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292B1 - Durability test equipiment of wiring-harness - Google Patents

Durability test equipiment of wiring-harn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292B1
KR102212292B1 KR1020200088568A KR20200088568A KR102212292B1 KR 102212292 B1 KR102212292 B1 KR 102212292B1 KR 1020200088568 A KR1020200088568 A KR 1020200088568A KR 20200088568 A KR20200088568 A KR 20200088568A KR 102212292 B1 KR102212292 B1 KR 102212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jig
shaft
bar
har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5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에프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에프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제이에프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88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29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2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testing the durability of a wiring harnes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testing the durability of a wiring harness, which comprises: a main body provided with a test unit; a first jig and a second jig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which both ends of the harness are coupled; and a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second jig. The apparatus is designed to test durability by changing the outer shape of the harness as the second jig repeatedly moves up and down and idles by the driving means.

Description

와이어링 하네스의 내구성 시험장치{DURABILITY TEST EQUIPIMENT OF WIRING-HARNESS}Durability test device of wiring harness {DURABILITY TEST EQUIPIMENT OF WIRING-HARNESS}

본 발명은 와이어링 하네스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스트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하네스의 양단부가 결합되는 제1지그 및 제2지그, 상기 제2지그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2지그가 반복적으로 상하운동 및 공회전을 함에 따라 상기 하네스의 외형을 변형시켜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도록 고안된 와이어링 하네스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testing durability of a wiring harness, and more particularly, a main body provided with a test unit, a first jig and a second jig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arness, and driving the second jig In the durability test apparatus of the wiring harness designed to test durability by de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harness as the second jig repeatedly moves up and down and idles by the driving means. About.

최근 자동차는 단순한 수송수단에서 최첨단의 전자기술 및 IT기술을 접목한 종합 생활 공간으로 그 기능이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어, 첨단 기술 차량의 전장시스템들의 서로 간에 필요한 전력 및 데이터를 주고받는 인간의 중추신경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발전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utomobiles are changing rapidly from simple means of transportation to comprehensive living spaces that combine state-of-the-art electronic technology and IT technology, so the central nervous system of humans exchanges necessary power and data between the electronic systems of high-tech vehicles. The development of the wiring harness that performs the same role is also progressing.

여기서, 와이어링 하네스(wiring harness)란 자동차의 각 부위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 및 전류를 부품 상호간에 전달하여 각 전장시스템이 제 역할을 수행하도록 전기통로 역할을 하는 배선의 총 집합체로서, 자동차에 탑재된 수많은 전장품들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여 발전기 또는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에너지를 각 전장품에 전달하고 각종 스위치 및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해당 부품에 전달시켜 주는 중간 매체물이다.Here, the wiring harness is a total assembly of wiring that serves as an electrical path for each electric system to perform its role by transmitting electrical signals and currents generated in each part of the vehicle to each other. It is an intermediate medium that transmits electrical energy generated from a generator or battery to each electronic device by electrically interconnecting a number of electrical devices and delivers various information generated from various switches and sensors to the corresponding parts.

이러한 와이어링 하네스는 자동차의 급발진, 급제동, 급커브 및 엔진 등에 의해 진동에 노출되고, 결국 반복적인 구부러짐과 변형으로 단선 되기 때문에 와이어링 하네스의 내구수명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Since such a wiring harness is exposed to vibrations due to sudden start, sudden braking, sudden curves and engines of a vehicle, and eventually disconnected due to repeated bending and deformation,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predict the durability life of the wiring harness.

이를 위해 종래에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굽힘 수명을 예측하기 위하여 설계, 시범생산, 내구력 시험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였다. 즉, 내구력 시험에서 계획된 배선로를 따라 분포된 전선은 진동 기초판에 놓여지고 진동 기초판은 바이브레이터에 의해서 소정 진동수 및 소정 진폭으로 진동되며 특정 진동수만큼 진동되었을 때의 전선 굽힘 수명이 예측된다.For this, in the prior art, design, pilot production, and durability tests were repeatedly performed to predict the bending life of the wiring harness. That is, the electric wires distributed along the wiring path planned in the durability test are placed on a vibration base plate, and the vibration base plate is vibrated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amplitude by a vibrator, and the electric wire bending life is predicted when it is vibrated by a specific frequency.

그러나 자동차의 개발기간은 짧아지고 굽힘 수명 예측은 보다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에서 내구성 시험이 반복되는 상기와 같은 굽힘 수명 예측방법은 개발기간을 만족할 만큼 줄일 수 없으며 예측정확도 향상에 대한 요구를 충분히 충족하지 않는다.However, the development period of automobiles is shortened, and the bending life prediction requires higher accuracy. Therefore, the bending life prediction method, in which the durability test is repeated in such an environment, cannot be sufficiently shortened to satisfy the development period and does not sufficiently satisfy the demand for improvement in prediction accuracy.

상기와 같이 와이어링 하네스의 내구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278192호 "차량 엔진룸 배선용 와이어하네스의 내구성 시험장치"(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 등록특허 제10-1188402호 "하네스의 내구성 시험장치"(이하 '종래기술2'라 함.), 등록특허 제10-1264855호 "차량용 와이어하네스의 내구수명 측정장치"(이하 '종래기술3'이라 함.)를 들 수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ology for testing the durability of the wiring harness as described above, Patent No. 10-1278192 "Durability test apparatus for a wire harness for wiring in a vehicle engine room" (hereinafter referred to as'Prior Art 1'), registered patent 10-1188402 "Harness Durability Test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Technology 2"), Registration Patent No. 10-1264855 "Durability Life Measurement Device for Vehicle Wire Harn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3". ).

상기 종래기술1은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 상에 구비되고, 구동부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이송프레임과, 이송프레임 상에 구비되고, 와이어하네스를 배선 정렬하는 지그장치를 안착 고정하는 진동프레임과, 이송프레임, 고정프레임 및 진동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와이어하네스의 내구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이송프레임의 왕복 이동을 진동프레임의 전후 및 상하 복합진동으로 전환하는 동작전환부를 포함하하는 기술을 제시한다.The prior art 1 is a fixed frame, a transfer frame provided on the fixed frame and reciprocating by a driving unit, a vibration frame provided on the transfer frame, and a vibration frame for seating and fixing a jig device for wiring the wire harness, and transfer In order to test the durability of the wire harness by interconnecting the frame, the fixed frame and the vibrating frame, a technology including a motion switching unit that converts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transfer frame to the front and rear and vertical composite vibration of the vibrating frame is presented.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1은 진동에 의한 와이어의 내구성을 테스트하는 것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동차 주행환경과 같은 상황을 재현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으며, 굽힘 수명을 예측하는데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 prior art 1 tests the durability of the wire due to vibration, and as mentioned above, it is somewhat difficult to reproduce a situation such as an automobile driving environment, and there is a limit to predicting the bending life.

상기 종래기술2는 비회전방식으로 원심력과 상응하는 하중을 하네스에 인가하기 위한 하네스의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로터 블레이드에 결합된 하네스에 원심력과 상응하는 하중을 가하는 하중인가부와; 상기 로터 블레이드가 결합된 비틀림조절판의 일면에 결합되어 비틀림 조절판을 상하로 동작하게 하는 직선운동부와; 상기 로터 블레이드를 일정한 경사각으로 비틀기 위한 비틀림조절부로 구성되어 원심력에 상응하는 하중을 인가하기는 하나, 반복적으로 와이어를 늘렸다 줄였다 할 수가 없이 지속적인 부하를 전달할 수 밖에 없어 정확하게 와이어의 내구성을 파악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The prior art 2 provides an apparatus for testing durability of a harness for applying a load corresponding to a centrifugal force to a harness in a non-rotating manner, comprising: a load applying unit for applying a load corresponding to a centrifugal force to a harness coupled to a rotor blade; A linear motion unit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torsion control plate to which the rotor blades are coupled to move the torsion control plate up and down; Although it is composed of a torsion control unit for twisting the rotor blade at a certain inclination angle and applies a load corresponding to the centrifugal force, it is somewhat unreasonable to accurately grasp the durability of the wire as it has no choice but to transmit a continuous load without repeatedly stretching or reducing the wire. There is.

상기 종래기술3은 레임에 힌지 연결되고 차량의 트렁크 개폐 안내용 힌지축과 동일한 형상을 하며 메인와이어하네스에서 분기되는 서브와이어하네스를 배선 정렬하는 힌지부재, 및 이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전후진되며 힌지부재를 실차 조건으로 회동시켜 메인와이어하네스에 대한 서브와이어하네스의 내구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ior art 3 is hinge-connected to the frame and has the same shape as the hinge shaft for gu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runk of the vehicle, and a hinge member for wiring alignment of the sub-wire harness branching from the main wire harness, and a hinge member that is hinge-connected to the frame to be front and rear by external for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including a cylinder member for testing the durability of the sub-wire harness with respect to the main wire harness by rotating the hinge member under actual vehicle conditions.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3은 트렁크에 배선되는 와이어하네스에 국한되어 테스트가 시행됨에 따라, 엔진룸, 에어백 등 다양한 위치에서 사용되는 와이어들의 내구성을 테스트하기에는 한계가 있다.However, as the prior art 3 is limited to the wire harness wired in the trunk and the test is performed, there is a limit to testing the durability of wires used in various locations such as an engine room and an air bag.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본체 내에 하네스의 양측을 고정하는 제1지그 및 제2지그를 구성하고, 상기 제2지그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제2지그가 승하강 및 공회전 운동을 반복함에 따라 보다 강도 높은 와이어링 하네스의 내구성을 테스트할 수 있는 와이어링 하네스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 first jig and a second jig for fixing both sides of the harness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second jig is provided, and as the second jig repeats elevating and idling motions by the driving mean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ing harness durability test apparatus capable of testing the durability of a wiring harness with higher strength.

특히, 상기 제2지그의 회전운동이 정회전 및 역회전 운동을 반복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와이어링 하네스를 인장시키면서 함께 비틀 수 있어 극한의 환경에서의 내구성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는 와이어링 하네스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particular, a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jig is made to repeat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al movements, the wiring harness durability test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durability tests in extreme environments is provided, which can be twisted together while tensioning the wiring harness. It is intended to provide.

나아가 실린더가 아닌 제1 및 제2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지그를 동작하도록 구성하여 와이어링 하네스에 보다 빠르고 강하게 부하를 줄 수 있는 와이어링 하네스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ing harness durability test apparatus capable of applying a faster and stronger load to the wiring harness by configuring the second jig to operate by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instead of cylinders. d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의 내구성 시험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urability test apparatus of the wiring har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테스트부가 형성된 본체;A body with a test unit formed thereon;

상기 테스트부에 상부에 구비되어 하네스의 일단을 고정하는 제1지그;A first jig provided on the test unit to fix one end of the harness;

상기 테스트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네스의 타단을 고정하는 제2지그;A second jig provided under the test unit and fixing the other end of the harness;

상기 제2지그가 구비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샤프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동체;A driving body comprising a rotor on which the second jig is provided and a shaft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under the rotor;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를 승하강시키는 제1구동수단과, 상기 샤프트를 길이방향의 중심축선을 회전축으로 공회전시키는 제2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구동수단;A driving mean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omprising a first driving means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shaft, and a second driving means for idling the shaft with a center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rotation axis;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Consists of including,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2지그가 구비되는 구동체가 승하강하면서 회전함에 따라 하네스의 외형을 반복적으로 변형시켜 내구성을 시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the driving body provided with the second jig rotates while elevating by the driving means, the outer shape of the harness is repeatedly deformed to test durabilit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의 내구성 시험장치는As described above, the durability test apparatus of the wiring har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테스트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테스트부내에 구비되어 와이어링 하네스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제1지그 및 제2지그, 상기 제2지그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지그가 반복적으로 승하강 및 회전하도록 하여 와이어링 하네스의 인장력 등의 내구성을 테스트할 수 있으며,It comprises a body provided with a test unit, a first jig and a second jig provided in the test unit to fix both ends of the wiring harness, and a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second jig, wherein the second jig is repeatedly The durability of the wiring harness, such as tension, can be tested by raising and lowering and rotating.

특히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늘어나면서 비틀리는 동작이 반복되도록 구성하여 보다 빠르게 극한의 상황을 재현하여 내구성 테스트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the wiring harness is configured to repeat the twisting operation as the wiring harness is stretched, thereby reproducing an extreme situation more quickly, thereby enabling the durability test to proceed quickly.

아울러 상기 제2지그를 동작하는 구동수단이 실린더가 아닌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로 구성함에 따라, 회전속도 및 회전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빠른 속도로 와이어링 하네스를 변형시킬 수 있어 내구성 테스트 결과를 빠르게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s the driving means for operating the second jig is composed of a first driving motor and a second driving motor instead of a cylinder, the rotation speed and amount of rotation can be easily adjusted, and furthermore, the wiring harness can be deformed at a high speed. It has the effect of quickly deriving durability test results.

나아가 상기 제1지그가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상황에 따라 제2지그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와이어링 하네스를 시험할 수 있다.Furthermore, as the first jig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jig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so that various types of wiring harnesses can be tes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의 내구성 시험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의 내구성 시험장치의 측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의 내구성 시험장치의 부분
확대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의 내구성 시험장치의 변형례
1 is a front view of an apparatus for testing durability of a wiring har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durability test apparatus for a wiring har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part of a durability test apparatus for a wiring har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larged view
6A and 6B are a modified example of a durability test apparatus for a wiring har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of the bar, implementation (態樣, aspect) (or embodiment) that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of disclosure,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each dra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particular the number of tens and ones, or the same number of tens, ones, and alphabet indicate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each of the drawings The member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ber can be identified as a member conforming to these criteria.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in each drawing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 (or thick) or small (or thin) or simplified the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but this limi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n'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sun, 態樣, aspect) (or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consist~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being ad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내구성 시험장치(D)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부(11)가 구비되는 본체(10)와, 이 본체(10)에 구비되는 제1지그(20), 제2지그(30), 구동체(40) 및 구동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wiring harness durability test apparatus 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provided with a test unit 11, and a first jig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20), the second jig 30, the drive body 40 and the drive means 50 are included, and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상기 본체(10)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내구성을 검사하기 위한 테스트부(11)가 구비되고, 이 테스트부(11) 하부에는 상기 구동수단(50)이 내장되는 수납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테스트부(11)에는 안전을 위하여 개폐 가능한 도어가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이 도어의 타단에는 상기 테스트부(11)를 밀폐시키기 위한 고정장치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장치는 걸쇠, 후킹 등 다양한 잠금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하는 잠금유닛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First,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test unit 11 for testing the durability of the wiring harness, and a storage unit 12 in which the driving means 50 is embedded is formed under the test unit 11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for safety is hinged to the test part 11, and a fixing device for sealing the test part 11 is furthe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door. , The fixing device may be made of various locking devices such as a clasp, hooking, etc., and may be formed of a locking unit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thereto.

다시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상기 테스트부(11) 내부 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제어부(13)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제어부(13)에 의해 테스트부(11) 내부의 온도, 습도, 기압 조건 등을 설정할 수 있고, 기계 작동의 ON/OFF, 내구성 테스트 결과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Again, a control unit 13 capable of setting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test unit 11 is further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air pressure inside the test unit 11 by this control unit 13 Conditions can be set, and machine operation ON/OFF and durability test results can be checked.

일실시예로, 상기 테스트부(11)의 온도는 영하 40℃에서 영상 150℃ 사이에서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테스트부(11) 내에는 동작감지센서, 모니터링 센서 등이 다양하게 구비되어 테스트부(11) 내의 환경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In one embodiment, the temperature of the test unit 11 can be set between -40°C and 150°C, and a motion detection sensor, a monitoring sensor, etc. are variously provided in the test unit 11 to test It is made so that the environment in the unit 11 can be monitored in real time.

또한 누전차단기, 과온방지조절계, 고/저압 차단기, 과부하차단기, 경보알림장치 등의 다양한 안전장치 또한 구비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various safety devices such as a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an overtemperature control system, a high/low voltage circuit breaker, an overload circuit breaker, and an alarm notification device are also recommended.

본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의 내구성 시험장치(D)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본체(10)와, 상기 테스트부(11)에 구비되어 와이어링 하네스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제1지그(20) 및 제2지그(30), 상기 제2지그(30)가 구비되는 구동체(40) 및 상기 구동체(40)를 동작시키는 구동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earnest describing the durability test apparatus (D) of the wiring har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above-mentioned main body 10 and the test unit 11 to fix both ends of the wiring harness. A first jig 20 and a second jig 30, a driving body 40 provided with the second jig 30, and a driving means 50 for operating the driving body 40.

먼저, 본 발명은 총 4개의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도1의 정면도 및 도2의 측면도를 살펴보면, 제1지그(20)는 상기 테스트부(11)에 총 4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그(30)는 상기 테스트부(11) 하부에 총 4개가 구비되며, 보다 구체적인 위치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도1을 기준으로 도면상의 좌우를 명세서내의 좌우라 지칭하고, 이에 대응하여 도어가 구비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하도록 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fix a total of four wiring harnesses. Looking at the front view of Fig. 1 and the side view of Fig. 2, the first jig 20 is provided with a total of four in the test unit 11 The second jig 30 is provided with a total of four under the test unit 11, and a more specific loc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and the left and right in the drawing are defined as the left and right in the specification based on FIG. And in response to th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provided is determined forward.

다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그(20)는 상기 테스트부(11)에 구비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테스트부(11)의 상부에는 좌우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21)이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고, 이 각각의 레일(21)에 한 쌍의 지그봉(22)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됨에 따라, 총 4개의 지그봉(22)이 서로 이격되어 상기 테스트부(11)에 구비되게 된다.Again, as shown in Figs. 1 to 3, the first jig 20 is provided in the test unit 11, and more specifically, a rail form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bove the test unit 11 As (21) is provided in a pai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pair of jig rods 22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each rail 21, a total of four jig rods 22 It is spaced apart and provided in the test unit 11.

상기 지그봉(22)은 상기 레일(21)에 구비되어 아래로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부재로, 상기 각각의 지그봉(22)에는 제1지그(20)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결과적으로 한 쌍의 제1지그(20)가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고, 이 한 쌍의 제1지그(20)와 동일한 또 한 쌍의 제1지그(20)가 상기 후방에 위치하여 1열 및 2열을 형성하는 구조가 된다.The jig rod 22 is a member provided on the rail 21 and formed to be elongated in a vertical direction downward, and each jig rod 22 is provided with a first jig 20, and as a result, a pair The first jig 20 of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nother pair of first jig 20, which is the same as the pair of first jig 20, is located in the rear, so that the first row and It becomes a structure that forms two rows.

다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21)에는 상기 지그봉(22)의 상부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지그봉(22)이 레일(21)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상기 레일(21)에는 눈금부(R)가 구비되어 상기 지그봉(22)의 간격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별도의 고정장치가 구비되어 위치 이동이 완료된 지그봉(22)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 again, the upper part of the jig rod 22 is slidably coupled to the rail 21 so that the jig rod 22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the rail 21. The rail 21 is provided with a scale portion (R)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jig rods 22 can be accurately checked, and a separate fixing device is provided to stably fix the jig rods 22 that have been moved. Make it possible.

더 나아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봉(22)들을 제1열 지그봉(22)들과 제2열 지그봉(22)들이 일정 거리 전후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도록 보조레일(23)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레일(23)이 레일(21)에 구비되고, 이 보조레일(23)에 지그봉(22)이 결합되거나, 반대로 상기 지그봉(22)은 레일(21)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21)이 보조레일(23)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상기 레일(21)과 보조레일(23)이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조건하에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되며, 상기 보조레일(23)에도 별도의 고정장치가 구비되는 것은 바람직하며, 눈금부(R) 또한 구비되어 손쉽게 거리를 측정하여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Further, as shown in Fig. 2, the auxiliary rail 23 so that the first row jig rods 22 and the second row jig rods 22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by a certain distance. The auxiliary rail 23 may be further provided, and the auxiliary rail 23 is provided on the rail 21, and the jig rod 22 is coupled to the auxiliary rail 23, or, conversely, the jig rod 22 is a rail 21 And the rail 21 may be coupled to the auxiliary rail 23, and the rail 21 and the auxiliary rail 23 may be variously chang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rail 21 and the auxiliary rail 23 cross each other.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 limitation, and it is preferable that a separate fixing device is provided for the auxiliary rail 23 as well, and a scale portion R is also provided so that the position can be easily measured by measuring the distance.

상기 각각의 지그봉(22)에는 제1지그(20)가 각각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제1지그(20) 또한 상기 지그봉(2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그봉(22)에도 눈금부(R)가 더 구비되어 제1지그(20)의 위치를 육안으로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지그(20)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핸들(221)이 더 구비되어 안정적으로 제1지그(20)를 정위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Each jig rod 22 is provided with a first jig 20, and the first jig 20 is also provided to be slidably moved along the jig rod 22, and the jig rod 22 Also, a scale portion (R)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first jig 20 can be easily adjusted with the naked eye, and a separate fixing handle 221 for fixing the first jig 20 is further provided to ensure stability. The first jig 20 can be fixed in place.

상기와 같이, 상기 제1지그(20)는 지그봉(2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지그봉(22)이 상기 레일(21) 및 보조레일(23)을 따라 상기 테스트부(11) 상부에서 전후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시험하고자 하는 와이어 하네스의 종류 또는 내구성 강도 조절을 위한 경우, 자유롭게 제1지그(20)를 테스트부(11) 내에서 자유롭게 위치이동 및 고정할 수 있어, 후술하는 제2지그(30)와의 거리 및 상대적 위치를 조절하여 내구성 테스트를 다양하게 진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jig 20 is provided to be slidably movable along the jig rod 22, and the jig rod 22 is provided along the rail 21 and the auxiliary rail 23, and the test unit ( 11) It is configured to be movable from the top to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so that the first jig 20 can be freely moved and fixed within the test unit 11 in the case of adjusting the type or durability strength of the wire harness to be tested. Thus, the durability test can be variously performed by adjusting the distance and the relative position with the second jig 30 to be described later.

도1 및 도2 그리고 도4를 참조하여 상기 제2지그(30)에 대하여 설명하면,Referring to Figs. 1, 2, and 4, the second jig 30 will be described,

우선 상기 제2지그(30)는 상기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링 하네스의 타단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제2지그(30)는 총 4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2지그(30)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제2지그(30)가 고정되는 구동체(4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First of all, the second jig 30 is to be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ing harness to which the one end is fixed, and the second jig 30 is provided with a total of four, and the second jig 30 will be described. In the above, the driving body 40 to which the second jig 30 is fixed will be described.

상기 구동체(40)는 상기 제2지그(30)가 구비되는 로터(41)와, 상기 로터(41)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샤프트(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후술하는 구동수단(50)에 의해 승하강 및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driving body 40 comprises a rotor 41 provided with the second jig 30 and a shaft 42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below the rotor 41, and a driving means (to be described later) ( 50) so that it can move up and down and rotate.

먼저 상기 로터(41)는 상기 테스트부(11)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열의 지그봉(22)들 사이와, 제2열의 지그봉(22)들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두 개의 로터(41)가 전후 배열되고, 로터(41) 하부에는 샤프트(42)가 구비되어, 샤프트(42)의 동작과 로터(41)가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First, the rotor 41 is located under the test unit 11, and more precisely, it is provided between the jig rods 22 in the first row and the jig rods 22 in the second row. As a result, the two rotors 41 are arranged back and forth, and a shaft 42 is provided under the rotor 41,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shaft 42 and the rotor 41 are interlocked.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로터(41)와 샤프트(42)의 위치는 도1을 기준으로 상기 테스트부(11)의 정 중앙의 라인에 구비되며, 이는 복수의 제1지그(20)들과 인접하는 제2지그(30)와의 간격이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More precisely, the positions of the rotor 41 and the shaft 42 are provided in the center line of the test unit 11 based on FIG. 1, which is a first jig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first jigs 20. This is to ensure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two jig 30 is the same.

상기 로터(41) 상부에는 제2지그(30)가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제2지그(30)는 상기 로터(41) 상부에 2개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결과적으로 총 4개의 제2지그(30)가 구비되게 된다.A second jig 3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rotor 41, and two second jigs 30 ar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rotor 41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a result, a total of four second jigs ( 30) will be provided.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제2지그(30)의 형상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한 쌍의 제2지그(30)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각 단부가 상기 로터(41)의 중앙에 고정되어 상기 로터(41)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구비된다.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shape of the second jig 30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air of second jig 3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with each other, but each end is in the center of the rotor 41 It is fixed and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rotor 41.

상기 제2지그(30)에는 상향 돌출된 돌출바(3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돌출바(31)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타단이 고정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돌출바(31)는 상기 로터(41)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후술하는 구동수단(50)에 의해 제2지그(30)가 회전하면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일부가 상기 돌출바(31) 외면에 감길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second jig 30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 31 protruding upward, and the other end of the wiring harness is fixed to the protruding bar 31, and as a result, the protruding bar 31 is the rotor ( 41) are provided at posi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and when the second jig 30 is rotated by the driving means 50 to be described later, a part of the wiring harness is plac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bar 31 It is made so that it can be wound.

아울러, 상기 제2지그(30)에도 눈금부(R)가 구비되어 와이어링 하네스의 감김정도, 고정위치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jig 30 is also provided with a scale portion R so that the degree of winding of the wiring harness, the fixed position, etc. can be visually checked.

결과적으로 각각의 하네스는 가장 인접한 제1지그(20)와 제2지그(30)에 양단부가 고정되게 되며, 일예로, 도1을 기준으로 제1열의 우측 제1지그(20)와 제2지그(30)에 하나의 하네스가 고정되고, 제1열의 좌측 제1지그(20)와 제2지그(30)에 하나의 하네스가 고정되게 된다.As a result, each harness is fixed at both ends of the first jig 20 and the second jig 30 adjacent to each other, as an example, the first jig 20 and the second jig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row based on FIG. One harness is fixed to (30), and one harness is fixed to the left first jig 20 and the second jig 30 of the first row.

다시 상기 샤프트(42)는 상기 테스트부(11)에서 하부로 관통되어 수납부(12)에 단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샤프트(42)는 상하로 승하강 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승하강 운동과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42)의 회전은 상기 샤프트(42)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가상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공회전함을 의미하며, 이는 곧 샤프트(42)가 상기 로터(41) 중앙 하부에 구비됨에 따라 로터(41)의 승하강 및 공회전운동을 유도하게 된다.Again, the shaft 42 is penetrated downward from the test part 11 so that the end portion is located in the receiving part 12, and the shaft 42 is made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otate with an elevating movement. Here, the rotation of the shaft 42 means that the shaft 42 is idle with respect to a virtual axis of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42, which means that the shaft 42 is provid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rotor 41 It induces the raising and lowering and idling motion of the rotor 41.

본 발명은 상기 구동체(40)(샤프트(42) 및 로터(41))를 승하강 및 회전운동 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구동수단(50)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하, 도1, 도2 및 도5를 참조하여 구동수단(5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driving means 50 is further provided for lifting and rotating the drive body 40 (shaft 42 and rotor 41), and hereinafter, FIGS. 1, 2 and The driving means 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5.

먼저,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구동체(4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제1구동수단(51)과, 상기 구동체(4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구동수단(5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구동수단(51)만 동작하면 상기 구동체(40)는 승하강운동만 하여 제2지그(30)가 승하강운동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구동수단(52)만 동작하면 상기 제2지그(30)가 회전운동만 동작하며, 상기 제1구동수단(50) 및 제2구동수단(50)을 함께 동작하면 상기 제2지그(30)는 승하강운동과 함께 회전운동을 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2지그(30)에 고정되는 와이어링 하네스를 인장시키면서 꼬는 동작, 즉 비틀림 동작이 되도록 하여 내구성을 테스트한다.First, the driving means 50 is composed of a first driving means 51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driving body 40, and a second driving means 52 for rotating the driving body 40, When only the first driving means 51 is operated, the driving body 40 can only move up and down, so that the second jig 30 can move up and down, and when only the second driving means 52 is operated, the When the second jig 30 operates only the rotational motion, and the first driving means 50 and the second driving means 50 are operated together, the second jig 30 performs a rotational movement together with an elevating movement. Consisting of, the durability is tested by twisting the wiring harness fixed to the second jig 30 while tensioning, that is, twisting.

먼저, 상기 구동수단(50)은 앞서 언급한 설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구동수단(51)은 제1구동축(512)이 구비되는 제1구동모터(511)와, 상기 제1구동축(512)과 밸트결합을 하며 상기 샤프트(42)와 고정되는 링크(5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구동수단(52)은 제2구동축(522)이 구비되는 제2구동모터(521)와, 상기 제2구동축(522)과 밸트결합을 하되 상기 샤프트(42)가 내삽되는 회전부재(5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rst, the driving means 50 is provided in the above-mentioned installation part, the first driving means 51 is a first driving motor 511 provided with a first driving shaft 512, the first driving shaft A second driving motor 521 including a link 514 which is belt-coupled with 512 and is fixed with the shaft 42, and the second driving means 52 is provided with a second driving shaft 522. ), and a rotating member 524 into which the shaft 42 is inserted but is belt-coupled with the second driving shaft 522.

상기 제1구동수단(51)은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부 저면에 고정 구비되는 제1구동모터(511)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모터(511)의 제1구동축(512)에는 상기 제1구동축(512)과 연동되는 제1타이밍밸트(513)가 구비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driving means 51 includes a first driving motor 511 fixed to the bottom of the installation part, and the first driving shaft 512 of the first driving motor 511 has the A first timing belt 513 interlocked with the first driving shaft 512 is provided.

상기 샤프트(42)의 하부에는 링크(514)가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514)에는 링크(514)축이 상기 본체(10)에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A link 514 is hing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haft 42, and a link 514 shaft is provided to the main body 10 to be idle.

이 때 상기 제1구동축(512)과 상기 링크(514)가 상기 제1타이밍밸트(513)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구동축(512)이 회전하면 상기 링크(514)축이 회전하며, 이는 곧 상기 링크(514)를 회전시키며 상기 링크(514) 단부에 힌지결합된 샤프트(42)가 수직으로 승하강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At this time, when the first driving shaft 512 and the link 514 are connected by the first timing belt 513 and the first driving shaft 512 rotates, the link 514 shaft rotates. The link 514 is rotated so that the shaft 42 hinged to the end of the link 514 can vertically move up and down.

상기와 같은 구성을 위하여 상기 링크(514)는 제1링크암(514a)과 제2링크암(514b)이 서로 힌지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도1에서는 도면상 두 개의 링크(514)암이 분리된 형상이 도시되었으나,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링크암(514a)의 중앙에는 링크(514)축이 구비되고, 이 제1링크암(514a)의 단부와 샤프트(42)의 하단을 연결하는 또 하나의 제2링크암(514b)이 구비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위시킬 수 있도록 한다.For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ink 514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link arm 514a and the second link arm 514b are hinged to each other. (In FIG. 1, two link arms 514 are shown in the drawing. Although a separate shape is shown, as shown in FIG. 2, a link 514 shaft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link arm 514a, and the end of the first link arm 514a and the lower end of the shaft 42 Another second link arm (514b) connecting the is provided so that the rotational motion can be displaced by a linear motion.

상기 제2구동수단(52)은 제2구동축(522)이 구비되는 제2구동모터(521)를 포함하며, 상기 제2구동모터(521) 또한 상기 설치부에 구비된다.The second driving means 52 includes a second driving motor 521 provided with a second driving shaft 522,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521 is also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part.

상기 샤프트(42)의 상부,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설치부 상부에는 상기 샤프트(42)를 내삽하는 회전부재(524)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524)가 상기 제2구동축(522)과 제2타이밍밸트(523)로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구동모터(521)가 동작하면 상기 회전부재(524)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An upper portion of the shaft 42, more precisely, an upp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rotating member 524 for inserting the shaft 42, and the rotating member 524 includes the second driving shaft 522 and the second It is connected to the timing belt 523. Therefore, when the second driving motor 521 is operated, the rotating member 524 rotates together.

상기 회전부재(524)의 중앙에는 샤프트(42)가 관통 결합되게 되는데, 상기 샤프트(42)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524)의 중앙에는 상기 홈부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된다.A shaft 42 is penetrated through the center of the rotating member 524, and a groove par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haft 42, and a protrusion fitted to the groove part at the center of the rotating member 524 Is formed.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524)가 회전하면 상기 돌기가 홈부를 잡고 돌아 상기 샤프트(42)가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홈부가 샤프트(4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샤프트(42)가 승하강하는 동작 중에도 상기 회전부재(524)가 회전하면 승하강동작과 함께 회전동작이 진행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refore, when the rotating member 524 rotates, the protrusion is rotated by holding the groove portion, and the shaft 42 rotates together. As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42, the shaft 42 ) Is made so that when the rotating member 524 rotates during the elevating operation, the rotating operation can proceed together with the elevating oper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1구동수단(51) 및 제2구동수단(52)에 의해 상기 샤프트(42)가 승하강동작과 회전동작을 함께 진행하게 되고, 이는 곧 제2지그(30)가 승하강하면서 회전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로써 상기 제2지그(30)에 고정되는 와이어링 하네스가 비틀려 내구성 테스트가 진행되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ft 42 proceeds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motions and the rotating motions by the first drive means 51 and the second drive means 52, which means that the second jig 30 It means that it is rotated while elevating and descending, and as a result, the wiring harness fixed to the second jig 30 is twisted, so that the durability test proceeds.

또한 상기 제2구동수단(52)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각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도~180도 사이의 회전각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second driving means 52 is not rotated in one direction, but is preferably made to repeat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more preferably between 60 and 180 degrees.

나아가 상기 제1구동모터(511) 및 제2구동모터(521)는 서보모터로 이루어져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고, 저소음으로 내구성 시험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riving motor 511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521 are made of servo motors to enable precise control, and to allow durability test tests to be performed with low noise.

도6a 및 도6b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할 때 사용되는 잠금유닛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본체(10) 전면에 구비되는 안착블록과, 상기 도어에 구비되되, 상기 안착블록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인입블록 및 잠금유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6A and 6B are related to a locking unit used when opening or closing the door, as mentioned above, wherein the locking unit includes a seating block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and provided on the door. , Comprising a retractable block and a locking guide mean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block.

도6a 및 도6b는 앞서 언급한 잠금유닛(BU)의 실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본체(10) 전방에 구비되며 끼움홈부(B21)가 형성된 인입블록(B2)과,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끼움홈부(B21)에 인입되는 회전바(B13)를 구비한 안착블록(B1) 및 상기 인입블록(B2)에 구비되어 하부믈록에 인입된 회전바(B13)를 회전시키는 잠금유도수단(B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6A and 6B show an implementation view of the aforementioned locking unit BU, provid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0 and provided with an inlet block B2 in which a fitting groove B21 is formed, and provided in the door. A locking guide means (B3) for rotating a seating block (B1) having a rotating bar (B13)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B21) and a rotating bar (B13) provided in the insertion block (B2) and inserted into the lower block (B13) ), including

상기 안착블록(B1)의 회전바(B13)가 상기 끼움홈부(B21)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끼움홈부(B21)의 상부 내벽면을 지지함에 따라 상기 인입블록(B2)과 안착블록(B1)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As the rotating bar (B13) of the mounting block (B1) rotates within the fitting groove (B21) to support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of the fitting groove (B21), the insertion block (B2) and the mounting block (B1) are It is made to be firmly fixed.

도6a 및 도6b의 [A] 내지 [D]는 안착블록(B1)과 인입블록(B2)의 결합 순서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A] to [D] of FIGS. 6A and 6B are diagrams according to the order of combining the seating block B1 and the incoming block B2.

먼저 도면을 살펴보면 안착블록(B1)은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상부바디(B11)와, 상기 상부바디(B11) 하부에 돌출 구비되는 삽입돌기(B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돌기(B12) 단부에 후술하는 회전바(B13)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게 된다.First,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eating block (B1) is made of an upper body (B11) provided in the door and an insertion protrusion (B12)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B11), and at the end of the insertion protrusion (B12). A rotating bar (B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rotatably provided.

보다 구체적으로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기 삽입돌기(B12)는 서로 이격된 돌기가 한 쌍으로 나란하게 구비되고, 이 돌기 단부를 연결하는 회전축봉(B15)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바(B13)가 상기 회전축봉(B15)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봉(B15)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insertion protrusion (B12) is provided with a pair of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rotating shaft rod (B15) connecting the protrusion ends is provided, and the rotating bar (B13)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rod B15 by being combined with the rotating shaft rod B15.

상기 인입블록(B2)은 상기 본체(10) 전방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돌기(B12) 및 회전바(B13)가 인입되는 끼움홈부(B21)가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부(B21)는 인입블록 상부에 연통되어 상기 회전바(B13) 및 삽입돌기(B12)가 삽입되는 삽입홈(B212)과, 상기 삽입홈(B212)에 연통되며 상기 인입블록 내부에서 일정 공간을 갖는 회전유도홈(B211)과, 상기 회전유도홈(B211) 상부 일측에 연통되며 상기 삽입홈(B21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인입홈(B213)으로 이루어진다.The insertion block (B2) is provid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0, and a fitting groove (B21) into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B12) and the rotating bar (B13) are inserted is formed, and the fitting groove (B21) is inserted. The insertion groove (B212) in which the rotation bar (B13)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B12) are inser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top of the block, and the rotation induction groove (B211)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ertion groove (B212) and has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insertion block. ), and a lead-in groove (B213) communicating with one side above the rotation guide groove (B211) and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groove (B212).

상기 잠금유도수단(B3)은 상기 인입블록(B2)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인입홈(B213)의 일단에 인근 배열되는 제1마그넷(B31)과, 회전유도홈(B211)의 하부 일단에 인접배열되는 제2마그넷(B32), 상기 제1마그넷(B31) 및 제2마그넷(B32)을 회전시키며 상기 인입블록(B2) 상부에 돌출되는 제1푸쉬바(B36), 상기 회전바(B13)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자석(B34) 및 제2자석(B35)과 상기 회전축봉(B15)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바(B13)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B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The locking induction means (B3) is provided in the inlet block (B2), and is adjacent to a first magnet (B31) arrang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inlet groove (B213) and a lower end of the rotation induction groove (B211) The first push bar (B36), the rotation bar (B13) protruding above the inlet block (B2) while rotating the arranged second magnet (B32), the first magnet (B31) and the second magnet (B32) It comprises a first magnet (B34) and a second magnet (B35)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and an elastic body (B16)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rod (B15) to impart an elastic force of the rotation bar (B13),

상기 제1마그넷(B31)은 인입홈(B213) 단부에 위치하는 S극과 상기 S극 하부에 구비되는 N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마그넷(B32)은 회전유도홈(B211) 일단 하부에 위치하는 N극과 그 하부에 구비되는 S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자석(B34) 및 제2자석(B35)은 모두 N극으로 이루어진다.The first magnet (B31) is composed of an S pole located at the end of the inlet groove (B213) and an N pole provided below the S pole, and the second magnet (B32) is at one end of the rotation guide groove (B211) It consists of an N pole positioned and an S pole provided below the N pole, and both the first magnet B34 and the second magnet B35 are made of N poles.

상기 회전바(B13)가 회전유도홈(B211)에 삽입되면, 상기 제2마그넷(B32)의 N극과 제2자석(B35)의 N극이 척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B13)가 회전축봉(B15)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삽입돌기(B12)로부터 수평을 유지하고, 상기 제1마그넷(B31)의 S극이 상기 제1자석(B34)의 N극을 인력에 의해 끌어당겨 상기 회전바(B13)가 상기 인입홈(B213)에 인입되어 상기 안착블록(B1)과 인입블록(B2)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rotation bar (B13)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guide groove (B211),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 (B32) and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 (B35) are repulsive force to cause the rotation bar (B13) to rotate. The rotation bar rotates based on (B15) to maintain the horizontal from the insertion protrusion (B12), and the S pole of the first magnet (B31) pulls the N pole of the first magnet (B34) by an attractive force. (B13) is inserted into the inlet groove (B213) to couple the seating block (B1) and the inlet block (B2).

이하, 먼저 인입블록(B2)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인입블록(B2)은 본체(10) 전방에 구비되는 블록형 부재로, 끼움홈부(B21)가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끼움홈부(B21)는 회전유도홈(B211), 삽입홈(B212) 및 인입홈(B213)으로 이루어진다.Hereinafter, 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lead-in block (B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inlet block (B2) is a block-shaped member provid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0, and the fitting groove (B21) is provided therein, the The fitting groove (B21) is composed of a rotation guide groove (B211), an insertion groove (B212), and an inlet groove (B213).

상기 회전유도홈(B211)은 일정 공간을 갖도록 상기 인입블록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유도홈(B211)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상부바디(B11) 상부에 노출되는 삽입홈(B21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B21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유도홈(B211) 일측 상부에 연장되는 인입홈(B213)이 형성된다.The rotation guide groove (B211) is provided in the inlet block to have a certain space, and an insertion groove (B212) exposed to the upper body (B11)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rotation guide groove (B211), A lead-in groove (B213) extending above one side of the rotation guide groove (B211)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insertion groove (B212) is formed.

또한 상기 삽입홈(B212) 하부 양측에는 상기 회전바(B13)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허용홈이 더 형성되게 된다.In addition, rotation allowable grooves that allow rotation of the rotation bar B13 are furth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B212.

상기 회전바(B13)에는 상기 회전바(B13)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홀(B131)이 구비되게 되고, 상기 슬라이딩홀(B131)에 상기 회전축봉(B15)이 끼워져 회전축봉(B15)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상기 회전바(B13)가 회전하여 삽입돌기(B12)와 직교하게 되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The rotating bar (B13) is provided with a sliding hole (B131)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ar (B13), and the rotating shaft rod (B15)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hole (B131), based on the rotating shaft rod (B15). It is possible to rotate, and furthermore, when the rotation bar (B13) is rotated to be orthogonal to the insertion protrusion (B12), the sliding movement is possible to the left and right.

상기 잠금유도수단(B3)은 제1마그넷(B31), 제2마그넷(B32), 제1푸쉬바(B36), 제1자석(B34), 제2자석(B35)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먼저 제1마그넷(B31)은 S극과 N극이 상하로 구비된 마그넷으로 상기 인입홈(B213) 단부에 S극이 인접배열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2마그넷(B32)은 N극과 S극이 상하로 구비된 마그넷으로 상기 회전유도홈(B211) 하부 일측에 N극이 인접배열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마그넷(B31)과 제2마그넷(B32)에는 제1축봉(B311)과 제2축봉(B321)이 구비되어 있다.The locking induction means (B3)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first magnet (B31), a second magnet (B32), a first push bar (B36), a first magnet (B34), and a second magnet (B35). The first magnet (B31) is a magnet having S and N poles up and down, and is positioned so that the S poles are arranged adjacent to the end of the inlet groove (B213), and the second magnet (B32) has the N and S poles up and down. It is located so that the N pole is arrang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rotation guide groove (B211). B321) is provided.

상기 제1푸쉬바(B36)는 상기 인입블록 일측에 상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바로, 이를 위하여 상기 인입블록(B2)에는 제1푸쉬홈(B22)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하며, 상기 제1푸쉬바(B36)의 하부에는 스프링(B363)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제1푸쉬바(B36)에 탄성력을 부여한다.It is obvious that the first push bar B36 is provided so as to be exposed upwardly on one side of the inlet block, and for this purpose, a first push groove B22 is formed in the inlet block B2, and the first push bar A spring B363 is further provided under the (B36) to impart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push bar B36.

이 때 상기 제1푸쉬바(B36)의 외면에는 제1톱니부(B361)와 제2톱니부(B36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톱니부(B361)는 제1축봉(B311)과 톱니결합되고, 제2톱니부(B362)는 제2축봉(B321)과 톱니결합되어 상기 제1푸쉬바(B36)를 누르면 상기 제1마그넷(B31) 및 제2마그넷(B32)이 상기 제1축봉(B311) 및 제2축봉(B321)을 회전축으로 각각 회전하여 극성의 위치가 바꿔질 수 있다.At this time, a first tooth portion B361 and a second tooth portion B362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ush bar B36, respectively, and the first tooth portion B361 includes the first shaft rod B311 and The first magnet (B31) and the second magnet (B32) are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 (B31) and the second magnet (B32) when the first push bar (B36) is pressed and the second tooth part (B362) is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bar (B321). The position of the polarity may be changed by rotating the shaft rod B311 and the second shaft rod B321 respectively with a rotation axis.

상기 제1자석(B34) 및 제2자석(B35)은 상기 회전바(B13)에 양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각각 N극을 띄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회전바(B13)가 삽입돌기(B12)와 나란할 때를 기준으로 상부 단부에 제1자석(B34)이 구비되고 하부 단부에 제2자석(B35)이 구비된다.)The first magnet B34 and the second magnet B35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otation bar B13, and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magnets each having an N-pole. (The rotation bar B13 is an insertion protrusion. The first magnet (B34)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and the second magnet (B35)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based on when parallel to (B12).)

또한 상기 회전축봉(B15)에는 탄성체(B16)를 더 구비하여 상기 회전바(B13)의 회전운동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탄성체(B16)는 일정 사점을 통과하면 반대방향의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탄성체(B16)로 한정한다.In addition, the rotating shaft bar (B15)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B16) so that the elastic force can be imparted t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ng bar (B13), but the elastic body (B16) passes through a certain dead point, the elastic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It is limited to the elastic body (B16) to have.

나아가 상기 탄성체(B16)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회전축봉(B15)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바(B13), 보다 정확하게는 슬라이딩홀(B131) 내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회전바(B13)에 탄성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바(B13)가 슬라이딩 이동을 하여도 탄성력을 부여함에 있어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elastic body (B16)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is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bar (B15), and supports the rotating bar (B13), more precisely, the inner surface of the sliding hole (B131), and elastic force to the rotating bar (B13).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ng bar B13 is provided so as not to affect the elastic force even if it slides.

이하, 도6a의 [A]와 [B] 및 도6b의 [C]와 [D]를 통하여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Hereinafter,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A] and [B] of Fig. 6A and [C] and [D] of Fig. 6B,

우선, [A]는 안착블록(B1)의 삽입 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B]도면과 함께 안착블록(B1)을 삽입하면 상기 삽입돌기(B12) 및 회전바(B13)가 상기 삽입홈(B212)을 통해 인입되어 상기 회전바(B13)가 상기 회전유도홈(B211)의 일측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First, [A] shows the state before insertion of the seating block (B1), and when the seating block (B1) is inserted together with the drawing [B], the insertion protrusion (B12) and the rotation bar (B13) are It is introduced through (B212) so that the rotation bar (B13) is located inside one side of the rotation guide groove (B211).

이 때 상기 제2마그넷(B32)의 N극이 상기 제2자석(B35)에 N극에 인접배열되어 둘 사이의 척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B13)가 회전축봉(B15)을 회전축으로 회전하게 되며, 척력에 의해 회전하다가 상기 탄성체(B16)의 사점을 넘으면 탄성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C]와 같은 상태로 상기 삽입돌기(B12)와 직교하게 된다. 이 때 제2푸쉬바(B37)를 밀면서 회전하게 되며, 제2푸쉬바(B37)는 상기 회전유도홈(B211)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인입블록 상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2푸쉬바(B37)가 [C]와 같이 상승하면 별도의 걸림돌기 등에 의해 외력 없이는 원위치 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제2푸쉬홈(B23)이 인입블록 타측에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다.)At this time,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 (B32) is arranged adjacent to the N pole to the second magnet (B35) so that the rotary bar (B13) rotates the rotary shaft rod (B15) by a repulsive force between the two. And, when rotating by the repulsive force and crossing the dead point of the elastic body (B16), it is naturally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protrusion (B12) in the same state as [C] by the elastic force. At this time, it rotates while pushing the second push bar (B37), and the second push bar (B37)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induction groove (B211) and is formed to protrude above the inlet block, and the second push bar (B37) When the bar (B37) rises as shown in [C], it is made so that it is not in its original position without external force by a separate locking protrusion. (It is obvious that the second push groove (B23)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let block.)

다시 [C]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제1마그넷(B31)의 S극과 제1자석(B34)의 N극이 가까워지고, 이들의 인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B13)가 좌측으로 [D]와 같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이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안착블록(B1)과 인입블록(B2)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same state as [C] is reached again, the S pole of the first magnet B31 and the N pole of the first magnet B34 become close, and the rotating bar B13 moves to the left by their attractive force. ], and as the state is maintained, the seating block B1 and the inlet block B2 can be firmly fixed.

반대로, 상기 안착블록(B1)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푸쉬바(B36)를 누르게 되는데, 제1푸쉬바(B36)를 누르면 상기 제1마그넷(B31) 및 제2마그넷(B32)이 회전하여 제1자석(B34)과 제1마그넷(B31)의 N극이 인접배열되어 척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B13)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하게 되며, 이 때 보조푸쉬바를 누르면 상기 회전바(B13)의 단부를 하강시키고, 상기 탄성체(B16)의 사점이 지나가고 상기 제2마그넷(B32)이 S극과 제2자석(B35) 사이의 인력에 의해(상기 제1푸쉬바(B36)를 누른 상태이다.) 상기 회전바(B13)는 [B]와 같이 원위치 되며, 원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블록(B1)을 위로 분리시키면 자연스럽게 상기 안착블록(B1)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손쉽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함과 동시에 결합시에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Conversely, in order to separate the seating block (B1), the first push bar (B36) is first pressed. When the first push bar (B36) is pressed, the first magnet (B31) and the second magnet (B32) rotate. The N poles of the first magnet B34 and the first magnet B31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rotation bar B13 slides to the right by repulsive force. At this time, when the auxiliary push bar is pressed, the rotation bar B13 is The end is lowered, the dead point of the elastic body B16 passes, and the second magnet B32 is in a state where the first push bar B36 is pressed by an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S pole and the second magnet B35. ) The rotating bar (B13) is in the original position as shown in [B], and when the seating block (B1) is separated upward in the original position, the seating block (B1) can be naturally separated, so that it can be easily combined and separated. At the same time, it has a feature that can be firmly and stably fixed when combined.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와이어링 하네스 내구성 시험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bove, a wiring harness durability test apparatus having a specific shap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has been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changed, and substitu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 : 시험장치
10 : 본체 11 : 테스트부
12 : 수납부 13 : 제어부
20 : 제1지그 21 : 레일
22 : 지그봉 221 : 고정핸들
23 : 보조레일
30 : 제2지그 31 : 돌출바
40 : 구동체 41 : 로터
42 : 샤프트
50 : 구동수단
51 : 제1구동수단 511 : 제1구동모터
512 : 제1구동축 513 : 제1타이밍밸트
514 : 링크 514a : 제1링크암
514b : 제2링크암 52 : 제2구동수단
521 : 제2구동모터 522 : 제2구동축
523 : 제2타이밍밸트 524 : 회전부재
R : 눈금부
D: Test device
10: main body 11: test unit
12: storage unit 13: control unit
20: first jig 21: rail
22: jig rod 221: fixed handle
23: auxiliary rail
30: second jig 31: protruding bar
40: drive body 41: rotor
42: shaft
50: drive means
51: first driving means 511: first driving motor
512: first drive shaft 513: first timing belt
514: link 514a: first link arm
514b: second link arm 52: second driving means
521: second driving motor 522: second driving shaft
523: second timing belt 524: rotating member
R: Scale part

Claims (4)

테스트부(11)가 형성된 본체(10);
상기 테스트부(11)에 구비되어 하네스의 일단을 고정하는 제1지그(20);
상기 테스트부(11)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네스의 타단을 고정하는 제2지그(30);
상기 제2지그(30)가 구비되는 로터(41)와, 상기 로터(41)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샤프트(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동체(40);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42)를 승하강시키는 제1구동수단(51)과, 상기 샤프트(42)를 길이방향의 중심축선을 회전축으로 공회전시키는 제2구동수단(52)으로 이루어지는 구동수단(50);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구동수단(50)에 의해 상기 제2지그(30)가 구비되는 구동체(40)가 승하강하면서 회전함에 따라 하네스의 외형을 반복적으로 변형시켜 내구성을 시험하되,
상기 제1구동수단(51)은
제1구동축(512)이 구비되는 제1구동모터(511)와, 상기 제1구동축(512)과 제1타이밍밸트(513)을 통하여 밸트 결합을 하며 상기 샤프트(42)와 고정되는 링크(5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링크(514)는 링크축이 구비되는 제1링크암(514a)과 상기 제1링크암(514a)의 단부와 샤프트(42)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1링크암(514a)에 힌지결합되는 제2링크암(514b)으로 이루어져, 상기 링크(514)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위시켜 상기 샤프트(42)가 승하강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1구동모터(511)가 동작하면, 상기 링크(514)가 상기 제1타이밍밸트(513)에 의해 링크축이 회전하여 상기 링크(514)를 회전시켜 상기 링크(514) 단부에 힌지결합된 샤프트(42)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고,
상기 제2구동수단(52)은
제2구동축(522)이 구비되는 제2구동모터(521)와, 상기 제2구동축(522)과 제2타이밍밸트(523)을 통하여 밸트결합을 하되 상기 샤프트(42)가 내삽되는 회전부재(52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2구동모터(521)가 동작하면 상기 제2타이밍밸트(523)와 결합된 회전부재(524)가 공회전하여 샤프트를 공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1구동수단(51) 및 제2구동수단(52)을 동시에 작동하면, 상기 샤프트(42)는 길이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승하강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2구동수단(52)은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반복되도록 동작하여, 상기 하네스를 인장시키면서 비틀림 동작이 반복되도록 하여 내구성을 시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내구성 시험장치.
The body 10 in which the test part 11 is formed;
A first jig 20 provided in the test unit 11 to fix one end of the harness;
A second jig 30 provided under the test part 11 and fixing the other end of the harness;
A drive body (40) comprising a rotor (41) on which the second jig (30) is provided and a shaft (42)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under the rotor (41);
A first driving means (51)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shaft (42), and a second driving means (52) for idling the shaft 42 with a center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rotation axis. Driving means 50 made of;
Consists of including,

As the driving body 40 provided with the second jig 30 by the driving means 50 rotates while rising and falling, the outer shape of the harness is repeatedly deformed to test durability,
The first driving means 51
A first driving motor 511 provided with a first driving shaft 512, and a link 514 that is belt-coupled through the first driving shaft 512 and the first timing belt 513 and fixed to the shaft 42 ), but
The link 514 is hinged to the first link arm 514a to connect the end of the first link arm 514a with the link shaft and the end of the first link arm 514a and the lower end of the shaft 42 Consisting of a second link arm (514b), which is configured to displace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link 514 in a linear motion so that the shaft 42 can rise and fall,
When the first driving motor 511 is operated, the link 514 rotates by the first timing belt 513 to rotate the link 514 to be hinged to the end of the link 514 The shaft 42 is raised and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driving means 52 is
A second driving motor 521 provided with a second driving shaft 522 and a rotating member in which the second driving shaft 522 and the second timing belt 523 are coupled, but the shaft 42 is inserted into the belt ( 524), and when the second driving motor 521 is operated, the rotating member 524 coupled with the second timing belt 523 idles to idle the shaft,
When the first driving means 51 and the second driving means 52 are operated at the same time, the shaft 42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while rotating around a longitudinal axis of rotation,
The second driving means (52) is a durability test apparatus for a wiring harn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driving means (52) is operated so that forward and reverse rotations are repeated so that the twisting operation is repeated while tensioning the harness to test durabil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부(11)에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지그봉(22)이 전후 방향으로 2열로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지그봉(22)에 상기 제1지그(20)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테스트부(11) 하부 중앙에는 상기 로터(41) 및 샤프트(42)가 전후방향으로 2열로 구비되되, 각각의 로터(41)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2지그(30)가 구비되어,
서로 인접하는 제1지그(20)와 제2지그(30)에 하나의 하네스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내구성 시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test section 11
A pair of jig rods 2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provided in two row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first jig 20 is provided to be slid up and down on each of the jig rods 22,
The rotor 41 and the shaft 42 are provided in two rows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lower center of the test part 11, and a pair of second jigs 3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provided in each rotor 41 ,
Durability testing apparatus for a wiring harness,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one harness are fixed to the first jig 20 and the second jig 30 adjacent to each oth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봉(22)은 상기 테스트부(11)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구비되는 레일(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내구성 시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jig rod (22) is a durability testing apparatus for a wiring harnes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slide along the rail (21)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est unit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잠금유닛(BU)을 통하여 고정되는 도어가 더 구비되되,
상기 잠금유닛(BU)은
상기 본체(10) 전방에 구비되며 끼움홈부(B21)가 형성된 인입블록(B2)과,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끼움홈부(B21)에 인입되는 회전바(B13)를 구비한 안착블록(B1) 및 상기 인입블록(B2)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블록(B2)에 인입된 회전바(B13)를 회전시키는 잠금유도수단(B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회전바(B13)가 상기 끼움홈부(B21)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끼움홈부(B21)의 상부 내벽면을 지지함에 따라 상기 인입블록(B2)과 안착블록(B1)을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안착블록(B1)은 상부바디(B11)와, 상기 상부바디(B11) 하부에 돌출 구비되는 삽입돌기(B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돌기(B12) 단부에 회전바(B1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인입블록(B2)은 상기 삽입돌기(B12) 및 회전바(B13)가 인입되는 끼움홈부(B21)가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부(B21)는 상기 회전바(B13) 및 삽입돌기(B12)가 삽입되는 삽입홈(B212)과, 상기 삽입홈(B212)에 연통되며 상기 인입블록(B2) 내부에서 일정 공간을 갖는 회전유도홈(B211)과, 상기 회전유도홈(B211) 상부 일측에 연통되며 상기 삽입홈(B21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인입홈(B2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잠금유도수단(B3)은 상기 인입홈(B213)의 일단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1마그넷(B31)과, 회전유도홈(B211)의 하부 일단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2마그넷(B32), 상기 제1마그넷(B31) 및 제2마그넷(B32)을 회전시키며 상기 인입블록(B2) 상부에 돌출되는 제1푸쉬바(B36), 상기 회전바(B13)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자석(B34)과 제2자석(B35) 및 회전축봉(B15)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바(B13)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B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마그넷(B31)은 인입홈(B213) 단부에 인접 위치하는 S극과 상기 S극 하부에 구비되는 N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마그넷(B32)은 회전유도홈(B211) 일단 하부에 인접 위치하는 N극과 그 하부에 구비되는 S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자석(B34) 및 제2자석(B35)은 모두 N극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바(B13)가 회전유도홈(B211)에 삽입되면, 상기 제2마그넷(B32)의 N극과 제2자석(B35)의 N극이 척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B13)가 회전축봉(B15)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삽입돌기(B12)로부터 수평을 유지하고, 상기 제1마그넷(B31)의 S극이 상기 제1자석(B34)의 N극을 인력에 의해 끌어당겨 상기 회전바(B13)가 상기 인입홈(B213)에 인입되어 상기 안착블록(B1)과 인입블록(B2)을 결합시키고,
상기 제1푸쉬바(B36)를 동작하여 제1마그넷(B31)과 제2마그넷(B32)을 각각 공회전시켜 극성을 바꾸면
상기 제1마그넷(B31)과 제1자석(B34)의 척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B13)가 슬라이딩 이동하고, 자중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제2마그넷(B32)과 제2자석(B35)에 인력에 의해 상기 삽입돌기(B12)와 나란하게 배열되어 상기 안착블록(B1)을 인입블록(B2)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의 내구성 시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main body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door fixed through a locking unit (BU),
The locking unit (BU)
A seating block (B1) provid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0 and having an inlet block (B2) having a fitting groove (B21) formed thereon, and a rotating bar (B13) provided in the door and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portion (B21) And a locking induction means (B3) provided in the inlet block (B2) to rotate the rotation bar (B13) introduced into the inlet block (B2),
As the rotation bar (B13) rotates within the fitting groove (B21) to support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of the fitting groove (B21) to fix the inlet block (B2) and the mounting block (B1),
The seating block (B1) is composed of an upper body (B11) and an insertion protrusion (B12)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B11), and the rotation bar (B13) is rotatable at the end of the insertion protrusion (B12) Combined together,
The insertion block (B2) is formed with a fitting groove (B21) into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B12) and the rotation bar (B13) are inserted, and the fitting groove (B21) is the rotation bar (B13)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B1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B212), the insertion groove (B212)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rotation guide groove (B211) having a certain space inside the insertion block (B2), and the rotation guide groove (B211) in communication with one side of the upper side It is made of an inlet groove (B213)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insertion groove (B212),

The locking induction means (B3) includes a first magnet (B31) position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inlet groove (B213), and a second magnet (B32) positioned adjacent to a lower end of the rotation induction groove (B211), A first magnet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push bar B36 and the rotation bar B13, respectively, which rotates the first magnet B31 and the second magnet B32 and protrudes above the inlet block B2 (B34) and the second magnet (B35) and is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bar (B15) comprises an elastic body (B16)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to the rotating bar (B13),
The first magnet (B31) is composed of an S-pole positioned adjacent to an end of the inlet groove (B213) and an N-pole provided under the S-pole, and the second magnet (B32) is one lower end of the rotation guide groove (B211) It consists of an N pole located adjacent to and an S pole provided below it, and both the first magnet B34 and the second magnet B35 are made of an N pole,

When the rotation bar (B13)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guide groove (B211),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 (B32) and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 (B35) are repulsive force to cause the rotation bar (B13) to rotate. The rotation bar rotates based on (B15) to maintain the horizontal from the insertion protrusion (B12), and the S pole of the first magnet (B31) pulls the N pole of the first magnet (B34) by an attractive force. (B13) is inserted into the inlet groove (B213) to couple the seating block (B1) and the inlet block (B2),
When the first push bar (B36) is operated to idle the first magnet (B31) and the second magnet (B32) to change the polarity
When the rotating bar (B13) slides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first magnet (B31) and the first magnet (B34), and rotates by its own weight, the second magnet (B32) and the second magnet (B35) are attracted to each other. It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insertion protrusion (B12) by the harness durability tes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made so that the seating block (B1) can be separated from the inlet block (B2).

KR1020200088568A 2020-07-17 2020-07-17 Durability test equipiment of wiring-harness KR1022122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568A KR102212292B1 (en) 2020-07-17 2020-07-17 Durability test equipiment of wiring-harn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568A KR102212292B1 (en) 2020-07-17 2020-07-17 Durability test equipiment of wiring-harne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292B1 true KR102212292B1 (en) 2021-02-05

Family

ID=74558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568A KR102212292B1 (en) 2020-07-17 2020-07-17 Durability test equipiment of wiring-harne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29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108B1 (en) * 2007-08-28 2009-07-3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Testing apparatus for torque rod
KR20110116775A (en) * 2010-04-20 2011-10-26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Durability test apparatus of harness
KR20150094426A (en) * 2014-02-11 2015-08-19 주식회사 패커드코리아 Apparatus for testing a wiring harness bending durability in an engine roo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108B1 (en) * 2007-08-28 2009-07-3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Testing apparatus for torque rod
KR20110116775A (en) * 2010-04-20 2011-10-26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Durability test apparatus of harness
KR20150094426A (en) * 2014-02-11 2015-08-19 주식회사 패커드코리아 Apparatus for testing a wiring harness bending durability in an engine roo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45713C (en) Testing apparatus for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magnetic suspension and dynamic performance and testing method with the same
US6591692B2 (en) Bend-test device for wire harnesses
CN108489832A (en) A kind of high-voltage conducting wires swing fatigue tester
KR102212292B1 (en) Durability test equipiment of wiring-harness
CN110763491A (en) 8 word coil performance integrated test platform
KR101278192B1 (en) Durability test equipiment of wiring-harness for engine room
CN104034616A (en) Electromagnetic type stay cable fatigue tester
KR20140072086A (en) magnet device
CN107317446A (en) Experience platform driving equipment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chair
CN114459688B (en) Multi-parameter performance test method and test system for automobile wire harness
CN110864861A (en) Vibration test bed and working method thereof
CN207559834U (en) A kind of instructional device for simulating linear motor movement
CN207573215U (en) A kind of sliding door linear motor
CN207265835U (en) Stator winding material seat mechanism and stator internal winding machine
CN218974059U (en) Simulation test equipment for cable installation and operation environment
CN115343006A (en) Electric magnetic levitation magnet vibration and impact test device
CN115684924A (en) Linear motor reliability test device with multi-dimensional dynamic and static load simulation loading
CN104458188B (en) Aeroelasticity testing method for dry wind tunnel
CN210244160U (en) Pull rope direction controller
CN114019441A (en) Electric energy meter dete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64855B1 (en) Endurance commission measurement equipment of wire-harness for trunk
CN112683689A (en) Material characteristic test equipment
Walsh et al. Vibration characterisation for fault detection and isolation in linear synchronous motor based conveyor systems
Gao et al. Capturing energy from power transmission lines galloping and self-powered sensing of galloping state through a rotary structural electromagnetic energy harvester
CN210270030U (en) Pencil fatigue tes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