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970B1 - 외부 기기를 통해 차량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외부 기기를 통해 차량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970B1
KR102211970B1 KR1020170153869A KR20170153869A KR102211970B1 KR 102211970 B1 KR102211970 B1 KR 102211970B1 KR 1020170153869 A KR1020170153869 A KR 1020170153869A KR 20170153869 A KR20170153869 A KR 20170153869A KR 102211970 B1 KR102211970 B1 KR 102211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ehicle
server
personal service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674A (ko
Inventor
황도연
이현창
김태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비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비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비고
Priority to KR1020170153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9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06K9/00006
    • G06K9/00221
    • G06K9/005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기기를 통해 차량의 개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차량에 대응하는 적어도 제1 사용자를 포함하는 이용가능 그룹이 소정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차량의 개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제2 사용자로부터 제1 인식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1 인식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소정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이용가능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1 사용자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매칭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차량에 대한 개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외부 기기를 통해 차량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METHOD AND SERVER FOR USING VEHICLE SERVICE THROUGH EXTERNAL DEVICE}
본 발명은 외부 기기를 통해 차량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기기를 통해 차량의 개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차량에 대응하는 적어도 제1 사용자를 포함하는 이용가능 그룹이 소정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차량의 개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제2 사용자로부터 제1 인식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1 인식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소정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이용가능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1 사용자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매칭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차량에 대한 개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자동차는 단순히 목적지까지 이동 수단일 뿐만 아니라 다른 차량, 교통 및 통신 기반 시설 등과 무선으로 연결하여 위험 경고, 실시간 내비게이션, 원격 차량 제어 및 SNS기능까지 제공하고 있다.
특히, 사용자 및 동승자는 모바일을 이용하여 차량의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제어하고 있는데, 현재 차량과 모바일을 연동하는 서비스는 모바일의 PIN코드만을 이용하여 보안의 취약성 및 서비스의 제약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모바일에서 획득한 지문, 홍채, 안면 인식 등의 바이오 메트릭 정보를 통해 차량의 개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기기를 통해 차량 장치의 서비스를 제어하거나 제공받고, 차량의 개인 서비스를 제어하고자 하는 사람이 차량 운전자인지 또는 단순 동승자인지에 따라 인증 정도 및 이용가능 서비스가 달라지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와 외부 장치를 연동하여 외부 장치의 서비스까지 제공받을 수 있는 확장성을 가지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문, 홍채, 안면 인식 등의 바이오메트릭 정보를 통해 인증된 사람에 한하여 차량의 개인 서비스에 접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의 취약성을 극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외부 기기를 통해 차량의 개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차량에 대응하는 적어도 제1 사용자를 포함하는 이용가능 그룹이 소정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차량의 개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제2 사용자로부터 제1 인식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1 인식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소정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이용가능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1 사용자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매칭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차량에 대한 개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외부 기기를 통해 차량의 개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서버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차량에 대응하는 적어도 제1 사용자를 포함하는 이용가능 그룹이 등록된 소정 데이터베이스에 접근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차량의 개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제2 사용자로부터 제1 인식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1 인식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제1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소정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이용가능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1 사용자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매칭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차량에 대한 개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부 기기를 통해 차량 장치의 서비스를 제어하거나 제공받고, 차량의 개인 서비스를 제어하고자 하는 사람이 차량 운전자인지 또는 동승자인지에 따라 인증 정도 및 이용가능 서비스가 달라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와 외부 장치를 연동하여 외부 장치의 서비스까지 제공받을 수 있는 확장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문, 홍채, 안면 인식 등의 바이오메트릭 정보를 통해 인증된 사람에 한하여 차량의 개인 서비스에 접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의 취약성을 극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외부 기기 및 차량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사용자에게 차량에 대한 개인 서비스를 제공하기까지의 개략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인식 정보 및 제2 인식 정보를 참조하여 타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제2 사용자에게 차량에 대한 개인 서비스를 제공하기까지의 개략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 장치와 연동된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 외부 기기(200) 및 차량(300)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버(100)는 통신부(110)와 프로세서(120)를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 도 1과는 달리 데이터베이스(130)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버(100)는 외부 기기(200) 및 차량(300)과 연동될 수 있다.
우선, 서버(100)의 통신부(110)는 다양한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와이파이(WIFI),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와이브로(WiBro), LTE(Long Term Evolution),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무선랜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인터넷에서 정보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TCP/IP를 따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외부 기기(200)를 이용하는 제2 사용자에게 차량(300)에 대한 개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130), 외부 기기(200), 차량(300)과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외부 기기(200)는 차량(300)의 서비스를 제어하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치로서, 도 1에서는 모바일 단말로 나타내었으나,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등 CPU를 포함하면서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차량 전체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에서 통신부(110)를 통해 프로세서(120)와 연동되는 차량(300)은, 차량 서비스를 제어하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치로서, 구체적으로 텔레매틱스 장치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사용자에게 차량(300)에 대한 개인 서비스를 제공하기까지의 개략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인식 정보 및 제2 인식 정보를 참조하여 타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제2 사용자에게 차량(300)에 대한 개인 서비스를 제공하기까지의 개략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소정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차량의 식별 정보 및 차량에 대응하는 적어도 제1 사용자를 포함하는 이용가능 그룹이 등록될 수 있다. 참고로, 차량의 식별 정보에는 차량 번호, 차량의 VIN 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1 사용자는 상기 차량(300)을 주로 운전하는 차량 소유자를 의미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이용가능 그룹에는 제1 사용자인 차량 소유자뿐만 아니라 타 사용자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타 사용자는 차량 소유자와 소정 관계가 있는 가족, 친구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타 사용자는 주로 운전자가 아닌 탑승자를 의미하나, 물론 운전자가 될 수도 있다.
외부 기기(200)는 차량(300)의 개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제2 사용자로부터 제1 인식 정보를 획득(S210)할 수 있고,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200)로부터 상기 제1 인식 정보를 전송(S220)받을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는 주로 외부 기기(200) 소유자에 해당하며, 상기 차량에 탑승한 뒤 상기 외부 기기(200)를 이용하여 개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차량 소유자 또는 탑승자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인식 정보는 제2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문 인식 정보, 제2 사용자에 대응하는 홍채 인식 정보, 제2 사용자에 대응하는 안면 인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외부 기기(200)의 소정의 센서로부터 제2 사용자의 지문, 홍채, 안면 등을 포함하는 제1 인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참고로, 제1 인식 정보는 지문 인식 정보, 홍채 인식 정보, 안면 인식 정보 등 사람을 식별 가능하게 하는 바이오메트릭 정보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인식 정보는 바이오메트릭 정보만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사람을 식별가능한 정보이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제1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가, 소정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된 이용가능 그룹에 포함된 제1 사용자 또는 타 사용자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S23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모바일 등의 외부 기기(200)를 통해 차량(300)의 개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가, 차량 소유자 또는 차량 소유자와 소정 관계에 있는 사람 등에 해당하여 차량 개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제2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또는 타 사용자와 매칭된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차량(300)에 대한 개인 서비스를 제공(S240)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개인 서비스에는 내비게이션 기능, 라디오 기능, E-Call 기능 등 차량 정비, 관리, 안전, 운행 등에 필요한 모든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금융 거래 기능, 인터넷 검색 기능, 일정 관리 기능 등 차량 운행과는 별개의 기능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개인 서비스는 차량(300)을 통해 직접적으로 제2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고 또한, 외부 기기(200)를 통해 제2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서 제2 사용자가 타 사용자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보다 강화된 매칭 기준이 요구될 수 있다. 이는, 대개 운전석에 앉아 운전하는 제1 사용자와는 달리, 단순 탑승자인 타 사용자의 경우에는 보안을 위해 보다 엄격한 추가 인증을 요구하더라도 차량 운행에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 3을 참조할 때, 외부 기기(200)가 제1 인식 정보를 획득(S310)하고, 서버(100)가 외부 기기(200)으로부터 제1 인식 정보를 전송(S320)받으며, 서버(100)가 제1 인식 정보를 참조하여 제2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또는 타 사용자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S330)하는 프로세스는 전술한 도 2의 프로세스(S210, S220, S230)와 동일하다.
다만, 매칭 결과 타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가 매칭된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00)는, 외부 기기(200)로 하여금 제2 인식 정보를 추가로 획득하도록 요청(S340)할 수 있고, 상기 외부 기기(200)로부터 제2 인식 정보를 전송(S350)받을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2 인식 정보는 제1 인식 정보와 마찬가지로 바이오메트릭 정보 등 사람을 식별가능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 인식 정보와 제2 인식 정보는 서로 다른 인식 정보에 해당될 것이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제1 인식 정보 및 제2 인식 정보를 참조하여 타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S360)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제1 인식 정보만을 참조하여 매칭하는 경우보다 제2 인식 정보라는 인증 절차를 더 거치므로 정확한 매칭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서버(100)는, 제2 사용자에게 차량(300)에 대한 개인 서비스를 제공(S370)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을 돕기 위해 예시를 들면, 우선, 지문 인식 정보(제1 인식 정보)만을 참조하여 제2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또는 타 사용자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2 사용자가 타 사용자와 매칭된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00)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홍채 인식 정보(제2 인식 정보)를 획득하고, 지문 인식 정보(제1 인식 정보) 및 홍채 인식 정보(제2 인식 정보)를 참조하여 보다 엄격한 인증 절차를 거쳐 이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와 타 사용자가 매칭되는지를 판단하고, 매칭 결과에 따라 제2 사용자에게 차량(300)에 대한 개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0)는 제2 사용자에게 차량(300)에 대한 개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제2 사용자가 매칭되는 대상이 제1 사용자인지, 타 사용자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개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우선,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가 매칭된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제2 사용자에게 차량(300)에 대한 개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1 기능 세트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능 세트에는 차량 운행과 관련 있는 운전유관 기능(ex 내비게이션 기능), 차량 운행과 관련 없는 운전무관 기능(ex 도어락 기능)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매칭 결과 타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가 매칭된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제2 사용자에게 차량(300)에 대한 개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2 기능 세트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가 운전자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2 기능 세트는 운전유관 기능, 운전무관 기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 사용자가 운전자가 아닌 단순 탑승자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2 기능 세트는 운전무관 기능 만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제2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비콘(Beacon)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200)의 소유자가 운전석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방법 등 여러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및 타 사용자와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제2 사용자에게 차량(300)에 대한 개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3 기능 세트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및 타 사용자가 아닌 제2 사용자의 경우에도 상기 차량에 탑승할 수 있고, 이 경우 제공되는 상기 제3 기능 세트에는 운전무관 기능 중에서도 단순한 기능(ex 오디오 조절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사용자 및 타 사용자가 아닌 제2 사용자에게 아무런 개인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참고로, 제1 기능 세트, 제2 기능 세트를 운전유관 기능, 운전무관 기능을 참조하여 구분하는 방법으로 전술하였으나, 보안성이 요구되는 정도에 따라 제1 기능 세트, 제2 기능 세트를 구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능 세트에는 요구되는 보안 정도가 높은 소정의 빌링(billing) 기능, 소정의 운전 보조 기능, 소정의 차량 관리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제2 기능 세트에는 요구되는 보안 정도가 낮은 도어락 기능, 창문개폐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기능 세트에는 요구되는 보안 정도가 매우 낮은 오디오 조절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정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이용가능 그룹에 포함된 제1 사용자 및 타 사용자 각각의 나이 정보, 운전 이력 정보가 등록될 수 있다.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나이 정보, 상기 운전 이력 정보를 참조하여, 제1 사용자 또는 타 사용자와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제2 사용자에게 차량(300)에 대한 개인 서비스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여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 사용자 중에서도 나이가 10세 이하인 동승자의 경우 도어락 기능 등이 제한된 차량(300) 개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음주 운전 이력이 있는 제1 사용자 또는 타 사용자의 경우, 차량 시동이 제한되는 개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 장치(400)와 연동된 서버(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복수 개의 외부 장치(400)와 연동이 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400)는 외부 내비게이션, 외부 라디오, 외부 모바일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별도의 외부 서버까지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외부의 클라우드와도 연동하여 제2 사용자에게 차량에 대한 개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서버(100)는,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장치(400) 중 소정의 외부 장치(400)와 연동하여, 상기 소정의 외부 장치(400)가 제공가능한 기능이 포함된 확장 개인 서비스를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령, 차량 내 내비게이션이 아니라, 서버(100)와 연동된 외부 내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내비게이션 기능이 개인 서비스에 포함되어 제2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의 기능이 포함된 개인 서비스를 확장 개인 서비스라 할 수 있다.
한편, 차량(300) 즉, 차량 내 텔레매틱스 장치와 외부 장치(400)는 플러그 앤 플레이 방식으로 직접적으로 연동될 수 있고, 제2 사용자의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400)가 제공가능한 기능이 포함된 확장 개인 서비스가 제2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서버
110: 통신부
120: 프로세서
130: 데이터베이스
200: 외부 기기
300: 차량
400: 외부 장치

Claims (18)

  1. 외부 기기를 통해 차량의 개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차량에 대응하는 적어도 제1 사용자를 포함하는 이용가능 그룹이 소정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차량의 개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제2 사용자로부터 제1 인식 정보를 획득하면, 서버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1 인식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b)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소정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이용가능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1 사용자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c)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매칭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차량에 대한 개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사용자 이외의 타 사용자가 상기 이용가능 그룹에 포함된 상태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소정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이용가능 그룹에 포함된 상기 타 사용자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타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매칭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차량에 대한 개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이용가능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타 사용자 각각의 나이 정보, 운전 이력 정보가 상기 소정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태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나이 정보 또는 상기 운전 이력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타 사용자와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차량에 대한 개인 서비스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여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i)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매칭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차량에 대한 개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1 기능 세트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타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매칭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차량에 대한 개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2 기능 세트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며, (iii)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타 사용자와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제 2사용자에게 상기 차량에 대한 개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3 기능 세트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세트에는 소정의 빌링(billing) 기능, 소정의 차량 관리 기능, 소정의 운전 보조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타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매칭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인식 정보를 추가적으로 전송받고, 상기 제1 인식 정보 및 상기 제2 인식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타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타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매칭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차량에 대한 개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서버가 복수 개의 외부 장치와 연동 가능하다고 할 때,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장치 중 소정의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소정의 외부 장치가 제공가능한 기능이 포함된 확장 개인 서비스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1 인식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문 인식 정보, 상기 제2 사용자에 대응하는 홍채 인식 정보, 상기 제2 사용자에 대응하는 안면 인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외부의 클라우드와 연동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차량에 대한 개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외부 기기를 통해 차량의 개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서버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차량에 대응하는 적어도 제1 사용자를 포함하는 이용가능 그룹이 등록된 소정 데이터베이스에 접근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차량의 개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제2 사용자로부터 제1 인식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1 인식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제1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소정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이용가능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1 사용자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매칭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차량에 대한 개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사용자 이외의 타 사용자가 상기 이용가능 그룹에 포함된 상태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소정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이용가능 그룹에 포함된 상기 타 사용자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타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매칭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차량에 대한 개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이용가능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타 사용자 각각의 나이 정보, 운전 이력 정보가 상기 소정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태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나이 정보 또는 상기 운전 이력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타 사용자와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차량에 대한 개인 서비스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여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i)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매칭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차량에 대한 개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1 기능 세트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타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매칭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차량에 대한 개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2 기능 세트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며, (iii)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타 사용자와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사용자에게 상기 차량에 대한 개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3 기능 세트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세트에는 소정의 빌링(billing) 기능, 소정의 차량 관리 기능, 소정의 운전 보조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타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매칭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인식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추가적으로 전송받고, 상기 제1 인식 정보 및 상기 제2 인식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타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타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매칭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차량에 대한 개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5. 삭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복수 개의 외부 장치와 연동 가능하다고 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장치 중 소정의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소정의 외부 장치가 제공가능한 기능이 포함된 확장 개인 서비스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식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에 대응하는 지문 인식 정보, 상기 제2 사용자에 대응하는 홍채 인식 정보, 상기 제2 사용자에 대응하는 안면 인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클라우드와 연동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차량에 대한 개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170153869A 2017-11-17 2017-11-17 외부 기기를 통해 차량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KR102211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869A KR102211970B1 (ko) 2017-11-17 2017-11-17 외부 기기를 통해 차량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869A KR102211970B1 (ko) 2017-11-17 2017-11-17 외부 기기를 통해 차량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674A KR20190056674A (ko) 2019-05-27
KR102211970B1 true KR102211970B1 (ko) 2021-02-04

Family

ID=66679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869A KR102211970B1 (ko) 2017-11-17 2017-11-17 외부 기기를 통해 차량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9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6899A (ja) * 2008-08-06 2010-02-18 Honeywell Internatl Inc 車両および保有車両操縦者プロファイルの自動化および展開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8563A (ko) * 2009-10-08 2011-04-14 최운호 운전자 인증을 통한 차량 제어 방법, 차량 단말기, 생체인식 카드 및 시스템과, 생체인식 카드와 단말기를 이용한 탑승자 보호 추적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KR101926134B1 (ko) * 2012-09-21 2019-02-26 주식회사 케이티 카쉐어링 차량에서 사용자별 통합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6899A (ja) * 2008-08-06 2010-02-18 Honeywell Internatl Inc 車両および保有車両操縦者プロファイルの自動化および展開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674A (ko) 201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12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ffic control
US86146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an authorized vehicle driveaway
CN107054290B (zh) 用于安全功能访问的个人装置位置认证
US97109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vehicle equipped with passive keyless system
US10377346B2 (en) Anticipatory vehicle state management
US10602360B2 (en) Secure mobile device integration with vehicles
US201500917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theft detection
US201400397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Authentication and Security
US8495722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an aircraft-based wireless network
US2017006384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security access based on certificate
US201501660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Rostering a Vehicle
US201102158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orizing a vehicle driveaway
US1091949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arting a vehicle using a secure password entry system
US20200023812A1 (en) Decentralized cloud-based authentication for autonomous vehicles
CN106600083B (zh) 一种司机接单的管理方法和设备
US10068400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a vehicle
CN112819997A (zh) 创建车辆钥匙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50079232A (ko) 무선랜 장치 및 상기 무선랜 장치를 이용한 차량 인증 방법
US11540126B2 (en) Moving object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edge computing in fleet system
US20190311452A1 (en) Simplified authentication of mobile device by vehicle for shared or autonomous vehicles
WO2019072901A1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20230274113A1 (en) System for generating a linkage between users associated with a vehicle
KR102211970B1 (ko) 외부 기기를 통해 차량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KR101324507B1 (ko) 차량 탑승자 인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
KR102402090B1 (ko) 포브키를 이용한 구조요청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