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435B1 - 클립 브라켓 구조체 - Google Patents

클립 브라켓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435B1
KR102212435B1 KR1020200047114A KR20200047114A KR102212435B1 KR 102212435 B1 KR102212435 B1 KR 102212435B1 KR 1020200047114 A KR1020200047114 A KR 1020200047114A KR 20200047114 A KR20200047114 A KR 20200047114A KR 102212435 B1 KR102212435 B1 KR 102212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ripping unit
gripping
protrusion
exter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배
Original Assignee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배 filed Critical 김정배
Priority to KR1020200047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4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25Measuring of vehic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클립 브라켓 구조체가 개시되며, 상기 클립 브라켓 구조체는, 제1 파지 유닛 및 상기 제1 파지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어 타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파지 유닛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제2 파지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파지 유닛 및 상기 제2 파지 유닛 각각은 상기 제1 파지 유닛과 상기 제2 파지 유닛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도록, 타측 및 일측 각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파지부; 상기 제1 파지 유닛 및 상기 제2 파지 유닛에 상기 이동을 위한 외력을 제공하는 외력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력 제공부는, 상기 제1 파지 유닛과 상기 제2 파지 유닛의 하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상기 이동을 위한 외력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1 파지 유닛 및 상기 제2 파지 유닛 각각에 제공하는 외력 전환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립 브라켓 구조체{CLIP BRACKET STRUCTURE}
본원은 클립 브라켓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각 부위별로 부품을 제작한 다음, 이들을 서로 결합하여 생산되는데, 각 부품들을 서로 결합하기 이전에 그 부품들이 정확한 치수와 형상으로 제작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검사를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검사는 단위 부품에 대해서만 행해지는 것은 아니며, 몇 개의 부품이 결합된 어셈블리에 대해서도 이루어진다.
즉, 자동차는 20,000 가지 이상의 부품이 조립되어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단위 부품 또는 단위 어셈블리들의 형상과 치수가 허용 오차를 벗어나게 되며, 모든 부품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아주 큰 오차가 발생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조립 자체가 불가능하여 자동차를 완성시킬 수 없게 된다.
또한, 자동차 부품에는 제조된 자동차 부품이 차체에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클립이 설치되는데, 이 클립의 위치가 차체에 결합되는 자동차 부품의 마운팅 포인트가 되는바, 그 설치위치의 정확도가 중요하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받침대와,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된 측정지그와, 측정지그의 상부면에 클립의 마운팅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는 측정홀이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 부품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검사를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 부품 검사장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81810호와 등록특허 제10-1331911호와 같이 클립의 마운팅 포인트를 확인하기 위한 측정홀이 클립의 형상에 맞게 측정지그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검사완료된 자동차 부품을 검사장치로부터 탈거시 클립이 측정홀에 걸리게 되어 클립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클립이 측정홀에 걸림으로 인해 자동차 부품의 탈거시 검사자가 과도한 힘을 가함으로써 순간적으로 자동차 부품이 검사장치로부터 이탈되어 검사자가 자동차 부품에 부딪혀 상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이하게 클립을 고정 및 고정 해지할 수 있는 클립 브라켓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클립 브라켓 구조체는, 제1 파지 유닛 및 상기 제1 파지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어 타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파지 유닛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제2 파지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파지 유닛 및 상기 제2 파지 유닛 각각은 상기 제1 파지 유닛과 상기 제2 파지 유닛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도록, 타측 및 일측 각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파지부; 상기 제1 파지 유닛 및 상기 제2 파지 유닛에 상기 이동을 위한 외력을 제공하는 외력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력 제공부는, 상기 제1 파지 유닛과 상기 제2 파지 유닛의 하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상기 이동을 위한 외력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1 파지 유닛 및 상기 제2 파지 유닛 각각에 제공하는 외력 전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제1 파지 유닛 및 제2 파지 유닛 각각에 외력이 제공되어 제1 파지 유닛 및 제2 파지 유 각각이 타측 및 일측으로 이동되어 파지부가 벌어져 클립을 고정 해제할 수 있고, 회전 부재의 반대 방향 회전에 의해 제1 파지 유닛 및 제2 파지 유닛이 위치 복원되어 파지부가 닫혀져 클립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이송부가 사출 성형기로부터 적재부로 성형품을 이송할 수 있어, 이송부에 의한 성형품의 효율적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간명한 구조로 용이하게 클립을 고정 및 고정 해지할 수 있는 클립 브라켓 구조체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 브라켓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 브라켓 구조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 파지부 및 제2 파지부 각각이 타측 및 일측 각각으로 이동된 상태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 브라켓 구조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전방, 전단, 전단부, 후방, 후단, 후단부, 상측, 상면, 하측, 하면, 일측, 일측부, 타측, 타측부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7시 방향이 전방, 전반적으로 7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전단 또는 전단부, 전반적으로 1시 방향이 후방, 전반적으로 1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후단,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상면,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하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이 일측,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을 부분이 일측부,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이 타측,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타측부 등이 될 수 있다.
본원은 클립 브라켓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 브라켓 구조체(이하 '본 구조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 브라켓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 브라켓 구조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3은 제1 파지부 및 제2 파지부 각각이 타측 및 일측 각각으로 이동된 상태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 브라켓 구조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구조체는, 파지부(1)를 포함한다. 파지부(1)는 제1 파지 유닛(11) 및 제1 파지 유닛(11)의 일측에 배치되어 타면의 적어도 일부가 제1 파지 유닛(11)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도도록 배치되는 제2 파지 유닛(12)을 포함한다. 제1 파지 유닛(11)은 제1 본체(114), 제1 본체(114)의 타측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상측 연장 유닛(112) 및 제1 상측 연장 유닛(112)의 전단 및 후단 각각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일향 연장 유닛(1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파지 유닛(12)은 제2 본체(124), 제2 본체(124)의 일측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 상측 연장 유닛(122) 및 제2 상측 연장 유닛(122)의 전단 후단 각각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타향 연장 유닛(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파지 유닛(11) 및 제2 파지 유닛(12)은 제1 파지 유닛(11)의 제1 본체(114)의 일면과 제2 파지 유닛(12)의 제2 본체(124)의 타면이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1 파지 유닛(11)의 제1 상측 연장 유닛(112)과 제2 파지 유닛(12)의 제2 상측 연장 유닛(122) 사이 또는 제1 파지 유닛(11)의 일향 연장 유닛(113)과 제2 파지 유닛(12)의 타향 연장 유닛(123) 사이에 클립이 위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파지 유닛(11) 및 제2 파지 유닛(12) 각각은, 제1 파지 유닛(11)과 제2 파지 유닛(12)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도록, 타측 및 일측 각각으로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구조체는 제1 파지 유닛(11) 및 제2 파지 유닛(12) 각각에 타측으로의 이동 및 일측으로의 이동을 위한 외력을 제공하는 외력 제공부(3)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외력 제공부(3)는 제1 파지 유닛(11)에 타측으로의 이동을 위한 외력을 제공하고 제2 파지 유닛(12)에 일측으로의 이동을 위한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외력 제공부(3)는 제1 파지 유닛(11)과 제2 파지 유닛(12)의 하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 부재(31)를 포함한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외력 제공부(3)는 회전 부재(31)의 회전을 제1 파지 유닛(11)의 타측으로의 이동을 위한 외력 및 제2 파지 유닛(12)의 일측으로의 이동을 위한 외력으로 전환하여 제1 파지 유닛(11) 및 제2 파지 유닛(12) 각각에 제공하는 외력 전환 유닛(32)을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외력 전환 유닛(32)은 회전 부재(31)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제1 파지 유닛(11)을 타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 파지 유닛(12)을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파지 유닛(11)의 전단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기(111)는 본체(113)의 전단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제2 파지 유닛(12)의 후단부에는 제2 파지 유닛(2)의 후단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기(121)는 본체(123)의 전단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외력 전환 유닛(32)은 제1 돌기(111) 및 제2 돌기(121) 사이에 형성되어 회전 부재(31)의 상부와 연결되는 중심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부재(31)의 상부는 중심부(321)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부재(31)의 회전시 외력 전환 유닛(32)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외력 전환 유닛(32)은 제1 작용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작용부(322)는 중심부(321)의 회전과 연동되어 함께 이동되어 제1 파지 유닛(11)의 제1 돌기(111)에 타측으로의 외력을 작용할 수 있다. 제1 작용부(322)는 제1 돌기(111)의 후단부와 중심부(321)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타측부(3221), 제1 타측부(3221)로부터 중심부(321)의 둘레 방향 중 일 방향으로 중심부(321)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두께 증가부(3222) 및 제1 두께 증가부(3222)로부터 일 방향으로 중심부(321)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제2 돌기(121)의 전면과 접촉되는 제1 일측부(32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외력 전환 유닛(32)은 제2 작용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작용부(323)는 중심부(321)의 회전과 연동되어 함께 이동되어 제2 파지 유닛(12)의 제2 돌기(121)에 일측으로의 외력을 작용할 수 있다. 제2 작용부(323)는 제2 돌기(121)의 전단부와 중심부(321)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타측부(3231), 제2 타측부(3231)로부터 중심부(321)의 둘레 방향 중 일 방향으로 중심부(321)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두께 증가부(3232) 및 제2 두께 증가부(3232)로부터 일 방향으로 중심부(321)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제1 돌기(121)의 후면과 접촉되는 제2 일측부(32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제1 돌기(111) 및 제2 돌기(121) 각각은, 중심부(321)의 둘레 방향 중 타 방향으로의 중심부(321)의 회전시, 중심부(321)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며 타측 및 일측 각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 부재(31)가 중심부(321)의 둘레 방향 중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중심부(321)가 상기 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중심부(321)와 제1 돌기(111)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제1 타측부(3221)에서 제1 두께 증가부(3222)로 변경되며, 둘레 방향 중 타 방향으로의 회전이 지속되면, 상기 둘레 방향 중 일 방향으로의 두께가 증가되는 제1 두께 증가부(3222)의 형상에 따라, 제1 돌기(111)와 중심부(321)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며 제1 돌기(111)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파지 유닛(11)은 타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파지 유닛(11) 및 제2 파지 유닛(12) 각각이 타측 및 일측 각각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회전 부재(31)가 상기 둘레 방향 중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위와 같은 원리로 제1 돌기(111)와 중심부(321)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며 제1 돌기(111)는 일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파지 유닛(11)은 위치 복원(일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31)가 중심부(321)의 둘레 방향 중 타 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중심부(321)가 상기 타 방향으로 회전될 때, 중심부(321)와 제2 돌기(121)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제1 타측부(3231)에서 제1 두께 증가부(3232)로 변경되며, 둘레 방향 중 타 방향으로의 회전이 지속되면, 상기 둘레 방향 중 일 방향으로의 두께가 증가되는 제2 두께 증가부(3232)의 형상에 따라, 제2 돌기(121)와 중심부(321)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며 제2 돌기(121)는 일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파지 유닛(12)은 타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파지 유닛(11) 및 제2 파지 유닛(12) 각각이 타측 및 일측 각각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회전 부재(31)가 상기 둘레 방향 중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위와 같은 원리로 제2 돌기(131)와 중심부(321)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며 제2 돌기(131)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파지 유닛(12)은 위치 복원(일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 부재(31)의 회전에 의해 제1 파지 유닛(11) 및 제2 파지 유닛(12) 각각은 타측 및 일측 각각으로 이동되어 제1 파지 유닛(11)과 제2 파지 유닛(12) 사이의 간격은 증가될 수 있고, 회전 부재(31)의 회전에 의해 제1 파지 유닛(11) 및 제2 파지 유닛(12) 각각은 위치 복원되어 제1 파지 유닛(11) 및 제2 파지 유닛(12) 사이의 간격이 복구될 수 있다.
참고로, 제1 파지 유닛(11) 및 제2 파지 유닛(12) 사이의 간격은 클립을 파지를 위해 증가될 수 있고, 제1 파지 유닛(11) 및 제2 파지 유닛(12) 사이에 클립이 위치되면 제1 파지 유닛(11) 및 제2 파지 유닛(12)이 사이에 클립이 위치된 상태에서 위치 복원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1 파지 유닛(11) 및 제2 파지 유닛(12)이 위치 복원되더라도, 제1 파지 유닛(11) 및 제2 파지 유닛(12)(제1 돌기(111) 및 제2 돌기(121))은 제1 파지 유닛(11) 및 제2 파지 유닛(12) 사이에 개재된 클립으로 인해 초기 위치를 갖지 못할 수 있다. 즉, 본원에 있어서, 제1 파지 유닛(11) 및 제2 파지 유닛(12)의 위치 복원이라 함은, 제1 파지 유닛(11) 및 제2 파지 유닛(12) 사이에 클럽이 개재되어, 개재된 클립으로 인해 클립이 개재되지 않은 경우 대비 제1 파지 유닛(11) 및 제2 파지 유닛(12)이 타측 및 일측 각각으로 소정 밀린 위치를 갖는 것을 모두 고려한 의미일 수 있다.
또한, 제1 파지 유닛(11)은 타측으로 제1 작용부(322)의 두께 증가부(3222)의 최대 두께와 제1 타측부(3221)의 최대 두께의 차이만큼 이동 가능하다.
또한, 제2 파지 유닛(12)은 일측으로 제2 작용부(323)의 두께 증가부(3232)의 최대 두께와 제2 타측부(3231)의 최대 두께의 차이만큼 이동 가능하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제2 일측부(3233)의 상기 둘레 방향으로의 일 방향을 향하는 부분인 일측부는 제1 돌기(111)의 상기 둘레 방향으로의 타 방향을 향하는 부분인 타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제2 일측부(3233)의 상기 둘레 방향으로의 일 방향을 향하는 일면은 제1 돌기(111)의 상기 둘레 방향으로의 타 방향을 향하는 타면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제2 일측부(3233)의 상기 둘레 방향으로의 일 방향을 향하는 부분인 일측부에는 제1 돌기(111)의 후단부의 적어도 일부(이를 테면, 후단부의 중심부(321)를 향하는 부분)이 수용되는 홈(3234)이 형성될 수 있다. 홈(3234)은 내면이 제1 돌기(111)의 후단부의 중심부(321)를 향하는 부분과 접촉되지 않도록 중심부(321)를 향하는 부분(내측)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파지 유닛(11)이 타측으로의 이동 후 위치 복원될 때, 제1 돌기(111)의 후단부의 중심부(321)를 향하는 부분의 단부(모서리 부분 또는 꼭지점 부분)이 홈(3234)에 수용되어 제2 일측부(3233)의 충돌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제1 일측부(3223)의 상기 둘레 방향으로의 일 방향을 향하는 부분인 일측부는 제2 돌기(121)의 상기 둘레 방향으로의 타 방향을 향하는 부분인 타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제1 일측부(3223)의 상기 둘레 방향으로의 일 방향을 향하는 일면은 제2 돌기(121)의 상기 둘레 방향으로의 타 방향을 향하는 타면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제1 일측부(3223)의 상기 둘레 방향으로의 타 방향을 향하는 부분인 타측부에는 제2 돌기(121)의 전단부의 적어도 일부(이를 테면, 전단부의 중심부(321)를 향하는 부분)이 수용되는 홈(3224)이 형성될 수 있다. 홈(3224)은 내면이 제2 돌기(121)의 전단부의 중심부(321)를 향하는 부분과 접촉되지 않도록 중심부(321)를 향하는 부분(내측)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파지 유닛(12)이 일측으로의 이동 후 위치 복원될 때, 제2 돌기(121)의 전단부의 중심부(321)를 향하는 부분의 단부(모서리 부분 또는 꼭지점 부분)이 홈(3224)에 수용되어 제1 일측부(3223)의 충돌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구조체는, 제1 파지 유닛(11) 및 제2 파지 유닛(1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부(2)는 제1 돌기(111), 제2 돌기(121) 및 외력 전환 (32)의 하측에 위치하되, 회전 부재(31)의 상부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지지 플레이트(2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부재(31)는 지지 플레이트(21)를 통과해 상측으로 연장되어 외력 전환 유닛(32)의 중심부(321)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부재(31)의 회전시 외력 전환 유닛(32)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21)는 회전 부재(31)의 회전은 허용하되, 회전 부재(31)의 회전과는 연동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테면, 도 2를 참조하면, 회전 부재(31)는 메인 바디(312) 및 메인 바디(312)의 지지 플레이트(21)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감싸는 하우징(311)을 포함할 수 있고, 지지 플레이트(21)에는 회전 부재(31)의 메인 바디(312)의 통과는 허용하되, 하우징(311)의 통과는 허용하지 않는 홀(다시 말해, 홀의 단면적은 메인 바디(312)의 단면적 초과이고 하우징(311)의 단면적 미만일 수 있음)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메인 바디(312)는 홀을 통해 지지 플레이트(21)를 관통해 지지 플레이트(21) 상의 외력 전환 유닛(32)과 연결될 수 있고, 지지 플레이트(21)는 외력 전환 유닛(32)과 하우징(31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31)는 회전 부재(31)의 회전과 연동하지 않으며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부(2)는 지지 플레이트(21)의 일측 및 타측 각각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일측 측면 부재(23) 및 타측 측면 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부(2)는 제1 파지 유닛(11) 및 제2 파지 유닛(12)을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관통하여 일측 측면 부재(22)와 타측 측면 부재(23)를 연결하는 관통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파지 유닛(11) 및 제2 파지 유닛(12) 각각은 관통부재(24)를 따라 타측 및 일측 각각으로 이동되거나, 위치 복원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구조체는 관통부재(24)의 제1 파지 유닛(11)의 타면과 타측 측면 부재(22)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파지 유닛(11)의 타측으로의 이동시 제1 파지 유닛(11)과 타측 측면 부재(22)의 충돌 발생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제1 파지 유닛(11)의 타측으로의 이동시 제1 파지 유닛(11)과 타측 측면 부재(22)사이에서 제1 탄성부재(4)는 압축되어 제1 파지 유닛(11)의 위치 복원을 위한 일측으로의 이동시 제1 탄성부재(4)의 탄성 복원력이 제1 파지 유닛(11)에 작용하여 제1 파지 유닛(11)의 위치 복원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구조체는 관통부재(24)의 제2 파지 유닛(12)의 일면과 일측 측면 부재(23)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매치되는 제2 탄성부재(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파지 유닛(12)의 일측으로의 이동시 제2 파지 유닛(12)과 일측 측면 부재(23)의 충돌 발생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제2 파지 유닛(12)의 일측으로의 이동시 제2 파지 유닛(12)과 일측 측면 부재(23)사이에서 제2 탄성부재(5)는 압축되어 제2 파지 유닛(12)의 위치 복원을 위한 타측으로의 이동시 제2 탄성부재(5)의 탄성 복원력이 제2 파지 유닛(12)에 작용하여 제2 파지 유닛(12)의 위치 복원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탄성부재(4) 및 제2 탄성부재(5)는 제1 파지 유닛(11) 및 제2 파지 유닛(12) 각각의 타측 및 일측으로의 이동 완료시 제1 파지 유닛(11)과 타측 측면 부재(22) 사이 및 제2 파지 유닛(12)과 일측 측면 부재(23) 사이 각각에서 탄성 압축된 상태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4를 참조하면, 본 구조체는 제1 돌기(111)와 제2 일측부(3233)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는 제2 일측부(3233)의 중심부(321)의 둘레 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하는 면인 일면에 구비되어 제1 돌기(111)와 제2 일측부(3233)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지 유닛(11)이 타측으로 이동되지 않은 상태일 때는 제1 돌기(111)와 제2 일측부(3233)가 서로 접촉한 상태일 수 있기 때문에 제1 센서가 검출하는 거리는 0일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구조체는 제2 돌기(121)와 제1 일측부(3223)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는 제1 일측부(3223)의 중심부(321)의 둘레 방향 중 일 방향을 향하는 면인 일면에 구비되어 제2 돌기(121)와 제1 일측부(3233)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센서는 제1 센서와 대응 내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구조체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및 제2 센서는 결과값을 제어부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조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조체는 제1 파지 유닛(11)과 제2 파지 유닛(12) 사이의 클립의 배치 유무를 감지하는 클립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테면, 도 1을 참조하면, 클립 감지 센서는 제1 상측 연장 유닛(112)의 일면에 구비되어 일측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제2 상측 유닛(122)의 타면에 구비되어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는 지속적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고, 수광부에서 광을 수신하지 못하면,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 즉 제1 상측 연장 유닛(112)과 제2 상측 연장 유닛(122) 사이에 클립이 배치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클립 감지 센서는 클립이 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1 센서의 결과 값 및 제2 센서의 결과 값 중 하나 이상이 미리 설정된 값 초과이고, 클립 감지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제1 파지 유닛(11)과 제2 파지 유닛(12)에 클립이 배치되었으나, 제1 파지 유닛(11)과 제2 파지 유닛(12)이 클립을 파지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부에 경고 알림을 도시하라는 신호를 보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경고 알림을 도시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값은 제1 파지 유닛(11)과 제2 파지 유닛(12)이 클립을 파지했을 때, 제1 돌기(111)와 제2 일측부(323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최대 거리 값 또는 구조체는 제2 돌기(121)와 제1 일측부(3223) 사이의 최대 거리 값일 수 있다.
즉, 제1 센서의 결과 값이 최대 거리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 파지 유닛(11)이 클립을 파지하면서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최대 이동 범위를 초과하여 타측으로 이동된 것이고, 제2 센서의 결과 값이 최대 거리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 파지 유닛(12)이 클립을 파지하면서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최대 이동 범위를 초과하여 일측으로 이동된 것이므로, 제1 센서의 결과 값 및 제2 센서의 결과 값 중 하나 이상이 미리 설정된 값 초과이고, 클립 감지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제1 파지 유닛(11)과 제2 파지 유닛(12)에 클립이 배치되었으나, 제1 파지 유닛(11)과 제2 파지 유닛(12)이 클립을 파지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참고로, 회전 부재(31)의 회전은 사용자(인간의 외력)에 의해, 또는 모터 등의 외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파지부
11: 제1 파지 유닛
111: 제1 돌기
112: 제1 상측 연장 유닛
113: 일향 연장 유닛
114: 제1 본체
12: 제2 파지 유닛
121: 제2 돌기
122: 제2 상측 연장 유닛
123: 타향 연장 유닛
124: 제2 본체
2: 가이드부
21: 지지 플레이트
22: 타측 측면 부재
23: 일측 측면 부재
24: 관통부재
3: 외력 제공부
31: 회전 부재
32: 외력 전환 유닛
321: 중심부
322: 제1 작용부
3221: 제1 타측부
3222: 제1 두께 증가부
3223: 제1 일측부
323: 제2 작용부
3231: 제2 타측부
3232: 제2 두께 증가부
3233: 제2 일측부
4: 제1 탄성부재
5: 제2 탄성부재

Claims (5)

  1. 차량 패널의 클립을 검사구에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 브라켓 구조체에 있어서,
    제1 파지 유닛 및 상기 제1 파지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어 타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파지 유닛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제2 파지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파지 유닛 및 상기 제2 파지 유닛 각각은 상기 제1 파지 유닛과 상기 제2 파지 유닛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도록, 타측 및 일측 각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파지부;
    상기 제1 파지 유닛 및 상기 제2 파지 유닛에 상기 이동을 위한 외력을 제공하는 외력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력 제공부는,
    상기 제1 파지 유닛과 상기 제2 파지 유닛의 하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상기 이동을 위한 외력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1 파지 유닛 및 상기 제2 파지 유닛 각각에 제공하는 외력 전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지 유닛의 전단부 및 상기 제2 파지 유닛의 후단부 각각에는 각각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 및 제2 돌기 각각이 형성되며,
    상기 외력 전환 유닛은,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상부와 연결되는 중심부;
    상기 제1 돌기의 후단부와 상기 중심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타측부 및 상기 제1 타측부로부터 상기 중심부의 둘레 방향 중 일 방향으로 상기 중심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두께 증가부 및 상기 제1 두께 증가부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중심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돌기의 전면과 접촉되는 제1 일측부를 포함하는 제1 작용부; 및
    상기 제2 돌기의 전단부와 상기 중심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타측부 및 상기 제2 타측부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중심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두께 증가부 및 상기 제2 두께 증가부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중심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돌기의 후면과 접촉되는 제2 일측부를 포함하는 제2 작용부를 포함하는 것인, 클립 브라켓 구조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 각각은, 상기 중심부의 둘레 방향 중 타 방향으로의 상기 중심부의 회전시, 상기 중심부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며 타측 및 일측 각각으로 이동되는 것인, 클립 브라켓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 유닛 및 상기 제2 파지 유닛의 상기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돌기, 상기 제2 돌기 및 상기 외력 전환 유닛의 하측에 위치하되, 상기 회전 부재의 상부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 및 타측 각각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일측 측면 부재와 타측 측면 부재; 및
    상기 제1 파지 유닛 및 상기 제2 파지 유닛을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일측 측면 부재와 상기 타측 측면 부재를 연결하는 관통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클립 브라켓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재의 상기 제1 파지 유닛의 타면과 상기 타측 측면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관통부재의 상기 제2 파지 유닛의 일면과 상기 일측 측면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클립 브라켓 구조체.
KR1020200047114A 2020-04-20 2020-04-20 클립 브라켓 구조체 KR102212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114A KR102212435B1 (ko) 2020-04-20 2020-04-20 클립 브라켓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114A KR102212435B1 (ko) 2020-04-20 2020-04-20 클립 브라켓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435B1 true KR102212435B1 (ko) 2021-02-05

Family

ID=74558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114A KR102212435B1 (ko) 2020-04-20 2020-04-20 클립 브라켓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4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7951B2 (ja) * 2009-06-29 2011-11-30 有限会社イナバモデル クリップ保持具および同クリップ保持具を備えた成形精度検査治具。
KR101251357B1 (ko) * 2011-06-23 2013-04-05 휴먼인스트루먼트 주식회사 지그 캐리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7951B2 (ja) * 2009-06-29 2011-11-30 有限会社イナバモデル クリップ保持具および同クリップ保持具を備えた成形精度検査治具。
KR101251357B1 (ko) * 2011-06-23 2013-04-05 휴먼인스트루먼트 주식회사 지그 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8332B2 (en) Brake pedal stop lamp switch
KR101801536B1 (ko) 페달 스트로크 센서의 설치구조
US9303756B2 (en) Shift device
US9186800B2 (en) Bumper assembly of mobile robot
US10508732B2 (en) Shift device
US10921843B2 (en) Accelerator pedal device
EP2907700B1 (en) Horn system
US8443503B2 (en) Automated toe adjustment apparatus using floating mechanism
KR102021753B1 (ko) 각 위치 센서
CN209421838U (zh) 用于地面的清洁自动装置
EP1795425A2 (en) Adjustment mechanism for a steering column
KR101847755B1 (ko) 자동차의 용량성 센서 장치
WO2017110593A1 (ja) シフト装置
EP1394650A1 (en) Rotation angle detector
KR20150028836A (ko) 각 위치 센서
KR102212435B1 (ko) 클립 브라켓 구조체
US8796571B2 (en) Switch for a belt lock
US20170182950A1 (en) Mounting structure
US20110080279A1 (en) Belt lock with status detector
US8558684B2 (en) Belt lock with a means for detecting the locking status
JP6438050B2 (ja) 保持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保持装置に配置するためのピン
CN104595682B (zh) 工作台防撞装置及具有它的压力机
US8610011B2 (en) Belt lock with a switch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the locking status
EP1726491B1 (en) Collision detecting apparatus for vehicle
US6967298B2 (en) Motor switch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