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157B1 - 음료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157B1
KR102213157B1 KR1020180083133A KR20180083133A KR102213157B1 KR 102213157 B1 KR102213157 B1 KR 102213157B1 KR 1020180083133 A KR1020180083133 A KR 1020180083133A KR 20180083133 A KR20180083133 A KR 20180083133A KR 102213157 B1 KR102213157 B1 KR 102213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cartridge
locking lever
hook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8892A (ko
Inventor
박상욱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80083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15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42Cartridge magazin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되며, 카트리지를 수용할 수 있는 카트리지 수용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홀더, 상기 제1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카트리지 수용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카트리지 수용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전환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된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및 상기 핸들의 회동에 연동되어 동작하며, 상기 제2 바디의 회동을 잠그거나 또는 허용하도록 구성된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핸들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 바디의 회동을 잠그는 잠금 위치로부터 상기 제2 바디의 회동을 허용하는 풀림 위치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음료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료 제조 장치 {Apparatus of manufacturing beverag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음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 장치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려내서 마실 수 있는 각종 음료(예를 들어 홍차, 녹차, 커피 등)는 자연 상태의 각종 천연 재배식물들을 건조한 후, 이에 함유되어 있는 고유한 향미를 음료형태로 추출되어 현대인들의 기호음료로 널리 섭취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음료의 수요 증가에 따라, 커피 또는 차와 같은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캡슐 커피 머신은 캡슐에 들어있는 커피 원두에 뜨거운 물을 가압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에스프레소 원리를 이용한 장치로서, 커피 추출 과정이 편리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개폐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폐 장치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되며, 카트리지를 수용할 수 있는 카트리지 수용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홀더, 상기 제1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카트리지 수용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카트리지 수용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전환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된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및 상기 핸들의 회동에 연동되어 동작하며, 상기 제2 바디의 회동을 잠그거나 또는 허용하도록 구성된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핸들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 바디의 회동을 잠그는 잠금 위치로부터 상기 제2 바디의 회동을 허용하는 풀림 위치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음료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2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핸들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구성된 잠금 레버, 상기 잠금 레버에 맞물려 상기 잠금 레버를 상기 잠금 위치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제1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후크 몸체 및 상기 후크 몸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카트리지 홀더는 상기 제2 바디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하고, 상기 제2 바디의 회동 방향과 반대된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바디는 가이드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홀더는 상기 가이드 아암을 수용하고 상기 가이드 아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의 개폐 장치에 의하면, 핸들을 회동시켜 제2 바디의 회동을 잠그는 잠금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개폐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의 개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는 카트리지 홀더의 회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의 개폐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은 제2 바디(120)가 폐쇄 위치에 고정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제2 바디(120)가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제2 바디(120)가 개방 위치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음료 제조 장치의 개폐 장치(10)는 제1 바디(110), 제2 바디(120), 카트리지 홀더(130), 핸들(140), 및 잠금 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홀더(130)는 제1 바디(110)에 장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 홀더(130)는 커피 원료 또는 차 원료와 같은 음료 원료가 담긴 카트리지(20)를 수용할 수 있는 카트리지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20)로 액체가 주입되어 음료가 추출되는 동안, 카트리지 홀더(130)는 카트리지 수용부에 수용된 카트리지(2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홀더(130)는 제1 바디(1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카트리지 홀더(130)의 회동(pivot)은 제2 바디(120)의 회동에 연동될 수 있으며, 제2 바디(120)의 회동 방향과 반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120)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동안, 제2 바디(120)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하는 카트리지 홀더(1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2 바디(1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동안, 제2 바디(120)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하는 카트리지 홀더(130)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120)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전환되었을 때, 카트리지 홀더(130)는 카트리지(20)의 반입 및 반출이 용이하도록 제1 바디(1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홀더(130)는 카트리지(20)가 안착되는 홀더(133) 및 홀더(133)를 지지하는 홀더 지지체(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홀더(133)는 홀더 지지체(13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또는 홀더(133)는 홀더 지지체(131)와 일체를 이룰 수도 있다.
홀더(133)는 컵(cup)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카트리지 수용부를 정의할 수 있다. 홀더(133)의 하부에는 추출된 음료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가 마련될 수 있다.
홀더 지지체(131)는 제1 바디(1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 지지체(131)는 제1 회동축 (first pivot axis, 130ax)을 가진 제1 샤프트(도 4의 135)를 통해 제1 바디(110)에 연결될 수 있다.
홀더 지지체(131)는 제2 바디(120)의 가이드 아암(121)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 그루브(131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아암(121)이 가이드 그루브(1311)에 안내되어 이동하는 동안, 홀더 지지체(131)는 가이드 아암(121)에 가압되어 회동할 수 있다.
제2 바디(120)는 제1 바디(1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120)는 제2 회동축(120ax)을 가진 제2 샤프트(도 6의 125)를 통해 제1 바디(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바디(120)는 카트리지 수용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카트리지 수용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전환 가능하도록 제1 바디(11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폐쇄 위치는 상기 제2 바디(120)가 제1 바디(110)에 밀착되어 카트리지(20)가 출입하는 카트리지 수용부의 출입구를 폐쇄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 위치는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제2 바디(120)가 제1 바디(110)로부터 일정 각도 회동하여 상기 카트리지 수용부의 출입구를 개방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바디(120)는 제2 바디(120)를 개방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elastic bias)시키는 토션 스프링(도 6의 127)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127)은 제1 바디(110) 및 제2 바디(120)를 연결하는 제2 샤프트(도 6의 125)에 설치되어, 제2 바디(120)를 개방 위치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제2 바디(120)는 잠금 장치(150)가 제2 바디(120)의 회동을 허용하는 경우에만 회동할 수 있다. 잠금 장치(150)가 제2 바디(120)의 회동을 허용하는 경우, 제2 바디(120)는 제1 탄성체(153)에 의해 제공된 탄성력에 의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전환할 수 있다. 잠금 장치(150)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핸들(140)은 잠금 장치(150)를 구동할 수 있다. 즉, 핸들(140)은 제2 바디(120)의 회동을 잠그는 잠금 장치(150)의 잠금 위치(locked position) 및 제2 바디(120)의 회동을 허용하는 잠금 장치(150)의 풀림 위치(unlocked position) 사이에서 잠금 장치(150)를 전환시킬 수 있다.
핸들(140)은 제2 바디(1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140)은 제3 회동축(140ax)을 가진 제3 샤프트(도 6의 145)를 통해 제2 바디(1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바디(120)가 페쇄 위치에 있을 때, 핸들(140)이 제2 바디(120)에 대해 일정 각도 내에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잠금 장치(150)는 잠금 위치와 풀림 위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장치(150)는 핸들(140)의 시계 방향 회동에 의해 잠금 위치에서 풀림 위치로 전환될 수 있고, 또 핸들(140)의 반시계 방향 회동에 의해 풀림 위치에서 잠금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카트리지 홀더(130)의 회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도 4 및 도 5를 순차적으로 참조하여,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는 제2 바디(120)의 회동에 연동된 카트리지 홀더(130)의 회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제2 바디(120)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제1 회동하는 동안, 가이드 아암(121)은 제1 가이드 그루브(1311a)를 따라 제1 화살표(A1)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가이드 그루브(1311a)는 가이드 아암(121)의 이동 궤적과 거의 간섭되지 않도록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아암(121)이 제1 가이드 그루브(1311a)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홀더 지지체(131)는 회동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120)가 개방 위치까지 제2 회동하는 동안, 가이드 아암(121)은 제1 가이드 그루브(1311a)와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가이드 그루브(1311b)를 따라 제2 화살표(A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2 가이드 그루브(1311b)는 제1 가이드 그루브(1311a)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며, 가이드 아암(121)의 이동 궤적과 간섭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아암(121)이 제2 가이드 그루브(1311b)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홀더 지지체(131)는 가이드 아암(121)에 가압되어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120)의 제1 회동 및 제2 회동에 연동된 홀더 지지체(1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홀더 지지체(131)는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하는 제2 바디(120)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할 수 있다. 즉, 제2 바디(120)의 제2 회동에 반대된 제3 회동 동안, 홀더 지지체(131)는 가이드 아암(121)에 가압되어 제1 바디(110) 내에 안착될 때까지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바디(120)의 제1 회동에 반대된 제4 회동 동안, 가이드 아암(121)은 제1 가이드 그루브(1311a)를 따라 제1 가이드 그루브(1311a)의 하단까지 이동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잠금 장치(1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제2 바디(120)가 잠금 장치(150)에 의해 폐쇄 위치에 고정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제2 바디(12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잠금 장치(150)가 풀림 위치에서 잠금 위치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잠금 장치(150)의 잠금 레버(15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잠금 장치(150)는 잠금 레버(151), 제1 탄성체(153), 및 후크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레버(151)는 제2 바디(1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핸들(140)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레버(151)는 제3 샤프트(145)를 통해 핸들(140)과 연결되며, 핸들(140)과 함께 제3 회동축(140ax)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다. 잠금 레버(151)는, 제3 샤프트(145)가 장착된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부(1513)와 하부(1511)를 가질 수 있다. 잠금 레버(151)의 상부(1513) 및 하부(1511)는 제3 샤프트(145)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할 수 있다.
잠금 레버(151)의 상부(1513)는 제1 탄성체(15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탄성체(153)의 일단은 잠금 레버(151)의 상부(1513)에 고정되고, 제1 탄성체(153)의 타단은 제2 바디(120)의 포스트(128)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탄성체(153)는, 예를 들어 인장 스프링일 수 있다. 제1 탄성체(153)는 잠금 레버(151)의 상부(1513)를 상기 포스트(128)를 향해 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잠금 레버(151)의 하부(1511)는 제1 바디(110)에 마련된 후크부(155)에 맞물리는(engage) 부분으로서, 상기 후크부(155)에 맞물리기에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잠금 레버(151)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잠금 레버(151)는 후크부(155)에 맞물려 고정되며, 잠금 레버(151)가 장착된 제2 바디(120)는 폐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잠금 레버(151)가 풀림 위치에 있을 때, 잠금 레버(151)는 후크부(155)로부터 이탈되며, 제2 바디(120)는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후크부(155)는 제1 바디(11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후크 몸체(1551) 및 후크 몸체(1551)를 탄성 지지하는 제2 탄성체(1553)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 몸체(1551)는 제1 바디(110)에 마련된 가이드 홈 내에 장착될 수 있으며, 가이드 홈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탄성체(1553)는 상기 가이드 홈 내의 제1 위치로 후크 몸체(1551)를 탄성 바이어스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탄성체(1553)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후크 몸체(1551)가 잠금 레버(151)의 하부(1511)에 의해 가압될 때, 후크 몸체(1551)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후크 몸체(1551)에 대한 가압이 해제된 경우, 후크 몸체(1551)는 제2 탄성체(1553)의 복원력에 의해 제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잠금 장치(150)가 잠금 위치에서 풀림 위치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체(153)는 잠금 레버(151)의 상부(1513)를 포스트(128)를 향하는 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1 탄성체(153)에 의해, 잠금 레버(151)는 잠금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이때, 잠금 레버(151)의 하부(1511)는 후크부(155)에 맞물려 고정되므로, 잠금 레버(151)가 장착된 제2 바디(120)는 폐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7에 도시되 바와 같이, 핸들(140)이 일정 각도 회동함에 따라, 잠금 레버(151)는 핸들(140)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잠금 레버(151)는 핸들(140)의 회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예를 들어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잠금 레버(151)의 회동에 의해, 잠금 레버(151)의 하부(1511)는 후크부(155)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잠금 장치(150)가 풀림 위치에서 잠금 위치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120)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전환되는 동안, 잠금 레버(151)는 후크부(155)를 향해 하강하게 된다. 제1 탄성체(153)가 잠금 레버(151)의 상부(1513)를 당기는 힘에 의해, 잠금 레버(151)의 하부(1511)는 하강하는 동안 후크 몸체(1551)를 가압하게 된다. 잠금 레버(151)의 하부(1511)에 가압된 후크 몸체(1551)는 제1 위치로부터 뒤로 밀려나게 된다. 이때, 후크 몸체(1551)의 선단부와 접촉하는 잠금 레버(151)의 하부(1511)에는 경사면(1512)이 마련되어, 잠금 레버(151)의 하강 및 후크 몸체(1551)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이후, 잠금 레버(151)의 하부(1511)가 완전히 하강되면, 제2 탄성체(1553)의 복원력에 의해 후크 몸체(1551)는 다시 제1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에서, 후크 몸체(1551)는 잠금 레버(151)의 하부(1511)에 맞물리게 된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잠금 레버(151)는 잠금 레버(151)의 하단에 마련된 스위치 푸쉬 로드(1515)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푸쉬 로드(1515)는, 잠금 레버(151)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제1 바디(110)에 마련된 마이크로 스위치(도시 생략)에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잠금 레버(151)가 풀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스위치 푸쉬 로드(1515)가 마이크로 스위치에 접촉하였을 때, 마이크로 스위치는 음료 제조 장치의 제어 장치로 전기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스위치를 통해, 잠금 장치(150)가 잠금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개폐 장치(10)의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전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순서대로 참고할 때, 핸들(140)을 제1 회동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동시킨다. 핸들(140)의 회동에 의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레버(151)가 회동되어 제2 바디(12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이러한 핸들(140)의 회동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12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제2 바디(120)와 제1 바디(110)를 연결하는 제2 샤프트(125)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127)에 의해 제2 바디(120)는 상기 제1 회동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2 바디(120)의 회동은 토션 스프링(127)에 의존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바디(120)의 회동 동안, 탄성체(도 6의 153)가 잠금 레버(도 6의 151)의 상부(도 6의 1513)을 당기는 힘에 의해 제3 샤프트(도 6의 145)가 제1 회동 방향에 반대된 제2 회동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또한, 제2 바디(120)가 토션 스프링(127)에 의해 제1 회동 방향으로 회동하는 동안, 카트리지 홀더(130)는 제2 바디(120)의 회동에 연동되어 제1 회동 방향에 반대된 제2 회동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아암(121)이 가이드 그루브(1311)의 타단까지 이동되면, 제2 바디(120)의 개방 위치로의 회동이 완료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개폐 장치(10)의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의 전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개방 위치에 위치된 제2 바디(120)를 제2 회동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제2 바디(120)의 회동 동안, 잠금 레버(151)는 하강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레버(151)의 하강 동안, 잠금 레버(151)의 하부(1511)는 제1 탄성체(153)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후크부(155)를 가압하게 되며, 후크부(155)에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제1 탄성체(153)는 잠금 레버(151)가 잠금 위치에 위치되도록 잠금 레버(151)를 탄성 바이어스시키게 된다. 잠금 레버(151)가 후크부(155)에 맞물려 고정됨에 따라, 제2 바디(120)는 폐쇄 위치에 고정되며,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의 전환이 완료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음료 제조 장치(1)는 음료 원료가 담긴 카트리지(도 3의 20 참조)에 고온의 액체를 주입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음료 제조 장치(1)는 본체(2), 액체가 수용된 물통(3), 및 본체(2)의 상부에 장착된 개폐 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2)에는 음료를 추출하는데 적합한 온도로 액체를 가열하기 위한 열 교환기, 물통(3)에 수용된 액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와 같은 동력 장치, 및 각종 부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음료 제조 장치(1)를 이용한 음료 제조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개폐 장치(10) 내에 카트리지(20)를 탑재한 이후, 음료 제조 장치(1)는 물통(3)에 수용된 물을 일정 온도로 가열한다. 음료 제조 장치(1)는 제2 바디(120) 내에 마련된 유로(도 3의 30 참조)로 가열된 물을 공급하며, 가열된 물은 제2 바디(120)의 바닥면에 마련된 주입 바늘(도 3의 129 참조)을 통해 카트리지(20)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카트리지(20) 내부에 주입된 물에 의해 카트리지(20)에 담긴 음료 원료로부터 음료가 추출될 수 있으며, 추출된 음료는 배출부(도 1의 119 참조)를 통해 그 하방에 마련된 용기(21)에 담길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음료 제조 장치 10: 개폐 장치
110: 제1 바디 120: 제2 바디
130: 카트리지 홀더 140: 핸들
150: 잠금 장치 151: 잠금 레버

Claims (5)

  1.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되며, 카트리지를 수용할 수 있는 카트리지 수용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홀더;
    상기 제1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카트리지 수용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카트리지 수용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전환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된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상기 핸들과 동일한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핸들과 함께 회동하고, 상기 제2 바디의 회동을 제한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제2 바디의 회동을 허용하는 풀림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구성된 잠금 레버; 및
    상기 잠금 레버에 맞물려 상기 잠금 레버를 상기 잠금 위치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후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레버는,
    상기 샤프트가 장착된 중심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후크부에 맞물려 고정되는 하부; 및
    상기 중심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상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레버의 상기 상부와 상기 하부는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하도록 구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2 바디의 포스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잠금 레버의 상기 상부에 결합된 제1 탄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풀림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위치를 향하는 회동 방향으로 상기 잠금 레버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도록 구성된 음료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레버는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제1 바디에 마련된 마이크로 스위치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스위치 푸쉬 로드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제1 바디의 가이드 홈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후크 몸체 및 상기 후크 몸체를 탄성 지지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레버가 상기 잠금 위치에서 있을 때, 상기 제2 탄성체는 상기 잠금 레버의 상기 하부에 맞물리는 위치로 상기 후크 몸체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홀더는 상기 제2 바디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하고, 상기 제2 바디의 회동 방향과 반대된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가이드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홀더는 상기 가이드 아암을 수용하고 상기 가이드 아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KR1020180083133A 2018-07-17 2018-07-17 음료 제조 장치 KR102213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133A KR102213157B1 (ko) 2018-07-17 2018-07-17 음료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133A KR102213157B1 (ko) 2018-07-17 2018-07-17 음료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892A KR20200008892A (ko) 2020-01-29
KR102213157B1 true KR102213157B1 (ko) 2021-02-05

Family

ID=69322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133A KR102213157B1 (ko) 2018-07-17 2018-07-17 음료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1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9859B2 (ja) * 1992-10-22 2000-09-18 株式会社ニコン 三次元測定機
KR101856384B1 (ko) * 2016-12-05 2018-05-09 이준영 커피머신의 캡슐커피 취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32210U (en) * 2002-02-20 2003-05-11 Chen-Wen Wang Locking device for a detachable skate of sports sho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9859B2 (ja) * 1992-10-22 2000-09-18 株式会社ニコン 三次元測定機
KR101856384B1 (ko) * 2016-12-05 2018-05-09 이준영 커피머신의 캡슐커피 취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892A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897B1 (ko) 음료 카트리지 수용기용 개폐 메카니즘을 구비한 음료 형성장치
EP2654528B1 (en) An infusion apparatus for a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RU233928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напитка на основе молока
US8733229B2 (en) Extraction module for a capsule-bas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CN101005781A (zh) 带咖啡盒装载和弹射机构的咖啡泡制器
JP2015535720A (ja) シフト可能な複数サイズのカートリッジ受け器を有する抽出ユニット
US9314129B2 (en) Head assembly for brewing apparatus
JP2008043695A (ja) 飲料抽出装置
JP6377069B2 (ja) 2つの閉鎖段階を含む閉鎖システムを用いてカプセルから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装置
US8528464B2 (en) Brewing facility for a coffee machine
KR102213157B1 (ko) 음료 제조 장치
CN108478011A (zh) 具有打奶功能的胶囊咖啡机
WO2016166778A1 (en) Beverage dispensing machine
KR20090010713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WO2008020371A1 (en) Beverage maker comprising a pad holder which can be connected to a brew chamber top portion through a bayonet connection
US20160213191A1 (en) Head assembly for brewing apparatus
CN210124587U (zh) 蒸汽加热式烹饪器具
KR20150106321A (ko)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JP2012152363A (ja) 電気ケトル
KR102142405B1 (ko) 캡슐 커피 머신의 캡슐 리셉터클 회동 장치
RU270156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экстракционных напитков
WO2017194497A1 (en) A coffee machine with improved transfer into an exterior receptacle
JPS63158021A (ja) コ−ヒ−等の抽出装置
JP2009273681A (ja) 飲料抽出機
JPH013793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