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341B1 -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341B1
KR102212341B1 KR1020200155974A KR20200155974A KR102212341B1 KR 102212341 B1 KR102212341 B1 KR 102212341B1 KR 1020200155974 A KR1020200155974 A KR 1020200155974A KR 20200155974 A KR20200155974 A KR 20200155974A KR 102212341 B1 KR102212341 B1 KR 102212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weight
beaker
part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봉승
백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백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백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백승
Priority to KR1020200155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7/00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6Test-tube stands; Test-tube holders
    • B01L9/065Test-tube stands; Test-tube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capillary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6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5Protection against injuring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안정성을 강화한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는,
패널 형상으로서, 자성체를 포함한 받침대; 상기 스탠드의 일 측에서 기립된 지주; 실험용액을 수용한 비이커를 지지하면서 상기 스탠드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3개의 레그 및, 상기 레그의 하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자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스탠드와 자성 결합하는 캡을 구비한 삼발이; 상기 레그의 사이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비이커를 가열하는 램프; 상기 지주의 일 측에서 상기 비이커로 연장되어 상기 비이커를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Heating Appliance Assembly for Experiments}
본 발명은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비이커를 지지하는 삼발이와 스탠드를 자성체를 매개로 자성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삼발이 및 램프가 스탠드에서 이탈할 시 벌어질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여 안정성을 높임과 동시에 이용 편의성을 부가한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이커 및 알코올 램프는 학교의 실험실이나 공공기관의 연구실 등에서 간단한 실험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실험자재 중 하나이다. 비이커는 투명한 컵 형상으로 이루어져 실험용 재료를 수용하며, 알코올 램프는 알코올을 통해 실험용 재료를 가열하는 용도로 이용된다.
이러한 알코올 램프가 사용되는 과학 실험에는 알코올 램프를 사용하여 비이커나 플라스크 안에 담긴 실험재료를 가열하는 일을 주로 수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비이커나 플라스크를 안치하기 위해 삼발이를 사용하고, 삼발이를 안착함과 동시에 비이커가 알코올 램프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클램프를 구비한 스탠드를 이용하여 가열을 수반한 실험이 수행된다.
이러한 종래의 실험용 가열 기구는, 스탠드 및 스탠드의 일 측에서 수직 기립된 지주, 그리고 지주의 일 측에서 비이커 및 플라스크와 같은 가열 용기를 고정하는 클램프에 물려 비이커나 플라스크가 삼발이에 지지된 상태에서 알코올 램프 상단에 위치되어 가열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실험용 스탠드에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78571호에 ‘실험용 스탠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고안은 실험용 재료를 수용하는 비이커와, 상기 비이커를 가열하는 알코올램프가 일체로 마련되는 실험용 재료를 수용하는 비이커와, 상기 비이커를 가열하는 알코올램프가 일체로 마련되는 실험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기립배치되는 컬럼과; 상기 컬럼에 결합되어 상기 비이커를 지지하는 비이커지지부와; 일측이 상기 컬럼에 결합된 채로 상기 비이커지지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알코올램프를 안착지지시키는 램프지지부와; 상기 컬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램프지지부를 상기 비이커지지부에 대해 접근 및 이격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안에 의한 실험용 스탠드는, 비이커에 대한 알코올램프의 화염 분사 거리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이커 커버로 인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비이커의 개구를 덮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고안의 경우 비이커를 지지하는 삼발이가 스탠드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있어, 스탠드로부터 삼발이가 이탈하게 될 경우 실험 대상물이 쏟아지거나 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이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탠드와 비이커를 지지하는 삼발이를 자성체를 매개로 자성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삼발이 및 램프가 스탠드에서 이탈할 시 벌어질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여 안정성을 높임과 동시에 이용 편의성을 부가한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시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삼발이가 스탠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삼발이가 스탠드에서 이탈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램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클램프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비이커 및 플라스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그 외의 다양한 부속품에 대한 범용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클램프 구조의 일부에 있어 물질 개량을 통해 클램프의 열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정성을 강화한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는, 패널 형상으로서, 자성체를 포함한 받침대; 상기 스탠드의 일 측에서 기립된 지주; 실험용액을 수용한 비이커를 지지하면서 상기 스탠드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3개의 레그 및, 상기 레그의 하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자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스탠드와 자성 결합하는 캡을 구비한 삼발이; 상기 레그의 사이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비이커를 가열하는 램프; 상기 지주의 일 측에서 상기 비이커로 연장되어 상기 비이커를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적층되거나 함입된 자성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클램프는, 상기 비이커를 고정하는 지지대와, 블록 구조로서, 상기 지주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의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공을 구비한 홀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성을 강화한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에 의하면,
1) 자성 결합을 통해 삼발이과 스탠드를 자력 고정함으로써 삼발이가 스탠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삼발이가 스탠드에서 이탈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2) 일체형 구성이 아닌 홀더 및 지지대를 구비한 클램프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비이커 및 플라스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그 외의 다양한 부속품에 대한 범용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하였으며,
3) 홀더 표면에 보조층을 적층시켜 보조층의 유효 물질을 통해 클램프의 열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베이스 및 자성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홀더를 통한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클램프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조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1)는, 스탠드(100), 지주(200), 클램프(600), 삼발이(300), 램프(500), 비이커(400)로 구성된다.
스탠드(100)는 후술할 여러 구성을 받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패널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1)에서 열원이 되는 램프(500) 및 삼발이(300)를 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일종의 받침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탠드(100)는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1)의 하측부에 해당되며 램프(500)를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램프(500) 및 삼발이(300)를 안정적으로 지지 안착할 수 있도록 충분한 면적을 가진다.
이러한 스탠드(100)의 재질에는 별도의 제한이 없어 스탠드(100)를 금속재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내열성 플라스틱과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써 스탠드(100)를 구성하여 경량화를 추구할 수도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스탠드(100)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후술할 삼발이(300)와 자성 결합을 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지주(200)는 스탠드(100)의 일 측에서 높이 방향으로 수직 기립되는 것으로서, 일종의 폴(pole)이나 기둥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지주(200)는 일 단이 스탠드(100)의 일 측에 끼움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스탠드(100)에는 별도의 함입공(미도시)이 형성되어 함입공에 지주(200)의 일 단부가 끼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더불어 스탠드(100)에 여러 개의 함입공이 형성되는 경우 지주(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지주(200)는 기본적으로 금속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탠드(100)에는 삼발이(300)가 안착된다. 삼발이(300)는 그 명칭과 같도록 세 개의 레그(320)를 가져 세 개의 레그(320)가 스탠드(100)에 안착되는 것이다. 더불어 세 개의 레그(320)는 상단이 링 형상의 지지체(310)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체(310)는 실제로 실험 용액을 수용한 비이커(400)를 지지하는 것으로, 비이커(400)의 둘레를 따라 비이커(400)를 지지 안착시킬 수 있도록 링 또는 도넛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지지체(310)의 위에 실험용액을 수용한 비이커(400)가 안착되며, 지지체(310)의 일 측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된 세 개의 레그(320)가 스탠드(100) 위에 안착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꾀하는 것이다. 더불어 레그(320)의 개수는 세 개라고 말하였으나 그 이상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기본적으로 지지체(310) 및 레그(320)의 재질은 금속재일 수 있다.
더불어 하방으로 연장된 세 개의 레그(320) 사이 영역에는 램프(500)가 위치한다. 따라서 램프(500)는 스탠드(100)에 안착되는데, 이때 세 개의 레그(320) 사이 영역에 해당하는 스탠드(100)의 상면에 램프(500)가 안착되어 지지체(310)의 링에 해당하는 사이 공간, 즉 지지체(310)의 중공에 해당하는 부분을 가열함으로써 비이커(400)를 가열 처리한다.
또한 레그(320)가 직접적으로 지지체(310)에서 하방 연장되어 스탠드(100) 위에 안착된다 하였는데, 이러한 레그(320)의 단부, 즉 레그(320) 중에서도 스탠드(100)와 접촉하는 하단부에는 캡(330)이 끼움 결합된다.
이러한 캡(330)은 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따라서 캡(330)이 상술한 스탠드(100)의 자성체와 자성 결합되어 스탠드(100)로부터 삼발이(300)가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스탠드(100)와 삼발이(300)의 자성 결합으로 인해 본 발명의 가열기구 어셈블리(1)는 보다 안정적인 지지 결합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실험자의 부주의로 인해 삼발이(300)가 스탠드(100)에서 쉽게 이탈하거나, 혹은 삼발이의(300) 지지체(310) 위에 수용된 비이커(400)가 엎질러지는 등의 안전 사고로부터 실험자를 보호할 수 있다.
더불어 램프(500)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과 같은 알코올을 수용하여 비이커를 가열하는 것으로서, 유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별도의 마개를 포함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마개를 돌려 잠금으로써 램프(500)에 수용된 알코올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는 종래의 알코올 램프와 구성이 일치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비이커(400)는 실험 용액을 수용하는 용기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유리 재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비이커(400)는 기본적으로 단면이 원 형상을 가지나 비이커(400)의 형상 및 크기에는 제한이 없다.
이러한 비이커(400)는 상술한 지지체(310)의 상면에 안착되어 비이커(400)에 담긴 실험용액이 가열될 수 있다 하였는데, 이 때 지지체(310)는 링 형상이므로 위에 안착된 약간의 부주의 또는 실험용액의 끓어넘침 등의 상황 발생 시 링 형상의 지지체(310) 위에서 비이커(400)가 이탈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를 위해 상기 지주(200)의 일 측에는 클램프(600)가 구비되어 클램프(600)로 하여금 비이커(400)를 잡아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600)는 일종의 집게와도 같은데, 이러한 클램프(6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나 기본적으로 지주(200)의 일 측에서 비이커(400) 방향으로 연장되어 비이커(400)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클램프(600)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1)는 스탠드(100)와 비이커(400)를 지지하는 삼발이(300)를 자성체를 매개로 자성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삼발이 300) 및 램프(500)가 스탠드(100)에서 이탈할 시 벌어질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여 안정성을 높임과 동시에 이용 편의성을 부가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베이스 및 자성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열기구 어셈블리(1)는 스탠드(100)와 삼발이(300)의 캡(330)이 자성 결합되어 삼발이(300)가 스탠드(100)로부터 쉽게 이탈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 때 스탠드(100) 전체를 자성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충분한 강도와 안전성을 겸비함과 동시에 경제성을 함께 고려할 수 있도록 상기 스탠드(100)는 베이스(110) 및 자성 패널(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스탠드(100)를 구성하는 기초 재질이라 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기계 부품이나 구조재료 등 “금속 대체”를 주요 목표로 하는 수지를 총칭하는 말이다.
예시로서는 폴리에터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1)에 이용되는 베이스(110)는 기본적으로 높은 강도 및 내열성을 나타낼 수 있는 폴리에터이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변성 페닐렌옥사이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언급된 종류 외에도 강도가 높고 내열성이 뛰어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라면 모두 베이스(110)로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이러한 베이스(110)의 표면에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자성 패널(120)이 적층될 수 있으며, 나아가 자성 패널(120)이 적층된 것이 아닌 베이스(110)에 함입될 수도 있다. 따라서 베이스(110)의 일 측의 함입된 홈에 자성 패널(120)이 삽입된 형상일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성 패널(120) 및 베이스(110)의 구조를 통해 자성체를 포함하여 자력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충분한 강도 및 내열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음과 더불어 경제성 역시 구현해낼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홀더를 통한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클램프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도 1과 함께 도 3과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클램프(6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클램프(600)는 기본적으로 지지대(610) 및 홀더(620)로 이루어지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비이커(400)를 직접 잡고 고정하는 역할은 지지대(610)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대(610)는 홀더(620)에 끼움 결합되어 지주(200)에 결합 고정된다.
홀더(620)는 블록 형태를 가져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공(622)을 포함하여 관통공(622)을 매개로 지주(200)와 끼움 결합된다. 따라서 관통공(622)을 따라 지주(200)와의 결합 위치를 조정하여 클램프(6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홀더(620)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는 결합공(621)이 관통 형성되어 결합공(621)에 지지대(610)의 단부가 삽입 고정된다. 더불어 이 때 결합공(621)에 지지대(610) 외에도 다른 보조적인 도구를 끼움 결합하여 본 발명의 가열기구 어셈블리(1)에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지지대(6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이커(400)를 잡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일종의 집게와 같은 형상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지지대(610)의 단부는 결합공(621)에 끼움 결합되며, 타 단부에는 2개의 연장부(612)가 구성되어 있어 2개의 연장부(612)가 비이커(400)를 지지 고정하는 집게의 각 다리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집게 형상을 가진 2개의 연장부(612)는 힌지(611)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의 비이커(400)를 지지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홀더(620)는 가열된 실험 용액이 튈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온의 환경에 노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는 만큼 높은 수준의 강도 및 내열성이 겸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홀더(620)의 표면에는 셀룰로오스(cellulose) 및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를 포함하는 보조층(미도시)이 적층 처리 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보조층(미도시)을 구성하는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에 대해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조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보조층은 셀룰로오스(cellulose) 및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을 포함하는 물질이라 하였는데, 이러한 보조층은 기본적으로 제 1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제 2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제 3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제 3 물질을 전기 방사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11) 제 1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먼저, N,N-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N,N-Dimethylacetamide) 30 내지 45 중량부, 클로로포름(Chloroform) 30 내지 45중량부, 셀룰로오스(cellulose) 5 내지 15 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5 내지 15 중량부, 벤질트리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BTEAC:Benzyltriethylammoniumchloride)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물질을 제조한다.
여기서, N,N-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와 클로로포름은 셀룰로오스 및 폴리카보네이트의 용해를 위한 유기 용매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셀룰로오스는 고등식물의 세포벽의 중요 성분을 구성하는 당류로서 유연성 및 팽윤성의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보조층의 구조를 형성하는 물질이며 방사 용액으로서 역할을 수행하여 후술할 과정을 통해 섬유의 형상으로 전기 방사될 수 있다.
더하여, 폴리카보네이트는 비스페놀 A가 카보네이트 결합으로 이어져서 만들어진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서 높은 강도, 내열성, 내충격성의 특징을 가지고 상술한 셀룰로오스와 같이 보조제의 구조를 형성하는 물질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벤질트리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는 본 발명의 홀더(620)의 표면에 코팅 시 강도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벤질트리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가 상술한 중량부보다 많은 양이 첨가되었을 경우 제 1 물질 내에서 첨가제끼리의 접근성으로 인하여 공간전하가 호핑되어 사라지기 때문에 상술한 양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이 첨가제 사이의 공간전하를 제거하여 보다 안정적인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S12) 제 2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다음으로 제 2 물질이 제조되며, 상기 제 2 물질은 물 65 내지 85 중량부, 실리카 분말 10 내지 25 중량부, 소듐트라이메타포스페이트(sodium trimeta phosphate) 5 내지 15 중량부, 소듐라우릴설페이트(SLS:sodium lauryl sulfate) 5 내지 15 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5 내지 15 중량부가 혼합되어 제조된다.
실리카는 열 팽창률이 낮으며 열충격 저항성이 큰 무기계 물질이며, 홀더(620)의 표면에 코팅 시 열충격 저항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실리카 분말은 1 내지 10㎛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소듐트라이메타포스페이트는 음이온성 분산제로서 실리카 분말을 물에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소듐라우릴설페이트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제 2 물질 사이의 혼합성을 높인다. 마지막으로, 폴리비닐알코올는 초산 비닐 수지를 탈초산하여 얻어지는 수용성 수지로서 제 2 물질의 점도를 향상시켜주는 점도 증가제로서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제 2 물질 내의 성분들의 결합력을 높여주어 구조적 안정성 향상을 보조할 수 있다.
(S13) 제 3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제 1 물질 50 내지 70 중량부와, 상기 제 2 물질 30 내지 50 중량부를 100 내지 120℃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혼합하여 제 3 물질을 제조한다. 제 1 물질과 제 2 물질의 혼합에 의해 제 3 물질이 제조되며, 이 때 제 1 물질 및 제 2 물질 각각에 포함된 계면활성제가 혼합성을 높여 제 3 물질 역시 균질 혼합물의 형태를 얻을 수 있다.
(S14) 제 3 물질을 전기 방사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제조된 제 3 물질을 전기 방사 처리하여 보조층을 완성한다. 이때, 전기 방사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노즐을 통해 밀리미터 직경의 분사물(jet)을 방출시켜 나노섬유로 된 부직포를 생산하는 공정이며, 이를 통해 섬유 형상의 보조층 구성 물질이 완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층은 전기 방사된 섬유 형상 그대로 이용될 수도 있지만, 보조층 물질를 분쇄하여 분쇄물의 형태로 홀더(620)의 표면에 적층 코팅 처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보조층은 높은 수준의 내충격성 및 내열성 뿐 아니라 높은 강도를 나타내며, 나아가 열충격 저항성이 높아 반복적인 가열 환경에 놓이게 되는 홀더(620)의 표면에 코팅 처리될 경우 홀더(620)의 수명을 높여줄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정성을 강화한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 : 가열기구 어셈블리 100 : 스탠드
110 : 베이스 120 : 자성 패널
200 : 지주 300 : 삼발이
310 : 지지체 320 : 레그
330 : 캡 400 : 비이커
500 : 램프 600 : 클램프
610 : 지지대 611 : 힌지
612 : 연장부 620 : 홀더
621 : 결합공 622 : 관통공

Claims (9)

  1. 안정성을 강화한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로서,
    패널 형상으로서, 자성체를 포함한 스탠드;
    상기 스탠드의 일 측에서 기립된 지주;
    실험용액을 수용한 비이커를 지지하면서 상기 스탠드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3개의 레그 및, 상기 레그의 하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자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스탠드와 자성 결합하는 캡을 구비한 삼발이;
    상기 레그의 사이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비이커를 가열하는 램프;
    상기 지주의 일 측에서 상기 비이커로 연장되어 상기 비이커를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프는,
    상기 비이커를 고정하는 지지대와, 블록 구조로서 상기 지주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의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공을 구비한 홀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의 표면에는, 셀룰로오스(cellulose) 및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를 포함하는 보조층이 적층되며,
    상기 보조층은,
    N,N-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c:N,N-Dimethylacetamide) 30 내지 45 중량부, 클로로포름(Chloroform) 30 내지 45 중량부, 셀룰로오스(cellulose) 5 내지 15 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5 내지 15 중량부, 벤질트리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BTEAC:Benzyltriethylammonium chloride)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물 65 내지 85 중량부, 실리카 분말 10 내지 25 중량부, 소듐트라이메타포스페이트(Sodium trimeta phosphate) 5 내지 15 중량부, 소듐라우릴설페이트(SLS:sodium lauryl sulfate) 5 내지 15 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5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물질 50 내지 70 중량부, 상기 제 2 물질 30 내지 50 중량부를 100 내지 120℃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혼합하여 제 3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3 물질을 전기 방사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적층되거나 함입된 자성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힌지를 매개로 집게 형상을 가진 2개의 연장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00155974A 2020-11-19 2020-11-19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 KR102212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974A KR102212341B1 (ko) 2020-11-19 2020-11-19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974A KR102212341B1 (ko) 2020-11-19 2020-11-19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341B1 true KR102212341B1 (ko) 2021-02-04

Family

ID=74558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974A KR102212341B1 (ko) 2020-11-19 2020-11-19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3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924A (ko) * 2001-05-25 2002-11-30 박준환 화학 실험용 보조 기구
KR20090107441A (ko) * 2008-04-08 2009-10-13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고내열성 피복층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미세다공막의 제조방법
KR101417925B1 (ko) * 2013-03-27 2014-07-10 주식회사 사이언스스타 다용도 실험용 키트
JP2016094334A (ja) * 2015-11-05 2016-05-26 日立化成株式会社 耐熱性水酸化アルミニウム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積層板
JP6329143B2 (ja) * 2013-06-28 2018-05-23 株式会社クラレ 難燃性不織布、成形体およびコンポジット積層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924A (ko) * 2001-05-25 2002-11-30 박준환 화학 실험용 보조 기구
KR20090107441A (ko) * 2008-04-08 2009-10-13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고내열성 피복층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미세다공막의 제조방법
KR101417925B1 (ko) * 2013-03-27 2014-07-10 주식회사 사이언스스타 다용도 실험용 키트
JP6329143B2 (ja) * 2013-06-28 2018-05-23 株式会社クラレ 難燃性不織布、成形体およびコンポジット積層体
JP2016094334A (ja) * 2015-11-05 2016-05-26 日立化成株式会社 耐熱性水酸化アルミニウム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積層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341B1 (ko) 실험용 가열기구 어셈블리
DE602004012389T2 (de) Tragbare beleuchtungsvorrichtung mit leuchtdioden
CN106042904A (zh) 一种中空箱体支撑组件及中空箱体成型方法
CN206232697U (zh) 一种生物培养支架
JP2011096417A (ja) 照明装置
CN206450927U (zh) 一种直下式背光模组及背光源
KR100961913B1 (ko) 기판의 앞면과 뒷면을 동시에 임프린팅 할 수 있는 기판 임프린팅 장치
EP1845302A2 (en) Support means for a lighting device
CN203517444U (zh) 凹透镜式大角度led灯
CN2344647Y (zh) 灯芯辅助固定座装置
CN211853758U (zh) 一种可拆卸式抗风路灯
CN210219555U (zh) 一种新型路灯的结构
CN213824888U (zh) 无机化合物实验装置
CN101451681B (zh) 一种塞入式导光柱的固定装置及固定方法
CN217154046U (zh) 具有boss柱防缩痕成型机构的电动车前大灯结构
CN208204741U (zh) 一种氛围灯及话筒
CN111123632A (zh) Led投射装置
CN218269580U (zh) 一种高位槽
CN214041864U (zh) 一种可调式放大镜
TWM298688U (en) Candle stand
CN214369500U (zh) 一种家用台灯模型
CN209026586U (zh) 一种便于组装的台灯
CN215808172U (zh) 一种模块化灯杆用灯杆连接装置
CN211411169U (zh) 多孔组合漏斗架
CN205716829U (zh) 一种柱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