ADN이 MN의 CSE와 통신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예 1과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다. 즉, ADN은 Mca를 통해 MN의 CSE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ADN은 CSE 또는 공통 서비스 계층을 갖지 않으므로 AE 또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다른 엔티티에 저장/공유할 수 없다. 따라서, ADN의 AE 또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MN의 CSE에 저장되어 공유될 수 있다.
한편, “예 2”에서 MN은 MN을 거쳐 IN과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MN과 MN, 그리고 MN과 IN은 Mcc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MN이 MN을 거치지 않고 직접 IN과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 3”은 ASN과 MN 간의 통신을 예시한다. “예 1” 또는 “예 2”와 달리, ASN은 CSE 또는 공통 서비스 계층을 가지므로 ASN의 AE 또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자신의 CSE 또는 공통 서비스 계층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ASN의 AE는 ASN의 CSE를 통해 MN의 CSE와 통신할 수 있다.
“예 4”는 ASN과 MN 간의 통신을 예시한다. “예 3”과 비교하여, ASN의 CSE는 MN을 거치지 않고 직접 IN의 CSE와 통신 할 수 있다.
IN은 인프라스트럭처 도메인 또는 네트워크 도메인에 위치할 수 있고 하나의 CSE를 포함하고 0개 이상의 AE를 포함할 수 있다. IN들은 Mcc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도 5는 송신자와 수신자가 메시지를 교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송신자(Originator, 510)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자(Receiver, 5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송신자(510)와 수신자(520)는 상술한 M2M 단말일 수 있다. 다만, M2M 단말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단말도 가능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송신자(510) 및 수신자(520)는 상술한 노드, 엔티티, 서버 또는 게이트웨이일 수 있다. 즉, 송신자(510) 및 수신자(520)는 하드웨어적인 구성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일 예로, 송신자(510)가 전송하는 요청 메시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파라미터는 필수 파라미터 또는 선택 파라미터가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송신단과 관련된 파라미터, 수신단과 관련된 파라미터, 식별 파라미터 및 동작 파라미터 등은 필수적인 파라미터일 수 있다. 또한, 그 밖에 다른 정보에 대해서는 선택 파라미터일 수 있다. 이때, 송신단 관련 파라미터는 송신자(510)에 대한 파라미터일 수 있다. 또한, 수신단 관련 파라미터는 수신자(520)에 대한 파라미터일 수 있다. 또한, 식별 파라미터는 상호 간의 식별을 위해 요구되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또한, 동작 파라미터는 동작을 구분하기 위한 파라미터일 수 있다. 일 예로, 동작 파라미터는 생성(Create), 조회(Retrieve), 갱신(Update), 삭제(Delete) 및 통지(Notify)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동작을 구별하기 위한 파라미터일 수 있다.
이때, 수신자(520)는 송신자(510)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요청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신자(520)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파라미터가 유효한지 여부 및 권한이 있는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수신자(520)는 파라미터가 유효하고, 권한이 있다면 요청 대상이 되는 자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송신자(510)는 수신자(520)에게 통지에 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자(520)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통지에 대한 파라미터를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응답 메시지를 송신자(510)로 다시 전송할 수 있다.
하기 에서는 각각의 자원 및 자원의 속성에 대해 서술한다. 일 예로, 하기에서는 자원 또는 속성의 특징을 고려한 명칭으로 기재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하기에서 서술하는 자원 또는 속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을 가진 자원 또는 속성에 대해서 본 발명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징을 고려한 특정 명칭으로 기재하고, 이를 중심으로 관련 내용을 서술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구독 자원에 대한 속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독 자원은 속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6에서는 구독 자원의 속성들을 기재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추가, 삭제 또는 변경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구독 자원에 대한 속성을 통해 구독-통지에 필요한 정보들이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구독-통지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속성 정보로서 정의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구독 자원에는 “만료카운터(expirationCounter)”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일 예로, M2M 시스템에서 M2M 단말들은 구독-통지(subscription-Notification)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M2M 플랫폼에서 구독(Subscription) 자원을 통해 이벤트를 등록하고,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면 통지(Notification)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타겟 시스템(Target System)은 호스팅 시스템(Hosting System)으로 구독 자원을 할당하고, 호스팅 시스템은 이벤트가 발생하면 타겟 시스템으로 통지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호스팅 시스템 및 타겟 시스템은 상술한 M2M 단말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엔티티일 수 있다.
도 7은 리소스 통지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예로, 도 7을 참조하면, M2M 엔티티로써 리소스 호스트(710)로 M2M 엔티티로써 구독자(720)는 구독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7을 참조하면, 구독자(720)는 복수의 리소스들에 구독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예로, 구독자(720)는 제 1 센서에 대한 구독 요청 및 제 2 센서에 대한 구독 요청을 리소스 호스트(710)로 각각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각각의 구독에 대한 통지는 구독자(720)가 아닌 다른 주체로 전송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기에서는 구독자(720)가 통지를 수신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서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일 예로, 구독자(720)는 제 1 센서에 대한 구독 조건이 충족되면 호스트(710)로부터 제 1 센서에 대한 통지인 제 1 통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구독자(720)는 제 2 센서에 대한 구독 조건이 충족되면 호스트(720)로부터 제 2 센서에 대한 통지인 제 2 통지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 1 통지 및 제 2 통지는 각각의 구독 리소스에 기초하여 각각의 조건에 따라 통지될 수 있다. 다만, 일 예로, 제 1 통지 및 제 2 통지는 동일 이벤트와 관련된 통지일 수 있다. 일 예로, 이벤트는 화재 감지 이벤트이고, 제 1 통지 및 제 2 통지는 각각 온도 센서에 의한 통지 및 연기 센서에 대한 통지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벤트는 과속 통지 이벤트이고, 제 1 통지 및 제 2 통지는 감시 카메라 감지에 의한 통지 및 기설정된 속도 이상 값 초과에 대한 통지일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처럼 제 1 통지 및 제 2 통지는 서로 관련된 이벤트에 대한 통지일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경우에 구독자(720)는 제 1 통지 및 제 2 통지를 분석하여 관심 이벤트에 대한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구독자(720)는 각각의 통지에 기초하여 추가 동작에 기초하여 관심 이벤트에 대한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7b는 교차 리소스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동일한 관심 이벤트에 대한 구독은 교차 리소스에 기초하여 같이 처리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M2M 엔티티로써 호스트(e.g. IN-CSE, 750)는 M2M 엔티티로써 구독자(e.g. IN-AE, 760)로부터 교차 리소스 가입(또는 구독)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구독자(760)는 타겟 리소스들로써 복수 개의 리소스들의 변경에 기초하여 일정 기준 하에 단일 통지를 수신하고자 할 수 있다. 즉, 구독자(760)는 교차 리소스를 통해 복수 개의 리소스에 대한 조건 충족에 기초하여 단일 통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교차 리소스 요청에는 하기 표 1과 같은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교차 리소스 요청에는 하기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일반 리소스 (regularResourcesAsTarget)” 및 “타겟 구독 리소스 (subscriptionResourcesAsTarget)”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8을 참조하면, “타겟 일반 리소스(regularResourcesAsTarget)”는 교차 리소스 구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타겟 리소스에 대상이 될 수 있는 일반 리소스(regular resource)의 리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반 리소스는 구독될 수 있는 oneM2M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타겟 구독 리소스 (subscriptionResourcesAsTarget)”는 실제 구독을 위해 존재하는 리소스를 의미할 수 있다. 즉, 교차 리소스 구독을 위해 사용되는 타겟 리소스로서 실제 구독 리소스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통지 발생에 대상이 되는 타겟 리소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시간 구간 타입(timeWindowType)”은 교차 리소스 구독을 위한 시간 구간에 대한 타입으로 오버래핑 없는 일정 구간을 지시하거나, 슬라이딩 타임 윈도우로서 교차 리소스 구독을 위한 타임 윈도우의 타입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시간 구간 크기 (timeWindowSize)”는 타임 윈도우에 대한 크기를 지시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 1]
즉, 구독자(760)은 상술한 정보에 기초하여 교차 리소스 구독 요청을 호스트(75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호스트(750)는 가입 요청을 처리하고 교차 리소스에 기초하여 다른 M2M 엔티티(e.g. oneM2M MN-CSE, 730, 740)들에게 단일 리소스 가입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호스트(750)와 다른 M2M 엔티티들(730, 740) 사이에서는 구독 및 통지 관계에 기초하여 통지가 발생할 수 있다. 즉, M2M 엔티티들(730, 740) 각각은 단일 리소스 가입 요청에 대한 응답을 호스트(750)로 전송하여 가입을 완료할 수 있다, 그 후, 각각의 M2M 엔티티들(730, 740)은 해당 리소스에 대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각각 통지를 호스트(75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호스트(750)는 상술한 교차 리소스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구독자(760)에게 통지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통지가 결정되면 구독자(760)에게 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b의 각각의 단계를 살펴보면, 구독자(760)는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교차 리소스 구독을 생성하여 요청할 수 있다. (S771) 이 후, 호스트(750)는 구독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S772) 이때, 호스트(750)에 의해 승인된 구독자(760)로부터 각각의 교차 리소스 가입 요청에 대해 호스트(750)는 승인된 교차 리소스 요청을 유지하기 위해 로컬 가입 리소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호스트(750)는 M2M 엔티티들(730, 740)에게 단일 타겟 리소스와 관련하여 단일 리소스 가입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S773, S775) 이때, 단일 리소스는 상술한 교차 리소스 요청에 기인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M2M 엔티티들(730, 740)들은 기존의 구독 및 통지 관계에 기초하여 가입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통지타겟(notificationURI)”을 통해 M2M 엔티티들(730, 740)이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호스트(750)는 각각의 M2M 엔티티들(730, 740)에게 구독 요청을 하면서 해당 요청이 교차 리소스 가입에 기초한 것임을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각각의 M2M 엔티티들(730, 740)은 해당 리소스가 교차 리소스에 기초한 것인지 여부에 대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호스트(750)는 각각의 M2M 엔티티들(730, 740)에게 구독 요청을 하면서 해당 요청이 교차 리소스 가입에 기초한 것임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교차 리소스 가입의 표시가 있는 경우, 호스트(750)는 요청 메시지에 구독자(760)에 대한 식별자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호스트(750)와 각각의 M2M 엔티티들(730, 740) 관계에서는 단일 리소스가 생성되는바, M2M 엔티티들(730, 740)은 교차 리소스에 대한 정보가 불필요할 수 있다. 즉, 각각의 M2M 엔티티들(730, 740)은 단일 리소스에 기초하여 자신의 구독 및 통지만을 수행하면 될 뿐, 교차 리소스에 관심을 두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일 예로, 교차 리소스의 경우, 복수 개의 통지가 모두 만족되어야지만 의미가 있을 수 있고, 하나의 리소스에 대한 통지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전체 통지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호스트(750)는 단일 리소스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에 교차 리소스에 대한 것임을 표시하여 각각의 M2M 엔티티들(730, 74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각의 M2M 엔티티들(730, 740)은 교차 리소스에 의한 단일 리소스 통지임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각각의 M2M 엔티티들(730, 740)이 교차 리소스가 아님을 표시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각각의 M2M 엔티티들(730, 740)이 통지 불가 상태가 되면 통지 불가에 대한 메시지를 호스트(75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일 예로, 각각의 M2M 엔티티들(730, 740)이 교차 리소스임을 표시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각각의 M2M 엔티티들(730, 740)은 통지 불가 상태가 되면 통지 불가에 대한 메시지를 호스트(750) 및 구독자(76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즉, 교차 리소스인 점을 고려하여 각각의 M2M 엔티티들(730, 740)에서 통지 불가 상태가 된 경우, 교차 리소스 전체가 무의미할 수 있는바, 각각의 M2M 엔티티들(730, 740)은 구독자(760)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지 불가 메시지를 구독자(760)에게도 전송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각각의 M2M 엔티티들(730, 740)은 단일 리소스 구독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호스트(750)에게 전송할 수 있다. (S774, S776) 즉, 각각의 M2M 엔티티들(730, 740)은 단일 리소스 구독에 대한 허여 여부를 결정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호스트(750)에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호스트(750)는 최종 응답을 구독자(76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각각의 M2M 엔티티들(730, 740)에서 타겟 리소스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S778, S780) 이때, 각각의 M2M 엔티티들(730, 740)은 각각 제 1 통지(S779) 및 제 2 통지(S781)를 호스트(75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호스트(750)는 상술한 통지들을 버퍼링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호스트(750)는 상술한 교차 리소스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통지 및 제 2 통지가 충족된 기준들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호스트(750)는 시간 윈도우 메커니즘들을 수행하여 통지가 구독자(760)에게 전송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통지 및 제 2 통지 모두 지정된 시간 윈도우 동안 수신된 경우, 호스트(750)는 통지를 생성하고, 이를 구독자(760)에게 전송할 수 있다.(S783) 일 예로, 호스트(750)는 정해진 시간 윈도우 크기 내에서 제1 통지 및 제2 통지의 발생 선후를 고려하여 통지가 구독자(760)로 전송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즉, 교차 리소스 구독의 경우, 구독자(760)가 제1 센서 및 제2 센서에 대한 이벤트 충족 선후를 고려하여 교차 통지를 원할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센서에 대한 구독조건 충족이 먼저 수행되기를 원할 경우, 제2 센서에 대한 통지가 먼저 통지되더라도 시간 윈도우 매커니즘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호스트(750)는 먼저 충족되어야하는 통지를 수신한 후에만 시간 윈도우 매커니즘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호스트(750)가 구독자(760)에게 통지를 전송하는 경우, 통지 메시지는 단지 어플리케이션 의존이지만 미리 구성된 규칙에 기반하여 동작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표시일 수 있다. 일 예로, 이벤트가 화재 감지인 경우, 호스트(750)는 센서에 명령을 전송하고, 화재 진압을 위한 분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호스트(750)는 통지 메시지에 기초하여 구독자(760)에게 통지를 전송함과 동시에 필요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벤트가 차량 감시인 경우, 호스트(750)는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에 기초하여 차량 파손을 감지하면 구독자(760)에게 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 동시에, 호스트(750)는 기설정된 규칙에 기초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리소스에 대한 구독 및 통지 또는 교차 리소스에 대한 구독 및 통지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구독에 대한 속성 정보는 상술한 도 6과 같을 수 있으며, 구체적인 속성 정보는 하기 표 2와 같을 수 있다. 다만, 표 2는 구독 속성 정보의 일 예일 뿐, 다른 속성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즉, 구독 및 통지와 관련된 정보들이 속성 정보로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학 표 2에서 해당 속성의 읽기(read)/쓰기(write) 허용여부(permission)에 대한 정보가 각각의 속성별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정보는 “READ/WRITE(RW)”, “READ ONLY(RO)”, “WRITE ONLY(WO)”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표 2에서 발생횟수(multiplicity)는 해당 속성이 구독 리소스에서 발생 가능한 횟수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하기 표 2는 하나의 일 예일 뿐, 구독 리소스 속성으로서 다른 속성 정보가 더 설정될 수 있다.
[표 2]
또한, 일 예로, 구독 및 통지와 관련하여 이벤트 통지 기준 속성(eventNotificationCriteria)은 구독 대상 리소스의 수정 및 변화 조건에 대한 리스트이며, 하기 표 3과 같을 수 있다. 다만, 하기 표 3도 이벤트 통지 기준 속성에 대한 일부 정보일 뿐 다른 정보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이벤트 통지 기준 속성 리스트의 각각의 조건들은 논리적 AND 관계에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이벤트 통지 기준 속성이 2개의 조건을 포함하는 경우, 구독 대상 리소스의 수정/변화가 2개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통지가 전송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구독 리소스에 이벤트 통지 기준 속성을 설정함으로써 통지 메시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설정한 이벤트 통지 기준 속성을 만족하는 경우, 통지대상 엔티티(notification target entity)에게 통지가 전송되도록 하여 통지 메시지가 넘쳐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표 3]
한편, 일 예로, 구독 및 통지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통지 메시지가 전송되는 양을 제어할 필요성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바처럼 일정한 조건에서만 통지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여 무분별하게 통지 메시지가 전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무분별한 통지를 막기 위해 이벤트 충족 횟수에 대한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9를 참조하면, 자동차 내에서는 차량 소모품 감지 센서 및 이와 연결된 게이트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구독 및 통지 동작에 기초하여 차량의 소모품 상태가 모니터링되고, 차량 소모품에 대한 센싱 값에 기초하여 통지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소모품은 보조 배터리, 타이어, 엔진 오일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소모품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일 예로, 차량 소모품 감지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값과 기설정된 값이 비교되는 이벤트에 기초하여 구독 및 통지가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차량 소모품 감지 센서는 센싱한 값에 대한 정보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게이트웨이는 센서값을 판독한 후, 센싱값이 기설정된 값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으로 통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차량 내에 차량 소모품 감지 센서, 게이트웨이 및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존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 내에서 이벤트에 기초하여 구독 및 통지가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9b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구독 및 통지에 기초하여 구독자에게 통지가 전송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동작과 관련하여, M2M 엔티티로써 게이트웨이(1010)는 M2M 엔티티로써 어플리케이션(1020)으로부터 구독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구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소모품 센서 관련 리소스에 대한 구독일 수 있다. (S1110) 그 후, 게이트웨이(1010)는 차량 소모품 센서에 대한 구독 조건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게이트웨이(1010)는 차량 소모품 센서로부터 센싱 값을 주기적 또는 특정 시점에 전달 받을 수 있다. 이때, 이벤트는 센싱 값이 기설정된 값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일 수 있다. 일 예로, 타이어의 마모도가 값으로 측정되고 기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에 마모가 심해진 것으로 판단하여 이벤트가 트리거링될 수 있다. 이때, 게이트웨이(1010)는 센싱값에 기초하여 차량 소모품 센서 관련 리소스에 대한 통지를 어플리케이션(10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1020) 사용자는 차량 소모품 교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경우에 관련하여, 센싱값 오류에 기초하여 부정확한 통지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의 경우 가혹한 조건에서 운행되거나 노출될 수 있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환경에서 특정 센서에 일시적으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소모품에 대해 교체 주기가 도달되지 않았음에도 특정 상황에서 센싱값 오류에 기초하여 이벤트가 트리거될 수 있다.
일 예로, 엔진오일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센서의 경우, 극저온 또는 극고온 상태에서 엔진오일의 상태 모니터링 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때, 구독 조건에 기초하여 정상상태에 있음에도 극한의 조건에서 이상 상태에 있는 것처럼 센서값이 검출될 수 있다. 이때, 게이트웨이는 상술한 값에 기초하여 이벤트 트리거링을 감지하고 구독에 기초하여 통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일시적인 오류에 기초하여 통지가 발생하는 경우에 부정확한 통지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구독 생성자의 의도와 다르게 일시적인 구독조건 충족으로 통지를 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불필요한 통지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할 수 있으나, 상술한 구독 관련 속성이나, 이벤트 통지 기준 속성은 상술한 경우에 불필요한 통지를 방지하기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이벤트 충족 횟수에 대한 속성이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벤트 충족 횟수는 하기 표 4 또는 표 5와 같이 구독에 대한 속성 정보로서 정의될 수 있다. 즉, 이벤트 충족 횟수는 구독에 대한 하나의 속성 정보로서 이벤트 통지 기준 속성과 병렬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벤트 충족 횟수는 이벤트 통지 기준 속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이벤트 충족 횟수는 이벤트 통지 기준 속성의 태그(tag) 값 중 하나로서 설정될 수 있으며, 표 6 또는 표7과 같을 수 있다.
[표 4]
[표 5]
[표 6]
[표 7]
이때, 일 예로, 상술한 이벤트 충족 횟수는 일시적 오류로 인한 통지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통지 발생의 요건으로 일시적 오류로 판단되지 않도록 이벤트 충족 횟수가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경우를 고려하면 차량 소모품 센서에 대한 센싱 값이 기설정된 값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처럼 일시적 오류일 수 있는바, 추가 센싱이 필요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추가 센싱은 일정한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추가 센싱은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게이트웨이는 상술한 이벤트 충족 횟수에 기초하여 센싱 값이 기설정된 값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를 카운팅할 수 있다. 이때, 이벤트 충족 횟수에 설정된 값 이상으로 센싱 값이 기설정된 값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술한 상황은 일시적인 오류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웨이는 소모품에 대한 교체 시기를 판단하고, 상술한 통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구독자는 이벤트 조건을 특정 기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에만 통지를 받고 싶을 수 있다. 오히려, 구독자는 특정조건이 계속 유지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바를 고려하여 구독 리소스는 이벤트 충족 기간에 대한 속성(ex, periodOfMathingCriteria)을 포함하거나 이벤트 통지 기준의 하나의 매칭 태그(matching tag)로서 이벤트 충족 기간(ex, periodOfMatchingCriteria)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이벤트 충족 횟수와 관련해서는 리셋 정보가 추가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벤트기준충족횟수리셋 (nrOfmatchingCriteriaReset) 정보가 정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벤트 충족 횟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카운팅될 수 있다. 이때, 이벤트 충족 횟수가 카운팅되는 경우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이벤트 충족 횟수가 카운팅될 수 있다. 일 예로, 센싱값이 기설정된 값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를 디텍트하면 이벤트 충족 횟수를 리셋하고, 다시 카운팅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확률적인 정보 또는 다른 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 충족 횟수 카운팅에 대한 리셋도 별도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이벤트 충족 횟수가 카운팅되는 경우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이벤트 충족 횟수가 카운팅될 수 있다. 일 예로, 센싱값이 기설정된 값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를 이벤트기준충족횟수리셋 (nrOfmatchingCriteriaReset)에 설정된 값만큼 디텍트할 때, 이벤트 충족 횟수를 리셋하고, 다시 카운팅할 수 있다. 즉, 일정한 경우를 만족하는 경우에 이벤트 충족 횟수에 대한 카운팅이 리셋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교차 리소스와 관련하여 복수의 구독 조건에 대한 우선 순위(또는 순서)가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바에서 호스트는 각각의 센서로부터 단일 리소스에 기초하여 통지를 수신한 후, 이에 기초하여 구독자에게 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교차 리소스는 타임 윈도우 구간에 기초하여 상술한 통지들이 발생한 경우에 구독자에게 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교차 리소스에 대한 통지와 관련하여 통지에 대한 우선 순위(또는 순서)가 설정될 필요성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교차 리소스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통지가 존재하는 경우, 특정 통지에 대한 우선 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 개의 통지로서 제 1 구독 조건 및 제 2 구독 조건에 기초하여 제 1 통지 및 제 2 통지에 기초하여 구독자로 통지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통지가 제 2 통지보다 우선할 수 있다. 즉, 제 1 통지가 발생한 후에 제 2 통지를 디텍트 한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독자에게 최종 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타임 윈도우는 제 1 통지가 발생하면 시작될 수 있다. 그 후, 타임 윈도우 크기에 해당하는 기간 동안 제 2 통지를 수신하면 교차 리소스 조건에 기초하여 최종 통지가 구독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반면, 제 2 통지가 제 1 통지보다 먼저 발생한 경우, 타임 윈도우는 시작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 1 통지가 제 2 통지보다 우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차량 차속 위반 방지 통지 서비스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구독 조건은 감시 카메라 발견에 따른 통지/알림 발생일 수 있다. 또한, 제 2 구독 조건은 차량이 임계값 이상의 속도 운행시 통지/알림 발생일 수 있다. 이때, 차량이 감시 카메라를 통과한 이후에 임계값 이상의 속도를 감지한 경우에 통지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이는 불필요한 통지일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처럼 타임 윈도우가 설정될 수 있고, 타임 윈도우 크기에 대응되는 기간만큼 통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바, 상술한 바와 같이 불필요한 통지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과속 카메라 감시에 따른 제 1 구독 조건에 기초하여 타임 윈도우가 시작될 수 있다. 이때, 차량은 임계값 이하의 속도를 유지하고, 카메라를 통과할 수 있다. 다만, 타임 윈도우의 크기는 제 1 구독 조건 만족 시점부터 카메라 통과 시점까지보다 클 수 있다. 즉, 차량이 카메라를 통과하였음에도 교차 리소스에 대한 통지가 유효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이 카메라 통과 후 임계값 이상의 속도로 주행하는 경우, 교차 리소스에 기초하여 호스트는 구독자에게 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 카메라 통과 상태인바, 불필요한 통지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제 2 구독 조건이 제 1 구독 조건보다 우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제 1 구독 조건을 만족하여도 타임 윈도우가 시작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이 카메라를 감지하더라도 타임 윈도우가 시작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차량이 임계값 이상의 속도로 주행하는 경우, 제 2 구독 조건에 기초하여 타임 윈도우가 시작될 수 있다. 이때, 감시 카메라에 따른 제 1 구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호스트는 교차 리소스에 기초하여 구독자에게 통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술한 경우처럼 복수 개의 구독 조건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구독 조건에 따른 우선 순위(또는 순서)가 존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통지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 우선 순위(또는 순서)와 관련하여 다양한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 개의 구독 조건으로서 세 개 이상이 단일 리소스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각각의 구독 조건이 기설정된 순서에 기초하여 디텍트되는 경우에만 호스트가 교차 리소스에 기초하여 구독자에게 최종 통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우선 순위와 관련하여, 타임 윈도우를 시작하는 구독 조건만이 설정되고, 다른 구독 조건의 우선 순위는 동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구독 조건, 제 2 구독 조건 및 제 3 구독 조건이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 1 구독 조건만이 타임 윈도우를 시작하기 위한 구독 조건일 수 있다. 즉, 제 1 구독 조건이 제 2 구독 조건 및 제 3 구독 조건보다 우선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독 조건이 만족되어 타임 윈도우가 시작되는 경우, 타임 윈도우 크기 동안 제 2 구독 조건 및 제 3 구독 조건이 만족되면 구독자에게 최종 통지가 전송될 수 있다. 즉, 우선 순위는 타임 윈도우를 시작하기 위한 특정 구독 조건으로 설정되고, 다른 구독 조건에 대해서는 동일한 우선 순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바는 복수 개의 구독 조건이 적용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교차리소스구독 (crossResourceSubscription) 리소스는 타겟 리소스에 대한 구독 조건의 충족 선후를 고려하여 교차 구독 통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속성(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해당 속성은 교차리소스구독 (crossResourceSubscription) 리소스에 구독 조건의 충족 선후 관계를 나타내는 신규 속성으로 하기 표 8 또는 표 9와 같을 수 있다. 일 예로, 신규 속성으로 “이벤트 통지 기준 순서(또는 우선순위)”를 추가할 수 있다. 이때, 하기 표 8에 기초하여 이벤트 통지 기준 순서는 이벤트 통지 기준에 대한 순서일 수 있다. 이때, 하기 속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존과 동일하게 이벤트 통지 기준의 순서를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해당 속성이 포함되는 경우, 해당 속성은 이벤트 통지 기준의 순서로서 첫 번째 순서의 이벤트 통지 기준을 충족하지 않은 경우 타임 윈도우 메커니즘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표 8]
[표 9]
또한, 일 예로, 첫 번째 순서의 이벤트 통지 기준으로서 타임 윈도우 메커니즘을 시작하는 구독 조건임을 고려하여 속성 정보가 “타임 윈도우 시작 (StartofTimeWindow)”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교차 리소스의 대상이 되는 리소스와 관련하여 타임 윈도우 시작 값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교차 리소스에 포함된 복수 개의 리소스 중 타임 윈도우 시작에 대한 리소스는 상술한 타임 윈도우 시작 값이 “1”로 설정될 수 있다. 반면, 다른 리소스들에 대해서는 상술한 타임 윈도우 시작 값이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벤트 통지 기준 순서에 기초하여 구독 조건에 우선 순위가 설정된 경우, 상술한 타임 윈도우 시작 값에 기초하여 어느 리소스에 대한 구독이 타임 윈도우를 시작하는 구독인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벤트 통지 기준에 대한 새로운 속성이 정의되지 않고, 하기 표 10 또는 표 11에 기초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 통지 기준 순서에 대한 정보가 “이벤트 통지 기준 셋(eventNotificationCriteriaSet)”에 포함될 수 있다. 즉, 기존의 교차 리소스 구독에 대한 리소스에 포함된 속성 정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정보를 더 추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속성을 정의하지 않고, 이벤트 통지 기준 순서에 대한 정보를 반영할 수 있으며, 이는 도 11a 및 도 11b와 같을 수 있다.
[표 10]
[표 11]
일 예로, 도 11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통지기준발생순서 (eventNotificationCriteriaorder or eventNotificationCriteriaSequence)”이 교차 리소스 구독의 리소스에 새롭게 속성으로 추가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11b와 같이 “이벤트 통지 기준 셋 (eventNotificationCriteriaSet)”에 포함된 정보를 수정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 통지 기준의 순서를 지시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구독 자원에 대한 속성으로서 표 2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에 대한 정보가 교차 리소스에 설정될 필요성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표 2를 참조하면,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에 기초하여 최대 통지 횟수가 설정될 수 있고, 최대 통지 횟수 이상이 되는 경우에 구독은 삭제될 수 있다. 다만, 교차 리소스의 경우에는 복수 개의 구독이 존재할 수 있고, 타겟 구독의 삭제와 교차 구독의 삭제 관계가 불명확할 수 있다. 일 예로, 교차 리소스에서 독자적인 교차 구독의 최대 통지 발생 수에 대한 설정 지원이 필요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교차 리소스의 경우 타겟 구독이 삭제되면 조건 충족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타겟 구독이 삭제되는 경우에 교차구독이 삭제되는 매커니즘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타겟 구독의 만료가 임박한 시점에서 교차 구독이 생성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교차 구독은 생성되었지만, 타겟 구독이 만료되면 교차구독은 타겟 구독에 의해 삭제될 수 있다. 따라서, 교차 구독은 생성되자마자 삭제되는바, 무의미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교차 구독에 대한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가 설정될 필요성이 있다. 이때, 교차 구독에 대한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는 “교차 서브 만료 카운터 (crosssubexpirationCounter)”로 하기 표 12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즉, 하기 표 12처럼 교차 리소스에 대한 최대 통지 횟수가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교차 리소스에 대한 최대 통지 횟수를 초과하는 만큼 통지 실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다른 정책과 상관없이 교차 리소스가 삭제될 수 있다.
[표 12]
또한,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교차 구독은 타겟 구독이 삭제되면 무의미해질 수 있다. 일 예로, <교차 리소스 구독 (crossResourceSubscription)> 리소스를 생성할 때, 선행 구독 리소스의 기존에 발행된 통지수가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에 근접한 경우, <교차 리소스 구독 (crossResourceSubscription)> 리소스는 구독자의 의도와 달리, 특히 <교차 리소스 구독 (crossResourceSubscription)> 리소스 생성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선행 구독 리소스의 삭제로 인해 함께 삭제될 수 있다. 따라서, 교차 구독을 생성하는 경우, 타겟 구독의 “만료카운터 (expirationCounter)”를 조정하기 위한 정책 (policy)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는 하기 표 13과 같을 수 있다. 다만, 표 13은 하나의 일 예일 뿐, 다른 방법으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잇다. 즉, 타겟 구독의“만료카운터(expirationCounter)”는 교차 구독에 기초하여 교차 구독 만료 카운터가 타겟 카운터에 더해지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타겟 구독에 대한 조정이 없어도 교차 구독을 수행함에 문제가 없는 경우 타겟 구독의 만료 카운터가 업데이트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타겟 구독의 “만료카운터(expirationCounter)”는 매뉴얼에 기초하여 설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교차 구독이 설정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타겟 구독이 업데이트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표 13]
또한, 일 예로,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교차 리소스 구독의 리소스는 “만료 카운터(expirationCounter)”에 대한 업데이트 정책(Update Policy)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하기 표 14와 같을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제 1 선행 구독 리소스의 만료 카운터(expiractionCounter)가 10회이고, 현재통지수카운터(currentNotificationCounter)가 8회인 상태에서, 교차구독 리소스가 생성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교차 구독 리소소의 교차 서브 만료 카운터(crosssubexpiractionCounter)가 5회인 경우라면 제 1 선행 구독 리소스의 만료 카운터(expirationCounter)를 15회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선행 구독 리소스의 삭제에 따라 교차 구독 리소스가 삭제되거나 무의미하게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교차 구독 리소스의 생성시 기존 구독의 만료 카운터(expiractionCounter)를 교차 구독의 교차 서브 만료 카운터 (crosssubexpiractionCounter)만큼 증가시키는 만료 카운터(expiractionCounter) 업데이트 정책을 가질 수 있으며, 하기 표 14 또는 표 15와 같이 속성이 정의될 수 있다.
[표 14]
[표 15]
또 다른 일 예로, 교차 구독 리소스를 생성하는 경우, 기존 구독의 현재 통지 발행 수(currentNotificaionCounter)를 리셋하여 교차 구독 리소스의 생성과 동시에 교차 구독 리소스가 삭제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일 예로, 현재 통지 발행수(currentNotificaionCounter)의 리셋과 함께 기존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를 교차 구독의 교차 서브 만료 카운터 (crosssubexpirationCounter)로 변경할 수 있다. 즉, 교차 구독을 생성하는 구독자가 교차 구독 생성 이전에 설정된 이전 구독을 교차 구독에 종속하여 삭제되도록 설정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교차구독을 생성하는 구독자는 현 시점에서는 선행 구독에 따른 단독 통지를 받고 싶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교차 구독이 삭제되는 경우, 선행 구독도 교차 구독에 종속되어 같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선행 구독의 경우에 교차 구독이 생성되면 종속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바,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다만, 일 예로, 다른 방법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만료 카운터 업데이트 (expirationCounterUpdate)에 대한 정책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교차 리소스가 생성될 때, 선행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ctionCounter)까지 남아있는 통지수와 교차 구독의 교차 서브 만료 카운터 (crosssubexpirationCounter)가 비교될 수 있다. 이때, 선행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ctionCounter)까지 남아있는 통지수가 교차 구독의 교차 서브 만료 카운터 (crosssubexpirationCounter)보다 작은 경우, 선행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에 교차 구독의 교차 서브 만료 카운터 (crosssubexpirationCounter)가 추가되어 증가하도록 업데이트될 수 있다. 즉, 선행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ctionCounter)까지 남아있는 통지 수와 교차 구독의 교차 서브 만료 카운터 (crosssubexpirationCounter)가 비교하여 업데이트가 불필요할 경우에는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를 업데이트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또 다른 일 예로, 선행 구독 리소스와 교차 구독 리소스의 관계를 고려하여 하기 표 16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교차 구독 리소스가 생성되는 경우, 선행 구독 리소스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를 리셋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동작의 경우에는 추가 명령 등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는바, 동작이 간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교차 구독 리소스가 생성되는 경우, 선행 구독 리소스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를 교차 구독 리소스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로 재작성(Rewrite)할 수 있다. 즉, 선행 구독 리소스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가 교차 구독 리소스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로 대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차 구독 리소스가 선행 구독 리소스의 삭제에 의해 삭제되거나 무의미한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선행 구독 리소스의 현재 통지수를 리셋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즉, 교차 리소스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새로운 리소스에 대한 동작일 수 있는바, 기존의 통지 수를 리셋하고 새롭게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표 16]
구체적인 일 예로, 제1 구독의 만료 카운터(expirationCounter)가 제 1값이고, 제2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가 제 2 값이고, 교차 구독의 만료 카운터(expirationCounter)가 제 3 값인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하기와 같이 각각의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제 3 값 < 제 1 값 < 제 2 값인 경우
상술한 경우, 교차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 값인 제 3 값이 기존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값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교차 구독이 생성되더라도 선행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를 조정할 필요성이 없을 수 있다. 다만, 선행 구독들의 현재 통지 수가 교차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보다 작은 경우에는 해당 구독의 현행 통지 발행 수를 리셋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즉, 교차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과 선행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를 비교하고, 교차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와 선행 구독의 현재 통지 발행 수를 비교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제 1 값 < 제 2 값 < 제 3 값인 경우
상술한 경우, 교차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가 선행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선행 구독들은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에 기초하여 삭제될 여지가 있고, 교차 구독도 삭제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제 1 구독 및 제 2 구독에 대한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가 재조정될 필요성이 있다. 일 예로, 상술한 경우를 고려하여 교차 구독 리소스를 생성하는 경우, 만료 카운터 재조정 속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만료 카운터 재조정 속성은 선행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를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속성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행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를 교차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로 재작성(Rewrite)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교차 구독이 선행 구독에 의해 삭제되거나 무의미해지는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1 구독 및 제 2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가 재조정되는 동작과 별개로 제 1 구독 및 제 2 구독에 대한 현재 통지수에 대한 확인이 필요할 수 있다. 이때, 남아 있는 통지 수가 교차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보다 작은 경우, 현행 통지 발행 수를 리셋될 수 있다.
제 1 값 < 제 3 값 < 제 2 값인 경우
상술한 경우, 교차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는 특정 선행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보다 크고, 다른 선행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선행 구독으로서 제 1 구독이 삭제되는 경우, 교차 구독도 삭제될 수 있다. 따라서, 교차 구독이 만료되지 않도록 상술한 만료 카운터 재조정 속성을 교차 구독 리소스 생성시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만료 카운터 재조정 속성에 기초하여 제 1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는 교차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로 재작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1 구독 및 제 2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가 재조정되는 동작과 별개로 제 1 구독 및 제 2 구독에 대한 현재 통지 수에 대한 확인이 필요할 수 있다. 이때, 남아 있는 통지 수가 교차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보다 작은 경우, 현행 통지 발행 수를 리셋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경우에 따라 교차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를 고려하여 선행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 및 현재 발행 통지 수가 조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처럼 각각의 경우를 고려하여 서로 다르게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동작의 편의를 위해 교차 구독이 생성되는 경우에 선행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값과 무관하게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교차 구독이 생성되는 경우, 상술한 만료 카운터 재조정 속성에 기초하여 선행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은 교차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로 재작성될 수 있다. 즉, 선행 구독은 교차 리소스가 생성되면 교차 리소스에 종속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바, 기존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과 무관하게 교차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로 재작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교차 구독이 생성되는 경우,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선행 구독의 현재 통지 발행 수는 새롭게 카운팅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교차 리소스가 생성되는 경우, 선행 구독의 현재 통지 발행 수와 교차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 값을 비교하지 않고, 선행 구독의 현재 통지 발행 수가 리셋될 수 있다.
즉, 교차 구독이 생성되는 경우, 선행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값이 교차 구독의 만료 카운터 (expirationCounter)로 재작성되고, 선행 구독의 현재 통지 발행 수는 재작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100)은 메모리(1110), 프로세서(1120), 송수신부(1130) 및 주변 장치(1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바이스(1100)는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일 예로, 디바이스는 상술한 M2M 시스템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1의 디바이스(1100)는 M2M 디바이스, M2M 게이트웨이 및 M2M 서버와 같은 M2M 네트워크 노드의 예시적인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메모리(1110)는 비이동식 메모리 또는 이동식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주변 장치(1140)는 디스플레이, GPS 또는 다른 주변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디바이스(1100)는 노드일 수 있다. 이때, 노드는 송수신부(1130)와 같이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프로세서(1120)는 범용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코어,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ASIC들(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회로들, 임의의 다른 유형의 IC(integrated circuit) 및 상태머신과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즉, 상술한 디바이스(1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역할을 수행하는 하드웨어적/소프트웨어적 구성일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20)는 노드의 다양한 필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1110) 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120)는 신호 코딩, 데이터 처리, 전력 제어, 입출력 처리 및 통신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20)는 물리 계층, MAC 계층, 어플리케이션 계층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프로세서(1120)는 액세스 계층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계층 등에서 인증 및 보안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프로세서(1120)는 송수신부(1130)를 통해 다른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120)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의 실행을 통해 노드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수행되는 통신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다른 노드들은 M2M 게이트웨이, M2M 서버 및 그 밖의 다른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일 예로, 송수신부(1130)는 안테나를 통해 RF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다양한 통신망에 기초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안테나 기술로서 MIMO 기술, 빔포밍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송수신부(1130)를 통해 송수신한 신호는 변조 및 복조되어 프로세서(1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3은 디바이스에 대한 장치 구성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메모리 및 RAM, ROM 및 네트워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그 밖에 이동식 메모리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프로세서는 상술한 메모리들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명령을 수행하고, 본 발명의 상술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전원 등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고, 주변 장치들에 의해 입력 정보 등을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디바이스는 GPS 등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및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바이스는 기타 입력 장치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디바이스 : 1100 메모리 : 1110
프로세서 : 1120 송수신부 : 1130
주변장치 : 1140

Claims (20)

  1. 교차 리소스 구독에 기초하여 호스트가 구독자에게 통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차 리소스 구독에 대한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 및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의 순서를 나타내며;
    상기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 각각을 만족하는 각각의 이벤트를 디텍트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이 상기 순서에 따라 만족된 경우, 상기 교차 리소스 구독에 대한 통지를 상기 구독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차 리소스 구독에 기초한 통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 각각을 만족하는 상기 각각의 이벤트가 타임 윈도우(Time Window) 내에 디텍트되는 경우에만 상기 교차 리소스 구독에 대한 상기 통지를 구독자에게 전송하는, 교차 리소스 구독에 기초한 통지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윈도우는 상기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 중 어느 하나의 구독 조건에 대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시작되는, 교차 리소스 구독에 기초한 통지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윈도우는 상기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 중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구독 조건에 대한 이벤트가 디텍트되는 경우에만 시작되는, 교차 리소스 구독에 기초한 통지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구독 조건에 대한 상기 이벤트가 디텍트되어 상기 타임 윈도우가 시작된 경우, 상기 타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 동안 내에 상기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이 상기 순서에 따라 만족되면 상기 교차 리소스 구독에 대한 상기 통지를 상기 구독자에게 전송하는, 교차 리소스 구독에 기초한 통지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상기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 각각에 대한 단일 리소스를 각각의 M2M 엔티티에 요청하고,
    상기 각각의 M2M 엔티티들은 각각의 구독 조건에 기초하여 이벤트가 트리거링되면 상기 단일 리소스에 기초하여 각각의 통지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교차 리소스 구독에 기초한 통지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가 타임 윈도우 내에 상기 각각의 M2M 엔티티로부터 상기 각각의 통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호스트는 상기 교차 리소스 구독에 대한 상기 통지를 상기 구독자에게 전송하는, 교차 리소스 구독에 기초한 통지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리소스 구독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교차 리소스 구독에 대한 만료 카운터(expirationCounter)가 설정되는, 교차 리소스 구독에 기초한 통지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이 설정되기 전에 상기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관련된 선행 구독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선행 구독에 대한 만료 카운터(expirationCounter)는 상기 교차 리소스 구독에 대한 상기 만료 카운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되는, 교차 리소스 구독에 기초한 통지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 구독에 대한 상기 만료 카운터는 상기 교차 리소스 구독에 대한 상기 만료 카운터로 재작성(Rewrite)되는, 교차 리소스 구독에 기초한 통지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 구독에 대한 상기 만료 카운터가 상기 교차 리소스 구독에 대한 상기 만료 카운터보다 작은 경우에만 상기 교차 리소스 구독에 대한 상기 만료 카운터로 재작성되는, 교차 리소스에 기초한 통지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 구독에 대한 상기 만료 카운터가 상기 교차 리소스 구독에 대한 상기 만료 카운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되는 경우, 상기 선행 구독에 대한 현재 통지 발행 수는 리셋되는, 교차 리소스 구독에 기초한 통지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 구독에 대한 상기 현재 통지 발행 수에 기초하여 남은 통지 수가 상기 교차 리소스 구독의 상기 만료 카운터보다 작은 경우에만 상기 선행 구독에 대한 상기 현재 통지 발행 수가 리셋되는, 교차 리소스 구독에 기초한 통지 방법.
  14. 교차 리소스 구독에 기초하여 구독자에게 통지를 전송하는 호스트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교차 리소스 구독에 대한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을 설정하고,
    상기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 각각을 만족하는 각각의 이벤트를 디텍트하고,
    상기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이 지정된 순서에 따라 만족된 경우, 상기 교차 리소스 구독에 대한 통지를 상기 구독자에게 전송하되,
    상기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은 상기 지정된 순서를 나타내는 우선 순위를 갖는, 호스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 각각을 만족하는 상기 각각의 이벤트가 타임 윈도우(Time Window) 내에 디텍트되는 경우에만 상기 교차 리소스 구독에 대한 상기 통지를 구독자에게 전송하는, 호스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윈도우는 상기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 중 어느 하나의 구독 조건에 대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시작되는, 호스트.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윈도우는 상기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 중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구독 조건에 대한 이벤트가 디텍트되는 경우에만 시작되는, 호스트.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구독 조건에 대한 상기 이벤트가 디텍트되어 상기 타임 윈도우가 시작된 경우, 상기 타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 동안 내에 상기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이 상기 지정된 순서에 따라 만족되면 상기 교차 리소스 구독에 대한 상기 통지를 상기 구독자에게 전송하는, 호스트.
  19. 교차 리소스 구독에 기초하여 구독자가 호스트로부터 통지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에 기초하여 교차 리소스 구독 요청을 호스트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이 지정된 순서에 따라 만족되는 경우, 상기 교차 리소스 구독에 대한 통지를 상기 호스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통지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구독 조건은 상기 복수 개의 구독 조건에 대한 상기 지정된 순서를 나타내는 우선 순위를 갖는, 방법.
  20. 교차 리소스 구독에 기초하여 호스트로부터 통지를 수신하는 구독자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에 기초하여 교차 리소스 구독 요청을 호스트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이 지정된 순서에 따라 모두 만족되는 경우, 상기 교차 리소스 구독에 대한 통지를 상기 호스트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통지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복수 개의 구독 조건들은 상기 복수 개의 구독 조건에 대한 상기 지정된 순서를 나타내는 우선 순위를 갖는, 구독자.
KR1020190015652A 2019-02-11 2019-02-11 구독 및 통지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98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652A KR102598045B1 (ko) 2019-02-11 2019-02-11 구독 및 통지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202080013622.1A CN113412634A (zh) 2019-02-11 2020-02-11 用于订阅和通知的方法和设备
PCT/KR2020/001882 WO2020166927A1 (ko) 2019-02-11 2020-02-11 구독 및 통지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7/426,280 US11937206B2 (en) 2019-02-11 2020-02-11 Method and device for subscribing and notifying
EP20756307.3A EP3908016A4 (en) 2019-02-11 2020-02-11 METHOD AND DEVICE FOR SUBSCRIBE AND NOTIF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652A KR102598045B1 (ko) 2019-02-11 2019-02-11 구독 및 통지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046A KR20200098046A (ko) 2020-08-20
KR102598045B1 true KR102598045B1 (ko) 2023-11-02

Family

ID=72044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652A KR102598045B1 (ko) 2019-02-11 2019-02-11 구독 및 통지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37206B2 (ko)
EP (1) EP3908016A4 (ko)
KR (1) KR102598045B1 (ko)
CN (1) CN113412634A (ko)
WO (1) WO20201669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011B1 (ko) * 2021-02-24 2023-07-20 주식회사 더트라이브 차량 구독 서비스에 제공되는 차량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2157B1 (en) * 1999-03-24 2002-12-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erfetching data in a bridge system
US9141628B1 (en) * 2008-11-07 2015-09-22 Cloudlock, Inc. Relationship model for modeling relationships between equivalent objects accessible over a network
US20130188483A1 (en) * 2012-01-20 2013-07-25 Alcatel-Lucent Canada, Inc. Resource Threshold Overload Protection
CN105210344B (zh) * 2013-05-16 2018-09-18 Lg电子株式会社 在m2m通信系统中的定制和通知方法和用于该方法的设备
EP3039888B1 (en) * 2013-08-29 2021-07-21 Convida Wireless, LLC Internet of things even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9723429B2 (en) * 2013-09-27 2017-08-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livering notification messages in M2M system and devices for same
WO2016039549A1 (ko) 2014-09-12 2016-03-17 주식회사 케이티 M2m 시스템에서 위치정보 업데이트 주기를 변경하는 방법
WO2017087367A1 (en) * 2015-11-16 2017-05-26 Convida Wireless, Llc Cross-resource subscription for m2m service layer
KR20190002340A (ko) * 2017-06-29 2019-01-08 주식회사 케이티 M2m 시스템에서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04233A (ko) * 2017-07-03 2019-01-11 주식회사 케이티 M2m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852727B1 (ko) 2017-07-28 2018-04-27 전자부품연구원 크로스-리소스 구독 관리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1(oneM2M, oneM2M(oneM2M-TS-0004-V1.13.0),2018.03.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66927A1 (ko) 2020-08-20
EP3908016A1 (en) 2021-11-10
CN113412634A (zh) 2021-09-17
EP3908016A4 (en) 2022-10-05
US11937206B2 (en) 2024-03-19
KR20200098046A (ko) 2020-08-20
US20210400629A1 (en)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3429B2 (en) Method for delivering notification messages in M2M system and devices for same
KR102182167B1 (ko) M2m 서비스 설정 변경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883400B2 (en) Method for subscription and notification in M2M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9900728B2 (en) Method for subscription and notification in M2M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KR101740449B1 (ko) M2m(machine-to-machine)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 변경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9242574A1 (zh) 一种物联网业务路由的方法
KR102597410B1 (ko)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EP3213535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rvice layer charging correlation with underlying networks
EP3120499A1 (en) Resource and attribute management in machine to machine networks
US109174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system
KR102598045B1 (ko) 구독 및 통지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262098A1 (en) Packet flow descriptor provisioning
KR20150062903A (ko) 컨테이너 제어 메시지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m2m 시스템의 사업자간 정산, 네트워크 효율 향상, 긴급 데이터를 구분하여 대응하는 방법 및 응용 분야를 구분하는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