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788B1 - Paper money classific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Paper money classifica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788B1
KR102213788B1 KR1020190137626A KR20190137626A KR102213788B1 KR 102213788 B1 KR102213788 B1 KR 102213788B1 KR 1020190137626 A KR1020190137626 A KR 1020190137626A KR 20190137626 A KR20190137626 A KR 20190137626A KR 102213788 B1 KR102213788 B1 KR 102213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
storage box
plate part
plate portion
mo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6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서
Original Assignee
이경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서 filed Critical 이경서
Priority to KR1020190137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78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7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nknote sorting device includes: a banknote inserter into which banknotes are inserted; a banknote recognizer for recognizing the type of banknotes put into the banknote inserter; a banknote sorter for classifying the banknotes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banknote recognizer; and a banknote storage box for storing the banknotes sorted by the banknote sorter.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classifies the banknotes according to the types of banknotes recognized by the banknote recognizer.

Description

지폐 분류 장치{PAPER MONEY CLASSIFICATION APPARATUS}Bill sorting device {PAPER MONEY CLASSIF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지폐 분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지폐 투입시 자동으로 지폐를 권종별로 분류하는 지폐 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l sort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bill sorting device for automatically classifying bills by volume when bills are input.

일반적으로 자판기는 지폐투입기와 지폐인식기, 지폐보관함을 구비하고 있다. In general, vending machines are equipped with a bill dispenser, a bill recognizer, and a bill storage box.

종래는 자판기에 지폐를 투입하면, 지폐투입기로 투입된 지폐의 종류를 인식한 뒤에 지폐는 지폐투입기 아래에 있는 지폐 보관함으로 떨어진다. Conventionally, when a banknote is inserted into a vending machine, the banknote is dropped into a banknote storage box under the banknote dispenser after recognizing the type of banknote inserted by the banknote dispenser.

그러나 종래는 투입된 지폐의 종류와 상관없이 모두 한 개의 지폐보관함에 보관하기 때문에, 나중에 별도로 지폐를 분류하는 작업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한편,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5791464호(2015.10.07.)에는 지폐 처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since all banknotes are stored in one banknote storage box regardless of the type of banknotes inp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separate banknotes later. On the other hand,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791464 (2015.10.07.) discloses a bill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지폐투입시, 지폐인식기에서 인식한 지폐의 종류에 따라 지폐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지폐 분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ll sort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sorts bills according to the type of bills recognized by a bill recognizer when bills are inserted.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understandable.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분류 장치는 지폐가 투입되는 지폐투입기; 상기 지폐투입기에 투입된 지폐의 종류를 인식하는 지폐인식기; 상기 지폐인식기의 인식정보에 따라 지폐를 분류하는 지폐분류기; 및 상기 지폐분류기에 의해 분류된 지폐를 보관하는 지폐보관함;을 포함한다.The bil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ill dispenser into which bills are inserted; A bill recognizer for recognizing the type of bills inserted into the bill dispenser; A bill sorter for classifying bills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ill recognizer; And a bill storage box for storing bills classified by the bill sorting machine.

상기 지폐투입기는: 상기 지폐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고정플레이트부;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의 선단에 위치하는 투입부;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의 후단에 위치하는 방출부; 및 상기 투입부와 고정플레이트부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하는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ll dispenser includes: a fixed plate portion providing a moving path of the bill; An input part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fixed plate part; A discharge part located at a rear end of the fixed plate part; And stepped portions position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input portion and the fixed plate portion.

상기 지폐분류기는: 상기 지폐인식기의 인식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한 신호에 따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부; 및 상기 방출부와 회전이 가능한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플레이트부; 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ll sort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ill recognizer; A driving unit that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another direction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And a rotation plate part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rt by a rotatable hinge and rotating in one direction and another direct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driving part. It may include.

상기 지폐분류기는: 상기 방출부로부터 지폐를 전달받는 이동플레이트부; 상기 이동플레이트부의 선단에 위치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부와 이동플레이트부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하는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ll sorter includes: a moving plate part receiving bills from the discharge part; A guide part positioned at the tip of the moving plate part; And stepped portions position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plate portion and the moving plate portion.

상기 지폐보관함은 제 1 보관함 및 제 2 보관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보관함과 제 2 보관함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가상의 원의 원주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회전각도에 따라 정렬되며, 상기 미리 정해진 회전각도는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회전각도와 일치할 수 있다.The bill storage box includes a first storage box and a second storage box, and the first storage box and the second storage box are alig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a virtual circle with the hinge as a center, and the predetermined The rotation angle may match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plate part.

상기 회전플레이트부가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이동플레이트부의 후단이 상기 제 1 보관함을 향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부가 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이동플레이트부의 후단은 상기 제 2 보관함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rotating plate par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rear end of the movable plate part may be positioned toward the first storage box, and when the rotation plate part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rear end of the movable plate part may be located toward the second storage box.

상기 방출부는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The width of the discharge unit may be narrowed toward the rear end.

상기 이동플레이트부는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질 수 있다.The movable plate portion may have a wider width toward the rear end.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와 상기 이동플레이트부를 연결하는 벨로우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bellows connecting the fixed plate portion and the moving plate portion.

상기 이동플레이트부의 폭이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의 폭보다 더 넓게 위치하 수 있다.The width of the movable plate portion may be positioned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ixed plate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으로 지폐의 권종별로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lassify bills by volume type.

특히, 지폐분류기의 방출부가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고, 이동플레이트부는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제작하여 작동시 충돌이 생기지 않아 장치의 작동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particular, the discharge part of the bill sorter has a shape that narrows the width toward the rear end, and the moving plate part is manufactured so that the width becomes wider toward the rear end, so that there is no collision during operation, so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operating life of the device.

또한, 고정플레이트부와 이동플레이트부를 연결하는 벨로우즈 설치를 통해, 지폐가 분류되면서 다른곳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rough the installation of bellows connecting the fixed plate portion and the moving plate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ills from falling to other places while being classified.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인식기와 지폐분류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분류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분류기가 회전하지 않았을 때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분류기가 일방향으로 회전 작동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분류기가 타방향으로 회전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로우즈를 포함하는 지폐분류기가 회전하지 않았을 때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로우즈를 포함하는 지폐분류기가 일방향으로 회전 작동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로우즈를 포함하는 지폐분류기가 타방향으로 회전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bill recognizer and a bill s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bill sort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when the bill sorter does not ro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bill sorting machine rotated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bill s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rotating in another direc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when a bill sorter including a bellows does not ro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bill sorter including a bellow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rotating in one direction.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when a bill sorter including a bellows rotates in another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 of the element in the drawings has been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for clarifying the solution to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ased 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ame in assign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the drawings For the components, even if they are on different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and it should be noted in advance that components of other drawings may be referred to when necessary when describing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는 외부 전면부에 지폐투입기(100)가 위치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in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ill dispenser 100 is positioned on an outer front 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는, 이용자가 상기 지폐투입기(100)에 지폐를 투입하면, 자판기 내부에 위치한 지폐인식기(200)에서 지폐의 권종을 인식하고, 지폐분류기(300)에서 인식된 지폐의 권종에 따라 지폐보관함(400)에 지폐를 보관한다.In th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inserts a bill into the bill dispenser 100, the bill recognizer 200 located inside the vending machine recognizes the type of bill, and the bill sorter 300 recognizes the bill. Banknotes are stored in the banknote storage box 400 according to the type of banknote.

이하, 본 발명에서 별도의 설명이 기재되어 있지 않아도, 지폐분류기(300)가 자판기에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선단 또는 선단방향(A)은 지폐투입기(100) 방향을 의미하고, 후단 또는 후단방향(B)은 지폐보관함(400) 방향을 의미한다.Hereinafter, even if a separate description is not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nd or front end direction (A) refers to the direction of the bill dispenser 100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bill sorter 300 is installed in the vending machine, and the rear end or rear end direction (B) refers to the direction of the bill storage box 40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인식기(200)와 지폐분류기(3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지폐인식기(200)는 지폐가 투입되는 부분에 한 쌍의 광센서(미도시)를 배치하고, 상기 광센서에서 인식되는 광량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지폐가 투입되는 것을 인식한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bill recognizer 200 and a bill sort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ll recognizer 200 arranges a pair of optical sensors (not shown) at a portion into which the bill is inserted, and recognizes that the bill is inserted using a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recognized by the optical sensor.

지폐가 투입되면, 상기 지폐인식기(200) 내부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광센서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자기센서(미도시)를 지폐인식기 내부에 더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bill is inserted, the bill recognizer 2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ptical sensor and at least one magnetic sensor (not shown) inside the bill recognizer.

상기 광센서와 상기 자기센서를 이용하여 지폐가 상기 지폐인식기(200) 내부를 통과할 때, 지폐의 두께나 색에 따라 달라지는 빛의 양을 감지하고 지폐의 가장자리에 분포해 있는 자기성분을 측정한다. When a bill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bill recognizer 200 using the optical sensor and the magnetic sensor, the amount of light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r color of the bill is sensed, and the magnetic component distributed on the edge of the bill is measured. .

상기 측정된 빛의 투과량과 자기성분 값은, 미리 저장된 지폐의 권종별 빛의 투과량과 자기성분 값과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지폐의 권종을 식별한다.The measured light transmission amount and magnetic component value are compared with the light transmission amount and magnetic component values for each type of bill stored in advance to finally identify the bill type of the bill.

한편, 상기 지폐인식기(200)에서 식별된 지폐 권종 정보는 상기 지폐분류기(300)의 제어부(310)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310)는 전달받은 지폐 권종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회전각도에 따라 회전플레이트부(330)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부(320)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bill type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bill recognizer 20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10 of the bill sorter 300. The control unit 310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320 to rotate the rotation plate unit 330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according to a previously stored rotation angle using the received bill type information.

또한, 지폐분류기(300)를 효율적으로 작동하기 위하여, 가장 많이 투입되는 지폐 권종을 미리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가장 많이 투입되는 지폐 권종이 투입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10)에서 회전플레이트부(330)를 움직이는 구동부가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n order to efficiently operate the bill sorter 300, it is possible to input the most input bill type in advance. In the case where the most input bill type is inpu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ntrol unit 310 to stop the driving unit moving the rotating plate unit 33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분류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bill sort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폐투입기(100)와 상기 지폐분류기(300)의 회전플레이트부(330)는 힌지(500)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bill dispenser 100 and the rotating plate portion 330 of the bill sorter 3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inge 500.

또한, 지폐인식기(200)는 자판기 전면덮개부(20)의 후단에 위치하고, 상기 지폐투입기(100)를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ill recognizer 200 may be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vending machine front cover part 20 and may be in a form surrounding the bill dispenser 100.

상기 지폐투입기(100)는 상기 지폐투입기(100)선단에 위치하는 투입부(101), 지폐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고정플레이트부(102), 상기 투입부와 고정플레이트부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하는 단차부(103), 고정플레이트부의 후단에 위치하는 방출부(104)로 구성될 수 있다.The banknote inserter 100 includes an input unit 101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banknote inserter 100, a fixed plate unit 102 providing a moving path of the banknote, and one and the other side of the input unit and the fixed plate unit. It may be composed of a stepped portion 103 and a discharge portion 104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fixed plate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출부(104)는 지폐(10)가 잘 이동할 수 있도록 후단이 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ing portion 104 may be formed in a square shape so that the bill 10 can move easily.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출부(104)는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discharge unit 104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rear end.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회전플레이트부(330)가 회전할 때에,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rotating plate portion 330 rotates,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a collision from occurring.

상기 지폐분류기(300)의 회전플레이트부(330)는 상기 회전플레이트부(330) 선단에 위치하는 가이드부(331), 지폐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이동플레이트부(332), 이동플레이트부(332)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하는 단차부(333)로 구성된다.The rotating plate part 330 of the bill sorting machine 300 includes a guide part 331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rotating plate part 330, a moving plate part 332 providing a moving path for bills, and a moving plate part 332. ) Consists of a stepped portion 333 loca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상기 이동플레이트부(332)의 중앙에는 지폐를 이동시키기 위한 롤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roller 600 for moving the bill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center of the moving plate part 33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플레이트부(332)는 지폐(10)가 잘 이동할 수 있도록 선단이 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plate portion 332 may be formed in a square shape so that the bill 10 can move easily.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플레이트부(332)는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movable plate portion 332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becomes wider toward the rear end.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회전플레이트부(330)가 회전할 때에,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a collision from occurring when the rotating plate portion 330 rotat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전플레이트부(330)에서 낙하하는 지폐를 보관하는 지폐보관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폐보관함(400)은 제 1 보관함, 제 2 보관함 및 제 3 보관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bill storage box 400 for storing bills falling from the rotating plate portion 330. The bill storage box 400 may include a first storage box, a second storage box, and a third storage box.

상기 제 1 보관함, 제 2 보관함 및 제 3 보관함은 전면, 후면 및 좌우 양측벽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지폐가 잘 보관될 수 있도록 전면이 선단방향으로 일부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The first storage box, the second storage box, and the third storage box have front, rear, and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the front may be partially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tip so that bills can be well stored. I can.

상기 제 1 보관함, 제 2 보관함 및 제 3 보관함은 상기 힌지(500)를 중심으로 하여, 가상의 원의 원주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회전각도에 따라 정렬되며, 상기 미리 정해진 회전각도는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회전각도와 일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The first storage box, the second storage box, and the third storage box are alig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virtual circle, with the hinge 500 as the center, and the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is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part. Can be placed to match the angle.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지폐 분류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to 9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il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을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폐투입기(100)로 지폐(10)가 투입되면, 지폐의 권종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지폐인식기(200)를 통과한다.4 to 6, when the bill 10 is inserted into the bill dispens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passes through the bill recognizer 200 to determine the type of bill.

상기 지폐인식기(200)는 지폐의 권종을 파악하여 지폐분류기(300)의 제어부(310)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310)에서는 입력된 지폐 권종에 따라 지폐분류기(300)의 구동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The bill recognizer 200 recognizes the type of bill and transfers it to the control unit 310 of the bill sorter 300, and the control unit 310 controls the driving unit 320 of the bill sorter 300 according to the input bill type. Can be controlled.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권종에 따른 제어 방법을 미리 정할 수 있으며, 가장 많이 투입되는 권종은 제 1 권종, 가장 금액이 큰 권종은 제 2 권종 및 두번째로 큰 금액은 제 3 권종으로 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10 may pre-determine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type of ticket, and the most input type is the first type, the largest type is the second type, and the second largest type is the first type. It can be decided by 3 types.

상기 제어부(310)에서는 상기 지폐인식기(200)에서 인식된 지폐(10)의 권종이 제 1 권종과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310)에서 제 1 권종이 투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구동부(320)를 정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10 may check whether the type of the banknote 10 recognized by the banknote recognizer 200 matches the type of the first book, and when the control unit 310 determines that the type of the first book has been input, the driving unit 320 ) Can be stopped.

상기 구동부(320)가 정지함에 따라, 상기 회전플레이트부(330)는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방출부(104)를 통해 방출되는 지폐(10)는 상기 가이드부(331), 상기 이동플레이트부(332)를 지나 상기 제 2 보관함(420)으로 낙하할 수 있다. As the driving part 320 stops, the rotation plate part 330 may be fixed. Accordingly, the bills 10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ing part 104 may fall into the second storage box 420 through the guide part 331 and the moving plate part 332.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회전플레이트부(330)는 투입 빈도수가 높은 제 1 권종이 투입되면 정지하고, 제 2 권종 또는 제 3 권종이 투입된 때에만 상기 구동부(320)가 작동하기 때문에, 가장 효율적으로 지폐를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rotating plate unit 330 stops when the first volume type with a high input frequency is input, and the driving unit 320 operates only when the second volume type or the third volume type is input, so that the most efficient It is possible to sort bills.

상기 제 1 권종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10)에서는 상기 구동부(320)를 미리 정해진 각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구동부(320)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플레이트부(330)는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the first volume type, the control unit 310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320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ly, as the driving unit 320 operates, the rotation plate unit 330 may rotate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상기 지폐(10)는 상기 회전플레이트부(330)가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단차부(333)를 따라, 상기 가이드부(331), 상기 이동플레이트부(332)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동한 상기 지폐(10)는 상기 이동플레이트부(332)를 지나 상기 제 1 지폐보관함(410)으로 낙하할 수 있다. When the rotation plate part 330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bills 10 may move along the stepped part 333 through the guide part 331 and the moving plate part 332. As a result, the moved bills 10 may pass through the moving plate portion 332 and fall into the first bill storage box 410.

상기 회전플레이트부(3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이동플레이트부(332)의 후단은 상기 제 1 보관함을 향하도록 상기 제 1 보관함을 배치할 수 있다.When the rotating plate part 330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first storage box may be disposed so that the rear end of the moving plate part 332 faces the first storage box.

상기 지폐(10)는 상기 회전플레이트부(330)가 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단차부(333)를 따라, 상기 가이드부(331), 상기 이동플레이트부(332)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동한 상기 지폐(10)는 상기 이동플레이트부(332)를 지나 상기 제 3 지폐보관함(430)으로 낙하할 수 있다. When the rotation plate part 330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the bill 10 may move along the stepped part 333 through the guide part 331 and the moving plate part 332. As a result, the moved bill 10 may pass through the moving plate portion 332 and fall into the third bill storage box 430.

또한, 상기 회전플레이트부(33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이동플레이트부(332)의 후단은 상기 제 3 보관함(430)을 향하도록 상기 제 3 보관함(430)을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otation plate part 330 rotates in another direction, the third storage box 430 may be disposed so that the rear end of the moving plate part 332 faces the third storage box 430.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동플레이트부(330)와 상기 제 1 보관함 또는 상기 제 3 보관함과의 틈새를 줄일 수 있어, 상기 지폐(10)가 낙하시 상기 제 1 보관함 또는 상기 제 3 보관함 외부로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gap between the movable plate part 330 and the first storage box or the third storage box can be reduced, so that when the bills 10 fall, they are removed from the first storage box or the third storage box. Can be prevented.

도 7 내지 도 9를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 분류장치는 작동함에 있어서, 상기 방출부(104)와 상기 가이드부(331)를 덮는 벨로우즈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7 to 9, in operation, the bill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bellows part 700 covering the discharge part 104 and the guide part 331.

상기 벨로우즈부(700)는 회전플레이트부(330)의 회전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The bellows part 700 may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plate part 330.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회전플레이트부(102)와 상기 방출부(104)를 통과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부(330)로 지폐가 이동함에 있어서, 상기 지폐(10)가 상기 방출부(104)와 상기 가이드부(331)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bill is moved to the moving plate part 330 through the rotating plate part 102 and the discharge part 104, the bill 10 is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part 104 It is possible to prevent falling from the guide part 331.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shows and describe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disclosed contents, and/or the skill or knowledge of the ar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escribe the best stat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required in the specific application fields and 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 In addition,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mbodiments.

100: 지폐투입기
101: 투입부
102: 고정플레이트부
103: 단차부
104: 방출부
200: 지폐인식기
300: 지폐분류기
310: 제어부
320: 구동부
330: 회전플레이트부
331: 가이드부
332: 이동플레이트부
400: 지폐보관함
500: 힌지
600: 롤러
700: 벨로우즈
100: bill inserting machine
101: input
102: fixed plate portion
103: step portion
104: discharge unit
200: bill recognizer
300: bill sorter
310: control unit
320: drive unit
330: rotating plate part
331: guide part
332: moving plate part
400: banknote box
500: hinge
600: roller
700: bellows

Claims (10)

지폐가 투입되는 지폐투입기;
상기 지폐투입기에 투입된 지폐의 종류를 인식하는 지폐인식기;
상기 지폐인식기의 인식정보에 따라 지폐를 분류하는 지폐분류기; 및
상기 지폐분류기에 의해 분류된 지폐를 보관하는 지폐보관함;
을 포함하고,
상기 지폐투입기는:
상기 지폐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고정플레이트부;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의 선단에 위치하는 투입부;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의 후단에 위치하는 방출부; 및
상기 투입부와 고정플레이트부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하는 단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폐분류기는:
상기 지폐인식기의 인식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한 신호에 따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부; 및
상기 방출부와 회전이 가능한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플레이트부;
를 포함하는 지폐 분류 장치.
A bill dispenser into which bills are inserted;
A bill recognizer for recognizing a type of bill inserted into the bill dispenser;
A bill sorter for classifying bills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ill recognizer; And
A banknote storage box for storing banknotes classified by the banknote sorter;
Including,
The bill dispenser:
A fixed plate part providing a moving path of the bills;
An input part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fixed plate part;
A discharge part located at a rear end of the fixed plate part; And
A step portion position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input portion and the fixed plate portion;
Including,
The bill sorter:
A control unit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ill recognizer;
A driving unit rotating in one direction and another direction according t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And
A rotating plate part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rt by a rotatable hinge and rotating in one direction and another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part;
Bill sorting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분류기는:
상기 방출부로부터 지폐를 전달받는 이동플레이트부;
상기 이동플레이트부의 선단에 위치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부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하는 단차부;
를 포함하는 지폐 분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ill sorter:
A moving plate part receiving a bill from the discharge part;
A guide part positioned at the tip of the moving plate part; And
A step portion position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plate portion;
Bill sorting device comprising a.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보관함은 제 1 보관함, 제 2 보관함 및 제 3 보관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보관함, 제 2 보관함 및 제 3 보관함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가상의 원의 원주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회전각도에 따라 정렬되며,
상기 미리 정해진 회전각도는 상기 회전플레이트부의 회전각도와 일치하는 지폐 분류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bill storage box includes a first storage box, a second storage box, and a third storage box,
The first storage box, the second storage box, and the third storage box are alig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virtual circle, with the hinge as the center,
The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coincides with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plate por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부가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이동플레이트부의 후단이 상기 제 1 보관함을 향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부가 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이동플레이트부의 후단은 상기 제 3 보관함을 향하는 지폐 분류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rotating plate part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rear end of the moving plate part faces the first storage box,
When the rotating plate portion rotates in another direction, the rear end of the moving plate portion faces the third storage box.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부는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지폐 분류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 bill sorting device whose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rear end of the discharge uni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부는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지폐 분류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A bill sorting device in which the width of the moving plate portion increases toward a rear end.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와 상기 이동플레이트부를 연결하는 벨로우즈를 더 포함하는 지폐 분류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Bill sor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bellows connecting the fixed plate portion and the moving plate portion.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부의 폭이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의 폭보다 더 넓은 지폐 분류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Bill sorting device in which the width of the moving plate part is wider than that of the fixed plate part.
KR1020190137626A 2019-10-31 2019-10-31 Paper money classification apparatus KR1022137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626A KR102213788B1 (en) 2019-10-31 2019-10-31 Paper money classific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626A KR102213788B1 (en) 2019-10-31 2019-10-31 Paper money classification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788B1 true KR102213788B1 (en) 2021-02-08

Family

ID=74560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626A KR102213788B1 (en) 2019-10-31 2019-10-31 Paper money classifica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78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6522A (en) * 1998-08-28 2000-03-14 Fuji Electric Co Ltd Money insertion slot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JP2001163505A (en) * 1999-12-10 2001-06-19 Shigetaro Muraoka Note strage device for plural kinds of money
JP5791464B2 (en) * 2011-11-02 2015-10-07 Necマグナ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Banknote holding and separating mechanism and reflux-type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6023418A (en) * 2016-05-06 2016-10-12 常州大学 Rotary banknote sort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6522A (en) * 1998-08-28 2000-03-14 Fuji Electric Co Ltd Money insertion slot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JP2001163505A (en) * 1999-12-10 2001-06-19 Shigetaro Muraoka Note strage device for plural kinds of money
JP5791464B2 (en) * 2011-11-02 2015-10-07 Necマグナ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Banknote holding and separating mechanism and reflux-type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6023418A (en) * 2016-05-06 2016-10-12 常州大学 Rotary banknote sor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39766B2 (en) Money sorting device
US7014105B2 (en) Bill handling machine
KR100386464B1 (en) Apparatus for sorting paper currency
US7698880B2 (en) Coin wrapping machine
US20090008215A1 (en) "money item dispensing apparatus"
US20100032351A1 (en) Method for destroying banknotes
US8915346B2 (en) Device for handling notes of value, comprising two intermediate storage units for the intermediate storage of notes of value
US7073653B2 (en) Coin handling machine
JPS6327759B2 (en)
KR100391923B1 (en) A coin wrapping machine
KR102213788B1 (en) Paper money classification apparatus
KR20100109347A (en) Conveying direction converting device and paper sheet conveying device
KR20070052982A (en) Method for classifying and counting paper money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for executing the method
KR20060101937A (en) Cash dispensing machine for having denomination classifying function
JPH10143705A (en) Machine for identifying paper sheet
EP3373255B1 (en) Sheet handling apparatus
KR200407439Y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for classifying and counting paper money
KR102357061B1 (en)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492407B1 (en) Banknote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14123032U (en) Intelligent coin counting machine
EP3651125B1 (en) Banknote processing device and banknote processing method
JPH10162196A (en) Coin processor
JP2001143121A (en) Coin wrapping machine
JPH10320607A (en) Method and device for discriminating money
JP2002008088A (en) Coin storage/pay-o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