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002B1 - 단지 내부에서 식생이 가능한 농장형 공동주택 - Google Patents

단지 내부에서 식생이 가능한 농장형 공동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002B1
KR102212002B1 KR1020200051871A KR20200051871A KR102212002B1 KR 102212002 B1 KR102212002 B1 KR 102212002B1 KR 1020200051871 A KR1020200051871 A KR 1020200051871A KR 20200051871 A KR20200051871 A KR 20200051871A KR 102212002 B1 KR102212002 B1 KR 102212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m
spark discharge
transfer member
sliding transf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이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훈 filed Critical 이도훈
Priority to KR1020200051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22Details
    • F23Q7/24Safety arrangements
    • F23Q7/26Provision for re-ignition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농장형 공동주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층에 공용 복도를 갖고, 다른 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계단과 엘리베이터를 갖는 공동주택에 있어서, 주거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주거부, 식생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농장부, 및 상기 농장부로 태양광이 조사되도록 투과시키는 더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주거부와 농장부는 각 층에 수평 병렬과 수직 적층으로 배열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주거부와 농장부가 결합된 형태로 공동주택을 건설할 수 있어 도시에서도 농업활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미부에 의해 농장부로 태양광이 충분히 조사될 수 있어 인공광과 자연광 병용으로 농작물의 대량 자연재배가 가능하며 농작물 품질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전기소모를 줄여 이익 창출에 따른 사업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단지 내부에서 식생이 가능한 농장형 공동주택{City-farm type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경량철골조 공장조립 모듈화된 공동주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방향으로 배열되고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공동주택에서 주거와 동시에 농작물 재배가 밀폐된 인접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주거에 있는 냉난방기,컴퓨터,조명기구등을 재배수단으로 공유가 가능함은 물론, 공동주택을 이루는 모듈의 구성방법을 태양광을 충분히 공급하게 하는 방식으로 하여 인공광과 병용하고 무농약으로 농작물의 대량 재배가 가능하게 하여 이익 창출에 따른 사업화가 이루어지며, 각 층간의 지지력을 유지시킬 수 있어 건물구조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지 내부에서 식생이 가능한 농장형 공동주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세대가 함께 입주하여 생활하는 아파트 등의 공동 주택의 경우, 입주자들에 대해 일정크기의 식생 재배 및 쉼 공간으로서의 텃밭이 확보되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공동주택 관리 주체에서 지정한 지상이나 옥상의 일정공간을 식생 재배를 위한 공동 텃밭으로 활용하고 있지만, 전체 입주자들에게 공평하고, 충분한 재배공간을 배당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근교의 주말농장 등을 이용하고 있지만, 주말농장까지 이동에 대한 시간과 비용이 발생되며, 교통체증 등에 따른 스트레스도 동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도심 주거지에서 농작물을 재배 및 수확할 수 있도록 종래 공개특허 제10-2010-0127366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각 세대의 발코니 외측으로 슬라브층을 일체로 연장 형성하여 식생 재배 및 쉼 공간으로 활용되는 텃밭이 형성된다.
이 슬라브 층 상면에는 안전난간을 고정설치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함에 따라 도심에서도 식물을 재배하고 쉼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텃밭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은 량이 적어 사업화할 수 없으며, 재배량을 늘리기 위해 슬라브층의 크기를 증가시킬 경우, 하층에 설치된 텃밭을 가려 태양광의 공급을 차단시킴에 따라 다양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도심에서도 농작물을 재배함은 물론, 재배량을 증가시켜 사업화할 수 있게 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주거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주거부와 식생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농장부 및 농장부로 태양광이 조사되도록 투과시킴은 물론, 각 층을 지지하기 위한 더미부로 구성되어 주거부와 농장부가 결합된 형태로 공동주택을 건설할 수 있어 도시에서도 농업활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미부에 의해 농장부로 태양광이 충분히 조사될 수 있어 농작물의 대량 재배가 가능하여 이익 창출에 따른 사업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도시농장형 공동주택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각 층에 공용 복도를 갖고, 다른 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계단과 엘리베이터를 갖는 공동주택에 있어서, 주거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주거부와; 식생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농장부와; 상기 농장부로 태양광이 조사되도록 투과시키는 더미부;를 포함하고, 상기 농장부는, 수평형 식생구조로, 복도와 연결된 전면에 제1농장용출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1농장공간부가 형성되는 제1농장부와; 수평형 식생구조로, 인접한 하나의 주거부와 연결된 측면에 제2농장용출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2농장공간부가 형성되는 제2농장부와; 수직형 식생구조로, 해당 층과 이 해당 층의 상층 또는 하층까지 형성되며, 인접한 하나의 주거부와 연결된 측면에 제3농장용출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3농장공간부가 형성되는 제3농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농장부에 내부 일단에는 유해공기를 태우기 위한 유해공기 버너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유해공기 버너부는,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과;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에 장착되어 불꽃방전을 자동으로 재점화 시키기 위한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과;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에 연결되어 불꽃방전 재점화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 수단(2222)은, 상기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의 테두리면에 설치되어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이 회전하면 동시에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2222a)와; 상기 피니언 기어(2222a)의 회전에 의해서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이며 피니언 기어(2222a)와 접촉면에 랙기어(2222e)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내측에 결합되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끝단과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시작단에 각각 접속되며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스위칭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인장 스프링(2222d)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는, 12볼트 리듐전지, 차량용 축전지 또는 일반용 전지를 다수개 직렬 연결하여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직류 전원부(2101)와; 상기 직류 전원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이 회전될때 스위칭되어 온이 되는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2102)와;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승압 회로부(2103)와; 상기 발진 승압 회로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2108)와; 상기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고압을 발생시키는 고압 승압 회로부(2107)와; 상기 고압 승압 회로부에 의해서 공급되는 고압의 전원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고압 방전 간격제(2113a, 2113b)와; 상기 고압 방전 간격제에 의해서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점화시켜 불꽃이 타오르도록 유도하는 방전 전극(2114)과; 상기 방전 전극과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 및 방전 전극 점화용 스위칭부에 연결되며, 공간부에 불꽃이 발생되면 열전자에 의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되어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차단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 바람이나 습기에 의해서 불꽃방전 불꽃이 꺼지면 열전자의 소멸로 인하여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이에 따라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온 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하는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2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의 표면에 설치되어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의 훼손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 훼손 감지수단(1)과; 상기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 훼손감지 수단(1)의 양쪽 접점을 연결하는 폐쇄형 라인으로 설치하며,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가 훼손될시에 폐쇄형 라인이 끊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의 훼손을 확인하여 경보신호를 외부에 출력하여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의 교체를 유도하는 도체(2)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 훼손 감지수단으로부터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의 훼손이 감지하게 되면 소정의 전원을 인가받아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수단(3)과; 상기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가 도체의 균열을 감지함에따라 소정의 전원전압을 인가받아 스위칭되고 상기 경보발생수단으로 소정의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상기 전류구동제어부(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전류구동제어부(4)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가 단락됨에 따라 소정의 전원전압을 공급받아 스위칭되고 전류통로를 형성하는 제 1 전자접촉수단(5) 및; 상기 제 1 스위치수단이 도통함에 따라 소정의 전류를 인가받아 스위칭되고 상기 경보발생수단으로 전류통로를 형성하는 제 2 전자접촉수단(6)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시농장형 공동주택에 의하면, 주거부와 농장부가 결합된 형태로 공동주택을 건설할 수 있어 도시에서도 농업활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미부에 의해 농장부로 태양광이 충분히 조사될 수 있어 농작물의 대량 재배가 가능하여 이익 창출에 따른 사업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시농장형 공동주택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농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농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농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유해공기 제거를 위한 불꽃방전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불꽃방전 회로의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 제 1 동작도.
도 7은 본 발명의 불꽃방전 회로의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 제 2 동작도.
도 8은 본 발명의 불꽃방전 회로의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 제 3 동작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 훼손 감지수단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시농장형 공동주택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농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농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농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유해공기 제거를 위한 불꽃방전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불꽃방전 회로의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 제 1 동작도.
도 7은 본 발명의 불꽃방전 회로의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 제 2 동작도.
도 8은 본 발명의 불꽃방전 회로의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 제 3 동작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 훼손 감지수단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농장형 공동주택(10)은 각 층에 공용 복도를 갖고, 다른 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계단과 엘리베이터를 갖는 공동주택으로써, 주거부(100)와 농장부(200) 및 더미부(300)로 구성된다.
주거부(100)는 주거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농장부(200)는 식생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더미부(300)는 농장부(200)로 태양광이 조사되도록 투과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주거부(100)와 농장부(200)는 각 층에 병렬로 배열된다.
그리고 농장부(20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농장부(210)와 제2농장부(220) 및 제3농장부(230)로 구성된다.
먼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농장부(21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주거부(110)와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며, 복도와 연결된 전면(212)에 제1농장용출입부(212a)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1농장공간부(211)가 형성된다.
또한 제2농장부(22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주거부(110)와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며, 인접한 하나의 주거부와 연결된 측면에 제2농장용출입부(222a)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2농장공간부(221)가 형성된다.
제3농장부(23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사각형상으로 형성되되, 각 면(232, 233, 234, 235)의 넓이가 제1주거부(110)의 전면(112) 넓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3농장용출입부(232a)가 해당 주거부에서 드나들 수 있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제3농장공간부(231)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농장부(210)와 제2농장부(220)는 수평형 식생구조이고, 제3농장부(230)는 수직형 식생구조이다.
먼저, 수평형 식생구조인 제1농장부(210)와 제2농장부(220)는 수평형식생판(213, 223)과 수평이동부(214, 224), 에어포켓(219, 229)로 구성된다.
수평형식생판(213, 223)은 각 농장공간부(211, 221)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다수 층 형성되어 식물 또는 곤충 또는 동애등에를 재배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수평이동부(214, 224)는 각 수평형식생판(213, 223)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각 수평형식생판(213, 223)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기 위한 롤러가 구비되어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수평이동부(214, 224)는 구동모터가 더 구비되어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기 위한 회전력전달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회전력전달부는 한 쌍의 스프로킷과 체인으로 구성되거나 한 쌍의 기어와 벨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에어포켓(219, 229)은 각 농장공간부(211, 221)를 외부와 구획하여 밀폐시키며 출입 가능하도록 각 출입부(212a, 222a)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1농장부(210)와 제2농장부(220)는 태양광이 아닌 인공광을 조사하면 농작물을 식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1농장부(210)와 제2농장부(220)는 후면투명창(215, 225), 상면투명창(216, 226) 및 반사판(217, 227)이 더 구성될 수 있다.
후면투명창(215, 225)은 각 후면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태양광이 투과됨에 따라 해당 농장공간부로 태양광을 조사하기 위해 구비되고, 상면투명창(216, 226)은 각 상면 중간부를 기준으로 후단부가 투명하게 형성되어 태양광이 투과됨에 따라 해당 농장공간부로 태양광을 조사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반사판(217, 227)은 각 후면에 구비된 후면투명창(215, 225)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태양광을 반사시켜 해당 농장공간부로 태양광을 조사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때, 각 수평형식생판(213, 223)은 하면에 보조반사판(218, 228)이 더 구비되어 반사판(217, 227)에 의해 하측에서 조사된 태양광을 반사시킨다.
이에, 하측에 위치된 수평형식생판(213, 223)으로 태양광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후면투명창(215, 225)은 하단투명부(215a, 225a)와 상단굴절부(215b, 225b)로 구성된다.
하단투명부(215a, 225a)는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단부에 형성되어 태양광을 조사된 방향으로 투과시키게 되고, 상단굴절부(215b, 225b)는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단부에 형성되어 태양광을 굴절시켜 투과시키게 된다.
또한 상면투명창(216, 226)은 후단투명부(216a, 226a)과 전단굴절부(216b, 226b)로 구성된다.
후단투명부(216a, 226a)는 중간부를 기준으로 후단부에 형성되어 태양광을 조사된 방향으로 투과시키며, 전단굴절부(216b, 226b)는 중간부를 기준으로 전단부에 형성되어 태양광을 굴절시켜 투과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단굴절부(215b, 225b)와 전단굴절부(216b, 226b)는 태양광을 굴절시켜 해당 농장공간부 전체로 태양광을 조사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제1농장부(210)와 제2농장부(220)는 경우에 따라, 태양광과 인공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이 당연하다.
그리고 수직형 식생구조인 제3농장부(230)는 수직형광파이프(236)와 관수파이프(237), 수직형식생판(238) 및 에어포켓(239)으로 구성된다.
수직형광파이프(236)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단 또는 하단을 통해 내부로 조사된 태양광을 외주방향으로 굴절시켜 조사시키게 된다.
또한 관수파이프(237)는 수직형광파이프(236)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물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하측으로 흘려 수직형식생판(248)으로 공급하게 된다.
수직형식생판(238)은 관수파이프(237)의 하측으로 형성되어 물과 태양광을 공급받아 식물 재배가 되되, 관수파이프(237)를 따라 다수 개 배열된다.
그리고 에어포켓(239)은 제3농장공간부(231)를 외부와 구획하여 밀폐시키며 출입 가능하도록 각 출입부(232a)에 구비된다.
이에, 다수의 수직형식생판(238)에 각각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3농장부(230)는 단층높이 또는 2층높이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농장부에 곤충이나 동애등에를 사육함에 있어서 암모니아와 같은 유해공기가 발생되는바, 본 발명은 용기 덮개의 상부에 유해공기 버너부를 부가 설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유해공기를 제거하되, 불꽃방전에 의해서 불꽃 점화시킴으로서 유해물질을 태워 없애도록 장치를 구성한다.
유해공기 버너부(2000)의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에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을 더 장착하여 구성하고,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에는 불꽃방전 재점화를 위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가 접점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끝단은 전기 출력단에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작동시킬때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이 동시에 작동되며, 이에 따라 초기 불꽃방전을 점화시키고, 이후 불꽃방전이 외부의 바람이나 습기의 요인에 의해서 꺼지게 되면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에 연동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가 작동하여 불꽃방전을 재점화시켜 불꽃방전이 꺼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회전시키게 되면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를 온 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출력단에 연결된 방전 전극이 점화되면서 전기를 점화시키게 된다. 방전 전극에 의해서 점화되면 방전 전극에 제공되는 전원이 오프되어 더이상 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이때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이 스위칭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는 계속 작동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 바람이나 습기의 요인에 의해서 불꽃방전의 불꽃이 꺼지게 되면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다시 방전 전극을 점화시켜 불꽃방전을 점화시키게 되어 불꽃방전에 의한 불꽃이 계속적으로 유지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2201은 전원 공급부이고, 2210은 전원 공급 조절부이며, 2220은 전원공급 라인이다. 이때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회전시키게 되면 불꽃방전을 위한 전기가 공급되어 불꽃방전 불꽃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에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이 결합되어 있어서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가동시키면 동시에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이 작동되면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를 스위칭 시키는 것이 주요한 특징이다.
즉, 본 발명은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작동시키게 되면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이 작동되면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를 기계적으로 터치하여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은, 피니언 기어(2222a)와,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와,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와, 인장 스프링(2222d)으로 구성한다.
상기 피니언 기어(2222a)는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의 테두리면에 설치되어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이 회전하면 동시에 회전한다.
상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는 피니언 기어(2222a)의 회전에 의해서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이며 피니언 기어(2222a)와 접촉면에 랙기어(2222e)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는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내측에 결합되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인장 스프링(2222d)은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끝단과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시작단에 각각 접속되며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스위칭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불꽃방전을 점화시키기 위해서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회전시키게 되면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의 테두리면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2222a)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2222a)가 회전하게 되면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랙기어(2222e)가 움직이면서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가 오른쪽으로 움직인다.
그러면,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내측에 결합되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가 움직여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를 스위칭 시킨다.
이후,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을 계속 회전시켜 불꽃방전 불꽃을 크게 하기 위해 전기 공급량을 증가시키게 되면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가 계속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때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는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에 터치된 상태이므로 인장 스프링이 늘어나서 더이상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가 움직이지 않토록 한다.
즉,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계속적으로 회전시켜 피니언 기어가 계속 회전되더라도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는 움직이지 않고 단지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스위칭 상태만을 계속 유지시키는 것이다.
아울러,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반대로 회전시켜 불꽃방전 불꽃을 줄이도록 동작시키면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가 좌측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때 인장 스프링(2222d)이 작동하게 되므로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는 움직이지 않고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스위칭 상태를 계속 유지시키게 된다.
이후,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을 완전히 돌리게 되면 그때서야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를 따라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가 움직여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스위칭을 오프시키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는 직류 전원부(2101)와,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2102)와, 발진 승압회로부(2103)와,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2108)와, 고압 승압회로부(2107)와, 고압 방전 간격제(2113a, 2113b)와, 방전 전극(2114)과, 방전 전극 오프용 스위칭부(2118)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류 전원부(2101)는 12볼트 리듐전지, 차량용 축전지 또는 일반용 전지를 다수개 직렬 연결하여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2102)는 직류 전원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이 회전될때 스위칭되어 온이 된다.
상기 발진 승압 회로부(2103)는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한다.
상기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2108)는 발진 승압 회로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된다.
상기 고압 승압 회로부(2107)는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고압을 발생시킨다.
상기 고압 방전 간격제(2113a, 2113b)는 고압 승압 회로부에 의해서 공급되는 고압의 전원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방전 전극(2114)은 고압 방전 간격제에 의해서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점화시켜 불꽃이 발생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2118)는 방전 전극과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 및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에 연결되며, 불꽃방전에 따른 불꽃이 발생되면 열전자에 의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되어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차단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 바람이나 습기에 의해서 불꽃방전 불꽃이 꺼지면 열전자의 소멸로 인하여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이에 따라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온 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2102)가 온 되면 직류 전원(2101)이 연결되어 발진 승압 회로부(2103)에 전원이 인가되고, 발진 승압 회로부(2103)의 2차측에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
2차측에 유기된 전원은 정류다이오드(2106)를 통해 반파의 직류 전원이 되고, 이 반파 직류전원은 콘덴서(2121)의 충방전 작용으로 인하여 보다 안정된 직류 전원이 된다.
이 직류 전원은 고압 승압 회로부(2107)의 1차 코일을 거쳐 사이리스터(방전 전극 스위칭부, 2108)의 애노드단에 인가되고, 한편 이 직류 전원은 저항을 통해 콘덴서(2110)에 충전작용을 하게 된다. 상승된 전압은 다이악(2111)을 통과하면서 방전 전극 스위칭부(2108)를 트리거하여 에노드단과 케소드단이 스위칭되어 고압 ㅅ트랜승압 회로부(2107)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하고, 이에 따라 고압 승압 회로부(2107)의 2차 코일에 고압 전압이 유기되며, 이 유기된 고압 전압은 방전 간격제(2113a, 2113b) 사이에 2차 방전을 일으키고 방전 전극(2114) 사이에 불꽃 방전을 일으킨다.
이 불꽃 방전은 방전 전극(2114)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공간부에 점화작용을 하게 된다. 이렇게 공간부에 점화가 되면 불꽃에 의해 방전 전극 양단에 열전자에 의해서 유기 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유기 전압은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2118)의 베이스단을 활성화시키면서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2118)의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에 폐회로를 유도하여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
즉, 저항(2119)과 콘덴서(2110) 사이의 전압이 다이오드(2120)를 통해 방전 전극 오프용 스위칭부(2118)의 에미터 단자 및 콜렉터 단자 사이로 흘러 바이패스되며 이 바이패스에 의한 저항(2109)과 콘덴서(2110)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고, 이렇게 저항(2109)과 콘덴서(2110)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면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108)로 향하는 트리거 신호를 멈추게 되어 에노드단과 케스단이 오프되면서 고압 승압 회로부(2107)의 1차 코일 및 2차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방전 전극 사이의 불꽃 방전을 멈추게 된다.
만약 외부 바람등의 영향으로 불꽃방전 작용이 멈추게 되면 방전 전극(2114)의 양단에는 열전자에 의해서 흐르전 전류의 흐름이 없어지게 되고, 이렇게 됨으로서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2118)의 에미터단과 베이스단 사이에 흐르는 바이어스 전압이 사라져서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2118)가 오프된다.
상기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2118)가 오프되면서 다이오드(2120)를 통한 저항(2109)과 콘덴서(2110) 사이의 바이패스 전압이 없어지고 이 전압은 콘덴서(2110)에 충전된다.
이 충전된 전압이 다이악(2111)의 브레이크 오버 현상을 이르키게 되고 다이악에서 트리거 신호를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2108)에 보냄으로서 다시 불꽃방전을 시작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의 훼손을 감지하는 도체(2)를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에 부착시키며,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의 훼손이 발생할 경우 램프 또는 스피커로 경보를 출력토록 구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도체에 전류를 공급(VCC, GND)하고, 상기 도체(2)가 설치된 부분이 훼손으로 인하여 균열이 조금 더 심화되면, 도체(2)가 단락하게 되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고, 이를 감지수단(1)에서 파악하여 경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면을 살펴보면,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 훼손 감지수단(1)과, 알람출력수단(3), 및 전류구동제어부(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 훼손 감지수단(1)은 전원전압(VCC)과 접지전압(GND) 사이의 전류통로에 연결되고 갈라짐이 발생하면 도체(2)가 단락되어 전류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전원전압(VCC)을 풀다운되는 것을 방지하여 훼손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알람출력수단(3)은 상기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 훼손 감지수단(1)이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의 훼손을 감지하게 되면 소정의 전원전압(VCC)을 인가받아 경보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전류구동제어부(4)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 훼손 감지수단(1)이 단락됨에 따라 소정의 전원전압을 인가받아 스위칭되고 상기 알람출력수단(3)으로 전원전압(VCC)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류구동제어부(4)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 훼손 감지수단(1)이 단락됨에 따라 소정의 전원전압(VCC)을 공급받아 스위칭되고 전류통로를 형성하는 제 1 전자접촉수단(5)과, 상기 제 1 전자접촉수단(5)이 도통함에 따라 소정의 전류를 인가받아 스위칭되고 상기 알람출력수단(3)으로 전류통로를 형성하는 제 2 전자접촉수단(6)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1 전자접촉수단(5)은 트랜지스터소자이고, 제 2 전자접촉수단(6)은 릴레이소자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회로구성에 따라 다른 전자접촉소자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전반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원전압(VCC)과 접지전압(GND) 사이에 설치된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 훼손 감지수단(1)이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의 훼손으로 인하여 감지수단인 도체(2)가 단락되면, 제 1 노드(Nd1)의 전위는 전원전압(VCC)의 전위로 상승되고 상승된 전위로 인하여 제 1 전자접촉수단(21)의 입력단에는 고전압이 형성되어 전자접촉수단이 턴-온된다.
상기 제 1 전자접촉수단(5)이 턴-온됨에 따라 형성된 전류통로로 인하여 제 2 전자접촉수단(6)의 입력단의 전류통로도 도통되고, 상기 제 2 전자접촉수단(6)의 입력단에 인가되는 전류로 인해 강한 자계가 형성되고 상기 자계로 인해 출력단의 전저접촉수단이 스위칭된다.
상기 제 2 전자접촉수단(6)의 출력단의 도통으로 인하여 알람출력수단(3)은 소정의 전원전압(VCC)을 공급받아 경보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운전자는 부품 균열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 훼손 감지수단(1)이 설치된 부위의 균열이 설치와 마찬가지로 더 이상 심화되지 않을 때는 도체(2)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전원전압(VCC)은 감지수단인 도체(2)를 통하여 접지전압(GND)으로 모두 풀다운되므로 제 1 및 제 2 전자접촉수단(5, 6)은 턴-오프되고, 경보신호(3)는 발생되지 않는다.
10 : 공동주택
200 : 농장부
210 : 제1농장부
220 : 제2농장부
230 : 제3농장부
300 : 더미부

Claims (3)

  1. 각 층에 공용 복도를 갖고, 다른 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계단과 엘리베이터를 갖는 공동주택에 있어서,
    주거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주거부와;
    식생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농장부와;
    상기 농장부로 태양광이 조사되도록 투과시키는 더미부;를 포함하고,
    상기 농장부는,
    수평형 식생구조로, 복도와 연결된 전면에 제1농장용출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1농장공간부가 형성되는 제1농장부와;
    수평형 식생구조로, 인접한 하나의 주거부와 연결된 측면에 제2농장용출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2농장공간부가 형성되는 제2농장부와;
    수직형 식생구조로, 해당 층과 이 해당 층의 상층 또는 하층까지 형성되며, 인접한 하나의 주거부와 연결된 측면에 제3농장용출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3농장공간부가 형성되는 제3농장부와;
    상기 농장부에 내부 일단에는 유해공기를 태우기 위한 유해공기 버너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유해공기 버너부는,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과;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에 장착되어 불꽃방전을 자동으로 재점화 시키기 위한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과;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2222)에 연결되어 불꽃방전 재점화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 수단(2222)은,
    상기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의 테두리면에 설치되어 불꽃방전 전기 공급용 스위칭 수단(2221)이 회전하면 동시에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2222a)와;
    상기 피니언 기어(2222a)의 회전에 의해서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이며 피니언 기어(2222a)와 접촉면에 랙기어(2222e)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내측에 결합되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c)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끝단과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2222b)의 시작단에 각각 접속되며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의 스위칭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인장 스프링(2222d)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회로부(2223)는,
    12볼트 리듐전지, 차량용 축전지 또는 일반용 전지를 다수개 직렬 연결하여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직류 전원부(2101)와;
    상기 직류 전원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칭 수단이 회전될때 스위칭되어 온이 되는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2102)와;
    상기 불꽃방전 재점화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승압 회로부(2103)와;
    상기 발진 승압 회로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2108)와;
    상기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고압을 발생시키는 고압 승압 회로부(2107)와;
    상기 고압 승압 회로부에 의해서 공급되는 고압의 전원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고압 방전 간격제(2113a, 2113b)와;
    상기 고압 방전 간격제에 의해서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점화시켜 불꽃이 타오르도록 유도하는 방전 전극(2114)과;
    상기 방전 전극과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 및 방전 전극 점화용 스위칭부에 연결되며, 공간부에 불꽃이 발생되면 열전자에 의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되어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차단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 바람이나 습기에 의해서 불꽃방전 불꽃이 꺼지면 열전자의 소멸로 인하여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이에 따라 방전 전극 전기 공급용 스위칭부로 향하는 전원을 온 시켜 방전 전극이 점화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하는 방전 전극 차단용 스위칭부(2118)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의 표면에 설치되어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의 훼손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 훼손 감지수단(1)과;
    상기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 훼손감지 수단(1)의 양쪽 접점을 연결하는 폐쇄형 라인으로 설치하며,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가 훼손될시에 폐쇄형 라인이 끊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의 훼손을 확인하여 경보신호를 외부에 출력하여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의 교체를 유도하는 도체(2)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 훼손 감지수단으로부터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의 훼손이 감지하게 되면 소정의 전원을 인가받아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수단(3)과;
    상기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가 도체의 균열을 감지함에따라 소정의 전원전압을 인가받아 스위칭되고 상기 경보발생수단으로 소정의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상기 전류구동제어부(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 내부에서 식생이 가능한 농장형 공동주택.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구동제어부(4)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이송부재가 단락됨에 따라 소정의 전원전압을 공급받아 스위칭되고 전류통로를 형성하는 제 1 전자접촉수단(5) 및;
    상기 제 1 스위치수단이 도통함에 따라 소정의 전류를 인가받아 스위칭되고 상기 경보발생수단으로 전류통로를 형성하는 제 2 전자접촉수단(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 내부에서 식생이 가능한 농장형 공동주택.
KR1020200051871A 2020-04-28 2020-04-28 단지 내부에서 식생이 가능한 농장형 공동주택 KR102212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871A KR102212002B1 (ko) 2020-04-28 2020-04-28 단지 내부에서 식생이 가능한 농장형 공동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871A KR102212002B1 (ko) 2020-04-28 2020-04-28 단지 내부에서 식생이 가능한 농장형 공동주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002B1 true KR102212002B1 (ko) 2021-02-03

Family

ID=74572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871A KR102212002B1 (ko) 2020-04-28 2020-04-28 단지 내부에서 식생이 가능한 농장형 공동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0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051B1 (ko) * 2014-05-02 2015-09-09 김종성 도시농장형 공동주택
KR101727631B1 (ko) * 2016-07-06 2017-04-17 최혁순 유해가스 재연소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051B1 (ko) * 2014-05-02 2015-09-09 김종성 도시농장형 공동주택
KR101727631B1 (ko) * 2016-07-06 2017-04-17 최혁순 유해가스 재연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75085A1 (en) Combination lamp and insect eliminator
JP2007080699A (ja) 照明システム
CN105052866A (zh) 一种杀虫灯装置及杀虫监控网络系统
KR102154957B1 (ko) 태양열과 풍력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팜 시스템
KR200481239Y1 (ko) 유해 조수 퇴치 장치
CN201345871Y (zh) 一种太阳能灭蚊灯
KR102212002B1 (ko) 단지 내부에서 식생이 가능한 농장형 공동주택
CN200996592Y (zh) 太阳能灭蚊路灯
JP2003339301A (ja) 鳥獣害防止装置
Meshram et al. Design a solar light trap for control of field crop insects
CN203913084U (zh) 一种户外灯箱式杀虫灯
CN201718351U (zh) 一种led驱虫杀虫双效灯
KR200242831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다목적 가로등 장치
CN114568407B (zh) 一种利用灯光诱杀形成光波屏障的白蚁防治方法
KR20210038038A (ko) 태양광을 이용한 보행등이 구비된 가로등 장치
KR102212001B1 (ko) 생초 및 동애등에 재배장치
KR102295742B1 (ko)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능동형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 시스템
CN212279563U (zh) 一种太阳能灭蚊灯
JP2993808B2 (ja) 捕虫器
JP3704111B2 (ja) 鳥獣害防止器
KR102211999B1 (ko) 발열수단을 갖는 동애등에 대량 사육 시스템
CN207626412U (zh) 一种农林病虫害防治频振式太阳能杀虫灯
CN211894556U (zh) 带灭蚊器的垃圾桶
CN206043191U (zh) 一种智能led杀虫灯
CN203675913U (zh) 一种远程可调太阳能杀虫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