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955B1 -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955B1
KR102211955B1 KR1020190104099A KR20190104099A KR102211955B1 KR 102211955 B1 KR102211955 B1 KR 102211955B1 KR 1020190104099 A KR1020190104099 A KR 1020190104099A KR 20190104099 A KR20190104099 A KR 20190104099A KR 102211955 B1 KR102211955 B1 KR 102211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frame
exercise
power transmission
mai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종학
길세기
Original Assignee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filed Critical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Priority to KR1020190104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2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팬과 운동기구의 기계 결합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사용할 시 팬을 회전시켜 사용자에게 바람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함으로써 야외에 배치된 걷기 운동기구의 사용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outdoor walking equipment}
본 발명은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팬과 운동기구의 기계 결합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사용할 시 팬을 회전시켜 사용자에게 바람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함으로써 야외에 배치된 걷기 운동기구의 사용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야외 운동기구로는 온몸 역기 올리기, 다리 뻗치기, 자전거, 온몸 노젖기, 몸통 운동 등이 있는데, 이와 같은 야외 운동기구는 시민들을 위하여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기구로서 공원, 산책로 등에 설치되어 시민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배치 및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운동 기구는 시민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시민들의 건강 증진과 편의성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데, 대부분의 시민들은 이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이 태반이며 이에 따라 대부분의 운동 기구는 방치될 뿐 사용빈도가 점진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야외 운동 기구에 대한 선행문헌으로는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2'가 있다.
'특허문헌 1'은 공원이나 놀이터 등의 야외에 설치하여 걷기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동기구의 상단부에 햇빛가리개를 장치하여 운동하는 사람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므로 쾌적한 상태로 장시간 운동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햇빛의 방향에 따라 햇빛가리개를 이동하여 적절하게 차광할 수 있도록 한 햇빛가리개가 장치된 실외걷기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은 걷기용 운동 기구를 사용할 시, 해당 기구가 야외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햇빛(자외선)을 차단하여 자외선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기술로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은 단순히 차광판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자외선을 차단할 뿐,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빈도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서는 부족한 부분이 있다.
또한, 단순히 햇빛만 차단할 뿐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신체의 열과, 지면의 열을 차단 또는 완화 시킬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특허문헌 2'는 운동기구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이용한 선풍기/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운동을 하며 발생하는 사라져 버리는 동력을 이용하여 다른 에너지 소모 없이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운동을 열심히 하면 할수록 더 큰 동력이 발생하여 선풍기가 더 빠르게 돌게 되어 운동하는 사람에게 의욕을 주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다.
상기 '특허문헌 2'는 걷기 운동 기구에 선풍기와 발전기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사용함에 따라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선풍기를 회전시켜 사용자에게 바람을 제공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발전기를 돌리되,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력을 이용하여 전구를 밝혀 야간에도 용이하게 운동기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제시한 운동기구의 사용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의성을 제공하여야 한다는 조건을 상기 '특허문헌 2'의 구성으로 일부 충족시킬 수 있으나, 상기 '특허문헌 2'는 사용자가 운동을 하되, 운동을 하는 재미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한 구성으로 보다 다양한 효과를 제공하는 구성을 보충해야하는 요건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2'의 구성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보완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의성을 제공하여 실외 운동 기구의 사용 빈도를 증가시켜 실외 운동 기구의 설치 목적인 시민들의 건강 증진을 이바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4850호(2006.08.21.)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9253(2009.09.16.)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운동 기구를 사용할 시, 사용자에게 바람을 제공하여 운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더위를 완화시킬 수 있는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운동 기구를 사용할 시, 걸은 횟수를 직접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성취감 및 운동에 대한 재미를 제공하여 실외 운동 기구를 사용하는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서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는,
사용자의 무게를 지지하고, 걷기 운동 기구의 메인 프레임 역할을하는 메인지지프레임(100),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상측에 결합되어 구성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어 사용자의 무게를 보조적으로 지탱하는 손잡이프레임(200),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내측에 결합되어 구성되며,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되, 전 후방으로 운동할 수 있는 운동프레임(300),
상기 손잡이프레임(200)의 일면에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운동프레임(300)의 전 후방 운동의 횟수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걸음횟수표시모듈(700),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일측 방향에 위치하여 구성되는 메인하우징(400),
상기 운동프레임(300)과 상기 메인하우징(400)을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운동프레임(300)의 전 후방 운동에 따라 발생되는 운동에너지를 메인하우징(400)으로 전달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결프레임(500),
상기 메인하우징(400)에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메인하우징(400)에 전달된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하고, 회전에 따라 바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팬(600),
상기 팬(600)이 회전하여 외부로 바람을 분출할 시, 외부로부터 공기를 메인하우징(400) 내부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의 먼지를 여과하도록 메인하우징(400)의 상측면과, 일측 및 타측면에 구성되는 여과부(41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인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는,
사용자가 운동 기구를 사용할 시, 사용자에게 바람을 제공하여 운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더위를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운동 기구를 사용할 시, 걸은 횟수를 직접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성취감 및 운동에 대한 재미를 제공하여 실외 운동 기구를 사용하는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의 전체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의 구성 중 팬(600)과 운동프레임(300) 간의 기어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의 구성 중 팬(600)과 운동프레임(300) 간의 기어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의 구성 중 팬(600)과 운동프레임(300) 간의 기어 결합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의 구성 중 팬(600)과 운동프레임(300) 간의 기어 결합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의 구성 중 걸음횟수표시모듈(700)와 운동프레임(300)의 기어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기어(40)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의 전체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의 구성 중 팬(600)과 운동프레임(300) 간의 기어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의 구성 중 팬(600)과 운동프레임(300) 간의 기어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의 구성 중 팬(600)과 운동프레임(300) 간의 기어 결합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의 구성 중 팬(600)과 운동프레임(300) 간의 기어 결합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의 구성 중 걸음횟수표시모듈(700)와 운동프레임(300)의 기어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기어(40)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는,
사용자의 무게를 지지하고, 걷기 운동 기구의 메인 프레임 역할을하는 메인지지프레임(100),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상측에 결합되어 구성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어 사용자의 무게를 보조적으로 지탱하는 손잡이프레임(200),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내측에 결합되어 구성되며,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되, 전 후방으로 운동할 수 있는 운동프레임(300)으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운동프레임(300)은 손잡이프레임(200)을 기준으로 좌측 우측으로 구분하여 우측운동프레임(320)과 좌측운동프레임(330)으로 구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일측 방향에 위치하여 구성되는 메인하우징(400),
상기 운동프레임(300)과 상기 메인하우징(400)을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운동프레임(300)의 전 후방 운동에 따라 발생되는 운동에너지를 메인하우징(400)으로 전달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결프레임(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프레임(500)은,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내측에 결합되어 구성되되, 운동프레임(300)과 달리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프레임(500)은, 일측단이 상기 우측운동프레임(320)의 일면에 결합되는 우측제1연결프레임(510),
일측단이 상기 우측제1연결프레임(510)의 타측단에 결합되며 타측단이 메인하우징(400)과 연결되는 우측제2연결프레임(520),
일측단이 상기 좌측운동프레임(330)의 일면에 결합되는 좌측제1연결프레임(530),
일측단이 상기 좌측제1연결프레임(530)의 타측단에 결합되며 타측단이 메인하우징(400)과 연결되는 좌측제2연결프레임(5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하우징(400)에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메인하우징(400)에 전달된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하고, 회전에 따라 바람을 발생시키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되는 팬(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하우징(400)은, 상기 팬(600)이 회전하여 외부로 바람을 분출할 시, 외부로부터 공기를 메인하우징(400) 내부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의 먼지를 여과하도록 메인하우징(400)의 상측면과, 일측 및 타측면에 구성되는 여과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부(410)는, 메인하우징(4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팬(60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분출하도록 구성하되, 메인하우징(400)에 유입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흙, 미세먼지 등)를 여과시켜 보다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여과부(410)는, 타공판이 하나 이상의 여러 겹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타공판이 여러 겹으로 구성될 시, 각각의 타공판에 구성된 구멍의 크기는 각각 상이하도록 구성되며, 각 타공판에 구성된 구멍의 배열 또한 상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술한것과 같이 타공판을 여러겹으로 구성하되, 각 타공판에 구성된 구멍의 크기와 배열을 각각 상이하게 구성한것은, 타공판을 여러겹으로 구성한다 하여도 같은 크기의 구멍이 같은 배열로 겹겹이 구성하면 공기를 여과시키는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여과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상기 서술한것과 같이 타공판을 구성하는 것이다.
메인지지프레임(100)은, 사용자의 무게를 지지하고, 걷기 운동 기구의 메인 프레임 역할을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손잡이프레임(200)은,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상측에 결합되어 구성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어 사용자의 무게를 보조적으로 지탱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운동프레임(300)은,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내측에 결합되어 구성되며,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되, 전 후방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운동프레임(300)은, 사용자의 발이 안착아되어 사용자의 하체를 보조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발판프레임(3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운동프레임(300)은, 메인지지프레임(100)의 내측에 결합되어 구성되며, 사용자의 우측 하체를 지지하되, 전 후방으로 운동할 수 있는 우측운동프레임(320),
메인지지프레임(100)의 내측에 결합되어 구성되며, 사용자의 좌측 하체를 지지하되, 전 후방으로 운동할 수 있는 좌측운동프레임(3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기어 결합 구조는 상기 운동프레임(300), 연결프레임(500), 메인하우징(400) 각각 내부에 위치하여 결합되어있는 기어 구조를 확인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시된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팬(600) 구동 방식 및 기어 결합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인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의 팬(600) 구동 방식은,
운동프레임(300) 내부에 위치하여 운동프레임(300)의 전 후방 운동의 회전 반경 및 회전 방향과 일치하여 회전하는 운동기어(10),
연결프레임(500)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운동기어(10)와 일측단이 맞물리며 운동기어(10)의 회전축과 각을 형성하여 회전하는 제1연결프레임기어(20),
연결프레임(500)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연결프레임기어(20)와 일측단이 맞물리며 제1연결프레임기어(20)의 회전축과 각을 형성하여 회전하는 제2연결프레임기어(30),
메인하우징(400)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2연결프레임기어(30)와 함께 회전방향이 일치하여 회전하는 동력전달기어(40),
상기 동력전달기어(40)의 중심회전축을 기준으로 동력전달기어(40)와 맞물리며, 동력전달기어(40)의 회전축과 각을 형성하여 회전하는 메인동력전달기어(50),
상기 메인동력전달기어(5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메인동력전달기어(5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팬(600)과 일측단이 결합되어 팬(60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구동기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운동기어(10)는, 운동프레임(300) 내부에 위치하여 운동프레임(300)의 전 후방 운동의 회전 반경 및 회전 방향과 일치하여 회전하는데, 이는 사용자가 운동프레임(300)을 전 후방으로 운동활동을 하도록 회전시킴에 따라 운동프레임(300)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는 사용자가 운동함에 따라 운동에너지가 처음 발생되는 부분이다.
상기 운동기어(10)는, 우측운동프레임(320) 내부에 위치하여 우측운동프레임(320)의 전 후방 운동의 회전 반경 및 회전방향과 일치하여 회전하는 우측운동기어(10a),
좌측운동프레임(330) 내부에 위치하여 좌측운동프레임(330)의 전 후방 운동의 회전 반경 및 회전방향과 일치하여 회전하는 좌측운동기어(1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연결프레임기어(20)는, 연결프레임(500)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운동기어(10)와 일측단이 맞물리며 운동기어(10)의 회전축과 각을 형성하여 회전하는데, 이는 운동기어(10)에서 발생된 운동에너지를 메인하우징(400)의 팬(600)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운동에너지 이동 연결 부재이며, 본 발명의 각 프레임 결합 구조에 맞추어 상기 운동기어(10)의 회전축과 제1연결프레임기어(20)의 회전축은 예각 내지 둔각을 형성하여 기어결합을 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제1연결프레임기어(20)는, 우측제1연결프레임(510)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우측운동기어(10a)와 일측단이 맞물리며, 우측운동기어(10a)의 회전축과 각을 형성하여 회전하는 우측제1연결프레임기어(20a),
좌측제1연결프레임(530)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좌측운동기어(10b)와 일측단이 맞물리며, 좌측운동기어(10b)의 회전축과 각을 형성하여 회전하는 좌측제1연결프레임기어(2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연결프레임기어(30)는, 연결프레임(500)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연결프레임기어(20)와 일측단이 맞물리며 제1연결프레임기어(20)의 회전축과 각을 형성하여 회전하는데,
이는 제1연결프레임기어(20)의 연결 연장 부재의 역할로서, 본 발명의 각 프레임 결합 구조에 맞추어 상기 제1연결프레임기어(20)의 회전축과 제2연결프레임기어(30)의 회전축은 예각 내지 둔각을 형성하여 기어결합을 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제2연결프레임기어(30)는, 우측제2연결프레임(520)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우측제1연결프레임기어(20a)와 일측단이 맞물리며 우측제1연결프레임기어(20a)의 회전축과 각을 형성하여 회전할 수 있는 우측제2연결프레임기어(20a),
좌측제2연결프레임(540)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좌측제1연결프레임기어(20b)와 일측단이 맞물리며 좌측제1연결프레임기어(20b)의 회전축과 각을 형성하여 회전할 수 있는 좌측제2연결프레임기어(3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력전달기어(40)는, 메인하우징(400)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2연결프레임기어(30)와 함께 회전방향이 일치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동력전달기어(40)는, 두개의 기어로 구성되며 두개의 기어를 포함하는 외주면에 벨트(45)를 구성하여, 한측의 기어의 회전과 동시에 타측의 기어도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일측의 기어가 제2연결프레임기어(30)에 결합되어 제2연결프레임기어(30)의 회전에 의하여 두개의 기어가 회전하도록 구성하게 되며,
타측의 기어는 메인동력전달기어(5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제2연결프레임기어(30)의 회전력을 메인동력전달기어(50)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동력전달기어(40)는, 메인하우징(400)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우측제2연결프레임기어(20a)와 함께 회전방향이 일치하여 회전하며, 두개의 기어로 구성되고, 두개의 기어를 포함하는 외주면에 벨트(45)로 구성되어 일 측의 기어와 함께 타 측의 기어도 회전하는 우측동력전달기어(40a),
메인하우징(400)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좌측제2연결프레임기어(30b)와 함께 회전방향이 일치하여 회전하며, 두개의 기어로 구성되고, 두개의 기어를 포함하는 외주면에 벨트(45)로 구성되어 일 측의 기어와 함께 타 측의 기어도 회전하는 좌측동력전달기어(40b)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인동력전달기어(50)는, 상기 동력전달기어(40)의 중심회전축을 기준으로 동력전달기어(40)와 맞물리며, 동력전달기어(40)의 회전축과 각을 형성하여 회전하는데,
이는, 팬(600)의 결합 위치에 맞추어 메인동력전달기어(50)의 회전축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로, 동력전달기어(40)의 회전축과 메인동력전달기어(50)의 회전축은 예각 내지 둔각을 형성하여 기어결합을 하도록 구성하며,
우측동력전달기어(40a) 일 측 기어의 회전축 및 좌측동력전달기어(40b) 일 측 기어의 회전축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우측동력전달기어(40a) 또는 좌측동력전달기어(40b)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이다.
구동기어는, 상기 메인동력전달기어(5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메인동력전달기어(5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팬(600)과 일측단이 결합되어 팬(60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게 된다.
메인하우징(400)에 하나 이상의 팬(600)을 구성할 시, 이에 맞추어 구동기어를 팬(600)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성하게 되는데, 각각의 팬(600)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도 4과 같은 구조를 취하게 된다.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구동기어는, 메인동력전달기어(50)의 회전축에 일단부의 기어가 결합되고, 타단부의 기어가 팬(600)과 결합되며, 메인동력전달기어(5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축을 두번 변경하여 메인동력전달기어(50)의 회전력을 팬(600)으로 전달하는 제1구동기어(60),
메인동력전달기어(50)의 회전축에 일단부의 기어가 결합되고, 타단부의 기어가 팬(600)과 결합되며, 메인동력전달기어(5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축을 세번 변경하여 메인동력전달기어(50)의 회전력을 팬(600)으로 전달하는 제2구동기어(70),
제1구동기어(60)의 일측 기어 회전축 연장선에 결합되며, 제1구동기어(60)의 일측 기어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축을 한번 변경하여 팬(600)과 결합되어 제1구동기어(60)의 회전력을 팬(600)으로 전달하는 제3구동기어(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구동기어(60)를 기준으로, 제1구동기어(60)에 의하여 팬(60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할 시, 제2구동기어(70) 및 제3구동기어(80)의 회전방향은 제1구동기어(60)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제1구동기어(60)는 메인동력전달기어(5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축을 두번 변경하여 팬(600)과 결합되고,
제2구동기어(70)는 메인동력전달기어(5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축을 세번 변경하여 팬(600)과 결합되며,
제3구동기어(80)는 제1구동기어(6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축을 한번 변경하여 팬(600)과 결합되어 제1구동기어(60)에 연결된 팬(60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제2구동기어(70)와 제3구동기어(80)에 연결된 팬(600)의 회전방향이 각각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동력전달기어(40)는 두개의 기어로 구성하게 되는데 각 기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벨트(45)와 맞물려 회전하는 외부기어(41),
상기 외부기어(41) 내부에 구성되되, 상기 외부기어(41)의 회전방향과는 관계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리휠(42),
상기 외부기어(41) 내경에 홈을 하나 이상 형성하여 구성되는 단턱부(43),
상기 프리휠(42)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되며, 프리휠(42)의 회전할 시,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단턱부(43)와 맞물려 프리휠(42)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외부기어(41)를 밀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휠스토퍼(44)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운동프레임(300)이 전 후방으로 운동할 시, 운동기어(10)의 회전 방향이 운동 방향에 따라 지속적으로 빈번하게 바뀌게 되어, 팬(600)의 회전방향도 함께 바뀌면서 팬(600)의 기능을 상실함과 동시에 회전량이 적어져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바람의 양이 현저하게 낮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이다.
상기 동력전달기어(40)의 프리휠(42)은 일 방향으로 회전할 시, 휠스토퍼(44)가 단턱부(43)에 맞물려 외부기어(41)에 회전력을 전달시켜 프리휠(42)의 회전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외부기어(41)를 회전시키게 된다.
반대로, 프리휠(42)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시, 휠스토퍼(44)가 단턱부(43)에 맞물리지 않아 외부기어(41)로 프리휠(42)의 회전력을 전달시키지 못하여 프리휠(42)만 회전하면서 외부기어(41)는 회전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외부기어(41)가 휠스토퍼(44)가 단턱부(43)에 맞물리는 방향이 아닌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외부기어(41)만 회전하고 프리휠(42)은 회전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여, 우측운동프레임(320)과 좌측운동프레임(330)이 동일한 방향으로 운동할때에만 운동에너지를 동력전달기어(40)로 전달하고,
우측동력전달기어(40a)와 좌측동력전달기어(40b)가 동일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되므로 일방향의 회전력이 메인동력전달기어(50)로 전달되어 구동기어가 한방향으로만 운동프레임(300)의 운동 상태에 따라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운동프레임(300)이 전방을 향하여 운동할때에만 동력전달기어(40)가 회전하고, 후방을 향하여 운동할때에는 회전하지 않도록 휠스토퍼(44)와 단턱부(43)를 배치하였다면,
사용자의 좌측발과 우측발이 번갈아서 전방으로 움직일 때에만 팬(600)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메인하우징(400)에 결합된 다수의 팬(600)은 각각 같은 방향으로 회전을 하고, 사용자가 운동함에 따라 다수의 팬(600)은 한방향으로만 회전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어 결합 구조는 본 발명의 구조 즉, 걷기 운동용 기구에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본 발명이 제공하고자 하는 효과를 충분히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인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는,
상기 손잡이프레임(200)의 일면에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운동프레임(300)의 전 후방 운동의 횟수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걸음횟수표시모듈(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음횟수표시모듈(700)는
태양광 전지판으로 구성되어, 태양광 에너지를 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걸음횟수표시모듈(700)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태양광충전부(710),
상기 운동프레임(300)이 전 후방 운동을 할 시, 전 후방 운동의 횟수를 카운팅하도록 구성되는 카운팅부(720),
상기 카운팅부(720)에서 카운팅한 운동프레임(300)의 전 후방 운동의 횟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걸음횟수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걸음횟수표시부(730),
전 후방 운동의 횟수당 소모 칼로리 양을 입력시키고, 상기 카운팅부(720)에서 카운팅한 운동프레임(300)의 전 후방 운동의 횟수를 이용하여 소모 칼로리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소모칼로리표시부(74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카운팅부(720)에서 카운팅한 전 후방 운동의 횟수를 초기화 시킬 수 있는 리셋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모칼로리표시부(740)는 카운팅부(720)에서 카운팅한 운동프레임(300)의 전 후방 운동의 횟수를 이용하여 소모 칼로리를 표시하도록 구성하고 있는데 이는, 성인 남성기준으로 한걸음당 33cal 소모 기준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운팅부(720)에서 운동프레임(300)의 전 후방 운동 횟수를 카운팅 하는 구조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메인지지프레임(100) 내부에 위치하여 운동기어(10) 회전축의 연장선상에 결합되고, 운동기어(10)의 회전방향과 일치하여 회전하는 제1카운팅연결기어(210),
손잡이프레임(200)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카운팅연결기어(210)와 맞물려 회전하되,
제1카운팅연결기어(210)의 회전축과 각을 형성하여 회전축을 변경하여 구성되는 제2카운팅연결기어(220),
손잡이프레임(200)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카운팅연결기어(220)와 맞물려 회전하되, 제2카운팅연결기어(220)의 회전축과 각을 형성하여 회전축을 변경하여 구성되는 제3카운팅연결기어(230),
상기 제3카운팅연결기어(230)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제3카운팅연결기어(230)의 회전방향과 일치하여 회전하되, 회전함에 따라 상기 카운팅부(720)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카운팅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카운팅부재(240)는 상기 카운팅부(720)와 접촉될 수 있도록 일 둘레면에 접지부(24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운동프레임(300)이 전 후방으로 운동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제3카운팅연결기어(230)가 회전하면서 카운팅부재(240)가 카운팅부(720)와 접촉하게 되는데, 카운팅부재(240)의 접지부(241)와 카운팅부(720)가 접촉하면서 카운팅부(720)는 운동프레임(300)이 전 후방 운동을 1회 걸음으로 확인하여 접지부(241)와 카운팅부(720)가 접촉될때마다 카운트 횟수를 올리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운동 기구를 사용할 시, 사용자에게 바람을 제공하여 운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더위를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운동 기구를 사용할 시, 걸은 횟수를 직접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성취감 및 운동에 대한 재미를 제공하여 실외 운동 기구를 사용하는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를 바탕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메인지지프레임 500 : 연결프레임
200 : 손잡이프레임 600 : 팬
300 : 운동프레임 700 : 걸음횟수표시모듈
400 : 메인하우징

Claims (4)

  1.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무게를 지지하고, 걷기 운동 기구의 메인 프레임 역할을하는 메인지지프레임(100);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상측에 결합되어 구성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어 사용자의 무게를 보조적으로 지탱하는 손잡이프레임(200);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내측에 결합되어 구성되며,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되, 전 후방으로 운동할 수 있는 운동프레임(300);
    상기 메인지지프레임(100)의 일측 방향에 위치하여 구성되는 메인하우징(400);
    상기 운동프레임(300)과 상기 메인하우징(400)을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운동프레임(300)의 전 후방 운동에 따라 발생되는 운동에너지를 메인하우징(400)으로 전달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결프레임(500)으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하우징(400)에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메인하우징(400)에 전달된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하고, 회전에 따라 바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팬(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운동프레임(300) 내부에 위치하여 운동프레임(300)의 전 후방 운동의 회전 반경 및 회전 방향과 일치하여 회전하는 운동기어(10),
    연결프레임(500)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운동기어(10)와 일측단이 맞물리며 운동기어(10)의 회전축과 각을 형성하여 회전하는 제1연결프레임기어(20),
    연결프레임(500)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연결프레임기어(20)와 일측단이 맞물리며 제1연결프레임기어(20)의 회전축과 각을 형성하여 회전하는 제2연결프레임기어(30),
    메인하우징(400)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2연결프레임기어(30)와 함께 회전방향이 일치하여 회전하는 동력전달기어(40),
    상기 동력전달기어(40)의 중심회전축을 기준으로 동력전달기어(40)와 맞물리며, 동력전달기어(40)의 회전축과 각을 형성하여 회전하는 메인동력전달기어(50),
    상기 메인동력전달기어(5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메인동력전달기어(5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팬(600)과 일측단이 결합되어 팬(60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동력전달기어(40)는, 두개의 기어로 구성되며 두개의 기어를 포함하는 외주면에 벨트(45)를 구성하여, 한측의 기어의 회전과 동시에 타측의 기어도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일측의 기어가 제2연결프레임기어(30)에 결합되어 제2연결프레임기어(30)의 회전에 의하여 두개의 기어가 회전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동력전달기어(40)는 두개의 기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벨트(45)와 맞물려 회전하는 외부기어(41),
    상기 외부기어(41) 내부에 구성되되, 상기 외부기어(41)의 회전방향과는 관계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리휠(42),
    상기 외부기어(41) 내경에 홈을 하나 이상 형성하여 구성되는 단턱부(43),
    상기 프리휠(42)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되며, 프리휠(42)의 회전할 시,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단턱부(43)와 맞물려 프리휠(42)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외부기어(41)를 밀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휠스토퍼(44)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좌측발과 우측발이 번갈아서 전방으로 움직일 때에만 팬(600)이 회전하고, 상기 메인하우징(400)에 결합된 다수의 팬(600)은 각각 같은 방향으로 회전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프레임(200)의 일면에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운동프레임(300)의 전 후방 운동의 횟수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걸음횟수표시모듈(700)를 더 포함하되,
    태양광 전지판으로 구성되어, 태양광 에너지를 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걸음횟수표시모듈(700)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태양광충전부(710),
    상기 운동프레임(300)이 전 후방 운동을 할 시, 전 후방 운동의 횟수를 카운팅하도록 구성되는 카운팅부(720),
    상기 카운팅부(720)에서 카운팅한 운동프레임(300)의 전 후방 운동의 횟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걸음횟수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걸음횟수표시부(730),
    전 후방 운동의 횟수당 소모 칼로리 양을 입력시키고, 상기 카운팅부(720)에서 카운팅한 운동프레임(300)의 전 후방 운동의 횟수를 이용하여 소모 칼로리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소모칼로리표시부(740)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400)은,
    상기 팬(600)이 회전하여 외부로 바람을 분출할 시, 외부로부터 공기를 메인하우징(400) 내부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의 먼지를 여과하도록 메인하우징(400)의 상측면과, 일측 및 타측면에 구성되는 여과부(4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
KR1020190104099A 2019-08-24 2019-08-24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 KR102211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099A KR102211955B1 (ko) 2019-08-24 2019-08-24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099A KR102211955B1 (ko) 2019-08-24 2019-08-24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955B1 true KR102211955B1 (ko) 2021-02-03

Family

ID=74571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099A KR102211955B1 (ko) 2019-08-24 2019-08-24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95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850Y1 (ko) 2006-06-08 2006-08-25 한각수 햇빛가리개가 장치된 실외걷기용 운동기구
KR20090009253U (ko) 2008-03-12 2009-09-16 신성열 운동기구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이용한 선풍기/발전기
KR100984120B1 (ko) * 2010-05-19 2010-09-28 (주)디자인파크개발 진자운동을 이용한 베벨기어 타입의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운동기구
KR20120038636A (ko) * 2010-10-14 2012-04-24 오휘진 신체재활기구
KR101852451B1 (ko) * 2017-06-12 2018-04-30 호진기계주식회사 야외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850Y1 (ko) 2006-06-08 2006-08-25 한각수 햇빛가리개가 장치된 실외걷기용 운동기구
KR20090009253U (ko) 2008-03-12 2009-09-16 신성열 운동기구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이용한 선풍기/발전기
KR100984120B1 (ko) * 2010-05-19 2010-09-28 (주)디자인파크개발 진자운동을 이용한 베벨기어 타입의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운동기구
KR20120038636A (ko) * 2010-10-14 2012-04-24 오휘진 신체재활기구
KR101852451B1 (ko) * 2017-06-12 2018-04-30 호진기계주식회사 야외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1955B1 (ko) 실외용 걷기 운동 기구
CN108635979A (zh) 一种便于拆卸清洗的空气净化器滤芯
US6740014B2 (en) Body exerciser having a reset adjustment function
CN108968380A (zh) 一种学生坐姿矫正装置
CN205031836U (zh) 健身设备的阻尼装置
CN207785467U (zh) 一种多功能的小按摩器
CN105559270B (zh) 光伏智能手环
CN209612081U (zh) 交互绳电动摇绳器
CN108922456A (zh) 一种农业生态园观光指示牌
CN108757843A (zh) 一种驱动机构及配备该驱动机构的康复轮椅
CN105194838A (zh) 一种智能腹健轮
CN205759363U (zh) 蹦床
CN105107143A (zh) 摸拟动感单车
CN206141601U (zh) 一种可爬楼的双重驱动柔性轮
CN109011604A (zh) 一种基于娱乐风洞设备用具有缓冲效果的通风网
KR200350446Y1 (ko) 놀이기구가 구비된 유모차
JP2005230327A (ja) 運動機器
CN207785765U (zh) 一种体育训练的踏步扭腰器
CN203507422U (zh) 健身车
CN106251716A (zh) 一种工程制图万向投影演示装置的机械传动单元
US20170106294A1 (en) A playground equipment
CN202402230U (zh) 健身运动发电器
KR101855897B1 (ko) 4륜 구동 안마모듈의 분리형 프레임 구조
CN201492872U (zh) 多功能腕力球
CN201426944Y (zh) 室内攀岩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